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475A -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475A
KR20150083475A KR1020140002834A KR20140002834A KR20150083475A KR 20150083475 A KR20150083475 A KR 20150083475A KR 1020140002834 A KR1020140002834 A KR 1020140002834A KR 20140002834 A KR20140002834 A KR 20140002834A KR 20150083475 A KR20150083475 A KR 20150083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resource
media
editing
media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수
김재은
유병국
성혁화
Original Assignee
이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수 filed Critical 이용수
Priority to KR1020140002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3475A/ko
Priority to PCT/KR2014/000313 priority patent/WO2015105215A1/ko
Publication of KR20150083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4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미디어 데이터를 객체화하여 관리 가능한 리소스(resource)로 생성하는 단계, 터치입력을 수신받고, 생성된 리소스에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편집 명령인 터치명령을 실행하여 리소스를 편집하는 단계, 리소스 및 터치명령이 관련된 리소스를 제외한 미디어 데이터의 전체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어하는 단계, 생성된 리소스 중 디코딩이 필요한 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리소스, 터치명령이 관련된 리소스 및 디코딩된 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취합하여 렌더링하는 단계 및 렌더링된 미디어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방법 및 장치{Media editing method and device using the touch input}
본 발명은 미디어 편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동영상, 플래시 등의 미디어를 편집하는 미디어 편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동영상 편집 소프트웨어는 PC를 기반으로 한 고가의 소프트웨어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에 간단한 동영상을 편집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고가의 소프트웨어를 구입할 수 밖에 없으며, 이는 사회적으로 볼 때 막대한 비용을 낭비하는 효과를 초래한다.
최근 들어,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기반으로 이미지, 동영상을 공유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단순한 조작을 통해 간단하게 동영상을 편집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동영상 편집 방법은 편집 화면과 편집의 결과물이 표현되는 화면이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편집 결과를 편집 화면에서 바로 확인하기 힘든 구조이다. 한편 종래의 방법은 동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해서, 객체, 객체의 위치, 각도, 투명도, 시간 등을 별도로 설정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따라서, 실제 객체의 움직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설정 후에 동영상을 재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부분의 동영상 편집 소프트웨어는 시간을 막대기(time bar) 형태로 표현하고, 막대기 위에 나타나는 구간을 조정하여 동영상, 이미지, 음악 애니메이션 효과 등의 요소들을 삽입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05-0041641은 동영상 편집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캠코더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 10-0768048은 동영상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동영상을 여러 사용자들이 공동으로 편집하거나, 어느 한 사용자가 편집한 동영상을 다른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추가하여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미디어 재생 중 터치입력을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편집을 하는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미디어 편집과 동시에 편집 데이터를 메모리 저장하고, 편집된 내용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방법은, 미디어 데이터를 객체화하여 관리 가능한 리소스(resource)로 생성하는 단계, 터치입력을 수신받고, 상기 생성된 리소스에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편집 명령인 터치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리소스를 편집하는 단계, 상기 리소스 및 상기 터치명령이 관련된 리소스를 제외한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전체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리소스 중 디코딩이 필요한 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리소스, 상기 터치명령이 관련된 리소스 및 상기 디코딩된 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취합하여 렌더링하는 단계 및 상기 렌더링된 미디어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미디어 데이터에 적용될 효과를 객체화하여 관리 가능한 리소스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편집하는 단계는, 위치, 크기 및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표현하는데 이용되는 변환(transform) 데이터,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리소스 편집에 이용되는 속성 및 상기 미디어 자체에 대한 정보를 관리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입력을 터치필름, 터치시트, 터치패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터치센서로부터 특정부위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감지한다.
상기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입력의 패턴과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터치명령의 패턴이 일치하면 상기 터치명령에 해당하는 명령 실행 및 상기 명령에 대한 편집이 동시에 동작한다.
상기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데이터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리소스의 편집과 렌더링을 동시에 하며, 상기 편집된 리소스의 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상기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된 리소스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메모리에 저장 및 디스플레이한다.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장치는, 미디어 데이터를 객체화하여 관리 가능한 리소스(resource)로 생성하는 객체관리 모듈, 터치입력을 수신받고 상기 생성된 리소스에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편집 명령인 터치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리소스를 편집하는 터치모듈, 상기 리소스 및 상기 터치명령이 관련된 리소스를 제외한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전체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어하는 미디어 제어 모듈, 상기 생성된 리소스 중 디코딩이 필요한 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미디어 디코딩 모듈, 상기 리소스, 상기 터치명령이 관련된 리소스 및 상기 디코딩된 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두 개 이상 취합하여 렌더링하는 랜더링 모듈 및 상기 렌더링된 미디어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미디어 인코딩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객체관리 모듈은, 상기 미디어 데이터에 적용될 효과를 객체화하여 관리 가능한 리소스로 생성한다.
상기 객체관리 모듈은, 위치, 크기 및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표현하는데 이용되는 변환(transform) 데이터,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리소스 편집에 이용되는 속성 및 상기 미디어 자체에 대한 정보를 관리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터치모듈은, 상기 터치입력을 터치필름, 터치시트, 터치패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터치센서로부터 특정부위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감지한다.
상기 터치모듈은, 상기 터치입력의 패턴과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터치명령의 패턴이 일치하면 상기 터치명령에 해당하는 명령 실행 및 상기 명령에 대한 편집이 동시에 동작한다.
상기 터치모듈은, 상기 미디어 데이터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리소스의 편집과 렌더링을 동시에 하며, 상기 편집된 리소스의 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상기 터치모듈은, 상기 편집된 리소스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메모리에 저장 및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동영상 재생 중 터치입력을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편집을 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편집과 동시에 편집된 동영상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메모리에 저장하고, 편집된 내용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미디어 편집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을 이용한 실시간 미디어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애니메이션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화면을 확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을 정지한 후 화면의 속성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수 있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 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제어부(170), 인터페이스부(180), 전원 공급부(190) 및 미디어 편집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단말기(100)와 이동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동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와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단말기의 방위, 이동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센싱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8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음향 출력, 알람, 햅틱 및 프로젝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는, 이동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7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터치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실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이동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170)는 터치에 대한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80)는, 이동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8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미디어를 편집한다.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터치입력에 따라 미디어를 편집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이동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특히,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미디어 편집 장치(200)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미디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편집할 수 있다.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미디어 데이터의 편집과 동시에 편집된 미디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데이터는 이미지, 동영상, 플래시 파일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객체관리 모듈(210), 터치모듈(220), 미디어 제어 모듈(230), 미디어 디코딩 모듈(240), 렌더링 모듈(250) 및 미디어 인코딩 모듈(260)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관리 모듈(210)은 메모리(160)에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 및 미디어 데이터에 적용될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객체화하여 리소스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리소스는 미디어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미디어 데이터 편집에 사용될 효과들을 선택하고 이에 편집 관련 데이터를 추가하여 편집 및 관리를 가능하게 만든 것이다. 객체관리 모듈(210)은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를 하나의 화면에 다중 레이어 형태로 관리할 수 있다. 객체관리 모듈(210)은 상기 다중 레이어 형태의 미디어 데이터를 객체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편집 및 관리가 가능한 복수의 리소스로 생성할 수 있다. 객체관리 모듈(210)은 복수의 리소스 중에서 특정 리소스를 지정할 수 있다. 상기 효과는 필터 효과, 애니메이션 효과 및 크기변환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객체관리 모듈(210)은 편집된 리소스 관리, 변환 가능한 리소스 자체에 대한 정보 및 편집에 사용될 추가 데이터를 하나로 묶는다. 또한 객체관리 모듈(210)은 편집된 리소스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특히, 객체관리 모듈(210)은 미디어 편집으로 인해 객체의 정보가 변경되면 그 변경된 정보를 적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객체관리 모듈(210)은 동영상 및 필터를 객체화하여 생성된 리소스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은 비디오 자체에 대한 정보로써, 파일 경로, 코덱, 화질, 및 재생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은 편집에서 이용될 추가 데이터로 출력위치, 추출시간, 변환크기, 변환각도 및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관리 모듈(210)은 필터 자체에 대한 정보인 가우시안 블러 필터, 노이즈 필터 등을 객체화하여 필터에 대한 리소스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객체관리 모듈(210)은 추가 편집 데이터로 적용될 위치, 적용될 시간 등도 리소스로 생성할 수 있다. 객체관리 모듈(210)은 변환(transform)에 이용될 매트릭스(matrix) 및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리소스(resource) 편집에 이용될 속성들을 관리 가능한 리소스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매트릭스는 위치(position), 크기(scale) 및 회전(rotation)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속성들을 메타 데이터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메타 데이터는 원본 미디어 데이터를 변환 또는 편집하는데 이용되는 효과에 대한 속성의 데이터이다.
객체관리 모듈(210)은 터치모듈(220), 미디어 제어 모듈(230) 및 렌더링 모듈(250)에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터치모듈(220)은 미디어 데이터의 편집에 사용되는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터치모듈(220)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센서')와 연결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필름, 터치시트, 터치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터치모듈(220)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터치모듈(220)은 인식된 터치를 메모리(160)에 저장된 터치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터치패턴을 검색할 수 있다. 터치모듈(220)은 상기 검색으로 동일하게 터치패턴에 대응되는 제어할 수 있다. 즉, 터치모듈(220)은 사용자 입력에 대한 터치를 인식한 후 그에 대응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턴은 멀티터치(multitouch), 핀치 투 줌(pinch to zoom), 이동(drag), 클릭(click) 및 지그재그(zigzag)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턴은 규칙적일 수 도 있고, 불규칙적일 수도 있다.
터치모듈(220)은 메모리(160)에 저장되지 않은 터치패턴에 대해서도 직관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메모리(160)에 저장되지 않은 터치패턴이 입력되는 경우, 터치모듈(220)은 입력되는 터치입력에 따라 직접적으로 편집할 수 있다.
터치모듈(220)은 메모리(160)에 저장된 터치패턴만을 인식하거나 저장되지 않은 터치패턴도 인식하는 것을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턴에 대한 명령(이하 '터치명령')은 각각의 리소스 편집에 관한 명령이다. 터치모듈(220)은 상기 터치명령에 해당하는 명령을 실행과 동시에 상기 리소스를 편집할 수 있다. 즉, 터치명령을 실행하는 화면은 상기 리소스가 편집되는 화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동영상이 재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터치모듈(220)은 각각의 리소스들의 한 화면에서의 속성 변경에 적용된다. 동영상이 재생 중인 경우에는, 터치모듈(220)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직관적으로 리소스들을 변화시켜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속도는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특히, 터치모듈(220)은 동영상 리소스뿐만 아니라 효과 리소스들의 출력위치를 임의로 지정하고, 변환각도를 변환할 수 있다. 터치모듈(220)은 상기 수정된 사항을 적용하여 편집 또는 인코딩에 적용한다. 또한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편집할 경우, 시간에 흐름에 따라 리소스의 변화를 편집할 수 있고, 그 예로 시간에 흐름에 따라 각도를 부드럽게 회전시키는 등의 편집도 할 수 있다.
터치센서에 대한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모듈(220)로 보내진다. 터치모듈(220)은 상기 신호(들)에 의해 리소스들이 편집된 데이터를 객체관리 모듈(210) 및 미디어 제어 모듈(230)로 전송한다.
미디어 제어 모듈(230)은 미디어 편집상황에서 각각의 리소스들이 아닌 편집되는 전체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워크는 현재 편집하고 있는 전체 편집공간을 의미한다. 즉, 상기 프레임워크는 미디어 제어 모듈(230)에 의해 재생/멈춤, 재생 시간의 변경, 역재생, 결과 미디어의 총 시간 변경이 될 수 있다.
미디어 제어 모듈(230)은 미디어 디코딩 모듈(240) 및 렌더링 모듈(250)에 전체 프레임워크를 제어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디코딩 모듈(240)은 이미지, 동영상,플래시 파일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를 파일에서 추출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미디어 파일은 미디어에 대한 정보, 즉 메타 데이터(재생시간, 화질, FPS, 코덱) 및 메타 데이터가 지시하는 실제 미디어의 로우 데이터가 압축되어 포함된다. 특히, 미디어 파일에서 실제 미디어를 추출한다는 것은 메타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진수로 압축되어 있는 데이터를 실제 가시적으로 변환시키는 것이고, 이는 공개되어 있는 복수의 라이브러리들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미디어 디코딩 모듈(240)은 출력에 있어서 프레임 변경시 필요한 부분만을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 디코딩 모듈(240)은 메모리(160)의 가용 효율성 및 객체화 시간의 회전 지연(latency)을 줄일 수 있다.
미디어 디코딩 모듈(240)은 편집의 실시간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재생 fps(frames per second)를 최소 24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고화질의 미디어일 경우, 미디어 디코딩 모듈(240)은 작업량이 많아 재생 fps가 최소 24인 것을 보장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미디어 하드웨어 가속을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하드웨어 가속은 안드로이드(Android)에서 OpenMax를 통한 하드웨어 디코딩 기법이 대표적이다. 상기 미디어 하드웨어 가속은 임베디드(emdbeded)와 같은 스펙이 낮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가진 디바이스에서 효과적으로 미디어를 처리하기 위해 상기 CPU가 아닌 GPU(Graph Processing Unit), 하드웨어 디코딩 칩과 같은 하드웨어로 대신 미디어를 처리하여 전체적인 성능(performance)을 증가 및 배터리 효율성을 증대해주는 기술이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CPU는 미디어 편집 장치(200)의 모든 처리를 담당한다. 따라서, CPU의 자원을 과용하면 다른 작업이 느려지게 된다. 예를 들면, 비디오 디코딩과 같은 고비용 작업에 CPU의 처리능력을 전체 소비하면, UI에 대한 처리능력이 떨어져 사용자 경험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CPU는 범용적인 처리를 하기 때문에 비디오 디코딩에만 특화된 칩에 비해 비효율적인 처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 디코딩 및 그래픽 처리에 특화된 별도의 칩들이 제공된다. 상기 칩들에게 CPU의 작업량을 넘김으로써, CPU의 부담이 줄어들고, 특화된 하드웨어칩을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즉, CPU는 처리 요청만을 하고 다른 작업으로 넘어가며, 비디오 디코딩에 특화된 칩에서 처리한다. 상기 처리된 결과는 CPU에 반환되며 CPU는 상기 결과를 기초로 다음 작업을 진행한다.
렌더링 모듈(250)은 미디어 제어 모듈(230)에서 명령한 어느 한 시점에 존재해야 할 리소스들을 객체관리 모듈(210)에서 제공받은 속성에 맞게 변환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렌더링 모듈(250)은 리소스들을 실시간으로 변환 및 출력하여 사용자가 미디어 편집을 하며 편집된 결과를 볼 수 있다. 렌더링 모듈(250)은 편집되는 리소스들을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발생 가능한 성능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PU 하드웨어의 가속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렌더링 모듈(250)은 편집되는 리소스들을 실시간으로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렌더링 모듈(250)은 객체관리 모듈(210)에서 리소스들, 변경된 속성들 및 미디어 디코딩 모듈(240)에서 결과영상에 대한 속성들을 취합하여 하나의 렌더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렌터링 모듈(250)은 상기 렌더링 데이터를 미디어 인코딩 모델(260)에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인코딩 모듈(260)은 렌더링 모듈(250)에서 제공된 렌더링 데이터를 실제 동영상으로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미디어 인코딩 모듈(260)은 객체관리 모듈(210), 터치모듈(220), 미디어 제어 모듈(230), 미디어 디코딩 모듈(240) 및 렌더링 모듈(250)에서 디코딩된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을 이용한 실시간 동영상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미디어를 실시간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편집할 수 있다.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미디어 편집과 동시에 편집된 미디어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예를 들어, 전술한 미디어 편집 장치(200)가 탑재된 이동 단말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먼저 미디어 데이터를 불러온다(S100). 객체관리 모듈(210)은 메모리(160)에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 상기 미디어 데이터는 앱에서 관리하는 것이 아닌 미디어 자체를 표현한다. 즉, 상기 미디어 데이터는 영상(정지영상, 동영상 포함), 플래시 파일, 오디오, 텍스트,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객체화한다(S110). 객체관리 모듈(210)은 메모리(160)에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 및 미디어 데이터에 적용될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객체화하여 관리 가능한 리소스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리소스는 미디어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미디어 데이터 편집에 사용될 효과들을 선택하고, 이에 편집관련 데이터를 추가하여 편집, 관리 가능하게 한 것이다. 상기 효과는 필터 효과, 애니메이션 효과 및 크기변환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음으로, 터치제어를 수행한다(S120). 터치모듈(220)은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입력을 인식하고, 이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명령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입력이 확대를 위한 핀 투 줌인 경우 화면이 확대될 수 있다. 터치모듈(220)은 터치명령을 실행함과 동시에 상기 리소스를 편집할 수 있다. 즉, 터치명령이 실행되는 화면은 상기 리소스가 편집되는 화면일 수 있다. 터치명령 실행과 편집이 동시에 구동되고, 상기 편집된 화면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시간 구간에 재생하는 동안 핀치 투 줌을 통해 어느 이미지를 확대 편집하는 경우, 터치모듈(220)은 상기 이미지를 해당시간 동안의 크기변환 애니메이션을 적용할 수 있다.
제2 시간 구간에 재생하는 동안 어느 동영상을 터치하여 드래그할 경우, 터치모듈(220)은 상기 동영상을 해당시간 동안의 크기변환 애니메이션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모듈(220)은 상기 두 예를 멀티터치로 동시에 적용할 수 있다.
제3 시간 구간에 재생하는 동안 어느 텍스트를 터치로 선택하여 색을 변경시킬 경우, 터치모듈(220)은 상기 텍스트를 색 변환 애니메이션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미디어 제어 모듈(230)는 미디어 제어를 한다(S130). 미디어 제어 모듈(230)는 미디어 편집상황에서 각각의 리소스들이 아닌 편집되는 전체 프레임워크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미디어 제어 모듈(230)는 재생/멈춤, 재생 시간의 변경, 역재생, 결과 미디어의 총 시간 변경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미디어 디코딩 모듈(240)은 미디어 디코딩을 한다(S140). 미디어 디코딩 모듈(240)은 동영상 또는 오디오와 같은 미디어를 파일에서 추출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미디어 디코딩 모듈(240)은 출력에 있어서 프레임 변경 시 필요한 부분만을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 디코딩 모듈(240)은 메모리(160)의 가용 효율성 및 객체화 시간의 회전 지연을 줄일 수 있다.
미디어 디코딩 모듈(240)은 파일에서 각 프레임들을 모두 디코딩하여 실제 이용 가능한 프레임들을 메모리에 올려두고 필요할 경우 이에 접근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미디어 디코딩 모듈(240)은 상기 방법을 이용하면, 편집할 경우 접근속도가 매우 빨라질 수 있다.
또한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파일에서 각 프레임들을 모두 디코딩하여 실제 이용 가능한 프레임들을 메모리에 올려두는 과정을 생략하고, 필요한 부분만을 실시간으로 추출함으로써 그 시점에 필요한 만큼의 메모리를 사용하고, 초기 로딩시간을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렌더링 모듈(250)은 렌더링을 한다(S150). 렌더링 모듈(250)은 명령한 어느 한 시점에 존재해야 할 리소스들을 속성에 맞게 변환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렌더링 모듈(250)은 터치모듈(220)에서 메모리(160)에 저장한 편집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 상기 편집 데이터는 미디어 데이터의 리소스, 터치명령에 관련된 리소스 및 디코딩된 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더링 모듈(250)은 상기 편집 데이터 중 적어도 두 개 이상 취합하여 렌더링을 할 수 있다. 렌더링 모듈(250)은 편집되는 리소스들을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발생 가능한 성능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PU 하드웨어의 가속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미디어 인코딩 모듈(260)은 미디어 인코딩을 한다(S160). 미디어 인코딩 모듈(260)은 렌더링 데이터를 실제 동영상으로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미디어 인코딩 모듈(260)은 편집된 미디어 데이터를 인코딩을 하여 범용 디바이스에서도 출력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터치입력을 이용한 실시간 동영상 편집 방법의 순서는 상기 개시된 순서에 맞게 순차적이지 않을 수 있고, 유동적으로 변동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애니메이션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애니메이션을 삽입할 수 있다.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터치입력을 수신받고, 수신받은 터치입력에 해당하는 터치명령을 실행하여 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터치입력에 의해 메뉴(410)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터치입력은 클릭일 수 있다.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메모리(160)에 저장된 터치패턴과 일치하는 패턴이 있는지 검색할 수 있다. 만약 미디어 편집 장치(200)이 터치입력과 터치패턴이 일치하는 패턴이 있다면,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해당하는 패턴이 지시하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메뉴(410)가 선택되면, 교통수단 팝업창(pop-up)(43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교통수단 팝업창(430)은 비행기, 자동차, 선박 중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터치입력에 의해 자동차가 선택될 수 있다.
터치입력에 의해 자동차가 선택되면,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자동차(440)에 해당하는 애니메이션이 생성되고, 터치를 릴리즈한 후, 다시 터치 입력이 수신된 지점에 자동차(440)를 삽입할 수 있다.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동영상이 재생되는 도중에 자동차(440)가 이동하는 애니메이션을 실시간으로 편집할 수 있다.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편집이 가능하다. 또한 미디어 편집 장치(200)은 시간의 흐름을 보여주는 재생시점막대(420)를 제공할 수 있다. 재생시점막대(420)는 현재 동영상이 재생되는 시점인 M2(422)를 기준으로 이미 재생된 시점인 M1(421), 아직 재생되지 않은 시점인 M3(423)로 구분될 수 있다.
자동차(440)는 터치입력이 수신된 지점에 애니메이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자동차(440)가 생성된 재생 시점은 M2(423)일 수 있다. 여기서, 자동차(440)은 이동되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추가할 수 있다. 자동차(440)를 클릭한 후 터치입력을 드래그를 하면, 자동차(440)는 이동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동차(440)가 이동하기 때문에 자동차가 최종 목적에 도착되는 동영상의 재생 시점은 M3(434)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편집방법으로 인해 사용자는 직관적인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받고, 영상을 실시간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편집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화면을 확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동영상이 재생하면서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를 할 수 있다.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터치입력을 수신받고, 수신받은 터치입력에 해당하는 터치명령을 실행하여 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터치입력에 의해 동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상기 터치입력은 핀치 투 줌일 수 있다.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터치입력을 수신받고 터치입력에 해당하는 터치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편집은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안에 되기 때문에 터치입력이 되는 시점과 동영상이 편집되는 시점이 다를 수 있다. 상기 터치입력되는 시점은 M2(522)일 수 있고, 상기 동영상이 편집되는 시점은 M3(523)일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을 정지한 후 화면의 속성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동영상이 정지화면이면 한 화면에서의 각각의 리소스들에 대한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정지화면에서 화면의 속성도 변경할 수 있다.
메뉴(610)에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속성 팝업창(630)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속성 팝업창(630)는 명도, 채도, 대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속성 팝업창(630)의 명도에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명도조절막대(640)가 제공된다.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명도조절막대(640)를 이용하여 화면의 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편집 장치(200)는 정지화면뿐만 아니라 동영상이 재생하는 중에도 명암, 회전, 필터, 전환효과와 같은 영상을 시간에 따라 편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하드디스크,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20: A/V 입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200: 미디어 편집 장치 210: 객체관리 모듈
220: 터치모듈 230: 미디어 제어 모듈
240: 미디어 디코딩 모듈 250: 렌더링 모듈
260: 미디어 인코딩 모듈
410, 510, 610: 메뉴 420, 520, 620: 재생시점막대
421, 521: M1 422, 522: M2
423, 523: M3 430, 630: 입력요구화면
621: 현재 시점 640: 명도조절막대

Claims (14)

  1. 미디어 데이터를 객체화하여 관리 가능한 리소스(resource)로 생성하는 단계;
    터치입력을 수신받고, 상기 생성된 리소스에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편집 명령인 터치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리소스를 편집하는 단계;
    상기 리소스 및 상기 터치명령이 관련된 리소스를 제외한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전체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리소스 중 디코딩이 필요한 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리소스, 상기 터치명령이 관련된 리소스 및 상기 디코딩된 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취합하여 렌더링하는 단계; 및
    상기 렌더링된 미디어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데이터에 적용될 효과를 객체화하여 관리 가능한 리소스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하는 단계는,
    위치, 크기 및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표현하는데 이용되는 변환(transform) 데이터,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리소스 편집에 이용되는 속성 및 상기 미디어 자체에 대한 정보를 관리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입력을 터치필름, 터치시트, 터치패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터치센서로부터 특정부위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입력의 패턴과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터치명령의 패턴이 일치하면 상기 터치명령에 해당하는 명령 실행 및 상기 명령에 대한 편집이 동시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데이터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리소스의 편집과 렌더링을 동시에 하며, 상기 편집된 리소스의 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된 리소스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메모리에 저장 및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방법.
  8. 미디어 데이터를 객체화하여 관리 가능한 리소스(resource)로 생성하는 객체관리 모듈;
    터치입력을 수신받고 상기 생성된 리소스에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편집 명령인 터치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리소스를 편집하는 터치모듈;
    상기 리소스 및 상기 터치명령이 관련된 리소스를 제외한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전체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어하는 미디어 제어 모듈;
    상기 생성된 리소스 중 디코딩이 필요한 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미디어 디코딩 모듈;
    상기 리소스, 상기 터치명령이 관련된 리소스 및 상기 디코딩된 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두 개 이상 취합하여 렌더링하는 랜더링 모듈; 및
    상기 렌더링된 미디어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미디어 인코딩 모듈;을 포함하는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관리 모듈은,
    상기 미디어 데이터에 적용될 효과를 객체화하여 관리 가능한 리소스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관리 모듈은,
    위치, 크기 및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표현하는데 이용되는 변환(transform) 데이터,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리소스 편집에 이용되는 속성 및 상기 미디어 자체에 대한 정보를 관리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모듈은,
    상기 터치입력을 터치필름, 터치시트, 터치패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터치센서로부터 특정부위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모듈은,
    상기 터치입력의 패턴과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터치명령의 패턴이 일치하면 상기 터치명령에 해당하는 명령 실행 및 상기 명령에 대한 편집이 동시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모듈은,
    상기 미디어 데이터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리소스의 편집과 렌더링을 동시에 하며, 상기 편집된 리소스의 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모듈은,
    상기 편집된 리소스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메모리에 저장 및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장치.
KR1020140002834A 2014-01-09 2014-01-09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방법 및 장치 KR201500834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834A KR20150083475A (ko) 2014-01-09 2014-01-09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방법 및 장치
PCT/KR2014/000313 WO2015105215A1 (ko) 2014-01-09 2014-01-10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834A KR20150083475A (ko) 2014-01-09 2014-01-09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475A true KR20150083475A (ko) 2015-07-20

Family

ID=5352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834A KR20150083475A (ko) 2014-01-09 2014-01-09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83475A (ko)
WO (1) WO20151052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2953B2 (en) 2015-07-23 2017-10-1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708318B1 (ko) * 2015-07-23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1473B2 (ja) * 2003-10-15 2008-11-12 日本放送協会 映像オブジェクト軌跡合成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439550B1 (ko) * 2008-04-23 2014-09-11 주식회사 케이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미지와 동영상의 합성 방법 및 이를이용한 이미지와 동영상 합성 장치
KR101527019B1 (ko) * 2008-12-31 2015-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KR101105034B1 (ko) * 2010-02-09 2012-01-16 주식회사 팬택 촬영 기능을 보유한 단말기
KR101249447B1 (ko) * 2011-05-25 2013-04-15 주식회사 엠비씨씨앤아이 이동물체의 객체분석 모듈을 이용한 실시간 영상합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송중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05215A1 (ko) 201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0329B1 (ko) 전화 통화 동안의 실시간 공유 기법
CN102754352B (zh) 提供多个应用的信息的方法和装置
CN109089044B (zh) 用于图像处理的便携式通信设备
KR102161230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US9996212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60110152A1 (en) Method for sharing screen between devices and device using the same
US11762529B2 (en) Method for displaying application icon and electronic device
US20110181521A1 (en) Techniques for controlling z-ordering in a user interface
CN108334371B (zh) 编辑对象的方法和装置
EP286339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synchronous media
CN105683895A (zh) 提供用户交互的用户终端设备及其方法
KR20140128208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284931B2 (ja) 多重動画再生方法及び装置
KR101968977B1 (ko) 카툰 제공 시스템, 카툰 제공 장치 및 카툰 제공 방법
US2014035953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180998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6177799A (ja) 漫画データ生成装置、その方法、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漫画データ表示装置
CN105718189A (zh) 电子装置以及使用该电子装置显示网页的方法
JP2017204290A (ja) 漫画データ編集方法及び漫画データ編集装置
JP2008135036A (ja) レンダリング装置及び方法
US2018007009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4979785A (zh) 视频处理方法和相关装置
US10402438B2 (en) Systems and methods of visualizing multimedia content
CN109542430B (zh) 用于实现界面交互效果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150083475A (ko) 터치입력을 이용한 미디어 편집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