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910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3910B1 KR101843910B1 KR1020110005810A KR20110005810A KR101843910B1 KR 101843910 B1 KR101843910 B1 KR 101843910B1 KR 1020110005810 A KR1020110005810 A KR 1020110005810A KR 20110005810 A KR20110005810 A KR 20110005810A KR 101843910 B1 KR101843910 B1 KR 1018439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display panel
- frame
- disposed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2858 cryst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86 memor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4569 Blind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1100166255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ATCC 204508 / S288c) CEP3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495436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ATCC 204508 / S288c) CSE4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23 metal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후면기판의 배면(Rear Surface)에 부착(Sticking)되는 브라켓(Bracket), 상기 브라켓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커버(Back Cover) 및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보조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후면기판의 배면(Rear Surface)에 부착(Sticking)되는 브라켓(Bracket), 상기 브라켓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커버(Back Cover) 및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보조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기판의 전면(Front Surface)의 가장자리(Edge)가 노출되거나 전면기판의 측면 가장자리(Side Edge)가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후면기판의 배면(Rear Surface)에 부착(Sticking)되는 브라켓(Bracket), 상기 브라켓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커버(Back Cover) 및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보조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층(Optical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층은 상기 보조 브라켓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과 상기 광학층은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층과 상기 후면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Frame)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후면커버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브라켓에는 홈이 형성되고, 프레임은 상기 홈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과 상기 후면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후면커버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홈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브라켓과 상기 후면기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배치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측면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측면커버와 상기 보조 브라켓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는 상기 연결 프레임과 상기 측면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커버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커버는 상기 홈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위치하는 가로부분과 상기 가로부분에서 상기 후면커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커버는 상기 가로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후면커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세로 돌출부 및 상기 세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가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측면커버와 상기 보조 브라켓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을 수직 부분이라 할 때, 상기 수직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세로 돌출부와 대응되는 제 2 세로 돌출부, 상기 수직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가로 돌출부와 대응되는 제 2 가로 돌출부 및 상기 수직 부분에서 상기 제 2 가로 돌출부와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가로 돌출부가 삽입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로 돌출부는 상기 후면커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수직 부분의 끝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분 및 상기 수직 부분의 끝단에서 상기 제 1 연장부분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분은 상기 브라켓과 상기 후면기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장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측면커버의 상기 가로부분과 중첩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 2 연장부분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커버는 상기 세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3 가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세로 부분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3 가로 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제 1 가로 돌출부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후면기판의 배면(Rear Surface)에 부착(Sticking)되는 브라켓(Bracket), 상기 브라켓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커버(Back Cover) 및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보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 1 영역, 상기 제 1 영역과 마주보는 제 2 영역,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과 인접하는 제 3 영역, 상기 제 3 영역과 마주보는 제 4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3, 4 영역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측면커버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에서는 상기 전면기판의 전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하부커버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 1 영역은 제 1 장변(First Long Side)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장변과 마주보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 3 영역은 상기 제 1 장변 및 상기 제 2 장변과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 4 영역은 제 1 단변과 마주보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층과 상기 후면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Frame)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커버와 상기 보조 브라켓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보조 브라켓의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보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브라켓에는 상기 구동보드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Cable)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하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기판의 전면(Front Surface)의 가장자리(Edge)가 노출되거나 전면기판의 측면 가장자리(Side Edge)가 노출됨으로써, 불필요한 화면 가림을 방지하여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테두리 및 글라스 기판의 제거에 따른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9 내지 도 8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84 내지 도 8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9 내지 도 8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84 내지 도 8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에),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인 것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브라켓(Bracket, 140), 광학층(Optical Layer, 110), 백 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120) 및 후면커버(Back Cover, 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서로 대항되게 배치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하고, 브라켓(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의 배면(Rear Surface)에 부착(Sticking)될 수 있다.
광학층(110)은 후면기판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광학층(110)은 브라켓(140)에 고정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백라이트 유닛(120)과 후면기판이 가하는 압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는, 광학층(110)은 브라켓(140)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광학층(110)은 복수의 시트(Sheet)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층(11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프리즘 시트 및 확산 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백 라이트 유닛(120)은 광학층(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백 라이트 유닛(120)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Light Sourc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다양한 형태의 광원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이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원은 적색, 청색, 녹색 등과 같은 컬러 중에서 적어도 한 컬러를 방출하는 유색 LED이거나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백 라이트 유닛(120)의 후방에는 후면커버(13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후면커버(130)는 백 라이트 유닛(120) 및 광학층(11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광학층(1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밀착될 수 있다. 또는, 백 라이트 유닛(120)은 광학층(110)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도 2의 경우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균일한 셀 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전면 기판(101) 및 후면 기판(111)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면기판(101)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는 액정층(Liquid Crystal Layer, 10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기판(101)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는 액정층(104)을 밀봉하기 위한 실부(Seal Portion, 200)가 배치될 수 있다.
전면기판(101)에는 R, G, B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컬러필터(10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컬러 필터(102)는 레드(R), 그린(G) 및 블루(B) 서브 픽셀(Sub-pixel)로 이루어진 복수의 픽셀(Pixel)들을 포함하며, 광이 인가되는 경우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 하는 이미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픽셀들은 레드, 그린 및 블루 서브 픽셀로 구성될 수 있으나, 레드, 그린, 블루 및 화이트(W) 서브 픽셀이 하나의 픽셀을 구성하는 등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후면기판(111)에는 화소별로 액정을 온/오프(On/Off) 시키기 위한 소정의 트랜지스터(Transistor, 103), 예컨대 TFT(Thin Film transistor)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기판(101)을 컬러 필터 기판(101)이라 하고, 후면기판(111)을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111)이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면기판(1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과한 광을 편광시키는 위한 전면 편광 필름(3400)이 배치되고, 후면기판(111)의 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후면기판(111)의 후방에 배치되는 광학층(110)을 통과한 광을 편광시키는 후면 편광 필름(3410)이 배치될 수 있다.
액정층(104)은 복수의 액정 분자들로 이루어져 있고, 액정 분자들은 트랜지스터(103)에 의해 공급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백 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은 액정층(104)의 분자 배열의 변화에 상응하여 컬러 필터(102)에 입사될 수 있다.
그러면, 컬러 필터(102)에 의해 적어도 R, G, B 광이 구현됨으로써, 소정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픽셀들 각각은 데이터라인(300)과 게이트라인(310)이 교차되고, 그 교차부에 접속된 TFT(103)를 포함할 수 있다.
TFT(103)는 게이트라인(106)으로부터의 게이트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라인(105)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을 액정셀(Clc)의 화소전극(320)에 공급한다. 액정셀(Clc)은 화소전극(320)의 전압과 공통전극(330)에 인가되는 공통전압(Vcom)의 전압차에 따라 발생되는 전계에 의해 회동하여 편광판을 통과하는 광양을 조절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액정셀(Clc)의 화소전극에 접속되어 액정셀(Clc)의 전압을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구조 및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에서 실시예의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
도 4 내지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4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의 후면과 브라켓(140)의 사이에는 접착층(4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400)에 의해 브라켓(140)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처럼, 접착층(400)을 이용하여 후면기판(111)의 후면에 브라켓(140)을 부착시키게 되면 팸넛(Pemnut), 보스(Boss) 등의 지지수단 및 스크류(Screw)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고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고,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브라켓(140)의 후면기판(111)을 향하는 일면에는 홈(141)이 형성되고, 이러한 홈(141)에 접착층(40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착재료가 브라켓(14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브라켓(140)을 후면기판(111)의 후면에 부착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길이방향(LD)으로 브라켓(140)보다 더 연장되는 부분(W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홈(141)은 깊이가 서로 다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접착층(400)의 접착재료가 홈(141)에 보다 효과적으로 위치하도록 하면서도 후면기판(111)과 브라켓(140)의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브라켓(140)은 폭 방향(WD)으로 홈(141)의 깊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부분(A1, A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홈(141)의 중앙부분의 깊이(t1)는 홈(141)의 가장자리부분의 깊이(t2)와 다를 수 있다. 아울러, 홈(141)의 가장자리부분에서는 홈(141)의 길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홈(141)에 형성되는 접착층(400)은 두께가 서로 다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접착층(400)은 중앙부분의 폭이 가장자리부분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도 6을 살펴보면, 브라켓(140)의 내측(Inner Area, IA)에 광학층(110)이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140)의 외측(Outter Area, OA)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층(110)은 브라켓(140)의 내측에서 브라켓(14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광학층(110)에 브라켓(140)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광학층(110)의 일부는 브라켓(140)과 중첩(Overlap)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광학층(110)의 일부는 브라켓(140)에 내부(Inside)에 위치하거나 혹은 브라켓(140)과 접촉할 수 있다.
브라켓(140)에 광학층(110)을 고정하기 위해, 도 7과 같이, 브라켓(140)에 홈(7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홈(700)에 광학층(110)을 삽입함으로써 브라켓(140)에 광학층(110)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홈(700)은 브라켓(140)의 측면에는 형성되며, 아울러 홈(7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광학층(110)과 브라켓(14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홈(700)을 갈고리(Hook)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학층(110)에도 홈(700)에 대응되는 돌출부(111)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돌출부(111)를 홈(700)에 삽입함으로써 광학층(110)을 브라켓(140)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9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에 돌출부(900)를 형성하고, 광학층(110)에는 홀(Hole, 112)을 형성하고, 브라켓(140)의 돌출부(900)를 광학층(110)의 홀(112)에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광학층(110)을 브라켓(140)에 고정할 수 있다.
또는, 도 10의 경우와 같이, 광학층(110)에 홀(112) 및 브라켓(140)의 돌출부(900)가 지날 수 있는 가이드부(Guide Portion, 113)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브라켓(140)의 돌출부(900)를 가이드부(113)를 통과시켜 홀(112)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을 살펴보면, 광학층(110)의 후방에는 백 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120)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백 라이트 유닛(120)은, 도 12의 경우와 같이, 광학층(110)의 후면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광학층(110)과 백 라이트 유닛(120)의 사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도 12와는 다르게, 백 라이트 유닛(120)이 광학층(110)과 소정 거리 이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3을 살펴보면, 백 라이트 유닛(120)의 후방에 후면커버(1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커버(130)는 브라켓(140)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브라켓(14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된 홀(1300)이 형성되고, 이러한 홀(1300)에 후면커버(130)의 끝단(Edge)이 삽입됨으로써, 브라켓(140)에 후면커버(130)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4를 살펴보면, 브라켓(140)에 후면커버(130)가 고정되는 경우에 후면커버(130)와 백 라이트 유닛(120)이 소정 거리(d1) 이격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140)에 후면커버(130)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전면기판(101)의 전면(Front Surface)의 가장자리(Edge)가 노출되거나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Side Edge)가 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Edge)가 노출된다는 것은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정면에서 전면기판(101)의 전면을 바라봤을 때 즉,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정면에서 D2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바라봤을 때, 관찰자는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를 관찰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Side Edge)가 노출된다는 것은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서 전면기판(101)의 전면을 바라봤을 때 즉,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서 D1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바라봤을 때, 관찰자는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를 관찰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면커버(130)가 장착된 이후에도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거나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는 경우에는 적어도 전면기판(101)은 강화유리인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거나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더라도 전면기판(101)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전면기판(101)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전면기판(101)의 두께는 후면기판(111)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면기판(101)이 노출되더라도 전면기판(101)이 손상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도 15a를 살펴보면, 후면커버(130)의 폭(L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폭(L1)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후면커버(130)의 폭(L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 및 후면기판(111) 중 적어도 하나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바라봤을 때,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대부분의 영역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관상 미려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또 다른 테두리가 보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화면 영역이 보다 커져 보이는 시각적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①) 및 하측(②)에서 각각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 및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도 15a를 살펴보면, 브라켓(140)의 내측(IA)에 광학층(110)이 배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Edge)에는 블로킹부(Blocking members, 150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블로킹부(1500)는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로킹부(1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영역(유효영역, Active Area)의 외곽의 더미영역(Dummy Area)을 가림으로써 화면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이 더욱 두드러져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로킹부(1500)는 주위보다 낮은 명도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블로킹부(1500)의 명도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명도보다 낮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로킹부(1500)는 실질적으로 검은색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블로킹부(1500)는 실질적으로 검은색 테잎(Tape)일 수 있으며, 검은색 테잎을 전면기판(101)의 전면에 부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로킹부(1500)는 블랙층(Black Layer)이라고 할 수 있다.
블로킹부(1500)는 전면기판(101)의 전면에 배치되며, 아울러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기 때문에, 도 15b와 같이, 블로킹부(1500)의 거의 모든 부분이 노출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바라봤을 때, 관찰자는 블로킹부(1500)의 거의 모든 부분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즉, 블로킹부(1500)의 거의 모든 부분은 관찰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140)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기 때문에 화면 영역 외곽의 더미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140)은 블로킹부(1500)에 의해 가려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5a와 같이, 블로킹부(1500)는 브라켓(140)과 중첩(Overlap)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브라켓(140)은 블로킹부(1500)와 전체 중첩(Full Overlap)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블로킹부(1500)의 폭(W10, W20)은 브라켓(140)의 폭(W11, W1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블로킹부(1500)는 브라켓(140)보다 전면기판(101)의 중심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부분(P1, P2)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아울러 블로킹부(1500)는 브라켓(140)보다 전면기판(101)의 외곽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부분(W1, W2)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블로킹부(1500)의 폭(W10, W20) 및 브라켓(140)의 폭(W11, W1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면에서의 폭이다.
도 16을 살펴보면, 백 라이트 유닛(120)의 후방에는 프레임(Frame, 1600)이 더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백 라이트 유닛(12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광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백 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에 프레임(1600)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600)은 강도가 크고 열 전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1600)은 금속 재질,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Al)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레임(1600)은 브라켓(14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7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에는 안착부(1700)가 형성되고, 프레임(1600)에는 체결홀(1610)이 형성되고, 체결수단(1720)이 프레임(1600)의 체결홀(1610)을 관통하여 브라켓(140)의 안착부(17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1600)이 브라켓(140)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도 18의 경우와 같이, 백 라이트 유닛(120)과 광학층(110)은 밀착될 수 있다.
또는, 도 18의 경우와는 다르게, 백 라이트 유닛(120)과 광학층(110)은 서로 이격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백 라이트 유닛(120)의 후방에 프레임(1600)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후면커버(130)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는, 백 라이트 유닛(120)의 후방에 프레임(1600)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후면커버(13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는, 프레임(1600)은 백라이트 유닛(120)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1600)과 백라이트 유닛(120)의 사이에 또 다른 구조물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9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1600)의 후면의 일부 영역에 후면커버(130)를 배치하고, 후면커버(130)와 프레임(1600)의 사이에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보드(1900)를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후면커버(130)의 폭(L2)은 프레임(1600)의 폭(L3)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폭, 예컨대 전면기판(101)의 폭(L1)은 후면커버(130)의 폭(L3) 및 프레임(1600)의 폭(L2)보다 클 수 있다.
도 20a를 살펴보면, 브라켓(140)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는 보조 브라켓(2300)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보조 브라켓(2300)을 사용하게 되면 브라켓(140)의 형상은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외부로 노출되는 보조 브라켓(2300)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을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히 설명하면, 보조 브라켓(2300)을 사용하게 광학층(110) 또는 백 라이트 유닛(120)의 배치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후면커버(130)의 연결구조 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 구조는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후면커버(130)의 연결구조 등의 외형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보조 브라켓(2300)의 일측은 브라켓(140)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보조 브라켓(2300)의 타측에는 후면커버(130)가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보조 브라켓(2300)에 후면커버(130)를 고정하기 위해, 보조 브라켓(2300)에 브라켓(140)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된 홈(2310)이 형성되고, 홈(2310)에는 후면커버(130)의 끝단(Edge)이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보조 브라켓(2300)에 후면커버(130)가 고정되는 경우에 후면커버(130)와 백 라이트 유닛(120)이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는 앞선 도 14 내지 도 1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브라켓(140)에 후면커버(130)가 고정되는 경우 후면커버(130)와 백 라이트 유닛(120)이 소정거리 이격되는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아울러, 보조 브라켓(2300)에 후면커버(130)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전면기판(101)의 전면(Front Surface)의 가장자리(Edge)가 노출되거나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Side Edge)가 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앞선 도 14 내지 도 15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도 20b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길이방향으로 보조 브라켓(2300)보다 더 연장되는 부분(W200)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한편, 브라켓(140)은 복수개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1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은 가로 브라켓(140A1, 140A2)과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가로 브라켓(140A1, 140A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의 배면(Rear Surface)의 장변(LS1, LS2)측에 부착되고,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의 배면의 단변(SS1, SS2)측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가로 브라켓(140A1, 140A2) 및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은 소정 간격(d10) 이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로 브라켓(140A1, 140A2)과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은 후면기판(111)의 배면의 코너(Corner) 부분에서 서로 이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가로 브라켓(140A1, 140A2) 및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을 후면기판(111)에 부착하는 공정이 용이해질 수 있으며, 브라켓(140)의 단가를 낮춤으로써 총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광학층(110)은 가로 브라켓(140A1, 140A2) 및 세로 브라켓(140B1, 140B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2의 경우와 같이, 광학층(110)은 가로 브라켓(140A1, 140A2) 및 세로 브라켓(140B1, 140B2) 중 가로 브라켓(140A1, 140A2)에는 고정되고, 세로 브라켓(140B1, 140B2)에는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광학층(110)은 가로 브라켓(140A1, 140A2)과는 중첩하거나 접촉할 수 있고, 세로 브라켓(140B1, 140B2)과는 중첩하지 않고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로 브라켓(140A1, 140A2)의 폭(A10)은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의 폭(A20)과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23의 경우와 같이, 광학층(110)이 고정되는 가로 브라켓(140A1, 140A2)의 폭(A10)이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의 폭(A20)보다 클 수 있다.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은 광학층(110)이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그 폭(A20)이 작아도 관계없다.
또는, 도 24의 경우와 같이, 광학층(110)은 가로 브라켓(140A1, 140A2) 및 세로 브라켓(140B1, 140B2)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가로 브라켓(140A1, 140A2)이 광학층(110)에 대한 주요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로 브라켓(140A1, 140A2)의 폭(A10)이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의 폭(A20)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로 브라켓(140A1, 140A2)과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은 소정의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5의 경우와 같이, 서로 이격된 가로 브라켓(140A1, 140A2)과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의 사이에는 연결부(3100)가 배치될 수 있고, 연결부(3100)는 소정의 체결수단(3110)에 의해 가로 브라켓(140A1, 140A2) 및 세로 브라켓(140B1, 140B2)에 연결됨으로써 가로 브라켓(140A1, 140A2) 및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이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6을 살펴보면, 가로 브라켓(140A1, 140A2)과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브라켓(140)에서 후면기판(111)의 장변(LS1, LS2)에 배치되는 부분을 가로 브라켓(140A1, 140A2)이라하고, 후면기판(111)의 단변(SS1, SS2)에 배치되는 부분을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가로 브라켓(140A1, 140A2)의 폭(A10)이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의 폭(A20)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도 27을 살펴보면, 보조 브라켓(2300)은 가로 브라켓(140A1, 140A2) 및 세로 브라켓(140B1, 140B2)에는 단일(Single) 보조 브라켓(230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로 브라켓(140A1, 140A2) 및 세로 브라켓(140B1, 140B2)에 보조 브라켓(2300)이 연결된 상태에서 가로 브라켓(140A1, 140A2)과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의 사이에는 빈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8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편광 필름(3400)의 폭(L10)과 후면기판(111)의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 편광 필름(3410)의 폭(L11)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전면 편광 필름(3400)의 폭(L10)과 후면 편광 필름(3410)의 폭(L1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면에서의 폭이다.
바람직하게는, 전면 편광필름(3400)의 폭(L10)은 후면 편광필름(3410)의 폭(L11)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29a의 경우와 같이, 전면 편광필름(3400)은 브라켓(140)과 중첩되는 부분(A30)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브라켓(140)은 후면기판(11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후면 편광필름(3410)과 소정 거리(d11) 이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브라켓(140)은 후면기판(111)에 직접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의 부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전면 편광필름(3400)은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끝단과 소정 거리(d12)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면 편광필름(3400)을 전면기판(101)에 부착하는 공정이 용이해질 수 있고,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9b를 살펴보면, 블로킹부(1500)와 전면 편광필름(3400)은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로킹부(1500)는 전면 편광필름(34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면 편광필름(34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방향으로 블로킹부(1500)에 비해 더 연장되는 부분(Y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9b에서는 블로킹부(1500)가 전면 편광필름(34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만을 도시하였지만, 블로킹부(1500)가 전면 편광필름(3400)과 전면기판(101)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도 가능하면, 이러한 경우에도 전면 편광필름(34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방향으로 블로킹부(1500)에 비해 더 연장되는 부분(Y1)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29c와 같이, 블로킹부(1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방향으로 전면 편광필름(3400)에 비해 더 연장되는 부분(Y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블로킹부(1500)는 전면 편광필름(3400)과도 접촉하고, 전면기판(101)과도 접촉할 수 있다.
도 29c에서는 블로킹부(1500)가 전면 편광필름(34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만을 도시하였지만, 블로킹부(1500)가 전면 편광필름(3400)과 전면기판(101)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도 가능하면, 이러한 경우에도 블로킹부(1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방향으로 전면 편광필름(3400)에 비해 더 연장되는 부분(Y2)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29d와 같이, 블로킹부(1500)와 전면 편광필름(3400)은 동일한 층(Layer)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블로킹부(1500)는 전면 편광필름(3400)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0의 (a), (b)를 살펴보면, 전면기판(101)의 단변(SS1, SS2)은 후면기판(111)의 단변(SS1, SS2)보다 더 연장되고, 전면기판(101)의 장변(LS1, LS2)은 후면기판(111)의 장변(LS1. LS2)보다 더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면기판(101)의 단변(SS) 중 제 1 단변(SS1)은 전면기판(101)의 제 1 단변(SS1)에 대응되는 후면기판(111)의 제 1 단변(SS1)보다 제 1 길이(S1)만큼 연장되고, 전면기판(101)의 단변 중 제 2 단변(SS2)은 전면기판(101)의 제 2 단변(SS2)에 대응되는 후면기판(111)의 제 2 단변(SS2)보다 제 2 길이(S2)만큼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1 길이(S1)와 제 2 길이(S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제 1 길이(S1)와 제 2 길이(S2)는 서로 다른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의 제 1 단변(SS1)과 제 2 단변(SS2)에서의 구조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면기판(101)의 제 1 단변(SS1)측에 대응되는 후면기판(111)의 제 1 단변(SS1)에 게이트 드라이버를 실장하기 위해 후면기판(111)의 제 1 단변(SS1)측에 충분히 큰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길이(S1)가 제 2 길이(S2)보다 작아질 수 있다.
또는, 전면기판(101)의 장변(LS) 중 제 1 장변(LS1)은 전면기판(101)의 제 1 장변(LS1)에 대응되는 후면기판(111)의 제 1 장변(LS1)보다 제 10 길이(S10)만큼 연장되고, 전면기판(101)의 장변(LS) 중 제 2 장변(LS2)은 전면기판(101)의 제 2 장변(LS2)에 대응되는 후면기판(111)의 제 2 장변(LS2)보다 제 20 길이(S20)만큼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20 길이(S20)와 제 10 길이(S10)는 서로 다른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조 브라켓이 생략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브라켓에 연결되는 보조 브라켓을 포함하는 경우도 이하의 내용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1을 살펴보면, 광학층(110)은 브라켓(140)에 고정되지 않고, 브라켓(140)의 일면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학층(110)은 브라켓(140)의 상부에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140)의 형상이 앞서 설명한 경우와 다르지만, 도 31의 브라켓(140)의 형상은 예컨대 도 4의 경우와 동일한 경우도 가능하다. 브라켓(140)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광학층(110)을 단순히 브라켓(140)의 상부에 놓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아울러, 광학층(110)의 크기를 브라켓(140)의 크기에 대응되게 설계한다면 광학층(110)을 단순히 브라켓(140)의 상부에 올려놓는 경우에도 브라켓(140)의 상부에서 광학층(11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브라켓(140)의 상부에 광학층(110)이 배치되면, 광학층(11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이 소정 거리(Z1)이 이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32의 경우와 같이, 후면기판(111)과 광학층(110)의 사이에 에어층(Air Gap, 65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후면기판(111)과 광학층(110)의 사이에 에어층(Air Gap, 650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에어층(650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33을 살펴보면, 브라켓(140)의 일면에는 고정부(6600)가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고정부(6600)에 광학층(1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66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광학층(110)에 고정부(6600)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광학층(110)과 고정부(6600)의 접촉면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광학층(110)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광학층(110)이 움직이는 것을 억제하고 광학층(110)의 손상을 충분히 방지하기 위해 광학층(110)과 접촉하는 고정부(6600)는 브라켓(140)보다 무른 성질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고정부(6600)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학층(110)의 후방에는 도광판(7000)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는 백라이트 유닛(120)이 직하타입(Direct Type)이 아니고 엣지 타입(Edge Type)인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광학층(1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후면기판(111)의 배면으로부터 측정한 광학층(110)의 최대 높이(Z2)는 브라켓(140)의 높이(Z3)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울러, 광학층(110)의 후방에 도광판(7000)이 배치되는 경우에도 도광판(70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후면기판(111)의 배면으로부터 측정한 도광판(7000)의 최대 높이(Z4)는 브라켓(140)의 높이(Z3)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7010)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고, 직하형 백 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엣지형 및 직하형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도 34를 살펴보면, 프레임(1600)의 후방에는 후면커버(130)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후면커버(10)는 브라켓(14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4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의 돌출부(145)에 후면커버(130)가 도시하지 않은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브라켓(140)의 돌출부(145)의 일측에는 프레임(1600)이 연결되고, 돌출부(145)의 타측에는 후면커버(130)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프레임(1600)의 일부와 후면커버(130)의 일부는 브라켓(140)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35와 같이,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보드(7210)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는 에어층(72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층(7200)은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 구동보드(7210)를 배치할 공간을 마련함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층(110)과 후면기판(111)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층(6500)을 제 1 에어층(First Air Gap)이라 하고,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층(7200)을 제 2 에어층(Second Air Gap)이라 할 때, 제 2 에어층(7200)의 두께(Z5)는 제 1 에어층(6500)의 두께(Z1)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브라켓(140)에 보조 브라켓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후면커버(130)가 보조 브라켓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보조 브라켓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는, 도 36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130)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후면커버(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132)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백라이트 유닛(120)이 직하타입 백라이트 유닛이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면, 또는 엣지타입 백라이트 유닛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엣지타입 백라이트 유닛은 하부 엣지형 백 라이트 유닛, 측면 엣지형 백 라이트 유닛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부 엣지형 백 라이트 유닛(7010)은, 도 37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장변(Long Side, LS) 측에 배치되어 도시하지 않는 도광판으로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과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중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 2 장변(LS2) 측에 하부 엣지형 백 라이트 유닛(7010)이 배치될 수 있다.
측면 엣지형 백 라이트 유닛(7010)은, 도 38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변(Short Side, SS) 측에 배치되어 도시하지 않는 도광판으로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에 제 1 측면 엣지형 백 라이트 유닛(7010A)이 배치되고,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에 제 2 측면 엣지형 백 라이트 유닛(7010B)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할 엣지형 백 라이트 유닛은, 앞서 설명한, 측면 엣지형 백 라이트 유닛 및 하부 엣지형 백 라이트 유닛 모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9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D30)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45)를 포함하고, 프레임(1600)은 돌출부(145)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프레임(1600)과 광학층(110)의 사이에 도광판(7000)이 배치될 수 있고, 도광판(7000)의 측면에 엣지형의 백 라이트 유닛(70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엣지형의 백 라이트 유닛(7010)은 기판(7011)과 기판(7011)에 배치되는 LED 등의 광원(70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40의 경우와 같이, 도광판(7000)과 엣지형 백 라이트 유닛(7010)은 소정 거리(U1) 이격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백 라이트 유닛(7010)의 광원(7012)과 도광판(7000)이 소정 거리(U1) 이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도광판(7000)에 의한 백 라이트 유닛(70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백 라이트 유닛(7010)에서 발생한 광이 도광판(7000)에 진입하기 이전에 에어층을 이동하면 보다 넓게 퍼질 수 있기 때문에 광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600)과 브라켓(140)의 사이에 보조 프레임(8000)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소정의 체결수단(8010)에 의해 보조 프레임(8000)이 브라켓(140)에 연결될 수 있고, 프레임(1600)은 보조 프레임(80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보조 프레임(8000)에 기판(7011)과 기판(7011)에 배치되는 LED 등의 광원(7012)을 포함하는 엣지형의 백 라이트 유닛(70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엣지형의 백 라이트 유닛(7010)에서 발생하는 열이 보조 프레임(8000)을 통해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엣지형의 백 라이트 유닛(7010)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보조 프레임(8000)과 프레임(1600)의 사이에는 열전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달층은 금속 입자를 포함하는 접착층일 수 있다.
한편, 도 4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브라켓(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영역(Active Area, AA) 외곽의 더미 영역(Dummy Area, DA)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폭 방향으로 브라켓(14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브라켓(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영역(AA)의 끝단(P10)으로부터 소정거리(F2) 이격되는 것이다.
이처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영역(AA)으로부터 소정거리(F2) 이격된 위치에 브라켓(140)을 부착시키는 것은 화면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서 사선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바라보는 경우에 유효 영역(AA)과 더미 영역(DA)의 경계부분의 영상이 왜곡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영역(AA)으로부터 소정거리(F2) 이격된 위치에 브라켓(140)을 부착시키게 되면 화면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후면기판(111)과 광학층(110) 사이의 간격(F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영역(Active Area, AA)의 끝단(P10)으로부터 브라켓(140)까지의 간격(F2)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41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영상이 표시되는 유효 영역(AA)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더미 영역(Dummy Area, DA)의 경계라인(BL)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이 만나는 지점이 P10이라 할 때, P10지점, 즉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영역(AA)의 끝단(P10)으로부터 브라켓(140)까지의 간격(F2)은 후면기판(111)과 광학층(110) 사이의 간격(F1)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더미 영역(DA)의 크기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효 영역(AA)과 더미 영역(DA)의 경계부분에서 화면 왜곡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더미 영역(DA)의 크기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영역(AA)의 끝단(P10)으로부터 브라켓(140)과 접하는 법선(TL)을 설정했을 때, 법선(TL)과 경계라인(BL) 사이의 각도(θ1)는 대략 15ㅀ~30ㅀ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 배치되는 실부(미도시)에 의해 더미 영역(DA)과 유효 영역(AA)이 구분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부의 외곽은 더미 영역(DA), 실부의 내측은 유효 영역(AA)으로 구분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하게는, 실부의 단면의 내측면, 즉 액정층과 접하는 면을 기준으로 유효 영역(AA)과 더미 영역(DA)을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미 영역(DA)과 유효 영역(AA)을 구분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2를 살펴보면, 엣지 타입 백라이트 유닛에서 광학층(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도광판(7000)은 광학층(110)에 비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방향으로 소정 길이(F3)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43의 경우와 같이, 도광판(7000)의 총길이(L30)가 광학층(110)의 총길이(L310)보다 길 수 있다.
이처럼, 도광판(7000)의 길이(L30)가 광학층(110)의 길이(L31)보다 긴 경우에는 더미 영역(DA)과 유효 영역(AA)의 경계부분에서 화면의 왜곡을 방지하면서도 광학층(110)의 길이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제조단가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42를 살펴보면, 광학층(110)이 도광판(7000)의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광학층(110)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영역(AA)의 끝단(P10)을 지나고 브라켓(140)에 접하는 법선(TL)이 광학층(110)과 도광판(7000)을 모두 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4를 살펴보면, 브라켓(140)의 폭(W3)은 접착층(400)의 폭(W4)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브라켓(140)에 홈(141)이 형성되고, 홈(141)에 접착층(400)이 형성된 경우일 수 있다.
또한, 도 44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의 단면에서 홈(141)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D34)으로 홈(141)의 끝단부터 브라켓(140)의 끝단까지의 간격(W5)을 제 1 간격(W5)이라 할 때, 제 1 간격(W5)은 홈(141)의 폭(W4)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브라켓(140)의 단면에서 홈(141)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D35)으로 홈(141)의 끝단부터 브라켓(140)의 끝단까지의 간격(W6)을 제 2 간격(W6)이라 할 때, 제 2 간격(W6)은 홈(141)의 폭(W4)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브라켓(140)에 형성되는 홈(141)의 크기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간격(W5)과 제 2 간격(W6)의 합(W5+W6)은 홈(141)의 폭(W4)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브라켓(140)에 형성되는 홈(141)의 크기를 더욱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의 부착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간격(W5)은 제 2 간격(W6)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브라켓(140)의 강도는 유지하면서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영역(AA)의 끝단(P10)으로부터 브라켓(140)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화면 왜곡을 더욱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접착층(400)의 폭(W4)은 접착층(400)의 두께(W7)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400)은 UV 접착제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재질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UV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층(400)을 형성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45를 살펴보면, 브라켓(140)의 일면은 사선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브라켓(140)의 단면 중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D34)의 브라켓(140)의 측면은 후면기판(111)을 기준으로 볼 때, 사선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영역(AA)의 끝단(P10)으로부터 브라켓(140)까지의 간격(F2)은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이 인접하는 영역에서 브라켓(140)과 광학층(111)의 인접하는 영역에서보다 작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영역(AA)의 끝단(P10)으로부터 브라켓(140)까지의 간격(F2)은 후면기판(111)으로부터 광학층(110)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브라켓(140)에 의해 광이 차단되는 것을 줄임으로써 화면 왜곡을 줄일 수 있다. 도 45를 살펴보면, 앞선 도 41의 경우의 법선(TL)이 도 45의 경우에는 브라켓(140)이 접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브라켓(140)이 단면의 높이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중심방향(D34)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도 45에서, 브라켓(140)의 단면의 높이가 T11에서 T10으로 감소한 부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46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폭 방향으로 접착층(400)은 광학층(110)과 중첩할 수 있다. 이처럼, 접착층(400)이 광학층(110)과 중첩할 수 있는 이유는 브라켓(140)의 일측이 사선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브라켓(140)을 보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에 근접하게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6과 같이, 브라켓(14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폭 방향으로 광학층(110)과 중첩하는 부분을 제 1 부분(F5)이라 할 때, 제 1 부분(F5)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방향(D34)으로 갈수록 높이(TB)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제 2 부분(F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부분(F6)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폭 방향으로 접착층(400)의 일부(F7)와 중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화면 왜곡을 저감시키면서도 더미 영역(DA)의 크기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부분(F6)의 폭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영역의 끝단(P10)으로부터 브라켓(140)까지의 최단 간격(F2)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는, 도 47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의 제 2 부분(F6)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폭 방향으로 접착층(400)과 중첩하지 않고, 접착층(400)과 소정거리(F8) 이격될 수 있다.
또는, 도 48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의 일측은 사선형태가 아닌 계단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도 49 내지 도 8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브라켓(140)에는 보조 브라켓(4800)이 연결되고, 광학층(110)은 브라켓(140)과 보조 브라켓(4800)의 사이에 배치되거나 혹은 보조 브라켓(4800)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49를 살펴보면, 브라켓(140)에 배치되는 보조 브라켓(48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부분(480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브라켓(480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부분(4803)을 수평부(4803)라고 칭할 수 있다.
아울러, 보조 브라켓(4800)은 수평부(4803)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교차하는 방향, 자세하게는 후면커버(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8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브라켓(4800)에서 수평부(4803)로부터 후면커버(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802)를 수직부(4802)라고 칭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브라켓(4800)은 브라켓(140)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고, 또는 도시하지 않은 체결수단에 의해 브라켓(140)에 체결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도 50의 경우와 같이, 보조 브라켓(4800)은 수평부(4803)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교차하는 방향, 자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801)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보조 브라켓(4800)에서 수평부(4803)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801)를 제 1 수직부(4801)라 칭하고, 수평부(4803)로부터 후면커버(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802)를 제 2 수직부(4802)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조 브라켓(4800)의 형상은 도 49 내지 도 50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1을 살펴보면, 광학층(110)은 브라켓(140)과 보조 브라켓(48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조 브라켓(4800)의 수평부(4803)와 브라켓(140)의 사이에 광학층(11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52의 경우와 같이, 광학층(110)은 보조 브라켓(4800)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후면기판(111)과 광학층(110) 간의 간격(K2)은 후면기판(111)과 보조 브라켓(4800)의 수평부(4803) 사이의 간격(K1)보다 클 수 있다. 아울러, 광학층(110)은 브라켓(140)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프레임(1600)은 보조 브라켓(4800)과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53의 경우와 같이, 광학층(110)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1600)은 보조 브라켓(4800)과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4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1600)에는 보조 브라켓(4800)의 제 1 수직부(4801)에 대응되는 홀(4810)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수직부(4801)는 프레임(1600)에 형성된 홀(4810)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브라켓(4800)과 프레임(160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레임(1600)의 변형력이 보조 브라켓(48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빛샘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1600)이 보조 브라켓(4800)의 제 2 수직부(4802)에 지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레임(160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이에 광학층(110), 백라이트 유닛(120) 등이 배치될 수 있는 충분히 넓은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또는, 보조 브라켓(4800)이 생략되고, 프레임(1600)이 브라켓(140)에 연결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5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 10 수직부(4901) 및 프레임(16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 11 수직부(49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레임(1600)은 제 11 수직부(4902)에 지지될 수 있으며, 아울러 브라켓(140)의 제 10 수직부(4901)는 프레임(1600)에 형성된 홀(4810)에 끼워질 수 있다.
한편, 프레임(1600)과 보조 브라켓(4800) 혹은 프레임(1600)과 브라켓(140)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Connecting Frame, 50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6의 경우와 같이, 소정의 체결수단(4630)에 의해 프레임(1600)에 체결되는 연결 프레임(50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연결 프레임(5000)은 보조 브라켓(4800)의 제 2 수직부(4802)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아울러 연결 프레임(5000)은 보조 브라켓(4800)의 제 1 수직부(4801)에 대응되는 홀(4811)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보조 브라켓(4800)은, AR1과 같이, 프레임(1600)과 연결 프레임(50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조 브라켓(4800)과 프레임(1600)을 체결하지 않거나 혹은 보조 브라켓(4800)과 연결 프레임(5000)을 체결하지 않아도 보조 브라켓(4800), 프레임(1600), 연결 프레임(5000)을 단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는, 연결 프레임(500)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보조 브라켓(4800)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7의 경우와 같이, 연결 프레임(5000)은 브라켓(140)의 제 11 수직부(4902)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아울러 연결 프레임(5000)은 브라켓(140)의 제 10 수직부(4901)에 대응되는 홀(4811)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140)은 프레임(1600)과 연결 프레임(50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브라켓(140)과 프레임(1600)을 체결하지 않거나 혹은 브라켓(140)과 연결 프레임(5000)을 체결하지 않아도 브라켓(140), 프레임(1600), 연결 프레임(5000)을 단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 58을 살펴보면, 브라켓(140)에는 보조 브라켓(4800)이 연결되어 고정되고, 아울러 보조 브라켓(4800)에는 홈(480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홈(4804)은 보조 브라켓(4800)의 일부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수직하는 방향(D40)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보조 브라켓(4800)에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수직하는 방향(D40)으로 함몰되는 홈(4804)을 제 1 홈(4804)라 칭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1600)은 제 1 홈(4804)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프레임(1600)의 끝단이 제 1 홈(4804)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빛샘 현상을 저감시키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도 연결 프레임(5000)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9의 경우와 같이, 연결 프레임(5000)은 프레임(1600)과 보조 브라켓(4800)의 연결부분에 배치되어 제 1 홈(4804)에 끼워진 프레임(1600)과 보조 브라켓(4800)을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연결 프레임(5000)은 후면기판(111)과 브라켓(14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AR2와 같이 연결 프레임(5000)의 끝단은 후면기판(111)과 브라켓(1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연결 프레임(5000)은 프레임(1600)에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연결 프레임(5000)이 생략되는 경우에 프레임(1600)은 후면기판(111)과 브라켓(14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60의 경우와 같이, AR3과 같이 프레임(1600)의 끝단은 후면기판(111)과 브라켓(1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1A 및 61B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나란한 방향,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D41)으로 함몰되는 홈(480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브라켓(140)에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나란한 방향(D41)으로 함몰되는 홈(4805)을 제 2 홈(4805)라 칭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61A의 AR4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1600)은 제 2 홈(4805)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AR4와 같이 프레임(140)의 끝단은 브라켓(140)에 형성된 제 2 홈(4805)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도 61B의 경우와 같이, 연결 프레임(5000)을 사용하는 경우에, 연결 프레임(5000)은 제 2 홈(4805)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연결 프레임(5000)의 끝단은 브라켓(140)에 형성된 제 2 홈(4805)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도 62를 살펴보면, 프레임(1600)의 후방에 후면커버(13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후면커버(130), 연결 프레임(5000) 및 프레임(1600)은 하나의 체결수단(4631)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아울러, 연결 프레임(5000)은 후면커버(130)와 프레임(16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는 측면커버(440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측면커버(44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가로부분(4410)과 가로부분(4410)에서 후면커버(130)를 향하는 방향(D42)으로 연장되는 세로부분(4420)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AR5와 같이 후면커버(130)는 측면커버(4400)와 연결 프레임(50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연결 프레임(5000)은 측면커버(4400)와 보조 브라켓(4800)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63의 경우와 같이, 측면커버(4400)는 후면커버(13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면커버(4400)의 세로 부분(4420)에는 고리(Hook, 5300)가 형성되고, 후면커버(130)에는 고리(5300)에 대응되는 홀(5310)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측면커버(4400)의 고리(5300)는 후면커버(130)의 홀(5310)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면커버(4400)와 후면커버(130)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도 64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130)의 끝단은 말릴 수 있다. 자세하게는, 후면커버(130)의 끝단은 말린(Roll) 상태로 측면커버(4400)와 연결 프레임(500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측면커버(4400)와 후면커버(130)를 보다 단단히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측면커버(4400)와 후면커버(130)를 단단히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미관을 미려하기 위해 후면커버(130)의 끝단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말릴 수 있다.
또는, 도 65의 경우와 같이, 측면커버(4400)에 홈(4412)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측면커버(4400)는 가로 부분(4410)으로부터 후면커버(130)를 향하는 방향(D42)으로 연장되는 세로부분(4420)과 보조 세로부분(4411)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세로부분(4420)과 보조 세로부분(4411)의 사이에 홈(4412)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후면커버(130)는 세로부분(4420)과 보조 세로부분(4411)의 사이에 홈(4412)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후면커버(130)의 끝단은 세로부분(4420)과 보조 세로부분(4411)의 사이에 홈(4412)에 끼워질 수 있다.
도 66 및 도 67을 살펴보면, 측면커버(4400)는 가로부분(4410)에 배치되며 후면커버(130)를 향하는 방향(D42)으로 돌출되는 제 1 세로 돌출부(443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연결 프레임(5000)은 제 1 세로 돌출부(4430)에 대응되는 제 2 세로 돌출부(44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프레임(5000)에서 측면커버(4400)와 보조 브라켓(48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수직 부분(5100)이라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제 2 세로 돌출부(4440)는 연결 프레임(5000)의 수직 부분(51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세로 돌출부(4430)와 제 2 세로 돌출부(4440)가 맞물리면서 측면커버(4400)와 연결 프레임(5000)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도 68 및 도 69를 살펴보면, 측면커버(4400)는 세로부분(4420)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나란한 방향,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D44)으로 돌출되는 제 1 가로 돌출부(445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연결 프레임(5000)은 제 1 가로 돌출부(4450)에 대응되는 제 2 가로 돌출부(44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가로 돌출부(4460)는 연결 프레임(5000)의 수직 부분(5100)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가로 돌출부(446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나란한 방향,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D43)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가로 돌출부(4450)는 제 2 가로 돌출부(4460)에 걸릴 수 있다.
아울러, 도 69의 경우와 같이, 연결 프레임(5000)에는 홀(447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홀(4470)은 연결 프레임(5000)의 수직부분(5100)에 형성되고, 아울러 홀(4470)은 제 2 가로 돌출부(446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측면커버(4400)에 형성된 제 1 가로 돌출부(4450)는 제 2 가로 돌출부(4460)에 걸리면서 홀(447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면커버(4400)와 연결 프레임(5000)이 보다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측면커버(4400)에 형성된 제 1 가로 돌출부(4450)는 높이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0의 경우와 같이, 제 1 가로 돌출부(4450)는 후면커버(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X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측면커버(4400)를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공정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측면커버(4400)는 또 다른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71의 경우와 같이, 측면커버(4400)는 제 3 가로 돌출부(4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가로 돌출부(4480)는 측면커버(4400)의 세로 부분(4420)에 형성될 수 있고,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3 가로 돌출부(4480)의 돌출방향은 제 1 가로 돌출부(4450)의 돌출방향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제 3 가로 돌출부(4480)는 복수개일 수 있다. 즉, 하나의 측면커버(4400)에 복수개의 제 3 가로 돌출부(4480)가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 3 가로 돌출부(4480)는 측면커버(4400)와 연결 프레임(5000)의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아울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측면커버(4400)의 세로 부분(4420)의 길이 방향으로 제 3 가로 돌출부(4480)의 길이(X10)는 제 1 가로 돌출부(4450)의 길이(X11)보다 길 수 있다.
도 72 및 도 73을 살펴보면, 연결 프레임(5000)의 수직 부분(5100)의 끝단에는 측면커버(44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 프레임(5000)은 수직 부분(5100)의 끝단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D50)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분(5120) 및 수직 부분(5100)의 끝단에서 제 1 연장부분(5120)과 반대 방향(D51)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분(51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연장부분(5120)은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연장부분(51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수직하는 방향(DRV)으로 측면커버(4400)의 가로부분(4410)과 중첩하는 부분(X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4의 경우와 같이, 제 1 연장부분(5120)의 길이(X30)는 제 2 연장부분(5110)의 길이(X31)보다 길 수 있다.
한편, 도 75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에서 후면기판(111)의 후면에는 제 1 가로 브라켓(140A1)이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LS1)과 마주보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에서는 제 2 가로 브라켓(140A2)이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2 장변(LS1, LS2)과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에서는 제 1 세로 브라켓(140B1)이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단변(SS1)과 마주보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에서는 제 2 세로 브라켓(140B2)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LS1)을 제 1 영역이라 하고, 제 2 장변(LS2)을 제 2 영역이라 하고, 제 1 단변(SS1)을 제 3 영역이라 하고, 제 2 단변(SS2)을 제 4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가로 브라켓(140A1)에 대응하여 제 1 가로 보조 브라켓(4800A1)이 배치되고, 제 2 가로 브라켓(140A2)에 대응하여 제 2 가로 보조 브라켓(4800A2), 제 1 세로 브라켓(140B1)에 대응하여 제 1 세로 보조 브라켓(4800B1)이 배치되고, 제 2 세로 브라켓(140B2)에 대응하여 제 2 세로 보조 브라켓(4800B2)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76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을 지나는 직선(CSL1)에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76의 (B)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쪽 끝단에는 측면커버(4400)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측면커버(4400)는 후면커버(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면커버(130)에 인접하는 부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최대 폭(X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에 인접하는 부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최대 폭(X41)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도 76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는 앞서 설명한 내용을 바탕으로 충분히 유추될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이하에서도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장변(LS2)에서 후면기판(111)에 부착되는 제 2 가로 브라켓(140A2)의 형상은 제 1 가로 브라켓(140A1), 제 1 세로 브라켓(140B1) 및 제 2 세로 브라켓(140B2)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를 수 있다.
또는, 제 2 가로 브라켓(140A2)의 형상은 제 1 가로 브라켓(140A1), 제 1 세로 브라켓(140B1) 및 제 2 세로 브라켓(140B2)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장변(LS2)에서 후면기판(111)에 부착되는 제 2 가로 브라켓(140A2)에 연결되는 제 2 가로 보조 브라켓(4800A2)의 형상은 제 1 가로 브라켓(140A1)에 연결되는 제 1 가로 보조 브라켓(4800A1), 제 1 세로 브라켓(140B1)에 연결되는 제 1 세로 보조 브라켓(4800B1) 및 제 2 세로 브라켓(140B2)에 연결되는 제 2 세로 보조 브라켓(4800B2)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7의 경우와 같이, 제 2 가로 브라켓(140A2)에 연결되는 제 2 가로 보조 브라켓(4800A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 가로 보조 브라켓(4800A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수평부(4803), 수평부(4803)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수직부(4801) 및 수평부(4803)로부터 후면커버(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수직부(480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가로 보조 브라켓(4800A2)의 제 1 수직부(4801)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 가로 보조 브라켓(4800A2)의 제 1 수직부(4801)의 일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르게 표현하면, 앞서 설명한 도 76의 제 1 세로 보조 브라켓(4800B1) 및 제 2 세로 보조 브라켓(4800B2)과 비교하여, 제 2 가로 보조 브라켓(4800A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을 향하는 방향(D60)으로 더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2 가로 보조 브라켓(4800A2)은 제 1 수직부(4801)로부터 돌출되는 제 3 수직부(4807)를 더 포함하고, 아울러 제 2 수직부(4802)로부터 돌출되는 제 4 수직부(4806)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8을 살펴보면, 프레임(160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9000)가 형성되고, 제 2 가로 보조 브라켓(4800A2)에는 돌출부(9000)에 대응되는 홀(90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9000)가 함몰부(9010)에 삽입됨으로써 프레임(1600)이 제 2 가로 보조 브라켓(4800A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9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장변(LS2)에는 하부커버(Bottom Cover, 910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커버(9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의 전면에 위치하는 부분(91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부커버(9100)의 일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하부커버(9100)는 후면커버(13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80을 살펴보면, 제 2 가로 보조 브라켓(4800A2)의 제 3 수직부(4807)와 제 4 수직부(4806)의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에 구동보드(921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보드(92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구동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또는, 구동보드(9210)는 도시하지 않은 백라이트 유닛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하게는, 제 2 가로 보조 브라켓(4800A2)의 하부에는 하부 프레임(Bottom Frame, 92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2 가로 보조 브라켓(4800A2)과 하부 프레임(9200)의 사이에 구동보드(9210)가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부 프레임(9200)은 하부커버(9100)와 보조 브라켓(4800A2)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9200)을 지지하는 프레임 서포터(9220)가 하부커버(9100)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구동보드(92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1의 경우와 같이, 구동보드(921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이에는 케이블(9300)이 배치되어 구동보드(921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도 81 및 도 82의 경우와 같이, 제 2 가로 보조 브라켓(4800A2)에는 케이블(9300)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931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83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을 지나는 직선(CSL2)에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83의 (B)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 끝단(제 1 장변(LS1)에 대응)에는 측면커버(4400)가 배치되는데 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타측 끝단(제 2 장변(LS2)에 대응)에는 하부커버(9100)가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제 2 가로 보조 브라켓(4800A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길이 방향(DL)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으로 X60만큼 더 연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4 내지 도 8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즉, 이하에서 디스플레이부(180Q)는 앞선 도 1 내지 도 83에서 상세히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방송신호 수신기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방송신호 수신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방송신호 수신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8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방송 수신부(105Q),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저장부(140Q),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 제어부(170Q), 디스플레이부(180Q), 오디오 출력부(185Q), 전원공급부(190Q),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Q)는, 튜너(110Q), 복조부(120Q),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구비하면서 튜너(110Q)와 복조부(12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0Q)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Q)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Q)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Q)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10Q)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110Q)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Q)는, 튜너(110Q)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Q)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Q)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Q)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Q)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Q)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Q)는 예컨대,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Q)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Q)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Q)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120Q)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조부(120Q)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Q)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Q)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Q)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외부 장치와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Q) 또는 저장부(140Q)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영상표시기기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영상표시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스코어를 저장하는 서버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Q)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Q)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Q)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Q)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Q)는, 방송신호 수신기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함에 있어서, 게임 컨트롤러로 사용된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 정보 및 게임 플레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Q)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저장부(140Q)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84는 저장부(140Q)가 제어부(170Q)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Q)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Q)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Q)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Q)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Q)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제어장치(200Q)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터치 위치를 선택/표시하기 위한 터치 수단(Touch Means)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Q)는 디스플레이부(180Q)의 소정 위치에서 발생하는 광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상의 터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광 감지부일 수 있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Q)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70Q)는, 튜너(110Q) 또는 복조부(12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Q)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Q)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8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아울러, 제어부(17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Q)는, 튜너(110Q)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방송신호 수신기(100Q)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Q)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Q)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Q)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Q)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Q)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Q)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Q)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Q)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Q)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Q)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Q)가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상에 터치 위치를 표시/선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80Q)의 소정 위치에서 발생하는 광을 감지하는 터치 수단인 경우에, 제어부(170Q)는 원격제어장치(200Q)가 감지한 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상에 터치 위치를 표시하거나 터치된 오브젝트(Object)를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Q)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방송신호 수신기(100Q) 내부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70Q)는, 방송신호 수신기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경우, 소정의 사용자 단말기에 플레이어 식별자를 할당하고,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을 통하여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할당된 플레이어 식별자에 해당하는 게임 실행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게임 실행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80Q)를 통하여 출력하고,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 중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Q)는,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80Q)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펜 터치 방식을 이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80Q)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인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Q)는, 제어부(170Q)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Q)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해 제어부(170Q)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Q)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Q)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Q),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Q)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Q)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Q)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 동작이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00Q)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Q)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도 85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일예이다.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다른 예로는, 도 84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80Q)와 오디오 출력부(185Q)가 제외된 셋탑 박스,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기,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방송국, 네트워크 서버 또는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방송국에서 전송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는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방송신호 수신기에서 출력하기에 적합하도록 처리(process)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처리한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 또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는 임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버는 유선 또는 무선 기지국을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연결될 수 있는 휴대전화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는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직접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예로, 외부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미디어 저장장치 또는 재생장치일 수 있다. 즉, 외부장치는 예를 들어 카메라, DVD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퍼스널 컴퓨터 등에 해당한다.
방송국, 네트워크 서버, 또는 외부장치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방송국 또는 네트워크 서버에서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전송하는 신호를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에서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전송하는 신호를 방송국 또는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방송국, 네트워크 서버 및 외부장치에서 전송하는 신호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서 직접 재생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이를 전달하는 기능도 포함한다.
도 85는 도 84에 도시된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85를 살펴보면,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부(310Q), 영상 처리부(320Q), OSD 생성부(340Q), 믹서(350Q),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Q), 및 포맷터(360Q)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Q)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Q)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Q) 또는 복조부(12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Q)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Q)는, 영상 디코더(325Q), 및 스케일러(335Q)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Q)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Q)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180Q)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Q)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Q)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Q)로 입력되게 된다.
OSD 생성부(340Q)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340Q)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OSD 생성부(340Q)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커서(Cursor)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믹서(350Q)는, OSD 생성부(340Q)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220Q)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360Q)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OSD 생성부(340Q)가 생성한 커서가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될 수 있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FRC)(355Q)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 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 3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동일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거나, 예측된 프레임을 3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별도의 변환없이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Q)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Q)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180Q)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Q)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70Q)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는, MPEG-2 디코더, 또는 MPEG 4 디코더, 또는 AAC 디코더, 또는 AC-3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Q)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A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85에 도시된 제어부(170Q)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므로,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다른 모듈을 추가하거나, 도시된 모듈 중 일부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9)
-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후면기판의 배면(Rear Surface)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Sticking)되는 브라켓(Bracket);
상기 브라켓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커버(Back Cover);
상기 후면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층(Optical Layer);
상기 광학층과 상기 후면커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후면커버에 체결되는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과 상기 후면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프레임; 및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보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브라켓은
상기 후면기판의 배면과 상기 브라켓의 상부면에 동시에 부착되는 일측; 그리고 상기 후면커버를 고정하는 타측;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홈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층은 상기 보조 브라켓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광학층은 소정 거리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라켓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홈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후면커버에 체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브라켓과 상기 후면기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배치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측면 커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측면커버와 상기 보조 브라켓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는 상기 연결 프레임과 상기 측면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커버는 상기 홈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위치하는 가로부분과 상기 가로부분에서 상기 후면커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5810A KR101843910B1 (ko) | 2011-01-20 | 2011-01-20 | 디스플레이 장치 |
US13/283,874 US20120182700A1 (en) | 2011-01-17 | 2011-10-28 | Display apparatus |
PCT/KR2011/009081 WO2012099328A1 (en) | 2011-01-17 | 2011-11-25 | Display apparatus |
CN2011900002115U CN203232221U (zh) | 2011-01-17 | 2011-11-25 | 显示器件 |
DE202011110013U DE202011110013U1 (de) | 2011-01-17 | 2011-11-25 | Anzeigevorrichtu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5810A KR101843910B1 (ko) | 2011-01-20 | 2011-01-20 |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4444A KR20120084444A (ko) | 2012-07-30 |
KR101843910B1 true KR101843910B1 (ko) | 2018-03-30 |
Family
ID=46715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5810A KR101843910B1 (ko) | 2011-01-17 | 2011-01-20 |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391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254055A4 (en) * | 2020-11-27 | 2024-08-21 | Lg Electronics Inc | DISPLAY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0018B1 (ko) * | 2013-11-08 | 2021-03-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
2011
- 2011-01-20 KR KR1020110005810A patent/KR101843910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254055A4 (en) * | 2020-11-27 | 2024-08-21 | Lg Electronics Inc | DISPLAY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4444A (ko) | 2012-07-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86070B2 (en) |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bracket including a side portion having an outer side surface entirely exposed to form an exterior side surface and a supporting portion directly adhered to a back surface of a display panel | |
US8599330B2 (en) | Display apparatus | |
KR101843913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8416361B2 (en) | Display apparatus | |
US20120106048A1 (en) | Display apparatus | |
US20120106121A1 (en) | Display apparatus | |
KR101809615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843910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836402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836398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843916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834369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191836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198868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755621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20240353711A1 (en) | Display apparatus | |
KR101771561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134924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20044844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870327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20138987A (ko) | 영상표시장치 | |
KR20120124564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50084331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20044129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20044156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