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369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4369B1 KR101834369B1 KR1020100105536A KR20100105536A KR101834369B1 KR 101834369 B1 KR101834369 B1 KR 101834369B1 KR 1020100105536 A KR1020100105536 A KR 1020100105536A KR 20100105536 A KR20100105536 A KR 20100105536A KR 101834369 B1 KR101834369 B1 KR 1018343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display panel
- unit
- substrate
- optical la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후면기판의 배면(Rear Surface)에 부착(Sticking)되는 브라켓(Bracket) 및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층(Optical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후면기판의 배면(Rear Surface)에 부착(Sticking)되는 브라켓(Bracket) 및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층(Optical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기판의 전면(Front Surface)의 가장자리(Edge)가 노출되거나 전면기판의 측면 가장자리(Side Edge)가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후면기판의 배면(Rear Surface)에 부착(Sticking)되는 브라켓(Bracket) 및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층(Optical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층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후면기판의 사이에는 에어층(Air Gap)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는 고정부(Fixer)가 형성되고, 상기 광학층은 상기 고정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브라켓보다 무른 성질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광학층의 후방에는 프레임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후면기판의 배면으로부터 측정한 상기 광학층의 최대 높이는 상기 브라켓의 높이보다 작은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과 상기 광학층의 사이에는 도광판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는 백커버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백커버는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백커버는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보조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백커버는 상기 보조 브라켓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브라켓과 상기 보조 브라켓은 소정 거리 이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조 브라켓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상기 백커버의 끝단(Edge)이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백커버의 끝단은 말린(Roll) 상태로 상기 홈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후면기판의 배면(Rear Surface)에 부착(Sticking)되는 브라켓(Bracket),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층(Optical Layer), 상기 광학층의 후방에 배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는 백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층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후면기판의 사이에는 제 1 에어층(First Air Gap)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백커버의 사이에는 제 2 에어층(Second Air Gap)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2 에어층의 두께는 상기 제 1 에어층의 두께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기판의 전면(Front Surface)의 가장자리(Edge)가 노출되거나 전면기판의 측면 가장자리(Side Edge)가 노출됨으로써, 불필요한 화면 가림을 방지하여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테두리 및 글라스 기판의 제거에 따른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9 내지 도 6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1 내지 도 63은 백 라이트 유닛의 구성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4 내지 도 79는 광학층을 배치하는 또 다른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0 내지 도 9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포함한 방송 시스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2는 영상표시기기의 다른 일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9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가 제3의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4는 도 92에 도시된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
도 9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 구조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9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 구조도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9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 및
도 9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9 내지 도 6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1 내지 도 63은 백 라이트 유닛의 구성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4 내지 도 79는 광학층을 배치하는 또 다른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0 내지 도 9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포함한 방송 시스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2는 영상표시기기의 다른 일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9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가 제3의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4는 도 92에 도시된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
도 9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 구조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9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 구조도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9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 및
도 9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에),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인 것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브라켓(Bracket, 140), 광학층(Optical Layer, 110), 백 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120) 및 백커버(Back Cover, 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서로 대항되게 배치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하고, 브라켓(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의 배면(Rear Surface)에 부착(Sticking)될 수 있다.
광학층(110)은 브라켓(140)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광학층(110)은 복수의 시트(Sheet)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층(11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프리즘 시트 및 확산 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백 라이트 유닛(120)은 광학층(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백 라이트 유닛(120)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Light Sourc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다양한 형태의 광원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이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원은 적색, 청색, 녹색 등과 같은 컬러 중에서 적어도 한 컬러를 방출하는 유색 LED이거나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백 라이트 유닛(120)의 후방에는 백커버(13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백커버(130)는 백 라이트 유닛(120) 및 광학층(11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광학층(1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밀착될 수 있다. 또는, 백 라이트 유닛(120)은 광학층(110)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도 2의 경우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균일한 셀 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전면 기판(101) 및 후면 기판(111)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면기판(101)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는 액정층(Liquid Crystal Layer, 10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기판(101)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는 액정층(104)을 밀봉하기 위한 실부(Seal Portion, 200)가 배치될 수 있다.
전면기판(101)에는 R, G, B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컬러필터(10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컬러 필터(102)는 레드(R), 그린(G) 및 블루(B) 서브 픽셀(Sub-pixel)로 이루어진 복수의 픽셀(Pixel)들을 포함하며, 광이 인가되는 경우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 하는 이미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픽셀들은 레드, 그린 및 블루 서브 픽셀로 구성될 수 있으나, 레드, 그린, 블루 및 화이트(W) 서브 픽셀이 하나의 픽셀을 구성하는 등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후면기판(111)에는 화소별로 액정을 온/오프(On/Off) 시키기 위한 소정의 트랜지스터(Transistor, 103), 예컨대 TFT(Thin Film transistor)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기판(101)을 컬러 필터 기판(101)이라 하고, 후면기판(111)을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111)이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면기판(1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과한 광을 편광시키는 위한 전면 편광 필름(3400)이 배치되고, 후면기판(111)의 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후면기판(111)의 후방에 배치되는 광학층(110)을 통과한 광을 편광시키는 후면 편광 필름(3410)이 배치될 수 있다.
액정층(104)은 복수의 액정 분자들로 이루어져 있고, 액정 분자들은 트랜지스터(103)에 의해 공급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백 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은 액정층(104)의 분자 배열의 변화에 상응하여 컬러 필터(102)에 입사될 수 있다.
그러면, 컬러 필터(102)에 의해 적어도 R, G, B 광이 구현됨으로써, 소정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픽셀들 각각은 데이터라인(300)과 게이트라인(310)이 교차되고, 그 교차부에 접속된 TFT(103)를 포함할 수 있다.
TFT(103)는 게이트라인(106)으로부터의 게이트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라인(105)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을 액정셀(Clc)의 화소전극(320)에 공급한다. 액정셀(Clc)은 화소전극(320)의 전압과 공통전극(330)에 인가되는 공통전압(Vcom)의 전압차에 따라 발생되는 전계에 의해 회동하여 편광판을 통과하는 광양을 조절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액정셀(Clc)의 화소전극에 접속되어 액정셀(Clc)의 전압을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구조 및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에서 실시예의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
도 4 내지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의 후면과 브라켓(140)의 사이에는 접착층(4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400)에 의해 브라켓(140)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처럼, 접착층(400)을 이용하여 후면기판(111)의 후면에 브라켓(140)을 부착시키게 되면 팸넛(Pemnut), 보스(Boss) 등의 지지수단 및 스크류(Screw)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고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고,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브라켓(140)의 후면기판(111)을 향하는 일면에는 홈(141)이 형성되고, 이러한 홈(141)에 접착층(40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처럼, 접착층(400)을 형성하기 위해 브라켓(140)에 형성하는 홈(141)을 제 1 홈이라고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접착재료가 브라켓(14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브라켓(140)을 후면기판(111)의 후면에 부착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길이방향(LD)으로 브라켓(140)보다 더 연장되는 부분(W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홈(141)은 깊이가 서로 다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접착층(400)의 접착재료가 홈(141)에 보다 효과적으로 위치하도록 하면서도 후면기판(111)과 브라켓(140)의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브라켓(140)은 폭 방향(WD)으로 홈(141)의 깊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부분(A1, A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홈(141)의 중앙부분의 깊이(t1)는 홈(141)의 가장자리부분의 깊이(t2)와 다를 수 있다. 아울러, 홈(141)의 가장자리부분에서는 홈(141)의 길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홈(141)에 형성되는 접착층(400)은 두께가 서로 다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접착층(400)은 중앙부분의 폭이 가장자리부분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도 6을 살펴보면, 브라켓(140)의 내측(Inner Area, IA)에 광학층(110)이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140)의 외측(Outter Area, OA)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층(110)은 브라켓(140)의 내측에서 브라켓(14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광학층(110)에 브라켓(140)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광학층(110)의 일부는 브라켓(140)과 중첩(Obverlap)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광학층(110)의 일부는 브라켓(140)에 내부(Inside)에 위치하거나 혹은 브라켓(140)과 접촉할 수 있다.
브라켓(140)에 광학층(110)을 고정하기 위해, 도 7과 같이, 브라켓(140)에 홈(7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홈(700)에 광학층(110)을 삽입함으로써 브라켓(140)에 광학층(110)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광학층(110)을 고정하기 위해 브라켓(140)에 형성한 홈(700)을 제 2 홈이라고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 2 홈(700)은 브라켓(140)의 측면에는 형성되며, 아울러 제 2 홈(7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광학층(110)과 브라켓(14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 2 홈(700)을 갈고리(Hook)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학층(110)에도 제 2 홈(700)에 대응되는 돌출부(111)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돌출부(111)를 제 2 홈(700)에 삽입함으로써 광학층(110)을 브라켓(140)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9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에 돌출부(900)를 형성하고, 광학층(110)에는 홀(Hole, 112)을 형성하고, 브라켓(140)의 돌출부(900)를 광학층(110)의 홀(112)에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광학층(110)을 브라켓(140)에 고정할 수 있다.
또는, 광학층(110)에 홀(112) 및 브라켓(140)의 돌출부(900)가 지날 수 있는 가이드부(Guide Portion, 113)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브라켓(140)의 돌출부(900)를 가이드부(113)를 통과시켜 홀(112)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을 살펴보면, 광학층(110)의 후방에는 백 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120)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백 라이트 유닛(120)은, 도 12의 경우와 같이, 광학층(110)의 후면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광학층(110)과 백 라이트 유닛(120)의 사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도 12와는 다르게, 백 라이트 유닛(1200이 광학층(110)과 소정 거리 이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3을 살펴보면, 백 라이트 유닛(120)의 후방에 백커버(1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백커버(130)는 브라켓(140)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브라켓(14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된 홀(1300)이 형성되고, 이러한 홀(1300)에 백커버(130)의 끝단(Edge)이 삽입됨으로써, 브라켓(140)에 백커버(130)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백커버(130)를 고정하기 위해 브라켓(140)에 형성되는 홈(1300)을 제 3 홈(1300)이라 할 수 있다.
도 14를 살펴보면, 브라켓(140)에 백커버(130)가 고정되는 경우에 백커버(130)와 백 라이트 유닛(120)이 소정 거리(d1) 이격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140)에 백커버(130)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전면기판(101)의 전면(Front Surface)의 가장자리(Edge)가 노출되거나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Side Edge)가 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Edge)가 노출된다는 것은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정면에서 전면기판(101)의 전면을 바라봤을 때 즉,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정면에서 D2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바라봤을 때, 관찰자는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를 관찰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Side Edge)가 노출된다는 것은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서 전면기판(101)의 전면을 바라봤을 때 즉,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서 D1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바라봤을 때, 관찰자는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를 관찰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백커버(130)가 장착된 이후에도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거나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는 경우에는 적어도 전면기판(101)은 강화유리인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거나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더라도 전면기판(101)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a를 살펴보면, 백커버(130)의 폭(L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폭(L1)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백커버(130)의 폭(L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 및 후면기판(111) 중 적어도 하나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바라봤을 때,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대부분의 영역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관상 미려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또 다른 테두리가 보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화면 영역이 보다 커져 보이는 시각적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①) 및 하측(②)에서 각각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 및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도 15a를 살펴보면, 브라켓(140)의 내측(IA)에 광학층(110)이 배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Edge)에는 블로킹부(Blocking members, 150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블로킹부(1500)는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로킹부(1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영역(유효영역, Active Area)의 외곽의 더미영역(Dummy Area)을 가림으로써 화면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이 더욱 두드러져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로킹부(1500)는 주위보다 낮은 명도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블로킹부(1500)의 명도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명도보다 낮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로킹부(1500)는 실질적으로 검은색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블로킹부(1500)는 실질적으로 검은색 테잎(Tape)일 수 있으며, 검은색 테잎을 전면기판(101)의 전면에 부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로킹부(1500)는 블랙층(Black Layer)이라고 할 수 있다.
블로킹부(1500)는 전면기판(101)의 전면에 배치되며, 아울러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기 때문에, 도 15b와 같이, 블로킹부(1500)의 거의 모든 부분이 노출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바라봤을 때, 관찰자는 블로킹부(1500)의 거의 모든 부분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즉, 블로킹부(1500)의 거의 모든 부분은 관찰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140)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기 때문에 화면 영역 외곽의 더미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140)은 블로킹부(1500)에 의해 가려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5a와 같이, 블로킹부(1500)는 브라켓(140)과 중첩(Overlap)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브라켓(140)은 블로킹부(1500)와 전체 중첩(Full Overlap)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블로킹부(1500)의 폭(W10, W20)은 브라켓(140)의 폭(W11, W1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블로킹부(1500)는 브라켓(140)보다 전면기판(101)의 중심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부분(P1, P2)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아울러 블로킹부(1500)는 브라켓(140)보다 전면기판(101)의 외곽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부분(W1, W2)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블로킹부(1500)의 폭(W10, W20) 및 브라켓(140)의 폭(W11, W1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면에서의 폭이다.
도 16을 살펴보면, 백 라이트 유닛(120)의 후방에는 프레임(Frame, 1600)이 더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백 라이트 유닛(12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광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백 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에 프레임(1600)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레임(1600)은 브라켓(14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7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에는 안착부(1700)가 형성되고, 프레임(1600)에는 체결홀(1610)이 형성되고, 체결수단(1720)이 프레임(1600)의 체결홀(1610)을 관통하여 브라켓(140)의 안착부(17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1600)이 브라켓(140)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도 18의 경우와 같이, 백 라이트 유닛(120)과 광학층(110)은 밀착될 수 있다.
또는, 도 18의 경우와는 다르게, 백 라이트 유닛(120)과 광학층(110)은 서로 이격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백 라이트 유닛(120)의 후방에 프레임(1600)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백커버(130)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는, 백 라이트 유닛(120)의 후방에 프레임(1600)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백커버(13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19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1600)의 후면의 일부 영역에 백커버(130)를 배치하고, 백커버(130)와 프레임(1600)의 사이에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보드(1900)를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백커버(130)의 폭(L2)은 프레임(1600)의 폭(L3)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폭, 예컨대 전면기판(101)의 폭(L1)은 백커버(130)의 폭(L3) 및 프레임(1600)의 폭(L2)보다 클 수 있다.
도 20을 살펴보면, 브라켓(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14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라켓(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의 측면까지 연장됨으로써 브라켓(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브라켓(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의 측면까지 연장됨으로써 브라켓(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 및 후면기판(111)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에서 D20은 브라켓(140)이 연장되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는 노출될 수 있다. 아울러,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는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20과 같이,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가 브라켓(140)에 의해 가려진다는 것은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서 전면기판(101)의 전면을 바라봤을 때, 관찰자는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전체 혹은 일부, 예컨대 후면기판(111)의 측면의 전체 혹은 일부 또는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전체 혹은 일부가 브라켓(140)에 이해 가려지는 것으로 인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가 브라켓(140)에 의해 가려진다는 것은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길이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측면의 전체 혹은 일부, 예컨대 후면기판(111)의 측면의 전체 혹은 일부 또는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전체 혹은 일부가 브라켓(140)과 중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도 21a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 및 전면기판(1010의 전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142) 및 전면기판(101)의 전면에 위치하는 부분(14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1a에서 D10, D11은 브라켓(140)이 연장되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의 일부는 브라켓(140)에 의해 가려질 수 있으나,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거의 대부분은 여전히 노출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브라켓(140)이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가리는 경우에도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모든 가장자리를 가리지는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1b의 경우와 같이, 전면기판(101)의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측에서는 브라켓(140)이 가장자리의 일부를 가리는 것이 가능하나, 전면기판(101)의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측에서는 가장자리가 여전히 노출될 수 있다.
또는, 도 21c의 경우와 같이, 전면기판(101)의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측에서는 브라켓(140)이 가장자리의 일부를 가리는 것이 가능하나, 전면기판(101)의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측에서는 가장자리가 여전히 노출될 수 있다.
또는, 도 21d의 경우와 같이, 전면기판(101)의 제 1 장변(LS1), 제 2 장변(LS2),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측에서 브라켓(140)이 가장자리의 일부를 가리는 것이 가능하나, 이러한 경우에도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거의 대부분은 여전히 노출된 상태일 수 있다.
이상의 도 21a~21d의 내용은 이하에서 설명된 보조 브라켓(2300)이 추가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21a~21d의 내용에서 브라켓(140)을 보조 브라켓(2300)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도 22a를 살펴보면, 브라켓(140)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0의 전면으로 연장되는 경우에는 전면기판(101)의 전면에서 브라켓(140)은 블로킹부(1500)와 중첩하는 부분(P3)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는, 브라켓(140)이 블로킹부(1500)의 일부를 가릴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140)의 블로킹부(1500)와 중첩하는 부분(P3)은 블로킹부(1500)와 접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브라켓(140)이 블로킹부(1500)의 일부를 가리는 경우에도 브라켓(140)과 블로킹부(1500)가 중첩되는 영역의 크기는 브라켓(140)과 블로킹부(1500)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로킹부(1500)에서 브라켓(140)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P3)의 크기는 블로킹부(1500)에서 브라켓(140)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노출되는 부분(W100)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도 22b의 경우와 같이, 전면기판(101)의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측에서는 브라켓(140)이 블로킹부(1500)의 일부를 가리는 것이 가능하나, 전면기판(101)의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측에서는 블로킹부(1500)가 브라켓(140)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또는, 도 22c의 경우와 같이, 전면기판(101)의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측에서는 브라켓(140)이 블로킹부(1500)의 일부를 가리는 것이 가능하나, 전면기판(101)의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측에서는 블로킹부(1500)가 브라켓(140)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또는, 도 22d의 경우와 같이, 전면기판(101)의 제 1 장변(LS1), 제 2 장변(LS2),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측에서 블로킹부(1500)의 일부를 브라켓(140)이 가리는 것이 가능하나, 이러한 경우에도 블로킹부(1500)의 거의 대부분은 여전히 노출된 상태일 수 있다.
이상의 도 22a~22d의 내용은 이하에서 설명된 보조 브라켓(2300)이 추가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22a~22d의 내용에서 브라켓(140)을 보조 브라켓(2300)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도 23a를 살펴보면, 브라켓(140)과 백커버(130)의 사이에는 보조 브라켓(2300)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보조 브라켓(2300)을 사용하게 되면 브라켓(140)의 형상은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외부로 노출되는 보조 브라켓(2300)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을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히 설명하면, 보조 브라켓(2300)을 사용하게 광학층(110) 또는 백 라이트 유닛(120)의 배치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백커버(130)의 연결구조 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 구조는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백커버(130)의 연결구조 등의 외형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보조 브라켓(2300)의 일측은 브라켓(140)에 고정되고, 보조 브라켓(2300)의 타측에는 백커버(130)가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보조 브라켓(2300)에 백커버(130)를 고정하기 위해, 보조 브라켓(2300)에 브라켓(140)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된 홈(2310)이 형성되고, 홈(2310)에는 백커버(130)의 끝단(Edge)이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백커버(130)를 고정하기 위해 보조 브라켓(2300)에 형성되는 홈(2310)을 제 4 홈(2310)이라 할 수 있다.
보조 브라켓(2300)에 백커버(130)가 고정되는 경우에 백커버(130)와 백 라이트 유닛(120)이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는 앞선 도 14 내지 도 1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브라켓(140)에 백커버(130)가 고정되는 경우 백커버(130)와 백 라이트 유닛(120)이 소정거리 이격되는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아울러, 보조 브라켓(2300)에 백커버(130)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전면기판(101)의 전면(Front Surface)의 가장자리(Edge)가 노출되거나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Side Edge)가 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앞선 도 14 내지 도 15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도 23b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길이방향으로 보조 브라켓(2300)보다 더 연장되는 부분(W200)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또한, 브라켓(140)과 보조 브라켓(2300)은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4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에는 보조 브라켓(2300)과의 체결을 위한 홈(144)이 형성되고, 보조 브라켓(2300)에는 체결수단(2400)이 관통하는 홀(23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2400)이 보조 브라켓(2300)에 형성된 홀(2320)을 관통하여 브라켓(140)에 형성된 홈(144)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140)에 형성된 보조 브라켓(2300)과의 체결을 위한 홈(144)은 제 5 홈(144)이라고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5를 살펴보면, 보조 브라켓(2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2330)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보조 브라켓(2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조 브라켓(2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의 측면까지 연장됨으로써 보조 브라켓(2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보조 브라켓(2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의 측면까지 연장됨으로써 보조 브라켓(2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 및 후면기판(111)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26의 경우와 같이, 보조 브라켓(2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 및 전면기판(1010의 전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브라켓(2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2330) 및 전면기판(101)의 전면에 위치하는 부분(2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의 일부는 보조 브라켓(2300)에 의해 가려질 수 있으나,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거의 대부분은 여전히 노출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보조 브라켓(2300)이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가리는 경우에도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모든 가장자리를 가리지는 않을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앞선 도 21b~21d의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아울러, 보조 브라켓(2300)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의 전면으로 연장되는 경우에는 전면기판(101)의 전면에서 보조 브라켓(2300)은 블로킹부(1500)와 중첩하는 부분(P4)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는, 보조 브라켓(2300)이 블로킹부(1500)의 일부를 가릴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브라켓(2300)의 블로킹부(1500)와 중첩하는 부분(P4)은 블로킹부(1500)와 접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보조 브라켓(2300)이 블로킹부(1500)의 일부를 가리는 경우에도 보조 브라켓(2300)과 블로킹부(1500)가 중첩되는 영역의 크기는 보조 브라켓(2300)과 블로킹부(1500)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브라켓(2300)에 대한 내용은 앞선 도 22b~22d의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브라켓(140)은 복수개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7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은 제 1 브라켓(140A1, 140A2)과 제 2 브라켓(140B1, 140B2)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1 브라켓(140A1, 140A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의 배면(Rear Surface)의 장변(LS1, LS2)측에 부착되고, 제 2 브라켓(140B1, 140B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의 배면의 단변(SS1, SS2)측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 1 브라켓(140A1, 140A2) 및 제 2 브라켓(140B1, 140B2)은 소정 간격(d10) 이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브라켓(140A1, 140A2)과 제 2 브라켓(140B1, 140B2)은 후면기판(111)의 배면의 코너(Corner) 부분에서 서로 이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 1 브라켓(140A1, 140A2) 및 제 2 브라켓(140B1, 140B2)을 후면기판(111)에 부착하는 공정이 용이해질 수 있으며, 브라켓(140)의 단가를 낮춤으로써 총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광학층(110)은 제 1 브라켓(140A1, 140A2) 및 제 2 브라켓(140B1, 140B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8의 경우와 같이, 광학층(110)은 제 1 브라켓(140A1, 140A2) 및 제 2 브라켓(140B1, 140B2) 중 제 1 브라켓(140A1, 140A2)에는 고정되고, 제 2 브라켓(140B1, 140B2)에는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광학층(110)은 제 1 브라켓(140A1, 140A2)과는 중첩하거나 접촉할 수 있고, 제 2 브라켓(140B1, 140B2)과는 중첩하지 않고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브라켓(140A1, 140A2)의 폭(A10)은 제 2 브라켓(140B1, 140B2)의 폭(A20)과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29의 경우와 같이, 광학층(110)이 고정되는 제 1 브라켓(140A1, 140A2)의 폭(A10)이 제 2 브라켓(140B1, 140B2)의 폭(A20)보다 클 수 있다. 제 2 브라켓(140B1, 140B2)은 광학층(110)이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그 폭(A20)이 작아도 관계없다.
또는, 도 30의 경우와 같이, 광학층(110)은 제 1 브라켓(140A1, 140A2) 및 제 2 브라켓(140B1, 140B2)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 2 브라켓(140B1, 140B2)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제 1 브라켓(140A1, 140A2)이 광학층(110)에 대한 주요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브라켓(140A1, 140A2)의 폭(A10)이 제 2 브라켓(140B1, 140B2)의 폭(A20)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브라켓(140A1, 140A2)과 제 2 브라켓(140B1, 140B2)은 소정의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1의 경우와 같이, 서로 이격된 제 1 브라켓(140A1, 140A2)과 제 2 브라켓(140B1, 140B2)의 사이에는 연결부(3100)가 배치될 수 있고, 연결부(3100)는 소정의 체결수단(3110)에 의해 제 1 브라켓(140A1, 140A2) 및 제 2 브라켓(140B1, 140B2)에 연결됨으로써 제 1 브라켓(140A1, 140A2) 및 제 2 브라켓(140B1, 140B2)이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2를 살펴보면, 제 1 브라켓(140A1, 140A2)과 제 2 브라켓(140B1, 140B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브라켓(140)에서 후면기판(111)의 장변(LS1, LS2)에 배치되는 부분을 제 1 브라켓(140A1, 140A2)이라하고, 후면기판(111)의 단변(SS1, SS2)에 배치되는 부분을 제 2 브라켓(140B1, 140B2)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 1 브라켓(140A1, 140A2)의 폭(A10)이 제 2 브라켓(140B1, 140B2)의 폭(A20)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도 33을 살펴보면, 보조 브라켓(2300)은 제 1 브라켓(140A1, 140A2) 및 제 2 브라켓(140B1, 140B2)에는 단일(Single) 보조 브라켓(230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브라켓(140A1, 140A2) 및 제 2 브라켓(140B1, 140B2)에 보조 브라켓(2300)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브라켓(140A1, 140A2)과 제 2 브라켓(140B1, 140B2)의 사이에는 빈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도 34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편광 필름(3400)의 폭(L10)과 후면기판(111)의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 편광 필름(3410)의 폭(L11)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전면 편광 필름(3400)의 폭(L10)과 후면 편광 필름(3410)의 폭(L1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면에서의 폭이다.
바람직하게는, 전면 편광필름(3400)의 폭(L10)은 후면 편광필름(3410)의 폭(L11)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35a의 경우와 같이, 전면 편광필름(3400)은 브라켓(140)과 중첩되는 부분(A30)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브라켓(140)은 후면기판(11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후면 편광필름(3410)과 소정 거리(d11) 이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브라켓(140)은 후면기판(111)에 직접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의 부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전면 편광필름(3400)은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끝단과 소정 거리(d12)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면 편광필름(3400)을 전면기판(101)에 부착하는 공정이 용이해질 수 있고,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5b를 살펴보면, 블로킹부(1500)와 전면 편광필름(3400)은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로킹부(1500)는 전면 편광필름(34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면 편광필름(34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방향으로 블로킹부(1500)에 비해 더 연장되는 부분(Y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5b에서는 블로킹부(1500)가 전면 편광필름(34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만을 도시하였지만, 블로킹부(1500)가 전면 편광필름(3400)과 전면기판(101)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도 가능하면, 이러한 경우에도 전면 편광필름(34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방향으로 블로킹부(1500)에 비해 더 연장되는 부분(Y1)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35c와 같이, 블로킹부(1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방향으로 전면 편광필름(3400)에 비해 더 연장되는 부분(Y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블로킹부(1500)는 전면 편광필름(3400)과도 접촉하고, 전면기판(101)과도 접촉할 수 있다.
도 35c에서는 블로킹부(1500)가 전면 편광필름(34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만을 도시하였지만, 블로킹부(1500)가 전면 편광필름(3400)과 전면기판(101)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도 가능하면, 이러한 경우에도 블로킹부(1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방향으로 전면 편광필름(3400)에 비해 더 연장되는 부분(Y2)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블로킹부(1500)와 전면 편광필름(3400)은 동일한 층(Layer)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블로킹부(1500)는 전면 편광필름(3400)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6을 살펴보면, 브라켓(140)이 후면기판(11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후면 편광필름(3410)과 소정 거리(d11) 이격되는 경우에, 광학층(110)에 브라켓(140)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브라켓(140)과 후면 편광필름(3410)의 사이에는 에어층(Air Layer, 3600)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보조 브라켓(2300)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전면 편광필름(3400)과 보조 브라켓(2300)은 전면기판(101)의 전면에서 소정 거리(d22) 이격될 수 있다. 이는 보조 브라켓(2300)이 사용되지 않고, 브라켓(140)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7의 (a), (b)를 살펴보면, 전면기판(101)의 단변(SS1, SS2)은 후면기판(111)의 단변(SS1, SS2)보다 더 연장되고, 전면기판(101)의 장변(LS1, LS2)은 후면기판(111)의 장변(LS1. LS2)보다 더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면기판(101)의 단변(SS) 중 제 1 단변(SS1)은 전면기판(101)의 제 1 단변(SS1)에 대응되는 후면기판(111)의 제 1 단변(SS1)보다 제 1 길이(S1)만큼 연장되고, 전면기판(101)의 단변 중 제 2 단변(SS2)은 전면기판(101)의 제 2 단변(SS2)에 대응되는 후면기판(111)의 제 2 단변(SS2)보다 제 2 길이(S2)만큼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1 길이(S1)와 제 2 길이(S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제 1 길이(S1)와 제 2 길이(S2)는 서로 다른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의 제 1 단변(SS1)과 제 2 단변(SS2)에서의 구조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면기판(101)의 제 1 단변(SS1)측에 대응되는 후면기판(111)의 제 1 단변(SS1)에 게이트 드라이버를 실장하기 위해 후면기판(111)의 제 1 단변(SS1)측에 충분히 큰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길이(S1)가 제 2 길이(S2)보다 작아질 수 있다.
또는, 전면기판(101)의 장변(LS) 중 제 1 장변(LS1)은 전면기판(101)의 제 1 장변(LS1)에 대응되는 후면기판(111)의 제 1 장변(LS1)보다 제 10 길이(S10)만큼 연장되고, 전면기판(101)의 장변(LS) 중 제 2 장변(LS2)은 전면기판(101)의 제 2 장변(LS2)에 대응되는 후면기판(111)의 제 2 장변(LS2)보다 제 20 길이(S20)만큼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20 길이(S20)와 제 10 길이(S10)는 서로 다른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전면기판(101)의 장변(LS) 및 단변(SS)이 후면기판(111)의 장변(LS) 및 단변(SS)보다 더 연장되는 경우에는, 도 38의 경우와 같이, 전면기판(101)과 보조 브라켓(2300) 사이의 간격(X1)이 후면기판(111)과 보조 브라켓(2300) 사이의 간격(X2)과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면기판(101)과 보조 브라켓(2300) 사이의 간격(X1)이 후면기판(111)과 보조 브라켓(2300) 사이의 간격(X2)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보조 브라켓(2300)이 사용되지 않고, 브라켓(140)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게이트 라인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라인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중 적어도 하나는 후면기판(111)의 외곽에 실장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3910)는 다수의 소스 드라이브 IC들을 포함한다. 게이트 드라이버(3900)는 다수의 게이트 드라이브 IC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39의 경우와 같이, 게이트 드라이버(3900)와 데이터 드라이버(3910)는 각각 후면기판(111)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드라이버(3900)와 데이터 드라이버(3910)는 각각 후면기판(111)에 형성된다는 것은 게이트 드라이버(3900)의 구동에 필요한 회로소자들과 데이터 드라이버(3910)의 구동에 필요한 회로소자들이 후면기판(111)에 반도체 제조공정을 통해 직접 패터닝(Patterning)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드라이버(3900)와 데이터 드라이버(3910)는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AA) 외곽의 더미 영역(DA)에서 후면기판(11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회로소자들을 후면기판(111)에 직접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에 배치되는 회로기판의 수 혹은 크기를 줄일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혹은 두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40을 살펴보면, 전면기판(101)의 장변(LS) 및 단변(SS)이 후면기판(111)의 장변(LS) 및 단변(SS)보다 더 연장되는 경우에는 게이트 드라이버(3900)와 데이터 드라이버(3910)는 전면기판(101) 및 후면기판(111)과 공통 중첩하는 영역(OVA)에 형성될 수 있다.
후면기판(111)에 형성되는 트랜지스터(103), 즉 화소별로 액정을 온/오프(On/Off) 시키기 위한 TFT(Thin Film transistor)를 제 1 트랜지스터부(103)라고 하고, 실부(200)의 외곽에서 전면기판(101) 및 후면기판(111)과 공통 중첩하는 영역(OVA)에 형성되는 게이트 드라이버(3900) 혹은 데이터 드라이버(3910)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를 제 2 트랜지스터부라 할 때, 제 1 트랜지스터부(103)는 실부(200)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 2 트랜지스터부는 실부(200)의 외곽에서 전면기판(101) 및 후면기판(111)과 공통 중첩하는 영역(OVA)에 배치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41의 경우와 같이, 후면기판(111)의 제 1 단변(SS1)측에서 후면기판(111)과 전면기판(101)이 중첩하는 영역에 제 1 게이트 드라이버(3900A)가 배치되고, 후면기판(111)의 제 2 단변(SS2)측에서 후면기판(111)과 전면기판(101)이 중첩하는 영역에 제 2 게이트 드라이버(3900B)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길이(S1)는 제 2 길이(S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42의 경우와 같이, 후면기판(111)의 제 2 장변(LS2)측에서 후면기판(111)과 전면기판(101)이 중첩하는 영역에 데이터 드라이버(391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후면기판(111)의 제 1 장변(LS1)측에서 후면기판(111)과 전면기판(101)이 중첩하는 영역에는 데이터 드라이버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20 길이(S20)는 제 10 길이(S10)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43과 같이, 전면기판(101) 및 후면기판(111)의 제 2 장변(LS2) 측에서 실부(200)의 외곽의 후면기판(111)과 전면기판(101)이 중첩하는 영역에는 패드 전극(430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패드 전극(4300)은 소정의 트랜지스터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보드(190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보드(1900)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 예컨대 앞선 도 19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1600)과 백커버(1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동보드(1900)에는 커넥터(Connector, 4310)가 배치되고, 전극(4330)을 포함하는 연결기판(4320)의 일단은 커넥터(4310)에 연결되고, 연결기판(4320)의 타단은 패드 전극(4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보드(1900)와 패드 전극(4300), 자세하게는 구동보드(1900)와 데이터 드라이버(39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기판(4320)은 TCP(Tape Carrier Package),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연성을 갖는 기판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패드 전극(4300)이 형성되는 부분에서는 연결기판(4320)이 패드 전극(4300)에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연결기판(4320)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면기판(101)을 후면기판(111)에 비해 더 길게 연장시킬 수 있다. 즉, 후면기판(111)의 제 2 장변(LS2)측에 패드 전극(4300)이 형성되는 경우에 제 20 길이(S20)를 제 10 길이(S10)에 비해 더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도 44를 살펴보면, 후면기판(111)의 제 2 장변(LS2)측에 실부(200)의 외곽에 제 1 패드 전극(4300A) 및 제 2 패드 전극(4300B)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패드 전극(4300A)에는 제 1 연결기판(4320A)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패드 전극(4300B)에는 제 2 연결기판(4320B)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패드 전극(4300A)과 게이트 드라이버(3900)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보드로부터 제 1 연결기판(4320A)을 통해 전송되는 구동신호를 게이트 드라이버(3900)로 전달하기 위한 제 1 전송라인(4400)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패드 전극(4300B)과 데이터 드라이버(3910)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보드로부터 제 2 연결기판(4320B)을 통해 전송되는 구동신호를 데이터 드라이버(3910)로 전달하기 위한 제 2 전송라인(44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5a를 살펴보면, 전면기판(101)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 배치되는 실부(200)는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영역(AA) 외곽의 더미 영역(DA)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부(200)는 블로킹부(1500)와 중첩할 수 있다.
아울러, 화면영역(AA)은 브라켓(140)의 내측(IA)에 배치되는 광학층(110)과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정층(104)을 밀봉하는 실부(200)는 브라켓(140)의 내측(IA)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실부(200)의 브라켓(140)의 내측(IA)에서 후면기판(111)의 길이 방향으로 브라켓(140)과 소정 거리(C1) 이격될 수 있다.
또는, 도 45b의 경우와 같이, 실부(200)는 브라켓(140)의 내측(IA)에 위치하는 부분(201) 및 브라켓(140)과 중첩하는 부분(2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실부(200)의 폭을 충분히 크게 함으로서 액정층(104)을 보다 단단히 밀봉할 수 있어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6을 살펴보면, 블로킹부(1500)는 전면기판(101)의 후면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전면기판(101)이 후면기판(111)에 비해 소정길이(C10) 만큼 더 연장되는 경우에 블로킹부(1500)를 전면기판(101)의 후면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면기판(101)의 후면에 배치되는 블로킹부(1500)가 실부(200) 외곽의 후면기판(111)을 가릴 수 있으면서도 블로킹부(1500)가 전면기판(101)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미관상 미려할 수 있다.
아울러, 블로킹부(1500)의 부착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수율을 높이면서도 블로킹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방향으로 전면기판(101)의 끝단은 블로킹부(1500)보다 소정 길이 만큼 더 연장되고, 블로킹부(1500)는 후면기판(111)의 끝단보다 소정 길이(C20)만큼 더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보조 브라켓(2300)과 백커버(130)를 체결수단으로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7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과 보조 브라켓(2300)을 제 1 체결수단(2400)으로 체결하고, 보조 브라켓(2300)과 백커버(130)를 제 2 체결수단(4710)으로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1 체결수단(2400) 및 이를 연결하기 위한 구조 및 방법은 앞선 도 24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백커버(130)에는 홀(4710)이 형성되고, 이러한 백커버(130)에 형성되는 홀(4710)에 대응되는 홀(4720)이 보조 브라켓(23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체결수단(4700)이 백커버(130)에 형성되는 홀(4710)을 관통하여 보조 브라켓(2300)에 형성되는 홀(4720)에 고정됨으로써 백커버(130)를 보조 브라켓(2300)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8을 살펴보면, 제 1 체결수단(2400)은 보조 브라켓(2300)과 브라켓(140)을 체결하고, 제 2 체결수단(4700)은 백커버(1300와 보조 브라켓(2300)을 연결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9 내지 도 6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49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브라켓(140), 광학층(110), 백라이트 유닛(120), 백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에는 액티브 리타드(14)가 배치되어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같은 액티브 리타드(14)는 패널(100) 전면에 투명한 접착재로 부착되거나, 기구적 구성물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액티브 리타드(14)는 액정의 틸팅각을 조절해 패널(100)에서 나오는 빛을 제 1 원평광시켜 투과시키거나, 제 2 원평광시켜 투과시킨다. 제 1 원평광과 제 2 원평광은 서로 직교한다. 패널(100)에서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표시하고, 이 표시 타이밍에 동기해서 액티브 리타드(14)는 좌안 이미지는 제 1 원평광시키고, 우안 이미지는 제 2 원평광시킨 상태로 투과시킨다.
한편, 시청자가 사용하는 안경의 좌안 렌즈는 제 1 원평광된 필터로 구성되고, 우안 렌즈는 제 2 원평광된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청자는 좌안을 통해서는 제 1 원평광된 좌안 영상만을 보고, 우안을 통해서는 제 2 원평광된 우안 영상만을 보게 됨으로써, 시분할 방식으로 양안 시차를 만들어내 3D 영상을 시청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패널(100)의 전면에는 필터(12)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이 필터(12)는 패널(100)의 전면에 라미네이팅(laminating)될 수 있다. 이 필터(12)는 외부에 노출되어 외관을 이루는 패널(100)이 스크래치 등과 같은 기계적 흠결로부터 패널(100)을 보호한다. 필터(12)는 테두리에 배치된 불투명층(12a)과 그 내부에 배치된 투명층(12b)을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불투명층(12a)은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더미영역)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게 구비되고, 투명층(12b)은 패널(100)의 화면영역과 동일하게 형성이 되는데, 이 투명층(12b)은 필터(12)에서 제거된 형태도 가능하다.
불투명층(12a)은 브라켓(140)이 패널(100)을 통해서 밖으로 보이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브라켓(140)과 동일한 색상으로 만들어져 패널(100)이 꺼져 있는 경우에 패널(100)과 브라켓(140)을 일체로 보이게 해서 패널(100)과 브라켓(140)이 구분되지 않도록 해 실제보다 패널이 더 커 보이도록 한다.
이러한 불투명층(12a)은 앞서 설명한 블로킹부일 수 있다.
브라켓(140)은 패널(100)을 지지하면서, 그 내부에 광학층(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을 수납한다. 이 브라켓(140)은 패널(100)의 형상에 맞춰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며, 그 안쪽 벽의 둘레에 홈(13a)이 형성되어 있다. 패널(100)의 가장자리 일부(이하, '일단부')는 홈(13a)에 안착된 채 고정된다. 그리고, 브라켓(140)을 사이에 두고, 패널(100)의 배후에 광학층(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이 순차적으로 밀착 적층되어 있다.
광학층(110)는 프리즘시트(110a)와 확산판(110b) 등을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으며, 백라이트유닛(120)에서 전달된 빛을 패널(100)로 전달해 화상을 표시한다.
백커버(130)는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철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광학층(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을 사이에 두고 브라켓(140)과 결합해서 장치의 외형을 이룬다.
도 50은 도 49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 장치의 결합 모습을 보여준다.
도 50에서, 도시된 바처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글래스와 같은 전면 구성요소가 생략된 채, 패널이 전면에 노출돼 장치의 외형을 이룬다.
패널(100)은 브라켓(140)에 마련된 홈(13a)에 일단부가 안착된 상태로, 접착부재(16)에 의해서 브라켓(14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140)은 접착부재(400)가 위치하는 홈부(141)를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패널(100)은 바람직하게, 브라켓(140)과 동일 높이(h)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좋다.
한편, 백라이트유닛(120)은 발광부(17a)와 지지 플레이트(1600)를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발광부(17a)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빛을 내는 광원들, 일 예로 기판 위에 발광 다이오드를 실장해서 직하형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지지 플레이트(1600)는 발광부(17a)를 구조적으로 지탱하기 위한 구조물로 강성이 좋은 알루미늄 또는 강판과 같은 철재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부(17a)는 지지 플레이트(1600)에 접착제로 고정되거나, 볼트 체결과 같은 기구적 구성을 통해서 고정될 수도 있다.
지지 플레이트(1600)의 일단부는 브라켓(140)에 마련된 보스(13b)에 나사 결합을 통해 고정되고, 백라이트 유닛(120)과 패널(100) 사이에는 광학층(110)이 밀착된 상태로 위치해서 고정된다. 한편 광학층(11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광학층(110)의 일단부가 브라켓(140)에 접착재로 고정되거나, 또는 브라켓(140)에 마련된 돌기에 끼워져 고정될 수도 있다. 나아가, 브라켓(140)과 광학층(110) 사이를 고정하는 기구적 구성물인 픽서(fixer)(미도시)가 위치해서 브라켓(140)과 광학층(110) 사이의 공간을 없애 광학층(110)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51은 브라켓(140)의 다른 실시예로, 브라켓(140)이 패널(10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경우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처럼, 브라켓(140)은 패널(100)의 테두리를 감싸면서, 패널(100) 안쪽까지 연장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때, 브라켓(140)은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 더미 영역만 가리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2는 브라켓(140)과 패널(100)의 일단부가 동일선상에 배치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 실시예에서, 브라켓(140)은 패널(100)의 끝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고, 패널(100)과 브라켓(140)은 접착재 또는 나사 결합을 통해서 서로 결합된다.
도 53은 브라켓(140)이 제 1 부분(131)과 제 2 부분(133)으로 나눠져 구성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즉, 브라켓(140)은 패널(100)의 둘레를 감싸는 제 1 부분(131)과, 패널(100)을 고정하면서 그 내부에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120)과 광학층(110) 사이의 공간을 줄여 이들을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 2 부분(1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4는 백라이트 유닛(120)이 지지핀(23)에 의해서 고정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지지핀(23)의 한쪽(23a)은 나사 결합을 통해서 브라켓(140)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23b)은 백라이트 유닛(120)을 감싸면서 그 아래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120)은 지지핀(23)의 탄성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처럼, 지지핀(23)을 사용하게 되면, 백라이트 유닛(120)을 지지하기 위해서 사용하던 지지 플레이트(1600)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듈(백라이트 유닛과 광학층를 통칭함)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백라이트 유닛이 직하형으로 구성된 경우를 설명하였는데, 도 55에서와 같이 엣지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5는 백라이트 유닛이 엣지형으로 구성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55를 살펴보면, 광학층(110)는 도광판(110c)과 반사판(110d)을 더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도광판(110c)은 측면에서 입사된 빛을 가이드해 패널 전체에 빛이 고르게 입사될 수 있도록 하고, 반사판(110d)은 배면으로 향하는 빛을 패널(100)이 있는 정면으로 반사시킨다.
도광판(110c)과 반사판(110d)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으며, 지지핀(23)에 의해서 고정된다. 지지핀(23)은 한쪽이 브라켓(140)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다른 한쪽은 반사판(110d) 아래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핀(23)이 가지는 탄성력 위해서 광학층(110)이 지지된 채 고정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31)은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31b)와 이 발광 다이오드(31b)가 실장되어 있는 기판(31a)을 포함해서 구성되며, 그 크기 및 발광 다이오드의 갯수는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31)은 안착홈(131a)에 접착재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안착홈(131a)은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물론, 도 56에서와 같이 안착홈이 없는 경우도 가능하다.
이처럼 백라이트 유닛(31)을 엣지형으로 구성하면, 모듈의 두께를 상술한 직하형보다 줄일 수 있다.
다음, 도 57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61), 제 1 브라켓(63), 제 2 브라켓(64), 광학층(65), 백라이트 유닛(67), 백커버(69)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패널(61)은 화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정면으로 노출되어 장치의 외관을 이룬다. 그리고, 패널(61)의 전면에는 투명층(62a)과 불투명층(62b)을 포함하는 필터(62)와 3D 영상을 만드는 액티브 리타드(66)이 선택적으로 더 배치될 수 있다.
제 1 브라켓(63)은 패널(61)을 지지하면서, 그 내부에 광학층(65) 및 백라이트 유닛(67)을 수납한다. 이 제 1 브라켓(63)은 액정 패널(61)의 3곳을 지지할 수 있도록 아래가 오픈된 "ㄷ"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제 1 브라켓(63)의 안쪽 내측벽에는 리세스(recess)가 형성돼서 패널(61)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브라켓(63)을 사이에 두고, 패널(61)의 배후에 광학층(65)과 백라이트 유닛(67)이 순차적으로 밀착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브라켓(64)이 모듈 아래에 배치된다.
도 58은 도 57의 X-X'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 제 2 브라켓(64)을 포함하는 장치의 아래쪽 결합 모습을 보여준다.
도 58에서, 제 2 브라켓(64)은 모듈 아래에 위치해서 장치의 외형을 이룬다. 이 제 2 브라켓(64)은 모듈 아래에 패널(61)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2 브라켓(64)과 패널(61)의 표면은 동일 선상에 위치시켜 배치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바처럼, 제 2 브라켓(64)이 패널(61)의 표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제 2 브라켓(64)과 패널(61)의 경계를 없애 패널(61)이 커져 보이는 효과를 줄 수 있으며, 또한 장치의 디자인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61)의 일단부 내측면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전극(7100)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전극(7100)은 투명한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격자 형태의 다이아몬드 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패널(61)을 사이에 두고 전극(7100)을 간접적으로 터치하게 되면, 터치된 지점에서 정전 용량의 값이 변하게 되는데, 이 값은 제어부(7140)로 전송되어 터치된 전극 격자의 행과 줄의 좌표를 읽어 터치된 위치가 파악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장치의 동작 제어를 할 수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7140)는 터치된 위치에 따라 장치의 볼륨을 업/다운시키거나, 채널을 업/다운시키는 등의 동작 제어를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전극(7100)의 터치 감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패널(61)의 일단부가 상부 기판 또는 하부 기판 중 하나만 존재하고, 남아있는 기판의 배면에 전극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브라켓(64)의 내부에는 위에서 설명한 터치센서인 전극(7100)과 신호선(7110)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7140), 스피커(71), 리모컨 수신 모듈(미도시)과 같은 구성 요소들을 배치시킬 수 있는데, 이처럼 제 2 브라켓(64) 내부에 기능적 모듈을 숨김으로써, 슬림한 구조에서 공간 활용을 높일 수 있다.
이 같은 제 2 브라켓(64)은 백커버(69)와 나사 결합해서 백커버(69)에 고정될 수 있고, 도 60에서와 같이 제 1 브라켓(63)이 제 2 브라켓(64)의 측면(641)까지 연장된 상태에서 제 1 브라켓(63)의 측면에 접착재로 고정되거나, 나사 결합을 통해서 고정될 수 있고, 제 1 브라켓(63)과 백커버(69) 양쪽에 모두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0은 제 2 브라켓(64)이 패널(61) 안쪽까지 연장되어 있는 돌출부(641)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0에서, 돌출부(641)는 제 2 브라켓(6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서, 돌출부(641)는 패널(61)의 아래쪽을 감싸면서 그 위에 배치된다. 이때, 돌출부(641)는 패널의 비표시 영역만을 가리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돌출부(641)가 구조적으로 취약한 패널(61)의 끝 부분을 감싸고 있어 패널(61)을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1 내지 도 63은 백 라이트 유닛의 구성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61을 살펴보면, 백라이트 유닛(6100)은 제 1 층(6110), 광원(6120), 제 2 층(6130)을 포함한다.
다수의 광원들(6120)이 제 1 층(6110)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 1 층(6110)의 위쪽으로 제 2 층(6130)이 형성되어서, 광원들(6120)을 덮고 있다.
제 1 층(6110)은 광원들(6120)이 실장되는 기판일 수 있고, 이 기판에는 광원들(6120)을 연결하는 전극 패턴(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같은 기판(6110)은 절연층을 전기가 흐르지 않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만든 메탈(METAL) PCB로 구성될 수 있다.
광원(6120)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이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중 하나일 수 있다. 이 같은 발광 다이오드(6120)는 발광면이 측면을 향하는 사이드 뷰 방식의 발광 다이오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원(6120)은 적색, 청색, 녹색 등과 같은 색의 삼원색 중에서 적어도 한 색상을 방출하는 것이나, 백색을 방출한다.
제 1 층(6110)의 위로는 광원들(6120)을 매립하는 형태로 제 2 층(6130)이 형성되고, 이 제 2 층(6130)은 광원(612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킴과 함께 확신시켜서 광원(612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균일하게 패널로 제공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 1 층(6110)과 제 2 층(6130) 사이, 즉 제 1 층(6110)의 상면으로는 광원(612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층(614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반사층(6140)은 제 2 층(6130)의 경계면으로부터 전반사되는 빛을 다시 반사시켜서 광원(6120)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보다 넓게 확산된 상태로 위로 제공되도록 한다.
이 반사층(6140)은 합성수지 재질의 시트 중 산화티탄 등의 백색 안료가 분산된 것, 표면에 금속 증착막을 갖는 것, 합성 수지제의 시트 중에 빛을 산란시키기 위하여 기포가 분산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서 표면에 은이 코팅될 수도 있다. 이 같은 반사층(6140)은 또한 제 1 층(6110)에 코팅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2 층(6130)은 광투과성 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아크릴계 수지로 이뤄질 수 있다.
또한, 광원(61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확산되어 백라이트 유닛(6100)이 균일한 휘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 제 2 층(6130)은 약 1.4 내지 1.6의 굴절율을 갖는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같은 제 2 층(6130)은 액상 또는 겔(gel) 상태의 수지를 복수의 광원들(6120)과 제 1 층(6110)의 윗쪽에 도포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별도로 제작된 상태로 제 1 층(6110)의 위쪽에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층(6130)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광원(612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보다 넓게 확산되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6100)으로부터 균일한 휘도의 빛을 패널로 제공될 수 있다. 반면, 제 2 층(6130)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서 제 2 층(6130)에 흡수되는 광량이 증가하므로, 광의 휘도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6100)으로부터 패널로 제공되는 광의 휘도를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균일한 휘도의 광을 얻기 위해서 제 2 층(6130)의 두께(a)는 0.1 내지 4.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2를 살펴보면, 측면 발광 방식의 발광 다이오드(6120)가 배치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들(6120)은 측면 방향으로 광을 방출한다.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6100)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를 나타내기 위해서, 발광 다이오드들(6120)은 2 이상의 행들을 형성어 하며 배치된다. 여기서, 동일한 행에 배치되는 발광 다이오드들(6120)은 동알한 방향으로 광을 방출한다.
예를 들어서, 제 1 광원(6120)에 좌우로 인접한 광원들도 제 1 광원(6120)과 동일한 방향(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광을 내고, 제 2 광원(6121)의 좌우로 인접한 광원들은 제 1 광원(6120)과 반대 방향(도면의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광을 낸다.
이처럼, 발광 다이오드들(6120, 6121)은 행을 따라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광을 내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6100)의 특정 영역에서 광의 휘도가 집중되거나 또는 약화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처럼 형성되는 백라이트 유닛(6100)은 전체 구동 방식 또는 로컬 디밍(local dimming), 임펄시브(impulsove) 등과 같은 부분 구동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즉, 백라이트 유닛(6100)은 복수의 분할 구동 영역으로 나뉘어져 동작될 수 있으며, 이 분할 구동 영역의 휘도를 영상 신호의 휘도에 맞추어 구동시킴으로써 명암비, 선명도와 같은 영상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맞추어, 백라이트 유닛(6100) 역시도 다수가 결합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3에 도시된 복수의 광학 어셈블리(6101)들이 모여서 하나의 백라이트 유닛(6100)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광학 어셈블리(6101)들 중 일부만이 독립적으로 구동하여 광을 낼 수 있으며, 그를 위해서 각 광학 어셈블리들(6101)에 포함된 광원들(6120)이 각각 독립하여 제어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광학 어셈블리(6101)에 대응되는 패널의 영역이 2 이상의 블록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6100)은 불록 단위로 분할 구동될 수 있다. 이처럼, 백라이트 유닛(6100)을 복수의 광학 어셈블리(6101)들로 구성하는 경우, 백라이트 유닛(6100)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6100)은 광학 어셈블리(6101)를 표준 규격화하여 대량 생산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백라이트 유닛에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백라이트 유닛(6100)에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에 불량이 발생할 경우, 전체 백라이트 유닛(6100)을 교체할 필요 없이 해당 광학 어셈블리(6101)만을 선택적으로 교환하기만 하면 되므로, 교체 작업이 용이하고, 부품의 교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64 내지 도 79는 광학층을 배치하는 또 다른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64를 살펴보면, 광학층(110)은 브라켓(140)에 고정되지 않고, 브라켓(140)의 일면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학층(110)은 브라켓(140)의 상부에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140)의 형상이 앞서 설명한 경우와 다르지만, 도 64의 브라켓(140)의 형상은 예컨대 도 4의 경우와 동일한 경우도 가능하다. 브라켓(140)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광학층(110)을 단순히 브라켓(140)의 상부에 놓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아울러, 광학층(110)의 크기를 브라켓(140)의 크기에 대응되게 설계한다면 광학층(110)을 단순히 브라켓(140)의 상부에 올려놓는 경우에도 브라켓(140)의 상부에서 광학층(11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브라켓(140)의 상부에 광학층(110)이 배치되면, 광학층(11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이 소정 거리(Z1)이 이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65의 경우와 같이, 후면기판(111)과 광학층(110)의 사이에 에어층(Air Gap, 65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후면기판(111)과 광학층(110)의 사이에 에어층(Air Gap, 650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에어층(650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66을 살펴보면, 브라켓(140)의 일면에는 고정부(6600)가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고정부(6600)에 광학층(1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66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광학층(110)에 고정부(6600)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광학층(110)과 고정부(6600)의 접촉면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광학층(110)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광학층(110)이 움직이는 것을 억제하고 광학층(110)의 손상을 충분히 방지하기 위해 광학층(110)과 접촉하는 고정부(6600)는 브라켓(140)보다 무른 성질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고정부(6600)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학층(110)의 후방에는 도광판(7000)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광학층(1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후면기판(111)의 배면으로부터 측정한 광학층(110)의 최대 높이(Z2)는 브라켓(140)의 높이(Z3)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울러, 광학층(110)의 후방에 도광판(7000)이 배치되는 경우에도 도광판(70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후면기판(111)의 배면으로부터 측정한 도광판(7000)의 최대 높이(Z4)는 브라켓(140)의 높이(Z3)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고정부(6600)는, 도 67의 경우와 같이,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브라켓(140)에는 하나의 고정부(6600)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고정부(6600)는, 도 68의 경우와 같이, 복수개일 수 있다. 즉, 복수개의 고정부(6600)가 하나의 브라켓(14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고정부(6600)와 광학층(110)의 접촉면의 크기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도 69를 살펴보면, 광학층(110)의 후방에 프레임(16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600)은 브라켓(14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라켓(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D30)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45)를 포함하고, 프레임(1600)은 돌출부(145)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크류(Screw)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프레임(1600)과 브라켓(140)의 돌출부(145)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에서, 직하형 광원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프레임(1600)과 광학층(110)의 사이에 백 라이트 유닛(120)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엣지형 광원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70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1600)과 광학층(110)의 사이에 도광판(7000)이 배치될 수 있고, 도광판(7000)의 측면에 엣지형의 백 라이트 유닛(70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엣지형의 백 라이트 유닛(7010)은 기판(7011)과 기판(7011)에 배치되는 LED 등의 광원(70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7010)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고, 직하형 백 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엣지형 및 직하형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도 71을 살펴보면, 프레임(1600)의 후방에는 백커버(130)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백커버(10)는 브라켓(14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1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의 돌출부(145)에 백커버(130)가 도시하지 않은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브라켓(140)의 돌출부(145)의 일측에는 프레임(1600)이 연결되고, 돌출부(145)의 타측에는 백커버(130)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프레임(1600)의 일부와 백커버(130)의 일부는 브라켓(140)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72와 같이, 프레임(1600)과 백커버(130)의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보드(7210)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1600)과 백커버(130)의 사이에는 에어층(72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층(7200)은 프레임(1600)과 백커버(130)의 사이에 구동보드(7210)를 배치할 공간을 마련함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층(110)과 후면기판(111)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층(6500)을 제 1 에어층(First Air Gap)이라 하고, 프레임(1600)과 백커버(130)의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층(7200)을 제 2 에어층(Second Air Gap)이라 할 때, 제 2 에어층(7200)의 두께(Z5)는 제 1 에어층(6500)의 두께(Z1)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도 73을 살펴보면, 브라켓(140)에 보조 브라켓(230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백커버(130)가 보조 브라켓(2300)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보조 브라켓(2300)에는 홈(2310)이 형성되고, 홈(2310)에는 백커버(130)의 끝단(Edge)이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74의 경우와 같이, 백커버(130)의 끝단은 말린(Roll) 상태로 보조 브라켓(2300)의 홈(2310)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보조 브라켓(2300)과 백커버(1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보조 브라켓(2300)과 백커버(130)를 단단히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미관을 미려하기 위해 백커버(130)의 끝단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말릴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브라켓(2300)의 형상이 앞선 도 23a 내지 도 23b의 경우와 다르지만, 도 73의 보조 브라켓(2300)의 형상은 도 23a 내지 도 23b의 경우와 동일한 경우도 가능하다. 보조 브라켓(2300)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75의 경우와 같이, 보조 브라켓(2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23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길이방향(D31)으로 브라켓(140)과 보조 브라켓(2300)은 소정 거리(Z10) 이격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길이방향(D31)으로 브라켓(140)과 보조 브라켓(2300)의 사이에 에어층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면서도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보조 브라켓(2300)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접촉하는 것이 방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보조 브라켓(2300)과의 접촉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6을 살펴보면, 광학층(110)이 브라켓(140)의 상부에 놓이는 경우에는 브라켓(140)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142)을 포함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또는, 도 77의 경우와 같이, 백커버(130)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백커버(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132)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8을 살펴보면,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400)의 측면이 노출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접착층(400)의 폭을 보다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접착재료를 후면기판(111)과 브라켓(140)의 사이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접착층(40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접착시트를 후면기판(111)과 브라켓(140)의 사이에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접착층(400)을 형성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면 테잎(Tape) 형태의 접착시트를 이용하여 접착층(40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도 79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의 두께(Z11)와 후면기판(111)의 두께(Z10)는 서로 다른 경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의 전면(Front Surface)의 가장자리(Edge)가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전면기판(10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면기판(101)의 두께(Z11)가 두꺼운 경우가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면기판(101)의 두께(Z11)가 후면기판(111)의 두께(Z10)보다 두꺼워질 수 있다.
도 80 내지 도 9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80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의 전면(Front Surface)의 가장자리(Edge)가 노출되고,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배치되는 구조물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은 소정거리(Z20) 이격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보조 브라켓(2300)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2330)을 포함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길이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보조 브라켓(2300)은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구조물, 예컨대 보조 브라켓(2300)과 접촉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구조물, 예컨대 보조 브라켓(2300) 사이의 간격(Z20)은 온도 변화가 극심하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보조 브라켓(2300)이 접촉하지 않도록 충분히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시 주위 환경의 온도는 대략 -20℃~60℃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20℃~60℃의 온도 범위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구조물, 예컨대 보조 브라켓(2300)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보조 브라켓(2300) 사이의 간격(Z20)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1의 경우와 같이, 주위의 온도가 대략 60℃로서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보조 브라켓(2300) 사이의 간격(Z21)이 감소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도 81의 경우와 같이, 장치 주위의 온도가 60℃로서 상대적으로 높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길이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길이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보조 브라켓(2300)은 접촉하지 않고 소정 거리(Z21) 이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82의 경우와 같이, 주위의 온도가 대략 -20℃로서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길이가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보조 브라켓(2300) 사이의 간격(Z22)이 증가할 수 있다.
도 8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길이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구조물, 예컨대 보조 브라켓(2300) 사이의 간격은 대략 0.03mm~0.38mm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길이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구조물, 예컨대 보조 브라켓(2300)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보조 브라켓(2300)의 사이 공간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4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보조 브라켓(2300)의 사이의 간격이 0.05mm~1.2mm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보조 브라켓(2300)의 사이 공간이 인지되는지의 여부를 관찰한 데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도 84의 데이터는 다수의 관찰자가 동일조건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보조 브라켓(2300)의 사이의 간격이 0.05mm~1.2mm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보조 브라켓(2300)의 사이 공간이 인지되는지의 여부를 관능적으로 평가한 자료이다.
도 84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보조 브라켓(2300)의 사이의 간격이 0.05mm~0.38mm인 경우에는 관능 평가 결과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보조 브라켓(2300)이 충분히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보일 수 있고,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보조 브라켓(2300)의 사이 공간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보조 브라켓(2300)의 사이의 간격이 0.50mm~0.70mm인 경우에는 관능 평가 결과 어느 정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보조 브라켓(2300)의 사이 공간이 보일 수 있으나, 그 정도가 미미할 수 있다.
반면에,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보조 브라켓(2300)의 사이의 간격이 0.92mm~1.2mm인 경우에는 관능 평가 결과 매우 불량(X)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보조 브라켓(2300)의 사이가 벌어져 있는 것으로 보일 수 있어서 미관이 불량할 수 있고,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보조 브라켓(2300)의 사이 공간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과도하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한 데이터를 고려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보조 브라켓(2300)의 사이의 간격은 대략 0.70mm이하인 경우에 바람직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8mm이하일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20℃~60℃의 온도 범위 중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보조 브라켓(2300) 사이의 간격이 최대인 -2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보조 브라켓(2300) 사이의 간격이 0.70mm이하인 경우에 바람직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8mm이하일 수 있다. 이는 주위의 온도가 60℃인 경우에서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보조 브라켓(2300)이 접촉하지 않는 조건하에서의 결과이다.
유리 재질의 열팽창계수 및 공정 오차를 고려하면, 주위 온도가 상온(25℃)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보조 브라켓(2300)의 사이의 간격이 0.1mm~0.5mm인 경우가 바람직할 수 있다.
도 85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배치되는 구조물, 예컨대 보조 브라켓(230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의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완충부(850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완충부(8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보조 브라켓(2300)보다 무른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보조 브라켓(2300)이 근접하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패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완충부(8500)는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정면에서 영상의 시청 시 관찰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관을 고려하여 완충부(8500)의 색을 실질적으로 검은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는, 보조 브라켓(2300)의 색이 충분히 어두운 색인 경우에 완충부(8500)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탄성을 갖는 완충부(8500)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완충부(850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이 보호될 수 있다.
도 86을 살펴보면, 완충부(8500)는 보조 브라켓(23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보조 브라켓(2300)의 일부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완충부(8500)가 보조 브라켓(230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완충부(8500)가 보조 브라켓(2300)에 부착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완충부(8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접촉하는 것을 가능하나, 완충부(8500)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부착되지는 않을 수 있다.
또는, 완충부(8500)가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보조 브라켓(2300)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87의 경우와 같이, 완충부(8500)는 전면기판(101)으로부터 소정 깊이(Z31) 함몰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면기판(101)의 전면은 완충부(8500)의 꼭대기(Top Portion) 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Z31) 이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전면기판(101)의 전면은 완충부(8500)의 꼭대기(Top Portion) 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Z31) 더 돌출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보조 브라켓(2300)은 완충부(8500)보다 소정 거리(Z30)만큼 더 돌출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관찰자가 완충부(8500)를 관찰하기 어렵기 때문에 미관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도 88의 경우와 같이, 보조 브라켓(230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 사이에 완충부(8500)를 배치한 구조에서 완충부(850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소정거리(Z32) 이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도 89의 (a), (b)의 경우와 같이, 완충부(8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보조 브라켓(2300)의 사이 공간에 끼워지는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89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폭방향(D32)으로 보조 브라켓(2300)과 완충부(8500)가 소정거리(Z33) 이격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완충부(8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 및 보조 브라켓(2300)과 모두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0을 살펴보면, 브라켓(140)의 일부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의 사이에 완충부(850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앞선, 도 80 내지 도 89에서 설명한 완충부(8500)에 대한 내용은, 도 90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영상표시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9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포함한 방송 시스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포함한 방송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CP)(10Q),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SP)(20Q), 네트워크 제공자(Network Provider; NP)(30Q) 및 HNED(40Q)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HNED(40Q)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인 클라이언트(100Q)에 대응한다. 상기 클라이언트(100Q)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에 해당하며,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IPTV 등이다.
컨텐츠 제공자(10Q)는 각종 컨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자(10)에는 도 91에서와 같이 지상파 방송 송출자(terrestrial broadcaster), 케이블 방송 사업자(cable SO(System Operator)) 또는 MSO(Multiple System Operator), 위성 방송 송출자(satellite broadcaster), 인터넷 방송 송출자(Internet broadcaster)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10Q)는, 방송 컨텐츠 외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추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서비스 제공자(20Q)는, 컨텐츠 제공자(10Q)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을 서비스 패키지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1의 서비스 제공자(20Q)는, 제 1 지상파 방송, 제 2 지상파 방송, 케이블 MSO, 위성 방송, 다양한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 등을 패키지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자(20Q)는,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100Q) 측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유니캐스트 방식은 하나의 송신자와 하나의 수신자 사이에 데이터를 1:1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방식의 경우 수신기에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는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 방식은 특정한 그룹의 다수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서버는 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다수의 수신기에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캐스트 등록을 위해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프로토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제공자(30Q)는, 서비스를 클라이언트(100Q)에게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망을 제공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0Q)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End User;HNED)를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또는 컨텐츠 보호(Content Protectio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한 수신이나 컨텐츠 보호를 위한 하나의 예로서, 케이블카드(CableCARD), DCAS(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와 같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100Q)도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바와 달리, 역으로, 클라이언트(100Q)가 컨텐츠 제공자가 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10Q)가 클라이언트(100Q)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계된 경우,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92는 영상표시기기의 다른 일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9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기기(100Q)는, 방송 수신부(105Q),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저장부(140Q),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 제어부(170Q), 디스플레이부(180Q), 오디오 출력부(185Q), 전원공급부(190Q),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Q)는, 튜너(110Q), 복조부(120Q),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구비하면서 튜너(110Q)와 복조부(12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0Q)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Q)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Q)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Q)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10Q)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110Q)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Q)는, 튜너(110Q)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Q)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Q)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Q)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Q)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Q)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Q)는 예컨대,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Q)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Q)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Q)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120Q)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조부(120Q)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Q)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Q)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Q)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기기(100Q)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Q)의 제어부(170Q)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Q)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Q)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Q) 또는 저장부(140Q)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영상표시기기(100Q)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영상표시기기(100Q)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영상표시기기(100Q)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영상표시기기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영상표시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스코어를 저장하는 서버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Q)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Q)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Q)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Q)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140Q)는, 영상표시기기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함에 있어서, 게임 컨트롤러로 사용된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 정보 및 게임 플레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Q)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Q)는, 저장부(140Q)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92는 저장부(140Q)가 제어부(170Q)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Q)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Q)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Q)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Q)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Q)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튜너(110Q) 또는 복조부(12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Q)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Q)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9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Q)는, 영상표시기기(100Q)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Q)는, 튜너(110Q)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기기(100Q)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표시기기(100Q)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Q)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Q)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Q)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Q)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Q)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Q)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Q)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Q)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Q)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Q)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영상표시기기(100Q)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제어부(170Q)는,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Q)에 홈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홈 화면은, 컨텐츠 소스 별로 분류된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를 구비할 수 있다. 카드 오브젝트는, 방송 채널의 썸네일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방송 가이드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방송 예약 리스트 또는 녹화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상기 영상표시기기 내 또는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접속된 장치 내의 미디어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속된 외부 장치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및 통화와 관련된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홈 화면은,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Q)는, 카드 오브젝트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를 이동하여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지 않는 카드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180Q)에 이동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Q)는, 홈 화면 내의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 중 소정 카드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Q)는,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카드 오브젝트 내에, 수신되는 방송 영상과, 해당 방송 영상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송 영상은 잠금 설정에 의해 그 크기가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Q)는, 홈 화면 내에, 영상표시기기 내의 영상 설정, 오디오 설정, 화면 설정, 예약 설정, 원격제어장치의 포인터 설정, 네트워크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위한 셋업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Q)는, 홈 화면의 일 영역에, 로그인, 도움말 또는 나가기 항목에 대한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Q)는, 홈 화면의 일 영역에, 전체 카드 오브젝트의 개수를 나타내거나 전체 카드 오브젝트 중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카드 오브젝트의 개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Q)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카드 오브젝트 중 소정 카드 오브젝트 내의 카드 오브젝트명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를 전체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Q)는, 접속된 외부장치 또는 영상표시기기 내에서 착신 호가 수신되는 경우,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 중 통화 관련 카드 오브젝트를 포커싱하여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부(180Q) 내로 통화 관련 카드 오브젝트를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Q)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영상표시기기(100Q) 내부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70Q)는, 영상표시기기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경우, 소정의 사용자 단말기에 플레이어 식별자를 할당하고, 상기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을 통하여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할당된 플레이어 식별자에 해당하는 게임 실행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게임 실행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80Q)를 통하여 출력하고,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 중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는, 디스플레이부(180Q)를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하는 플레이어 정보 및 게임 진행 정보를 포함하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게임 진행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통하여 입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게임 플레이 정보로 판단하여, 상기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진행에 반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는, 상기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플레이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소정의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70Q)는, 소정의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통하여 게임 플레이 정보의 변동 정보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180Q)의 소정 영역에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Q)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70Q)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70Q)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Q)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80Q)는,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80Q)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Q)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Q)는, 제어부(170Q)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Q)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영상표시기기(100Q)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해 제어부(170Q)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Q)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Q)는, 영상표시기기(100Q)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Q)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Q),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Q)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Q)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Q)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 동작이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00Q)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Q)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영상표시기기(100Q)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Q)는 도 9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92에 도시된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Q)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일예이다,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다른 예로는, 도 9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80Q)와 오디오 출력부(185Q)가 제외된 셋탑 박스,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기,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도 9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가 제3의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3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영상표시기기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할 수가 있다.
도 9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기기(100Q)는 방송국(210Q), 네트워크 서버(220Q) 또는 외부장치(230Q)와 통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기(100Q)는 방송국(210Q)에서 전송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Q)는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Q)에서 출력하기에 적합하도록 처리(process)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Q)는 처리한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 또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Q)는 네트워크 서버(220Q)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220Q)는 임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Q)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버(220Q)는 유선 또는 무선 기지국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Q)와 연결될 수 있는 휴대전화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220Q)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Q)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는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영상표시기기(100Q)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Q)는 외부장치(230Q)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230Q)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영상표시기기(100Q)와 직접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예로, 외부장치(230Q)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미디어 저장장치 또는 재생장치일 수 있다. 즉, 외부장치(230Q)는 예를 들어 카메라, DVD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퍼스널 컴퓨터 등에 해당한다.
방송국(210Q), 네트워크 서버(220Q), 또는 외부장치(230Q)는, 영상표시기기(100Q)로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Q)는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기기(100Q)는 방송국(210Q) 또는 네트워크 서버(220Q)에서 영상표시기기(100Q)로 전송하는 신호를 외부장치(230Q)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230Q)에서 영상표시기기(100Q)로 전송하는 신호를 방송국(210Q) 또는 네트워크 서버(220Q)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영상표시기기(100Q)는 방송국(210Q), 네트워크 서버(220Q) 및 외부장치(230Q)에서 전송하는 신호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영상표시기기(100Q)에서 직접 재생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이를 전달하는 기능도 포함한다.
도 94는 도 92에 도시된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94 및 도 9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부(310Q), 영상 처리부(320Q), OSD 생성부(340Q), 믹서(350Q),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Q), 및 포맷터(360Q)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Q)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Q)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Q) 또는 복조부(12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Q)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Q)는, 영상 디코더(325Q), 및 스케일러(335Q)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Q)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Q)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180Q)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Q)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Q)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Q)로 입력되게 된다.
OSD 생성부(340Q)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기기(100Q)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340Q)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믹서(350Q)는, OSD 생성부(340Q)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220Q)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360Q)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FRC)(355Q)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 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 3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동일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거나, 예측된 프레임을 3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별도의 변환없이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Q)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Q)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180Q)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Q)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70Q)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는, MPEG-2 디코더, 또는 MPEG 4 디코더, 또는 AAC 디코더, 또는 AC-3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Q)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A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94에 도시된 제어부(170Q)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므로,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다른 모듈을 추가하거나, 도시된 모듈 중 일부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 구조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 구조도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은, 상술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OS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다.
우선, 도 9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은, 분리형 플랫폼으로서,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 플랫폼(400Q)과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Q)이 분리되어 설계될 수 있다. OS 커널(OS Kernel)(410Q)은,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Q)과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Q)에서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Q)은, OS 커널(410Q) 상의 드라이버(Driver)(420Q), 미들웨어(Middleware)(430Q),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450Q)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Q)은, OS 커널(410Q) 상의 라이브러리(Library)(435Q), 프레임워크(Framework)(440Q),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455Q)을 포함할 수 있다.
OS 커널(410Q)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의 핵심으로써, 영상표시기기의 구동시, 하드웨어 드라이버 구동, 영상표시기기 내의 하드웨어와 프로세서의 보안,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 관리, 메모리 관리, 하드웨어 추상화에 의한 하드웨어에 대한 인터페이스 제공, 멀티 프로세스, 및 멀티 프로세스에 따른 스케쥴 관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OS 커널(410Q)은, 파워 매니지먼트(power management) 등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
OS 커널(410Q)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와이파이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파워 관리자(Power management), 바인더 드라이버(Binder Driver), 메모리 드라이버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 커널(410Q)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OS 커널(410Q) 내의 하드웨어 장치를 위한 드라이버로서, 캐릭터 장치 드라이버(character device driver)와, 블럭 장치 드라이버(block device), 및 네트워크 장치 드라이버(network device dirver)를 구비할 수 있다. 블럭 장치 드라이버는, 특정 블럭 단위로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단위 크기 만큼을 보관할 버퍼가 필요할 수 있으며, 캐릭터 장치 드라이버는, 기본 데이터 단위 즉 캐릭터 단위로 전송하므로 버퍼가 필요없을 수도 있다.
이러한, OS 커널(410Q)은, 유닉스 기반(리눅스), 윈도우 기반 등 다양한 운영체제(OS) 기반의 커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OS 커널(410Q)은, 공개(open)된 OS 커널로서, 다른 전자기기 등에서 사용가능한 범용일 수 있다.
드라이버(420Q)는, OS 커널(410Q)과 미들웨어(430Q) 사이에 위치하며, 미들웨어(430Q)와 더불어, 애플리케이션층(450Q)의 동작을 위해 디바이스를 구동한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420Q)는, 영상표시기기(100Q) 내의 마이컴(micom), 디스플레이 모듈, 그래픽 처리 유닛(GPU),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 HDMI, SDEC(System Decoder 또는 역다중화부), VDEC(Video Decoder), ADEC(Audio Decoder), PVR(Personal Video Recorder), 또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등의 드라이버(dr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드라이버들은, OS 커널(410Q)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동작하게 된다.
또한, 드라이버(420Q)는, 원격제어장치(200Q), 특히 후술하는 공간 리모콘의 드라이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공간 리모콘의 드라이버는, 드라이버(420Q)외에, OS 커널(410Q) 또는 미들웨어(430Q) 내에 다양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미들웨어(430Q)는, OS 커널(410Q)과 애플리케이션층(450Q) 사이에 위치하여, 다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중간에서 매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제공이 가능하며, 다양한 환경 지원, 및 체계가 다른 업무와 상호 연동이 가능해진다.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Q) 내의 미들웨어(430Q)의 예로, 데이터 방송 관련 미들웨어인 MHEG(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s Group)와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의 미들웨어가 있을 수 있으며, 방송 정보 관련 미들웨어인 PSIP 또는 SI의 미들웨어, 그리고 주변기기 통신 관련 미들웨어인 DLNA 미들웨어 등이 있을 수 있다.
미들웨어(430Q) 상의 애플리케이션층(450Q), 즉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Q) 내의 애플리케이션(450Q)층은, 예를 들어, 영상표시기기(100Q) 내의 다양한 메뉴 등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User Interface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들웨어(430Q) 상의 애플리케이션층(450Q)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편집이 가능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450Q)을 이용하여, 방송 영상 시청 중 원격제어장치의 입력에 따라,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 중 원하는 메뉴로의 진입이 가능하다.
또한,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Q) 내의 애플리케이션층(450Q)은, TV 가이드 애플리케이션, 블루투스 애플리케이션, 예약(reservation)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영상 녹화(Digital Video Recoder;DVR) 애플리케이션, 핫키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Q) 내의 라이브러리(435Q)는, OS 커널(410Q)과 프레임워크(440Q) 사이에 위치하며, 프레임워크(440Q)의 기본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브러리(435Q)는, 보안 관련 라이브러리인 SSL(Secure Socket Layer), 웹 엔진 관련 라이브러리인 웹키트(WebKit), libc(c library), 비디오(video) 포맷과 오디오(audio) 포맷 등 미디어 관련 라이브러리인 미디어 프레임워크(Media Frame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435Q)는, C 또는 C++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워크(440Q)를 통해 개발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라이브러리(435Q)는, 코어 자바 라이브러리(core java library)와 가상 머신(Virtual Machine;VM)을 구비하는 런타임(runtime)(437Q)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런타임(437Q)은, 라이브러리(435Q)와 함께 프레임워크(440Q)의 기본을 형성한다.
가상 머신(VM)은, 복수의 인스턴스, 즉 멀티태스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머신일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층(455Q) 내의 각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각 가상 머신(VM)이 할당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인스턴스 사이의 스케쥴 조정 또는 인터커넥트(interconnect)를 위해, OS 커널(410Q) 내의 바인더(Binder) 드라이버(미도시)가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바인더 드라이버와 런타임(437Q)은, 자바 기반의 애플리케이션과, C 기반의 라이브러리를 연결해줄 수 있다.
한편, 라이브러리(435Q)와 런타임(437Q)은, 레가시 시스템의 미들웨어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Q) 내의 프레임워크(440Q)는, 애플리케이션층(455Q)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반이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프레임워크(440Q)는, 어떤 애플리케이션과도 호환 가능하며, 컴포넌트의 재사용, 이동 또는 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440Q)는, 지원 프로그램, 다른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엮어 주는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 애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와 관련한 액티비티 매니저(activity manager), 알림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공유 정보를 요약하는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워크(440Q)는, 자바(JAVA)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프레임워크(440Q) 상의 애플리케이션층(455Q)은, 영상표시기기(100Q) 내에서 구동되어 표시 가능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메일(email),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SMS), 달력(calendar), 지도(map), 브라우저(browser) 등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코어 애플리케이션(Core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450Q)은, 자바(JAVA)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층(455Q)은, 영상표시기기(100Q) 내에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삭제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465Q)과,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치 또는 삭제가 자유로운 애플리케이션(475Q)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455Q)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에 의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 웹 앨범 서비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위치기반 서비스(LBS), 지도 서비스, 웹 검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검색 서비스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게임, 일정관리 등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9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플랫폼은, 통합형 플랫폼으로서, OS 커널(OS kernel)(510Q), 드라이버(520Q), 미들웨어(Middleware)(530Q), 프레임워크(Framework)(540Q), 및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550Q)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6의 플랫폼은, 도 95의 경우와 비교하여, 도 95에 도시된 라이브러리(435Q)가 생략된 것과, 애플리케이션층(550Q)이 통합 레이어로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그 외, 드라이버(520Q), 프레임워크(540Q)는, 도 95에 대응한다.
한편, 도 95에 도시된 라이브러리(435Q)가, 도 96에 도시된 미들웨어(530Q)에 병합된 것으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미들웨어(530Q)는, 레가시 시스템 하의 미들웨어로, 데이터 방송 관련 미들웨어인 MHEG 또는 ACAP의 미들웨어, 방송 정보 관련 미들웨어인 PSIP 또는 SI의 미들웨어, 그리고 주변기기 통신 관련 미들웨어인 DLNA 미들웨어는, 물론, 영상표시기기 시스템 하의 미들웨어로, 보안 관련 라이브러리인 SSL(Secure Socket Layer), 웹 엔진 관련 라이브러리인 웹키트(WebKit), libc, 미디어 관련 라이브러리인 미디어 프레임워크(Media Frame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런타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층(550Q)은, 레가시 시스템 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메뉴 관련 애플리케이션, TV 가이드 애플리케이션, 예약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고, 영상표시기기 시스템 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메일, SMS, 달력, 지도, 브라우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층(550Q)은, 영상표시기기(100Q) 내에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삭제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565Q)과,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치 또는 삭제가 자유로운 애플리케이션(575Q)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도 95 및 도 96의 플랫폼은 영상표시기기는 물론, 그 외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범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한편, 도 95 및 도 96의 플랫폼은, 도 91에 도시된 저장부(140Q) 또는 제어부(170Q)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미도시)에, 저장 또는 탑재(loading)될 수도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9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원격제어장치(200Q)에 대응하는 포인터(205Q)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Q)를 상하, 좌우(도 97의 (b)), 앞뒤(도 97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포인터(205Q)는 원격제어장치(200Q)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Q)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Q)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97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Q)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포인터(205Q)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Q)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Q)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기기로 전송된다. 영상표시기기는 원격제어장치(200Q)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Q)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Q)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7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Q)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Q)를 디스플레이부(180Q)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Q)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Q)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Q)를 디스플레이부(180Q)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Q)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Q)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Q)가 디스플레이부(180Q)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Q)가 디스플레이부(180Q)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Q)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Q)가 디스플레이부(180Q)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Q)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Q)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Q)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Q)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Q)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제어장치(200Q)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Q)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Q)가 디스플레이부(180Q)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Q)는 무선통신부(225Q), 사용자 입력부(235Q), 센서부(240Q), 출력부(250Q), 전원공급부(260Q), 저장부(270Q), 제어부(280Q)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25Q)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기기(100Q)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Q)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Q)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Q)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Q)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Q)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Q)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Q)는 영상표시기기(100Q)로 원격제어장치(200Q)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Q)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Q)는 영상표시기기(100Q)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Q)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Q)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Q)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Q)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Q)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Q)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Q)으로 영상표시기기(100Q)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Q)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Q)으로 영상표시기기(100Q)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Q)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Q)으로 영상표시기기(100Q)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5Q)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Q)는 자이로 센서(241Q) 또는 가속도 센서(243Q)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Q)는 원격제어장치(200Q)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Q)는 원격제어장치(200Q)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Q)는 원격제어장치(200Q)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Q)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Q)는 사용자 입력부(235Q)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기기(100Q)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Q)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Q)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기기(100Q)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250Q)는 사용자 입력부(235Q)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Q)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Q)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Q),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Q),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Q),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Q)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Q)는 원격제어장치(200Q)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Q)는 원격제어장치(200Q)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Q)는 원격제어장치(200Q)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Q)는 원격제어장치(200Q)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Q)가 영상표시기기(100Q)와 RF 모듈(221Q)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Q)과 영상표시기기(100Q)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Q)의 제어부(280Q)는 원격제어장치(200Q)와 페어링된 영상표시기기(100Q)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Q)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Q)는 원격제어장치(200Q)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Q)는 사용자 입력부(235Q)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Q)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Q)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Q)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Q)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후면기판의 배면(Rear Surface)에 부착(Sticking)되는 브라켓(Bracket);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층(Optical Layer);
상기 광학층의 후방에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는 백커버;
상기 후면기판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브라켓에 동시에 연결되는 보조 브라켓; 그리고,
상기 후면기판의 후면과 상기 브라켓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백커버는 상기 보조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전면기판의 전면의 가장자리와 상기 보조 브라켓의 측면은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층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후면기판의 사이에는 에어층(Air Gap)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는 고정부(Fixer)가 형성되고, 상기 광학층은 상기 고정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브라켓보다 무른 성질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기판의 배면으로부터 측정한 상기 광학층의 최대 높이는 상기 브라켓의 높이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광학층의 사이에는 도광판이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는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백커버는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브라켓과 상기 보조 브라켓은 소정 거리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라켓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상기 백커버의 끝단(Edge)이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의 끝단은 말린(Roll) 상태로 상기 홈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후면기판의 배면(Rear Surface)에 부착(Sticking)되는 브라켓(Bracket);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층(Optical Layer);
상기 광학층의 후방에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는 백커버;
상기 후면기판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브라켓에 동시에 연결되는 보조 브라켓; 그리고,
상기 후면기판의 후면과 상기 브라켓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층과 상기 후면기판의 사이에는 제 1 에어층(First Air Gap)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백커버의 사이에는 제 2 에어층(Second Air Gap)이 형성되고,
상기 백커버는 상기 보조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전면기판의 전면의 가장자리와 상기 보조브라켓의 측면은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에어층의 두께는 상기 제 1 에어층의 두께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5536A KR101834369B1 (ko) | 2010-10-27 | 2010-10-27 | 디스플레이 장치 |
US13/281,624 US20120106121A1 (en) | 2010-10-27 | 2011-10-26 | Display apparatus |
DE202011109888U DE202011109888U1 (de) | 2010-10-27 | 2011-10-27 | Anzeigevorrichtung |
PCT/KR2011/008102 WO2012057550A2 (en) | 2010-10-27 | 2011-10-27 | Display apparatus |
CN2011900002134U CN203054391U (zh) | 2010-10-27 | 2011-10-27 | 显示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5536A KR101834369B1 (ko) | 2010-10-27 | 2010-10-27 |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4117A KR20120044117A (ko) | 2012-05-07 |
KR101834369B1 true KR101834369B1 (ko) | 2018-03-05 |
Family
ID=46264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5536A KR101834369B1 (ko) | 2010-10-27 | 2010-10-27 |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436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633658B1 (en) * | 2018-02-28 | 2022-10-05 | Kyocera Corporation | Display device, glass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substrate |
CN114125340B (zh) * | 2021-11-13 | 2024-05-10 | 深圳市宏钢光电封装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激光电视用rgb显示器件发射窗口管盖及其生产工艺 |
-
2010
- 2010-10-27 KR KR1020100105536A patent/KR101834369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4117A (ko) | 2012-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86070B2 (en) |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bracket including a side portion having an outer side surface entirely exposed to form an exterior side surface and a supporting portion directly adhered to a back surface of a display panel | |
US8599330B2 (en) | Display apparatus | |
KR101843913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8851695B2 (en) | Display apparatus | |
CN202695525U (zh) | 显示装置 | |
US20120106121A1 (en) | Display apparatus | |
KR101809615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834369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755621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198868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771561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843910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134924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836402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20044844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20044156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20240353711A1 (en) | Display apparatus | |
KR101836398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20044129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191836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832332B1 (ko) | 액정 표시장치 패널 | |
KR101832965B1 (ko) | Lcd패널용 백라이트 유닛 | |
KR20120138987A (ko) | 영상표시장치 | |
KR101870327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