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178A - 질소 및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공급 원료로부터 고순도 질소 및 선택적으로 고순도 탄화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순환 방법 - Google Patents

질소 및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공급 원료로부터 고순도 질소 및 선택적으로 고순도 탄화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순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178A
KR20150087178A KR1020157003444A KR20157003444A KR20150087178A KR 20150087178 A KR20150087178 A KR 20150087178A KR 1020157003444 A KR1020157003444 A KR 1020157003444A KR 20157003444 A KR20157003444 A KR 20157003444A KR 20150087178 A KR20150087178 A KR 20150087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pa
nitrogen
propylene
mol
p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3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6884B1 (ko
Inventor
프랜시스 루크
카트린 르루아
알바루 페르난데스
히베이루 아나 마팔다 알메이다 페이소투
드 파리아 도스 산토스 조아오 카를로스 고딩뉴
알리리오 에지디오 로드리게스
장종산
이우황
황영규
장 패트릭 본
Original Assignee
토탈 페트로케미컬스 프랑스
한국화학연구원
유니베르시다데 도 포르토 (유포르토) 파쿠우다지 드 엔제냐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탈 페트로케미컬스 프랑스, 한국화학연구원, 유니베르시다데 도 포르토 (유포르토) 파쿠우다지 드 엔제냐리아 filed Critical 토탈 페트로케미컬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50087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7Pressure swing adsorption
    • B01D53/0476Vacuum pressure swing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2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containing metals, e.g. organo-metallic compounds, coordination complexes
    • B01J20/226Coordination polymers, e.g. metal-organic frameworks [MOF],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s [ZI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57Surface area, e.g. B.E.T specific surface area
    • B01J20/28066Surface area, e.g. B.E.T specific surface area being more than 1000 m2/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69Pore volume, e.g. total pore volume, mesopore volume, micropore volume
    • B01J20/28073Pore volume, e.g. total pore volume, mesopore volume, micropore volume being in the range 0.5-1.0 ml/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25Regenerating or reactivating of sorbents or filter aid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91Regenerating or reactivating by pressur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1/00Nitrogen; Compounds thereof
    • C01B21/04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nitrogen
    • C01B21/0405Purification or separation processes
    • C01B21/0433Physical processing only
    • C01B21/045Physical processing only by adsorption in solids
    • C01B21/0455Physical processing only by adsorption in solids characterised by the adsorb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0/00Hom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001Removal of residual monomers by physical means
    • C08F6/005Removal of residual monomers by physical means from soli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2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solvents, plasticisers or unreacted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5/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with solid sorbents
    • C10G25/003Specific sorbent material, not covered by C10G25/02 or C10G25/03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5/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with solid sorbents
    • C10G25/12Recovery of used adsorb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50/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lower carbon number hydrocarbons, e.g. by oligo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57/00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at least one cracking process or refining process and at least one other conversion process
    • C10G57/02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at least one cracking process or refining process and at least one other conversion process with polyme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20Organic adsorbents
    • B01D2253/204Metal organic frameworks (M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6/00Main component in the product gas stream after treatment
    • B01D2256/10Nitr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6/00Main component in the product gas stream after treatment
    • B01D2256/24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10Single element gases other than halogens
    • B01D2257/102Nitr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2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2Hydrocarbons
    • B01D2257/7022Aliphatic 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01Methods relating to additional, e.g. intermediate, treatment of process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11Methods relating to the process cycle i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2Production
    • B01D2259/40022Production with two sub-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11Methods relating to the process cycle i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28Depressurization
    • B01D2259/4003Depressurization with two sub-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11Methods relating to the process cycle i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58Number of sequence steps, including sub-steps, per cycle
    • B01D2259/40066S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3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three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4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four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02Chemical plants
    • B01J2219/00004Scale aspects
    • B01J2219/00006Large-scale industrial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20Characteristics of the feedstock or the products
    • C10G2300/201Impurities
    • C10G2300/202Heteroatoms content, i.e. S, N, O, 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소 및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충전제로부터 순도가 95 mol% 이상인 질소 분획(2), 및 탄화수소 농축 분획(3)을 생성하기 위한 순환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압력-스윙 흡착(PSA) 방법에서 흡착제로 특정 종류의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들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질소 및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공급 원료로부터 고순도 질소 및 선택적으로 고순도 탄화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순환 방법 {Cyclical method of producing high-purity nitrogen and optionally a high-purity hydrocarbon from a feedstock containing nitrogen and a hydrocarbon}
본 발명은 질소 및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공급 원료(1)로부터, 한편으로는, 순도 95 mol% 이상을 갖는 질소 분획(2), 및 다른 한편으로는, 탄화수소가 농축된 분획(3)의 생산을 위한 순환 방법, 및 또한 이 방법의 구현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산업, 정제 산업 또는 석유 산업에서 질소 및 탄화수소(들)의 혼합물이 형성되는 여러 방법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프로필렌으로부터 폴리프로필렌의 생산 동안, 폴리머를 정화하고 특히 중합 동안 반응하지 않은 프로필렌을 끌고 가기 위하여 질소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프로필렌은 또한 프로판의 작은 분획을 포함한다.
이 방법에서 질소 및 탄화수소의 혼합물은 종종 재활용될 수 없다. 따라서, 혼합물은 소각되고 공기 중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질소 및 탄화수소(들)의 이러한 가치있는 혼합물을 회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가능한 한 적게 에너지를 소비하며 가능한 한 가장 높은 수율을 가지는 시스템을 사용하여 탄화수소(들)로부터 질소를 분리하고 고순도 질소를 회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고순도 및 고수율을 가지는 탄화수소를 회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탄화수소를 회수하기 위하여 응축 또는 막 기술들 또는 이들 둘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 방법은 고가이며 수율이 일반적으로 낮다.
또한 분리 방법들은 화학적 용매(예를 들어, 아민들) 또는 증류에 의한 흡수를 포함한다. 하지만, 이들 방법들은 높은 운영비(OPEX) 및 자본 비용(CAPEX)을 갖는 부피가 큰 장치들을 필요로 한다.
또 다른 해결책은 흡착 및 탈착 순환을 하는 고체 흡착제들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탈착 단계는 압력 스윙 흡착(PSA)에 의해 압력을 감소시키면서 또는온도 스윙 흡착(TSA)에 의해 온도를 증가시키면서 수행될 수 있다.
전통적인 고체 흡착제들은 활성탄, 활성 알루미나, 실리카겔 또는 다른 다공성 금속 산화물들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들 흡착제들의 흡착 용량은 상기 기술된 산업적인 방법들과 경쟁하기에는 불충분하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제는 질소 및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공급 원료(1)로부터, 한편으로는, 95 mol% 초과의 순도를 갖는 질소(2), 및 다른 한편으로는, 탄화수소가 농축된 분획(3)의 생산을 위한 순환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압력 스윙 흡착(PSA) 방법에서 흡착제로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들, 금속-유기 프레임워크(MOF)의 특정 종류들을 사용한다.
간단하고 값이 싼 장치로부터 출발하는 본 발명의 방법은 고순도 질소 또는, 동시에, 고순도 질소 및 고순도 탄화수소를 회수하기 위하여 질소/탄화수소 혼합물의 분리를 가능하게 해주며, 이는 우수한 회수도(degrees of recovery)를 가지며 성취된다.
본 발명의 주제는 보다 구체적으로 질소 및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공급 원료(1)로부터, 한편으로는, 순도 ≥ 95 mol%를 갖는 질소 분획(2), 및 다른 한편으로는, 탄화수소가 농축된 분획(3)의 생산을 위한 순환 방법으로, 각 순환은 다음 단계들:
i) 상기 공급 원료(1)를 공급 단부 및 생성 단부를 구비하고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들로부터 선택된 고체 흡착제를 포함하는 흡착층과 접촉시키는 단계로, 상기 접촉 작업은 압력 P1 ≥ 0.1 MPa 및 온도 T1 ≥ 0℃ 하에서 수행되는 것인 단계;
ii) 흡착층의 생성 단부에서 순도 ≥ 95 mol%를 갖는 제 1 질소 분획(2)을 회수하는 단계;
iii) 흡착층의 생성 단부에서 순도 ≥ 95 mol%를 갖는 제 2 질소 분획(2)을 회수하기 위해 흡착층을 압력 P2  < P1 (여기서 P2 ≥ 0.1 MPa)에 이르기까지 병류(cocurrentwise) 감압하는 단계;
iv) 흡착층으로부터 탄화수소를 제거하고 흡착층의 공급 단부에서 탄화수소가 농축된 제 1 분획(3)을 회수하기 위해 흡착층을 압력 P3  < P2 (여기서 0.05 MPa ≤ P3 ≤0.006 MPa)에 이르기까지 역류(countercurrentwise) 감압하는 단계;
v) 흡착층의 공급 단부에서 탄화수소가 농축된 제 2 분획(3)을 회수하기 위하여 압력 P3 하에서 순도 ≥ 95 mol%를 갖는 질소 분획(2)을 사용하여 흡착층을 역류(countercurrentwise) 정화하는 단계;
vi) 순도 ≥ 95 mol%를 갖는 질소(2)를 사용하여 또는 공급 원료(1)와 함께 흡착층을 압력 P1까지 역류(countercurrentwise) 재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흡착제는 탄화수소에 대하여 50℃의 0.25 MPa 내지 0.05 MPa에서 적어도 3 mmol/g의 동적 용량 및 질소에 대하여 50℃의 0.25 MPa 내지 0.05 MPa에서 0.50 mmol/g 이하의 동적 용량을 가지는 것인 순환 방법이다.
흡착제의 동적 용량(mmol/g)은 흡착제의 그램 당 흡착된 양(mmol)과 탈착 단계 이후 흡착제의 그램 당 흡착된 채 남아있는 양(mmol) 사이의 차이로 정의된다. 동적 용량은 공급 원료의 다양한 성분들의 흡착 등온선의 함수이다. 운동 효과(kinetic effects)를 무시하면, 소정의 성분(일례로, 질소 또는 탄화수소)의 동적 용량은 이 성분에 대한 흡착 압력에서 흡착된 양과 탈착 압력에서 탈착된 양 사이의 차이의 계산에 의해 예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제인 방법은 흡착제로서 금속-유기 프레임워크(MOF)로도 불리는 다공성 하이브리도 고체들의 패밀리에 속하는 고체를 사용한다.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들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들은 유기 리간드들(카복실레이트, 포스포네이트, 이미다졸레이트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된 무기 서브유닛들(전이 금속, 란탄 계열 등)로 구성되며, 따라서 다공성 결정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들을 정의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에서 정의된 동적 용량을 보여주는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들이 탄화수소 및 질소의 기체 혼합물을 매우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압력 스윙 흡착(PSA)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예상치 못하게 발견하였다.
바람직하게,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는 탄화수소에 대하여 0.25 MPa 내지 0.05 MPa에서 적어도 3.5 mmol/g,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8 mmol/g의 동적 용량 및 질소에 대하여 0.25 MPa 내지 0.05 MPa에서 0.50 mmol/g 이하, 바람직하게는 0.20 mmol/g 이하의 동적 용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는 다음 금속 이온들: Mg, Ca, Sr, Ba, Sc, Y, Ti, Zr, Hf, V, Nb, Ta, Cr, Mo, W, Mn, Re, Fe, Ru, Os, Co, Rh, Ir, Ni, Pd, Pt, Cu, Ag, Au, Zn, Cd, Hg, Al, Ga, In, Tl, Si, Ge, Sn, Pb, As, Sb or Bi 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Fe, Cu, Zr or Ti 중 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F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는 바이덴테이트(bidentate) 유기 화합물로 다음 작용기들: -COOH, -CS2H, -NO2, -B(OH)2, -SO3H, -Si(OH)3, -Ge(OH)3, -Sn(OH)3, -Si(SH)4, -Ge(SH)4, -Sn(SH)3, -PO3H, -AsO3H, -AsO4H, -P(SH)3, -As(SH)3, -CH(RSH)2, -C(RSH)3, -CH(RNH2)2, -C(RNH2)3, -CH(ROH)2, -C(ROH)3, -CH(RCN)2 및 -C(RCN)3 (여기서 R은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5개 탄소 원자들을 가진 알킬렌기 또는 아릴기이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는 MIL-100(Fe), MIL-125(Ti) 또는 MIL-125(Ti)_NH2로부터, 그렇지 않으면 Cu-BTC 또는 UiO-66으로부터 선택된다.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의 공극들의 크기는 5 내지 30Å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는 BET 방법에 따라 측정된 1000 m2/g 내지 3000 m2/g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m2/g 내지 2500 m2/g의 비표면적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는 특히 열적 탈수(thermal dehydration)에 의해 흡착 단계를 시작하기 전에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착층의 공급 단부는 흡착 단계의 시기에 질소 및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공급 원료(1)가 이를 통해 주입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흡착층의 생성 단부는 흡착 단계 동안 고순도 질소가 이를 통해 빼내어지는 것으로 정의된다.
공급 원료(1)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의 생산을 위한 공장과 같은 질소 및 탄화수소(들)의 기체 혼합물을 생성할 수 있는 임의의 방법으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적어도 30 mol%의 질소 및 최대 70 mol%의 탄화수소,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mol%의 질소 및 최대 30 mol%의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기체 혼합물들의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공급 원료(1)는 여러 탄화수소들[하나는 지배적인 양으로 존재하며(예를 들어 프로필렌) 다른 것들은 훨씬 적은 양으로 존재한다(예를 들어 프로판, 에탄, 메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탄화수소는 1개 내지 20개 탄소 원자들,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10개 탄소 원자들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5개 탄소 원자들을 포함하는 선형 또는 가지형 알칸 또는 알켄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프로판 또는 프로필렌이다.
상기에서 기술된 방법의 단계들 i) 내지 vi)은 PSA 방법에 의해, 특히 VPSA (진공 압력 스윙 흡착) 방식에서 수행될 수 있다. PSA의 기본 원칙은 낮은 압력보다 높은 압력에서 더 많은 불순물들을 흡착하는 흡착제의 능력을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순환의 높은 압력에서부터 낮은 압력까지 흡착 및 탈착 단계들을 연결시킴으로써, 기체 분자들의 선택적 분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차례로 작동하는 흡착 유닛들로, 처리될 기체를 연속적으로 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장치는 흡착제들의 여러 층들, 예를 들어, 2개 내지 4개 흡착층들, 바람직하게는 3개 흡착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의 각 순환은 다음의 연속적인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i): 압력 P1 ≥ 0.1 MPa 및 온도 T1 ≥ 0℃ 하에서 공급 원료(1)가 흡착층의 공급 단부를 통해 주입된다. 따라서, 공급 원료(1)는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와 접촉한다. 바람직하게, P1은 0.1 MPa 내지 1 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MPa 내지 0.5 MPa 및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0.25 MPa와 같다. 바람직하게, T1은 0℃ 내지 100℃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50℃와 같다. 흡착층 공급 원료(1)를 사용하여 또는 질소와 함께 가압될 수 있다.
단계 ( ii ): 흡착층을 통과하면서, 공급 원료(1)에 존재하는 탄화수소는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상에 흡착된다.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에 대하여 질소보다 탄화수소가 훨씬 더 친화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공급 원료(1)를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와 접촉시키는 것은 공급 원료(1)에서 질소의 농축을 야기한다. 그런 다음 흡착층의 생성 단부에서 95 mol% 이상의 순도를 갖는 질소가 회수된다.
단계 i)의 조건 하에서 탄화수소/질소 선택성은 50℃ 및 0.25 MPa에 대해 적어도 20이다. 예를 들어, 0.1 MPa 및 50℃에서 MIL-100(Fe)에 대한 프로필렌/질소 선택성은 대략 40이다. 선택성은 다음의 식에 의해 정의된다:
선택성 = xHC*yN2/(xN2*yHC)
여기서:
xHC = 흡착된 탄화수소의 몰수/(흡착된 탄화수소의 몰수 + 흡착된 질소의 몰수),
xN2 = 흡착된 질소의 몰수/(흡착된 탄화수소의 몰수 + 흡착된 질소의 몰수),
yHC = 공급 원료에서 탄화수소의 몰수/(공급 원료에서 탄화수소의 몰수 + 공급 원료에서 질소의 몰수),
yN2 = 공급 원료에서 질소의 몰수/(공급 원료에서 탄화수소의 몰수 + 공급 원료에서 질소의 몰수).
단계 ( iii ): 흡착층의 생성 단부에서 순도 ≥ 95 mol%를 갖는 제 2 질소 분획(2)을 회수하기 위해 흡착층이 압력 P2  < P1 (여기서 P2 ≥ 0.1 MPa)에 이르기까지 병류(cocurrentwise) 감압된다. 바람직하게는, P2는 0.2 MPa 내지 0.1 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MPa 내지 0.1 MPa 및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0.1 MPa과 같다.
단계 ( iv ): 이후 흡착층으로부터 탄화수소를 탈착하고 흡착층의 공급 단부에서 탄화수소가 농축된 제 1 분획(3)을 회수하기 위해 흡착층이 압력 P3  < P2 (여기서 0.05 MPa ≤ P3 ≤0.006 MPa)에 이르기까지 역류(countercurrentwise) 감압된다. 이 단계는 일반적으로 블로우 다운(blowdown)으로 알려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P3는 0.05 MPa 내지 0.01 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MPa 내지 0.025 MPa 및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0.04 MPa과 같다. 흡착층은 진공 시스템을 사용하여 감압될 수 있다.
탄화수소를 탈착하자마자,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가 재생된다.
단계 (v): 흡착층의 공급 단부에서 탄화수소가 농축된 제 2 분획(3)을 회수하기 위하여 압력 P3 하에서 순도 ≥ 95 mol%를 갖는 질소 분획(2)을 사용하여 흡착층이 역류(countercurrentwise) 정화된다.
추가로 순도 ≥ 90 mol%를 갖는 탄화수소가 농축된 분획(2)을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탄화수소로 흡착층을 포화시키고 단계 iv)의 종결시에 순도 ≥ 90 mol%를 갖는 탄화수소가 농축된 분획(2)을 회수하기 위하여 감압 단계 iv)를 수행하기 전에 공급 단부를 통해 흡착층에서 탄화수소가 농축된 분획(2)의 일부를 재생하는 단계로 구성된 추가적인 단계가 수행된다. 이 단계는 일반적으로 세정 단계로 언급된다.
이 경우, 감압 단계 iv)는 바람직하게는 0.05 MPa 내지 0.006 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MPa 내지 0.006 MPa,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2 MPa 내지 0.006 MPa 및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0.01 MPa의 압력 P3 하에서 수행된다.
단계 ( vi ): 흡착층은 순도 ≥ 95 mol%를 갖는 질소(2)를 사용하여 또는 공급 원료(1)와 함께 압력 P1까지 역류(countercurrentwise) 재가압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순도 ≥ 95 mol%를 갖는 질소를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회수도로 회수할 수 있게 해준다.
만약 감압 단계 iv)를 수행하기 전 공급 단부를 통해 흡착층에서 탄화수소가 농축된 분획(2)의 일부를 재생하는 단계로 구성된 추가 단계가 수행되는 경우, 본 발명의 방법은 추가적으로 순도 ≥ 90 mol% 및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회수도를 갖는 탄화수소를 회수할 수 있게 해준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기술된 단계들을 수행함으로써 MIL-100(Fe)이 프로필렌으로부터 질소를 분리하고 고순도 질소를 회수하기 위해 사용된다. 흡착 단계 i)은 바람직하게는 0.2 MPa 내지 0.5 MPa, 특히 0.25 MPa에서, 및 50℃에서 수행된다. 공동감압 단계 iii)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15 MPa, 특히 0.1 MPa에서 수행된다. 블로우다운 단계 iv) 및 정화 단계 v)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025 MPa, 특히 0.04 MPa에서 수행된다. 재가압 단계 vi)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 MPa, 특히 0.25 MPa에서 수행된다.
추가로, 만약 고순도 프로필렌을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프로필렌(2)이 농축된 분획의 일부가 감압 단계 iv)를 수행하기 전 공급 단부를 통해 흡착층에서 유리하게 재활용된다. 이 경우, 흡착 단계 i)은 바람직하게는 0.2 MPa 내지 0.5 MPa, 특히 0.25 MPa, 및 50℃에서 수행된다. 공동감압 단계 iii)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15 MPa, 특히 0.1 MPa에서 수행된다. 세정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15 MPa, 특히 0.1 MPa에서 수행된다. 블로우다운 단계 iv) 및 정화 단계 v)는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006 MPa, 특히 0.01 MPa에서 수행된다. 재가압 단계 vi)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 MPa, 특히 0.25 MPa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프로필렌 및 질소를 포함하는 공급 원료(1)의 특정 경우에서 상기 기술된 방법의 구현을 위한 장치이다.
이 장치는 다음을 포함한다:
- 반응물로서 프로필렌 주입을 가능하게 하는 주입구를 갖는 중합 반응기로, 상기 프로필렌은 프로판 분획 및 중합에 필요한 다른 원료들을 포함하는 것인 중합 반응기;
- 중합 반응으로부터 기인한 고체 폴리프로필렌 및 반응하지 않은 프로필렌/프로판 혼합물을 수용하는 중합 반응기의 배출구에 위치한 기체/고체 분리기로, 상기 기체/고체 분리기는 추가적으로:
- 고체 폴리프로필렌을 탈기하기 위한 질소 주입을 가능하게 하는 주입구;
- 질소/프로필렌/프로판 기체 혼합물을 위한 배출구(A); 및
- 고체 폴리프로필렌을 회수하기 위한 배출구(B)
를 포함하는 것인 기체/고체 분리기;
-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흡착제 컬럼으로, 상기 컬럼은 한편으로는 순도 ≥ 95 mol%를 갖는 질소 및 다른 한편으로는 프로필렌 및 프로판이 풍부한 혼합물을 생산하기 위해 질소/프로필렌/프로판 기체 혼합물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인 흡착제 컬럼.
또한, 장치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분리기에서 순도 ≥ 95 mol%를 갖는 질소를 재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라인,
- 흡착층을 탄화수소로 포화시키고 순도 ≥ 90 mol%를 갖는 프로필렌 및 프로판의 분획을 회수하기 위하여 흡착제 컬럼에서 프로필렌 및 프로판이 농축된 혼합물을 재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라인,
- 상기 분획으로부터 출발한 프로판으로부터 프로필렌을 분리하기 위하여 중합 반응기 또는 증류 컬럼에서 순도 ≥ 95 mol%를 갖는 프로필렌 및 프로판의 상기 분획을 재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라인.
본 발명의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서로 다른 온도들(50, 100 및 150℃)에서 MIL-100(Fe)상의 질소에 대한 5 bar abs.(절대 압력)까지의 흡착 등온선(isotherms)을 나타낸다.
도 2는 MIL-100(Fe)상의 50℃에서 질소 및 프로필렌에 대한 흡착 등온선 사이의 비교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 방법 A)의 단계들을 도식으로 나타낸다.
도 4는 4개의 컬럼을 가진 연속 작업에 대한 순환 방법 A)를 도식으로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B)의 단계들을 도식으로 나타낸다.
도 6은 3개의 컬럼을 가진 연속 작업에 대한 순환 방법 B)를 도식으로 나타낸다.
도 7은 실시예 1(모의 실험)의 조건 하에서 또는 실시예 2(시험 공장)의 조건 하에서 실린더 형태(배치 1) 또는 비드 형태(배치 2)에서, 50℃ 또는 70℃에서 압력(압력 (bar abs.))의 함수로 MIL-100(Fe)("C3H6 (mol/kg)")의 흡착 용량을 나타낸다.
도 8은 MIL-125_NH2상의 70℃에서 질소 및 프로필렌에 대한 흡착 등온선 사이의 비교를 나타낸다.
도 9는UiO-66(Zr)상의 70℃에서 질소 및 프로필렌에 대한 흡착 등온선 사이의 비교를 나타낸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함이 없이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들에서, 모든 압력들은 절대 압력(bar abs.; bar absolute)으로 표현된다. 1 bar = 0.1 MPa.
실시예 : MIL -100( Fe )를 이용한 질소와 프로필렌의 분리
MIL-100(Fe)은 한국화학연구원(KRICT)(Yoon et al., 2010)에서 합성된 제올라이트 MTN 위상(topology)을 갖는 철(III) 트리메세이트(iron(III) trimesate)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이다.
2개의 배치들이 테스트되었다:
- 배치 1: 이하에서 서술된 실린더들,
- 배치 2: 이하에서 서술된 비드들.
1) 실시예 1: 평형 및 모의 실험의 측정
도 1은 루보덤 마그네틱 서스펜션 밸런스(Rubotherm magnetic suspension balance)에서 측정된 서로 다른 온도들(50, 100 및 150℃)에서 표 2에서 특징지어진 MIL-100(Fe)상의 질소에 대한 5 bar abs.까지의 흡착 등온선을 나타낸다.
도 2는 표 2에서 특징지어진 MIL-100(Fe)상의 50℃에서 질소 및 프로필렌에 대한 흡착 등온선 사이의 비교를 나타낸다.
1 bar abs. 및 50℃에서 프로필렌/질소 선택성이 대략 40인 것이 이들 등온선들로부터 나타난다.
2개의 순환 PSA 방법들이 모의 실험되었다:
- A) 질소/프로필렌 혼합물로부터 고순도 질소의 생산을 위한 방법,
- B) 질소/프로필렌 혼합물로부터 한편으로는 고순도 질소의 생산, 및 다른 한편으로는 고순도 프로필렌의 생산을 위한 방법.
질소/프로필렌 혼합물은 70 mol%의 질소 및 30 mol%의 프로필렌을 포함한다. 이는 다음 조건 하에서 흡착층으로 주입된다: 70℃, 1 bar abs. 및 4 SLPM, 10.7 mol/h. SLPM = 표준 분당 리터(Standard Liter Per Min)(Standard: 70℉ 및 14.696 psiA (21℃ 및 1 Atm)).
방법 A)는 5개의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 흡착층의 공급 단부에서 질소/프로필렌 혼합물이 주입된다,
- 2.5 bar abs.의 압력 하에서의 흡착,
- 흡착층의 생성 단부에서 고순도 질소가 회수된다,
- 질소의 회수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1 bar abs.의 압력 하에서의 병류(cocurrentwise) 감압,
- 프로필렌이 농축된 제 1 분획을 회수하기 위하여 0.4 bar abs.의 압력 하에서 역류(countercurrentwise) 감압(블로우다운), 그런 다음
- 흡착층을 재생하고 프로필렌이 농축된 제 2 분획을 회수하기 위하여 고순도 질소의 분획을 이용하여 0.4 bar abs.의 압력 하에서 정화,
- 고순도 질소의 분획을 이용한 흡착층의 역류(countercurrentwise) 재가압.
방법 B)는 방법 A)와 동일한 단계들을 포함하며, 흡착층에서 역류 감압 단계의 종결시에 얻어진 프로필렌이 농축된 분획의 일부를 재활용하는 단계로 구성된 세정 단계를 추가하는데, 이는 프로필렌이 농축된 분획의 일부를 프로필렌으로 포화시키고 이에 따라 고순도 프로필렌의 분획을 회수하기 위함이다. 역류 감압 단계 및 세정 단계에서의 압력은 0.1 bar abs.이다.
도 3은 방법 A)의 단계들을 도식으로 나타낸다.
도 4는 4개의 컬럼들을 가진 연속 작업에 대한 순환 방법 A)를 도식으로 나타낸다.
도 5는 방법 B)의 단계들을 도식으로 나타낸다.
도 6은 3개의 컬럼들을 가진 연속 작업에 대한 순환 방법 B)를 도식으로 나타낸다.
도 3, 4, 5 및 6에서 사용된 표현들의 의미는 다음 표 1에 나타나있다:
"Adsor." 흡착 단계
"CoDep" 또는 "CocD" 또는 "D" 병류(Cocurrentwise) 감압 단계
"Rinse" 재활용 단계(세정)
"Blowdown" 또는 "Blowd" 또는 "B" 역류(countercurrentwise) 감압 단계(블로우다운)
"Purge" 역류(countercurrentwise) 정화 단계
"Press." 또는 "P" 역류(countercurrentwise) 재가압 단계
"N2 product" 회수된 고순도 질소
"C3H6 product" 회수된 고순도 프로필렌
"C3H6 waste" 회수되지 않은 프로필렌 분획
모의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수학 모델은 Da Silva 외, 1999, Da Silva 및 Rodriges, 2001, 및 Ribeiro 외, 2008에 기술되어 있는 것이다.
모델에 필요한 수송 변수들의 값들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관계수들을 이용함으로써 계산되었다. Wakao 및 Funazkri 상관계수들(Wakao 및 Funazkri, 1978; Yang, 1987; Da Silva 1999)를 사용하여 질량 및 열의 축방향 분산 계수들(axial dispersion coefficients), 및 또한 물질 전달의 축방향 분산 계수 및 대류 열 전달 계수들이 측정되었다. 기체와 컬럼 벽 사이의 대류에 의한 열 전달에 대한 계수는 Wash 및 Froment 상관계수(Wash and Froment, 1972)로 계산되었다. 대공극 확산도는 보잔켓 방정식(Bosanquet equation)으로 계산되었으며 확산도들은 채프만-엔스코그 방정식(Chapman-Enskog equation)(Bird 외, 2002)로 결정되었다. 밀도, 점도 및 몰 비열과 같은 기체들의 일반적인 특성들은 버드 외, 2002에 따라 얻어졌다. 흡착된 기체의 몰 비열은 기체상의 것과 동일한 것으로 추정되었다(Sircar, 1985).
흡착층의 치수 및 흡착제의 특성들은 아래 표 2에 나타나있다:
흡착층의 길이(m) 2
흡착층의 지름(m) 0.026
흡착층의 공극률 0.41
흡착제 MIL-100(Fe)
흡착제의 형태 실린더
실린더의 반경(m) 1.5×10-3
실린더의 길이(m) 3.85×10-3
입자 밀도(kg/m3) 888
실린더의 공극률 0.34
결정 지름 1.4×10-3
공급 조건들 하에서의 수송 변수들의 값들은 아래 표 3에 나타나있다:
질량의 축방향 분산 계수(m2/s) 5.5×10-4
열의 축방향 분산 계수(W/m/K) 0.50
필름의 질량 전달 계수(m/s) 2.3×10-2
기체와 입자 사이의 필름의 열 전달을 위한 계수(W/m2/K) 85
기체와 벽 사이의 필름의 열 전달을 위한 계수(W/m2/K) 60
전체 열 전달 계수(W/m2/K) 40
대공극 확산도(m2/s) C3H6: 3.04×10-6
N2: 3.07×10-3
결정 확산도(m2/s) C3H6: 1.18×10-10
N2: 1.13×10-9
또한 본 방법의 에너지 소비가 계산되었다. 단열 압축이 추정되었으며 다음 방정식이 사용되었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Figure pct00002
은 효율이며,
Figure pct00003
은 몰 유량(molar flux)이며,
Figure pct00004
는 이상 기체 상수이며,
Figure pct00005
은 공급 온도이며, P1 및 P2는 각각 주입구 압력 및 배출구 압력이며,
Figure pct00006
은 일정 압력에서 기체 혼합물의 열용량 대 일정 부피에서 기체 혼합물의 열용량의 비이다(
Figure pct00007
= Cp/Cv)(Mc Cabe et al., 1993; McAllister, 2009). 1 bar abs.부터 2.5 bar abs.로의 공급 원료의 압축을 위하여, 85%의 효율이 설정되었다. (역류 감압 및 정화 단계들에 필요한) 진공 펌프의 경우, 60%의 효율이 추정되었다.
PSA 방법의 성능은 다음 변수들로부터 측정되었다: 로타 및 완캇(Rota 및 Wankat 외)에 의해 정의된 회수된 생성물의 순도, 회수도 및 생산성.
1.1. 고순도 질소의 회수(방법 A):
질소의 순도는 다음 방식으로 정의되었다:
Figure pct00008
여기서:
Figure pct00009
은 흡착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질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0
은 감압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질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1
은 흡착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전체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2
은 감압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전체 몰수를 나타낸다.
질소의 회수도는 다음 방식으로 정의되었다:
Figure pct00013
여기서:
Figure pct00014
은 흡착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질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5
은 감압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질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6
는 정화 단계 동안 컬럼에 들어가는 질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7
은 재가압 단계 동안 컬럼에 들어가는 질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8
은 흡착 단계 동안 공급 원료와 함께 들어가는 질소의 몰수를 나타낸다.
모의 실험 결과는 다음 표 4에 나타나있다:
단계들의 기간(s)
흡착 병류(Cocurrentwise) 감압 역류(Countercurrentwise) 감압
(블로우다운)
정화 재가압
300 100 250 500 50
P (bar abs.) P (bar abs.) P (bar abs.) 공급 T (℃)
2.5 1.0 0.4 70
흡착 유량(SLPM) 정화 유량(SLPM)
4.0 0.24
회수된 질소 프로필렌이 농축된 분획
순도 (%) 회수도 (%) 생산성 (molN2/kgads/h) 순도 (%)
99.9 81.5 2.74 67.3
에너지 소비
19.7 W (3.2 Wh/mol N2)
1.2. 한편으로는 고순도 질소의 회수, 및 다른 한편으로는 고순도 프로필렌의 회수(방법 B):
질소의 순도는 다음 방식으로 정의되었다:
Figure pct00019
여기서:
Figure pct00020
은 흡착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질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1
은 감압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질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2
은 세정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질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3
은 흡착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전체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4
은 감압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전체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5
은 세정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전체 몰수를 나타낸다.
프로필렌의 순도는 다음 방식으로 정의된다:
Figure pct00026
여기서:
Figure pct00027
은 역류 감압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프로필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8
는 정화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프로필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9
은 역류 감압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전체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30
는 정화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전체 몰수를 나타낸다.
질소의 회수도는 다음 방식으로 정의된다:
Figure pct00031
여기서:
Figure pct00032
은 흡착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질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33
은 감압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질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34
은 세정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질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35
는 정화 단계 동안 컬럼에 들어가는 질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36
은 재가압 단계 동안 컬럼에 들어가는 질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37
은 흡착 단계 동안 공급 원료와 함께 들어가는 질소의 몰수를 나타낸다.
질소의 회수도는 다음 방식으로 정의된다:
Figure pct00038
여기서:
Figure pct00039
은 역류 감압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프로필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40
는 정화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프로필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41
은 세정 단계 동안 공급 원료와 함께 들어간 프로필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42
은 흡착 단계 동안 공급 원료와 함께 들어간 프로필렌의 몰수를 나타낸다.
모의 실험 결과는 다음 표 5에 나타나있다:
단계들의 기간(s)
흡착 병류(Cocurrentwise) 감압 세정 역류(Countercurrentwise) 감압
(블로우다운)
정화 재가압
800 100 600 250 600 50
P (bar abs.) P (bar abs.) P (bar abs.) 공급 T (℃)
2.5 1.0 0.1 70
흡착 유량(SLPM) 세정 유량(SLPM) 정화 유량(SLPM)
4.0 1.3 0.17
회수된 질소 회수된 프로필렌
순도 (%) 회수도 (%) 생산성 (molN2/kgads/h) 순도 (%) 회수도 (%) 생산성 (molN2/kgads/h)
99.9 97.4 4.33 97.9 87.6 1.67
에너지 소비
36.6 W (5.0 Wh/molN2, 13.0 Wh/molC3H6)
2) 실시예 2: 시험( pilot ) 규모에서의 실험
프로필렌에 대한 MIL-100(Fe)의 동적 흡착 용량(동적 용량)이 50℃ 및 70℃에서 측정되었다.
더불어, 상기 서술된 모의 실험 결과를 실험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VPSA(진공 압력 스윙 흡착) 방식에서의 흡착/탈착 순환이 수행되었다.
2.1. 시험 공장의 설명
시험 공장은 질소 및 액체 프로필렌 저장 탱크, 질소 유량의 조절을 가능하게 해주는 조절기, 액체 프로필렌을 위한 용적형 펌프 및 흡착 컬럼의 상류인 혼합물 위에 위치한 증발기로 구성된다. 흡착제(이하에서 기술된 MIL-100(Fe)) 층이 1" 내부 직경 및 2m의 높이를 가진 흡착 컬럼에 위치한다. 이 컬럼은 20 내지 200℃ 사이에서 작동할 수 있는 온도-조절 열교환 유체가 순환하는 외부 자켓을 구비한다. 3개의 열전대(thermocouples)가 컬럼의 중간에서 흡착층의 하부로부터 0.1 m, 1 m 및 1.80 m에서, 컬럼의 하부, 중간부 및 상부에 위치한다.
컬럼 배출구에서의 압력 조절은 컬럼에서의 압력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흡착제의 재생 동안 진공 하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또한 진공 펌프가 컬럼에 연결된다. 인-라인 적외선 분석기는 컬럼의 주입구 및 배출구에서 흐름을 분석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유량계가 흡착 컬럼의 주입구 및 배출구에 존재한다.
흡착 단계 동안, 액체 프로필렌은 용적형 펌프에 의해 펌프되어지고 질소와 혼합된다. 그런 다음 상승하는 방식으로 흡착 컬럼에 들어가기 전 기체/액체 혼합물이 완전히 증발된다. 펌프에 위치한 조절기 및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흐름이 조절되며, 흡착 컬럼 다음에 위치된 압력-조절 루프를 이용하여 압력이 조절된다.
진공 하 비말 동반(entrainment)에 의해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탈착 단계가 수행되며, 소량의 질소가 컬럼으로 주입된다.
2.5 mm의 지름 및 BET 방법에 따라 측정된 2100 m2/g 초과의 비표면적을 가진 테스트된 MIL-100(Fe)이 비드 형태로 제공된다.
MIL-100(Fe)은 사용 전에 활성화되어야 한다: 질소 진공 하의 150℃에서 3시간. 활성화의 종료 시, 최초 무게에 대한 무게의 감소는 대략 13%이다. 각 테스트 후, 이들 조건들 하에서 진공 하 약간의 질소 증기(3 mbar 미만)를 사용하여 MIL-100(Fe)이 재활성화되었다.
2.2. 작동 조건
온도: 20-200℃
압력: 0-80 bar
압력 최소 일반 범위 최대
흡착 1 bar abs. 1-20 bar abs. 80 bar abs.
탈착 0.02 bar abs. 0.1 bar abs. 5 bar abs.
2.3. 샘플링 및 분석
다양한 기체 증기들의 분석이 3방향 밸브를 사용하는 라인에서 수행되었다. 이들 밸브들은 컬럼의 주입구에서의 혼합물, 컬럼 배출구에서의 혼합물 또는 진공 펌프를 통과하는 혼합물의 분석을 가능하게 해준다. 분석은 백금계 적외선 소스(ABB)를 가진 분석기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2.4. 결과
2.4.1 50℃ 및 70℃에서의 프로필렌에 대한 MIL -100( Fe )의 동적 용량의 결정
50℃ 및 1.25 bar abs.에서 프로필렌(공급 유량: 80Sl/h±5%)을 위한 MIL-100(Fe)에 대한 돌파(breakthrough) 곡선 및 온도 프로파일을 측정하였다. 작업 조건 및 평형에서 흡착된 프로필렌의 양이 표 7에 나타나있다. 50℃ 및 1.25 bar abs.에서 프로필렌에 대한 MIL-100(Fe)의 동적 용량은 4.290 mol/kg이다.
70℃ 및 1.28 bar abs.에서 프로필렌(공급 유량: 80Sl/h±5%)을 위한 MIL-100(Fe)에 대한 돌파 곡선 및 온도 프로파일을 측정하였다. 작업 조건 및 흡착된 프로필렌의 양이 표 8에 나타나있다. 70℃/1.28 bar abs. 및 70℃/2.40 bar abs.에서 프로필렌에 대한 MIL-100(Fe)의 동적 흡착 용량은 각각 3.862 mol/kg 및 5.387 mol/kg이다.
온도 50℃
흡착 압력 (bar abs.) 1.25
흡착 온도 (K) 323
컬럼의 주입구에서의 평균 체적 유량(Sl.hr) 80
공급 원료에서 프로필렌 (%) 100
컬럼의 주입구에서의 몰 유량(mol.s) 9.92×10-4
흡착층에서 흡착제의 무게(kg) 0.331
흡착층의 부피(m3) 1.067×10-3
흡착제의 진밀도(true density)(kg/m3) 888
흡착층의 공극률(ε) 0.65
지름(m) 0.02606
흡착층의 높이 (m) 2
센서들의 위치 T 하부 중간부 상부
h (m) 0.10 1.00 1.80
평형에서 흡착된 프로필렌의 양 (mol) 1.418
동적 용량 (mol/kg) 4.290
온도 70℃
흡착 압력 1 (bar abs.) 1.28
흡착 압력 2 (bar abs.) 2.40
흡착 온도 (K) 343
컬럼의 주입구에서의 평균 체적 유량(Sl.hr) 81.3
공급 원료에서 프로필렌 (%) 100
컬럼의 주입구에서의 몰 유량(mol.s) 1.01×10-3
흡착층에서 흡착제의 무게(kg) 0.331
흡착층의 부피(m3) 1.067×10-3
흡착제의 진밀도(true density)(kg/m3) 888
흡착층의 공극률(ε) 0.65
지름(m) 0.02606
흡착층의 높이 (m) 2
센서들의 위치 T 하부 중간부 상부
h (m) 0.10 1.00 1.80
평형 1 흡착된 프로필렌의 양 (mol) 1.276
동적 용량 (mol/kg) 3.862
평형 2 흡착된 프로필렌의 양 (mol) 0.504
동적 용량 (mol/kg) 5.387
도 7은 실시예 1(모의 실험)의 조건 하에서 또는 실시예 2(시험 공장)의 조건 하에서 실린더 형태(배치 1) 또는 비드 형태(배치 2)에서, 50℃ 또는 70℃에서 압력(압력 (bar abs.))의 함수로 MIL-100(Fe)("C3H6 (mol/kg)")의 흡착 용량을 나타낸다.
동적 조건(Ex. 2) 하에서 프로필렌에 대한 MIL-100(Fe)의 흡착 용량이 정적 조건(Ex. 1) 하에서 결정된 것과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도 7에서 볼 수 있다. 결과들은 동일하다.
시험 공장에서의 이들 결과들은 모의 실험에 의해 얻어진 결과들을 입증하며 MIL-100(Fe)과 같은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들이 탄화수소, 특히 프로필렌에 대한 동적 흡착 용량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는 산업적 적용에 적합한 압력 범위 내에서 질소의 효율적인 분리를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히 높다(적어도 3 mmol/g 초과).
2.4.2 VPSA 에서의 순환(진공 압력 스윙 흡착)
실시예 1의 모의 실험 결과를 실험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VPSA(진공 압력 스윙 흡착) 방식에서의 흡착/탈착 순환들이 수행되었다.
단계들:
- 흡착(2.5 bar abs.),
- 병류 감압(1.5 bar abs.),
- 역류 감압(블로우다운)(0.5 bar abs.),
- 100% 순수 질소를 이용한 역류 정화,
- 100% 순수 질소를 이용한 재가압,
- 흡착 및 병류 감압 단계들의 종료 시 질소가 회수되었다.
작동 조건들:
- 흡착 압력: 2.5 bar abs.
- 흡착 온도: 70℃
- 탈착 압력: 0.5 bar abs.
흡착층의 주입구에서의 공급 원료의 조성: 70 mol% 프로필렌
30 mol% 질소
활성화된 MIL-100(Fe)(비드)의 양: 330 g
모의 실험에 의해 얻어진 것들과 비교한 시험 공장에서의 결과들이 표 9에 나타나있다:
단위 모의 실험 시험 공장
흡착 시간 s 1180 1180
흡착층의 길이 m 1.99 1.99
흡착층의 지름 m 0.026 0.026
공급 원료의 유량 mol/h 2.68 2.68
정화의 유량 SLPM 0.13 0.13
흡착제 MIL-100(Fe) 실린더 MIL-100(Fe) 비드
흡착제의 지름 m 0.0015 0.0025
흡착제의 무게 kg 0.560 0.330
흡착제의 밀도 kg/m3 888 888
흡착층의 공극률 0.41 0.65
질소의 순도는 다음 식에 따라 정의된다:
Figure pct00043
여기서:
Figure pct00044
은 흡착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질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45
은 감압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질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46
은 흡착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전체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47
은 감압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전체 몰수를 나타낸다.
질소의 회수도는 다음 식에 따라 정의된다:
Figure pct00048
여기서:
Figure pct00049
은 흡착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질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50
은 감압 단계 동안 기체상에 존재하는 질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51
은 재가압 단계 동안 컬럼에 들어가는 질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52
은 흡착 단계 동안 공급 원료와 함께 들어가는 질소의 몰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53
는 정화 단계 동안 컬럼에 들어가는 질소의 몰수를 나타낸다.
이들 값들은 본 방법의 안정화 후 완전한 순환에 걸쳐서 결정된다.
회수된 질소의 순도는 97.6 mol%이다.
질소의 회수도는 63.4%이다.
이들 결과들은 MIL-100(Fe)과 같은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들이 탄화수소, 특히 프로필렌에 대한 동적 흡착 용량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는 산업적 적용에 적합한 압력 범위 전체에 걸쳐서 높다(적어도 3 mmol/g 초과).
또한, 만약 실시예 1에 기술된 대로 고순도 질소를 이용한 흡착 단계 이후 병류 감압 단계 및 역류 정화가 수행되는 경우, 이들 결과들은 MIL-100(Fe)과 같은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들이 매우 효율적으로, 즉 매우 높은 수준의 순도(> 95%) 및 80% 초과의 회수도를 가지며 탄화수소로부터 질소를 분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3) 실시예 3: MIL -125( Ti )_ NH 2 또는 UiO -66( Zr )상의 평형의 측정
도 8은 70℃에서 MIL-125(Ti)_NH2상의 질소에 대한 흡착 등온선 및 프로필렌에 대한 흡착 등온선(검은색 점) 및 탈착 등온선(흰색 점) 사이의 비교를 나타내며, 이의 특성들은 다음 표 10에 나타나있다.
도 9는 70℃에서 UiO-66(Zr)상의 질소에 대한 흡착 등온선 및 프로필렌에 대한 흡착 등온선(검은색 점) 및 탈착 등온선(흰색 점) 사이의 비교를 나타낸다.
MIL-125(Ti)_NH2 UiO-66(Zr)
흡착제의 형태 분말 분말
공극률 0.59 cc/g 0.8 cc/g
BET 비표면적 1450 m2/g 1350 m2/g
70℃에서 기체 압력의 조절(0-5 bar)과 함께 IGA(Intelligent Gravimetric Analyzer, Hiden Analytical Ltd.) 형태의 장치를 사용하여 흡착 등온선이 측정되었다. 흡착 측정을 수행하기 전에 진공(< 10-5 torr)하 200℃에서 12시간 동안 흡착제(30 mg)의 샘플들을 탈수하였다.
MIL-125(Ti)_NH2상의 1 bar abs. 및 70℃에서 프로필렌/질소 선택성이 47.2인 것이 이들 등온선들로부터 나타났다.
UiO-66(Zr)상의 1 bar abs. 및 70℃에서 프로필렌/질소 선택성이 33.4인 것이 이들 등온선들로부터 나타났다.

Claims (17)

  1. 질소 및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공급 원료(1)로부터, 한편으로는, 순도 ≥ 95 mol%를 갖는 질소 분획(2), 및 다른 한편으로는, 탄화수소가 농축된 분획(3)의 생산을 위한 순환 방법으로, 각 순환은 다음 단계들:
    i) 상기 공급 원료(1)를 공급 단부 및 생성 단부를 구비하고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들로부터 선택된 고체 흡착제를 포함하는 흡착층과 접촉시키는 단계로, 상기 접촉 작업은 압력 P1 ≥ 0.1 MPa 및 온도 T1 ≥ 0℃ 하에서 수행되는 것인 단계;
    ii) 흡착층의 생성 단부에서 순도 ≥ 95 mol%를 갖는 제 1 질소 분획(2)을 회수하는 단계;
    iii) 흡착층의 생성 단부에서 순도 ≥ 95 mol%를 갖는 제 2 질소 분획(2)을 회수하기 위해 흡착층을 압력 P2  < P1 (여기서 P2 ≥ 0.1 MPa)에 이르기까지 병류(cocurrentwise) 감압하는 단계;
    iv) 흡착층으로부터 탄화수소를 탈착하고 흡착층의 공급 단부에서 탄화수소가 농축된 제 1 분획(3)을 회수하기 위해 흡착층을 압력 P3  < P2 (여기서 0.05 MPa ≤ P3 ≤0.006 MPa)에 이르기까지 역류(countercurrentwise) 감압하는 단계;
    v) 흡착층의 공급 단부에서 탄화수소가 농축된 제 2 분획(3)을 회수하기 위하여 압력 P3 하에서 순도 ≥ 95 mol%를 갖는 질소 분획(2)을 사용하여 흡착층을 역류(countercurrentwise) 정화하는 단계;
    vi) 순도 ≥ 95 mol%를 갖는 질소(2)를 사용하여 또는 공급 원료(1)와 함께 흡착층을 압력 P1까지 역류(countercurrentwise) 재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흡착제는 탄화수소에 대하여 50℃에서의 0.25 MPa 내지 0.05 MPa에서 적어도 3 mmol/g의 동적 용량 및 질소에 대하여 50℃에서의 0.25 MPa 내지 0.05 MPa에서 0.50 mmol/g 이하의 동적 용량을 가지는 것인 순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탄화수소는 1개 내지 20개 탄소 원자들,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10개 탄소 원자들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5개 탄소 원자들을 포함하는 선형 또는 가지형 알칸 또는 알켄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프로판 또는 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는 MIL 그룹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MIL-100(Fe), MIL-125(Ti) 또는 MIL-125(Ti)_NH2로부터, 또는 Cu-BTC 또는 UiO-66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i)의 공급 원료(1)를 흡착층과 접촉시키는 단계는 0.1 MPa 내지 1 MPa, 바람직하게는 0.2 MPa 내지 0.5 MPa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0.25 MPa의 압력 P1 및 0℃ 내지 100℃ 및 바람직하게는 대략 5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병류(cocurrentwise) 감압 단계 iii)은 0.2 MPa 내지 0.1 MPa, 바람직하게는 0.15 MPa 내지 0.1 MPa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0.1 MPa의 압력 P2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압 단계 iv)는 진공 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압 단계 iv)는 0.05 MPa 내지 0.01 MPa, 바람직하게는 0.05 MPa 내지 0.025 MPa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0.04 MPa의 압력 P3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압 단계 iv)를 수행하기 전, 탄화수소로 흡착층을 포화시키고 단계 iv)의 종결시에 순도 ≥ 90 mol%을 갖는 탄화수소가 농축된 분획(2)을 회수하기 위하여 탄화수소가 농축된 분획(2)의 일부가 공급 단부를 통해 흡착층에서 재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감압 단계 iv)가 0.05 MPa 내지 0.006 MPa, 바람직하게는 0.03 MPa 내지 0.006 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MPa 내지 0.006 MPa 및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0.01 MPa의 압력 P3 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순도 ≥ 95 mol%를 갖는 질소의 회수도가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순도 ≥ 90 mol%를 갖는 탄화수소의 회수도가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급 원료(1)가 적어도 30 mol%의 질소 및 최대 70 mol%의 탄화수소,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mol%의 질소 및 최대 30 mol%의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급 원료(1)가 폴리프로필렌의 생산을 위한 공장으로부터 유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프로판 분획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중합에 의해 폴리프로필렌을 생산하는 방법으로, 여기서 중합 단계로부터 기인하는 폴리프로필렌은 폴리프로필렌을 정화하기 위하여 질소 충전이 주입되는 기체/고체 분리기를 사용하여 중합 동안 반응하지 않은 프로필렌 및 프로판으로부터 분리되며, 이는 질소/프로필렌/프로판 혼합물의 형성을 야기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질소/프로필렌/프로판 혼합물이 회수되며, 한편으로는 순도 ≥ 95 mol%를 갖는 질소 분획, 다른 한편으로는 프로필렌 및 프로판이 농축된 분획을 생산하기 위하여 제 2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단계들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흡착층을 탄화수소로 포화시키고 단계 iv)의 종결시에 순도 ≥ 90 mol%을 갖는 프로필렌 및 프로판이 농축된 분획을 회수하기 위하여, 프로필렌 및 프로판이 농축된 분획의 일부가 공급 단부를 통해 흡착층에서 재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 반응물로서 프로필렌 주입을 가능하게 하는 주입구를 갖는 중합 반응기로, 상기 프로필렌은 프로판 분획 및 중합에 필요한 다른 원료들을 포함하는 것인 중합 반응기;
    - 중합 반응으로부터 기인한 고체 폴리프로필렌 및 반응하지 않은 프로필렌/프로판 혼합물을 수용하는 중합 반응기의 배출구에 위치한 기체/고체 분리기로, 상기 기체/고체 분리기는 추가적으로:
    - 고체 폴리프로필렌을 탈기하기 위한 질소 주입을 가능하게 하는 주입구;
    - 질소/프로필렌/프로판 기체 혼합물을 위한 배출구(A); 및
    - 고체 폴리프로필렌을 회수하기 위한 배출구(B)
    를 포함하는 것인 기체/고체 분리기;
    - 다공성 하이브리드 고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흡착제 컬럼으로, 상기 컬럼은 한편으로는 순도 ≥ 95 mol%를 갖는 질소 및 다른 한편으로는 프로필렌 및 프로판이 농축된 혼합물을 생산하기 위해 질소/프로필렌/프로판 기체 혼합물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인 흡착제 컬럼을 포함하는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흡착층을 탄화수소로 포화시키고 순도 ≥ 90 mol%을 갖는 프로필렌 및 프로판의 분획을 회수하기 위하여, 흡착제 컬럼에서 프로필렌 및 프로판이 농축된 혼합물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57003444A 2012-07-09 2012-07-09 질소 및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공급 원료로부터 고순도 질소 및 선택적으로 고순도 탄화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순환 방법 KR102026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FR2012/051623 WO2014009611A1 (fr) 2012-07-09 2012-07-09 Procédé cyclique de production d'azote de haute pureté et éventuellement d'hydrocarbure de haute pureté à partir d'une charge contenant de l'azote et un hydrocarb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178A true KR20150087178A (ko) 2015-07-29
KR102026884B1 KR102026884B1 (ko) 2019-09-30

Family

ID=4665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3444A KR102026884B1 (ko) 2012-07-09 2012-07-09 질소 및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공급 원료로부터 고순도 질소 및 선택적으로 고순도 탄화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순환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44750B2 (ko)
EP (1) EP2869908B1 (ko)
KR (1) KR102026884B1 (ko)
PT (1) PT2869908T (ko)
WO (1) WO20140096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74132A1 (it) * 2017-07-03 2019-01-03 Ecospray Tech Srl Sistema e metodo di filtraggio per gas
KR20230019416A (ko) * 2020-03-31 2023-02-08 누맷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변형된 금속 유기 프레임워크(mof)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CN112742163B (zh) * 2020-12-22 2023-03-10 海南大学 一种基于亚铜-炔基化学的MOFs材料在乙炔/二氧化碳分离中的应用
EP4272862A1 (en) * 2022-05-05 2023-11-08 Clariant International Ltd Adsorbent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pyrolysis oi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02478A1 (en) * 2001-10-12 2003-04-16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Recovery of olefin monomers
WO2009007436A1 (en) * 2007-07-12 2009-01-15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nitrogen from a mixed nitrogen and methane containing stream by using a metal organic framework
KR20090091327A (ko) * 2006-12-22 2009-08-27 아이에프피 가압된 co2 스트림의 공동 생성이 수반되는 수소 흡착 정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02478A1 (en) * 2001-10-12 2003-04-16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Recovery of olefin monomers
KR20090091327A (ko) * 2006-12-22 2009-08-27 아이에프피 가압된 co2 스트림의 공동 생성이 수반되는 수소 흡착 정제 방법
WO2009007436A1 (en) * 2007-07-12 2009-01-15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nitrogen from a mixed nitrogen and methane containing stream by using a metal organic frame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58489A1 (en) 2015-09-17
PT2869908T (pt) 2018-12-18
EP2869908B1 (fr) 2018-09-12
EP2869908A1 (fr) 2015-05-13
US9844750B2 (en) 2017-12-19
WO2014009611A1 (fr) 2014-01-16
KR102026884B1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7772B2 (en) Inorganic-organic hybrid nanoporous material with nitrogen selective adsorptivity and method for separating nitrogen-containing gas mixture using the same
JP6633080B2 (ja) 吸着材料および使用方法
CA2990793C (en) Methods of removing contaminants from a hydrocarbon stream by swing adsorption an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s
Guo et al. Scalable solvent-free preparation of [Ni3 (HCOO) 6] frameworks for highly efficient separation of CH4 from N2
Ferreira et al. Methane purification by adsorptive processes on MIL-53 (Al)
KR100896455B1 (ko) 압력변동흡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소 정제 방법
EP2680944A1 (en) Pressure-temperature swing adsorption process
JP2009521320A (ja) 圧力スイング吸着におけるmofの使用
Wang et al. Methane separation and capture from nitrogen rich gases by selective adsorption in microporous Materials: A review
Qian et al. An improved vacuum pressure swing adsorption process with the simulated moving bed operation mode for CH4/N2 separation to produce high-purity methane
KR20180042143A (ko) 분자내 산무수물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 이를 포함하는 흡착용 조성물 및 이의 탄화수소 기체 혼합물의 분리 용도
US10092875B2 (en) Removal of contaminants from gas using zeolite SSZ-36, zeolite SSZ-39, or zeolite SSZ-45
KR102026884B1 (ko) 질소 및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공급 원료로부터 고순도 질소 및 선택적으로 고순도 탄화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순환 방법
Ma et al. Carbon monoxide separation: past, present and future
CN110813022A (zh) 多床快速循环动力学psa
Grande PSA technology for H2 separation
KR20160045223A (ko) 결정성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 흡착제의 올레핀 및 아세틸렌 함유 혼합기체의 분리 정제 방법
US10259711B2 (en) Pressure swing adsorption for oxygen production
KR102090173B1 (ko) 결정성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 흡착제의 올레핀 및 아세틸렌 함유 혼합기체의 분리 정제 방법
KR102583047B1 (ko) 메탄 선택성 흡착제 및 이를 이용한 메탄의 선택적 분리방법
CN115947949B (zh) 一种多孔金属有机骨架材料及其合成方法,吸附剂及提纯乙烯的方法
Ferreira High-purity oxygen production by VPSA
Wawrzyn’czak 3 Adsorption technology
Epiepang Mixed-Cation Zeolites with Minimum Lithium and Silver for Air Separation
Wawrzyńczak Adsorption technology for CO2 cap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