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204A -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 - Google Patents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204A
KR20150083204A KR1020140002689A KR20140002689A KR20150083204A KR 20150083204 A KR20150083204 A KR 20150083204A KR 1020140002689 A KR1020140002689 A KR 1020140002689A KR 20140002689 A KR20140002689 A KR 20140002689A KR 20150083204 A KR20150083204 A KR 20150083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case
ground
driving motor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7842B1 (ko
Inventor
윤병철
임기성
Original Assignee
다주건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주건설 (주) filed Critical 다주건설 (주)
Priority to KR1020140002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842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4Directional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4Directional drilling
    • E21B7/06Deflecting the direction of boreho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판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의 회전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지반을 천공하는 비드로 이루어지는 천공부재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천공부재를 상기 중공에 수용하고 상기 천공부재의 굴진에 의하여 상기 지반에 삽입시에 삽입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선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원통 형상의 선단헤드부재가 구비된 굴진케이스와; 상기 선단헤드부재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굴진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된 회전구동부를; 포함함으로써, 취수정과 연결되는 유공관의 설치를 위하여 사용되는 수평 착정 장치의 선단이 굴진하는 방향을 굴진케이스에 구비된 선단회전부재의 회전을 통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END PART ROTATING TYPE HORIZONTAL WELL DRILLING DEVICE}
본 발명은 수평 착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정시에 굴진케이스의 선단헤드부재의 회전을 통하여 굴진 방향을 용이하게 수정 가능하도록 하여 정확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발전과 인구증가 등에 따른 환경변화로 인하여 수자원 확보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증가함에 따라 여러 선진국가에서는 충분한 수자원 확보를 위해 막대한 예산과 노력을 투입하고 있는 실정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수자원 확보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예를 들면 주로 유럽의 선진국가에서는 수도물의 생산을 위해서 표류수를 직접 취수하는 경우가 적으며, 호수나 강변에 방사형 집수정을 설치하여 여과시킨 다음 취수하여 정수하는 강변여과 공법의 적용에 의해 정수과정에서 가능한 화학약품을 적게 사용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통상, 방사형 집수정은 대수층에서 많은 양의 물을 양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심지어 강에서 대수층과 집수정으로의 물 유입율을 매우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짐에 따라 오염에 취약한 강물의 이용이 불가피한 우리나라에서도 방사형 집수정 도입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의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가 지반을 굴진하는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사층이나 사력층을 지나 연암층과 경암층에 이르기까지 방사상의 수직 집수정(1)을 시공한 다음, 수직 집수정(1)의 저부에 설치한 수평 굴착기(10)를 통하여 연암층과 경암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대수층에 수평 취수정(2)을 굴착하고, 그 수평 취수정(2)에 여과용 유공관(Strainer)을 설치하여 암반지하수를 다량으로 집수할 수 있도록 시공된다.
한편, 종래의 통상적인 수평 취수정 착정 방법의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집수정(1)의 내측벽에 수평 굴착기(10)를 통하여 파이프 형태의 외관 케이싱(11)을 압입하고, 그 외관 케이싱(11)의 내부에 삽입된 스크류 로드(12)를 회전운동시켜 선단부의 굴착툴(13)을 전진시킴으로써, 수평 취수정(2)을 굴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에 있어서는, 외관 케이싱(11)을 지반에 굴진시에 지반의 굴진 방향이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시공이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전혀 알 수 없으므로 시공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관 케이싱(11)의 굴진 방향이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지 않더라도 외관 케이싱(11)의 굴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정확한 시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취수정과 연결되는 유공관의 설치를 위하여 사용되는 수평 착정 장치의 선단이 굴진하는 방향을 굴진케이스에 구비된 선단회전부재의 회전을 통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판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의 회전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지반을 천공하는 비드로 이루어지는 천공부재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천공부재를 상기 중공에 수용하고 상기 천공부재의 굴진에 의하여 상기 지반에 삽입시에 삽입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선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원통 형상의 선단헤드부재가 구비된 굴진케이스와; 상기 선단헤드부재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굴진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된 회전구동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선단헤드부재의 내면에 일정 길이와 폭을 갖고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비드의 후방 외면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재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비드의 회전력을 상기 선단헤드부재로 전달하는 커플링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핀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비드 외면의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재도 한 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커플링핀과 접촉시에 어느 하나는 상기 커플링핀의 좌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커플링핀의 우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굴진케이스의 단부에는 걸림턱이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선단회전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턱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선단회전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과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선단회전부재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연장 형성된 윤활유 주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윤활유 주입공의 단부에는 차폐커버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에는 유압실린더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일측은 상기 지지판의 일측면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타측은 상기 굴진케이스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굴진케이스가 굴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의 단부 외면 일측에는 착탈돌기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로드가 삽입되는 상기 비드의 후단에는 상기 착탈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ㄱ자 형상의 착탈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취수정과 연결되는 유공관의 설치를 위하여 사용되는 수평 착정 장치의 선단이 굴진하는 방향을 굴진케이스에 구비된 선단회전부재의 회전을 통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가 지반을 굴진하는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의 선단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의 선단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는, 지지판(11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00)와, 구동모터(100)에 연결되어 구동모터(100)에서 제공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하는 로드(210)와, 로드(210)의 단부에 구비되어 로드(210)의 회전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지반을 천공하는 비드(220)로 이루어지는 천공부재(200)와, 내부에 중공(310)이 형성되어 천공부재(200)를 중공(310)에 수용하고 천공부재(200)의 굴진에 의하여 상기 지반에 삽입시에 삽입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선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원통 형상의 선단헤드부재(320)가 구비된 굴진케이스(300)와, 선단헤드부재(320)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굴진케이스(300)의 내측에 구비된 회전구동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동모터(100)는 지지판(11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지반을 굴진하는 천공부재(200) 측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구동모터(100)는 복수의 유압실린더(120)에 의하여 지지판(11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게 된다.
유압실린더(120)의 일측은 지지판(110)의 일측면에 고정 결합되며 유압실린더(120)의 타측은 굴진케이스(30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굴진케이스(300)가 굴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유압실린더(120)에 의하여 천공부재(200)와 함께 굴진케이스(300)가 지반 측으로 압착됨으로써 천공부재(200)에 의하여 지반이 천공되면서 굴진케이스(300)가 굴진된 지반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러한 유압실린더(120)의 타측과 상기 굴진케이스(300)의 일측 사이에는 판면에 실린더공과, 오거공이 관통 형성된 굴진케이스 압입판(130)이 설치되어 있다.
굴진케이스 압입판(130)의 중앙영역에는 천공부재(200)가 관통할 수 있는 오거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오거공의 주연부에는 유압실린더(120)가 관통 할 수 있는 복수의 실린더공이 형성되는데, 실린더공은 천공부재(200)가 천공하는 지반의 종류에 따라 두 개가 형성될 수도 있고 네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지반이 약한 경우에는 두 개의 유압실린더(120) 만으로도 지반의 굴진이 가능하므로 두 개의 실린더공이 형성되고, 지반이 강한 경우에는 압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네 개의 유압실린더(120)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네 개의 실린더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공부재(200)는 실질적으로 지반을 천공하는 부재로서 구동모터(100)에 연결되어 구동모터(100)에서 제공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하는 로드(210)와, 로드(210)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의 회전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지반을 천공하는 비드(220)로 이루어진다.
로드(210)의 단부 외면 일측에는 착탈돌기(211)가 돌출 구비되고, 로드(210)가 삽입되는 비드(220)의 후단에는 착탈돌기(211)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ㄱ자 형상의 착탈홈(222)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로드(210)를 비드(220)의 후방에서 비드(220)에 삽입한 후에 일정 각도 회전시키게 되면 착탈돌기(211)가 착탈홈(222)에 삽입되어 이들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ㄱ자 형상의 착탈홈(222)의 절곡된 홈이 형성되는 방향은 로드(210)과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이들 사이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효과적이다.
비드(220)는 지반을 초기 천공시에 원활한 천공을 위하여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비드(210)는 합금강으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굴진케이스(300)는 천공부재(200)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천공부재(200)가 지반을 천공함에 따라 천공된 지반으로 함께 삽입되면서 일정한 직경을 갖는 굴진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굴진케이스(300)는 지반의 굴진 작업이 완료된 후에 지반의 외부로 인출되어 제거된 후에 굴진케이스(300)가 삽입된 위치에 유공관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취수정에 취수가 가능하게 된다.
굴진케이스(300)의 내부에는 중공(310)이 형성되어 천공부재(200)를 중공(310)에 수용하고 천공부재(200)의 굴진에 의하여 상기 지반에 삽입시에 삽입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선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원통 형상의 선단헤드부재(320)가 구비되어 있다.
선단헤드부재(320)가 지반과 접촉되는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은 굴진케이스(300)의 굴진 방향을 조절하기 위함이며, 굴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선단헤드부재(320)는 굴진케이스(30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굴진케이스(300)의 단부에는 걸림턱(301)이 단차지게 형성되고 선단회전부재(320)의 단부에는 걸림턱(301)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홈(321)이 함몰 형성된 구조에 의하여 선단헤드부재(320)가 굴진케이스(30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선단헤드부재(32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선단회전부재(320)의 일측에는 걸림홈(321)과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이 선단회전부재(320)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연장 형성된 윤활유 주입공(322)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윤활유 주입공(322)의 단부에는 윤활유 주입공(322)을 통하여 주입된 윤활유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윤활유 주입공(322)을 차폐시키는 차폐커버(323)가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선단헤드부재(320)의 회전 구동은 광파기(500)에 의하여 안내되는 굴진 경로와 비드(220)의 중심에 설치된 위치추적 센서(230)의 위치와의 변위를 별도의 모니터링부재(600)에 의하여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함으로써 순방향이나 혹은 역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이 이루어도록 한다.
선단헤드부재(320)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400)는 선단헤드부재(320)의 내면에 일정 길이와 폭을 갖고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재(410)와, 비드(220)의 후방 외면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걸림부재(41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비드(220)의 회전력을 선단헤드부재(320)로 전달하는 커플링핀(42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플링핀(420)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비드(220) 외면의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걸림부재(410)도 한 쌍으로 구비되되 커플링핀(420)과 접촉시에 어느 하나는 커플링핀(420)의 좌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커플링핀(420)의 우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플링핀(420)이 동일선상에 배치됨은 비드(220)의 회전을 이용하여 선단헤드부재(320)를 회전 구동시에 커플링핀(420)에 전달되는 저항을 균일하게 분산하여 커플링핀(420)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를 이용한 지반의 굴진 시공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취수정의 내부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의 천공부재(200)와 굴진케이스(300)를 지반을 천공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배치시키고, 취수정의 일측 벽면과 천공부재(200) 및 굴진케이스(300)를 접촉시킨다.
그 후, 구동모터(100)를 구동시키면 천공부재(200)가 회전하면서 로드(220)의 단부에 구비된 비드(210)가 취수정의 일측 벽면을 천공하기 시작한다.
비드(220)의 천공에 의하여 천공부재(200)와 굴진케이스(300)가 지반을 천공하게 되는데, 지반의 천공이 진행되면서 모니터링부재(600)에 광파기(500)에 의하여 안내되는 굴진 방향과 위치추적 센서(230)가 일치하지 않게 되면 회전구동부(400)에 의하여 선단헤드부재(320)를 회전 구동시키게 된다.
회전구동부(400)의 구동은 비드(220)를 후방으로 당겨 커플링핀(420)과 걸림부재(410)가 나란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 후에 비드(220)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비드(220)의 후단 외면에 구비된 커플링핀(420)이 일정 각도 회전하면서 걸림부재(410)의 측면과 커플링핀(420)이 접촉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비드(220)를 조금 더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원하는 각도로 선단헤드부재(32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원하는 각도로 선단헤드부재(320)가 회전된 후에 계속 지반을 재 천공시키기 위해서는 비드(220)를 일정 간격 전방으로 밀어서 걸림부재(410)에서 커플링핀(420)이 이탈되도록 한 후에 지반을 재 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광파기(500)에 의하여 안내되는 방향에 대하여 굴진케이스(300)가 상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선단헤드부재(320)의 경사지게 형성된 일측면을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선단저항력이 하측으로 작용하도록 하여 굴진케이스(30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광파기(500)에 의하여 안내되는 방향으로 굴진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반대로 광파기(500)에 의하여 안내되는 방향에 대하여 굴진케이스(300)가 하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선단헤드부재(320)의 경사지게 형성된 일측면을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선단저항력이 상측으로 작용하도록 하여 굴진케이스(300)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광파기(500)에 의하여 안내되는 방향을 굴진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광파기(500)가 안내하는 굴진 방향으로 굴진이 이루어지면서 천공부재(200)와 굴진케이스(300)가 원하는 길이로 지반에 삽입되면 천공부재(200)와 굴진케이스(300)를 지반으로부터 인출시킨 후에 굴진케이스(300)를 대신하여 유공관을 삽입하면 착정 시공이 완료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구동모터 110 : 지지판
120 : 유압실린더 130 : 케이스 압입판
200 : 천공부재 210 : 로드
220 : 비드 230 : 위치추적 센서
300 : 굴진케이스 310 : 중공
320 : 선단헤드부재 400 : 회전구동부
410 : 걸림부재 420 : 커플링핀
500 : 광파기 600 : 모니터링 부재

Claims (7)

  1. 지지판(11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00)와;
    상기 구동모터(10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00)에서 제공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하는 로드(210)와, 상기 로드(210)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의 회전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지반을 천공하는 비드(220)로 이루어지는 천공부재(200)와;
    내부에 중공(310)이 형성되어 상기 천공부재(200)를 상기 중공(310)에 수용하고 상기 천공부재(200)의 굴진에 의하여 상기 지반에 삽입시에 삽입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선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원통 형상의 선단헤드부재(320)가 구비된 굴진케이스(300)와;
    상기 선단헤드부재(320)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굴진케이스(300)의 내측에 구비된 회전구동부(4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400)는 상기 선단헤드부재(320)의 내면에 일정 길이와 폭을 갖고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재(410)와, 상기 비드(220)의 후방 외면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재(41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비드(220)의 회전력을 상기 선단헤드부재(320)로 전달하는 커플링핀(4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핀(420)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비드(220) 외면의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재(410)도 한 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커플링핀(420)과 접촉시에 어느 하나는 상기 커플링핀(420)의 좌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커플링핀(420)의 우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진케이스(300)의 단부에는 걸림턱(301)이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선단회전부재(320)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턱(301)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홈(321)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회전부재(320)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321)과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선단회전부재(320)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연장 형성된 윤활유 주입공(32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윤활유 주입공(322)의 단부에는 차폐커버(323)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100)에는 유압실린더(120)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120)의 일측은 상기 지지판(110)의 일측면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유압실린더(120)의 타측은 상기 굴진케이스(30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굴진케이스(300)가 굴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210)의 단부 외면 일측에는 착탈돌기(211)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로드(210)가 삽입되는 상기 비드(220)의 후단에는 상기 착탈돌기(211)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ㄱ자 형상의 착탈홈(222)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
KR1020140002689A 2014-01-09 2014-01-09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 KR101547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689A KR101547842B1 (ko) 2014-01-09 2014-01-09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689A KR101547842B1 (ko) 2014-01-09 2014-01-09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204A true KR20150083204A (ko) 2015-07-17
KR101547842B1 KR101547842B1 (ko) 2015-09-04

Family

ID=5387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689A KR101547842B1 (ko) 2014-01-09 2014-01-09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8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341A (ko) 2021-08-30 2023-03-07 부강개발주식회사 비개착식 언더패스터널을 위한 수평천공장치의 가이드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783B1 (ko) 2020-03-27 2021-11-29 김만겸 방사형 암반 지하 관정 굴착시스템
KR102150652B1 (ko) 2020-06-15 2020-09-01 임정근 암반수 채수관정용 굴착기
KR102293914B1 (ko) 2021-03-18 2021-08-26 주식회사 조은샘 암반 채수관정 시공공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2629B2 (ja) 1995-05-31 1999-02-03 株式会社福田組 推進工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341A (ko) 2021-08-30 2023-03-07 부강개발주식회사 비개착식 언더패스터널을 위한 수평천공장치의 가이드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7842B1 (ko) 2015-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144B1 (ko) 유압실린더를 구비한 수평 착정 장치
US4953638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rilling a horizontal controlled borehole in the earth
KR101547842B1 (ko) 선단 회전식 수평 착정 장치
EP1354118B1 (en) Backreamer
MXPA98000447A (en) Method for the replacement of pipe enterr
KR101496733B1 (ko) 선굴진 가이드파이프를 구비한 수평 착정 장치
CN101889116B (zh) 挖掘机
KR101498143B1 (ko) 광파기를 구비한 수평 착정 장치
CN110318736B (zh) 一种岩溶隧道探水装置及基于此的堵水施工方法
KR101536964B1 (ko) 선굴진 가이드파이프를 구비한 선단폐쇄형 수평 착정 장치
KR102394178B1 (ko) 지중관로의 비개착 굴착시스템 제어방법
KR101886962B1 (ko) 상,하수관로 연결관 및 슬러지 제거용 커팅장치
KR101542570B1 (ko) 수평 착정 장치
JP5831907B2 (ja) 拡径ビット
KR100466940B1 (ko) 연약지반에서 추진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비개착 압입 방법 및 그 장치
KR101540629B1 (ko) 선단폐쇄형 수평 착정 장치
JP6302285B2 (ja) 推進工法における到達坑壁の坑口構造
JP2013032691A (ja) 削孔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注入管の敷設方法
JP5521246B2 (ja) 排水暗渠形成装置
JP2005155209A (ja) 自在掘削装置及び地盤改良工法
KR102453712B1 (ko) 지중관로의 비개착 굴착방법
KR101443197B1 (ko) 취수관 매설장치 및 합성수지 취수관 매설방법
KR102394177B1 (ko) 지중관로의 비개착 굴착시스템용 굴착비트
KR200183452Y1 (ko) 복합지질 대응형 터널 굴착기의 디스크 개량 구조
KR102394179B1 (ko) 지중관로의 비개착 굴착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