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6705A - Removable container type auto warehouse - Google Patents

Removable container type auto wareho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705A
KR20150086705A KR1020140006699A KR20140006699A KR20150086705A KR 20150086705 A KR20150086705 A KR 20150086705A KR 1020140006699 A KR1020140006699 A KR 1020140006699A KR 20140006699 A KR20140006699 A KR 20140006699A KR 20150086705 A KR20150086705 A KR 20150086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warehouse
automatic
logistics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6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88567B1 (en
Inventor
권영종
이종석
심승원
Original Assignee
권영종
이종석
심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종, 이종석, 심승원 filed Critical 권영종
Priority to KR1020140006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567B1/en
Publication of KR20150086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7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5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0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relatively movable racks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container type automatic warehouse and, specifically, wherein an automatic warehouse generated to be a container type in a factory is loaded in a truck to be transported to a desired position through driving on a road to be used, and in case of necessity, which is conveniently transferred to another place to be used and realizing loading and unloading of a product to be totally autom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matic warehouse, which has a loading rack capable of loading a product in a double stage or more and an automatic stacker unit capable of automatically loading and unloading a product on the loading rack, is generated to be a complete product which is a container type in a factory. The warehouse can be freely moved to be installed to be used regardless of a place. A long length of a product is put to be inclined on an inclination support formed in a product tray.

Description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형 자동 물류창고{Removable container type auto warehouse}[0001] Removable container type auto warehouse [0002]

본 발명은 공장에서 컨테이너 형태로 생산한 자동 물류창고를 화물차에 적재하여 도로 운행을 통해 원하는 장소로 운송하여 사용하고, 필요시 간편하게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사용하면서도 물류의 적재·하역을 완전한 자동화로 구현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a logistics warehouse by loading and unloading a logistics warehouse in a freight car by transporting the warehouse to a desired place through road operation, It is about new technology.

일반적으로 물류창고라 함은 공장 또는 생산지에서 대량으로 생산된 각종 식료품, 음료, 의류, 가전, 잡화 및 산업용품 등의 일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물품들을 일시 또는 장기간 적재 보관하기 위한 저장창고를 말한다.Generally, a warehouse refers to a warehouse for storage of all goods used in everyday life such as various kinds of foodstuffs, beverages, clothes, home appliances, miscellaneous goods and industrial goods mass produced in a factory or a production site temporarily or for a long time.

즉, 물류창고는 공장 등에서 대량 생산된 각종 물품들을 일시 또는 장기적으로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이러한 물류창고는 물류의 단순한 관리차원을 벗어나 물품의 배치나 입출 및 재고관리 등의 신속한 처리와 적재공간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각종 보관기구로 구성되어 있다.In other words, the logistics warehouse is used to store various products mass-produced in a factory or the like for a long time or for a long period of time. Such a logistics warehouse can be used not only for simple management of logistics but also for quick processing such as placement, It is composed of various storage facilities for efficient management.

상기와 같은 물류창고는 최근 물류산업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물류의 관리차원에서 벗어나 물류 창고 내 보관재고의 물품배치에서부터 효율적인 입·출하는 물론 재고관리 등의 새로운 비즈니스의 창출을 도모하는 바, 이러한 물류창고는 대량으로 생산된 물품의 보다 신속한 입·출하와 더불어 물류 적재공간의 보다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대량의 물류가 가능하도록 설계 및 시공되고 있다.Due to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the logistics industry, the above-mentioned logistics warehouse is devoted not only to the management of the logistics but also to the creation of new business such as inventory placement in the warehouse, effective input / Logistics warehouses are being designed and constructed to allow massive logistics through more efficient use of logistics space as well as faster entry and shipment of mass produced goods.

한편, 상기 물류창고의 설계 및 운용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셀(cell)이 일정 규격으로 형성된 적재 랙에 물품을 입·출고시키는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을 통해 물품을 보관함으로써 1실 1물품 방식으로 운용된다.Meanwhile, i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warehouse, generally, a plurality of cells are stored in a stacker crane through which a product is loaded and unloaded into a stacking rack having a predetermined size, .

이때, 자동물류창고 시스템의 구성은 데이터를 관리 및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부, 각각의 셀(cell)에 물품을 보관하는 적재 랙(rack) 및 적재 랙에 물품을 입·출고하는 스태커 크레인으로 구성되어 산업계 전반의 원자재, 반제품 및 완제품까지 보관이 가능한 시스템이다.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distribution warehouse system is composed of a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data and facilities, a stacking rack for storing articles in each cell, and a stacker crane for loading and unloading articles in a stacking rack It is a system that can store raw materials, semi-finished products and finished products throughout the industry.

상기와 같은 자동물류창고 시스템의 구성에서 적재 랙 구조물은 포스트나 로드빔 및 타이빔을 연속적으로 시공하여 운송수단이 통과할 수 있는 일정 크기의 통로구간을 형성한 다음, 스태커 크레인 등이 통로구간을 이동하면서 적재 랙의 각 셀(cell)에 물품을 적재 보관하거나 또는 각 셀(cell)에 적재 보관된 물품을 원하는 개소로 이동시키는 것이다.In 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automated warehouse system, the post rack, the load beam, and the tie beam are successively installed to form a passage s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rough which the transportation means can pass, and then the stacker crane, It is necessary to move the articles stored in each cell of the stacking rack to a desired position or move the articles stored in each cell to a desired position.

상기와 같은 물류창고에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특허등록 제0843308호, 명칭/ 화물 자동화창고」가 제안되고 있다.As a prior art related to such a warehouse as described above, "Patent Registration No. 0843308, name / cargo automation warehouse" is proposed.

상기 선행기술은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기둥이 2개인 2-기둥형으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랙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랙의 폭방향 중앙부에 설치되는 가새의 지점간 거리를 축소시킴으로써 특히 H빔 등의 강재, 강관, 강판, 선박제조용 후판 또는 해상운반용 컨테이너 등과 같이 길이가 긴 화물들을 효율적으로 안정되게 보관할 수 있음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has a simple structure of a two-column type having two pillars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can secur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rack.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nd stably store long-length cargoes such as H beams, steel pipes, steel plates, shipbuilding plates or marine containers for transportation.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을 포함하는 종래의 여타 모든 물류창고는 필요한 장소에 현장시공을 통해 시설해야하는 건축시설물의 개념으로, 이동이 불가한 것이었다.However, all other conventional warehouses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are inevitable to move due to the concept of building facilities to be installed through site construction at necessary places.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의 물류창고가 내포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물류의 2단 적재가 가능한 적재 랙과 상기 적재 랙에 물류를 자동으로 적재·하역할 수 있는 자동 스태커유닛이 동시에 구비된 자동 물류창고를 컨테이너 형태로 공장에서 완제품으로 생산하여 필요한 장소에 이동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ositively solve various problems contained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logistics warehou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ing rack capable of loading two stages of logistics, an automatic stacker capable of automatically loading and unloading the logistics in the loading rack,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distribution warehouse having units at the same time, which can be produced as a finished product from a factory in a container form, and can be installed and used in a required pla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스태커유닛을 선택적으로 승하강 하면서 상기 물류 트레이를 2단 구조의 적재레일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bove-mentioned automatic stacker unit is selectively lifted and lowered, so that the above-mentioned production trays can be position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two-stag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물류 트레이에 형성된 경사 받침대에 길이가 긴 물류를 경사상태로 올려 놓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lting pedestal formed on the distribution tray, wherein a long length of the log is inclined.

또한, 본 발명은 도로교통법에 저촉을 받지 않는 높이를 갖는 자동 물류창고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한 후 상기 자동 물류창고의 상부 개방부에 분할 제작된 별도의 층고 확장커버를 현장조립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matic warehouse having a height not incompatible with the Road Traffic Act is moved to a desired place, and a separate floor cover extend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automatic warehouse can be installed on-site. As a solution to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동 물류창고의 내부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적재 랙을 설치하고, 상기 적재 랙의 전방에 형성된 반송로에는 이동레일을 타고 이동하면서 물류를 적재·하역하는 자동 스태커유닛을 안착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tacking racks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side of an automatic distribution warehous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distance therebetween, and a transporting route formed in front of the stacking rack is moved Find a technique to seat and install an automatic stacker unit for loading and unloading logistics.

또한, 본 발명의 자동 스태커유닛은 베이스판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의 양단에 결합된 구동 스프라켓을 수직 포스트에 부착된 고정체인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설치된 한 쌍의 트레이 가이드레일에는 물류 트레이를 안착하는 기술을 강구한다.In the automatic stack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ive sprocket coupled to both ends of a drive shaft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is coupled with a fixed chain attached to a vertical post, and a pair of tray guides Techniques for seating the logistics trays on the rails are also sugges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판의 후방 상부에 트레이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트레이 운반체인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트레인 운반체인에 부착된 한 쌍의 견인구는 물류 트레이의 상단에 이격 설치된 한 쌍의 걸림바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ray conveying chain that rot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ray motor is rotatably installed at a rear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nd a pair of drawers attached to the train conveying chain Take a technique to pull the jaw bar of the pai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물류창고의 상부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부의 상단에 분할 제작된 층고 확장커버를 현장조립으로 일체화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ique for forming an opening por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above-mentioned automatic warehouse and integrally installing a floor height expansion cover formed by division on the upper part of the open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물류의 2단 적재가 가능한 적재 랙과 상기 적재 랙에 물류를 자동으로 적재·하역 가능한 자동 스태커유닛이 동시에 구비된 자동 물류창고를 컨테이너 형태로 공장에서 완제품으로 생산함으로써 상기 완제품의 자동 물류창고를 화물차에 적재하여 도로 운행을 통해 원하는 장소로 운송하여 별도의 건축시공 없이 바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필요시 다른 장소로 이동 재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신속성, 편의성의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mated warehouse having both a loading rack capable of two-stage loading of goods and an automatic stacker unit capable of automatically loading and unloading the goods into the loading rack is produced as a finished product in a factory in a container form, The automatic warehouse is loaded on a freight car, and it is transported to a desired place through road operation, and it is used immediately without any additional construction, and also provides the effect of promptness and convenience that can be relocated to another place when necessar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스태커유닛을 이용하여 물류를 자동으로 반송 및 승하강 하면서 2단 구조의 적재 랙 중 원하는 개소에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는 일련의 작업을 완전 자동화로 구현함으로써 불필요한 시간과 인력을 감축하여 운용성 및 유지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a series of operations that can be loaded or unloaded at a desired position among the stacking racks of a two-stage structure while automatically conveying and elevating and lowering the goods using the automatic stacker unit, thereby realizing unnecessary time and manpower , Thereby reducing operability and maintenance cost.

또한, 본 발명은 자동 물류창고가 도로교통법에 저촉을 받지 않는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자동 물류창고를 원하는 장소로 원활하게 운송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상기 자동 물류창고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부에 분할 제작된 별도의 층고 확장커버를 현장조립으로 설치함으로써 부족한 층고를 간편하게 확장하여 물류를 2단으로 적재하면서 적재효율을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automatic warehouse is formed at a height that is not affected by the Road Traffic Act,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nvenience of being able to smoothly transport the automatic warehouse to a desired place, and at the same time, By installing a separately produced floor cover to be installed on-site, it is possible to easily extend the deficient floor cover, thereby improving the loading efficiency while loading the products in two stage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컨테이너형 자동 물류창고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컨테이너형 자동 물류창고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형 자동 물류창고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 스태커유닛이 승강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자동 스태커유닛의 설치상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자동 스태커유닛의 설치상태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리프팅 모터, 구동축 및 수직포스트의 설치상태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리프팅 모터의 동력연결상태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트레이 투입/인출장치의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물류 트레이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트레이 운반체인, 견인구 및 물류 트레이의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승하강 가이드장치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 승하강 가이드장치의 설치상태 평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층고 확장커버가 현장조립되는 상태의 측단면도
1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type automatic warehous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plan view of the container-type automated ware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type automated ware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automatic stack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fted and lowered
5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the automatic stack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the automatic stack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lifting motor, the drive shaft, and the vertical pos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of the lifting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the tray input /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ventive logistics tray
11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pulling port and the delivery tray, which are the tray carrier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view of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lifting / lowering guid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lifting / lowering guid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floor cover expansion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실시 예로 자전거 보관을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i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자동 물류창고(100), 사각구조의 틀프레임(200), 자동 스태커유닛(300), 트레이 투입/인출장치(400)의 구성요소로 대분됨을 확인할 수 있다.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a component of an automatic warehouse 100, a rectangular frame frame 200, an automatic stacker unit 300, and a tray input /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divided.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chematic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facilitating the implementation.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자동 물류창고(100)는 컨테이너의 형태로 공장에서 완제품으로 생산함으로써 이를 도로교통법에 저촉받지 않으면서 원하는 장소로 운송하여 별도의 건축시공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내부에는 물류를 2단으로 적재할 수 있는 적재 랙(110)과, 물류를 원하는 개소로 반송 및 승하강 하면서 적재·하역할 수 있는 자동 스태커유닛(300)이 모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First of all, the automatic warehous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as a finished product in the form of a container in the form of a container, which is transported to a desired place without being in conflict with the Road Traffic Act and can be used immediately without any additional construction, , And an automatic stacker unit 300 capable of stacking and unloading while conveying and moving up and down to a desired position.

이를 위한 자동 물류창고(1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내부 일측에 다수의 적재 랙(110)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설치되고, 상기 적재 랙(110)의 전방에 형성된 반송로(120)에는 상기 자동 스태커유닛(300)을 필요한 개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이동레일(130)이 이격 설치되며, 전면판(101)의 일측에는 물류(W)를 자유롭게 입출할 수 있는 물류 입출로(102)가 형성되며, 상기 물류 입출로(102)에는 자동도어가 설치된다.1 to 3, a plurality of stacking racks 110 are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acking racks 100, and a plurality of stacking racks 110 are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stacking racks 110, A pair of moving rails 130 for moving the automatic stacker unit 300 to a necessary position ar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plate 101 and a load And an automatic door is provided on the goods-in /

여기에서 상기 적재 랙(110)은 동일면적 대비 더 많은 대수의 물류(W)를 보관할 수 있도록 상하 2단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앵글(111)은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전후 방향으로 다수개가 이격 설치되고, 상기 수직앵글(111)의 상하에는 각각 삼각형태의 보강앵글(112)이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보강앵글(112)의 양단에는 물류 트레이(360)가 안착되는 앵글형의 적재레일(113)이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일체로 연결 설치된다.Here, the loading rack 110 has a two-tiered structure so as to store a greater number of logarithms W of the same area, and a plurality of vertical angles 111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acking rack 110 are shown in FIGS. 3, a plurality of triangular reinforcing angles 112 are integrally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vertical angle 111, and a plurality of trays 360 (see FIG. 3)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angle 112, Shaped mounting rails 113 are mounted integrally so as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따라서 상기 적재 랙(110)의 사이사이에 마주하는 한 쌍의 적재레일(113)에는 물류 트레이(360)를 슬라이딩 투입하여 적재할 수 있고, 상기 물류 트레이(360)는 슬라이딩 이동시 적재레일(113)에 안착되면서 마찰저항을 방지하는 마찰방지대(363)가 양측에 절곡 형성된 휨 방지부(362)의 저면에 일체로 부착된다.Therefore, the distribution tray 360 can be slidably loaded on a pair of stacking rails 113 facing each other between the stacking racks 110, and the distribution tray 360 can be stacked on the stacking rails 113, A friction preventive band 363 for preventing frictional resistance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ending prevention portion 362 formed on both sides.

상기 반송로(120)에 설치된 이동레일(130)에는 사각구조의 틀프레임(200)이 안착됨으로써 상기 틀프레임(200)은 공지의 X축 이동장치의 동력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레일(130)을 타고 반송로(120)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 rectangular frame frame 200 is seated on the movable rail 130 installed on the conveying path 120 so that the frame frame 200 is moved along the movable rail 130 using a power source of a known X- The transfer path 120 can freely move.

이와 같은 틀프레임(200)은 상하로 이격된 한 쌍의 사각프레임(201)의 사방에 수직포스트(202)가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사각구조의 틀을 형성하고, 하측에 위치하는 사각프레임(201)의 하단에는 상기 이동레일(130)에 안착되어 이동하는 이동롤러(204)가 일체로 부착된다.The frame frame 200 has a square frame 201 formed by vertically connecting a pair of vertically spaced square frames 201 on the four sides of the square frame 201, A moving roller 204 which is seated on the moving rail 130 and moves is attached integrally.

상기 틀프레임(200)의 내측에는 물류(W)를 원하는 개소로 반송 및 승하강 하면서 자동으로 적재·하역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스태커유닛(300)이 구비된다.An automatic stacker unit 300 is provided inside the frame 200 to automatically load and unload the goods W to and from a desired location.

이를 위한 자동 스태커유닛(300)은 상기 틀프레임(200)의 내측에 베이스판(310)이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판(310)의 중앙에는 승하강 모터(320)가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 모터(320)의 선택적인 정역회전 작동에 따라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축(330)(330a)이 상기 베이스판(3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330)(330a)의 양단에 결합된 구동 스프라켓(331)(331a)은 상기 수직포스트(202)의 마주하는 내면에 부착된 고정체인(34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승하강 모터(320)의 정역회전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체인(340)을 타고 상하로 이동하는 구동 스프라켓(331)(331a)에 의해 상기 자동 스태커유닛(300)은 승하강할 수 있게 된다.The automatic stacker unit 300 includes a base plate 310 disposed inside the frame 200 and a lifting motor 320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310. The lifting / A pair of drive shafts 330 and 330a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310 to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ve normal rotation operation of the drive shaft 330 and the drive shaft 330, The driving sprockets 331 and 331a coupled to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fixed chain 340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post 202 facing the vertical post 202, The automatic stacker unit 300 can be lifted and lowered by the drive sprockets 331 and 331a moving up and down on the fixed chain 340.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310)의 상부면 전후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레일 받침대(351)가 직립 설치되고, 상기 레일 받침대(351)의 상단에는 물류 트레이(360)의 양측을 받쳐주는 한 쌍의 트레이 가이드레일(350)이 상호 이격상태로 설치된다.A plurality of rail supports 351 are installed upright on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ir of rails 351 supporting the both sides of the distribution tray 360 are mounted on the upper ends of the rail supports 351 The tray guide rails 35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따라서 상기 트레이 가이드레일(350)에 안착된 물류 트레이(360)는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적재 랙(110)의 사이사이로 투입되거나 상기 적재레일(113)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 가이드레일(350)의 상부로 인출될 수 있게 된다.The tray 360 mounted on the tray guide rail 350 is selectively inserted between the stacking racks 110 while being slidingly moved or mounted on the stacking rail 113,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자동 스태커유닛(300)을 구성하는 승하강 모터(320)는 모터축(321)이 상기 베이스판(310)의 상단에 부착된 프론트판(311) 및 센터판(312)을 동시에 관통하는 원동축(313)과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원동축(313)에 설치된 원동기어(314)는 상기 프론트판(311) 및 센터판(312)을 동시에 관통하여 설치된 종동축(315)의 종동기어(316)와 치합 설치된다.The elevating motor 320 constituting the automatic stacker unit 3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otor shaft 321 simultaneously passes through the front plate 311 and the center plate 312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base plate 310 The driving gear 314 provided on the driving shaft 313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313. The driving gear 314 provided on the driving shaft 313 is connected to the driven gear 314 of the driven shaft 315 provided on the front plate 311 and the center plate 312, (316).

그리고 상기 원동축(313) 및 종동축(315)은 상기 구동축(330)(330a)과 각각 체인(317)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330)(330a)은 센터판(312)을 관통한 상태로 양측이 각각 프론트판(311) 및 리어판(318)(318a)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The driving shaft 330 and the driven shaft 315 are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330 and the chain 330 by a chain 317. The driving shaft 330 and the driving shaft 330a pass through the center plate 312 Both sides of which are rotatably installed through the front plate 311 and the rear plates 318 and 318a.

따라서 상기 승하강 모터(320)의 회전동력은 원동축(313) 및 체인(317)을 통해 일측의 구동축(330a)으로 전달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원동축(313)의 회전동력은 원동기어(314)와 치합된 종동기어(316) 및 체인(317)을 통해 타측의 구동축(330)으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구동 스프라켓(331)(331a)은 고정체인(34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자동 스태커유닛(300)은 승하강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rotational power of the up / down motor 320 is transmitted to the one drive shaft 330a through the drive shaft 313 and the chain 317. At the same time,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e shaft 313 is transmitted to the drive gear 314 The drive sprockets 331 and 331a ar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fixed chain 340 by being transmitted to the drive shaft 330 through the chain 317 and the driven gear 316 coupled to the automatic stacker unit 330. [ (300) can ascend and descend.

이때 상기 구동 스프라켓(331)(331a)이 수직포스트(202)를 타고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체인(340)이 설치된 부분에 압축하중이 작용하면서 상기 수직포스트(202)가 외향으로 휘어지는 현상이 우려되므로 이를 적극적으로 해소하는 승하강 가이드장치(500)의 기술구성이 상기 베이스판(310)의 전후 양측에 각각 추가로 접목된다.At this time, a phenomenon that the vertical post 202 is bent outward while a compression load is applied to a portion where the fixed chain 340 is installed in the process of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driving sprocket 331, 331a, The technical construction of the lifting / lowering guide apparatus 500 that positively resolves this problem is additionally attached to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ase plate 310, respectively.

이를 위한 승하강 가이드장치(500)는 고정체인(340)이 부착된 수직포스트(202)의 타측 외면을 타고 이동하는 상하 한 쌍의 가이드롤러(501)가 롤러 하우징(502)의 상하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롤러 하우징(502)의 상하를 관통하는 하우징 고정구(503)는 베이스판(310)에 부착된 프론트판(311)에 일체로 부착됨으로써 상기 구동 스프라켓(331)(331a)은 고정체인(340)에서 탈선하지 않고 정확하게 상하로 이동하면서 자동 스태커유닛(300)을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수직포스트(202)에 가해지던 횡방향의 하중을 차단하여 수직포스트(202)의 휨 발생을 억제하고, 상기 수직포스트(202)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Up and down guide device 500 includes a pair of upper and lower guide rollers 501 which are mov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post 202 to which the fixed chain 340 is attached, And the housing fixture 503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oller housing 502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front plate 311 attached to the base plate 310 so that the drive sprockets 331, And moves up and down the automatic stacker unit 300 while moving precisely up and down without deviating from the fixed chain 340. In this way, the lateral load applied to the vertical posts 202 is blocked, 202, and the size of the vertical posts 202 can be reduced.

한편, 본 발명의 물류 트레이(360)는 길이가 긴 물류를 경사상태로 올려 놓을 수 있도록 도 10과 같이 경사 받침대(361)가 일체로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0, the inclined support 361 is integrally installed in the delivery tray 360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long-length goods can be inclined.

이와 같은 경사 받침대(361)는 물류 트레이(360)의 상부면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물류 트레이(360)의 상부면에 일체화 부착되는 수평부(364)와, 상기 수평부(364)의 선단에 경사상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경사부(366)의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부(366) 및 수평부(364)의 상부면에는 물류(W)를 삽입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물류 삽입지지홈(363)이 함몸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삽입지지홈(363)의 형상은 보관되는 물류(W)의 형태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The inclined pedestal 361 is integral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oduct trays 360 and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364 integral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duct trays 360, And an inclined portion 366 extending in an inclined direction at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364.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366 and the horizontal portion 364 are formed with an inclined portion 366, And the shape of the insertion support groove 363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goods W to be stored.

그리고 상기 수평부(364)의 상부면 선단에는 경사 상태로 올려지는 물류가 밀리지 않도록 막아주는 밀림방지턱(368)이 추가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물류(W)는 밀리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Further, the forward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364 is further protruded to form a protrusion 368 for preven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logarithmically upward movement of the logarithm W so that the logarithm W can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without being pushed.

따라서 상기 수평부(364)와 경사부(366)로 구성된 경사 받침대(361)는 길이가 컨테이너의 절반 폭(1.5M) 이상되는 물품의 보관시 도 2와 같이 보관된 물품(W)과 반출입되는 물류가 교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inclined support 361 composed of the horizontal part 364 and the inclined part 366 is moved in and out of the stored article W as shown in FIG. 2 when the length of the article is more than half the width (1.5M) It plays a role to enable the logistics to be interchanged.

이로 인해 자동 물류창고(100)의 전체적인 폭(너비)에 효율적으로 대응하여 공간활용도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pe with the overall width (width) of the automatic warehouse 100, thereby improving the space utiliza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물류를 경사상태로 받침 지지하는 기술이 접목됨으로써 자동 물류창고(100)의 전후 방향의 폭을 줄여주어 상기 자동 물류창고(100)를 다른 곳으로 이동할 때 도로교통법에 저촉됨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2단 적재를 하면서도 상기 자동 물류창고(100)를 이동할 때에는 도로교통법에 저촉되지 않도록 일시적으로 층고를 낮출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추가로 접목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width of the automatic distribution warehouse 100 in the front-back direction by incorporating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for supporting the goods in a tilted state, thereby preventing the automatic distribution warehouse 100 from moving to another place In addition to the above, when moving the automatic warehouse 100 while performing two-stage loading, a technique of temporarily lowering the floor height is also added so as not to conflict with the Road Traffic Act.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자동 물류창고(100)는 일반적인 컨테이너의 규격과 같은 층고를 유지하되 상기 경사상태로 받침 지지된 물류(W)를 승강하여 2단으로 적재할 때 물류(W)가 충돌하지 않는 충분한 층고를 확보할 수 있도록 상부에 개방부(105)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105)의 상단에는 자동 물류창고(100)를 원하는 장소로 운송한 후 상기 개방부(105)를 막아줌과 동시에 경사상태의 물류(W)가 충돌하지 않도록 충분한 층고를 높여주는 층고 확장커버(150)가 현장조립을 통해 일체로 설치된다.The automatic warehousing machine 100 maintains the same height of the general container as that of the normal container, and when the goods W supported and supported in the inclined state are lifted and stacked in two stages, the goods W do not collide An open portion 105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open portion 105 so as to secure a sufficient height of the open space 105. The open portion 105 is closed at the upper end of the open portion 105 after the automatic warehouse 100 is transported to a desired place And a floor cover extension cover 150 for raising a sufficient floor height so as not to collide with the inclined state products W is integrally installed through on-site assembly.

즉 상기 자동 물류창고(100)는 공장에서 확장커버(150)가 분리된 완성품의 형태로 제작하고, 도로교통법에 저촉을 받지 않는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자동 물류창고(100)를 화물차에 탑재하여 법의 제한을 받지 않고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자동 물류창고(100)를 지상에 내려 놓은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105)의 상단에는 분할 제작된 별도의 층고 확장커버(150)를 체결부재(151)로 관통하여 일체로 현장조립하여 사용함으로써 부족한 층고를 간편하게 확장하여 물류를 2단으로 적재하면서 적재효율을 향상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That is, the automatic distribution warehouse 100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finished product in which the expansion cover 150 is separated from the factory, and is formed at a height not incompatible with the Road Traffic Act, so that the automatic distribution warehouse 100 is mounted on a vans A separate stratum expansion cover 15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105 in a state where the automatic warehouse 100 is placed on the ground, 151) to provide a special effect of improving the loading efficiency while easily stacking inadequate storeys and loading the logistics in two stages.

상기 자동 스태커유닛(300)에는 물류 트레이(360)를 적재 랙(110)의 사이사이에 투입하거나 인출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 투입/인출장치(400)가 구비된다.The automatic stacker unit 300 is provided with a tray loading / unloading device 400 for automatically loading and unloading the logistics tray 360 between the loading racks 110.

이를 위한 트레이 투입/인출장치(400)의 기술구성은 베이스판(310)의 후방 상부에 설치된 모터 브라켓(411)에 트레이 모터(410)가 직립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 모터(410)와 이격된 상태로 체인축 브라켓(421)이 베이스판(310)에 설치되며, 상기 체인축 브라켓(4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체인축(420)과 상기 트레이 모터(410)의 모터축에는 트레이 운반체인(430)이 연결된다.The tray input / output device 400 is configured such that a tray motor 410 is installed upright on a motor bracket 411 installed at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310, A chain shaft bracket 421 is installed on the base plate 310 and a chain shaft 420 rotatably installed on the chain shaft bracket 421 and a motor shaft of the tray motor 410 are mounted on a tray carrier 430 ).

아울러 상기 트레이 운반체인(430)은 트레이 가이드레일(350)과 병렬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 운반체인(430)에 부착된 한 쌍의 견인구(431)는 물류 트레이(360)에 형성된 휨 방지부(362)의 상단에 부착된 한 쌍의 걸림돌기(365)(365a)를 선택적으로 견인함으로써 상기 물류 트레이(360)를 적재 랙(110)의 사이사이에 투입하거나 상기 적재레일(113)에 적재된 물류 트레이(360)를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tray conveyor 430 is rotatably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tray guide rail 350 and a pair of drawers 431 attached to the tray conveyor 430 are installed on the tray 360 By selectively pulling a pair of latching protrusions 365 and 365a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formed bending prevention portion 362 to insert the distribution tray 360 between the stacking racks 110, 113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taken out.

여기에서 본 발명의 걸림돌기(365)(365a)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지 않고, 한 쌍의 걸림돌기(365)(365a) 중에는 어느 하나의 걸림돌기(365a)는 다른 하나의 걸림돌기(365)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높게 형성된 걸림돌기(365a)는 적재 랙(110)에 적재된 물류 트레이(360)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트레이 운반체인(430)을 회전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체인축(420)의 상단에 부착된 인출바(440)가 회전할 때 상기 인출바(440)에 제대로 걸리면서 적재레일(113)에 안착상태로 적재된 물류 트레이(360)를 끌어당기면서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locking protrusions 365 and 365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formed at the same height and one of the locking protrusions 365 and 365a has one locking protrusion 365a and the other locking protrusion 365a. And the height of the locking protrusions 365a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chain shaft 420 that rotatably supports the tray carrier 430 in the process of pulling out the delivery tray 360 loaded on the stacking rack 110 When the drawer bar 440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drawer bar 440 rotates, the drawer 440 can be automatically drawn out while pulling the loader tray 360, Provides a special effect.

또한, 상기 트레이 운반체인(430)의 하측에는 처짐을 방지하는 체인 처짐방지대(450)가 설치되고, 상기 체인 처짐방지대(450)는 베이스판(310)에 고정된 받침대(451)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 운반체인(430)의 내측에는 체인 직진가이드(460)가 추가로 설치되는 한편, 상기 체인 직진가이드(460)는 트레이 운반체인(430)이 직진상태로 회전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견인구(431)는 직진 이동하면서 걸림돌기(365)(365a)를 더욱 원활하게 견인하여 물류 트레이(360)의 투입/인출작업의 원활성을 제고한다.A slack prevention member 450 for preventing sagging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tray carrier body 430 and the sagging prevention member 45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a pedestal 451 fixed to the base plate 310, And a chain straightening guide 460 is additionally provided inside the tray carrier 430. The chain straightening guide 460 guides the tray carrier 430 to rotate in a straight state, So that the towing tool 431 traverses the locking projections 365 and 365a more smoothly while moving linearly to improve the original activity of the loading / unloading operation of the distribution tray 360. [

W: 물류 100: 자동 물류창고
102: 물류 입출로 105: 개방부
110: 적재 랙 111: 수직앵글
112: 보강앵글 113: 적재레일
120: 반송로 130: 이동레일
150: 층고 확장커버 200: 틀프레임
202: 수직포스트 204: 이동롤러
300: 자동 스태커유닛 310: 베이스판
311: 프론트판 312: 센터판
313: 원동축 314: 원동기어
315: 종동축 316: 종동기어
317: 체인 318: 리어판
320: 승하강 모터 330, 330a: 구동축
331, 331a: 구동 스프라켓 340: 고정체인
350: 트레이 가이드레일 360: 물류 트레이
361: 경사 받침대 363: 물류 삽입지지홈
364: 수평부 365, 365a: 걸림돌기
366: 경사부 400: 트레이 투입/인출장치
410: 트레이 모터 420: 체인축
430: 트레이 운반체인 431: 견인구
440: 인출바 450: 체인 처짐방지대
500: 승하강 가이드장치 501: 가이드롤러
502: 롤러 하우징 503: 하우징 고정구
W: Logistics 100: Automatic logistics warehouse
102: Logistics in / out passage 105:
110: Loading rack 111: Vertical angle
112: Stiffening angle 113: Stacking rail
120: conveying path 130: moving rail
150: floor cover extension cover 200: frame frame
202: vertical post 204: moving roller
300: Automatic stacker unit 310: Base plate
311: Front plate 312: Center plate
313: a driving shaft 314: a driving gear
315: a driven shaft 316: a driven gear
317: Chain 318: Rear plate
320: up / down motor 330, 330a: drive shaft
331, 331a: drive sprocket 340: fixed chain
350: Tray guide rail 360: Logistics tray
361: inclined base 363: logistics insertion supporting groove
364: horizontal part 365, 365a:
366: inclined portion 400: tray input / output device
410: Tray motor 420: Chain shaft
430: tray carrier 431:
440: Drawbar 450: Chain slack prevention bar
500: ascending / descending guide device 501: guide roller
502: roller housing 503: housing fastener

Claims (5)

내부 일측에 다수의 적재 랙(110)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고, 상기 적재 랙(110) 전방의 반송로(120)에 한 쌍의 이동레일(130)이 이격 설치되며, 전면판(101) 일측에 물류 입출로(102)가 형성된 컨테이너 형태의 자동 물류창고(100)와;
상기 이동레일(130)을 타고 반송로(120)를 이동하는 사각구조의 틀프레임(200)과;
상기 틀프레임(200)의 내측에 배치된 베이스판(310)의 중앙에 설치된 승하강 모터(320)의 작동에 따라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축(330)(330a)이 상기 베이스판(31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330)(330a) 양단에 결합된 구동 스프라켓(331)(331a)이 각각 상기 틀프레임(200)의 사방 수직포스트(202)에 부착된 고정체인(340)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판(310)의 상측에 이격 설치된 한 쌍의 트레이 가이드레일(350)에 물류 트레이(360)가 안착되는 자동 스태커유닛(3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형 자동 물류창고.
A plurality of stacking racks 110 ar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tacking rack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ir of moving rails 130 are spaced apart from the conveying path 120 in front of the stacking rack 110, An automatic logistics warehouse 100 in the form of a container having a logistics entry / exit path 102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frame frame 200 having a rectangular structure for moving the conveying path 120 by the moving rail 130;
A pair of driving shafts 330 and 330a rotating in mutually different dire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motor 320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310 disposed inside the frame 200, Driving sprockets 331 and 331a coupled to both ends of the driving shafts 330 and 330a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an upper portion of the fixed frame 310, And an automatic stacker unit (300) coupled to a pair of tray guide rails (350) spac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base plate (310) Container type automatic warehouse.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판(310)의 후방에는 트레이 투입/인출장치(400)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트레이 투입/인출장치(400)는, 상부에 트레이 모터(41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트레이 운반체인(430)이 상기 트레이 가이드레일(350)과 병렬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 운반체인(430)에 부착된 한 쌍의 견인구(431)가 물류 트레이(360)에 부착된 한 쌍의 걸림돌기(365)(365a)를 견인하면서 물류 트레이(360)를 상기 적재 랙(110)의 사이사이에 투입하거나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형 자동 물류창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ray input / output device 40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base plate 310;
The tray loading / unloading apparatus 400 includes a tray carrier 430 rotatable in parallel with the tray guide rail 350 and rotatabl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tray motor 410, A pair of pulling ports 431 attached to the carrier body 430 pulls the delivery tray 360 to the loading rack 110 while pulling a pair of hooking projections 365 and 365a attached to the delivery tray 360 ) Of the movable container type automatic warehousing machine (1).
제 1항에 있어서,
자동 물류창고(100)는 상부에 개방부(105)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105)의 상단에는 자동 물류창고(100)를 원하는 장소로 운송한 후 상기 개방부(105)를 막아줌과 동시에 상기 자동 물류창고(100)의 층고를 높여주는 층고 확장커버(150)를 현장조립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형 자동 물류창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utomatic distribution warehouse 100 has an opening 105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n automatic warehousing 100 is transported to a desired location on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105 and then the opening 105 is closed And a floor cover extension cover (150) for raising the floor height of the automatic warehouse (100) is installed by field assembly.
제 1항에 있어서,
물류 트레이(360)는 상부면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물류를 경사상태로 받쳐주는 경사 받침대(36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형 자동 물류창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gistics tray (360)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support (361)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o support the logistics in a tilted st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4항에 있어서,
경사 받침대(361)는 상기 물류 트레이(360)의 상부면에 부착 설치되는 수평부(364)와, 상기 수평부(364)의 선단에 경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경사부(366)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부(364)의 상부면 선단에는 물류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방지턱(368)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형 자동 물류창고.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clined pedestal 361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364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tribution tray 360 and an inclined portion 366 extending obliquely at the tip of the horizontal portion 364, (368)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364) to prevent the piling of the logistics.
KR1020140006699A 2014-01-20 2014-01-20 Removable container type auto warehouse KR1015885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699A KR101588567B1 (en) 2014-01-20 2014-01-20 Removable container type auto wareh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699A KR101588567B1 (en) 2014-01-20 2014-01-20 Removable container type auto wareho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705A true KR20150086705A (en) 2015-07-29
KR101588567B1 KR101588567B1 (en) 2016-01-26

Family

ID=53876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699A KR101588567B1 (en) 2014-01-20 2014-01-20 Removable container type auto wareho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56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4900A (en) * 2019-06-03 2019-09-20 杭州力鑫科技有限公司 A kind of mobile logistics tray with adjustable height pull r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312B1 (en) 2020-12-31 2021-04-30 윤현식 System of removable modular space for space utilization of roof of bus stops and subway statio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48B2 (en) * 1990-10-09 1995-01-18 株式会社オリイ Automatic transfer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for coil materials etc. in press line
JPH08324709A (en) * 1995-05-30 1996-12-10 Kawasaki Heavy Ind Ltd Transporter with automatic high-rise warehouse
JPH10292663A (en) * 1997-04-11 1998-11-04 N K K Plant Kensetsu Kk Multistory bicycle parking facility
KR20070107977A (en) * 2006-05-04 2007-11-08 주식회사 로테코 Apparatus for lifting conveyor for transferring pallet and the controlling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48B2 (en) * 1990-10-09 1995-01-18 株式会社オリイ Automatic transfer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for coil materials etc. in press line
JPH08324709A (en) * 1995-05-30 1996-12-10 Kawasaki Heavy Ind Ltd Transporter with automatic high-rise warehouse
JPH10292663A (en) * 1997-04-11 1998-11-04 N K K Plant Kensetsu Kk Multistory bicycle parking facility
KR20070107977A (en) * 2006-05-04 2007-11-08 주식회사 로테코 Apparatus for lifting conveyor for transferring pallet and the controlling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4900A (en) * 2019-06-03 2019-09-20 杭州力鑫科技有限公司 A kind of mobile logistics tray with adjustable height pull r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567B1 (en) 201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447B1 (en) Transfer shuttle and automated warehouse system using the same
KR100868247B1 (en) Overhead traveling vehicle system
WO2010084542A1 (en) Automated warehouse
CN112478542B (en) Multilayer box type shuttle stereoscopic warehouse
KR101754945B1 (en) Automatic Transferring System of Loaded Wood Pallet
US20100158648A1 (en) Vertical elevator and method for operating a rack by means of the vertical elevator
US200602805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cking bulky loads
JP2022545665A (en) Delivery system, automated warehouse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containers
US3883013A (en) Apparatus of applying skids of grating structure and removing the same
JP2004525838A (en) Automated warehouse equipment
KR101440365B1 (en) Container type storehouse with a ceiling height extension
KR101588567B1 (en) Removable container type auto warehouse
CN111115072A (en) Automatic warehouse and goods storing and taking method thereof
CN214217047U (en) Storage rack
JP2015009937A (en) Automated warehouse
JP2017128402A (en) Automatic warehouse and carriage-type conveying device
JP2010037067A (en) Traveling mechanism
RU218784U1 (en) VERTICAL CARGO CONVEYOR
JP4440756B2 (en) Shelf equipment
JP2005280876A (en) Automated warehouse for elongate objects
JPS6382203A (en) Freight carrying-in and out device of shelf-loading equipment
JP2005280875A (en) Automated warehouse for elongate objects
JPH08231008A (en) Automatic warehouse facility
JP2001010702A (e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JPH07223706A (en) Automated warehouse with carrying-out conve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