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470A -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컴바이너 - Google Patents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컴바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470A
KR20150082470A KR1020157014730A KR20157014730A KR20150082470A KR 20150082470 A KR20150082470 A KR 20150082470A KR 1020157014730 A KR1020157014730 A KR 1020157014730A KR 20157014730 A KR20157014730 A KR 20157014730A KR 20150082470 A KR20150082470 A KR 20150082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ng surface
image
side reflecting
display
r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4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1856B1 (ko
Inventor
다카히로 남바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50082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3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6Projection screens or combi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02B2027/01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comprising devices for attenuating parasitic image effects
    • G02B2027/0121Parasitic image effect attenuation by suitable positioning of the parasit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a combiner of particular shape, e.g. curv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투사기(10)로부터 컴바이너(20)에의 표시 광상(4)의 투사에 의해 당해 표시 광상(4)의 허상(4I, 4I')을 차량(2)의 탑승자(8)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표시한다. 컴바이너(20)는 실내측에서 표시 광상(4)을 반사함으로써 표면 허상(4I)을 생성하는 오목 곡면 형상의 표면측 반사면(21)과, 실내 외측에서 표시 광상(4)을 반사함으로써 이면 허상(4I')을 생성하는 볼록 곡면 형상의 이면측 반사면(22)을 갖는다. 탑승자(8)의 상정 아이 포인트(9a)를 향하여 표면측 반사면(21)과 이면측 반사면(22)으로부터 각각 연신되는 광축(Xf, Xb)은 서로 중첩되고, 표면측 반사면(21)의 곡률 반경(R)은, 이면측 반사면(22)의 곡률 반경(R')보다도 작다.

Description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HEAD-UP DISPLAY DEVICE}
본 개시는, 2012년 12월 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268619호에 기초하는 것으로, 이 개시를 갖고 그 내용을 본 명세서 중에 개시한 것으로 한다.
본 개시는, 표시 광상의 허상을 탑승자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표시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이하, 「HUD 장치」라고 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 HUD 장치로서는, 차량 등의 이동체에서 실외의 외계상을 실내의 탑승자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투과시키는 표시 부재와, 당해 표시 부재에 표시 광상을 투사하는 투사기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HUD 장치의 1종으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에서는, 실내측에서 표시 광상을 반사함으로써 허상을 생성하는 표면측 반사면과, 실내 외측에서 표시 광상을 반사함으로써 허상을 생성하는 이면측 반사면이, 표시 부재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표시 부재의 단면 형상에 의해, 표면측 반사면과 이면측 반사면으로부터 각각 탑승자의 아이 포인트를 향하는 광축은, 서로 중첩되어 있다. 그 결과, 각 반사면에 의한 허상의 시인 어긋남(이중 시인)을 억제하여, 표시 광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HUD 장치에서는, 볼록 곡면 형상의 이면측 반사면의 곡률 반경이 오목 곡면 형상의 표면측 반사면의 곡률 반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으므로, 볼록 렌즈 효과에 의해, 외계상의 결상 위치는, 각 반사면에 의한 허상의 결상 위치보다도 가까워진다. 그 결과로서 탑승자는, 각 반사면에 의한 허상 위치에 시점을 맞추면, 결상 위치가 가까운 외계상을 동시에 시인하기는 어렵게 되어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58688호 공보
본 개시는, 이상 설명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표시 광상 및 외계상의 동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HUD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에서는, 이동체에 있어서 실외의 외계상을 실내의 탑승자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투과시키는 표시 부재와, 상기 표시 부재에 대해 표시 광상을 투사함으로써, 상기 표시 광상의 허상을 상기 탑승자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표시하는 투사기를 구비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 부재는, 상기 실내측에서 상기 표시 광상을 반사함으로써 상기 허상으로서의 표면 허상을 생성하는 오목 곡면 형상의 표면측 반사면과, 상기 실외측에서 상기 표시 광상을 반사함으로써 상기 허상으로서의 이면 허상을 생성하는 볼록 곡면 형상의 이면측 반사면을 갖는다. 상기 이면측 반사면에서 반사되고, 상기 표면측 반사면으로부터 출사한 상기 표시 광상의 광축과, 상기 표면측 반사면에서 반사된 상기 표시 광상의 광축은, 서로 동축을 이루어, 상기 탑승자의 아이 포인트로서 미리 상정되는 상정 아이 포인트까지 연신된다. 상기 표면측 반사면에서 반사되는 상기 표시 광상의 상기 광축이 위치하는 상기 표면측 반사면상의 반사점에 있어서의 상기 표면측 반사면의 곡률 반경은, 상기 이면측 반사면에서 반사되는 상기 표시 광상의 상기 광축이 위치하는 상기 이면측 반사면상의 반사점에 있어서의 상기 이면측 반사면의 곡률 반경보다도 작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HUD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HUD 장치에 의한 표시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HUD 장치의 특징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HUD 장치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의 HUD 장치에 있어서 형성되는 표면 허상 및 이면 허상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도 5의 (b)는 비교예의 HUD 장치에 있어서 형성되는 표면 허상 및 이면 허상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HUD 장치(1)는 「이동체」로서의 차량(2)에 탑재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3) 내에 수용되어 있다. HUD 장치(1)는 투사기(10)와, 「표시 부재」로서의 컴바이너(2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사기(10)는 액정 패널 등의 표시기(12)에, 미러 및 렌즈 등의 광학계(14)를 조합하여 이루어진다. 표시기(12)에 표시되는 화상은, 표시 광상(4)으로서 광학계(14)에 입사됨으로써, 당해 계(14)를 통하여 차량(2)의 실내 영역(2a)에 투사된다.
컴바이너(20)는, 투광성 수지에 의해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실내 영역(2a)에 있어서 윈드쉴드(5)보다도 운전석(6)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컴바이너(20)는, 윈드쉴드(5)로부터 운전석(6)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지만, 윈드쉴드(5)에 장착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컴바이너(20)는, 차량(2) 전방의 실외 영역(2b)에 있어서의 외계상(7)(도 2 참조)을 실내 영역(2a)에 있어서의 운전석(6) 상의 탑승자(8)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투과시킨다.
컴바이너(20)는, 실내 영역(2a)측의 표면측 반사면(21)과 실외 영역(2b)측의 이면측 반사면(22)을 갖고 있다. 컴바이너(20)는, 투사기(10)로부터 투사되는 표시 광상(4)의 광축상에 위치함으로써, 각 반사면(21, 22)에 의해 당해 광상(4)을 반사한다. 그 결과, 표면측 반사면(21)에 의해 반사된 표시 광상(4)은 탑승자(8)의 동공(9)에 입사함으로써, 컴바이너(20)보다도 전방[운전석(6)과 반대측]에 결상되는 표면 허상(4I)으로서, 탑승자(8)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표시된다. 그와 동시에, 이면측 반사면(22)에 의해 반사된 표시 광상(4)은 동공(9)에 입사함으로써, 컴바이너(20)보다도 전방에 결상되어 표면 허상(4I)과 중첩되는 이면 허상(4I')으로서, 탑승자(8)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표시된다.
(반사면 형상)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허상(4I)을 생성하는 표면측 반사면(21)은 운전석(6)과 반대측을 향하여 오목해지는 오목 곡면 형상으로, 비구면 등의 자유 곡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한편, 이면 허상(4I')을 생성하는 이면측 반사면(22)은 운전석(6)과 반대측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볼록 곡면 형상으로, 비구면 등의 자유 곡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쐐기각 설정)
도 3에 도시하는 컴바이너(20)의 상하 방향의 단면(20a), 즉, 표면측 반사면(21) 및 이면측 반사면(22)에서 각각 반사되는 표시 광상(4)의 광축(Xf, Xb)을 통하는 종단면에 있어서, 표면측 반사면(21)과 이면측 반사면(22)은, 각각 광축(Xf, Xb)상의 반사점(P, P')을 지나는 접선(C, C') 사이에, 경사 상방을 향하여 넓어지는 쐐기각(Δθ)을 끼우고 있다. 이러한 쐐기각(Δθ)을 반사면(21, 22) 사이에 끼우는 컴바이너(20)는,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를 향할수록 두께가 연속적으로 증대하는 쐐기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의 상정 아이 포인트(9a)를 향하여 각 반사면(21, 22)으로부터 각각 연신되는 광축(Xf, Xb)을, 도 3의 일점쇄선과 같이 반사점(P)으로부터 상정 아이 포인트(9a)측에서 서로 중첩(일치)시키도록, 쐐기각(Δθ)이 설정되어 있다. 다른 표현을 하면, 이면측 반사면(22)에서 반사되고, 표면측 반사면(21)으로부터 출사한 표시 광상(4)의 광축(Xb)과, 표면측 반사면(21)에서 반사된 표시 광상(4)의 광축(Xf)은, 서로 동축을 이루어, 상정 아이 포인트(9a)까지 연신되어 있다. 그리고, 표면측 반사면(21)에서 반사되는 표시 광상(4)의 광축(Xf)이 위치하는 표면측 반사면(21)상의 반사점(P)과, 이면측 반사면(22)에서 반사되는 표시 광상(4)의 광축(Xb)이 위치하는 이면측 반사면(22)상의 반사점(P')의 양쪽을 포함하는 컴바이너(20)의 단면(20a)에 있어서, 표면측 반사면(21)의 반사점(P)에 정접하는 접선(C)과, 이면측 반사면(22)의 반사점(P')에 정접하는 접선(C')은, 소정의 각도[즉, 쐐기각(Δθ)]로 서로 교차하고 있다. 또한, 상정 아이 포인트(9a)라 함은, 운전석(6) 상의 탑승자(8)에 관해, 차량(2)의 사양 등에 따라 미리 상정되는 동공(9)의 중심 위치이다.
구체적으로 쐐기각(Δθ)(°)은 이면측 반사면(22)의 반사점(P')으로부터 표면측 반사면(21)의 반사점(P)으로 입사하는 광축(Xb)상의 입사각(θr)과, 반사점(P')에서의 광축(Xb)상의 반사각(θref) 사이에,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고 있다. 그와 동시에 쐐기각(Δθ)은, 반사점(P')을 향하는 광축(Xb)상의 표면측 반사면(21)에서의 굴절각(θr')과, 반사점(P')에서의 광축(Xb)상의 반사각(θref) 사이에,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고 있다. 따라서, 하기 수학식 1, 2를 정리함으로써, 하기 수학식 3이 도출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또한, 스넬의 법칙에 의해 입사각(θr) 및 굴절각(θr')은, 투사기(10)로부터 반사점(P, P')으로 입사하는 광축(Xf, Xb)상의 입사각(θi, θi')과, 컴바이너(20)의 굴절률(n)의 사이에, 하기 수학식 4를 만족하고 있다.
Figure pct00004
여기서, 반사점(P')으로 출사하는 광축(Xb)상의 표면측 반사면(21)에서의 굴절점(P")과, 반사점(P) 사이의 거리를 D, 반사점(P')으로부터 표면측 반사면(21)으로의 수직점(H)과 동점(P') 사이의 거리를 d로 하면, 거리 D, d의 사이에는, 하기 수학식 5가 성립한다. 또한, 투사기(10)로부터 반사점(P)까지의 거리를 La로 하면, 거리 D, La의 사이에는, 하기 수학식 6이 성립한다. 따라서, 하기 수학식 5, 6을 정리함으로써, 하기 수학식 7이 도출된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여기까지의 지견에 의하면, 상기 각 변수 중 거리 La, d와 입사각(θi)과 굴절률(n)이 부여됨으로써, 상기 수학식 4, 7로부터 입사각(θr) 및 굴절각(θr')을 구하여, 또한 상기 수학식 3으로부터 쐐기각(Δθ)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곡률 설정)
도 3에 있어서 이점쇄선(Lf)은, 표면 허상(4I)의 결상 위치에 있어서의 표면 허상(4I)의 단부(E)로부터 상정 아이 포인트(9a)를 향하는 주 광선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점쇄선(Lb)은, 이면 허상(4I')의 결상 위치에 있어서, 표면 허상(4I)의 단부(E)에 인접하는 이면 허상(4I')의 단부(E')로부터 상정 아이 포인트(9a)를 향하는 주 광선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그들 주 광선(Lf, Lb)을 도 3과 같이 서로 중첩(일치)시키고, 동축을 이루도록, 표면측 반사면(21)의 반사점(P)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R)과, 이면측 반사면(22)의 반사점(P')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R')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투사기(10)와 표면 허상(4I)이 공액으로 되는 초점 거리를 f, 반사점(P)으로부터 표면 허상(4I)의 결상 위치까지의 거리를 Lb로 하면, 거리 f, Lb의 사이에는, 하기 수학식 8이 성립한다.
Figure pct00008
또한, 투사기(10)와 이면 허상(4I')이 공액으로 되는 초점 거리를 f', 반사점(P, P')간의 거리를 굴절률(n)로 나눈 값을, 반사점(P)으로부터 이면 허상(4I')의 결상 위치까지의 거리로부터 차감하여 이루어지는 공기 환산 거리를 Lb'로 하면, 거리 F', Lb'의 사이에는, 하기 수학식 9가 성립한다. 여기서, 하기 수학식 9의 La'는, 굴절점(P")을 경유한 투사기(10)로부터 반사점(P')까지의 공기 환산 거리이며, 하기 수학식 10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또한, 각 허상(4I, 4I')의 상단부(E, E')로부터 상정 아이 포인트(9a)를 향하는 주 광선(Lf, Lb)을 중첩시키고, 동축으로 하기 위해서는, 각 반사면(21, 22)으로부터 각각 연신되어 서로 중첩한 광축[구체적으로는, 이면측 반사면(22)에서 반사되고, 표면측 반사면(21)으로부터 출사한 표시 광상(4)의 광축(Xb)과, 표면측 반사면(21)에서 반사된 표시 광상(4)의 광축(Xf)]에 대해, 각 주 광선(Lf, Lb)이 이루는 각도(φ, φ')를 동등하게 설정하면 되므로, 하기하는 수학식 11이 성립된다. 여기서, 하기 수학식 11의 Lc는, 표면 허상(4I)의 결상 위치로부터 상정 아이 포인트(9a)까지의 거리이며, 하기 수학식 11의 Lc'는, 이면 허상(4I')의 결상 위치로부터 상정 아이 포인트(9a)까지의 거리이다.
Figure pct00011
이상의 지견에 의하면, 거리 La, Lb가 부여됨으로써, 상기 수학식 8로부터 표면 반사에서의 초점 거리 f를 구하여, 당해 거리 f를 만족하는 곡률 반경(R)을 표면측 반사면(21)에 설정 가능하게 된다. 그와 동시에, 구한 초점 거리 f 외에, 거리 La, Lb, Lc, Lc'와 상기 쐐기각 설정에서의 각 변수가 부여됨으로써, 상기 수학식 9, 10, 11로부터 이면 반사에서의 초점 거리 f'를 구하여, 당해 거리 f'를 만족하는 곡률 반경(R')을 이면측 반사면(22)에 설정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수학식 11을 성립시키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 4와 같이 오목 곡면 형상을 이루는 표면측 반사면(21)의 곡률 반경(R)이, 볼록 곡면 형상을 이루는 이면측 반사면(22)의 곡률 반경(R')보다도 작게 설정된다. 즉, 표면측 반사면(21)에서 반사되는 표시 광상(4)의 광축(Xf)이 위치하는 표면측 반사면(21)상의 반사점(P)에 있어서의 표면측 반사면(21)의 곡률 반경(R)은, 이면측 반사면(22)에서 반사되는 표시 광상(4)의 광축(Xb)이 위치하는 이면측 반사면(22)상의 반사점(P')에 있어서의 이면측 반사면(22)의 곡률 반경(R')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 결과, 오목 렌즈 효과가 발휘되게 되므로, 컴바이너(20)를 투과하여 시인되는 외계상(7)의 결상 위치는, 표면 허상(4I) 및 이면 허상(4I')의 각 결상 위치보다도 멀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표면측 반사면(21)에 있어서의 광축(Xf)상의 반사점(P)의 곡률 반경(R)과, 이면측 반사면(22)에 있어서의 광축(Xb)상의 반사점[즉, 반사점(P)에 대응하는 반사점](P')의 곡률 반경(R')의 관계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표면측 반사면(21)에 있어서의 그 외의 반사점의 곡률 반경과, 이 반사점에 대응하는 이면측 반사면(22)에 있어서의 반사점의 곡률 반경의 관계도, 상기 반사점(P)의 곡률 반경(R)과, 반사점(P')의 곡률 반경(R')의 관계와 마찬가지이다.
이상 설명한 HUD 장치(1)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HUD 장치(1)에서는, 컴바이너(20) 중 실내측의 표면측 반사면(21)과 실외측의 이면측 반사면(22)으로부터, 각각 탑승자(8)의 상정 아이 포인트(9a)를 향하여 연신되는 광축(Xf, Xb)끼리는, 서로 중첩된다. 그러므로, 각 반사면(21, 22)에서의 반사에 의해 시인되는 표면 허상(4I)과 이면 허상(4I')의 시인 어긋남은, 중첩된 광축상에서 억제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HUD 장치(1)에서는, 오목 곡면 형상의 표면측 반사면(21)의 곡률 반경(R)이 볼록 곡면 형상의 이면측 반사면(22)의 곡률 반경(R')보다도 작으므로, 컴바이너(20)를 투과하여 시인되는 외계상(7)의 결상 위치는, 오목 렌즈 효과에 의해, 표면 허상(4I) 및 이면 허상(4I')의 각 결상 위치보다도 멀어진다. 그 결과로서 탑승자(8)는 허상(4I, 4I')의 각 결상 위치에 시점을 맞추면서, 결상 위치가 먼 외계상(7)을 동시에 시인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에 의하면, 허상(4I, 4I')으로서 표시되는 표시 광상(4)과 외계상(7)의 동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HUD 장치(1)에 의하면, 표면측 반사면(21) 및 이면측 반사면(22)에서의 반사에 의해 시인되는 표면 허상(4I) 및 이면 허상(4I')의 각 상단부(E, E')로부터 상정 아이 포인트(9a)를 향하는 주 광선(Lf, Lb)끼리는, 서로 중첩된다. 그 결과, 결상 배율의 차이에 의한 허상(4I, 4I')의 시인 어긋남은, 그들 주 광선(Lf, Lb)상에서 억제될 수 있다. 여기서, 주 광선끼리가 서로 중첩되지 않는 도 5의 (b)의 비교예에 대해, 주 광선끼리가 서로 중첩되는 도 5의 (a)의 HUD 장치(1)에서는, 이면 허상(4I')의 결상 위치가 표면 허상(4I)의 결상 위치와 정확하게 중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외계상(7)과 동시 시인되는 표시 광상(4)의 시인성의 향상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HUD 장치(1)에 의하면, 각 반사면(21, 22)에서 광축(Xf, Xb)상의 반사점(P, P')을 통하는 접선(C, C') 사이에는, 쐐기각(Δθ)이 끼워진다. 그러므로, 그들 각 반사면(21, 22)으로부터 상정 아이 포인트(9a)를 향하는 광축(Xf, Xb)끼리를 서로 확실하게 중첩시켜, 중첩된 광축상에서의 허상(4I, 4I')의 시인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당해 실시 형태로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형예 1에서는, 오목 곡면 형상의 표면측 반사면(21)의 곡률 반경(R)이 볼록 곡면 형상의 이면측 반사면(22)의 곡률 반경(R')보다도 작아지는 한에서 각 허상(4I, 4I')의 단부(E, E')로부터 상정 아이 포인트(9a)를 향하는 주 광선(Lf, Lb)이 서로 어긋나 있어도 된다. 또한, 변형예 2에서는, 윈드쉴드(5)와는 별체의 컴바이너(20)에 의해 「표시 부재」를 구성하는 것 이외에도, 윈드쉴드(5)의 일부에 의해 「표시 부재」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변형예 3에서는, 차량(2) 이외의 선박 내지는 비행기 등의 각종 이동체(수송 기기)에, 본 개시를 적용해도 된다.

Claims (4)

  1. 이동체(2)에 있어서 실외의 외계상(7)을 실내의 탑승자(8)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투과시키는 표시 부재(20)와,
    상기 표시 부재(20)에 대해 표시 광상(4)을 투사함으로써, 상기 표시 광상(4)의 허상을 상기 탑승자(8)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표시하는 투사기(10)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부재(20)는, 상기 실내측에서 상기 표시 광상(4)을 반사함으로써 상기 허상으로서의 표면 허상(4I)을 생성하는 오목 곡면 형상의 표면측 반사면(21)과, 상기 실외측에서 상기 표시 광상(4)을 반사함으로써 상기 허상으로서의 이면 허상(4I')을 생성하는 볼록 곡면 형상의 이면측 반사면(22)을 갖고,
    상기 이면측 반사면(22)에서 반사되고, 상기 표면측 반사면(21)으로부터 출사한 상기 표시 광상(4)의 광축(Xb)과, 상기 표면측 반사면(21)에서 반사된 상기 표시 광상(4)의 광축(Xf)은, 서로 동축을 이루어, 상기 탑승자(8)의 아이 포인트로서 미리 상정되는 상정 아이 포인트(9a)까지 연신되고,
    상기 표면측 반사면(21)에서 반사되는 상기 표시 광상(4)의 상기 광축(Xf)이 위치하는 상기 표면측 반사면(21)상의 반사점(P)에 있어서의 상기 표면측 반사면(21)의 곡률 반경(R)은, 상기 이면측 반사면(22)에서 반사되는 상기 표시 광상(4)의 상기 광축(Xb)이 위치하는 상기 이면측 반사면(22)상의 반사점(P')에 있어서의 상기 이면측 반사면(22)의 곡률 반경(R')보다도 작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허상(4I)의 결상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표면 허상(4I)의 단부(E)로부터 상기 상정 아이 포인트(9a)를 향하는 주 광선(Lf)은, 상기 이면 허상(4I')의 결상 위치에 있어서, 상기 표면 허상(4I)의 상기 단부(E)에 인접하는 상기 이면 허상(4I')의 단부(E')로부터 상기 상정 아이 포인트(9a)를 향하는 주 광선(Lb)에 대해, 동축을 이루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허상(4I)의 상기 단부(E)로부터 상기 상정 아이 포인트(9a)를 향하는 상기 주 광선(Lf)과, 상기 이면 허상(4I')의 상기 단부(E')로부터 상기 상정 아이 포인트(9a)를 향하는 상기 주 광선(Lb)은, 상기 이면측 반사면(22)에서 반사되고, 상기 표면측 반사면(21)으로부터 출사한 상기 표시 광상(4)의 상기 광축(Xb)과, 상기 표면측 반사면(21)에서 반사된 상기 표시 광상(4)의 상기 광축(Xf)의 양쪽에 대해, 각각 동등한 각도(φ, φ')를 이루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측 반사면(21)의 상기 반사점(P) 및 상기 이면측 반사면(22)의 상기 반사점(P')의 양쪽을 포함하는 상기 표시 부재(20)의 단면(20a)에 있어서, 상기 표면측 반사면(21)의 상기 반사점(P)에 정접하는 접선(C)과, 상기 이면측 반사면(22)의 상기 반사점(P')에 정접하는 접선(C')은, 소정의 각도(Δθ)로 서로 교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7014730A 2012-12-07 2013-11-27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컴바이너 KR101681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68619 2012-12-07
JP2012268619A JP5831434B2 (ja) 2012-12-07 2012-12-07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PCT/JP2013/006961 WO2014087608A1 (ja) 2012-12-07 2013-11-27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470A true KR20150082470A (ko) 2015-07-15
KR101681856B1 KR101681856B1 (ko) 2016-12-01

Family

ID=50883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4730A KR101681856B1 (ko) 2012-12-07 2013-11-27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컴바이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23616B2 (ko)
JP (1) JP5831434B2 (ko)
KR (1) KR101681856B1 (ko)
DE (1) DE112013005835B4 (ko)
WO (1) WO201408760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7329A (ko) * 2016-01-20 2017-07-28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화면으로 구성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US11945040B2 (en) 2018-11-27 2024-04-02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ic resistance welder and method manufacturing battery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5595B2 (ja) * 2013-04-23 2017-10-04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6582245B2 (ja) * 2014-11-19 2019-10-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及び車両
JP6569898B2 (ja) * 2015-06-30 2019-09-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6561323B2 (ja) 2015-08-31 2019-08-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JPWO2017090562A1 (ja) * 2015-11-24 2018-09-13 Agc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CN109073888A (zh) * 2016-02-25 2018-12-21 柯尼卡美能达株式会社 屏幕以及平视显示装置
JP6451686B2 (ja) 2016-04-26 2019-01-16 株式会社デンソー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20230048916A (ko) 2021-10-05 2023-04-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091B1 (ko) * 1989-09-28 1994-01-05 휴즈 에어크라프트 캄파니 헤드-업 디스플레이, 운행체 헤드-업 디스플레이, 웨지형 방풍창 제조방법 및 웨지형 운행체 방풍창
KR20090027009A (ko) * 2007-09-11 2009-03-1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JP2011207645A (ja) * 2010-03-29 2011-10-20 Nippon Sheet Glass Co Ltd 車両用合わせガラス
JP2012058688A (ja) 2010-09-13 2012-03-22 Yazaki Corp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9437A (ja) 1989-03-29 1990-11-15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表示装置
US6534152B2 (en) 1989-09-28 2003-03-18 Ppg Industries Ohio, Inc. Windshield for head-up display system
US5812332A (en) 1989-09-28 1998-09-22 Ppg Industries, Inc. Windshield for head-up display system
IT1256343B (it) * 1991-08-20 1995-12-01 Ppg Industries Inc Parabrezza automobilistico per un sistema di visualizzazione a testa eretta
WO1999063389A1 (en) * 1998-06-03 1999-12-09 Nippon Sheet Glass Co., Ltd. Head-up display device and laminated glass for head-up display device
ES2671174T3 (es) * 2007-12-07 2018-06-05 Saint-Gobain Glass France Parabrisas curvado de vehículo hecho de vidrio laminad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091B1 (ko) * 1989-09-28 1994-01-05 휴즈 에어크라프트 캄파니 헤드-업 디스플레이, 운행체 헤드-업 디스플레이, 웨지형 방풍창 제조방법 및 웨지형 운행체 방풍창
KR20090027009A (ko) * 2007-09-11 2009-03-1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JP2011207645A (ja) * 2010-03-29 2011-10-20 Nippon Sheet Glass Co Ltd 車両用合わせガラス
JP2012058688A (ja) 2010-09-13 2012-03-22 Yazaki Corp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7329A (ko) * 2016-01-20 2017-07-28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화면으로 구성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US11945040B2 (en) 2018-11-27 2024-04-02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ic resistance welder and method manufacturing battery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31434B2 (ja) 2015-12-09
JP2014115417A (ja) 2014-06-26
US9423616B2 (en) 2016-08-23
KR101681856B1 (ko) 2016-12-01
DE112013005835T5 (de) 2015-08-20
WO2014087608A1 (ja) 2014-06-12
DE112013005835B4 (de) 2020-02-06
US20150338649A1 (en) 2015-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856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컴바이너
US20180356631A1 (en) Free-form surface lens and head-up display
JP4911129B2 (ja) 表示装置
JP6558017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WO2017061040A1 (ja) 投影光学系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6601431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11402630B2 (en) Head-up display and moving body with head-up display mounted thereon
JP7162273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およ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を搭載した移動体
CN110073275B (zh) 虚像显示装置
US10884242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11852809B2 (en) Head-up display and moving body with head-up display mounted thereon
CN110300915B (zh) 虚像显示装置
CN110300913B (zh) 虚像显示装置
WO2017061016A1 (ja) 情報表示装置
CN103631009B (zh) 影像分割式虚像显示装置
TW201409077A (zh) 影像分割式虛像顯示裝置
JP2021128329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US20240151955A1 (en) Image projection device
JP6593464B2 (ja) 虚像表示装置
JP2020073963A (ja) 虚像表示装置
JP2019045843A (ja) 光学投影システム
KR102087804B1 (ko) 허상 표시 장치
JP6593463B2 (ja) 虚像表示装置
WO2019240230A1 (ja) 虚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