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4186A - 한글 독음 입력에 의한 한자 제안어 목록 자동 생성 및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한글 독음 입력에 의한 한자 제안어 목록 자동 생성 및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4186A
KR20150084186A KR1020140003934A KR20140003934A KR20150084186A KR 20150084186 A KR20150084186 A KR 20150084186A KR 1020140003934 A KR1020140003934 A KR 1020140003934A KR 20140003934 A KR20140003934 A KR 20140003934A KR 20150084186 A KR20150084186 A KR 20150084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haracter
search
chinese character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욱
Original Assignee
이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욱 filed Critical 이강욱
Priority to KR1020140003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4186A/ko
Publication of KR20150084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3Processing of non-Latin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06F40/242Dictiona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에서 사용자 입력 편의 중심의 한자어 응용 소프트웨어를 설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인 한글 독음 입력을 통해 최적으로 예측되는 한자어 제안어 목록을 실시간으로 표시 및 복합 한자어 목록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입력 방법은 한자 입력시 조작 횟수를 줄여주는 입력 편의성 제공과 더불어 한자 사용 진입 장벽을 낮추어 한자의 사용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 설계 방식은 입력 편의성과 즉시성의 개선을 통해 사용자가 손쉽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사회적으로 시간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또한 산업에서의 응용을 통해 발전된 입력 편의성을 제공하여 한자의 사용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한글 독음 입력에 의한 한자 제안어 목록 자동 생성 및 입력 방법{Method for Hanja word suggestion list automatic generation and entry system by sounds of Korean letter entry}
본 발명은 한국어의 한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자의 독음에 기반하여 한글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시 예상어 목록(제안어/예측어)생성 기법 적용을 통해 한글에 의한 한자 입력 편의성을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TV(Smart TV), 콘솔 게임기(Video game console), 시계, 신발 및 안경 형태의 착용 가능한(웨어러블) 컴퓨터 등의 각종 정보 기기(이하 '기기')가 보급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기에서 의사소통 또는 기록을 위한 단문 또는 장문의 입력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의 경우는 대부분 한글의 입력이 주가 되고 다른 언어는 부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하나의 언어로 분류된 문자의 입력은 기기에 기본 탑재 혹은 추가 확장가능한 각종 기능을 통해 손쉽게 입력할 수 있으나, 한자 입력을 위한 기능은 기본 제공되지 않고 있어 입력이 용이하지 않다.
현대 한국 사회에서의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한자는 통상적인 중국어와는 다르며, 한국어의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어에서는 한자어가 한글과 혼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흔하고, 비록 한자어를 한글 독음 문자로만 표현하는 경우가 많더라도 실제로는 원류가 한자로 이루어진 단어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표현의 명확성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보다 편리하고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자 입력 방법이 요구된다. 민간 뿐만 아니라 교육 및 공공 기관의 서류 교환등의 공적인 교류가 개인 소유의 기기를 통해서도 이루어지는 현대 사회에서는 기기에서의 편리한 한자 입력 기능의 제공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한글 독음 입력을 통한 한자 제안어 목록 생성 및 입력 방법을 통해 한자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입력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종래의 한자 입력 방식은 전자적인 사전을 통해 한글을 한자로 변환한 후 임시 보관영역을 거쳐 목적지 소프트웨어로 전송하는 절차적 번거로움과 시간적 비효율성이 상존하고 있다. 그렇지 않더라도 독음에 해당하는 한글을 완전히 입력 완료한 후 변환하고자 하는 한글을 영역으로 지정 또는 선택하여 변환 조작해야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종래에 제공되는 한글 독음에 의한 한자 변환 체계는 한자 사전에 미리 n자 이상의 독음으로 이루어 진 한자어를 미리 포함 및 저장한 후 완전 일치 방식으로 검색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며, 이 방식은 저장할 수 있는 한자어 표현이 제안어 사전 크기에 따라 제한되고 또한 검색되는 표현 수도 미리 저장된 것으로만 제한되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結草報恩(결초보은-잊지 않고 은혜(恩惠)에 보답(報答)한다는 의미)라는 단어가 제안어 사전에 미리 들어가 있지 않다면r글 독음으로 '결초보은'을 입력하더라도 한자어가 검색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각 독음 '결', '초', '보', '은'에 해당하는 한자어를 개별 입력 및 변환 조작하여 일일히 입력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는 방법인 많은 상용 한자어구 및 고사성어를 제안어 사전에 미리 입력 해두는 구조는 저장소 공간의 대량 할당이 요구되어 기기 공간의 대량 소모 뿐만 아니라 유무선 환경에서 내려 받을 때 추가적인 시간 소모, 그리고 통신 자원 소모라는 문제가 수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다른 실시 예 따르면, 한글 독음 입력에 의한 한자 입력 소프트웨어 구현 방법으로서,
한글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인 연속된 문자를 입력받고, 입력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별도의 추가 조작 없이,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인 연속된 문자를 키로 하여 한자 제안어 사전에서 한자를 실시간으로 검색하는 사전 검색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인 결과를 하나의 집합으로 구성하여 목록화하는 목록 생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록화 된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고, 한글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인 연속된 문자가 연속적으로 입력 될 때마다 상기 사전 검색 단계 및 목록 생성 단계를 계속 반복하고, 사용자 조작 또는 환경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출력된 결과 목록 중 소정의 항목이 선택되고, 선택된 소정의 항목인 적어도 한 글자인 한자를 목적지 소프트웨어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과 사전 검색 단계는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인 연속된 문자 전체를 하나의 키로 하여 완전 일치법에 의해 동일한 독음을 검색 또는 소정의 규칙에 의하여 유사 독음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검색 방법과 목록 생성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인 결과에 소정의 규칙을 따르는 우선순위를 할당하고, 우선순위를 할당한 결과를 목록으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록 생성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된 한글 독음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인 한자의 목록을 표시해주므로 정확한 입력 대상 한자 문자를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나열된 한자 제안어 목록에서 음과 뜻, 그리고 한자의 형상을 종합적으로 인지 및 판단하여 목적했던 단어를 선택 입력함으로서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편의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국어의 일부분인 한자 입력이 남녀노소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해져 한자 입력을 일상적인 언어 생활권에 놓을 수 있어 한자 어휘력 향상이라는 교육적 효과 및 세대 간 언어 단절 간극 감소 및 의사 소통 효율 증대에 기여하는 사회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입력 소프트웨어의 일부 구성 요소만을 대상으로 개조 및 대체가 이루어지므로 기술자는 사용자 중심의 편의 기술 및 기능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종래의 기술과 구조를 활용할 수 있는 시간 효율적 및 편의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자 사전을 단일 독음으로만 구성된 사전 크기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연속된 적어도 둘 인 한글 독음으로 이루어진 한자어 또는 한자어 문장도 제안어로 생성할 수 있어 공간 효율적인 효과 및 유무선 환경에서 통신 자원 효율 증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자를 입력하는 단계가 간소화 되므로 시간 효율적인 효과와 더불어 사용 편의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입력 방법의 주요 구성 요소와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입력 방법의 제안어를 생성하는 동작을 도시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도 3e, 도 3f, 도 3g, 도 3h, 도 3i 및 도 3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와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 예의 흐름은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및 도 3e로 구성되며, 다른 실시 예의 흐름은 도 3a, 도 3b, 도 3c에서 도 3f로 연결되고 도 3g, 도 3h, 도 3i 및 도 3j로 이어진다. 설명의 편의와 도시의 명료함을 위해 실시 예의 설명에 필요한 글자만 표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다른 실시 예 및 서로 다른 두 가지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입력 방법", "입력 소프트웨어"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문자 언어로 조립 또는 변환하여 목적지 응용 프로그램으로 전달해주는 응용 프로그램 계층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 자판 형태로 이루어진 소프트웨어 자판은 입력 방법의 한 예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공간", "영역"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표시 장치와 그 내용이 담겨 표시되는 곳을 뜻한다. "공간"과 "영역" 은 현재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2차원으로 이루어진 평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구성되거나, 3차원 공간상에 출력하는 장치에 의해 구성되거나, 물리적인 접촉이 없이도 사용자가 직접 인식할 수 있도록 가상 공간에 출력하는 장치 등에 의해서도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명령", "조작"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사용자가 일 구성 요소를 활성화하여 다음 과정으로 이동 하는 의도된 행위 뿐만 아니라 직전까지의 과정을 완료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공간상에 배치된 조작 가능한 키를 사전에 약속된 대로 짧게 또는 길게 눌르거나,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에서 특정 영역을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소리 인식이 가능한 환경에서 사전에 약속된 소리를 통해 다음 과정으로 이동하거나, 동작 인식이 가능한 환경에서 사전에 약속된 행위에 의해 다음 과정으로 이동하는 것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표시", "출력"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 요소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형태로 공간상에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선택"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출력된 일 구성 요소를 조작하여 입력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환경", "시스템", "체계"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입력 소프트웨어를 둘러싸고 구동되어 본 발명의 구동 및 중단에 영향을 주거나 명령 전달을 중계하는 외부의 환경을 의미한다. 운영체제가 있는 기기의 경우 운영체제 그 자체가 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운영체제 하부에서 동작하는 입력 소프트웨어 제어 및 관리 소프트웨어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따르는 입력 방법의 구성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입력 방법을 도시한 구성도 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입력 방법은 입력 방법(110)은 입력부(101), 출력부(102)의 환경을 포함한 기기(100)내에 설치되어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의 입력을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 목적지 소프트웨어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기(100)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시계, 신발 및 안경 형태의 착용 가능한(웨어러블) 컴퓨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입력 소프트웨어(110)가 탑재될 수 있는 기기(100)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문자의 입력을 위한 입력 방법(110)을 설치할 수 있는 기기(100)라면 모두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입력부(101)와 출력부(102)가 따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터치스크린(Touch Screen)과 같이 입력과 표시 기능이 하나의 장치에서 수행 가능하면 입력부(101)와 출력부(102)가 하나의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01)가 물리적으로 기기(100)와 별개의 장치로 분리되어, 예를 들어 안경 형태의 착용 가능한 본체와 무선 키보드 장치가 블루투스 등의 무선 전송을 통해 기기(100) 본체로 정보를 전송되어 본 발명을 따르는 입력 소프트웨어(110)에 사용자의 입력이 최종 전달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입력 방법(110)은 사전 검색부(111)와 목록 생성부(11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전 검색부(111)는 사용자가 입력부(101)을 통해 입력한 한자 독음을 키로서 저장부(103)에 저장된 한자 사전(120)으로부터 해당 한자 또는 한자와 뜻을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한글 '특'을 입력하면 독음이 '특'인 한자를 사전에서 검색하여 '特:우뚝할 특, 숫소 특, 뛰어날 특', '慝:간악할 특, 간사할 특' 등의 내용을 가져올 수 있다. 목록 생성부(113)는 사전 검색부(111)에서 검색된 내용을 집합으로서 기기에서 표시가능한 형태로 구성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기기의 화면 공간의 특성에 따라 화면 하단에 나열하는 형태로 표시하거나, 화면 중앙에 목록이 펼쳐지는 형태 또는 홀로그램으로 표시 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입력 방법을 도시한 구성도 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입력 방법은 도 1a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입력 방법이 설치 및 구동되는 기기(100)와 동일한 조건을 갖추는 기기(100)에 설치되어 구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 방법(110)은 사전 검색부(111)과 목록 생성부(113)와 더불어 출력 조합부(1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전 검색부(111)와 목록 생성부(113)의 기능은 일 실시 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출력 조합부(112)는 입력부(101)를 통해 연속하여 입력된 적어도 하나인 독음에 해당하는 각 독음의 검색 결과를 소정의 규칙에 따라 분석 및 결합하여 단어를 이루는 한자어의 목록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한 글자의 독음을 입력한 경우는 상기 일 실시 예와 차이없는 동작을 수행하지만, '가정' 이라는 단어를 입력한 경우 사전 검색부(111)는 각 독음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고, 출력 조합부(112)에서는 검색된 각 독음에 대한 결과를 조합하여, '家庭'(가정-가까운 혈연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생활 공동체를 의미하는 한자어)과 '假定'(가정-사실이 아니거나 또는 사실인지 아닌지 분명하지 않은 것을 임시로 인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한자어)등을 조합해내어 목록 생성부(113)로 넘겨준다. 출력 조합부(112)의 조합 규칙은 환경의 제약 또는 구현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학에서 경우의 수를 구하는 방식에 의하여 '가'와 '정' 각 독음에 해당하는 검색 결과의 각 항목을 상호간 1 대 다로 전수 결합하는 방식 또는 소정의 규칙에 의하여 각 개별 검색 결과를 인공지능 방식을 적용하여 결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제안어 사전을 반드시 단일 독음으로만 구성하지 않더라도 제안 및 변환의 정확성을 위해서는 종래와 같이 상용 한자어구를 미리 제안어 사전에 넣어두고 검색결과를 혼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다른 실시 예의 필요성은 한자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고사성어등의 상용구는 역사적인 배경이 깃들어있어 자주 사용된다는 특징이 있을 뿐이며 원론적으로는 한자를 연속하여 연결하는 것 만으로도 의미를 가지는 어구를 표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을 따르는 입력 방법의 처리 과정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입력 방법(110)이 한글로 입력된 독음을 한자 제안어로의 검색, 출력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목적지 소프트웨어로의 전달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상세 흐름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도 1a의 입력 방법(110)이 사용자에 의한 한 글자의 한글 독음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201)로 시작된다. 도 1a의 입력부(101)를 통해 입력된 한글은 도 1a의 사전 검색부(111)에 전달되고, 사전 검색부(111)은 도 1a의 저장부(102)를 통해 검색을 수행(202, 203)한다. 사전 검색부(111)은 검색된 결과를 목록 생성부(113)으로 전달(204)하여 기기의 출력 공간에 맞는 소정의 목록화된 형식으로 구성하고, 도 1a의 출력부(102)를 통해 화면에 출력(220)한다. 화면에 목록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한 항목이 선택 될 때 까지 선택을 기다린다(221-NO). 사용자가 출력된 목록에서 하나의 한자 제안어 항목을 선택(221-YES)하면, 선택된 한자를 문자 입력을 기다리고 있는 목적지 소프트웨어에 전달하고 입력 작업을 완료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입력 방법(110)이 한글로 입력된 독음을 한자 제안어로의 검색, 출력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목적지 소프트웨어로의 전달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상세 흐름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도 1b의 입력 방법(110)이 사용자에 의한 적어도 하나인 한글 독음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201)로 시작된다. 도 1b의 입력부(101)를 통해 입력된 한글은 도 1b의 사전 검색부(111)에 전달되고, 사전 검색부(111)은 도 1b의 저장부(102)를 통해 검색을 수행(202, 203)한다. 사전 검색부(111)은 검색된 결과를 도 1b의 출력 조합부(112)로 전달하여 검색된 결과를 분석 및 결합 또는 조합하여 새로운 결과로 생성하는 과정(210)을 거친다. 출력 조합부(112)는 최종 생성한 결과를 목록 생성부(113)으로 전달(204)하여 기기의 출력 공간에 맞는 소정의 목록화된 형식으로 구성하고, 도 1b의 출력부(102)를 통해 화면에 출력(220)한다. 화면에 목록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한 항목이 선택 될 때 까지 선택을 기다린다(221-NO). 사용자가 출력된 목록에서 하나의 한자 제안어 항목을 선택(221-YES)하면, 선택된 한자를 문자 입력을 기다리고 있는 목적지 소프트웨어에 전달하고 입력 작업을 완료한다.
본 발명을 따르는 입력 방법의 사용예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도 3e, 도 3f, 도 3g, 도 3h, 도 3i 및 도 3j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목적 문자열인 '가'를 입력하는 동작과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가정' 을 입력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입력 방법이 기기(100)의 문자 입력 영역(300)에 도 1a 및 도 1b의 입력 방법(110)이 구동되어 입력 대기중인 상태를 도시한다. 제안어 표시 영역(301)은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최종 결과를 표시하는 영역으로 여기서는 한 항목을 선별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제안어 표시 영역(301)은 구현에 따라 한 항목만 표시하거나 여러 항목을 동시에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숨겨진 내용을 목록의 형태로 표시하는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한글 독음 '가'를 입력하기 위해 입력 방법의 'ㄱ'글쇠를 조작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제안어 표시 영역(301)의 변화는 없으며, 구현에 따라 현재 입력된 한글 문자 'ㄱ'만으로는 제안어 사전에서 검색 결과가 없기 때문이거나, 성능 최적화를 위해 정상적인 한글로의 조합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는 제안어 검색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 경우 일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구현에 따라 목차상 현재 입력된 한글 문자와 같은 위치로부터 그 이후에 해당하는 문자를 임시로 표시해줄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모음 'ㅏ'에 해당하는 글쇠를 조작하여 한글 문자 '가'를 완성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에서 도 2a의 사용자 입력 감지 단계(201)가 수행되며, 이와 동시에 실시간으로 입력된 문자를 키로 취급하여 도 1a의 사전 검색부(111)을 통해 도 2a의 제안어 사전 검색 단계를 수행(203, 204)하고, 이 결과를 도 1a의 목록 생성부(113)을 통해 도 2a의 기기에 적합한 목록의 형태로 구성하고 제안어 표시 영역(301)에 한글 독음 가에 해당하는 한자 목록이 나열 및 표시한다(220). 제안어 표시 영역(301)에 표시된 항목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어, 사용자의 선택을 기다린다. 도 3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나열된 제안어 중 하나를 선택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사용자의 선택은 도 1a의 입력 방법(110)에 의해 도 2a의 항목 선택 단계(221)에서 감지하여, 선택 항목 한자를 목적지 소프트웨어로 전달 하고(222), 목적지 소프트웨어의 입력창은 이 값을 최종적으로 화면에 표시한다. 도 3e는 상기의 과정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입력 방법이 기기(100)의 문자 입력 영역(300)에 두 번째 한글 독음 '정'을 입력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해당하는 흐름도의 순서는 도 3a, 도 3b, 도 3c에서 도 3f로 연결되고 더불어 도 3g, 도 3h, 도 3i 및 도 3j가 이어지는 순서이다. 도 3g를 참조하면, 모음 'ㅓ'글쇠를 눌러 글자를 연속적으로 입력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때 제안어 표시 영역(301)은 현재 까지 입력된 두 한글 독음을 도 2b의 한글 입력 감지 단계(201)을 통해 인식하고 인식한 독음을 도 1b의 사전 검색부(111)를 통해 도 2b의 결과를 검색 단계를 구행(203, 204)하여 제안어를 가져온다. 가져온 검색 결과는 제안어 사전에 미리 저장된 '가정' 이라는 완성된 형태의 적어도 둘인 한자로 이루어진 한자어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b의 출력 조합부(112)는 입력된 독음 '가정'으로 이룰 수 있는 한자어 표현을 도 2b의 출력 결과 조합 및 분석 단계(210)를 통해 각 독음별 결과를 분석 및 상호 조합하여 자동 생성한다. 제안어 사전을 단일 독음으로만 이루어진 단일 한자로 구성된 경우 및 다양한 한자 표현을 제안할 때 유용하다. 제안어 표시 영역(301)에 표시되는 내용의 구성은 목록 생성부(113)의 구현에 따라 도 3g와 같이 한자어만 표시하거나, 결합된 한자어의 개별 한자 뜻을 함께 표시해줄 수 있다. 새롭게 조합되어 생성된 결과는 도 1b의 목록 생성부(113)을 통해 목록화 되어 제안어 표시 영역(301)에 표시되고 사용자의 선택을 기다린다. 도 3h를 참조하면, 최종 목적 어구인 '가정'의 입력을 완료하기 위해 'ㅇ' 글쇠를 입력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상술한 '가저'를 입력했을 때 수행된 과정과 동일하게 제안어 사전에서 '가정'에 해당하는 한자어 결과를 가져(도 2b의 203, 204)오고 결과를 분석 및 조합하는 과정을 거쳐(도 2b의 210) 사용자에게 '가정'에 해당하는 제안어를 표시한다. 도 3i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안어 목록에서 한 항목을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사용자가 한 항목을 선택하면 입력 방법(110)은 도 2b의 사용자 선택 감지 단계(221)를 통해 선택된 한자 제안어를 도 2b의 목적지 소프트웨어로 전달하는 과정(222)을 수행한다. 도 3j는 사용자가 선택한 한자어가 목적지 소프트웨어에 전달되어 표시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따르는 실시 예의 조작 과정은 최종적으로 한자어를 입력하는 과정에 있어서 내부적으로 여러 단계 및 기능을 통한 복합 동작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관점에서는 복잡한 과정이 은닉되는 편의적인 장점이 있다. 사용자로 부터 한글 독음을 입력 받는 동시에 실시간으로 제안어 사전 검색과 그 표현의 출력이 이루어지므로 한글 독음 입력과 한자어로의 변환 과정이 통상적인 한글 입력 과정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사용자 경험 관점에서 편리함을 제공한다. 또한 기술자들은 본 발명을 따르는 한자어 입력 방법을 설계하고 구현하는데 있어서 신규 기술의 학습 또는 발굴 없이도 종래의 기술에 기반하여 충분히 더 나은 사용자 편의 중심 기술을 개발 할 수 있는 시간적 및 개발 편의적인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입력 소프트웨어에서의 한자 입력 방법으로서,
    소정의 한자 기반 사전을 포함하고, 적어도 한 글자인 검색 문자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검색 문자 뭉치를 한 글자씩 증가시켜가며 소정의 규칙에 따라 사전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 결과가 있는 경우 결과를 임시 저장한 후 다시 검색 문자 뭉치를 한글자 증가하여 상기 사전 검색을 다시 수행하고, 더 이상 사전 검색 결과가 없으면 직전 검색 문자 뭉치의 결과를 저장하고, 입력 문자열이 끝나거나 더이상 검색 결과가 없는 문자 조합이 나타날 때 까지 상기 사전 검색 단계 및 결과 저장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최장 길이 검색 단어 뭉치 및 결과를 계속 구분 및 저장해 나가고, 상기 저장된 결과를 소정의 규칙에 따라 조합하여 결과 집합을 구성 및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안어 생성 방법.
KR1020140003934A 2014-01-13 2014-01-13 한글 독음 입력에 의한 한자 제안어 목록 자동 생성 및 입력 방법 KR20150084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934A KR20150084186A (ko) 2014-01-13 2014-01-13 한글 독음 입력에 의한 한자 제안어 목록 자동 생성 및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934A KR20150084186A (ko) 2014-01-13 2014-01-13 한글 독음 입력에 의한 한자 제안어 목록 자동 생성 및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186A true KR20150084186A (ko) 2015-07-22

Family

ID=53874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934A KR20150084186A (ko) 2014-01-13 2014-01-13 한글 독음 입력에 의한 한자 제안어 목록 자동 생성 및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41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9728A (zh) * 2020-04-30 2021-03-26 北京师范大学 五大属性整合汉字展示方法、系统、装置及可读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9728A (zh) * 2020-04-30 2021-03-26 北京师范大学 五大属性整合汉字展示方法、系统、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2559728B (zh) * 2020-04-30 2023-11-03 北京师范大学 五大属性整合汉字展示方法、系统、装置及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1358B1 (ko) 사용자의 다음 문자열 입력을 예측하는 글자 입력 시스템및 그 글자 입력 방법
US20090222257A1 (en) Speech translation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16218995A (ja) 機械翻訳方法、機械翻訳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953979B1 (ko) 수화 학습 시스템
KR101626109B1 (ko) 통역 장치 및 방법
WO2013077527A1 (ko) 캐릭터의 다국어 발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949353B1 (ko) 언어 장애인용 대화 보조 장치
JP2011076384A (ja) 情報出力装置及び情報出力プログラム
KR20170009486A (ko) 청크 기반 언어 학습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
KR102009150B1 (ko) 수화 또는 지화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2389153B1 (ko) 음성 반응형 전자책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10073856A (ko) 휴대용 수화 번역기 및 수화 번역 방법
WO2010087301A1 (ja) 手話キーボー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手話検索装置
Wiegand et al. SymbolPath: a continuous motion overlay module for icon-based assistive communication
KR20150084186A (ko) 한글 독음 입력에 의한 한자 제안어 목록 자동 생성 및 입력 방법
WO2008096934A1 (en) Prediction-based word inputting method
CN110383271A (zh) 具有示例生成器的数据输入系统
KR20130128172A (ko) 장애인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문자생성방법
KR20190057493A (ko)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KR101645674B1 (ko) 자동완성 후보 단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80130743A (ko) 단어 연상 암기 방법 및 시스템
KR101447388B1 (ko) 로마자 표기법을 따르는 한글 입력 방법에서의 제안어 자동 생성 방법
JP6227133B2 (ja) 記号イメージ検索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記号イメージ検索用サーバ
EP4250285A1 (en) Speech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112059B1 (ko) 청음 기반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 형성 방법, 청음 기반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 표시 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