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923A -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 Google Patents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923A
KR20150082923A KR1020140002456A KR20140002456A KR20150082923A KR 20150082923 A KR20150082923 A KR 20150082923A KR 1020140002456 A KR1020140002456 A KR 1020140002456A KR 20140002456 A KR20140002456 A KR 20140002456A KR 20150082923 A KR20150082923 A KR 20150082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value
worker
operator
posi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0786B1 (ko
Inventor
이준수
박광필
추길환
성상경
김필근
이현호
김건호
신동조
이재범
조아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2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786B1/ko
Publication of KR20150082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은, 장비 또는 시설물이 있는 작업영역에 배치되되, 장비 또는 시설물이 배치된 공간의 소음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음향 카메라; 및 음향 카메라에 연결되어 음향 카메라로부터 작업영역의 시간에 따른 소음 값을 수집하며, 작업영역에 출입하는 각각의 작업자에 대한 소음의 노출시간에 따른 소음 평균 값을 수집하며, 작업자의 소음 평균 값이 작업자에게 미리 정해진 소음 기준 값 이상일 경우에는, 작업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소음제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MONITORING SYSTEM OF WORK ENVIRONMENT USING SOUND QUALITY CAMERA AND POSITION INFORMATION SYSTEM OF CREW AND METHOD THEREOF, AND SHIP OR OCEAN CONSTRUCTION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향 카메라를 이용하여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시설, 장비, 및 작업자에 대한 이상유무를 감시하는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인 자원개발 기술의 발달과 해양자원의 중요성의 인식으로 인해 해양플랜트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져왔다. 육상에서만 이루어졌던 에너지 자원의 시추작업이 점차 해안으로, 해안에서 해양으로, 그리고 깊은 심해지역까지 실현 가능하게 되면서 많은 시추 장비들이 새롭게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해양자원의 개발을 위해서, 시추드릴이 탑재된 특수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이 개발되어 왔다. 이들 중 시추선(Drillship)은 현재 해양시추에 반드시 필요한 시추용 리그선 중 하나로 굳건히 자리잡게 되었다.
또한 빙하지역에서 시추가 가능한 쇄빙선과 같은 특수한 목적의 시추선의 개발이 이어지는 등 시추선의 역할이 점차 중요시 되면서 추가적인 특수 기능을 겸비한 시추선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시추선은 일반적인 선박과 달리, 탐색 및 시추 장비가 탑재되어 있어 자원의 매장 가능성이 높은 대륙붕이나 심해저를 탐색하고, 바다 밑바닥을 뚫어 그 지역에 매장된 광물이나 원유 등을 채굴할 수 있는 특수 선박이다.
최근의 시추선은 바닥 깊은 지역의 원유, 천연 가스, 가스 하이드레이트 등과 같은 에너지 자원을 개발할 수 있는 첨단의 시추 장비를 탑재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선박과 같이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는 소위 드릴 쉽(drill ship)으로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시추선은, 시추를 위한 드릴파이프가 탑재된다. 드릴파이프는 하단부에 결합된 드릴비트와 유동성 머드를 이용하여 해저지반에 대한 드릴링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시추선에는, 드릴파이프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는지, 혹은 고장이 일어날 징후가 있는지 감시하기 위해서 드릴파이프의 인근에서 드릴파이프의 작동영역에 대한 음향을 수집하여 드릴파이프의 작동상태를 감시하는 음향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드릴파이프와 같이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비 또는 시설에 대한 기존의 전술한 바와 같은 음향카메라에 의한 감시시스템은, 장비 또는 시설이 있는 작업영역의 음향을 수집하여 장비 또는 시설의 이상유무를 파악할 뿐이므로, 작업자에 대한 소음감시에 대해서는 소홀한 측면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53780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탑재되는 장비 또는 시설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과 작업자들의 위치인식정보를 기초로 작업자에 대한 소음노출을 감시하여 작업자들에 대한 소음의 폐해를 방지할 수 있는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장비 또는 시설물이 있는 작업영역에 배치되되, 상기 장비 또는 시설물이 배치된 공간의 소음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음향 카메라; 및 상기 음향 카메라에 연결되어 상기 음향 카메라로부터 상기 작업영역의 시간에 따른 소음 값을 수집하며, 상기 작업영역에 출입하는 각각의 작업자에 대한 상기 소음의 노출시간에 따른 소음 평균 값을 수집하며, 상기 작업자의 소음 평균 값이 상기 작업자에게 미리 정해진 소음 기준 값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작업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소음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비 또는 시설물의 작업영역에 배치된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상기 소음제어유닛에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자에 배치되는 위치인식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제어유닛에 연결되되, 상기 알람을 제공할 수 있는 알람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제어유닛에는, 소음 기준 값이 저장되며, 상기 소음 평균 값과 상기 소음 기준 값은, 시간에 따른 상기 작업영역에 대한 소음의 적분 값을 시간으로 나눈 평균 값으로 정의되며, 상기 소음 기준 값은, 작업환경에 따른 작업자에 따라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소음제어유닛은, 상기 음향 카메라와 상응하여 복수의 작업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리모트서버; 및 상기 복수의 작업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리모트서버와 송수신하도록 상기 리모트서버에 연결되는 중앙통제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리모트서버 및 상기 중앙통제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위치인식유닛으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수집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알람을 제공하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리모트서버 및 상기 중앙통제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작업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음향 카메라와 상기 위치인식유닛으로부터 각각 상응하는 소음 값 및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들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작업영역의 각각의 작업자에 대한 소음 노출 값과 소음노출시간을 저장하며, 상기 소음 노출 값과 상기 소음노출시간을 기초로 상기 소음 평균 값을 산정하되, 상기 작업자에 대한 상기 소음 평균 값이 상기 소음 기준 값 이상을 경우에는, 상기 작업자에게 상기 작업영역으로부터 회피를 위한 알람신호를 상기 알람유닛에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인식유닛은, 상기 작업영역의 출입구에서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카드형 태그 또는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지피에스인식기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카메라는, 압력변동 또는 사운드 밀도와 관계되는 음향신호를 수집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소음제어유닛이 음향 카메라에 의해 작업영역의 소음 값, 상기 작업영역에 배치되는 작업자에 대한 소음 노출 값, 그리고 소음노출시간을 저장하며, 동시에 상기 작업영역의 작업자에 대한 소음 노출 값과 상기 작업자에 대한 소음의 노출시간을 기초로 상기 작업자에 대한 소음 평균 값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소음제어유닛이 상기 작업자에 대한 상기 소음 평균 값이 상기 작업자에게 미리 정해진 소음 기준 값 이상을 경우에는 다음 단계를 진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다시 이전 단계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자에 대한 상기 소음 평균 값이 상기 작업자에게 미리 정해진 소음 기준 값 이상을 경우, 상기 소음제어유닛이 상기 작업자에게 상기 작업영역으로부터 회피를 위한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에 배치되는 위치인식유닛에 의해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제어유닛은, 상기 음향 카메라와 상응하여 복수의 상기 작업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리모트서버; 및 상기 복수의 작업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리모트서버와 송수신하도록 상기 리모트서버에 연결되는 중앙통제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리모트서버 및 상기 중앙통제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위치인식유닛으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알람을 제공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리모트서버가 상기 음향 카메라에 의해 각각의 상기 작업영역의 소음 값과 상기 작업자의 소음노출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중앙통제서버에 전달하되, 상기 중앙통제서버가 각각의 상기 작업영역의 작업자에 대한 소음 노출 값과 상기 작업자에 대한 소음의 노출시간을 기초로 상기 작업자에 대한 소음 평균 값을 산정하며, 상기 중앙통제서버는, 상기 복수의 작업영역 중 상기 소음 평균 값이 작업자에게 미리 정해진 소음 기준 값 이상인 작업영역의 작업자에게 해당 작업영역으로부터 회피를 위한 알람을 제공하도록 상기 리모트서버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위치인식유닛으로는, 상기 작업영역의 출입구에서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카드형 태그 또는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지피에스인식기를 사용하며, 상기 리모트서버는, 상기 음향 카메라로부터 압력변동 또는 사운드 밀도와 관계되는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탑재되는 장비 또는 시설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과 작업자들의 위치인식정보를 기초로 작업자에 대한 소음노출을 감시하여 작업자들에 대한 소음의 폐해를 방지할 수 있는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따른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은, 장비 또는 시설물이 있는 작업영역에 배치되며 장비 또는 시설물이 배치된 공간의 소음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음향 카메라(100)와, 음향 카메라(100)에 연결되어 음향 카메라(100)로부터 작업영역의 시간에 따른 소음 값을 수집하며, 작업영역에 출입하는 각각의 작업자에 대한 소음의 노출시간에 따른 소음 평균 값을 수집하는 소음제어유닛(101)을 포함한다.
이러한 소음제어유닛(101)은, 작업자의 소음 평균 값이 작업자에게 미리 정해진 소음 기준 값 이상일 경우에는, 작업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카메라(100)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과 같이 소음과 진동이 많이 발생되는 작업공간 및 구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카메라(100)는 작업영역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하여 소음제어유닛(101)에 제공할 수 있으며, 소음제어유닛(101)은 이러한 소음 값을 기초로 작업영역에 배치되는 장비 또는 시설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에 의해 장비 또는 시설물의 가동 및 작업상태를 1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카메라(100)는, 압력변동 또는 사운드 밀도와 관계되는 음향신호를 수집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작업영역에 작업자가 배치되어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소음에 노출되어 소음에 의한 피로가 누적될 수 있다. 작업자에 대해서는 작업자가 받을 수 있는 소음의 기준 값이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소음의 기준 값은 해당 구역 별로, 또는 작업자의 직능 별로 정해질 수 있다.
일 예로, 발전실의 작업자는 1일 최대, 시간마다 80데시벨의 소음을 받을 수 있도록 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작업자는1일 8시간 근무를 기준으로는 640데시벨의 누적 소음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작업자는 경우에 따라서 발전실에서 엔진실로 이동하여 작업할 수 있다.
이때 음향 카메라(100)에 의해 측정되는 엔진실의 소음이 100데시벨인 경우에는, 작업자는 100데시벨에 노출되므로, 엔진실에서는 6.4 시간 이상 근무가 허용되지 않는다. 엔진실에서 6.4시간 근무할 때 작업자에게 누적되는 소음은 640데시벨로 발전실의 1일 누전 소음과 같아진다.
아울러 작업영역의 소음 값을 기초로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소음 노출 값이 정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소음 노출 값은 작업자의 피복이나 소음보호구에 따라 작업영역의 소음 값보다 작게 정해질 수 있다.
한편, 작업자의 위치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집될 수 있는데, 카메라에 의한 영상인식 또는 작업영역의 출입구에 배치되는 출입장치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발기에 내장되는 위치인식기능에 의해서 가능하다.
이처럼 본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은, 장비 또는 시설물의 작업영역에 배치된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소음제어유닛(101)에 제공할 수 있도록 작업자에 배치되는 위치인식유닛(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인식유닛(120)은, 작업영역의 출입구에서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카드형 태그(125) 또는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지피에스인식기(122)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위치인식유닛(120)은, 작업자의 작업위치를 소음제어유닛(101)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영역에 작업하는 작업자의 작업시간이 산출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작업자가 소음에 노출되는 소음노출시간이 산정될 수 있다.
또한, 소음제어유닛(101)은 작업자의 각 작업영역에 따른 소음 노출 값과 소음노출시간을 기초로 작업자의 소음 평균 값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해당 작업영역의 작업자가 해당 작업자에게 정해진 소음 기준 값에 이르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음향 카메라(100)와 위치인식유닛(120)에 의해서 소음 노출 값과 소음노출시간이 감시되는 해당 작업자의 소음 평균 값이 소음 기준 값에 이른 경우에는, 소음제어유닛(101)이 작업자에게 해당 작업영역에서 회피할 수 있도록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은, 소음제어유닛(101)에 연결되되, 알람을 제공할 수 있는 알람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제어유닛(101)에는, 모든 작업자들의 소음 기준 값이 저장되며, 소음 평균 값과 소음 기준 값은, 시간에 따른 작업영역에 대한 소음의 적분 값을 시간으로 나눈 평균 값으로 정의되며, 소음 기준 값은, 작업환경에 따른 작업자에 따라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소음제어유닛(101)은, 음향 카메라(100)와 상응하여 복수의 작업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리모트서버(112)와, 복수의 작업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리모트서버(112)와 송수신하도록 리모트서버(112)에 연결되는 중앙통제서버(115)를 포함하며, 리모트서버(112) 및 중앙통제서버(1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위치인식유닛(120)으로부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수집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알람을 제공하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리모트서버(112)가 작업영역에 있는 작업자의 위치인식유닛(120)으로부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중앙통제서버(115)에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리모트서버(112) 및 중앙통제서버(1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의 작업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음향 카메라(100)와 위치인식유닛(120)으로부터 각각 상응하는 소음 값 및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들을 기초로 복수의 작업영역의 각각의 작업자에 대한 소음 노출 값과 소음노출시간을 저장하며, 소음 노출 값과 소음노출시간을 기초로 소음 평균 값을 산정하되, 작업자에 대한 소음 평균 값이 소음 기준 값 이상을 경우에는, 작업자에게 작업영역으로부터 회피를 위한 알람신호를 알람유닛(140)에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중앙통제서버(115)가 리모트서버(112)로부터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소음 값과 위치인식유닛(120)으로부터 전달되는 각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소음노출시간을 계산하며, 이들을 기초로 소음 평균 값을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중앙통제서버(115)는 소음 평균 값과 작업자의 저장되어 있는 소음 기준 값을 비교하여, 작업자의 실시간 소음 평균 값이 소음 기준 값 이상일 경우에는 리모트서버(112)에 알람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며, 리모트서버(112)는 이러한 알람신호를 기초로 알람유닛(14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물론, 중앙통제서버(115)에 의해 알람유닛(140)이 직접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알람유닛(140)의 알람은 알람유닛(14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또는 이들을 모두 통해서 작업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갖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130)에 경고전화가 자동 수신되도록 또는 자동알람이 작동되도록 모바일 단말기(130)가 설정될 수 있다. 중앙통제서버(115)는 내부의 단말기 유무선 네트워크기기 또는 전술한 리모트서버(112)에 의해서 모바일 단말기(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음향 카메라(100)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의 모니터링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은, 소음제어유닛(101)이 음향 카메라(100)에 의해 작업영역의 소음 값, 작업영역에 배치되는 작업자에 대한 소음 노출 값, 그리고 소음노출시간을 저장하며, 동시에 작업영역의 작업자에 대한 소음 노출 값과 작업자에 대한 소음의 노출시간을 기초로 작업자에 대한 소음 평균 값을 산정하는 단계와, 소음제어유닛(101)이 작업자에 대한 소음 평균 값이 작업자에게 미리 정해진 소음 기준 값 이상을 경우에는 다음 단계를 진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다시 이전 단계를 진행하는 단계와, 작업자에 대한 소음 평균 값이 작업자에게 미리 정해진 소음 기준 값 이상을 경우 소음제어유닛(101)이 작업자에게 작업영역으로부터 회피를 위한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평균 소음 값이 기준 소음 값 이상일 경우에는 소음제어유닛(101)으로부터 제공되는 알람신호를 수신 또는 감지하여 작업영역으로부터 회피할 수 있으며, 권장 또는 규격화된 소음 기준 치를 초과하지 않게 되며, 소음에 의해서 발생되는 신체적인 또는 정신적인 피로 또는 피해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전술한 소음 기준 값은, 권장 또는 규격화된 소음 기준 값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허용된 소음 누적 값의 범위 안에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은, 작업자에 배치되는 위치인식유닛(120)에 의해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위치정보는 작업영역에 배치되는 카메라 또는 지문인식과 같은 출입센서에 의해서도 가능하지만, 위치정보인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작업자에 부착 또는 탑재될 수 있는 위치인식유닛(120)을 사용한다.
위치인식유닛(120)으로는, 작업영역의 출입구에서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카드형 태그(125) 또는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지피에스인식기(122)를 사용하며, 리모트서버(112)는, 음향 카메라(100)로부터 압력변동 또는 사운드 밀도와 관계되는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소음제어유닛(10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음향 카메라(100)와 상응하여 복수의 작업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리모트서버(112)와, 복수의 작업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리모트서버(112)와 송수신하도록 리모트서버(112)에 연결되는 중앙통제서버(115)를 포함하며, 리모트서버(112) 및 중앙통제서버(1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위치인식유닛(120)으로부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며, 알람을 제공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리모트서버(112)가 음향 카메라(100)에 의해 각각의 작업영역의 소음 값과 작업자의 소음노출시간을 확인하여 중앙통제서버(115)에 전달하되, 중앙통제서버(115)가 각각의 작업영역의 작업자에 대한 소음 노출 값과 작업자에 대한 소음의 노출시간을 기초로 작업자에 대한 소음 평균 값을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중앙통제서버(115)는, 복수의 작업영역 중 소음 평균 값이 작업자에게 미리 정해진 소음 기준 값 이상인 작업영역의 작업자에게 해당 작업영역으로부터 회피를 위한 알람을 제공하도록 리모트서버(112)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리모트서버(112)는 알람유닛(140)을 가동시키며, 더불어 작업자가 갖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130)를 통해 작업자에게 알람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은, 전술한 음향 카메라(100)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은, 주로 드릴링작업에 의해 시추를 수행하는 작업영역을 갖는 시추선 또는 시추구조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으며, 해양플랜트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 또는 반잠수 구조물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음향 카메라
101: 소음제어유닛
105: 리모트서버
110: 중앙통제서버
120: 위치인식유닛
122: 지피스인식기
125: 카드형 태그
130: 모바일 단말기
140: 알람유닛

Claims (14)

  1. 장비 또는 시설물이 있는 작업영역에 배치되되, 상기 장비 또는 시설물이 배치된 공간의 소음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음향 카메라; 및
    상기 음향 카메라에 연결되어 상기 음향 카메라로부터 상기 작업영역의 시간에 따른 소음 값을 수집하며, 상기 작업영역에 출입하는 각각의 작업자에 대한 상기 소음의 노출시간에 따른 소음 평균 값을 수집하며, 상기 작업자의 소음 평균 값이 상기 작업자에게 미리 정해진 소음 기준 값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작업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소음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 또는 시설물의 작업영역에 배치된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상기 소음제어유닛에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자에 배치되는 위치인식유닛을 더 포함하는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제어유닛에 연결되되, 상기 알람을 제공할 수 있는 알람유닛을 더 포함하는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제어유닛에는, 소음 기준 값이 저장되며,
    상기 소음 평균 값과 상기 소음 기준 값은, 시간에 따른 상기 작업영역에 대한 소음의 적분 값을 시간으로 나눈 평균 값으로 정의되며,
    상기 소음 기준 값은, 작업환경에 따른 작업자에 따라 각각 마련되는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제어유닛은,
    상기 음향 카메라와 상응하여 복수의 작업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리모트서버; 및
    상기 복수의 작업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리모트서버와 송수신하도록 상기 리모트서버에 연결되는 중앙통제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리모트서버 및 상기 중앙통제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위치인식유닛으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수집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알람을 제공하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서버 및 상기 중앙통제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작업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음향 카메라와 상기 위치인식유닛으로부터 각각 상응하는 소음 값 및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들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작업영역의 각각의 작업자에 대한 소음 노출 값과 소음노출시간을 저장하며,
    상기 소음 노출 값과 상기 소음노출시간을 기초로 상기 소음 평균 값을 산정하되,
    상기 작업자에 대한 상기 소음 평균 값이 상기 소음 기준 값 이상을 경우에는, 상기 작업자에게 상기 작업영역으로부터 회피를 위한 알람신호를 상기 알람유닛에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유닛은, 상기 작업영역의 출입구에서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카드형 태그 또는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지피에스인식기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는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카메라는, 압력변동 또는 사운드 밀도와 관계되는 음향신호를 수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
  9. 소음제어유닛이 음향 카메라에 의해 작업영역의 소음 값, 상기 작업영역에 배치되는 작업자에 대한 소음 노출 값, 그리고 소음노출시간을 저장하며, 동시에 상기 작업영역의 작업자에 대한 소음 노출 값과 상기 작업자에 대한 소음의 노출시간을 기초로 상기 작업자에 대한 소음 평균 값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소음제어유닛이 상기 작업자에 대한 상기 소음 평균 값이 상기 작업자에게 미리 정해진 소음 기준 값 이상을 경우에는 다음 단계를 진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다시 이전 단계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자에 대한 상기 소음 평균 값이 상기 작업자에게 미리 정해진 소음 기준 값 이상을 경우, 상기 소음제어유닛이 상기 작업자에게 상기 작업영역으로부터 회피를 위한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에 배치되는 위치인식유닛에 의해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제어유닛은,
    상기 음향 카메라와 상응하여 복수의 상기 작업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리모트서버; 및
    상기 복수의 작업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리모트서버와 송수신하도록 상기 리모트서버에 연결되는 중앙통제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리모트서버 및 상기 중앙통제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위치인식유닛으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알람을 제공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서버가 상기 음향 카메라에 의해 각각의 상기 작업영역의 소음 값과 상기 작업자의 소음노출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중앙통제서버에 전달하되,
    상기 중앙통제서버가 각각의 상기 작업영역의 작업자에 대한 소음 노출 값과 상기 작업자에 대한 소음의 노출시간을 기초로 상기 작업자에 대한 소음 평균 값을 산정하며,
    상기 중앙통제서버는, 상기 복수의 작업영역 중 상기 소음 평균 값이 작업자에게 미리 정해진 소음 기준 값 이상인 작업영역의 작업자에게 해당 작업영역으로부터 회피를 위한 알람을 제공하도록 상기 리모트서버에 신호를 전송하는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유닛으로는, 상기 작업영역의 출입구에서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카드형 태그 또는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지피에스인식기를 사용하며,
    상기 리모트서버는, 상기 음향 카메라로부터 압력변동 또는 사운드 밀도와 관계되는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사용하는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방법.
  14. 상기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1020140002456A 2014-01-08 2014-01-08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10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456A KR102210786B1 (ko) 2014-01-08 2014-01-08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456A KR102210786B1 (ko) 2014-01-08 2014-01-08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923A true KR20150082923A (ko) 2015-07-16
KR102210786B1 KR102210786B1 (ko) 2021-02-02

Family

ID=53884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456A KR102210786B1 (ko) 2014-01-08 2014-01-08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7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0010A (zh) * 2018-07-12 2018-12-28 星络科技有限公司 社区噪音控制方法、装置、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3803A (ja) * 2001-09-17 2003-03-19 Sato Kogyo Co Ltd 騒音・振動の監視低減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騒音・振動モニタリング装置
JP2005351681A (ja) * 2004-06-09 2005-12-22 Hitachi Ltd 作業管理システム
KR20090053780A (ko) 2006-08-17 2009-05-27 하.체. 스타르크 게엠베하 지르코늄 산화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940285B1 (ko) * 2009-03-20 2010-02-05 (주)제일애드컴 소음 측정이 가능한 전광판 및 그 소음측정 방법
US20110043382A1 (en) * 2009-08-18 2011-02-24 Zhennong Wang Aircraft cabin noise exposure analysis
KR200463036Y1 (ko) * 2012-06-11 2012-10-18 허찬영 환경소음 관리시스템
JP2013122665A (ja) * 2011-12-09 2013-06-20 Ohbayashi Corp 作業者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3803A (ja) * 2001-09-17 2003-03-19 Sato Kogyo Co Ltd 騒音・振動の監視低減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騒音・振動モニタリング装置
JP2005351681A (ja) * 2004-06-09 2005-12-22 Hitachi Ltd 作業管理システム
KR20090053780A (ko) 2006-08-17 2009-05-27 하.체. 스타르크 게엠베하 지르코늄 산화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940285B1 (ko) * 2009-03-20 2010-02-05 (주)제일애드컴 소음 측정이 가능한 전광판 및 그 소음측정 방법
US20110043382A1 (en) * 2009-08-18 2011-02-24 Zhennong Wang Aircraft cabin noise exposure analysis
JP2013122665A (ja) * 2011-12-09 2013-06-20 Ohbayashi Corp 作業者管理システム
KR200463036Y1 (ko) * 2012-06-11 2012-10-18 허찬영 환경소음 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0010A (zh) * 2018-07-12 2018-12-28 星络科技有限公司 社区噪音控制方法、装置、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786B1 (ko)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1760B2 (en) Subsea equipment acoustic monitoring system
US8708052B2 (en) Riser lifecycle management system,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program code
US20160252907A1 (en) Apparatus and method
KR20140022774A (ko) 무결성 모니터링 시스템 및 고정적인 구조물의 무결성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KR20160105903A (ko) 폭발 방지기에서 파이프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RU2696146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постановки судна на якоря
KR101643305B1 (ko) 지하매설물 파손 위험 감지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3174A (ko) 선박 안전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선박 안전 관리 장치 및 선박 안전 관리 시스템
CN103485763A (zh) 监测水下装置的环境条件
EP2678840B1 (en) Safety barrier alert
KR20150082922A (ko) 진동센서를 적용한 음향 카메라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EP2818842B1 (en) Method and system of acoustic monitoring for the detection of leaks in underwater structures containing a fluid under pressure
KR20150082923A (ko) 음향 카메라와 승선자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환경의 소음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CN106482781A (zh) 一种海洋浮式平台原型测量系统
KR101043055B1 (ko) 초음파 선박 항로 유도 시스템 및 장치
JP2010120561A (ja) 船員位置記録システム及び船員位置記録方法
JP7223482B2 (ja) 異常自然現象検知システム、及び異常自然現象検知方法
KR20150022069A (ko) 선박에 구비된 통합정보 관리 시스템
US202002112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offshore structures
Gauthier Real-time and wireless monitoring of wellhead and conductor fatigue
JP2007206880A (ja) 不審船の判定方法
US201500639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Oil Release Management with Booms
GB2579352A (en) System, method and station for subsea monitoring
KR102641243B1 (ko) 시추를 위한 해상 플랫폼에 장착되는 라이저의 각도 감지 시스템 및 각도 감지 방법
CN115903006A (zh) 一种线谱和自相关联合检测的船舶水声监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