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8106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8106A
KR20140058106A KR1020120124729A KR20120124729A KR20140058106A KR 20140058106 A KR20140058106 A KR 20140058106A KR 1020120124729 A KR1020120124729 A KR 1020120124729A KR 20120124729 A KR20120124729 A KR 20120124729A KR 20140058106 A KR20140058106 A KR 20140058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ear panel
film
front panel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종현
임병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4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8106A/ko
Publication of KR20140058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1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05K2201/10136Liquid Crystal display [LC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전면패널(Front Panel), 상기 전면패널에 대항되게 배치되며 TFT가 배치되는 후면패널(Rear Panel), 상기 전면패널의 전면에 부착되는 필름층(Film Layer) 및 상기 전면패널의 측면에 접하며 상기 필름층과 상기 후면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수지층(Resi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께가 얇고 시인성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전면패널(Front Panel), 상기 전면패널에 대항되게 배치되며 TFT가 배치되는 후면패널(Rear Panel), 상기 전면패널의 전면에 부착되는 필름층(Film Layer) 및 상기 전면패널의 측면에 접하며 상기 필름층과 상기 후면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수지층(Resi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층은 두께가 상기 전면패널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층은 상기 후면패널 및 전면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후면패널보다 더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패널 및 전면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필름층은 상기 전면패널보다 더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패널 및 전면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필름층은 상기 후면패널보다 더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층과 상기 후면패널의 사이에는 상기 후면패널의 전극단자에 연결되는 연성기판(Flexible Substrate)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층은 불투명한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층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층은 상기 전면패널에 부착되는 제 1 필름(First Film) 및 상기 제 1 필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필름(Second Film)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패널 및 상기 후면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2 필름은 상기 제 1 필름보다 더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층은 상기 제 2 필름과 상기 후면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전면패널(Front Panel), 상기 전면패널에 대항되게 배치되며 TFT가 배치되는 후면패널(Rear Panel), 상기 전면패널의 전면에 부착되는 필름층(Film Layer), 상기 후면패널의 전면(Front Surface)에 형성되는 전극단자 및 상기 후면패널의 상기 전면에 부착되는 전면커버(Front Cov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후면패널의 상기 전면의 사이에는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후면패널의 상기 전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연성기판(Flexible Substrat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에는 상기 연성기판이 지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층은 상기 전면커버의 상부에 부착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층은 상기 전면커버의 측면에 부착되는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는 상기 후면패널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는 상기 전면패널과 소정거리 이격되고, 이격된 부분은 상기 필름층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패널 및 전면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전면커버는 상기 후면패널보다 더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수지층(Resin Layer)을 형성하거나 전면커버(Front Cover)를 배치함으로써,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19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 내지 도 34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전면커버를 배치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5 내지 도 45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되는 방송신호 수신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광학시트(Optical Layer, 110) 및 광원부(120)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10B) 및 후면커버(Back Cover, 13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시트(110)는 후면패널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0B)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백 라이트 유닛(10B)은 광원부(Light Source Part, 120) 뿐만 아니라,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원부(120)에는 다양한 형태의 광원(Light Source)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이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원은 적색, 청색, 녹색 등과 같은 컬러 중에서 적어도 한 컬러를 방출하는 유색 LED이거나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10B)은 엣지형(Edge Type) 또는 직하형(Direct Type)의 백라이트 유닛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0B)의 후방에는 후면커버(13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후면커버(130)는 백라이트 유닛(10B) 및 다양한 부품들을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및 압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도 2의 경우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균일한 셀 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전면패널(101) 및 후면패널(111)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면패널(101)과 후면패널(111)의 사이에는 액정층(Liquid Crystal Layer, 10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패널(101)과 후면패널(111)의 사이에는 액정층(104)을 밀봉하기 위한 실부(Seal Portion, 2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부(200)는 실링부(Sealing Portion)이라고 칭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면패널(101)에는 R, G, B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컬러필터(10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컬러 필터(102)는 레드(R), 그린(G) 및 블루(B) 서브 픽셀(Sub-pixel)로 이루어진 복수의 픽셀(Pixel)들을 포함하며, 광이 인가되는 경우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 하는 이미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픽셀들은 레드, 그린 및 블루 서브 픽셀로 구성될 수 있으나, 레드, 그린, 블루 및 화이트(W) 서브 픽셀이 하나의 픽셀을 구성하는 등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후면패널(111)에는 화소별로 액정을 온/오프(On/Off) 시키기 위한 소정의 트랜지스터(Transistor, 103), 예컨대 TFT(Thin Film transistor)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패널(101)을 컬러 필터 기판(101)이라 하고, 후면패널(111)을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111)이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전면편광필름(210)과 후면편광필름(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패널(21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과한 광을 편광시키는 위한 전면편광필름(210)이 배치되고, 후면패널(111)의 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후면패널(111)의 후방에 배치되는 광학층(110)을 통과한 광을 편광시키는 후면편광필름(22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편광필름(210)을 제 1 편광필름이라 하고, 후면편광필름(220)을 제 2 편광필름이라고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액정층(104)은 복수의 액정 분자들로 이루어져 있고, 액정 분자들은 트랜지스터(103)에 의해 공급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10B)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은 액정층(104)의 분자 배열의 변화에 상응하여 컬러 필터(102)에 입사될 수 있다.
그러면, 컬러 필터(102)에 의해 적어도 R, G, B 광이 구현됨으로써, 소정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패널(101)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픽셀들 각각은 데이터라인(300)과 게이트라인(310)이 교차되고, 그 교차부에 접속된 TFT(103)를 포함할 수 있다.
TFT(103)는 게이트라인(106)으로부터의 게이트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라인(105)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을 액정셀(Clc)의 화소전극(320)에 공급한다. 액정셀(Clc)은 화소전극(320)의 전압과 공통전극(330)에 인가되는 공통전압(Vcom)의 전압차에 따라 발생되는 전계에 의해 회동하여 편광판을 통과하는 광양을 조절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액정셀(Clc)의 화소전극에 접속되어 액정셀(Clc)의 전압을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구조 및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에서 실시예의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
도 4를 살펴보면, 후면패널(111)의 비표시 영역(Dummy Area)에 전극(40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후면패널(111)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된 전극(400)을 패드 전극(Pad Electrode) 또는 전극 단자라고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패드 전극(400)은 후면패널(111)의 적어도 일측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후면패널(111)의 제 1 단변측(First Short Side, SS1) 및 제 2 단변측(Second Short Side, SS2)에 각각 패드 전극(40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후면패널(111)의 제 1 장변측(First Long Side, LS1) 및/또는 제 2 장변측(Second Long Side, LS2)에 패드 전극(40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패드 전극(400)은 소정의 트랜지스터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 내지 도 5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보드(500)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동보드(500)에는 커넥터(Connector, 510)가 배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전극을 포함하는 연결기판(410)의 일단은 커넥터(510)에 연결되고, 연결기판(410)의 타단은 패드 전극(4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보드(500)와 패드 전극(4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동보드(500)와 트랜지스터(103)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기판(410)은 TCP(Tape Carrier Package),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연성을 갖는 기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기판(410)을 연성기판(Flexible Substrate)이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기판(410)을 패드 전극(400)에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후면패널(111)은 전면패널(101)보다 더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길이방향으로 후면패널(111)은 전면패널(101)보다 더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길이방향으로 후면패널(111)의 길이는 전면패널(101)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9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의 (A)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는 수지층(Resin Layer, 60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양쪽 가장자리에 수지층(600)이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수지층(600)의 형성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수지층(600)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에서 수지층(600)을 관찰할 수 있는 것이다.
자세하게는, 도 6의 (B)의 경우와 같이, 전면패널(101)의 전면(Front Surface)에는 필름층(Film Layer, 610)이 부착될 수 있다.
아울러, 수지층(600)은 전면패널(101)의 측면에 접하며 필름층(610)과 후면패널(111)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지층(600)은 전면패널(101), 후면패널(111) 및 필름층(610)과 각각 접촉(Contact)할 수 있다.
도 6의 (B)에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690은 전면패널(101)과 후면패널(111)의 사이에 위치하는 블랙층(Black Layer)이다. 이러한 블랙층(690)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이 관찰자에게 보이지 않도록 하는 시각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수지층(600)의 형성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7의 (A)의 경우와 같이, 전면패널(101)에 필름층(610)을 부착하여 필름층(610), 전면패널(101) 및 후면패널(111)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601)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수지 재질(670)을 소정의 노즐(680)을 이용하여 필름층(610), 전면패널(101) 및 후면패널(111)에 의해 구획된 공간(601)에 도포할 수 있다.
이후, 도 7의 (B)의 경우와 같이, 공간(601)에 주입된 수지 재질(670)을 경화시키면 수지층(60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지 재질(670)을 경화시키기 위해 수지 재질(670)에 UV 등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아울러, 수지 재질(670)은 광 경화성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는, UV 등의 광을 이용하여 수지 재질(670)을 경화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지 재질(670)을 경화시키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필름층(610)은 복수의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의 경우와 같이, 필름층(610)은 전면패널(101)에 부착된 제 1 필름(First Film, 612)과 제 1 필름(612)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필름(Second Film, 6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면패널(101) 및 후면패널(111)의 길이 방향으로 제 2 필름(611)은 제 1 필름(612)보다 더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수지층(600)은 제 2 필름(611)과 후면패널(111)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수지층(600)은 제 2 필름(611)과 접촉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 1 필름(612)은 앞선 도 2에서 설명한 전면편광필름(Front Polarizer, 210)일 수 있다. 아울러, 제 2 필름(611)은 필름패턴 편광필름(Film-Type Patterned Retarder)으로서 입체 영상(3D)을 구현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 1 필름(612)이 전면편광필름(210)이고, 제 2 필름(611)은 필름패턴 편광필름인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 1 필름(612) 및/또는 제 2 필름(611)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필름(611)은 보호필름(Protective Film)인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필름층(610)이 2개의 필름, 즉 제 1 필름(612)과 제 2 필름(611)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름층(610)은 총 3개의 필름으로 구성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필름층(610)에서 제 1 필름(612)과 제 2 필름(611)의 사이에 또 다른 적어도 하나의 필름이 더 배치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필름층(610)이 제 1 필름(612)과 제 2 필름(611)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 2 필름(611)이 제 1 필름(612)보다 더 연장됨에 따라, 도 9의 경우와 같이, 전면패널(101) 및 후면패널(111)의 길이방향으로 제 2 필름(611)의 길이(L3)는 제 1 필름(612)의 길이(L2)보다 더 길 수 있다.
아울러, 제 2 필름(611)이 수지층(600)과 접촉함에 따라, 전면패널(101) 및 후면패널(111)의 길이방향으로 제 2 필름(611)의 길이(L3)는 전면패널(101)의 길이(L1)보다 더 길 수 있다.
아울러, 도 10의 경우와 같이, 수지층(600)은 제 2 필름(611)과 전면패널(101)의 전면(FS)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을 살펴보면, 수지층(600)은 후면패널(111) 및 전면패널(101)의 길이 방향으로 후면패널(101)보다 소정길이(W1)만큼 더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지 재질의 도포 공정에서 수지 재질의 도포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아울러, 수지층(600)은 후면패널(111) 및 전면패널(101)의 길이 방향으로 필름층(610)보다 소정길이(W2)만큼 더 연장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2를 살펴보면, 후면패널(111)은 후면패널(111) 및 전면패널(101)의 길이 방향으로 수지층(600)보다 소정길이(W3)만큼 더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지 재질의 도포 공정에서 수지 재질의 도포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3을 살펴보면, 수지층(600)은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지층(600)에서 전면패널(101)과 인접한 부분에서의 두께(T1)는 후면패널(111)의 끝단과 인접한 부분에서의 두께(T2)보다 더 작은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수지 재질의 도포 공정에서 수지 재질의 도포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아울러, 수지층(600)은 두께가 전면패널(101)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층(600)에서 후면패널(111)의 끝단과 인접한 부부에서의 두께(T2)는 전면패널(101)의 두께(T3)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또한, 수지층(600)에서 전면패널(101)의 측면과 인접한 부부에서의 두께(T1)도 전면패널(101)의 두께(T3)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또는, 도 14의 경우와 같이, 수지층(600)은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지층(600)에서 전면패널(101)과 인접한 부분에서의 두께(T4)는 후면패널(111)의 끝단과 인접한 부분에서의 두께(T5)보다 더 큰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수지 재질의 도포 공정에서 수지 재질의 도포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아울러, 수지층(600)은 두께가 전면패널(101)의 두께보다 더 작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층(600)에서 후면패널(111)의 끝단과 인접한 부부에서의 두께(T5)는 전면패널(101)의 두께(T3)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도 15를 살펴보면, 수지층(600)은 그 두께가 대략 균일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후면패널(111)의 후면(Rear Surface)으로부터 측정한 수지층(600)의 높이가 대략 균일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수지층(600)에서 전면패널(101)과 인접한 부분에서의 두께(T6)는 후면패널(111)의 끝단과 인접한 부분에서의 두께(T7)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도 16을 살펴보면, 후면패널(111) 및 전면패널(101)의 길이방향으로 필름층(610)은 후면패널(111)보다 소정 길이(W4)만큼 더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후면패널(111) 및 전면패널(101)의 길이방향으로 필름층(610)은 수지층(600)보다 소정 길이(W5)만큼 더 연장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7을 살펴보면, 수지층(600)과 후면패널(111)의 사이에는 후면패널(111)의 전극단자(미도시)에 연결되는 연성기판(Flexible Substrate, 41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극단자는 앞선 도 4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패드 전극(400)일 수 있다.
즉, 후면패널(111)의 전극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성기판(410)은 수지층(600)에 의해 덮이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수지층(600)은 불투명한 수지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수지층(600)이 전극단자 및 연성기판(410)을 가릴 수 있어서 디자인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도 18을 살펴보면, 수지층(6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수지층(600)은 제 1, 2 장변(LS1, LS2) 및 제 1, 2 단변(SS1, SS2)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적어도 일측에서는 수지층(600)이 연성기판(410)을 덮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다른 부분에서는 수지층(600)과 후면패널(111)의 사이에 연성기판(410)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도 19의 (A), (B)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에 수지층(6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9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장변(LS2) 측에서 후면패널(111)에 전극단자가 형성되고, 아울러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기판(4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앞선, 도 4, 5 17의 내용으로서 충분히 유추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장변(LS2) 측에 형성된 연성기판(410)을 덮기 위해 수지층(600)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0 내지 도 34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전면커버를 배치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의 (A)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에는 전면커버(Front Cover, 70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에만 전면커버(700)가 배치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앞선 도 18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전면커버(700)가 배치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20의 (B)의 경우와 같이, 후면패널(111)의 전면(Front Surface)에 전면커버(700)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후면패널(111)의 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극단자(패드 전극)가 형성될 수 있다.
후면패널(111)과 전면커버(700)의 사이에는 전면커버(700)를 후면패널(111)의 전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층(710)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전면커버(700)에는 접착층(710)이 형성될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함몰부(70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패널(101) 및 후면패널(111)의 길이방향으로 전면패널(101)의 측면과 전면커버(700)는 소정거리(W6) 이격될 수 있다.
전면커버(70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21을 살펴보면, 필름층(610)은 전면커버(700)의 상부에 부착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면커버(700)는 필름층(610)과 후면패널(111)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필름층(610)은 전면커버(700)와 전면패널(101) 사이의 공간을 가릴 수 있다.
도 22를 살펴보면, 필름층(610)은 전면패널(101)에 부착된 제 1 필름(First Film, 612)과 제 1 필름(612)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필름(Second Film, 6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면패널(101) 및 후면패널(111)의 길이 방향으로 제 2 필름(611)은 제 1 필름(612)보다 더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필름(611)은 전면커버(700)의 상부에 부착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필름(612)과 제 2 필름(611)을 포함하는 필름층(610)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도 23을 살펴보면, 필름층(610)은 전면커버(700)의 측면에 부착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필름층(610)의 제 2 필름(611)이 전면커버(700)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4를 살펴보면, 전면커버(700)는 전면패널(101)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730)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으로 전면패널(101)과 전면커버(700)는 중첩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방향(DR2)은 전면패널(101) 및 후면패널(111)의 폭방향일 수 있다. 아울러,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전면패널(101) 및 후면패널(111)의 길이방향일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전면커버(700)는 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720) 및 제 1 부분(720)으로부터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7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부분(730)은 제 2 방향(DR2)으로 전면패널(101)과 중첩할 수 있다.
도 25를 살펴보면, 전면커버(700)는 후면패널(111)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7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후면패널(111) 및 전면패널(101)의 길이 방향, 즉 제 1 방향(DR1)으로 전면커버(700)는 후면패널(111)보다 소정길이(W7) 더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전면커버(700)는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740) 및 제 1 부분(740)으로부터 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750)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제 2 부분(750)이 후면패널(111)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도 26의 경우와 같이, 전면커버(700)는 전면패널(101)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770) 및 후면패널(111)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780)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전면커버(700)는 후면패널(111)의 전면에 부착되는 제 1 부분(760), 제 1 부분(760)으로부터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전면패널(101)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 2 부분(770), 제 1 부분(760)으로부터 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되며 후면패널(111)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 3 부분(780)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7을 살펴보면, 전면커버(700)는 제 2 방향(DR2)으로 전면패널(101)보다 더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면패널(111)의 전면으로부터 높이를 측정할 때, 전면커버(700)의 높이는 전면패널(101)의 높이보다 H1만큼 더 높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면커버(700)의 두께가 전면패널(101)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경우라고 볼 수 있다.
도 28을 살펴보면, 전면패널(101)은 제 2 방향(DR2)으로 전면커버(700)보다 더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면패널(111)의 전면으로부터 높이를 측정할 때, 전면커버(700)의 높이는 전면패널(101)의 높이보다 H2만큼 더 낮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면커버(700)의 두께가 전면패널(101)의 두께보다 더 작은 경우가 가능할 수 있다.
또는, 도 29의 경우와 같이, 후면패널(111)의 전면으로부터 높이를 측정할 때, 전면커버(700)의 높이(T10)는 전면패널(101)의 높이(T11)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면패널(101)과 전면커버(700)의 높이 단차를 제거할 수 있어서 디자인 측면에서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도 30을 살펴보면, 전면커버(700)는 후면패널(111)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후면패널(111) 및 전면패널(101)의 길이 방향, 즉 제 1 방향(DR1)으로 전면커버(700)는 후면패널(111)보다 소정길이(W8) 더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1을 살펴보면, 전면커버(700)와 전면패널(101)의 측면 사이에는 버퍼층(80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버퍼층(800)은 전면커버(700)와 전면패널(101)의 물리적 충돌을 방지하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버퍼층(800)은 수지 재질, 금속 재질 등의 다양한 재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퍼층(800)은 스펀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2를 살펴보면, 후면패널(111)의 전면에는 전극단자(미도시, 패드 전극)가 형성되고, 이러한 전극단자에는 연성기판(4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성기판(410)은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도 전면커버(700)와 후면패널(111)의 전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33에서는 전면커버(700)가 앞선 도 25에서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전면커버(700)는 후면패널(111)의 전면에서 연성기판(410)을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전면커버(700)에는 연성기판(410)이 지나는 홈(70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커버(700)는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된 제 1 부분(740) 및 제 1 부분(740)에서 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된 제 2 부분(75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부분(740)에는 접착층이 적용되는 함몰부(701)가 형성될 수 있다.
후면패널(111)에 전면커버(700)가 부착된 상태에서는, 도 33의 경우와 같이, 연성기판(410)은 전면커버(700)에 형성된 홈(702)을 통과하여 도시하지 않은 구동부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4를 살펴보면, 전면커버(700)에는 연성기판(410)이 지나는 홈(70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홈(702)은 접착층(710)이 적용되는 함몰부(701)의 사이를 지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함몰부(701) 및 접착층(710)은 홈(702)에 의해 복수개로 분할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접착층(710)이 적용되는 함몰부(701)를 제 1 홈이라 하고, 연성기판(410)이 지나는 홈(702)을 제 2 홈이라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5 내지 도 45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에서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에 수지층 또는 전면커버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도 35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패널(111)의 후면과 브라켓(140)의 사이에는 접착층(4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400)에 의해 브라켓(140)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패널(111)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처럼, 접착층(400)을 이용하여 후면패널(111)의 후면에 브라켓(140)을 부착시키게 되면 후면패널(111)과 브라켓(140)의 체결을 위해 팸넛(Pemnut), 보스(Boss) 등의 지지수단 및 스크류(Screw)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고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고,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브라켓(140)과 후면패널(111)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브라켓(140)의 후면패널(111)을 향하는 일면에는 홈(141)이 형성되고, 이러한 홈(141)에 접착층(40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착재료가 브라켓(14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브라켓(140)을 후면패널(111)의 후면에 부착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길이방향(LD)으로 접착층(400)보다 더 연장된 부분(W1A)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길이방향으로 브라켓(140)보다 더 연장되는 부분(W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브라켓(14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6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은 베이스부(1000), 머리부(1002) 및 베이스부(1000)와 머리부(1002)를 연결하는 기둥부(100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140)의 베이스부(1000)와 후면패널(110)의 사이에 접착층(400)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브라켓(140)은 함몰부(홈)를 포함하고 접착층(400)이 적용되는 제 1 면(First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140)은 제 1 면에 대항되는 제 2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돌출부(1001) 및 제 1 돌출부(1001)로부터 연장되는 제 2 돌출부(10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돌출부(1001)는 후면패널(111)의 폭방향(수직방향(DRV))으로 후면패널(111)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돌출부(1002)는 제 1 돌출부(1001)의 끝단으로부터 수평방향(DRH, 길이방향,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데, 제 1 돌출부(1001)와 제 2 돌출부(1002)는 뒤집어진 L 형상(Inverted L-shape)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접착층(400)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는 베이스부(1000)의 폭(R101)은 머리부(1002)의 폭(R100)보다 큰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브라켓(140)이 베이스부(1000), 머리부(1002) 및 기둥부(1001)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하의 브라켓(140)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6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의 상부에는 보조 브라켓(48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브라켓(4800)은 브라켓(14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보조 브라켓(4800)은 브라켓(140)의 머리부(1002)에 안착될 수 있다. 이하에는 브라켓(140), 보조 브라켓(4800)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만, 브라켓(140)을 제 1 브라켓(140)이라 하고, 보조 브라켓(4800)을 제 2 브라켓(4800) 또는 시트지지부(Sheet Supporter)라고 칭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보조 브라켓(4800)은 후면패널(111)에 근접하게 위치한 부분(4801)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조 브라켓(4800)에서 후면패널(111)에 근접한 부분을 저고도부분(4801)이라 한다.
자세하게는, 후면패널(111)의 후면으로부터 높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가정할 때, 보조 브라켓(4800)의 저고도부분(4801)의 높이(HA2)는 브라켓(140)의 최대 높이(HA1)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보조 브라켓(4800)의 저고도부분(4801)은 브라켓(140)보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방향으로 소정 거리(LA1) 연장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적어도 하나의 보조 브라켓(4800)은 복수의 브라켓(14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브라켓(4800)은 수평방향(DRH)으로 연장된 제 1 레지(Ledge, 4802)와 제 2 레지(4801)를 포함하고, 제 1 레지(4802)와 제 2 레지(4801)는 수직방향(DRV)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번호 미지정)에 의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아울러, 연장부는 제 1 레지(4802)와 제 2 레지(4801)의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레지(4802)는 제 2 돌출부(1002)와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Frame)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은 제 1 레지(4802)와 접촉(Contact)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이하에서 보다 구체화될 수 있다.
아울러, 도 37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커버(미도시)의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시트부(110)는 보조 브라켓(4800)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시트부(110)는 보조 브라켓(4800)의 저고도부분(480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학시트부(110)는 보조 브라켓(4800)에 고정되지 않고, 보조 브라켓(4800)의 저고도부분(4801)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학시트부(110)는 보조 브라켓(4800)의 상부에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보조 브라켓(4800)의 상부에 광학시트부(110)가 배치되면, 광학시트부(11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패널(111)이 소정 거리(Z1) 이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후면패널(111)과 광학시트부(110)의 사이에 에어층(Air Gap, 65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후면패널(111)과 광학시트부(110)의 사이에 에어층(Air Gap, 650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에어층(650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보조 브라켓(4800)의 형태 및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8을 살펴보면, 광학시트부(110)의 상부에는 광원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원부(120)는 광학시트부(110)와 함께 보조 브라켓(4800)의 저고도부분(4801)에 배치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백라이트 유닛(10B)이 직하타입(Direct Type) 광원부(120)를 갖는 경우이다.
또는, 도 39의 경우와 같이, 보조 브라켓(4800)의 제 1 레지(4802)에 광학시트(11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0을 살펴보면, 브라켓(140)에는 홀(100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1003)을 통해 연결 프레임(5000)이 브라켓(14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프레임(5000)은 브라켓(140)에 고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결 프레임(5000)의 일부가 브라켓(140)의 홀(1003)에 단순히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연결 프레임(5000)에 전달되는 비틀림 등의 외력이 브라켓(140)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빛샘 현상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조 브라켓(4800)은 복수의 브라켓(14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프레임(5000)에 연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연결 프레임(5000)은 측벽(5004)과 수평방향(DRH)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탭(Tab Portion, 5003)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 1 탭(5003)은 브라켓(140)의 제 1 연장부에 형성된 홀(1003)을 관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평방향(DRH)으로 제 1 탭(5003)의 폭은 브라켓(140)의 제 2 돌출부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연결 프레임(5000)에는 홀(5001)이 형성되고, 보조 브라켓(4800)에도 연결 프레임(5000)의 홀(5001)에 대응되는 홀(48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프레임(5000)의 홀(5001)과 보조 브라켓(4800)의 홀(4804)을 통해 스크류 등이 체결수단(S100)이 연결 프레임(5000)과 보조 브라켓(4800)을 연결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연결 프레임(5000)은 브라켓(140)의 홀(1003)(또는 홈)에 끼워지는 제 1 탭(5003) 및 보조 브라켓(4800)과 체결되는 측벽(500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프레임(5000)의 제 1 탭(5003)은 수평부분이라 하고, 측벽(5004)은 수직부분이라고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1을 살펴보면, 후면커버(130)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Frame, 1600)이 배치되는데, 이러한 프레임(1600)은, 보조 브라켓(48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1600)은 백라이트 유닛에 포함된 프레임일 수 있고, 또는 백라이트 유닛과 별개인 프레임인 경우도 가능하다.
프레임(1600)의 끝단은 보조 브라켓(4800)의 상부에 위치하며, 프레임(1600)의 일부는 보조 브라켓(4800)과 접촉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측면커버(Side Cover, 4400)가 프레임(16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류 등의 소정의 체결수단(S110)이 프레임(1600)과 측면커버(4400)를 연결할 수 있다.
측면커버(4400)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측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42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에는 후면커버(Back Cover, 130)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후면커버(130)는 측면커버(4400)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측면커버(4400)를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측면커버(4400)의 일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측면커버(4400)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폭 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후면커버(13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면커버(130)가 측면커버(4400)에 연결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Surface)의 가장자리(Edge)가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는 경우는 전면패널(101)에 부착되는 전면편광필름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또는, 전면패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는 경우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예컨대 소정의 제 1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바라봤을 때,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실질적으로 모든 영역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관상 미려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또 다른 테두리가 보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화면 영역이 보다 커져 보이는 시각적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측면커버(4400)는 측벽(4400V)과 수평방향(DRH)으로 연장되는 걸친 부분(4400H)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측면커버(4400)의 제 1 끝단부(4403)는 전면패널(101)과 후면패널(111)의 측면을 덮는(Cover) 것이 가능하고, 걸친 부분(4400H)은 측면커버(4400H)의 제 2 끝단부(4404)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걸친 부분(4400H)은 수직방향(DRV)으로 측면커버(4400)의 끝단으로부터 소정거리(SAR)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측면커버(4400)는 후면커버(1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테두리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걸친 부분(4400H)은 측면커버(4400)의 제 1 끝단부(4403)과 제 2 끝단부(4404)의 사이에 위치하고, 걸친 부분(4400H)은 제 1 끝단부(4403) 및 제 2 끝단부(4404)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후면커버(130)의 끝단은 걸친부분(4400H)과 측벽(4400V)이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측벽(4400V)은 측면커버(4400)의 제 1 부분 또는 수직부분이라 칭하는 것이 가능하고, 걸친 부분(4400H)은 측면커버(4400)의 제 2 부분 또는 수평부분이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측면커버(4400)의 측벽(4400V)은 제 1 끝단부(4403)과 제 2 끝단부(4404)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영역(FAR) 및 제 2 끝단부(4404)와 걸친 부분(4400H)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영역(SAR)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후면커버(130)의 끝단은 제 2 영역(SAR)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백라이트 유닛(10B)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 1 영역(FAR)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43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을 지나는 직선(CSL1)에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43의 (B)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쪽 끝단에는 측면커버(4400)가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에 후면커버(130)가 배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방향으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개시한 것이다. 도 43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세한 구조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는, 도 44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130), 측면커버(4400) 및 프레임(1600)은 체결수단(S400)에 의해 함께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체결수단(S400)에 의해 후면커버(130), 측면커버(4400) 및 프레임(16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파 장애(EMI)가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도 44의 (B)를 살펴보면, 프레임(1600)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16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홀(1600HA)과 적어도 하나의 제 2 홀(1600H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홀(1600HA)은 도 44의 (A)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1600)을 후면커버(130) 및 측면커버(440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S400)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 2 홀(1600HB)은 프레임(1600)을 소정의 구조물, 예컨대 후면커버(130)에 체결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혹은 다른 구조물이 관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5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을 지나는 직선(CSL2)에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45의 (B)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장변(LS1) 측에는 측면커버(4400)가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2 장변(LS2) 측에는 수지층(600)이 배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2 장변(LS2) 측에 수지층(600)이 배치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수지층(600)을 대체하여 전면커버(700)가 배치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도 45의 (B)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2 장변(LS2) 측에는 제 1 하부 받침대(45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하부 받침대(4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하부 받침대(4510)는 제 1 하부 받침대(4500)와 후면커버(130)를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하부 받침대(4500)는 프레임(160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45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세한 구조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이 도 4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측에 수지층(600) 혹은 전면커버(700)가 배치된다는 조건 하에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되는 방송신호 수신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되는 일례로 방송신호 수신기(TV)를 일례로 설명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송신호 수신기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방송신호 수신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방송신호 수신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4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방송 수신부(105Q),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저장부(140Q),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 제어부(170Q), 디스플레이부(180Q), 오디오 출력부(185Q), 전원공급부(190Q),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Q)는, 튜너(110Q), 복조부(120Q),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구비하면서 튜너(110Q)와 복조부(12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0Q)는,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복조부(120Q)는, 튜너(110Q)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Q)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Q)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Q)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Q)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Q)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Q)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Q)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Q)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Q)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외부 장치와 단말기(100~105)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Q) 또는 저장부(140Q)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단말기(100~105)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LAN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Ethernet Port인 것이 가능하다.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Q)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Q)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6에서는 저장부(140Q)가 제어부(170Q)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Q)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Q)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Q)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Q)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Q)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튜너(110Q) 또는 복조부(12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Q)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Q)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Q)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Q)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Q)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Q)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Q)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Q)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Q)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Q)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Q)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Q)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Q)는,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오디오 출력부(185Q)는, 제어부(170Q)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Q)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오디오 출력부(185Q)는 스피커 장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출력부(185Q)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단말기(100~105)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해 제어부(170Q)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Q)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Q)는, 단말기(100~105)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원격제어장치(200Q)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Q)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전면패널(Front Panel);
    상기 전면패널에 대항되게 배치되며 TFT가 배치되는 후면패널(Rear Panel);
    상기 전면패널의 전면에 부착되는 필름층(Film Layer); 및
    상기 전면패널의 측면에 접하며 상기 필름층과 상기 후면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수지층(Resin Layer);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두께가 상기 전면패널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상기 후면패널 및 전면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후면패널보다 더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패널 및 전면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필름층은 상기 전면패널보다 더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패널 및 전면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필름층은 상기 후면패널보다 더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과 상기 후면패널의 사이에는 상기 후면패널의 전극단자에 연결되는 연성기판(Flexible Substrate)이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불투명한 수지 재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상기 전면패널에 부착되는 제 1 필름(First Film); 및
    상기 제 1 필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필름(Second Film);
    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패널 및 상기 후면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2 필름은 상기 제 1 필름보다 더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상기 제 2 필름과 상기 후면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전면패널(Front Panel);
    상기 전면패널에 대항되게 배치되며 TFT가 배치되는 후면패널(Rear Panel);
    상기 전면패널의 전면에 부착되는 필름층(Film Layer);
    상기 후면패널의 전면(Front Surface)에 형성되는 전극단자; 및
    상기 후면패널의 상기 전면에 부착되는 전면커버(Front Cover);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후면패널의 상기 전면의 사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후면패널의 상기 전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연성기판(Flexible Substrate)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에는 상기 연성기판이 지나는 홈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상기 전면커버의 상부에 부착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상기 전면커버의 측면에 부착되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는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는 상기 후면패널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는 상기 전면패널과 소정거리 이격되고,
    이격된 부분은 상기 필름층에 의해 가려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패널 및 전면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전면커버는 상기 후면패널보다 더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124729A 2012-11-06 2012-11-06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581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729A KR20140058106A (ko) 2012-11-06 2012-11-06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729A KR20140058106A (ko) 2012-11-06 2012-11-06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106A true KR20140058106A (ko) 2014-05-14

Family

ID=50888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729A KR20140058106A (ko) 2012-11-06 2012-11-06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81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38896A1 (en) * 2015-02-13 2016-08-18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007151B2 (en) 2015-06-10 2018-06-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38896A1 (en) * 2015-02-13 2016-08-18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100051A (ko) * 2015-02-13 2016-08-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295862B2 (en) 2015-02-13 2019-05-21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016344B2 (en) 2015-02-13 2021-05-25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007151B2 (en) 2015-06-10 2018-06-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564484B2 (en) 2015-06-10 2020-02-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7060B1 (en) Display device
US20240004236A1 (en) Display apparatus
EP2447762B1 (en) Display apparatus
EP2447763B1 (en) Display device
KR1017101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3639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98060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20106121A1 (en) Display apparatus
KR2014005810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2092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247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235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3728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4391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918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3640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364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8433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3036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3036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363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2092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7032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9183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