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8143A - 완구 블록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 - Google Patents

완구 블록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8143A
KR20150088143A KR1020140008591A KR20140008591A KR20150088143A KR 20150088143 A KR20150088143 A KR 20150088143A KR 1020140008591 A KR1020140008591 A KR 1020140008591A KR 20140008591 A KR20140008591 A KR 20140008591A KR 20150088143 A KR20150088143 A KR 20150088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engaging
toy
hol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강빈
Original Assignee
시스매트릭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스매트릭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스매트릭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8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8143A/ko
Priority to PCT/KR2014/009777 priority patent/WO2015111823A1/ko
Priority to CN201480074032.4A priority patent/CN105980024A/zh
Priority to US15/113,885 priority patent/US20160346708A1/en
Publication of KR20150088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hol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완구 블록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은, 블록 결합 완구에 마련되어 블록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구조로서, 결합 돌기와,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을 포함하고, 결합홀의 내면은, 결합 돌기의 외주면과 깊이 방향으로 선접촉할 수 있는 평면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완구 블록들 간의 결합력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완구 블록의 불량 발생을 줄이고, 완구 블록들 간에 균일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완구 블록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완구 블록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TOY BLOCK COUPLING STRUCTURE AND TOY BLOCK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완구 블록 결합 구조 및 완구 블록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완구 블록을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에 관한 것이다.
유아 또는 어린이의 조기 교육 및 창의성 개발을 위해, 다양한 형상의 블록을 조립하여 건물 형태 또는 동물 형태의 구조체를 만들 수 있는 블록 완구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조립식 블록 완구는 여러가지 형상의 단위 블록들을 유아 또는 어린이가 직접 결합 및 해체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로써, 조작자의 흥미를 유발시킴과 동시에 구조체를 완성하였을 때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 또는 어린이의 창의력과 지능을 발달시키게 된다.
여기서, 완구 블록들을 조립 및 해체하기 위해서는, 완구 블록들이 조립된 상태에서 일정한 결합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각 완구 블록들 간의 일정한 결합력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결합 구조가 각 완구 블록에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하나의 완구 블록에 형성된 돌기와 다른 완구 블록에 형성된 홀을 결합시키도록 하는 결합 구조가 완구 블록에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결합 구조는, 돌기가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기의 외면과 홀의 내면 전체가 마찰력에 의해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완구 블록에 형성되는 돌기 및 홀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제조 공정상 곤란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완구 블록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완구 블록의 성형 과정에서 플라스틱의 수축 내지 왜곡으로 돌기 및 홀이 목표로 하는 크기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제조 공정상의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돌기가 홀에 끼워지지 않거나 끼워지더라도 결합력이 유지되지 않게 되어, 제품의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제품의 불량을 줄이고자, 완구 블록 간의 결합력을 완구 블록 내 또는 표면에 구비되는 자석을 이용하여 유지하거나 각 완구 블록에 각각 결합되는 별도의 피스로 유지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완구 블록의 제조 단가가 증가하고 완구 블록의 조립에 필요한 부품수(결합 피스)가 증가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133356호 (2013. 12. 09.)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완구 블록이 조립되었을 때, 완구 블록들 간의 결합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완구 블록의 불량 발생을 줄이고, 완구 블록들 간에 균일한 결합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완구 블록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 결합 구조는, 블록 결합 완구에 마련되어 블록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구조로서, 결합 돌기와,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을 포함하고, 결합홀의 내면은, 결합 돌기의 외주면과 깊이 방향으로 선접촉할 수 있는 평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 돌기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결합홀의 내면은 둘레를 따라 원호부와 평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원호부와 평면부는 결합홀의 깊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원호부와 평면부는 둘레를 따라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평면부는 2개 이상 마련되고, 결합홀의 내면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각도만큼 각도 이격되어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한 각도는 90도이며, 평면부는 결합홀의 내면의 둘레를 따라 4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평면부는 결합홀의 깊이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결합홀의 내면의 평면부는 결합홀의 외측단으로부터 결합홀의 깊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외측단과 평면부의 깊이 방향의 사이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는 결합 돌기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완구 블록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은, 곡면 및 평면의 조합으로 외면이 형성되고, 외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상기 완구 블록 결합 구조의 결합홀 및 결합 돌기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 결합 구조는 완구 블록들 간의 결합력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완구 블록의 불량 발생을 줄이고, 완구 블록들 간에 균일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완구 블록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 결합 구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 결합 구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 및 결합홀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 결합 구조가 채용된 완구 블록들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 결합 구조(100)의 결합 전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 결합 구조(10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 결합 구조(100)는, 블록을 결합시키는 방식의 완구에서 블록을 서로 결합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 1 블록(1)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돌기(10)가 제 2 블록(2)의 결합홀(20)에 삽입되면서 서로 결합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결합 돌기(10)는 결합홀(20)에 끼워 맞춤되면서 소정 힘 이상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결합 돌기(10)와 결합홀(20)은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써, 제 1 블록(1)과 제 2 블록(2)은 결합된 상태에 있게 된다. 반대로, 제 1 블록(1)과 제 2 블록(2)을 분리시키기 위해 소정 힘 이상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제 1 블록(1)과 제 2 블록(2)은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블록(1, 2) 간의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며 다양한 형태의 블록(1, 2) 결합체를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소정 힘”이란, 블록(1, 2)을 조작하는 사람, 예를 들어, 어린이 또는 유아의 손에서 작용 가능한 힘일 수 있으며, 이로써 다양한 블록(1, 2) 결합체가 완구로써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 1 블록(1) 및 제 2 블록(2)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기(10)는 제 1 블록(1)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중공부(H)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기(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 돌기(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오각, 육각 등의 다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결합 돌기(10)는 제 2 블록(2)의 결합홀(20)에 끼워져 후술할 결합홀(20) 내면의 평면부(30)와 선접촉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면 되고, 그 구체적인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한편, 결합 돌기(10)의 단부 외주에는 테이퍼부(T)가 형성될 수 있다. 테이퍼부(T)는 결합 돌기(10)의 단부가 날카롭지 않게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 결합 구조 및 완구 블록을 조작하는 사람이 다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결합 돌기(10)가 결합홀(20) 내로 삽입될 때, 결합홀(20)로의 삽입 초기에 결합 돌기(10)의 초기 위치 결정이 보다 용이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테이퍼부(T)는 평면의 형상뿐만 아니라 곡면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 1 블록(1)의 결합 돌기(10)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2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결합홀(20)은 결합 돌기(10)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내면은 결합 돌기(도 1 및 2의 10)의 외주면이 선접촉할 수 있는 평면부(30)를 포함한다.
평면부(30)를 포함하는 결합홀(20)의 내부 공간(S)으로 삽입되는 결합 돌기(10)는 평면부(30)에 접촉함으로써 결합홀(20)에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이러한 결합 돌기(10)의 외주면과 결합홀(20) 내면은 결합홀(20)의 깊이 방향으로 선접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결합홀(20)의 내부(S)에 결합 돌기(10)가 위치할 때, 결합홀(20)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결합홀(20)의 내면은 결합홀(20)의 평면부(30)가 되며, 결합 돌기(20)가 이러한 평면부(30)와 선으로 접촉하게 되면서 결합 돌기(10)와 결합홀(20)이 접촉되어 결합되게 된다. 이로써, 결합 돌기(10)의 외주면과 평면부(30)의 마찰력에 의하여 결합 돌기(10)는 결합홀(20) 내에서 소정 힘 이상이 작용하지 않는 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평면부(30)는 결합홀(20)내에서 결합홀(20) 내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홀(20) 내면을 형성할 때(예를 들어, 사출 성형 등의 방법으로 형성할 때)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홀(20)의 내면에서 이러한 평면부(30)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은 원호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호부(40)일 수 있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홀(20)의 내면에는 평면부(30)와 원호부(40)가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홀(20) 내면의 평면부(30)가 결합홀(20)의 내면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각도만큼 각도 이격되어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평면부(30)가 결합홀(20)의 깊이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결합 돌기(10)가 결합홀(20)에 결합될 때, 결합 돌기(10)와 결합홀(20) 사이의 결합력이 대칭적으로 작용할 수 있어, 결합 돌기(10)와 결합홀(20)의 결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일정한 각도가 90도로 되어 평면부(30)가 결합홀(20)의 내면의 둘레를 따라 4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결합홀(20)의 내부에서 결합 돌기(10)가 사각 기둥 형상의 홀에 결합되는 것과 같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평면부(30)는 결합홀(20)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어, 결합돌기(10)의 외주면과 평면부(30)의 깊이 방향으로의 선접촉이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홀(20)의 내면에 평면부(30)를 마련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 결합 구조(100)는 결합 돌기(10)와 결합홀(20)의 동일한 조립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완구 블록(1, 2)은 그 형상이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그 결합 및 분리가 매우 빈번하게 이루어지며 조작되는데, 각 완구 블록(1, 2)의 형상마다 별도의 금형으로 성형되어 제작되므로 각 완구 블록(1, 2) 마다의 성형 오차로 동일한 조립감을 확보하기는 곤란한 경우가 많다. 나아가, 이러한 조립감뿐만 아니라, 성형 오차로 인하여 완구 블록(1, 2)에 따라 일부 완구 블록(1, 2)의 결합이 헐거워 쉽게 이탈되어 버리거나 결합이 잘 되지 않는 경우까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 결합 구조(100)에서는, 결합홀(20) 내면에 평면부(30)를 마련하고 결합 돌기(10)의 외주부가 평면부(30)와 선접촉을 이룰 수 있게 됨으로써, 결합 돌기(10)의 외주부가 선접촉을 이룰 수 있는 부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평면부(30)가 넓은 부분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고 있어, 상술한 조립감 및 결합력을 안정적이고 동일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완구 블록을 사출 성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결합홀(20) 내면에 평면부(30) 마련함으로써 금형의 수정 및 사출 성형의 안정화를 신속히 이룰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결합홀(20) 내면의 둘레를 따라 평면부(30)가 4개 마련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평면부(30)가 4개 초과 또는 4개 미만의 개수로 마련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완구 블록에 있어서, 결합 돌기가 결합홀 내에서 선접촉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결합 돌기의 외주면 또는 결합홀의 내주면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완구 블록을 금형에 사출 성형하는 방법으로 제작하게 되면, 금형의 돌출부 부분에서 치수 오차가 발생하거나 성형 과정에서 돌출부에 변형 또는 왜곡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경우, 완구 블록의 결합 돌기와 결합홀이 안정적으로 결합되지 않게 될 수 있다.
나아가, 결합 돌기는 결합홀과 선접촉을 이루며 결합되게 되므로, 어떠한 부분에 문제가 발생하는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결합홀의 돌출부에 대한 점검 및 수정이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결합 돌기 또는 결합홀의 돌출부, 특히 결합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의 경우, 그 치수 등을 측정하기 위한 마땅한 측정 도구가 없어 문제되는 부분을 찾아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찾아내었다고 하더라도 그 수정이 정밀하게 이루어지기 매우 어렵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 결합 구조(100)의 경우, 결합 돌기(10)와 선접촉하는 결합홀(20)의 부분이, 결합홀(20)의 내면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평면부(30)가 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기(10)가 결합되는 결합홀(20)의 부분이 평면 형상을 갖는 평면부(30)이므로, 사출 성형 과정에서 평면부(30) 변형 또는 왜곡이 발생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사 문제가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평면부(30) 사이의 거리, 예를 들어, 도 4에서 30a와 30c 사이의 거리 및 30b와 30d 사이의 거리를 금형 또는 결합홀(20)에서 일반 계측기로 용이하게 측정함으로써, 문제되는 부분을 발견하기가 쉬워진다. 나아가, 평면부(30)에 대응하는 금형의 부분을 수정함으로써, 문제의 수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금형의 수정 및 사출 성형의 안정화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이 뿐만 아니라, 평면부(30)의 반대측에는 홀부(도 4에서 평면부(30a, 30b, 30c, 30d)의 반대면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부는, 결합 돌기(10)가 결합홀(20)에 삽입되어 평면부(30)와 선접촉을 이룰 때, 결합 돌기(10)의 가압에 의해 평면부(30)에 일부 변형이 있더라도 이를 완충시킴과 동시에 결합 돌기(10)와 결합홀(20)의 안정적인 결합을 담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1, 2)이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경우, 결합 돌기(10)가 결합홀(20) 내로 삽입되었을 때, 평면부(30)가 미소하게 홀부 내측으로 휘면서 결합 돌기(10)의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 결합 구조(100)에서, 결합홀(20)의 단부에는 가이드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50)는 결합홀(20)의 외측단으로부터 결합홀(20)의 깊이 방향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며, 결합홀(20)의 외측단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20)의 평면부(30)는 가이드부(50)의 깊이 방향 단부로부터 형성되어, 결합홀(20)의 외측단으로부터 결합홀(20)의 깊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50), 결합 돌기(10)가 모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가이드부(50)는 결합홀(20)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평면부(30)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홀(20) 내주면의 반경 방향 최소 내경, 즉, 결합 돌기(1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미소량 작게 형성되어 결합 돌기(10)의 외주부가 선접촉하게 되는 평면부(30)가 형성하는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나아가, 가이드부(50)는 결합홀(20)의 외측단으로부터 결합홀(20)의 깊이 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들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50)의 내경은 선형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오목한 곡선을 형성하면서 줄어들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오목한 곡선은 반경 0.2 ~0.3 mm의 라운딩(round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50)는 결합 돌기(10)가 결합홀(20) 내로 삽입되기 위하여 진입할 때, 결합홀(20) 내측으로 결합 돌기(1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가이드부(50)가 형성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결합 돌기(10)를 결합홀(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나아가, 결합 돌기(10)가 결합홀(20) 내로 삽입되기 위하여 진입할 때, 결합 돌기(10)의 결합홀(20) 내의 초기 진입 저항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 돌기(10)의 결합홀(20) 측 단부 둘레를 테이퍼지도록(예를 들어, 결합 돌기(10)의 단부에 길이방향 0.5 mm 구간에서 0.2 mm 내측으로 테이퍼지도록) 테이퍼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로써, 결합 돌기(10)의 결합홀(20) 내로의 초기 진입 저항을 더 완화시킬 수 있다.
즉, 결합 돌기(10) 및 결합홀(2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상이하기는 하나, 예를 들어, 결합 돌기(10)가 결합홀(20) 내로 진입할 때, 결합 돌기(10)의 진입 방향과 결합홀(20)의 중심축 방향은 소정 각도(예를 들어, 21.8도)를 이루는 경우 초기 진입 저항이 가장 작다. 이 때, 결합 돌기(10)에 테이퍼부를 마련하고 결합홀(20)에 가이드부(50)를 마련함으로써, 결합 돌기(10)가 결합홀(20)의 단부에서 용이하게 초기 위치 결정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조작자에 의하여 결합 돌기(10)에 가해지는 힘이 정방향으로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예를 들어, 도 5(a) 내지 5(s)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 결합 구조(100)는 곡면 및 평면의 조합으로 외면이 형성되는 다양한 완구 블록(20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완구 블록(200)의 외면에 완구 블록 결합 구조(100)의 결합 돌기(10) 및 결합홀(20)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완구 블록(200) 간의 다양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결합을 통해 완구 블록(200)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다양한 형상의 구조체를 만들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완구 블록(200)의 외면 중 일 면에 완구 블록 결합 구조(100)의 결합 돌기(10) 및 결합홀(20)이 모두 형성되어, 다른 완구 블록(200)의 결합홀(20) 및 결합 돌기(10)와 각각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로써, 완구 블록(200)의 결합을 통한 구조체를 더욱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제 1 블록
2: 제 2 블록
10: 결합 돌기
20: 결합홀
30, 30a, 30b, 30c, 30d: 평면부
40: 원호부
50: 가이드부
100: 완구 블록 결합 구조
T: 테이퍼부

Claims (10)

  1. 블록 결합 완구에 마련되어 블록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구조로서,
    결합 돌기와,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의 내면은, 상기 결합 돌기의 외주면과 깊이 방향으로 선접촉할 수 있는 평면부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 결합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의 내면은 둘레를 따라 원호부와 상기 평면부가 형성되는, 완구 블록 결합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원호부와 상기 평면부는 상기 결합홀의 깊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완구 블록 결합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원호부와 상기 평면부는 상기 둘레를 따라 번갈아 형성되는, 완구 블록 결합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는 2개 이상 마련되고, 상기 결합홀의 상기 내면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각도만큼 각도 이격되어 대칭으로 형성되는, 완구 블록 결합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각도는 90도이며, 상기 평면부는 상기 결합홀의 상기 내면의 상기 둘레를 따라 4개 형성되는, 완구 블록 결합 구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평면부는 상기 결합홀의 깊이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완구 블록 결합 구조.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의 내면의 상기 평면부는 상기 결합홀의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결합홀의 깊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측단과 상기 평면부의 상기 깊이 방향의 사이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완구 블록 결합 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결합 돌기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완구 블록 결합 구조.
  10. 곡면 및 평면의 조합으로 외면이 형성되는 완구 블록으로서,
    상기 외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상기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완구 블록 결합 구조의 결합홀 및 결합 돌기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완구 블록.
KR1020140008591A 2014-01-23 2014-01-23 완구 블록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 KR2015008814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591A KR20150088143A (ko) 2014-01-23 2014-01-23 완구 블록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
PCT/KR2014/009777 WO2015111823A1 (ko) 2014-01-23 2014-10-17 완구 블록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
CN201480074032.4A CN105980024A (zh) 2014-01-23 2014-10-17 玩具块结合结构以及包括此的玩具块
US15/113,885 US20160346708A1 (en) 2014-01-23 2014-10-17 Toy block coupling structure and toy block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591A KR20150088143A (ko) 2014-01-23 2014-01-23 완구 블록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143A true KR20150088143A (ko) 2015-07-31

Family

ID=5387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591A KR20150088143A (ko) 2014-01-23 2014-01-23 완구 블록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814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801B1 (ko) * 2015-09-24 2017-02-28 (주)나비북스 조립식 완구블록
WO2017065402A1 (ko) * 2015-10-12 2017-04-20 주식회사 끄레블코리아 조립식 완구블럭
KR20180032872A (ko) * 2016-09-23 2018-04-0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조립식 블록 완구 및 조립식 블록 완구 조립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801B1 (ko) * 2015-09-24 2017-02-28 (주)나비북스 조립식 완구블록
WO2017065402A1 (ko) * 2015-10-12 2017-04-20 주식회사 끄레블코리아 조립식 완구블럭
US10343080B2 (en) 2015-10-12 2019-07-09 Crevel Korea Co., Ltd. Assembling toy block
KR20180032872A (ko) * 2016-09-23 2018-04-0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조립식 블록 완구 및 조립식 블록 완구 조립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46708A1 (en) Toy block coupling structure and toy block comprising same
US9333438B2 (en) Block studying tool for infant
US20200353375A1 (en) Magnetic plate toy
US11577176B2 (en) Splicing structure
KR20150088143A (ko) 완구 블록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
KR20150145829A (ko) 완구 블록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
JP2010540001A (ja) 組立玩具用チューブ連結体
US20180369707A1 (en) Assembly Block
US20170151506A1 (en) Large assembly block for toys
EP2609974B1 (en) Assembled toy
US20180250605A1 (en) Assembly toy
KR101959614B1 (ko) 치매예방방법 학습용 다각형 연결부재 교구
KR101250530B1 (ko) 블록교구
KR101385989B1 (ko) 조립식 블록 완구
KR100795608B1 (ko) 조립식 완구의 결합부재
KR101039011B1 (ko) 어린이 학습교구용 흡착 조립식 블록
KR20110009631U (ko) 조립완구용 블럭
KR102185526B1 (ko) 두 개의 셸 부분을 포함하는 구조물
KR20160118520A (ko) 자석완구
KR20170127791A (ko) 조립식 블록
KR20100135125A (ko) 자석 블록완구
JP4961976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654144B1 (ko) 막대 자석블록
KR101898337B1 (ko) 조립식 블럭
KR20160015024A (ko) 유아용 블록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