KR20150088260A - 분사 밸브 - Google Patents

분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8260A
KR20150088260A KR1020157013916A KR20157013916A KR20150088260A KR 20150088260 A KR20150088260 A KR 20150088260A KR 1020157013916 A KR1020157013916 A KR 1020157013916A KR 20157013916 A KR20157013916 A KR 20157013916A KR 20150088260 A KR20150088260 A KR 20150088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valve
injection
jett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2492B1 (ko
Inventor
구이도 필그람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88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04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having valves, e.g. having a plurality of valves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61/1806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ischarge orifices, e.g. orientation or size
    • F02M61/1826Discharge orifices having different siz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8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integral means for shielding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limit area of spray; with integral means for catching drips or collecting surplu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 F02M51/06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 F02M51/06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68Assembling; Disassembling; Manufacturing; Adju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61/1806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ischarge orifices, e.g. orientation or siz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61/1806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ischarge orifices, e.g. orientation or size
    • F02M61/1833Discharge orifices having changing cross sections, e.g. being diverg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61/1853Orific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내연기관의 연소실 내로 연료를 직접 분사하기 위한 내연기관의 연료 분사 시스템용 연료 분사 밸브에 관한 것이며, 상기 연료 분사 밸브는 자기 코일(10), 상기 자기 코일(10)을 통해 폐쇄 방향으로 리턴 스프링(23)에 의해 가압되는 아마추어(20), 및 상기 아마추어(20)와 압력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고, 밸브 시트 면(6)과 함께 밀봉 시트를 형성하는 밸브 폐쇄 바디(4)를 작동시키는 밸브 니들(3)을 포함하고, 상기 아마추어(20)는 상기 밸브 니들(3)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밸브 시트 면(6)의 하류에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7)가 형성되고, 상기 분사구(7)는 제 1 분사구 섹션(7')과 제 2 분사구 섹션(7") 사이의 전이부에 분리 에지(41)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분리 에지(41)에서 분사구(7)의 완전한 개방 각(α)이 전체 분리 에지(41)에 걸쳐 > 270°이고, 그럼으로써 분리 에지(41)가 배치된 전이 평면의 후방으로 후퇴한 베이스 영역(42)은 상기 분리 에지(41)로부터 분사구(7)의 제 2 분사구 섹션(7")의 베이스로 연장된다.

Description

분사 밸브{INJECTION VALVE}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분사 밸브에 관한 것이다.
DE 196 36 396 A1에는 밸브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해 밸브 폐쇄 바디와 상호 작용하는 밸브 시트 면의 하류에 천공 디스크를 포함하는 연료 분사 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시트로 형성된 포트형 천공 디스크는 다수의 분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구들을 통해 연료가 예를 들면 유입 밸브의 방향으로 내연기관의 흡입관 내로 흐른다. 분사구들은 스탬핑, 침식 또는 레이저 드릴링에 의해 천공 디스크 내에 형성된다. 분사구들은 그 축 방향 길이에 걸쳐 연속해서 일정한 원형 또는 타원형 횡단면을 갖는다.
DE 199 37 961 A1에는 연료 유입구, 밸브 폐쇄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여기 가능한 작동 장치, 밸브 시트 부재에 형성되며 밸브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해 밸브 폐쇄 부재와 상호 작용하는 고정 밸브 시트, 및 상기 밸브 시트의 하류에 제공된, 연료 배출구로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포함하는 연료 분사 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는 그 분사 측 단부에 배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 영역은 형상 및/또는 크기 및/또는 윤곽 면에서 상기 배출구의 나머지 실시와는 다르다. 배출구의 배출 영역은 볼록하게 또는 오목하게 휘어지고, 원추형으로 뾰족해지거나 또는 퍼져서, 종종 계단형 등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분사구를 통해 바람직한 스프레이가 경제적으로 생성되며, 특히 분사구 내에서 바람직한 유동 분리가 이루어지는, 분사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분사 밸브에 의해 해결된다.
독립 청구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 밸브는, 층류 붕괴와 관련해서 매우 양호한 분무 품질을 제공하는 스프레이가 분사구에 의해 경제적으로 생성될 수 있고, 특히 분사구 내부에서 유동의 규정된 분리가 이루어지며, 상기 분리는 바람직하게 분사구에서의 코킹 경향을 효과적으로 줄인다는 장점을 갖는다.
분사될 유체는, 분사구의 적어도 2개의 개방 섹션 사이의 전이부에 형성된 분리 에지에 의해, 공지된 계단형 분사구의 경우보다 더 규정된 방식으로 그리고 더 효과적으로 분리된다.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된 조치들에 의해, 독립 청구항에 제시된 분사 밸브의 바람직한 개선이 가능하다.
분리 에지로부터 후퇴하여 방사방향 외부로 연장하는, 제 2 분사구 섹션의 베이스 영역을 경사져 기울어지게, 오목하게 휘어지게 또는 지붕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구의 윤곽을 초단 펄스 레이저 드릴링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해 상기 윤곽이 경제적으로 그리고 높은 정확도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에 간략히 도시되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의 축 방향 단면도.
도 2는 분사 밸브의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제 1 분사구를 구비한 도 1에 도시된 연료 분사 밸브의 영역 Ⅱ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분사구의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분사구의 제 3 실시예.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분사 밸브의 실시예들이 상세히 설명되기 전에,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먼저 도 1을 참고로 공지된 연료 분사 밸브가 그 중요 부품들과 관련해서 간략히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연료 분사 밸브(1)는 혼합물 압축식, 외부 점화형 내연기관의 연료 분사 시스템용 연료 분사 밸브(1)의 형태로 구현된다. 연료 분사 밸브(1)는 특히 내연기관의 도시되지 않은 연소실 내로 연료를 직접 분사하기에 적합하다. 물론, 분사구의 본 발명에 따른 형성은 그런 연료 분사 밸브(1)를 참고로 예시적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흡입관 분사용 연료 분사 밸브에, 자기 점화형 내연기관의 연료 분사 밸브에 또는 내연기관의 배기 가스 시스템 내로 우레아 수용액(예컨대 AdBlueTM)의 유입을 위한 분사 밸브 등에도 실시될 수 있다.
연료 분사 밸브(1)는 노즐 바디(2)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 바디 내에 밸브 니들(3)이 배치된다. 밸브 니들(3)은 밸브 폐쇄 바디(4)와 작용 연결되고, 상기 밸브 폐쇄 바디는 밸브 시트 바디(5) 상에 배치된 밸브 시트 면(6)과 상호 작용하여 밀봉 시트를 형성한다. 연료 분사 밸브(1)는 실시예에서 내부로 개방되는 연료 분사 밸브(1)이고, 상기 연료 분사 밸브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7)를 포함한다. 그러나 연료 분사 밸브(1)는 예를 들면 다수 홀 분사 밸브로서 구현되므로 2 내지 20개의 분사구(7)를 갖는다. 노즐 바디(2)는 시일(8)에 의해 자기 코일(10)의 외부 극(9)에 대해 밀봉된다. 자기 코일(10)은 코일 하우징(11) 내에 캡슐화되고 코일 지지체(12) 상에 감기며, 상기 코일 지지체(12)는 자기 코일(10)의 내부 극(13)에 접촉한다. 내부 극(13) 및 외부 극(9)은 수축부(26)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비-강자성 연결 부품(29)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자기 코일(10)은 전기 플러그 콘택(17)을 통해 공급된 전류에 의해 라인(19)을 통해 여기된다. 플러그 콘택(17)은 내부 극(13)에 사출 성형될 수 있는 플라스틱 커버링(18)에 의해 둘러싸인다.
전자기 액추에이터 대신에, 압전, 자기 변형 또는 그 밖의 구동 장치가 밸브 폐쇄 바디(4)의 작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밸브 니들(3)은 디스크형으로 구현된 밸브 니들 가이드(14) 내에서 안내된다. 행정 조절을 위해 조절 디스크(15)가 사용된다. 조절 디스크(15)의 상류에 아마추어(20)가 배치된다. 상기 아마추어(20)는 제 1 플랜지(21)를 통해 밸브 니들(3)과 압력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밸브 니들은 용접 시임(22)에 의해 제 1 플랜지(21)와 결합된다. 제 1 플랜지(21)에 리턴 스프링(23)이 지지되고, 상기 리턴 스프링(23)은 연료 분사 밸브(1)의 본 디자인에서 조절 슬리브(24)에 의해 예비 응력을 받는다.
상부 밸브 니들 가이드(14) 내에, 아마추어(20) 내에 그리고 하부 안내 부재(36) 상에 연료 채널들(30, 31 및 32)이 연장된다. 연료는 중앙 연료 공급부(16)를 통해 공급되고, 필터 부재(25)에 의해 필터링된다. 연료 분사 밸브(1)는 시일(28)에 의해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연료 분배기 라인에 대해 밀봉되고, 추가의 시일(37)에 의해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실린더 헤드에 대해 밀봉된다.
아마추어(20)의 분사 측 측면에 탄성 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진 링형 댐핑 부재(33)가 배치된다. 상기 댐핑 부재는 용접 시임(35)에 의해 밸브 니들(3)과 압력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된 제 2 플랜지(34) 상에 놓인다.
제 1 플랜지(21)와 아마추어(20) 사이에 예비 행정 스프링(38)이 배치되고, 상기 예비 행정 스프링은 아마추어(20)를 연료 분사 밸브(1)의 휴지 상태에서 제 2 플랜지(34)에 지지한다. 예비 행정 스프링(38)의 스프링 상수는 리턴 스프링(23)의 스프링 상수보다 훨씬 더 작다.
연료 분사 밸브(1)의 휴지 상태에서 아마추어(20)는 리턴 스프링(23) 및 예비 행정 스프링(38)에 의해 그 행정 방향과 반대로 가압됨으로써, 밸브 폐쇄 바디(4)가 밸브 시트 면(6)에 밀봉 지지 상태로 유지된다. 자기 코일(10)의 여기 시에, 상기 자기 코일은 아마추어(20)를 먼저 예비 행정 스프링(38)의 힘에 대항해서 행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자계를 형성하고, 이 경우 아마추어 자유 거리는 제 1 플랜지(21)와 아마추어(20) 사이의 간격에 의해 미리 주어진다. 아마추어 자유 거리의 통과 후에, 아마추어(20)는 밸브 니들(3)과 용접된 제 1 플랜지(21)를 리턴 스프링(23)의 힘에 대항해서 행정 방향으로 데리고 간다. 이 경우, 아마추어(20)는 아마추어(20)와 내부 극(13) 사이의 작동 갭(27)의 높이에 상응하는 전체 행정을 통과한다. 밸브 니들(3)과 연결된 밸브 폐쇄 바디(4)는 밸브 시트 면(6)으로부터 분리되고, 연료 채널들(30 내지 32)을 통해 안내된 연료는 분사구(7)를 통해 분사된다.
코일 전류가 차단되면, 아마추어(20)는 자계가 충분히 사라진 후에 리턴 스프링(23)의 압력에 의해 내부 극(13)으로부터 떨어짐으로써, 밸브 니들(3)과 연결된 제 1 플랜지(21)는 행정 방향과 반대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밸브 니들(3)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밸브 폐쇄 바디(4)가 밸브 시트 면(6) 상에 놓이고, 연료 분사 밸브(1)가 폐쇄된다. 예비 행정 스프링(38)은 다시 아마추어(20)를 가압함으로써, 아마추어가 제 2 플랜지(34)에 의해 바운스되지 않고, 바운스 방지부 없이 휴지 상태로 되돌아 간다.
도 2는 분사구(7)의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를 포함하는 도 1에 Ⅱ로 표시된 부분을 축 방향 단면도로 도시한다. 분사구(7)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분사구가 2개의 연속하는 분사구 섹션(7', 7")으로 형성되며, 화살표 40에 따른 유동 방향으로 볼 때 제 1 분사구 섹션(7')이 제 2 분사구 섹션(7")의 개구 폭, 또는 특히 분사구 섹션들(7', 7")이 원통형으로 구현될 때 직경보다 더 작은 개구 폭 또는 더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연기관의 연소실 내로 연료의 직접 분사를 위한 연료 분사 밸브(1)의 경우, 하류 측 부품, 예를 들면 분사구 디스크 및 밸브 시트 바디에 침착물 형성의 큰 위험이 있다. 특히, 분사구들(7)의 자유 횡단면이 코킹되기 쉬워서, 바람직하지 않게 소정 분사량에 미달하는 양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연료 분사 밸브(1)의 하류 단부의 영역에서 밸브 시트 바디(5) 둘레에 온도 평형을 의도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료 분사 밸브(1)의 전체 수명에 걸쳐 분사구(7)를 통해 일정한 유량이 분사될 수 있는 것이 최대한 보장되어야 한다. 특히 하류 방향으로 개구 폭 확대를 갖는 계단형 분사구(7)의 경우 침착물 형성 경향, 코킹 경향 및 그에 따라 분사구(7)의 자유 횡단면의 막힘 위험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계단형 분사구들(7)을 형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분사구(7)의 적어도 2개의 분사구 섹션(7', 7") 사이의 전이부에 분리 에지(41)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 에지는 밸브 시트 바디(5), 노즐 바디 또는 분사 천공 디스크의 재료에 의해 상기 영역에서 각 < 9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하면, 분리 에지(41)에서 분사구(7)의 완전한 개방 각(α)이 전체 분리 에지(41)에 걸쳐 > 270°이고, 그럼으로써 분사될 유체의 규정된 그리고 효과적인 분리가 달성된다. 분리 에지(41)가 배치된 전이 평면의 후방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퇴한 링형 베이스 영역(42)은 상기 분리 에지(41)로부터 불가피하게 분사구(7)의 제 2 분사구 섹션(7")의 베이스로 연장된다.
도 2에는 분사구(7)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며, 상기 실시예에서 분리 에지(41)로부터 방사방향 외부로 후퇴한 베이스 영역(42)은 경사지게 기울어지며 편평하게 연장함으로써, 가장 깊게 후퇴한 링 영역은 분사구(7)의 제 2 분사구 섹션(7")의 외부 벽 영역 내에 놓인다.
도 3에는 밸브 시트 바디(5) 내 분사구(7)의 제 2 실시예가 도 2와 유사한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중요한 차이점은 분리 에지(41)로부터 방사방향 외부로 후퇴한 베이스 영역(42)이 오목하게 휘어져 연장한다는 것이며, 여기서도 예를 들면 가장 깊게 후퇴한 링 영역은 분사구(7)의 제 2 분사구 섹션(7")의 외부 벽 영역 내에 놓인다.
도 2와 유사한 단면도로 도 4에 도시된, 밸브 시트 바디(5) 내 분사구(7)의 제 3 실시예에서, 베이스 영역(42)은 지붕 형태로 형성된다. 분리 에지(41)로부터 방사방향 외부로 후퇴한 베이스 영역(42)은, 분사구(7)의 제 2 분사구 섹션(7")의 외부 벽 영역과 동일한 평면이 아닌, 가장 깊은 지점까지 기울어져 연장한다. 상기 가장 깊은 지점으로부터 추가의 편평하고 경사져 기울어진 베이스 영역(42)이 다른 경사 방향으로 분사구(7)의 제 2 분사구 섹션(7")의 외부 벽 영역까지 연장된다. 분사구(7)의 제 2 분사구 섹션(7")의 외부 벽 영역으로 경사져 기울어진 베이스 영역(42)의 전이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에지(41)의 평면에 놓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필수 조건은 아니다.
이상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윤곽들은 초단 펄스 레이저 드릴링(ultrashort-laser drilling)에 의해 경제적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다른 방식으로 배치된 분사구(7), 및 내부로 개방되는 다수 홀 연료 분사 밸브(1)의 임의의 구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
1 분사 밸브
3 밸브 부품
4 밸브 폐쇄 바디
5 밸브 시트 바디
6 밸브 시트 면
7 분사구
7' 제 1 분사구 섹션
7" 제 2 분사구 섹션
10, 13, 20 액추에이터
41 분리 에지
42 베이스 영역

Claims (8)

  1. 분사 밸브(1), 특히 내연기관의 연료 분사 시스템용 연료 분사 밸브로서, 상기 분사 밸브는 액추에이터(10, 13, 20), 이동 가능한 밸브 부품(3), 밸브 시트 면(6)과 함께 밀봉 시트를 형성하는 밸브 폐쇄 바디(4), 및 상기 밸브 시트 면(6)의 하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7)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7)는 개구 폭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상류 측 제 1 분사구 섹션(7'), 및 상기 제 1 분사구 섹션(7')의 개구 폭보다 큰 개구 폭을 가진 하류 측 제 2 분사구 섹션(7")을 포함하는,
    분사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사구 섹션(7')과 상기 제 2 분사구 섹션(7") 사이의 전이부에서 분리 에지(41)는, 상기 분리 에지(41)에서 상기 분사구(7)의 완전한 개방 각(α)이 전체 분리 에지(41)에 걸쳐 > 270°이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분리 에지(41)가 배치된 전이 평면의 후방으로 후퇴한 베이스 영역(42)은 상기 분리 에지(41)로부터 상기 분사구(7)의 상기 제 2 분사구 섹션(7")의 베이스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에지(41)로부터 방사방향 외부로 후퇴한 상기 베이스 영역(42)은 경사져 기울어지고 편평하게 연장하므로, 가장 깊게 후퇴한 링 영역이 상기 분사구(7)의 상기 제 2 분사구 섹션(7")의 외부 벽 영역 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에지(41)로부터 방사방향 외부로 후퇴한 상기 베이스 영역(42)은 오목하게 휘어져 연장하고, 가장 깊게 후퇴한 링 영역은 상기 분사구(7)의 상기 제 2 분사구 섹션(7")의 외부 벽 영역 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밸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에지(41)로부터 방사방향 외부로 후퇴한 상기 베이스 영역(42)은, 상기 분사구(7)의 상기 제 2 분사구 섹션(7")의 외부 벽 영역과 동일한 평면으로 연장하지 않는, 가장 깊은 지점까지 기울어져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밸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깊은 지점으로부터 추가의 편평하고 경사져 기울어진 베이스 영역(42)이 다른 경사 방향으로 상기 분사구(7)의 상기 제 2 분사구 섹션(7")의 외부 벽 영역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밸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7)의 윤곽은 초단 펄스 레이저 드릴링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밸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7)를 포함하는 상기 밸브 부품은 밸브 시트 바디(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밸브.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 내지 20개의 분사구(7)가 상기 밸브 부품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밸브.
KR1020157013916A 2012-11-28 2013-10-01 분사 밸브 KR1021124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21713.4A DE102012221713A1 (de) 2012-11-28 2012-11-28 Einspritzventil
DE102012221713.4 2012-11-28
PCT/EP2013/070405 WO2014082774A1 (de) 2012-11-28 2013-10-01 Einspritzvent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260A true KR20150088260A (ko) 2015-07-31
KR102112492B1 KR102112492B1 (ko) 2020-05-19

Family

ID=49304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916A KR102112492B1 (ko) 2012-11-28 2013-10-01 분사 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06437B2 (ko)
EP (1) EP2925998B1 (ko)
KR (1) KR102112492B1 (ko)
DE (1) DE102012221713A1 (ko)
WO (1) WO20140827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4618A (ja) * 2014-05-29 2015-1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噴射弁
JP5969564B2 (ja) * 2014-10-01 2016-08-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噴射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1958A (en) * 1996-02-14 1999-03-16 Kyoritsu Gokin Mfg. Co., Ltd. Fluid discharge nozzle
US7234654B2 (en) * 2003-06-04 2007-06-26 Robert Bosch Gmbh Fuel injector
JP2007177766A (ja) * 2005-12-28 2007-07-12 Toyota Motor Corp 燃料噴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415512A (fr) 1910-05-04 1910-09-28 Ets Delaunay Belleville Sa Pulvérisateur de mazout ou de tout autre combustible liquide pour le chauffage des chaudières
DE19636396B4 (de) 1996-09-07 2005-03-10 Bosch Gmbh Robert Brennstoffeinspritzventil
JP3323429B2 (ja) 1997-11-19 2002-09-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用燃料噴射弁
DE19937961A1 (de) 1999-08-11 2001-02-15 Bosch Gmbh Robert Brennstoffeinspritzventi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ustrittsöffnungen an Ventilen
DE10307931A1 (de) * 2003-02-25 2004-10-28 Robert Bosch Gmbh Brennstoffeinspritzventil
DE102006051327A1 (de) * 2006-10-31 2008-05-08 Robert Bosch Gmbh Brennstoffeinspritzventil
JP4610631B2 (ja) * 2008-05-01 2011-01-12 三菱電機株式会社 燃料噴射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1958A (en) * 1996-02-14 1999-03-16 Kyoritsu Gokin Mfg. Co., Ltd. Fluid discharge nozzle
US7234654B2 (en) * 2003-06-04 2007-06-26 Robert Bosch Gmbh Fuel injector
JP2007177766A (ja) * 2005-12-28 2007-07-12 Toyota Motor Corp 燃料噴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06437B2 (en) 2016-11-29
KR102112492B1 (ko) 2020-05-19
WO2014082774A1 (de) 2014-06-05
EP2925998B1 (de) 2016-09-14
US20150300304A1 (en) 2015-10-22
EP2925998A1 (de) 2015-10-07
DE102012221713A1 (de)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1767B1 (ko) 연료 분사 밸브
US9803606B2 (en) Fuel injector and method for forming spray-discharge openings
US8313048B2 (en) Fuel injector
EP2436910B1 (en) Valve assembly for an injection valve and injection valve
JP6254701B2 (ja) 燃料噴射弁
KR101286437B1 (ko) 가스 연료용 분사 밸브
JP4306656B2 (ja) 燃料噴射弁
JP4883102B2 (ja) 燃料噴射ノズル
KR101759472B1 (ko) 밸브 조립체 및 분사 밸브
KR20150088260A (ko) 분사 밸브
JP2004504531A (ja) 燃料噴射弁
KR101869148B1 (ko) 가이드 부재를 갖는 밸브 조립체
WO2014196344A1 (ja) 燃料噴射弁
CN109715935A (zh) 流体喷射器和用于流体喷射器的针
US7234654B2 (en) Fuel injector
US6824085B2 (en) Fuel injector
KR101949061B1 (ko) 유체 분사용 인젝터
KR20180096656A (ko) 연료 분사 밸브
US6921036B2 (en) Fuel injection valve
JP3930012B2 (ja) 燃料噴射弁
CN111989480B (zh) 燃料喷射阀
JP3816875B2 (ja) 燃料噴射弁
WO2007043820A1 (en) The injection nozzle structure of injector
KR102615468B1 (ko) 연료 분사기의 제어 밸브 장치
KR20030013519A (ko) 연료 분사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