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4331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4331A
KR20150084331A KR1020140004231A KR20140004231A KR20150084331A KR 20150084331 A KR20150084331 A KR 20150084331A KR 1020140004231 A KR1020140004231 A KR 1020140004231A KR 20140004231 A KR20140004231 A KR 20140004231A KR 20150084331 A KR20150084331 A KR 20150084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display panel
long side
groo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4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4331A/ko
Publication of KR20150084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Holding-devices for protective discs or for picture mas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05K2201/10136Liquid Crystal display [LC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접착층에 의해 부착되는 고정부(Fixer), 상기 고정부를 덮고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브라켓(Bracket), 상기 브라켓은 수지(Resin) 재질 및 유리섬유 재질을 포함하고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는 후면커버(Back Cover)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께가 얇고 시인성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접착층에 의해 부착되는 고정부(Fixer), 상기 고정부를 덮고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브라켓(Bracket), 상기 브라켓은 수지(Resin) 재질 및 유리섬유 재질을 포함하고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는 후면커버(Back Cov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의 외곽면(External Surface)은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의 외곽면(External Surface)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덮는 측면커버(Side Cov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커버는 광을 투과하는 투명커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접착층이 적용되는 홈을 포함하는 베이스부(Base Part),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연결부(Connection Part) 및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서 상기 수직방향과 수직하는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머리부(Head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는 개구부(Opening)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의 가장자리 및 측면은 각각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전면기판 및 상기 후면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는 수지층(Resin Laye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 1 장변(First Long Side), 상기 제 1 장변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상기 제 1 장변 및 상기 제 2 장변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및 상기 제 1 단변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장변, 제 1 단변 및 상기 제 2 단변영역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고정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적어도 상기 제 1 장변에 대응되는 제 1 브라켓, 상기 제 1 단변에 대응되는 제 2 브라켓 및 상기 제 2 단변에 대응되는 제 3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2, 3 브라켓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 2 장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후면커버에 연결되는 하부커버(Bottom Cov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는 제 1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홈의 내측면(Internal Surface)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접착층이 적용되는 홈을 포함하는 베이스부(Base Part),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연결부(Connection Part) 및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서 상기 수직방향과 수직하는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머리부(Head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기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머리부의 사이 공간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 1 홈에 상기 고정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Sliding) 이동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의 측벽에는 상기 고정부가 통과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 사이에는 탄력성을 갖는 패드(Pad)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패드에 대응되는 제 2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정부를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기판에 부착하고, 브라켓(Bracket)을 고정부에 연결하고, 브라켓에 다양한 구조물들을 배치함으로써, 두께가 얇고 시인성이 우수한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되는 방송신호 수신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에),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인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enl, 100), 고정부(Fixer, 300), 브라켓(Bracket, 200), 후면커버(Back Cover, 12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커버(120)의 사이에는 광학층(Optical Layer, 110)이 배치될 수 있다.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서로 대항되게 배치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하고, 고정부(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의 배면(Rear Surface)의 비표시 영역에 부착(Sticking)될 수 있다.
광학층(110)은 복수의 시트(Sheet)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층(11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프리즘 시트 및 확산 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Light Source)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또는 도광판(Light Guide Plate)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광학층(110) 및 광원부 또는 광학층(110), 광원부 및 도광판을 통칭하여 백라이트 유닛(Bacl Light Unit)이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광판이 더 포함되는 경우에는 광원부에 포함된 발광 다이오드(LED) 등의 광원이 도광판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엣지타입(Edge Type)이라 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광원부에 포함된 광원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직하타입(Direct Type)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후면커버(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에 배치되고, 브라켓(200)에 연결될 수 있다.
후면커버(12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후면커버(12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다양한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고정부(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접착층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고정부(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의 후면에 접착층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는 복수의 고정부(300)가 부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LS1),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영역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300)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브라켓(200)은 고정부(300)를 덮고 고정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브라켓(200)은 적어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LS1)에 대응되는 제 1 브라켓(210), 제 1 단변(SS1)에 대응되는 제 2 브라켓(220) 및 제 2 단변(SS2)에 대응되는 제 3 브라켓(2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브라켓(210), 제 2 브라켓(220) 및 제 3 브라켓(230)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200)은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지(Resin) 재질 및 유리섬유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살펴보면, 고정부(200)는 접착층이 적용되는 홈(350)을 포함하는 베이스부(Base Part, 310), 베이스부(310)로부터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연장되는 연결부(Connection Part, 320) 및 연결부(320)의 끝단에서 수직방향(제 3 방향(DR3))과 수직하는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머리부(Head Part, 3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베이스부(310)의 제 1 면(First Surface)에 홈(350)이 형성되고, 연결부(320)는 제 1 면에 대항되는 제 2 면(Second Surface)으로부터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320)에는 개구부(Opening, 34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고정부(200)와 후면기판(120)의 사이에는 접착층(3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20)의 후면에 고정부(200)가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300)의 베이스부(310)의 홈(350)에 접착층(3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접착층(360)을 이용하여 후면기판(120)의 후면에 고정부(300)를 부착시키게 되면 후면기판(120)과 고정부(300)의 체결을 위해 팸넛(Pemnut), 보스(Boss) 등의 지지수단 및 스크류(Screw)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고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고,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서로 대향하여 균일한 셀 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전면 기판(110) 및 후면 기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면기판(110)과 후면기판(120)의 사이에는 액정층(Liquid Crystal Layer)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기판(110)과 후면기판(120)의 사이에는 액정층을 밀봉하기 위한 실부(Seal Portion)가 배치될 수 있다.
전면기판(110)에는 R, G, B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컬러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컬러 필터는 레드(R), 그린(G) 및 블루(B) 서브 픽셀(Sub-pixel)로 이루어진 복수의 픽셀(Pixel)들을 포함하며, 광이 인가되는 경우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 하는 이미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후면기판(120)에는 화소별로 액정을 온/오프(On/Off) 시키기 위한 소정의 트랜지스터(Transistor), 예컨대 TFT(Thin Film transistor)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기판(110)을 컬러 필터 기판이라 하고, 후면기판(120)을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이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액정층은 복수의 액정 분자들로 이루어져 있고, 액정 분자들은 트랜지스터에 의해 공급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백 라이트 유닛(10B)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은 액정층(104)의 분자 배열의 변화에 상응하여 컬러 필터(102)에 입사될 수 있다.
그러면, 컬러 필터에 의해 적어도 R, G, B 광이 구현됨으로써, 소정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10)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구조 및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에서 실시예의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전면편광필름(500)과 후면편광필름(5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기판(11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과한 광을 편광시키는 위한 전면편광필름(500)이 배치되고, 후면기판(120)의 후면에는 후면기판(120)의 후방에 배치되는 광학층(110)을 통과한 광을 편광시키는 후면편광필름(510)이 배치될 수 있다.
후면편광필름(510)은 고정부(300)와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소정거리(D1) 이격될 수 있다.
전면편광필름(500)은 수직방항(제 3 방향(DR3))으로 고정부(300)와 중첩할 수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머리부(330)는 연결부(320)로부터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는, 앞선 도 3의 경우와 같이, 머리부(330)는 연결부(320)로부터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혹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정부(300)의 베이스부(310)에는 홈(350)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도. 이러한 경우에는, 베이스부(310)의 밑면에 접착층(36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전면기판(110) 및 후면기판(120)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는 수지층(Resin Layer, 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지층(6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10) 및/또는 후면기판(120)의 측면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7의 (A) 및 (B)를 살펴보면, 브라켓(200)은(브라켓(200)의 단면)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되며 고정부(300)가 삽입되는 제 1 홈(7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라켓(200)은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연장되는 측벽(Side Wall, SW), 측벽(SW)으로부터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EXP1), 제 1 연장부(EXP1)로부터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EXP2), 제 2 연장부(EXP2)로부터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제 3 연장부(EXP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200)의 측벽(SW), 제 1 연장부(EXP1) 및 제 2 연장부(EXP2)가 제 1 홈(710)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200)의 제 1 홈(710)의 내측면(Internal Surface)에는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제 1 돌기(7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돌기(700)는 고정부(300)와의 연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브라켓(200)은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제 2 홈(7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홈(720)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패드(Pad)가 배치될 수 있다. 패드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한다.
이처럼, 브라켓(200)이 제 1 홈(710)을 포함하게 되면, 고정부(300)는 브라켓(200)에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단변(SS1) 영역과 제 2 단변(SS2) 영역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200)은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 중 제 2 방향(DR2)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고정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도 10 내지 도 11의 경우와 같이, 고정부(300)가 브라켓(200)의 제 1 홈(7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 내지 도 12와 같이, 제 1 돌기(700)는 고정부(300)의 베이스부(310)와 머리부(330)의 사이의 공간에 끼워짐에 따라 고정부(300)와 브라켓(200)이 연결될 수 있다.
도 12를 살펴보면, 브라켓(200)의 제 1 돌기(700)는 제 2 연장부(EXP2)로부터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20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 사이에는 탄력성을 갖는 패드(Pad, 800)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패드(800)는 브라켓(200)의 제 2 홈(72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300)와 브라켓(200)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브라켓(200)이 고정부(300)를 덮고 가릴 수 있다.
도 13을 살펴보면, 후면커버(120)는 브라켓(2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면커버(120)는 브라켓(200)의 측벽(SW) 및/또는 제 1 연장부(EXP1)에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후면커버(12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이에는 광학층(110), 도광판(900) 및 프레임(1000)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000)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020)이 배치된 기판(101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1020)과 기판(1010)을 통칭하여 광원부라고 칭할 수 있다.
프레임(1000)은 브라켓(200)에 연결될 수 있다.
광학층(110)은 확산시트(111)와 프리즘 시트(112)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학층(110)은 브라켓(200)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광학층(110)은 브라켓(200)의 제 3 연장부(EXP3)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층(11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이에는 에어층(Air Gap)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고정부(300)가 부착되고, 브라켓(200)이 고정부(300)에 연결되고, 후면커버(120)가 브라켓(200)에 연결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의 가장자리 및 측면은 각각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된다는 것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이 모두 노출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이 노출되는 것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10) 및/또는 후면기판(120)의 측면에 형성된 수지층(600)이 노출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2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즉, 브라켓(2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베젤(Bezel) 영역이 작아져 보이는 시각적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고정부(300)가 부착되고, 브라켓(200)이 고정부(300)에 연결되고, 후면커버(120)가 브라켓(200)에 연결된 상태에서 브라켓(200)의 외곽면(External Surface, EXTS)은 노출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브라켓(200)의 측벽(SW)의 외곽면(EXTS)이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4 내지 도 15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200)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두께가 더욱 얇아질 수 있으며 베젤 영역의 크기도 더욱 줄일 수 있다.
도 15를 살펴보면, 브라켓(200)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브라켓(200)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테두리를 이루는 경우에는, 브라켓(200)의 강성이 충분히 커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는 브라켓(200)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지(Resin) 재질 및 유리섬유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미관을 위해 브라켓(200)은 안료 재질을 더 포함하는 바람직할 있다.
수지 재질, 유리 섬유, 안료 재질 등을 혼합하고, 혼합한 재료를 성형틀에 부어 굳히는 방법으로 브라켓(20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200)의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유리 섬유 재질의 양은 혼합 재료의 양 대비 대략 20~40중량부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브라켓(200)의 벽두께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도 충분히 큰 강성을 확보할 있다.
브라켓(200)이 안료재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브라켓(200)의 컬러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디자인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도 16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LS1) 영역에도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200)은 적어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LS1)에 대응되는 제 1 브라켓(210), 제 1 단변(SS1)에 대응되는 제 2 브라켓(220) 및 제 2 단변(SS2)에 대응되는 제 3 브라켓(230)을 포함하고, 제 1, 2, 3 브라켓(210, 220, 23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LS1)에 배치되는 고정부(300)를 제 1 브라켓(210)에 연결하기 위해, 제 1 브라켓(210)에 개구부(20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7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에 배치된 고정부(300)를 제 2, 3 브라켓(220, 230)에 형성된 제 1 홈(710)에 삽입할 수 있다.
이후, 도 17의 (B)와 같이, 브라켓(200)을 밀어 올리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LS1)에 배치된 고정부(300)가 제 1 브라켓(210)의 측벽(SW)에 형성된 개구부(201)를 통과할 수 있다.
이후, 덮개(1100)를 이용하여 개구부(201)를 가릴 수 있다. 즉, 덮개(1100)가 개구부(201)를 덮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LS1)에 배치된 고정부(300)가 제 1 브라켓(210)의 측벽(SW)에 형성된 개구부(201)를 통과하면, 도 18의 경우와 같이, 제 1 홈(7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 1 돌기(700)가 고정부(300)의 베이스부(310)와 머리부(330)의 사이 공간에 끼워질 수 있다.
또는, 제 1 돌기(700)가 고정부(300)의 연결부(320)에 형성된 개구부(340)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제 1 브라켓(210)에 형성된 제 1 돌기(700)의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길이는 제 2, 3 브라켓(220, 230)에 형성된 제 1 돌기(700)의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길이보다 더 긴 것이 가능하다.
도 19를 살펴보면, 제 1 브라켓(210)의 제 1 돌기(700)가 용이하게 고정부(300)의 개구부(340)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고정부(300)의 머리부(330)는 연결부(320)로부터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브라켓(210)의 제 1 돌기(70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더라도 제 1 브라켓(210)의 제 1 돌기(700)가 용이하게 고정부(300)의 개구부(34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브라켓(210)의 제 1 돌기(700)는 제 1 홈(710)의 내측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브라켓(210)의 제 1 돌기(700)는 제 1 브라켓(210)의 제 2 연장부(EXP2)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돌출될 수 있다.
도 20을 살펴보면, 제 2, 3 브라켓(220, 230)에서는 제 1 돌기(700)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3 브라켓(220, 230)의 제 1 돌기(700)는 제 2, 3 브라켓(220, 230)의 측벽(SW)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2 단변(SS1, SS2) 영역에 배치된 고정부(30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제 2, 3 브라켓(220, 230)에 용이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1을 살펴보면, 제 1 브라켓(210)의 제 1 돌기(700)와 제 2 브라켓(220)의 제 1 돌기(700)의 돌출 방향이 서로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LS1)에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부(300)가 통과하는 개구부(201)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22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측면커버(Side Cover, 12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측면커버(1200)는 브라켓(200)의 외곽면(External Surface, EXTS)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측면커버(1200)는 광을 투과하는 투명커버일 수 있다.
투명한 측면커버(1200)는 광을 투과하기 때문에, 도 23의 경우와 같이, 측면커버(1200)가 더 구비되는 경우에도 여전히 브라켓(200)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명한 측면커버(1200)를 브라켓(200)의 측면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베젤 영역의 작아져 보이는 시각적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커버(1200)는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브라켓(200) 및/또는 후면커버(1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4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를 A1-A2라인을 따른 절단한 단면을 살펴보면, 도 24의 (B)의 경우와 같을 수 있다.
도 24의 (B)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 1, 2 단변(SS1, SS2)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의 가장자리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노출될 수 있다.
도 25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를 A3-A4라인을 따른 절단한 단면을 살펴보면, 도 25의 (B)의 경우와 같을 수 있다.
도 25의 (B)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 1 장변(LS1)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의 가장자리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노출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장변(LS2) 영역에 하부커버(Bottom Cover, 1300)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커버(1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또는, 하부커버(1300)는 도시하지 않은 다양한 부품, 예컨대 스피커, PCB 등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커버(1300)는 후면커버(1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되는 방송신호 수신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되는 일례로 방송신호 수신기(TV)를 일례로 설명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하에서 디스플레이부(10)로 설명한다.
도 2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방송 수신부(105Q),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저장부(140Q),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 제어부(170Q), 디스플레이부(10), 오디오 출력부(185Q), 전원공급부(190Q),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Q)는, 튜너(110Q), 복조부(120Q),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구비하면서 튜너(110Q)와 복조부(12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0Q)는,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외부 장치와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Q)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제어부(170Q)는, 튜너(110Q) 또는 복조부(12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Q)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Q)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는,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오디오 출력부(185Q)는, 제어부(170Q)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9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원격제어장치(200Q)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접착층에 의해 부착되는 고정부(Fixer);
    상기 고정부를 덮고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브라켓(Bracket), 상기 브라켓은 수지(Resin) 재질 및 유리섬유 재질을 포함하고;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는 후면커버(Back Cover);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외곽면(External Surface)은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안료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외곽면(External Surface)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덮는 측면커버(Side Cover)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는 광을 투과하는 투명커버인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접착층이 적용되는 홈을 포함하는 베이스부(Base Part);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연결부(Connection Part); 및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서 상기 수직방향과 수직하는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머리부(Head Part);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개구부(Opening)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의 가장자리 및 측면은 각각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전면기판 및 상기 후면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는 수지층(Resin Layer)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 1 장변(First Long Side);
    상기 제 1 장변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상기 제 1 장변 및 상기 제 2 장변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및
    상기 제 1 단변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장변, 제 1 단변 및 상기 제 2 단변영역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고정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적어도 상기 제 1 장변에 대응되는 제 1 브라켓, 상기 제 1 단변에 대응되는 제 2 브라켓 및 상기 제 2 단변에 대응되는 제 3 브라켓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브라켓은 일체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 2 장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후면커버에 연결되는 하부커버(Bottom Cover)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는 제 1 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의 내측면(Internal Surface)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돌기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접착층이 적용되는 홈을 포함하는 베이스부(Base Part);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연결부(Connection Part); 및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서 상기 수직방향과 수직하는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머리부(Head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기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머리부의 사이 공간에 끼워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 1 홈에 상기 고정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Sliding) 이동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측벽에는 상기 고정부가 통과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 사이에는 탄력성을 갖는 패드(Pad)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패드에 대응되는 제 2 홈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04231A 2014-01-13 2014-01-13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84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231A KR20150084331A (ko) 2014-01-13 2014-01-13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231A KR20150084331A (ko) 2014-01-13 2014-01-13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331A true KR20150084331A (ko) 2015-07-22

Family

ID=53874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231A KR20150084331A (ko) 2014-01-13 2014-01-13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43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7135A (zh) * 2018-02-08 2018-07-20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安装治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7135A (zh) * 2018-02-08 2018-07-20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安装治具
CN108307135B (zh) * 2018-02-08 2020-10-02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安装治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1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2681618B1 (en) Display device
EP2477060B1 (en) Display device
US8599330B2 (en) Display apparatus
USRE46796E1 (en) Display apparatus
CN102932617A (zh) 窄边框液晶电视边框结构装置
KR10196563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247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8433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4391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3728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3640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3036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5810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918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363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304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52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4391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9183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7032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95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3036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12456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2092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