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608B1 - 조립식 완구의 결합부재 - Google Patents

조립식 완구의 결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608B1
KR100795608B1 KR1020070038776A KR20070038776A KR100795608B1 KR 100795608 B1 KR100795608 B1 KR 100795608B1 KR 1020070038776 A KR1020070038776 A KR 1020070038776A KR 20070038776 A KR20070038776 A KR 20070038776A KR 100795608 B1 KR100795608 B1 KR 100795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haft
coupling member
fastening pi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7531A (ko
Inventor
이태성
Original Assignee
제일과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과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과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8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608B1/ko
Publication of KR20070087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5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grooves, e.g. dovetai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완구의 결합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조립식 완구에서 부품과 부품을 서로 조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결합부재는 대부분 볼트,너트 등을 사용하고, 이들은 체결공구를 사용하여야 체결 가능한 것이므로 많은 결합부재를 사용할 경우 그만큼 완구를 조립 및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는 것이고, 특히 어린이들이 체결공구를 사용하는 도중 약간만 부주의하면 체결공구에 의해 쉽게 다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립식 완구의 부품(100)과 부품(200)을 조립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샤프트(310)의 일측에는 머리부(312)가 형성되고, 샤프트(310)의 외표면 끝단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된 한쌍의 걸림홈(311)이 형성된 체결핀(300)과; 양쪽 절결부(411)에 의해 텐션력이 부여된 지지부(410)를 한쪽면에 구비하되 지지부(410)의 중앙에는 상기 샤프트(310)가 끼워지는 끼움공(413)을 관통시켜 형성하고, 지지부(410)의 선단 내면에는 상기 걸림홈(311)에 끼워지는 걸림턱(412)이 형성된 캡(40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부품(100)과 부품(200)에 체결핀(300)을 관통되게 한후 상기 체결핀(300)의 끝단에 캡(400)을 끼워 캡(400)의 지지부(410)에 형성된 걸림턱(412)이 체결핀(300)의 샤프트(310)에 형성된 걸림홈(311)에 걸리도록 하므로서 캡(400)이 체결핀(300)에서 고정되는 것이고, 캡(400)을 돌리기만 하면 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결합부재는 별도의 체결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체결 및 분리할 수 있어 그만 큼 완구의 조립 및 분해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체결공구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체결공구에 의해 다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조립식 완구,결합부재,체결핀,샤프트,걸림홈,캡,지지부,걸림턱

Description

조립식 완구의 결합부재{Joining parfs of an assembly toy}
도 1 은 본 발명이 실시된 결합부재를 예시한 분리사시도
도 2a,2b는 도 1 의 결합사시도로서 도2a는 체결핀에 끼워진 캡을 고정시키기 전이고, 도2b는 캡을 고정시킨 상태이다.
도3a,3b는 본 발명이 실시된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완구의 부품과 부품을 서로 결합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로서 도3b는 체결핀에 끼워진 캡을 고정시키기 전이고, 도3b는 캡을 고정시킨 것이다.
도4a,4b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의 다른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로서 도4a는 캡이 고정되기전이고, 도4b는 캡이 고정된 이후이다.
도 5a,5b는 본 발명에서 샤프트형상이 다각형으로 구성된 체결핀을 이용하여 부품과 부품을 결합하는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5a는 결합되기 전이고, 도5b는 결합된 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완구를 조립한 상태의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 부품 300 : 체결핀
310 : 샤프트 311 : 걸림홈
312 : 머리부 400 : 캡
410 : 지지부 411 : 절결부
412 : 걸림턱 413 : 끼움공
500 : 부싱
본 발명은 조립식 완구의 결합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부품과 부품을 서로 조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결합부재를 체결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체결하고, 체결공구 없이 분리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완구의 조립 및 분해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체결공구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조립 및 분해하는 도중 체결공구에 의한 부상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완구의 결합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완구는 어린이의 무한한 잠재력을 일깨우고, 자유로운 상상의 세계를 실현할 수 있는 교육완구로서 재미있게 놀이하면서 과학물리의 원리를 배울수 있게 한 것이다.
이에따라 근래에는 2,3세의 어린이들은 토막쌓기, 끼어맞추기, 그림맞추기, 점토놀이, 수수깡 등으로 여러모양 만들기를 하고 있으며, 6세이상의 어린이들은 자동차나 로봇, 모형비행기, 건축물 등의 형태를 모방한 난이도가 높은 조립식 완구를 많이 사용한다.
그런데 상기의 조립식 완구는 여러가지 다수의 부품을 이용하여 비행기와 자동차 등의 탑승물과 로봇, 조형물 등을 제작하고 간단한 기계의 작동원리를 이해하며 응용하도록 다수의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조립식 완구는 개별적으로는 완구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다수의 부품들을 서로 결합하여야 만이 비로소 완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인데, 종래에는 완구를 조립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조립식 완구는 다수의 부품들을 서로 조립하여야 완성되는 것이므로 그 부품들을 서로 조립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결합부재가 필요한 것인데 종래에는 결합부재로서 통상의 볼트와 너트를 사용함에 따라 별도의 드라이버나 스패너 등의 체결공구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별도의 체결공구를 이용하여 많은 결합부재를 일일이 체결하여야 하므로 완구를 조립하여 완성하는데 그만큼 시간이 많이 걸려 인내심이 부족한 어린아이들의 경우에는 중도에서 포기하는 경우가 허다하였으며, 또한 체결공구를 사용하게 되면 약간만 부주의할 경우 체결공구에 의해 쉽게 다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과 부품을 서로 조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결합부재를 별도의 체결공구 없이도 체결할 수 있음에 따라 완구를 조립 및 분해하기 위한 시 간이 단축되어 인내심이 부족한 어린이의 경우에도 쉽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체결공구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체결공구에 의해 다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완구의 결합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 완구의 부품과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샤프트의 일측에는 머리부가 형성되고, 샤프트의 외표면 끝단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된 한쌍의 걸림홈이 형성된 체결핀과 양쪽 절결부에 의해 텐션력이 부여된 지지부를 한쪽면에 구비하되 지지부의 중앙에는 상기 샤프트가 끼워지는 끼움공을 관통시켜 형성하고, 지지부의 선단 내면에는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걸림턱이 형성된 캡으로 구성하므로서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이 실시된 결합부재를 예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a,2b는 도 1 의 결합사시도로서 도2a는 체결핀에 끼워진 캡을 고정시키기 전이고, 도2b 캡을 고정시킨 상태이며, 도3a,3b는 본 발명이 실시된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완구의 부품과 부품을 서로 결합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로서 도3b는 체결핀에 끼워진 캡을 고정시키기 전이고, 도3b는 캡을 고정시킨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조립식 완구의 부품(100)과 부품(200)을 조립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샤프트(310)의 일측에는 머리부(312)가 형성되고, 샤프 트(310)의 외표면 끝단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된 한쌍의 걸림홈(311)이 형성된 체결핀(300)과; 양쪽 절결부(411)에 의해 텐션력이 부여된 지지부(410)를 한쪽면에 구비하되 지지부(410)의 중앙에는 상기 샤프트(310)가 끼워지는 끼움공(413)을 관통시켜 형성하고, 지지부(410)의 선단 내면에는 상기 걸림홈(311)에 끼워지는 걸림턱(412)이 형성된 캡(4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500)은 부품과 부품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기위한 부싱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조립식 완구에서 부품(100)과 부품(200)을 서로 조립하기 위해 결합부재를 사용토록 하는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결합부재를 변형시켜 체결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결합부재를 체결할 수있음에 따라 그만큼 완구의 조립시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체결공구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체결공구에 의한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결합부재는 도 1에서와 같이 일측에 머리부(312)가 형성된 샤프트(310)의 외표면에 한쌍의 걸림홈(311)이 형성된 체결핀(300)과 양쪽의 절결부(411)에 의해 텐션력을 갖는 지지부(410)가 한쪽면에 형성된 캡(4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핀(300)과 캡(400)의 결합은 도 2a,2b에서와 같이 캡(400)을 체결핀(300)의 샤프트(310)에 끼우는데 상기 캡(400)에는 절결부(411)에 의해 텐션력이 부여된 지지부(41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샤프트(310)의 끝단이 밀고 들어오면 상기 지지부(410)는 약간 벌어지게 되는 것이고, 이후 캡(400)을 회전시키면 캡(400)이 고정되어 체결핀(300)에서 분리되지 않는 것이다.
즉, 체결핀(300)과 캡(400)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부품(100)과 부품(200)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도3a,3b를 통하여 살펴보면 우선 체결핀(300)의 샤프트(310)를 부품(100)의 끼움공(도면중 미설명)에 끼운후 체결핀(300)을 전진시켜 머리부(312)가 부품(100)에 밀착되도록 한후 돌출된 샤프트(310)에는 부싱(500)을 끼우고, 상기 부싱(500)을 통해 돌출된 샤프트(310)에는 다시 부품(200)이 끼워지도록 한다.
이처럼 체결핀(300)을 부품(100)과 부싱(500)그리고 부품(200)에 차례로 관통되게 끼운준 이후에는 체결핀(300)이 이탈되지 않도록 샤프트(310)에 캡(400)을 끼워주는데 상기 캡(400)에는 절결부(411)에 의해 텐션력이 부여된 한쌍의 지지부(4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410)의 중앙에는 끼움공(41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캡(400)을 체결핀(300)에 결합시에는 체결핀(300)의 샤프트(310)가 끼움공(413)속으로 들어오도록 캡(400)을 밀어주는데 이때 상기 지지부(410)는 샤프트(310)가 밀고 들어옴에 따라 자체 탄성력에 의해 벌어져 샤프트(310)가 쉽게 끼움공(413)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렇게 캡(400)을 체결핀(300)의 샤프트(310)에 끼워준 이후에는 캡(400)을 회전시키는데 즉, 상기 샤프트(310)에는 걸림홈(311)이 형성되어 있고, 캡(400)의 지지부(410)내측에는 걸림턱(41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캡(400)을 샤프트(310)에 끼울때 지지부(410)와 걸림홈(311)이 서로 일직선상에 놓이지 않은 상태에서 캡(400)을 끼워줄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410)에 형성된 걸림턱(412)과 샤프트(310) 에 형성된 걸림홈(311)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캡(400)을 밀어준다.
이후 캡(400)을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지지부(410)에 형성된 걸림턱(412)이 걸림홈(311)과 일치되면 벌어졌던 지지부(410)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상기 걸림턱(412)이 걸림홈(311)속으로 들어가 걸리므로서 캡(400)이 체결핀(300)에 고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본 발명의 결합부재는 종전처럼 체결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캡(400)을 체결핀(300)에 끼울시 캡(400)에 형성된 지지부(410)와 체결핀(300)의 샤프트(310)에 형성된 걸림홈(311)이 서로 일직선상에 놓여지게 한 상태에서 캡(400)을 끼우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에는 캡(400)을 회전시키지 않고서도 지지부(410)에 형성된 걸림턱(412)이 바로 걸림홈(311)속으로 들어가 걸리게 된다.
그리고 조립식 완구는 조립한후 분해하는 작업을 반복하게 되는데 즉, 부품(100)과 부품(200)을 서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캡(400)을 결합핀(300)에서 이탈시켜야 하는데 상기 캡(400)의 지지부(410)에 형성된 걸림턱(412)이 체결핀(300)의 샤프트(310)에 형성된 걸림홈(311)속에 들어가 걸려있는 상태이므로 그대로는 캡(400)이 빠지지 않기 때문에 이때에는 캡(400)을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턱(412)이 걸림홈(311)의 측면으로 빠져나오도록 한후 캡(400)을 잡아 당기면 캡(400)은 체결핀(300)에서 쉽게 이탈되면서 부품(100)과 부품(200)이 분리되는 것이므로 이역시 체결공구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조립된 완구를 분해하는 시간이 그만큼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결합부재는 도4a,4b에서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서 체결핀(300)의 샤프트(310)외표면에 형성되는 걸림홈(311)을 다단으로 형성하므로서 부품(100)과 부품(200)의 간격을 가깝게 조립할 경우에는 다수의 걸림홈(311)중 가장 앞쪽에 위치한 걸림홈(311)에 캡(400)의 걸림턱(412)이 걸리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부품(100)과 부품(200)의 간격을 벌려서 조립할 경우에는 다수의 걸림홈(311)중 뒤쪽에 위치한 걸림홈(311)에 걸림턱(412)이 걸리도록 하면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결합부재는 하나의 결합부재로 부품(100)과 부품(200)의 간격을 가깝게 또는 이보다 더 떨어진 상태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조립식 완구는 조립이 끝난후 어느부위는 회전되어야 하고, 어느 부위는 고정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의 체결핀(300)은 샤프트(310)의 외주면 전체 형상을 원형이나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자동차 모양을 가진 완구를 조립할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면 차체에 조립되는 바퀴의 경우에는 조립된후 회전될 수 있어야 하고, 지붕의 경우에는 차체에 조립된후 회전되면 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체와 바퀴를 조립시에는 체결핀(300)의 샤프트(310) 외주면 전체 형상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면 바퀴를 차체에 조립한후 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5a,5b에서와 같이 샤프트(310)의 외주면 전체 형상이 다각형으로 구성된 체결핀(300)을 이용하여 부품(100)과 부품(200)을 조립할 경우에는 부품(100)과 부품(200)이 조립된후 회전될 수 없는 것으로 즉, 이러한 다각형의 결합핀(300)으로 차체와 지붕을 조립하면 지붕이 차체에 조립된후 회전될 수 없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립식 완구에서 부품과 부품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체결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체결하고, 체결공구 없이 분리할 수 있음에 따라 완구를 조립 및 분해하기 위한 시간을 상당히 단축할 수 있어 인내심이 약한 어린이의 경우에도 쉽게 완구를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체결공구를 사용하지 않아 종래 체결공구를 사용함에 따라 약간만 부주의 하여도 체결공구에 의해 다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외주면 전체 형상이 원형이나 다각형으로 된 샤프트(310)의 일측에 머리부(312)가 형성된 체결핀(300)과;
    양쪽 절결부(411)에 의해 텐션력이 부여되고 중앙에 샤프트(310)의 끼움공(413)이 관통된 지지부(410)를 한쪽면에 구비한 캡(400);
    으로 조립식 완구의 부품(100)과 부품(200)을 조립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체결핀(300)은 샤프트(310)의 외표면 끝단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된 한쌍의 걸림홈(311)을 형성하고,
    캡(400)은 지지부(410)의 선단 내면에 걸림홈(311)에 끼워지는 걸림턱(412)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의 결합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체결핀(300)의 샤프트(310) 외표면 끝단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되어 형성되는 걸림홈(311)을 다단으로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의 결합부재.
  3. 삭제
  4. 삭제
KR1020070038776A 2007-04-20 2007-04-20 조립식 완구의 결합부재 KR100795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776A KR100795608B1 (ko) 2007-04-20 2007-04-20 조립식 완구의 결합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776A KR100795608B1 (ko) 2007-04-20 2007-04-20 조립식 완구의 결합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531A KR20070087531A (ko) 2007-08-28
KR100795608B1 true KR100795608B1 (ko) 2008-01-21

Family

ID=38613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776A KR100795608B1 (ko) 2007-04-20 2007-04-20 조립식 완구의 결합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6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679B1 (ko) * 2010-07-01 2011-01-10 이규휘 입체 조립용 프레임
KR101146044B1 (ko) 2010-01-08 2012-05-14 신대섭 부품 결합장치
KR200480804Y1 (ko) 2015-03-04 2016-07-07 최소영 조립식 완구의 부품과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결합부재
KR102005268B1 (ko) * 2018-05-16 2019-10-01 유승용 목걸이 장신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2106A (en) 1988-09-29 1990-08-28 Nifco, Inc. Fastener having separate portions for engaging two panels to be secured togeth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2106A (en) 1988-09-29 1990-08-28 Nifco, Inc. Fastener having separate portions for engaging two panels to be secured togeth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044B1 (ko) 2010-01-08 2012-05-14 신대섭 부품 결합장치
KR101006679B1 (ko) * 2010-07-01 2011-01-10 이규휘 입체 조립용 프레임
KR200480804Y1 (ko) 2015-03-04 2016-07-07 최소영 조립식 완구의 부품과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결합부재
KR102005268B1 (ko) * 2018-05-16 2019-10-01 유승용 목걸이 장신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531A (ko) 2007-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6048B2 (ja) 固定具組立体および該固定具組立体を用いたモータ集成体
KR100795608B1 (ko) 조립식 완구의 결합부재
KR101127424B1 (ko) 조립 완구 구성물
JPH03504345A (ja) 組立玩具部材用の解除可能な連結装置
CN211050908U (zh) 积木
US20190374865A1 (en) Assembly-toy chassis building element
TWI645122B (zh) 扣接結構與扣接結構之組裝方法
US10022638B2 (en) Wheel for prefabricated toy using chain block
US20170151506A1 (en) Large assembly block for toys
US9016803B2 (en) Axle mounting assemblies and children's products having axle mounting assemblies
JP2016539774A (ja) 鎖および空間構造を作成するための接続可能部品
US8430710B2 (en) Interactive toy vehicle and methods of use
KR101385989B1 (ko) 조립식 블록 완구
KR20150145829A (ko) 완구 블록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
KR20150088143A (ko) 완구 블록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
EP1955747A1 (de) Kinderspielzeug, insbesondere Kinderfahrzeug mit Ladeschaufel
TWM536168U (zh) 快拆裝置
WO2004035166A3 (en) Magnetic assembly toy
KR100819661B1 (ko) 유아 학습용 자석블록
HU220498B1 (hu) Elemkészlet térbeli játékalakzatok létrehozásához
US10933341B1 (en) Toy formed of tools
US20190247765A1 (en) Toy housing structure and tool for disassembling toy housing
KR200480742Y1 (ko) 조립식 특장차 및 건설 중장비 완구의 부품과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결합부재
KR200362794Y1 (ko) 장도리
KR101006679B1 (ko) 입체 조립용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