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6334A - 방전 전극 및 제전 장치 - Google Patents

방전 전극 및 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334A
KR20150086334A KR1020157016073A KR20157016073A KR20150086334A KR 20150086334 A KR20150086334 A KR 20150086334A KR 1020157016073 A KR1020157016073 A KR 1020157016073A KR 20157016073 A KR20157016073 A KR 20157016073A KR 20150086334 A KR20150086334 A KR 20150086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electrode
tip
base end
thickness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지 가와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86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3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01T19/04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having point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4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spark gaps or other discharge devices

Abstract

방전 전극(43)은 소정 길이의 제1 부위 (51), 제1 부위(51) 선단과 연결된 제2 부위(52) 및 제2 부위(52) 선단과 연결된 기단과 방전 전극 (43)의 선단면이 되는 볼록한 만곡면(53a)을 갖는 제3 부위(53)를 포함한다. 제1 부위(51), 제2 부위(52) 및 제3 부위(53)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위(51)의 기단은 제1 부위의 기단보다 굵다. 제2 부위(52)는 그 선단에서 기단에 걸쳐 일정한 두께를 갖는 로드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그 굵기는 제3 부위 (53)의 기단의 굵기와 동일하다.

Description

방전 전극 및 제전 장치{DISCHARGE ELECTRODE AND NEUTRALIZATION DEVICE}
본 발명은 전압이 인가될 때 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 전극 및 상기 방전 전극을 포함하는 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방전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고, 이때 생성된 이온들을 제전 대상체를 향하여 방출함으로써 제전을 실시하는 제전 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제전 장치에 사용되는 방전 전극은 그 선단부가 선단측에서부터 기단측를 향하여 굵기가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원뿔 대(truncated cone) 형상을 가짐에 따라, 방전 전극의 전체적인 강도가 증대될 수 있다. (예로서,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1 :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제 실개평5-17999호 공보
상술한 방전 전극은 상기 선단부의 굵기가 선단측에서부터 기단측까지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장시간의 사용에 따라 상기 방전 전극의 선단부의 구면 형상에 마모가 발생되어 상기 선단부의 곡률이 변화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방전 전극에 같은 크기의 전압이 인가될 경우에도 상기 방전 전극으로부터 생성되는 이온양이 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상기 강도의 감소를 억제하면서 동일한 전압 하에서 방전량이 변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방전 전극 및 제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전압의 인가에 의하여 이온을 생성하는 방전 전극이다. 방전 전극은, 기단 및 선단을 가지며,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부위, 상기 제1 부위의 선단에 연결된 기단 및 선단을 갖는 제2 부위 및 상기 제2 부위의 선단에 연결된 기단 및 상기 방전 전극의 선단면을 정의하는 볼록 만곡면을 갖는 제3 부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부위, 상기 제2 부위 및 상기 제3 부위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부위의 기단은 상기 제1 부위의 선단보다 굵다. 상기 제2 부위는 상기 선단에서 상기 기단에 걸쳐 일정한 굵기를 갖는 로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굵기는 제3 부위의 기단의 굵기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부위의 기단이 선단보다 굵기 때문에 제1 부위가 선단에서 기단에 걸쳐 일정한 굵기를 갖는 경우보다 방전 전극의 전체 강도가 높아진다. 또한 사용에 의해 방전 전극의 제3 부위가 선단에서 기단을 향해 마모된 경우 상기 제3 부위의 기단에 연결된 제2 부위가 방전 전극의 선단부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부위 전체가 선단에서 기단에 걸쳐 일정한 굵기를 가지고, 한편 제2 부위의 굵기가 제3 부위의 기단의 두께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3 부위의 마모에 의해 제2 부위가 방전 전극의 선단부가 된 경우라도 방전 전극의 제3 부위가 마모 전후에서 방전 전극의 선단의 굵기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제2 부위는 그 선단에서 기단에 걸쳐 일정한 두께를 갖는 로드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제2 부위가 선단에서 기단에 걸쳐 점차 마모하는 과정에서 방전 전극의 선단부 굵기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그 결과,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방전 전극의 선단이 예를 들어 반구 모양 등의 볼록 만곡면을 이루도록 선단측에서 기단측에 걸쳐 점차 마모하더라도 그 과정에서 방전 전극의 선단부 단면의 곡률이 거의 변화하지 않고, 동일 전압 하에서의 방전 전극의 방전량이 변화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강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동일 전압 하에서의 방전량이 변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방전 전극에 있어서, 상기 방전 전극의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제2 부위의 길이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제3 부위의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사용에 의해 제2 부위가 선단에서 기단까지 마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충분히 확보된다. 따라서 동일 전압 하에서 방전량이 변화하는 것을 더 장기간에 걸쳐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방전 전극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위의 상기 볼록 만곡면은 볼록 구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사용에 의해 방전 전극의 제3 부위가 마모되기 전의 시점에서 방전 전극의 선단부의 선단면을 구성하는 제3 부위의 볼록 만곡면은 볼록 구면 형상을 가지므로 사용 전후에서 방전 전극의 선단부의 선단면의 형상 변화가 억제된다. 따라서, 동일 전압 하에서의 방전 전극의 방전량 변화가 더욱 억제될 수 있다.
상기 방전 전극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위 및 상기 제3 부위는 동일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사용에 의해 방전 전극의 제3 부위가 마모되어 제2 부위가 방전 전극의 선단부가 되는 전후로 방전 전극의 선단부의 재질이 변화하지 않는다. 그 결과, 동일 전압 하에서의 방전 전극의 방전량이 변화하는 것을 더욱 억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제전 장치이다. 제전 장치는 제전 대상체에 공급되는 이온을 생성하기 위한 방전 전극과 상기 방전 전극의 주위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형태의 대향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 형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동일 전압 하에서의 방전량의 변화가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의 2-2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3-3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 전극의 도시한 도면에 있어서, 사시도(a), 정면도(b), 좌측면도(c) 및 우측면도(d)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 전극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 전극의 주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방전 전극의 제3 부위가 마모되기 전의 상태의 단면도(a), 방전 전극의 제3 부위가 마모된 후의 상태의 단면도(b)이다.
이하, 제전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면들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제전장치(10)의 외관을 구성하는 본체 케이스(11), 기판 수용부(12) 및 기판 수용부(12)와 일체로 형성된 헤드부(13)를 포함한다. 기판 수용부(12)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박스 형상을 이루고 있다. 헤드부(13)는 기판 수용부(12)의 길이 방향 일 단측의 외측면에 인접하고 있으며, 기판 수용부(1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길게 연장되어 박스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기판 수용부(12)의 일면측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기판 수용부(12)의 개구를 헤드부(13)의 전체와 함께 외측에서부터 덮는 커버(14)가 본체 케이스(11)에 부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수용부(12)에는 구동 회로(15)를 탑재한 인쇄 회로 기판(16)이 수용되어 있다. 인쇄 회로 기판(16)에는 제전 장치(1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여러개의 엘이디(LED)가 구현되어 있다. 엘이디는 기판 수용부(12)에 형성된 윈도우(17, 도 1 참조)를 통하여 본체 케이스(12)의 외부로 향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수용부(12)의 길이 방향의 양 측에는, 연결공(18)이 있으며 돌출된 연결부(1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9)의 연결공(18)에는 고정 나사(미도시)가 삽입되어 소정의 장착 위치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전 장치(10)가 고정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3)에는 공기 공급부(20) 및 이온 생성부(21)가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공기 공급부(20)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헤드부(13)의 제1 길이 방향의 끝단측(도 3에서 오른쪽 단측)에는 개구된 캐비티부(22)가 내부에 있다. 이온 생성부(21)는 원통 형상을 이루며, 헤드부(13)의 제1 길이 방향의 끝단 및 제2 길이 방향의 끝단(도 3에서의 왼쪽 단측)에서 개방된 캐비티부(23)가 내부에 있다.
공기 공급부(20)에 있어서, 캐비티부(22)의 개방된 단부는 장착공(25)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장착공(25)에는 공기 튜브 홀더(26)가 그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공기 튜브 홀더(26)에 공기 튜브(미도시)의 일단이 연결되며 동시에 상기 공기 튜브의 타단은 공기 공급원(미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이온 생성부(21)에 있어서, 상기 헤드(13)의 제2 길이 방향의 끝단에서 개방된 캐비부(23)의 개방 단부는 노즐 장착공(28)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장착공(28)의 내주면에는 캐비티부(23)에는 노즐 장착공(28)과 거의 동일한 내경을 갖는 수용부(29) 및 상기 수용부(29)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공기 취입부(30)가 구비된다. 노즐 장착공(28), 수용부(29) 및 공기 취입부(30)는 이런 순서로 형성되며, 서로 연통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11)에는 공기 취입부(30) 및 공기 공급부(20)의 캐비티부(22)를 연통시키는 연통로(31)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 장착공(28)에는 원통형의 노즐(32)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노즐(32)은,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전도체이며, 그라운드(ground, GND 레벨)로 접지되어 있다. 노즐(32)은 대향 전극으로 기능한다. 또한 노즐(32)의 외주면에는 나사 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 홈을 노즐 장착홀(28)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 홈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노즐(32)이 헤드부(13)에 부착된다. 또한, 노즐(32)의 안쪽에는 원통형의 절연재료로 구성된 절연 튜브(33)가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29)에는 통기 부재(34)가 내부에 끼워서 장착되어 있다. 통기 부재(34)는 전체적으로 수용부(29)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중심 위치에는 통기 부재(34)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기 부재(34)의 관통공(35)의 주위에는 통기 부재(34)를 두께 방향을 관통하는 복수의 통기공(36)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온 생성부(21)의 헤드부(13)의 제1 길이 방향의 끝단측 단부에는 유닛 삽입공(37)이 설치되어 이다. 상기 유닛 삽입공(37)의 내주면에는 기판 수용부(12) 및 유닛 삽입공(37)을 연통시키는 관통공(38)이 개구되어 있다. 관통공(38)에는 인쇄 회로 기판(16)과 연결된 플레이트 형상의 너트 부재(40)가 삽입되어 있다. 너트 부재(44)는 인쇄 회로 기판(16)에 탑재된 구동 회로(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너트 부재(40)에는 암나사공(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암나사공(41)의 홀 중심은 유닛 삽입공(37)의 홀 중심과 일치한다.
유닛 삽입공(37)에는 방전 전극 유닛(42)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방전 전극 유닛(42)은 방전 전극(43), 상기 방전 전극의 기단 부분(基端 部分, basal portion)을 지지하는 방전 전극 유지부(44) 및 상기 방전 전극 유지부(44)의 기단 부분을 덮도록 일체로 형성된 파지부(45)를 포함한다. 또한, 방전 전극 유지부(44)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방전 전극(43)의 선단측에는 방전 전극 유닛(42)이 유닛 삽입공(37)을 통해 이온 생성부(21)의 캐비티부(23)에 삽입되어 파지부(45)가 회전함으로써 방전 전극 유지부(44)의 수나사가 너트 부재(40)의 암나사공(41)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어서, 방전 전극(43)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a) 내지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 전극(43)은 로드(rod) 형상의 베이스부(50), 베이스부(50)의 선단부와 연결된 원뿔 형상의 제1 부위(51), 제1 부위(51)의 선단부에 연결된 로드 형상의 제2 부위 및 상기 제2 부위의 선단에 연결된 반구 형상의 제3 부위(53)를 포함한다.
제1 부위(51)는 방전 전극(43)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그 선단(distal end)에서 기단(basal end)까지 두께가 점차적으로 굵어지고 있다. 즉, 베이스부(50)에 연결된 제1 부위(51)의 기단부는 제2 부위(52)에 연결된 제1 부위(51)의 선단보다 굵다. 일 예로서, 베이스부(50)에 연결된 제1 부위(51)의 기단부의 직경은 베이스부(50)의 직경과 동일하고, 제2 부위(52)에 연결된 제1 부위(51)의 선단의 직경은 제2 부위(52)의 직경과 동일하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부위(52)는 그 선단에서 기단에 걸쳐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2 부위(52)의 직경은 제3 부위(53)의 반경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3 부위(53)의 기단의 외주면과 제2 부위(52)의 선단 외주면 사이에는 단차가 없이 동일 평면으로 되어 있다. 즉, 제2 부위(52)의 굵기는 제3 부위(53)의 기단(제2 부위(52)에 접하는 쪽)의 굵기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부위(52)의 선단에서 기단까지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제3 부위(53)의 반경보다 크다. 따라서 방전 전극(43)의 길이 방향의 제2 부위(52)의 길이는 상기 길이 방향의 제3 부표(53)의 길이보다 크다. 제3 부위(53)는 방전 전극 (43)의 선 단면이 되는 외부면(53a)을 가지며, 상기 외부면(53a)은 볼록 구면 가공이 되어 있다. 따라서 제3 부위(53)의 외부면(53a)은 반구 모양의 볼록한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50), 제1 부위(51), 제2 부위(52) 및 제3 부위(53)는 동일한 금속 재료(예를 들면, 텅스텐)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부위(51), 제2 부위(52) 및 제3 부위(53)의 길이 방향의 길이의 일례로서, 제1 부위(51)가 약 12????mm, 제2 부위(52)가 약 0.3mm, 제3 부위(53)가 약 0. 2mm 이다. 이와 같이, 제1 부위(51)에 비해 제2 부위(52) 및 제3 부위(53)의 세로 길이는 극단적으로 짧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전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특히 방전 전극(43)이 전압의 인가에 따라 방전할 때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 회로(15)에서 너트 부재(40)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너트 부재 (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방전 전극(43)의 선단에서 대향 전극인 노즐(32)을 향해 코로나 방전이 발생함으로써 이온이 생성된다. 그러면 생성된 이온은 공기 공급부(20)로부터 연통로(31), 공기 취입부(30), 통기 부재(34)의 통기공(36) 및 절연 튜브(33)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타고 노즐(32)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사용의 방전 전극(43)의 선단부터 노즐(32)의 내부면을 향해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 경우 제3 부위(53)가 방전 전극(43)의 선단부가 되며, 제3 부위(53)의 외부면(53a)이 방전 전극의 선단면이 된다. 이 경우, 방전 전극(43)의 선단면은 반구 형상의 볼록 만곡면이 된다.
여기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 전극(43)로부터의 방전이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지면, 방전 전극(43)의 일 예로서 반구 형상의 볼록한 만곡면을 이루도록 선단측에서 기단측으로 점차적으로 마모된다. 이로써, 방전 전극(43)의 제3 부위(53)가 선단측에서 기단측에 걸쳐 마모되어 제3 부위(53)의 기단과 연결된 제2 부위(52)의 선단이 방전 전극(43)의 선단부가 된다.
이 경우, 제2 부위(52)의 전체가 선단에서부터 기단에 결쳐 동일한 굵기이며, 한편, 제2 부위(52)의 굵기가 제3 부위(53)의 기단의 굵기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3 부위(53)의 마모에 의해 제2 부위(52)가 방전 전극(43)의 선단부가 된 경우에도, 방전 전극(43)의 제3 부위(53)의 마모 전후에서 방전 전극(43)의 선단부 굵기는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그 결과, 방전 전극(43)의 선단부가 마모함으로써 방전 전극(43)의 제2 부위(52)에 형성되는 볼록한 만곡면의 곡률은 미사용 방전 전극 43의 제3 부위(53)의 외부면(53a)의 곡률과 거의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방전 전극 (43)의 선단부가 선단측에서 기단측에 걸쳐 점차 마모하더라도 그 과정에서 방전 전극 (43)의 선단부의 선단면의 곡률이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즉, 방전 전극(43)의 선단부의 선단면은 거의 일정한 형상을 유지함에 따라, 방전 전극(43)의 선단부의 선단면과 절연 튜브 (33)의 내주면 사이의 거리의 크기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구동 회로(15)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동일한 전압 하에서 방전 전극(43)의 선단에서 노즐(32)의 내주면을 향해 방전량이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그리고 생성된 이온이 노즐(32)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때 이온의 농도도 거의 일정하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제1 부위(51)의 기단이 선단보다 굵기 때문에 제1 부위(51)의 두께가 선단에서 기단에 걸쳐 일정한 굵기를 가지는 경우보다 방전 전극 (43)의 전체적인 강도가 높아진다. 또한 사용에 의해 방전 전극(43)의 제3 부위(53)가 선단에서 기단에 걸쳐 마모된 경우에는 상기 제3 부위(53)의 기단에 연결된 제2 부위(52)가 방전 전극 (43)의 선단부가 된다. 이 경우 제2 부위(52)의 전체가 선단에서 기단에 걸쳐 동일한 굵기를 가지고, 한편 상기 제2 부위(52)의 굵기가 제2 부위(52)와 접하는 제3 부위(53)의 기단의 굵기와 동일 있다. 따라서 제3 부위(53)의 마모에 의해 제2 부위(52)가 방전 전극(43)의 선단부가 된 경우에도, 방전 전극(43)의 제3 부위 (53)가 마모 전후에서 방전 전극 (43)의 선단부의 굵기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제 2 부위(52)는 그 선단에서 기단에 걸쳐 일정한 두께를 갖는 로드(rod)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제2 부위(52)가 선단에서 기단에 걸쳐 점차 마모하는 과정에서 방전 전극(43)의 선단부의 굵기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그 결과,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방전 전극(43)의 선단부가 반구 모양 등의 볼록한 만곡면을 이루도록 선단측에서 기단측에 걸쳐 점차 마모하더라도 그 과정에서 방전 전극(43)의 선단부 단면의 곡률이 거의 변화하지 않고, 같은 전압 하에서의 방전 전극(43)로부터의 방전량이 변화가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강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동일 전압 하에서의 방전량이 변화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2) 방전 전극(43)의 제2 길이 방향에 따른 제2 부위(52)의 길이는 상기 제2 길이 방향의 제3 부위(53)의 길이보다 크다. 따라서 사용에 의해 제2 부위(52)가 선단에서 기단까지 마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충분히 확보된다. 따라서 같은 전압 하에서 방전량이 변화하는 것을 더 장기간에 걸쳐 억제할 수 있다.
(3) 제3 부위(53)의 외부면(53a)은 볼록으로 구면 가공이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해서 방전 전극(43)의 제3 부위(53)가 마모되기 전의 시점에서 방전 전극(43)의 선단부의 선단면을 구성하는 제3 부위(53)의 외부면(53a)은 볼록의 구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로써, 사용 전후에 방전 전극(43)의 선단부의 선단면의 형상이 변화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동일 전압 하에서의 방전 전극(43)로부터의 방전량이 변화하는 것을 더욱 억제 할 수 있다.
(4) 방전 전극(43)의 제2 부위(52) 및 제3 부위(53)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에 의하여 방전 전극(43)의 제3 부위(53)가 마모되어 제2 부위(52)가 방전 전극(43)의 선단부가 되는 전후 시점에 방전 전극(43)의 선단부의 재질이 변화하지 않는다. 그 결과, 동일 전압 하에서의 방전 전극(43)로부터의 방전 량이 변화하는 것을 더욱 억제 할 수 있다.
(5) 방전 전극(43)의 주위를 대향 전극인 노즐(32)이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방전 전극(43)은 마모시 전체 둘레가 동일하게 마모되므로, 선단면의 형상이 변화하는 것이 억제되고 방전량이 변화하는 것을 억제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다른 실시예로 변경될 수 있다.
ㅇ 상기 실시예에서, 방전 전극 43의 모든 부위(51,52,53) 재질이 반드시 동일 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모든 부위(51,52,53) 재질이 서로 다른 구성이어도 좋다. 그러나 적어도 제2 부위(52)의 재질과 제3 부위(53)의 재질이 상호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ㅇ 상기 실시예에서, 제3 부위(53)의 외부면(53a)의 형상은 반드시 완전한 볼록인 구면일 필요는 없고, 일부는 점차적으로 볼록한 구면이어도 좋다. 또한 제3 부위(53)의 외부면(53a)의 형상은 반드시 볼록인 구면 형상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곡률이 다른 볼록한 타원체(convex elliptical) 형상 또는 볼록 원호(convex arc-like) 형상과 같은 다른 볼록 만곡면 형상을 가져도 좋다.
ㅇ 상기 실시예에서, 제2 부위(52)의 선단에서 기단까지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제3 부위(53)의 반경과 같을 수도 있고, 제3 부위(53)의 반경보다 작은 수도 있다 . 즉, 방전 전극(43)의 길이 방향의 제2 부위(52)의 길이는 상기 길이 방향의 제3 부위(53)의 크기와 같을 수도 있고, 상기 길이 방향의 제3 부위(53)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ㅇ 상기 실시예에서, 제1 부위(51)는 반드시 원뿔 로드(rod) 형상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다각형 로드 형상과 반구형 로드 형상 등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져도 좋다. 또한 제1 부위 (51)는 반드시 선단에서 기단부에 걸쳐 두께가 점차 커지는 형태 일 필요는 없다. 즉, 제1 부위(51)의 기단부가 선단부보다 굵은 면 예를 들어, 제1 부위(51)의 선단과 기단 사이의 위치에 제1 부위(51)의 기단보다 굵은 부분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10: 제전 장치, 43: 방전 전극, 51: 제1 부위, 52: 제2 부위
53: 제3 부위, 53a: 볼록한 만곡면의 일 예로서 외부면

Claims (5)

  1. 전압의 인가에 의하여 이온을 생성하는 방전 전극에 있어,
    기단 및 선단을 가지며,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부위;
    상기 제1 부위의 선단에 연결된 기단 및 선단을 갖는 제2 부위; 및
    상기 제2 부위의 선단에 연결된 기단 및 상기 방전 전극의 선단면을 정의하는 볼록 만곡면을 갖는 제3 부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위, 상기 제2 부위 및 상기 제3 부위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위의 기단은 상기 제1 부위의 선단보다 굵으며,
    상기 제2 부위는 상기 선단에서 상기 기단에 걸쳐 일정한 굵기를 갖는 로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굵기는 제3 부위의 기단의 굵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전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전극의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제2 부위의 길이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제3 부위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전극.
  3. 제1항 및 제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위의 상기 볼록 만곡면은 볼록 구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전극.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위 및 상기 제3 부위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전극.
  5. 제전 대상체에 공급될 이온을 생성하는 방전 전극; 및
    상기 방전 전극을 덮도록 배치되며, 청구항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대향 전극을 포함하는 제전 장치.
KR1020157016073A 2013-02-14 2013-11-19 방전 전극 및 제전 장치 KR201500863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26705 2013-02-14
JP2013026705A JP2014157668A (ja) 2013-02-14 2013-02-14 放電電極及び除電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334A true KR20150086334A (ko) 2015-07-27

Family

ID=51353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073A KR20150086334A (ko) 2013-02-14 2013-11-19 방전 전극 및 제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25157B2 (ko)
JP (1) JP2014157668A (ko)
KR (1) KR20150086334A (ko)
CN (1) CN204696450U (ko)
WO (1) WO20141256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2051A (ja) * 2014-09-30 2016-05-09 春日電機株式会社 ガン式除電装置
US10714907B2 (en) 2017-08-28 2020-07-14 Tenneco Inc. Corona igniter firing end electrode tip with dual metal rivets and method of manufactur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9481A (en) * 1986-12-23 1994-06-07 Raychem Corporation Encapsulated liquid crystal optical read/write storage medium and system
US5017876A (en) * 1989-10-30 1991-05-21 The Simco Company, Inc. Corona current monitoring apparatus and circuitry for A.C. air ionizers including capacitive current elimination
JPH0517999U (ja) 1991-08-20 1993-03-05 エツチ・テイ・シ−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用放電電極
JP4170844B2 (ja) * 2002-11-29 2008-10-22 サンクス株式会社 除電装置
JP4811731B2 (ja) * 2007-02-14 2011-11-09 Smc株式会社 イオナイザ
JP4747328B2 (ja) * 2008-07-31 2011-08-17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電気機器
JP2011018477A (ja) * 2009-07-07 2011-01-27 Sharp Corp 放電電極、イオン発生素子および電気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25693A1 (ja) 2014-08-21
US20150333489A1 (en) 2015-11-19
CN204696450U (zh) 2015-10-07
JP2014157668A (ja) 2014-08-28
US9325157B2 (en) 201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13436B (zh) 电池杆和电子烟
US20170172214A1 (en) Heating assembly and cigarette heating device having same
US9877518B2 (en) Battery rod, electronic cigarette, and method for assembling a battery rod
ES2651493T3 (es) Aparato para tratar una superficie con un plasma
WO2007098145A3 (en) Electrode for a contact start plasma arc torch and contact start plasma arc torch employing such electrodes
EP3095339A1 (en) Atomizing head, atom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having same
MY183827A (en) Inspection unit
US20160135503A1 (en) Electronic cigarette
ES2360416T3 (es) Pistola de recubrimiento por pulverización de polvo y carcasa de plástico para la misma.
US20120268428A1 (en) Cordless type position pointer
US20110199714A1 (en) Ion generator
KR20150086334A (ko) 방전 전극 및 제전 장치
SE0203108D0 (en) Multi-Electrode Catheter
US20090052108A1 (en) Discharge unit for ac ionizer
JP5461348B2 (ja) イオン生成装置
US6849994B1 (en) Electrode assembly for lithotripters
US20200254270A1 (en) Plasma treatment unit
DK1609533T3 (da) Gevindprop til afdækning
US7898791B2 (en) Ionizer with drop-off prevention device for electrode
JP2008183483A (ja) 静電霧化装置
ATE478701T1 (de) Vorrichtung zur elektrostimulation
TW201841446A (zh) 空氣清淨機
US20160302293A1 (en) Ion generator
JP4664090B2 (ja) エアーノズル型イオン生成装置
JP4575948B2 (ja) チューブ型除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