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063A - 냉장고, 이에 적용되는 도어 어셈블리, 그리고 도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이에 적용되는 도어 어셈블리, 그리고 도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063A
KR20150082063A KR1020140106155A KR20140106155A KR20150082063A KR 20150082063 A KR20150082063 A KR 20150082063A KR 1020140106155 A KR1020140106155 A KR 1020140106155A KR 20140106155 A KR20140106155 A KR 20140106155A KR 20150082063 A KR20150082063 A KR 20150082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late
door
engaging
groove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8962B1 (ko
Inventor
주선환
양승용
정상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AU2015205138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15205138B2/en
Priority to EP15735242.8A priority patent/EP3093592B1/en
Priority to PCT/KR2015/000155 priority patent/WO2015105331A1/ko
Priority to CA2936059A priority patent/CA2936059C/en
Priority to US15/110,205 priority patent/US10012426B2/en
Priority to CN201580012588.5A priority patent/CN106104183B/zh
Publication of KR20150082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063A/ko
Priority to US15/989,717 priority patent/US1025403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01F23/236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for aerating or carbonating within receptacles or tanks, e.g. distribution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1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combined with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도어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위치하고, 전면이 개방되어 마련되는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전면 및 양 측면을 형성하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의 후방에서 상기 전면판의 양 측면과 결합되는 후면판,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상면 또는 저면을 커버하는 도어캡 및 상기 전면판과 결합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도어캡과 결합되는 제2 연결부를 가지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 이에 적용되는 도어 어셈블리, 그리고 도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REFRIGERATOR AND DOOR ASSEMBLY APPLY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저장하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저장하는 가전 기기이다. 저장실은 전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제공되고,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은 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냉장고의 도어는 복수개의 판을 결합하여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전면과 측면을 형성하는 전면판과 전면판과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후면판, 그리고 전면판과 후면판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의 상면과 저면에 결합되는 도어캡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마련된다.
도어캡과 전면판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결합 부재가 마련된다. 도어캡의 결합 부재는 이에 대응되는 전면판 결합 부재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면판의 형상이 변하거나 도어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판들 사이에 사이뜸이나 들뜸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어 어셈블리의 제조 과정을 단순화하여 도어 어셈블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 이에 적용되는 도어 어셈블리, 그리고 도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어 어셈블리의 제조 과정에서 사이뜸 및 들뜸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 이에 적용되는 도어 어셈블리, 그리고 도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어 어셈블리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도어 어셈블리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 이에 적용되는 도어 어셈블리, 그리고 도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위치하고, 전면이 개방되어 마련되는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전면 및 양 측면을 형성하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의 후방에서 상기 전면판의 양 측면과 결합되는 후면판,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상면 또는 저면을 커버하는 도어캡 및 상기 전면판과 결합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도어캡과 결합되는 제2 연결부를 가지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판은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제1 걸림부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연결 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홈의 내부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은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일측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홀은 상기 제2 결합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은 상기 제2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홈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연결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캡은 내측면에 상기 제2 결합홀에 결합되도록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캡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홈과 나란하게 마련된 제2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홀은 상기 제2 홈의 내부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캡은 상기 도어캡 결합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홈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연결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1 홈보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전면판의 전면, 상기 제1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2 결합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캡은 그 상면이 상기 전면판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 제조방법은, 냉장고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도어 어셈블리 제조방법에 있어서, 전면판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연결 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연결 부재에 도어캡을 결합하고, 상기 전면판과 상기 도어캡의 배면에 후면판을 결합하되, 상기 전면판에 결합된 상기 연결 부재에 상기 도어캡을 결합하여 상기 전면판과 상기 도어캡을 고정한다.
상기 전면판에 상기 연결 부재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 부재에 마련된 제1 걸림부를 상기 전면판의 일측에 마련된 제1 결합홀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제1 홈과, 상기 제1 홈의 내측에 마련된 제1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판에 상기 연결 부재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면판의 일측에 마련된 제1 결합홀을 상기 제1 홈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걸림부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에 상기 도어캡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캡에 마련된 도어캡 결합 부재를 상기 연결 부재의 일측에 마련된 제2 결합홀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제2 홈과, 상기 제2 홈의 내측에 마련된 제2 결합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에 상기 도어캡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캡에 마련된 도어캡 결합 부재를 상기 제2 홈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결합홀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1 홈보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홈의 외측에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면판에 상기 연결 부재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전면판의 내측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전면판에 상기 연결 부재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는, 냉장고의 개방된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전면 및 양 측면을 형성하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의 후방에서 상기 전면판의 양 측면과 결합되는 후면판,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상면 또는 저면을 커버하는 도어캡 및 상기 전면판과 상기 도어캡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도어캡을 상기 전면판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판은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제1 걸림부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홈의 내부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은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일측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홀은 상기 제2 결합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캡은 내측면에 상기 제2 결합홀에 결합되도록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캡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홈과 나란하게 마련된 제2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제2 홈의 내부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1 홈보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전면판의 전면, 상기 제1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2 결합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도어 어셈블리의 제조 과정을 단순화함으로써 도어 어셈블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도어 어셈블리의 제조 과정에서 사이뜸 및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도어 어셈블리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도어 어셈블리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상부 저장실을 개방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레버 유닛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레버의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2 레버의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제3 레버의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냉장고의 탄산수 생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냉장고가 물, 얼음, 그리고 탄산수를 생성하고 이를 디스펜서로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디스플레이 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의 냉장고의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9의 냉장고의 전면판의 관통홀들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9의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꺼진 상태에서의 전면판의 관통홀들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의 선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9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입력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의 냉장고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도어 어셈블리의 전면판의 내측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도어 어셈블리의 도어캡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8의 도어 어셈블리의 연결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2A는 도 18의 도어 어셈블리의 전면판과 연결 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B는 도 18의 도어 어셈블리의 도어캡과 연결 부재가 결합되는 상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4는 도 18의 도어 어셈블리의 변형예에 따른 도어캡을 저면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도어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26의 도어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8은 도 26의 도어 어셈블리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9는 도 28의 도어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0은 도 2의 도어의 배면에 설치된 틸트 가드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틸트 가드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0의 도어 가드 어셈블리의 저면의 틸트 유닛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33은 도 31의 틸트 유닛의 회전 조절 부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4 내지 도 36은 도 30의 틸트 가드 어셈블리가 틸트 유닛에 의해 회전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틸팅 가드 어셈블리를 상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8는 도 37의 틸팅 가드 어셈블리를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9 및 도 40는 도 37의 틸트 가드 어셈블리가 틸트 유닛에 의해 회전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1는 도 2의 냉장고의 회전 가드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2은 도 41의 회전 가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3은 도 41의 회전 가드 어셈블리가 회전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상부 저장실을 개방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20,30)과, 저장실(20,3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0,30)을 형성하는 내상과,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과, 내상과 외상 사이에 배치되어 저장실(20,30)을 단열하는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20,30)은 중간격벽(11)에 의해 상측의 냉장실(20)과, 하측의 냉동실(30)로 구획될 수 있다. 냉장실(20)은 대략 영상 3 ℃ 의 온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할 수 있고, 냉동실(30)은 대략 영하 18.5 ℃ 의 온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할 수 있다. 냉장실(20)에는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23)과, 식품을 밀폐 보관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 박스(27)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20)의 상부 모퉁이에는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제빙실(81)이 제빙실 케이스(82)에 의해 냉장실(20)과 구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빙실(81)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트레이와, 제빙트레이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버킷 등의 제빙 장치(80)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냉장실(20)에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워터 탱크(70)가 마련될 수 있다. 워터 탱크(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납 박스(27)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냉장실(20) 내부의 냉기에 의해 워터 탱크(70)의 물이 냉각될 수 있도록 냉장실(20) 내부에만 마련되면 족하다.
워터 탱크(70)는 수도와 같은 외부의 급수원(40,도 8)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정수필터(50,도 8)를 통해 정수된 정수를 저장할 수 있다. 외부의 급수원(40)과 워터 탱크(70)를 연결하는 급수관에는 유로 전환 밸브(60)가 마련될 수 있고, 유로 전환 밸브(50)를 통해 제빙 장치(80)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냉장실(20)과 냉동실(30)은 각각 식품을 출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전면을 갖는다. 냉장실(20)의 개방된 전면은 본체(10)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도어(21,2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냉동실(30)의 개방된 전면은 본체(10)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도어(31,3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냉장실 도어(21,22)의 배면에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도어 가드(24)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냉장실 도어(21,22) 배면 테두리부에는 냉장실 도어(21,22)가 닫혔을 때 냉장실 도어(21,22)와 본체(10)의 사이를 밀폐하여 냉장실(20)의 냉기를 단속하는 가스켓(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 도어(21,22) 중 어느 하나의 냉장실 도어(21)에는 냉장실 도어(21,22)가 닫혔을 때 냉장실 도어(21)와 냉장실 도어(22)의 사이를 밀폐하여 냉장실(20)의 냉기를 단속하는 회전 바(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 도어(21,22) 중 어느 하나의 냉장실 도어(21)에는 냉장실 도어(21)를 열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100)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펜서(100)는 컵 등의 용기를 삽입하여 물 또는 얼음을 취수할 수 있는 취수 공간(101)과, 디스펜서(100)의 각종 설정을 조작하는 입력 버튼과 디스펜서(100)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된 컨트롤 패널(102)과, 물, 얼음, 그리고 탄산수를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디스펜서(100)를 작동시킬 수 있는 레버 유닛(1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서(100)는 제빙 장치(80)에서 생성된 얼음이 취수 공간(101)으로 배출되도록 제빙 장치(80)와 취수 공간(101)을 연결하는 얼음 슈트(103)을 포함할 수 있다.
취수 공간(101)은 냉장실 도어(21)의 외측면에 위치한다. 얼음 슈트(103)은 냉장실 도어(21)에서 그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홈 형상으로 제공된다.
취수 공간(101)의 상부에는 얼음 슈트(103)가 위치한다. 얼음 슈트(103)는 냉장실(20) 내부에 위치하는 워터 탱크(70), 제빙 장치(80), 그리고 탄산수 생성 장치(140)를 취수 공간(101)과 각각 연결한다. 따라서, 얼음 슈트(103)는 물, 얼음, 그리고 탄산수가 냉장실(20)의 내부로부터 취수 공간(101)으로 이동하는 통로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레버 유닛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1 레버의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제2 레버의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도고, 도 6은 도 3의 제3 레버의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버 유닛(110)은 레버 유닛 몸체부(111), 얼음 토출부(112), 제1 레버(113), 제2 레버(114), 그리고 제3 레버(115)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 유닛 몸체부(111)는 디스펜서(100)의 상면에 결합된다. 레버 유닛 몸체부(111)는 제1 레버(113), 제2 레버(114), 그리고 제3 레버(115)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레버 유닛 몸체부(111)는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마련된 컨트롤 패널(10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 마련된 컨트롤 패널(102)은 디스펜서(100)의 상태를 포함하여 냉장고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가 마련된 컨트롤 패널(102)을 레버 유닛 몸체부(111)외에 다른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레버 유닛 몸체부(111)는 얼음 토출부(112)을 포함한다. 얼음 토출부(112)은 레버 유닛 몸체부(111)의 중앙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얼음 토출부(112)은 냉장실(20) 내부로부터 물, 탄산수, 그리고 얼음이 취수 공간(101)으로 이동되는 통로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레버(113)는 취수 공간(101)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레버(113)는 일측이 레버 유닛 몸체부(101)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1 레버(113)는 고정된 상측이 얼음 토출부(11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레버(113)는 고정된 상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1 레버(113)는 고정된 상단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1 레버(113)는 제1 위치(D11)에서 제2 위치(D12)까지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1 위치(D11)는 제2 위치(D12)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레버(113)는 복원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원 부재(미도시)는 제1 위치(D11)와 제2 위치(D12)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레버(113)를 제1 위치(D11)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제1 레버(113)를 제1 위치(D11)로부터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제1 레버(113)는 제1 위치(D11)로 복귀할 수 있다. 복원 부재(미도시)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1 레버(113)는 제어부(150, 도 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레버(113)는 제1 위치(D11) 또는 제2 위치(D12)로 이동될 때마다 제어부(150, 도 8)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50, 도 8)는 제1 레버(113)의 위치 변화에 따라 냉장고(1)가 기설정된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레버(114)는 취수 공간(101)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레버(114)는 일측이 레버 유닛 몸체부(111)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2 레버(114)는 고정된 상측이 얼음 토출부(11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레버(114)는 제1 레버(113) 고정된 상측이 제1 레버(113)와 얼음 토출부(11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레버(114)는 고정된 상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2 레버(114)는 그 하단이 제1 레버(113)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레버(114)는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의 길이가 제1 레버(113)보다 짧게 제공될 수 있다.
제2 레버(114)는 고정된 상단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2 레버(114)는 제3 위치(D21)에서 제4 위치(D22)까지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3 위치(D21)는 제4 위치(D22)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레버(114)는 복원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원 부재(미도시)는 제3 위치(D21)와 제4 위치(D22)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레버(114)를 제3 위치(D21)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제2 레버(114)를 제3 위치(D21)로부터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제2 레버(114)는 제3 위치(D21)로 복귀할 수 있다. 복원 부재(미도시)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2 레버(114)는 제어부(150, 도 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레버(114)는 제3 위치(D21) 또는 제4 위치(D22)로 이동될 때마다 제어부(150, 도 8)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50, 도 8)는 제2 레버(114)의 위치 변화에 따라 냉장고(1)가 기설정된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3 레버(115)는 취수 공간(101)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레버(115)는 U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3 레버(115)는 양단이 동일한 높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3 레버(115)는 양단이 레버 유닛 몸체부(111)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3 레버(115)는 고정된 양단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3 레버(115)는 제5 위치(D31)에서 제6 위치(D32)까지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5 위치(D31)는 제6 위치(D32)보다 높은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제3 레버(115)는 제5 위치(D31)와 제6 위치(D32)에서만 정지상태로 위치한다. 제3 레버(115)는 제5 위치(D31)로부터 벗어나면 자동적으로 제6 위치(D32)로 이동된다. 또한, 제3 레버(115)는 제6 위치(D32)로부터 벗어나면 자동적으로 제5 위치(D31)로 이동된다.
일 예에 의하면, 제3 레버(115)는 제어부(150, 도 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레버(115)는 제5 위치(D31) 또는 제6 위치(D32)로 이동될 때마다 제어부(150, 도 8)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50, 도 8)는 제3 레버(115)의 위치 변화에 따라 냉장고(1)가 기설정된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상기 디스펜서(100)가 마련된 냉장실 도어(21)의 배면에는 탄산수를 생성하는 탄산수 생성 장치(140)가 장착될 수 있다. 탄산수 생성 장치(140)는 냉장고(1)의 내부에서 탄산수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냉장고의 탄산수 생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냉장고가 물, 얼음, 그리고 탄산수를 생성하고 이를 디스펜서로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물은 외부 급수원(40)으로부터 공급된다. 물은 외부 급수원(40)에서 정수 필터(50)로 이동되어 정수될 수있다. 정수된 물은 정수 필터(50)에서 유로 전환 밸브(60)로 이동된다. 유로 전환 밸브(60)는 정수된 물을 제빙 장치(80)와 워터 탱크(70)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얼음은 제빙실(81) 내부로 이동된 물로부터 생성된다.
워터 탱크(70)로 이동된 물은 정수 공급 유로(70a)를 통해 밸브 어셈블리(145)로 이동된다. 정수된 물은 밸브 어셈블리(145)에서 정수 공급 밸브(145a)를 통해 탄산수 탱크(141)로 이동되거나, 정수 배출 밸브(145b)를 통하여 디스펜서(100)의 취수 영역(101)으로 이동될 수 있다. 탄산수 탱크(141)로 이동된 물은 별도의 유로를 통해 탄산수 탱크(141)로 이동된 이산화탄소와 결합하여 탄산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는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142)의 내부에 제공된다. 일 예에 의하면,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142)는 교환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142)는 내부의 이산화탄소를 모두 소진하면, 다른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142)로 교체되어 이산화탄소를 공급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는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142)로부터 이산화탄소 공급 유로(142a)를 통하여 탄산수 탱크(141)로 이동된다. 이산화탄소 공급 유로(142a)에는 이산화탄소 공급 밸브(142b)가 제공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공급 밸브(142b)는 이산화탄소 공급 유로(142a)를 통과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는 이산화탄소 공급 유로(142a)를 통하여 탄산수 탱크(141)에 저장된 물 내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탄산수가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탄산수는 탄산수 배출 유로(141a)를 통하여 밸브 어셈블리(145)로 이동된다. 밸브 어셈블리(145)에서 탄산수 배출 밸브(145c)는 디스펜서(100)로 제공되는 탄산수를 제어한다.
일 예에 의하면, 제어부(150)는 레버 유닛(110), 밸브 어셈블리(145), 그리고 제빙 장치(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레버 유닛(110)은 제1 레버(113), 제2 레버(114), 그리고 제3 레버(115)의 동작 신호를 제어기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는 레버 유닛(110)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밸브 어셈블리(145)와 제빙 장치(80)의 작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밸브 어셈블리(145)가 정수 배출 밸브(145b)와 탄산수 배출 밸브(145c)를 조절하여 탄산수, 정수된 물, 그리고 얼음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취수 공간(101)으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3 레버(115)는 탄산수의 배출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제3 레버(115)가 제5 위치(D31)에 있는 경우에 제어부(150)는 탄산수 배출 밸브(145c)를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제1 레버(113)가 제2 위치(D12)로 이동하면, 제어부(150)는 취수 공간(101)으로 물이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레버(114)가 제4 위치(D22)로 이동하면, 제어부(150)는 취수 공간(101)으로 얼음이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3 레버(115)가 제6 위치(D32)에 있는 경우에 제어부(150)는 탄산수 배출 밸브(145c)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제1 레버(113)가 제2 위치(D12)로 이동하거나 제2 레버(114)가 제4 위치(D22)로 이동하면 제어부(150)는 취수 공간(101)으로 탄산수가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3 레버(115)가 제6 위치(D32)에 있는 경우에 제어부(150)는 제1 레버(113)가 제2 위치(D12)로 이동하면 취수 공간(101)으로 물이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제2 레버(114)가 제4 위치(D22)로 이동하면 취수 공간(101)으로 탄산수가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3 레버(115)가 제6 위치(D32)에 있는 경우에 제어부(150)는 제1 레버(113)가 제2 위치(D12)로 이동하면 취수 공간(101)으로 탄산수가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제2 레버(114)가 제4 위치(D22)로 이동하면 취수 공간(101)으로 얼음이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9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디스플레이 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9의 냉장고의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도어(21)는 도어(21)의 전면 및 양 측면을 형성하는 전면판(21a)과, 전면판(21a)의 배면에 결합되고 도어(21)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판(21b)과, 전면판(21a)과 후면판(21b)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밀폐하는 상부캡(21c)과 하부캡(21d)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면판(21a)은 스틸, 알루미늄, 합금, PCM, VCM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판(21a)은 하나의 판재가가 도어(21)의 전면 및 양 측면을 형성하도록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면판(21a)은 금속 재질의 특성상 강화유리판(tempered glass plate) 또는 플라스틱판(resin plate)에 비해 강도가 크며 또한 고급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다. 전면판(21a)은 금속 특유의 표면 처리(surface treatment)를 통해서 미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즉, 전면판(21a)의 표면에는 헤어라인(hair line) 가공, 미러(mirror) 연마 가공 또는 비드 블라스트(bead blast) 가공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전면판(21a)에는 이들 중에 어느 하나의 가공만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전면판(21a)에 상기 복수의 가공이 모두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전면판(21a)은 헤어라인 무늬와, 광택과, 비드를 모두 가질 수 있다. 이때, 공정 순서는 미러 연마 가공과, 헤어라인 가공과, 비드 블라스트 가공의 순서일 수 있다.
후면판(21b)은 수지 재질로 진공 성형될 수 있다. 후면판(21b)은 도어 가드를 장착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돌출되는 다이크(21f)를 가질 수 있다.
상부캡(21c)과, 하부캡(21d)은 각각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전면판(21a)과, 후면판(21b)과, 상부캡(21c)과, 하부캡(21d)을 결합시킨 후에 내부 공간에 단열재 발포액을 주입 및 발포시킬 수 있다.
즉, 전면판(21a)과 후면판(21b)의 사이에는 단열재(39)가 발포되는 발포 공간(21e)이 형성된다. 단열재(39)는 저장실(20)의 단열을 위한 것으로서 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다. 발포 공간(21e)에 단열재 발포액의 발포가 완료되면 발포액의 접착력에 의해 전면판(21a)과, 후면판(21b)과, 상부캡(21c)과 하부캡(21d)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어(21)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가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냉장고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거나 냉장고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디스플레이 하우징(210), 디스플레이 가이드부(220), 디스플레이 유닛(230), 그리고 입력 부재(27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하우징(210)은 전면과 상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디스플레이 하우징(210)은 도어(21)의 내측에서 전면판(21a)의 배면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하우징(210)은 내부에 수용 공간(211)을 포함한다. 수용 공간(211)은 디스플레이 하우징(210)의 전방에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211)은 디스플레이 가이드부(220)와 디스플레이 유닛(230)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수용 공간(211)에는 디스플레이 유닛(230)을 전방 측으로 가압하여 디스플레이 유닛(23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돌기(212)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 돌기(212)는 디스플레이 하우징(210)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 돌기(212)는 디스플레이 하우징(2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 돌기(212)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유닛(23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대략 완만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고정 돌기(212)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 부재로 마련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가이드부(220)는 디스플레이 하우징(21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가이드부(220)는 가이드부 전면판(221), 가이드부 측면판(222), 그리고 가이드 지지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가이드부(220)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유닛(230)이 전면판(21a)의 배면에 밀착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부 전면판(221)은 디스플레이 유닛(230)의 전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부 측면판(222)은 가이드부 전면판(221)의 양측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 지지부(223)는 가이드부 측면판(222)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벤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가이드부 측면판(222)은 하부로 갈수록 가이드부 전면판(221)으로부터 연장된 길이가 작아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측면에서 바라볼때, 가이드부 측면판(222)은 사선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30)은 측면에 디스플레이 가이드 부재(237)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가이드 부재(237)는 디스플레이 유닛(230)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가이드 부재(237)는 일단이 디스플레이 유닛(230)의 양측면 하단의 전방에 위치하고, 타단이 디스플레이 유닛(230)의 양측면 상단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가이드 부재(237)는 디스플레이 유닛(230)의 측면 하단 전방으로부터 상측 후면 방향으로 사선으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발포 공간(21e)에 단열재(39) 발포액을 주입 및 발포 시에 수용 공간(211)에는 단열재(39) 발포액이 침투하지 않아야 하므로 이를 위해 상부캡(21c)은 디스플레이 하우징(63)의 전면이 전면판(21a)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하우징(210)이 전면판(21a)의 배면에 밀착됨으로써 몸체부(61)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211)은 발포 공간(21e)과 분리 구획될 수 있다. 즉, 수용 공간(211)의 상하좌우 측 및 후방 측은 디스플레이 하우징(210)에 의해 커버되고, 전방 측은 전면판(21a)의 배면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용 공간(211)과 발포 공간(21e)의 밀폐를 보장하도록 디스플레이 하우징(210)의 전면에는 실링 부재가 마련될 수도 있다. 실링 부재는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마련되거나, 테이프와 같은 접착성이 있는 물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부캡(21c)는 상부캡 삽입홀(213)을 통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의 수용 공간(211)으로 삽입된 후에 상부캡 삽입홀(213)을 밀폐하는 커버(214)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도어(21)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에서 특정 정보가 표시되면 그 정보는 전면판(21a)의 다수의 관통홀들(229)을 통해서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3은 도 9의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230)은 커버 시트(231)와, 빛을 발산하는 광원부(233)와, 광원부(233)에서 발산되는 빛을 표시부(231b)로 안내하는 안내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시트(231)는 밝아지거나 어두워짐으로써 냉장고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31b)와, 상대적으로 항상 어두운 상태로 유지되는 저지부(231a)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31b)는 투명 재질 또는 형광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저지부(231a)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시트(231)는 안내부(232)와 별도로 마련되고 안내부(232)의 일면에 접착될 수 있다.
표시부(231b)는 냉장고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그림, 문자, 숫자, 기호 및 그들의 일부를 이루는 세그먼트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시트(231)에 빛이 비춰지면 표시부(231b)의 그림, 문자, 숫자 및 기호 등이 밝혀지게 되고 냉장고의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광원부(233)는 빛을 발산하는 엘이디(234)를 포함할 수 있다. 엘이디(234)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안내부(232)는 엘이디(234)에서 발산되는 빛이 커버 시트(231)로 향하도록 안내한다. 안내부(232)는 빛을 반사시키는 재질로 형성되는 안내 바디부(232a)와, 안내 바디부(232a)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안내홀(232b)을 포함한다. 안내홀(232b)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이디(234) 측에서 커버 시트(231) 측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도 9의 냉장고의 전면판의 관통홀들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9의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꺼진 상태에서의 전면판의 관통홀들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4의 선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도어(21)의 내부에 히든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가 특정 정보를 표시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1)의 전면판(21a)의 다수의 관통홀들(229)을 통해 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전면판(21a)에 형성되는 관통홀(229)들은 대략 0.1 mm ~ 0.5 mm 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관통홀(229)들 간의 간격은 대략 0.3 mm ~ 1.5 mm 일 수 있다. 관통홀들(51)은 대략 사용자의 육안으로 관측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전면판(21a)의 두께는 0.6 mm 이하라고 가정한다.
이러한 관통홀(229)들은 에칭 가공 또는 레이저 드릴링 가공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관통홀(229)의 크기를 0.3 mm ~ 0.4 mm 의 범위로 하는 경우 정밀도가 높은 에칭 가공이 적합할 수 있다.
관통홀(229)의 크기를 0.2 mm 이하로 하는 경우에는 다소의 열 변형 또는 버(Burr)가 발생될 수 있으나 레이저 드릴링 가공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대적으로 크기가 소형인 형상은 관통홀(229)의 크기가 크면 변별력이 떨어지므로, 관통홀(229)의 크기를 0.2 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관통홀(229)들은 표시부(231b)의 그림, 문자 및 숫자의 세그먼트 등에 각각 대응되는 그림(229a), 문자(229b) 및 숫자의 세그먼트(229c) 등의 형상을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엘이디(234)가 발광되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에 특정의 그림, 문자, 숫자, 기호 등이 표시되면, 그 특정의 그림, 문자, 숫자, 기호 등이 도어의 전면판(21a)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7은 도 9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입력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은 입력 부재(270)가 디스플레이 유닛(230)으로부터 분리되어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30)은 도어(21)에서 사용자가 보기 편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230)은 상부 도어(21)의 내측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입력 부재(270)는 디스플레이 유닛(230)이 위치하는 도어(270)와 상이한 도어에 위치할 수 있다. 입력 부재(270)는 하부 도어(32)의 상부캡(32a)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입력 부재(270)는 냉장고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 부재(270)는 정전식 터치 센싱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입력 부재(270)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전하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센서는 사용자가 터치 버튼(271)의 위치에 대응되는 특정 영역을 터치하면 터치 버튼(271)을 타고 흐르는 전하의 변화를 측정하여 터치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입력 부재(270)는 정전식 방식 이외에 감압식 방식, Dome 여위치 방식, 근접 센싱(IR) 방식 등 공지의 다양한 방식이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도어(21)의 전면판(21a)에 관통홀(229)을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유닛(230)를 도어(21)의 내부에 배치시켜 히든시키는 것은 단순히 냉장고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조리기기 등의 키친 가전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8은 도 1의 냉장고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도어 어셈블리의 전면판의 내측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어셈블리(300)는 전면판(310), 후면판(320), 그리고 도어캡(330, 34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판(310)은 도어 어셈블리(300)의 전면 및 양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전면판(310)은 스틸, 알루미늄, 합금, PCM, VCM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판(310)은 하나의 판재가 도어 어셈블리(300)의 전면(311) 및 양 측면(312, 313)을 형성하도록 벤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310)은 상단으로부터 도어 어셈블리(30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1 결합부(315)와 제1 결합부(315)의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2 결합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315)와 제2 결합부(316)는 하나의 판재가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면판(310)은 제1 결합홀(3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홀(317)은 후술하는 연결 부재(350)의 제1 걸림부(353)가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전면판(310)과 연결 부재(35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홀(317)은 제2 결합부(316)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결합홀(317)은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제1 결합홀(317)은 제2 결합부(316)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제1 결합홀(317)은 전면판(310)의 전면(311)과 양 측면(312, 313)에도 마련될 수 있다.
제1 결합부(315)와, 제2 결합부(316), 그리고 제1 결합홀(317)은 전면판(310)의 하단에도 마련될 수 있다. 전면판(310)의 하단에 마련된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그리고 제1 결합홀은 하부캡(340)과 결합되는 연결 부재(350)와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도 18을 참조하면, 후면판(320)은 전면판(310)의 배면에 결합되어 도어 어셈블리(300)의 후면을 형성한다. 후면판(320)은 전면판(310)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후면판(320)은 전면판(310)의 양 측면(312, 313)의 후단과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후면판(320)은 수지 재질로 진공 성형될 수 있다. 후면판(320)은 도어 가드를 장착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돌출되는 다이크(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도 20은 도 18의 도어 어셈블리의 도어캡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도어캡(330, 340)은 도어 어셈블리(300)의 상면과 저면을 커버할 수 있다. 도어캡(330, 340)은 전면판(310)과 후면판(32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밀폐할 수 있다. 도어캡(330, 340)은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도어캡(330, 340)은 도어 어셈블리(300)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캡(330)과, 도어 어셈블리(300)의 저면을 커버하는 하부캡(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캡(330)과 하부캡(340)은 상호간에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부캡(330)과 하부캡(340)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캡(330)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하부캡(34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부캡(330)은 전면판(310)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캡(330)은 일측에 상부캡(330)을 결합 부재(350)에 결합시키는 도어캡 결합 부재(3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캡 결합 부재(333)는 상부캡(330)의 저면에서 도어 어셈블리(30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도어캡 결합 부재(333)는 후술하는 연결 부재(3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캡 결합 부재(333)는 상부캡(330)과 연결 부재(35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어캡 결합 부재(333)는 결합 부재 몸체부(333a)와 결합 부재 돌출부(333b)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재 몸체부(333a)는 상부캡(33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부재 몸체부(333a)는 제2 홈(356)의 내부에 마련된 제2 결합홀(357)을 통과할 수 있도록 제2 홈(356)의 깊이보다 길게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부재 돌출부(333b)는 결합 부재 몸체부(333a)의 하부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부재 돌출부(333b)는 결합 부재 몸체부(333a)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부재 돌출부(333b)는 제2 결합홀(357)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도어캡 결합 부재(333)는 연결 부재(350)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캡(330)은 후술하는 연결 부재(350)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면이 전면판(31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캡(330)은 후술하는 연결 부재(350)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전면이 전면판(310)의 제2 결합부(316)와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어셈블리(300)의 연결 부재(35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1은 도 18의 도어 어셈블리의 연결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2A는 도 18의 도어 어셈블리의 전면판과 연결 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2B는 도 18의 도어 어셈블리의 도어캡과 연결 부재가 결합되는 상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2B를 참조하면, 연결 부재(350)는 제1 연결부(3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351)는 전면판(310)의 일측이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51)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걸림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부(353)는 전면판(310)에 마련된 제1 결합홀(317)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걸림부(353)는 서로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351)는 제1 홈(3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352)은 연결 부재(35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352)은 전면판(310)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홈(352)은 전면판(310)의 제2 결합부(316)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홈(352)은 연결 부재(350)와 전면판(3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홈(352)의 내측에 제2 결합부(316)가 위치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걸림부(353)는 제1 홈(352)과 동일선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걸림부(353)는 제2 결합부(316)가 제1 홈(352)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제1 결합홀(317)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2 결합부(316)를 제1 홈(352)에 삽입하면 자동적으로 제1 걸림부(353)가 제1 결합홀(317)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홈(352)은 전면판(310)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연결 부재(350)는 제2 연결부(3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355)는 상부캡(340)의 일측이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부(352)는 제2 결합홀(357)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홀(357)은 상부캡(340)의 도어캡 결합 부재(333)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결합홀(357)은 제1 걸림부(353)보다 도어 어셈블리(30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결합홀(357)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355)는 제2 홈(3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홈(356)은 연결 부재(35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356)은 제1 홈(352)과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홈(356)은 연결 부재(350)의 상면에서 제1 홈(352)보다 도어 어셈블리(30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결합홀(357)은 제2 홈(356)의 내부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결합홀(357)은 상부캡(330)의 도어캡 결합부재(333)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홈(356)의 내측에서 도어캡 결합부재(333)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홈(356)은 제1 홈(352)의 내측에 나란하게 위치하고, 제2 결합홀(357)은 제2 홈(356)의 내부 일측에 제공되므로, 연결 부재(350)에 결합되는 상부캡(330)은 전면이 연결 부재(350)에 결합되는 전면판(310)과 마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 부재(350)는 가이드부(3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358)는 제1 홈(352)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358)는 전면판(310)의 전면(311), 제1 결합부(315) 그리고 제2 결합부(316)로 둘러싸인 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가이드부(358)는 전면판(310)과 연결 부재(3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면판(310)의 전면(311), 제1 결합부(315) 그리고 제2 결합부(316)로 둘러싸인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이드부(358)를 전면판(310)의 내측면에 마주한 상태에서 전면판(310)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연결 부재(350)와 전면판(310)을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냉장고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도어 어셈블리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8에 도시된 도어 어셈블리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 제조방법은 전면판(3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연결 부재(350)를 결합하고(S10), 연결 부재(350)에 도어캡(330, 340)을 결합하고(S20), 전면판(310)과 도어캡(330, 340)의 배면에 후면판(320)을 결합하되(S30), 전면판(310)에 결합된 연결 부재(350)에 도어캡(330, 340)을 결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판(310)과 연결 부재(350)를 결합하는 과정(S10)에서는, 전면판(310)의 제1 결합홀(317)를 연결 부재(350)의 제1 걸림부(353)에 결합할 수 있다. 전면판(3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개의 제1 결합홀(317)과 이에 대응하는 개수로 제공되는 연결 부재(350)의 제1 걸림부(353)를 결합할 수 있다. 연결 부재(350)에 마련된 제1 걸림부(353)를 전면판(310)의 일측에 마련된 제1 결합홀(317)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판(310)의 제2 결합부(316)를 제1 홀(352)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제1 걸림부(353)와 제1 결합홀(317)을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홀(352)과 제2 결합부(316)가 제1 걸림부(353)와 제1 결합홀(317)의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350)의 가이드부(358)를 전면판(310)의 내측면에 마주하는 상태로 전면판(310)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전면판(310)과 연결 부재(350)를 결합할 수 있다. 가이드부(358)를 전면판(310)의 내측면에 마주한 상태로 상부로 이동하면, 가이드부(358)가 전면판(310)의 전면(311), 제1 결합부(315) 그리고 제2 결합부(316)로 둘러싸인 공간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제1 걸림부(353)와 제1 결합홀(317)의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가이드부(358)는 제1 걸림부(353)와 제1 결합홀(317)의 결합을 가이드하여 보다 용이하게 전면판(310)과 연결 부재(350)를 결합할 수 있다.
전면판(310)에 결합된 연결 부재(350)에 도어캡(330, 340)을 결합하는 과정(S20)에서는, 도어캡(330, 340)의 도어캡 결합부재(333)를 연결 부재(350)의 제2 결합홀(357)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연결 부재(350)의 제2 결합홀(357)은 제2 홈(356)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도어캡 결합부재(333)를 제2 홈(356)의 내부로 이동시켜 제2 결합홀(357)에 결합할 수 있다.
전면판(310)에 결합된 연결 부재(350)에 도어캡(330, 340)을 결합하는 과정(S20)은, 전면판(310)에 연결 부재(350)를 결합된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면판(310)에 고정 설치된 연결 부재(350)의 상부에서 도어캡(330, 340)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연결 부재(350)에 결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면판(310)에 결합된 연결 부재(350)에 도어캡(330, 340)을 결합하는 과정(S20)은, 연결 부재(350)에 전면판(310)이 결합되기 전에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어캡(330, 340)이 결합된 상태의 연결 부재(350)를 전면판(310)에 결합할 수 있다.
도어캡(330, 340)을 연결 부재(350)에 결합한 이후에 전면판(310)과 도어캡(330, 340)의 배면에 후면판(320)을 결합(S30)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으로 인하여,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도어 어셈블리(300)를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면판(310)과 도어캡(330, 340) 상호간의 직접적인 결합 없이도 전면판(310)과 도어캡(330, 340)을 결합할 수 있다. 연결 부재(350)를 각각 전면판(310)과 도어캡(330, 340)에 결합하여 전면판(310)과 도어캡(330, 340)을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전면판(310)과 도어캡(330, 340)의 형상을 변화시키지 않고 도어캡(330, 340)을 전면판(3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전면판(310)과 도어캡(330, 340)의 결합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이뜸 및 들뜸 현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면판(310)과 도어캡(330, 340)의 조립공정을 단순화하여 조립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냉장고의 전면에 전면판(310)과 도어캡(330, 340)사이의 간격이 보이지 않도록 구성되어 미관상 우수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어의 전면판(310)과 상부캡(330)이 연결 부재(350)를 통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도어의 전면판(310)과 하부캡(340)도 연결 부재(350)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냉장고(1)의 상부 도어(21,22)와 하부 도어(31,32) 모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50)를 이용하여 전면판과 상부캡 또는 하부캡이 결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301)를 설명한다.
도 24는 도 18의 도어 어셈블리의 변형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의 도어캡을 저면에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5는 도 24의 도어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도 18의 도어 어셈블리의 변형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301)는 전면판(310), 후면판(320), 도어캡(360), 그리고 연결 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301)는 도 18의 도어 어셈블리(300)와 비교할 때 도어캡(360)의 구성이 상이하게 제공되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게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도 18의 도어 어셈블리(30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어캡(360)은 연결 부재(340)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전단이 전면판(3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도어캡(360)은 저면이 전면판(310)의 제1 결합부(315)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부에서 바라볼 때 도어캡(360)은 그 전단이 전면판(310)의 전단과 동일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어캡(360)은 도 18의 도어캡(330)과 비교하여 연결 부재(3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면판(3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캡(360)은 도 18의 도어캡(330)보다 전면이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면이 도 18의 도어캡(330)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도어캡(360)은 저면 일측에 도어캡 결합 부재(363)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캡 결합 부재(363)는 도어캡(360)의 저면의 전단으로부터 일정간격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도어캡 결합 부재(363)는 연결 부재(350)의 제2 결합홀(357)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302)를 설명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7은 도 26의 도어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302)는 전면판(370), 후면판(320), 그리고 도어캡(38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302)는 도 18의 도어 어셈블리(300)와 비교할 때 연결 부재(350)가 생략되고, 도어캡(380)의 구성이 상이하게 제공된다. 그 외의 구성은 도 18의 도어 어셈블리(300)와 동일하게 제공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 18의 도어 어셈블리(300)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전면판(370)은 상단으로부터 도어 어셈블리(302)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1 결합부(375)와 제1 결합부(375)의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2 결합부(376), 그리고 제2 결합부(376)의 일측으로부터 도어 어셈블리(302)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3 결합부(37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375)와 제2 결합부(376), 그리고 제3 결합부(377)는 하나의 판재가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375)와 제2 결합부(376), 그리고 제3 결합부(377)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전면판(370)은 도어캡 결합홀(378)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캡 결합홀(378)은 후술하는 도어캡(380)의 일측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도어캡 결합홀(378)은 제3 결합부(377)에 마련될 수 있다.
도어캡(380)은 전면판(370)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캡(380)은 일측에 도어캡(380)을 전면판(370)에 결합시키는 도어캡 결합 부재(38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캡 결합 부재(383)는 제1 도어캡 결합부(383a), 제2 도어캡 결합부(383b), 그리고 돌출부(383c)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캡 결합 부재(383)는 도어캡(380)의 몸체(381)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캡 결합 부재(383)는 전면판(370)의 제1 결합부(375)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어캡 결합 부재(383)는 제1 결합부(375)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도어캡 결합부(383a)는 도어캡의 몸체(38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도어캡 결합부(383a)는 하단이 전면판(370)의 제3 결합부(377)보다 낮은 위치에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도어캡 결합부(383b)는 제1 도어캡 결합부(383a)의 일측으로부터 전면판(370)을 향하여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도어캡 결합부(383b)는 전면판(370)의 제3 결합부(377)의 저면과 마주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383c)는 제2 도어캡 결합부(383b)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383c)는 제2 도어캡 결합부(383b)의 상면서 상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383c)는 전면판(370)의 제3 결합부(377)에 마련된 도어캡 결합홀(378)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302)는 전면판(370)의 제3 결합부(377)에 마련된 도어캡 결합홀(378)에 도어캡(380)의 돌출부(383c)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인하여, 도어 어셈블리(302)는 전면판(370)과 도어캡(380)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도 26의 도어 어셈블리의 변형예(303)를 설명한다.
도어 어셈블리(303)는 도 26의 도어 어셈블리(302)와 비교할 때 전면판(370)과 도어캡(380)의 구성이 일부 상이하고, 그 외의 구성을 동일하게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도어 어셈블리(303)에 대하여 도 26의 도어 어셈블리(302)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8은 도 26의 도어 어셈블리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9는 도 28의 도어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도어 어셈블리(303)는 전면판(370), 후면판(320), 그리고 도어캡(38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판(370)은 상단으로부터 도어 어셈블리(302)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1 결합부(375) 및 제1 결합부(375)의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2 결합부(37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375)와 제2 결합부(376)는 하나의 판재가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375)와 제2 결합부(376)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전면판(370)은 도어캡 결합홀(379)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캡 결합홀(379)은 후술하는 도어캡(380)의 일측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도어캡 결합홀(379)은 제2 결합부(376)에 마련될 수 있다.
도어캡(380)은 전면판(370)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캡(380)은 일측에 도어캡(380)을 전면판(370)에 결합시키는 도어캡 결합 부재(385)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캡 결합 부재(385)는 제1 도어캡 결합부(385a), 제2 도어캡 결합부(385b), 제3 도어캡 결합부(385c) 그리고 돌출부(385d)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캡 결합 부재(385)는 도어캡(380)의 몸체(381)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캡 결합 부재(385)는 전면판(370)의 도어캡 결합홀(378)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어캡 결합 부재(385)는 도어캡 결합홀(378)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도어캡 결합부(385a)는 도어캡의 몸체(38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도어캡 결합부(385a)는 하단이 전면판(370)의 제2 결합부(376)보다 낮은 위치에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도어캡 결합부(385b)는 제1 도어캡 결합부(385a)의 일측으로부터 전면판(370)을 향하여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도어캡 결합부(385b)는 전면판(370)의 제2 결합부(376)의 저면과 마주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3 도어캡 결합부(385c)는 제2 도어캡 결합부(385b)의 일측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3 도어캡 결합부(385c)는 전면판(370)과 도어캡(38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전면판(370)의 전면(371)과 제2 결합부(376)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385d)는 제3 도어캡 결합부(385c)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385d)는 도어캡 결합홀(378)과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385d)는 도어캡 결합홀(378)에 삽입되어 전면판(370)과 도어캡(38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303)는 전면판(370)의 제2 결합부(376)에 마련된 도어캡 결합홀(378)에 도어캡(380)의 돌출부(385d)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인하여, 도어 어셈블리(303)는 전면판(370)과 도어캡(380)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0은 도 2의 도어의 배면에 설치된 틸트 가드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1은 도 30의 틸트 가드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틸트 가드 어셈블리(400)는 틸트 몸체부(410), 트레이(420), 가드부(430), 그리고 틸트 유닛(450)을 포함한다. 틸트 가드 어셈블리(400)는 도어의 배면(21b)에 설치되고, 도어가 닫혔을 때 냉장실 내부에 위치한다.
틸트 몸체부(410)는 도어의 배면과 결합된다. 틸트 몸체부(410)는 그 배면이 도어의 후면판(21b)과 접촉되도록 제공된다. 틸트 몸체부(410)는 트레이(420) 및 가드부(430)와 결합하여 저장 공간을 형성한다.
일 예에 의하면, 틸트 몸체부(410)는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고정홀(411)을 포함한다. 좌측면의 고정홀(411)과 우측면의 고정홀(411)은 동일한 높이에 제공된다. 고정홀(411)은 제공되는 트레이(420)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틸트 가드 어셈블리(400)에 트레이(420)가 2개 이상 제공되면, 고정홀(411)은 각각의 트레이(420)가 위치하는 높이에서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고정홀(411)은 후술하는 회전 조절부(451)가 삽입되고, 이를 통해 틸트 몸체부(410)와 트레이(420)가 결합될 수 있다.
트레이(42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평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트레이(420)는 틸트 몸체부(410)와 함께 도어의 배면에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트레이(420)는 도어의 배면의 저장 공간에서 위치하는 식품들을 놓여진다. 일 예에 의하면, 트레이(420)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트레이(420)는 좌측면과 우측면에 연결홀(421)이 설치될 수 있다. 좌측면과 우측면의 연결홀(421)들은 측방에서 바라볼 때 중첩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연결홀(421)은 트레이(420)가 틸트 몸체부(4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측방에서 바라볼 때 틸트 몸체부(410)의 고정홀(411)과 중첩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연결홀(421)은 트레이(420)의 측면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홀(421)은 후술하는 회전 조절부(451)가 삽입되고, 이를 통해 틸트 몸체부(410)와 트레이(420)가 결합될 수 있다.
가드부(430)는 트레이(420) 및 틸트 몸체부(410)와 함께 저장 공간을 형성한다. 가드부(430)는 전면 가드부와 전면 가드부의 양단에서 저장 공간의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측면 가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드부(430)는 그 저면이 트레이(420)의 상면 전단과 양 측에 고정되어 제공될 수 있다.
가드부(430)는 저장 공간에 놓여지는 식품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2는 도 30의 도어 가드 어셈블리의 저면의 틸트 유닛을 보여주는 저면도이고, 도 33은 도 31의 틸트 유닛의 회전 조절 부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2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틸트 유닛(450)은 틸트 조절 부재(451), 제1 틸트 걸림 부재(453), 제2 틸트 걸림 부재(455), 핸들 부재(457)를 포함할 수 있다. 틸트 유닛(450)은 트레이(420)와 가드부(430)가 틸트 조절 부재(451)를 축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
틸트 조절 부재(451)는 지지부(451a)와 회전축(451b)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51a)는 일측이 트레이(420)의 저면과 결합된다. 지지부(451a)는 트레이(420)와 함께 회전하고, 그 회전력을 회전축(451b)에 전달할 수 있다.
회전축(451b)은 지지부(451a)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축(451b)은 일측이 틸트 몸체부(4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지지부(451a)와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회전축(451b)은 틸트 몸체부(410)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회전축(451b)은 연결홀(421)과 고정홀(4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축(451b)은 걸림홈(451c)을 가질 수 있다. 걸림홈(451c)은 회전축(451b)의 외측면의 일측에 오목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홀(411)은 내측으로 오목한 회전 조절홈(411a)을 가진다. 고정홀(411)은 삽입된 회전축(451b)이 특정한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고정홀(411)은 그 내측에서 회전하는 회전축(451b)의 걸림홈(451c)의 일측이 회전 조절홈(411a)의 일측에 걸리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회전축(451b)은 고정홀(411)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제1 틸트 걸림 부재(453)는 제1 틸트 걸림부(453a)와 틸트 가이드 홀(453b)을 가진다. 제1 틸트 걸림 부재(453)는 일측이 트레이(42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된다. 제1 틸트 걸림부(453a)는 제1 틸트 걸림 부재(453)의 저면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틸트 걸림부(453a)는 제1 틸트 걸림 부재(453)의 후방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1 틸트 걸림부(453a)는 틸트 가드 어셈블리(400)가 회전될 때 특정한 각도 이상을 회전하면 틸트 몸체부(410)의 저면과 접촉된다. 이를 통해, 제1 틸트 걸림 부재(453)는 틸트 가드 어셈블리(40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틸트 가이드 홀(453b)은 제1 틸트 걸림 부재(453)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틸트 가이드 홀(453b)은 후술하는 제2 틸트 걸림 부재(455)의 틸트 가이드부(455b)가 틸트 가이드 홀(453b)에 삽입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2 틸트 걸림 부재(455)는 제2 틸트 걸림부(455a)와 틸트 가이드부(455b)를 포함한다.
제2 틸트 걸림부(455a)는 제2 틸트 걸림 부재(455)의 후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틸트 걸림부(455a)는 제2 틸트 걸림 부재(455)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2 틸트 걸림부(455a)는 틸트 몸체부(410)의 저면과 접촉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2 틸트 걸림부(455a)는 틸트 몸체부(410)의 저면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틸트 가드 어셈블리(400)가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틸트 가이드부(455b)는 제2 틸트 걸림 부재(455)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틸트 가이드부(455b)는 제2 틸트 걸림 부재(455)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틸트 가이드부(455b)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틸트 가이드부(455b)는 틸트 가이드 홀(453b)과 동일한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의 틸트 가이드부(455b) 중 일부 또는 전부에는 복원 부재(456)가 제공될 수 있다. 복원 부재(456)는 틸트 가이드 홀(453b)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복원 부재(456)는 제2 틸트 걸림 부재(455)가 사용자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면 제2 틸트 걸림 부재(455)가 다시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복원 부재(456)는 제2 틸트 걸림 부재(455)가 특정한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복원 부재(456)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2 틸트 걸림 부재(455)는 제1 틸트 걸림 부재(453)의 틸트 가이드부(455b)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제2 틸트 걸림 부재(455)는 트레이(420)의 저면에서 독립적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틸트 걸림 부재(455)는 고정된 제1 틸트 걸림 부재(453)의 틸트 가이드 홀(453b) 내부로 틸트 가이드부(455b)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후술하는 핸들 부재(457)를 파지하고 제2 틸트 걸림 부재(455)를 이동시킴으로써 틸트 가드 어셈블리(4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핸들 부재(457)는 제2 틸트 걸림 부재(455)와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핸들 부재(457)는 제2 틸트 걸림 부재(455)의 전방에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핸들 부재(457)는 틸트 가이드부(455b)의 하면 전방에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핸들 부재(457)는 저면에 상부로 오목한 파지 홈(457a)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 부재(457)의 파지 홈(457a)을 파지하고, 핸들 부재(457)와 함께 제2 틸트 걸림 부재(455)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틸트 가드 어셈블리가 회전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4 내지 도 36은 도 30의 틸트 가드 어셈블리가 틸트 유닛에 의해 회전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틸트 가드 어셈블리(400)는 트레이(4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트레이(420)는 틸트 유닛의 회전축(451b)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트레이(420)는 가드부(430)가 저장 공간을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회전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트레이(420)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제2 틸트 걸림부(455a)가 틸트 몸체부의 저면(412)을 지지한 상태로 제공된다. 제2 틸트 걸림부(455a)는 틸트 몸체부의 저면(412)에 걸림으로써 트레이(42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드부(43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핸들 부재(457)를 도어 가드 어셈블리의 전방으로 당기면 핸들 부재(457)와 연결된 제2 틸트 걸림 부재(455)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하여, 제2 틸트 걸림부(455a)는 틸트 몸체부의 저면(412)을 지지하지 못하게 되고, 트레이(420)는 가드부(430)가 열리도록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트레이(420)의 후방에 회전축(451b)이 위치하므로, 제2 틸트 걸림부(455a)가 틸트 몸체부의 저면(412)을 지지하지 못하면 트레이(420)가 자동적으로 회전되도록 제공된다.
도 33을 참조하면, 트레이(420)는 특정한 각도 이상 회전될 수 없다. 트레이(420)가 특정한 각도 이상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451b)의 걸림홈(451c)이 고정홀(411)의 회전 조절홈(411ㅁ)의 일측에 걸리면서 트레이(42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도 36을 참조하면, 트레이(420)가 특정한 각도 이상 회전하게 되면 제1 틸트 걸림 부재(453)의 제1 틸트 걸림부(453a)가 틸트 몸체부의 저면(412)에 걸리게 된다. 이를 통해 트레이(420)는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는 회전될 수 없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틸트 가드 어셈블리(400)는 사용자가 핸들 부재(457)를 당기면 기설정된 특정 각도까지 트레이(420)가 회전된 후 정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트레이(420)와 가드부(430)를 저장 공간을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트레이(420)와 가드부(430)를 저장 공간을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면, 제1 틸트 걸림부(453a)는 복원 부재(456)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틸트 몸체부의 저면(412)을 지지하는 위치도 이동된다. 이로 인하여, 트레이(420)는 저장 공간을 폐쇄하는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틸팅 가드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틸팅 가드 어셈블리를 상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8는 도 37의 틸팅 가드 어셈블리를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7 및 3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 가드 어셈블리(500)는 틸트 몸체부(510), 트레이(520), 가드부(530), 그리고 틸트 유닛(550)을 포함한다.
틸트 몸체부(510)는 도어의 배면과 결합된다. 틸트 몸체부(510)는 그 배면이 도어의 후면판(21b)과 접촉되도록 제공된다. 틸트 몸체부(510)는 트레이(520) 및 가드부(530)와 결합하여 저장 공간을 형성한다.
일 예에 의하면, 틸트 몸체부(510)는 트레이 지지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 지지부(512)는 틸트 몸체부(510)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트레이 지지부(512)는 그 상면이 평평한 평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트레이 지지부(512)는 상면 일측에 버퍼 홀(513)이 제공될 수 있다. 버퍼 홀(513)은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버퍼 홀(513)은 후술하는 버퍼부(553)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버퍼 홀(513)은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52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평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트레이(520)는 틸트 몸체부(510)와 함께 도어의 배면에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트레이(520)는 도어의 배면의 저장 공간에서 위치하는 식품들을 놓여진다. 일 예에 의하면, 트레이(520)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가드부(530)는 트레이(520) 및 틸트 몸체부(510)와 함께 저장 공간을 형성한다. 가드부(530)는 전면 가드부와 전면 가드부의 양단에서 저장 공간의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측면 가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드부(530)는 그 저면이 트레이(520)의 상면 전단과 양 측에 고정되어 제공될 수 있다.
가드부(530)는 저장 공간에 놓여지는 식품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틸트 유닛(550)은 틸트 회전축(551), 회전축 결합부(552), 버퍼부(553), 그리고 회전 걸림턱(555)을 포함할 수 있다.
틸트 회전축(551)은 트레이 지지부(512)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틸트 회전축(551)은 트레이 지지부(512)의 저면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틸트 회전축(551)은 트레이 지지부(512)의 대칭되는 위치에 2개 제공될 수 있다. 틸트 회전축(551)은 트레이 지지부(512)의 저면에서 좌측면과 우측면으로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회전축 결합부(552)는 트레이(520)의 저면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축 결합부(552)는 틸트 회전축(551)과 결합되고, 틸트 회전축(551)이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버퍼부(553)는 트레이(520)의 저면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버퍼부(553)는 상부에서 바라볼때 트레이(520)의 상면에 위치한 버퍼 홀(513)과 중첩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퍼부(553)는 저장 공간이 닫힌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버퍼 홀(513)이 삽입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로 인하여, 저장 공간이 닫힌 상태에서 트레이(520)가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회전 걸림턱(555)은 트레이 지지부(512)의 저면 전방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 걸림턱(555)은 일단이 트레이 지지부(512)의 저면과 결합되고, 타단이 결합된 일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회전 걸림턱(555)은 트레이(520)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틸트 가드 어셈블리(500)가 회전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9 및 도 40는 도 37의 틸트 가드 어셈블리가 틸트 유닛에 의해 회전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틸트 가드 어셈블리(500)는 트레이(5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트레이(520)는 틸트 유닛의 틸트 회전축(551)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트레이(520)는 가드부(530)가 저장 공간을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회전될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트레이(520)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버퍼부(553)가 버퍼 홀(513)에 삽입된 상태로 제공된다. 버퍼부(553)는 탄성을 가지는 버퍼 홀(513)에 삽입되어 사용자가 일정한 힘을 가하지 않으면 버퍼 홀(513)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제공된다. 이로 인하여 트레이(520)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힘이 없는 경우에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520)는 틸트 회전축(551)이 트레이(520)의 전방에 위치하므로 외부의 힘이 제공되지 않고 자동적으로 회전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진다.
도 4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가드부(530) 또는 트레이(520)에 힘을 가하는 경우에 가드부(530)와 트레이(520)는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가한 힘에 의하여, 버퍼부(553)가 버퍼 홀(513)에서 빠지게 되면, 가드부(530)와 트레이(520)는 회전될 수 있다.
회전 걸림턱(555)은 트레이(520)가 특정 각도 이상 회전되면 트레이(520)의 전단 저면에 걸리게 된다. 트레이(520)는 틸트 회전축(551)을 축으로 트레이 지지부(512)로부터 상대 회전하므로, 특정 각도 이상 회전하면 정지 상태의 회전 걸림턱(555)에 트레이(520)의 전단 저면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레이(52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도 41는 도 2의 냉장고의 회전 가드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2은 도 41의 회전 가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1 및 도 42을 참조하면, 회전 가드 어셈블리(600)는 회전 가드 몸체부(610), 트레이(620), 가드부(630), 그리고 몸체부 회전 유닛(65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가드 어셈블리(600)는 도어의 후면판(21c)과 결합되고, 도어가 닫혔을 때 냉장실 내부에 위치한다. 회전 가드 어셈블리(600)는 도어의 후면판(21c)과 결합된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회전 가드 몸체부(610)는 도어의 배면과 결합된다. 회전 가드 몸체부(610)는 그 배면이 도어의 후면판(21c)과 접촉되도록 제공된다. 일 예에 의하면, 회전 가드 몸체부(610)는 도어의 배면과의 사이에 탄산수 생성 장치(alehtl)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도록 도어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 가드 몸체부(610)는 일측이 몸체부 회전 유닛(650)과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 회전 유닛(650)은 회전 가드 몸체부(610)의 일 측면의 엣지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 회전 유닛(650)은 회전 가드 몸체부(610)가 몸체부 회전 유닛(650)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몸체부 회전 유닛(650)은 회전 유닛 결합부(651)와 회전 유닛 힌지 부재(65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유닛 결합부(651)는 회전 가드 몸체부(6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회전 유닛 결합부(651)는 힌지 부재 결합홀(651a)을 가진다. 힌지 부재 결합홀(651a)은 회전 유닛 결합부(65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힌지 부재 결합홀(651a)은 힌지 부재(653)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회전 유닛 힌지 부재(653)는 회전 유닛 힌지 축(653a)을 가진다. 회전 유닛 힌지 부재(653)는 회전 유닛 힌지 축(653a)이 힌지 부재 결합홀(651a)을 관통하여 회전 가드 몸체부(610)와 결합될 수 있다. 회전 유닛 힌지 부재(653)는 회전 가드 몸체부(610)가 회전 유닛 힌지 부재(653)를 축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회전 유닛 힌지 부재(653)는 힌지 부재 결합홀(651a)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몸체부 회전 유닛(650)은 도어 오픈 스위치(6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오픈 스위치(655)는 회전 가드 몸체부(610)의 일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 오픈 스위치(655)를 조절하여 회전 가드 몸체부(610)가 도어의 배면에 고정되거나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오픈 스위치(655)는 회전 가드 몸체부(61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 가드 몸체부(610)를 도어의 배면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오픈 스위치(655)는 사용자가 회전 가드 어셈블리(600)를 회전시킬때 회전 가드 몸체부(610)를 도어의 배면에서 고정되지 않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43은 도 41의 회전 가드 어셈블리가 회전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3을 참조하면, 회전 가드 몸체부(610)는 회전 유닛 힌지 부재(653)를 축으로 회전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회전 가드 어셈블리(600)는 디스펜서(미도시)가 설치된 도어의 배면에 제공될 수 있다. 탄산수를 생성하는 냉장고에서는 디스펜서(미도시)가 설치된 도어의 배면에 탄산수 생성 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탄산수 생성 장치(미도시)에는 이산화탄소를 공급하기 위해 이산화탄소가 주입된 용기를 지속적으로 교체하여 공급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디스펜서(미도시)가 설치된 도어의 배면에 탄산수 생성 장치(미도시)와 회전 가드 어셈블리(600)가 제공될 수 있다. 탄산수 생성 장치(미도시)는 도어의 배면과 회전 가드 어셈블리(6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탄산수 생성 장치(미도시)에 이산화탄소가 주입된 용기를 교체하는 경우, 회전 가드 어셈블리(600)를 회전시켜 탄산수 생성 장치(미도시)에 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회전 가드 어셈블리(600)는 디스펜서(미도시)가 설치된 도어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회전 가드 어셈블리(600)는 디스펜서(미도시)의 설치 여부와 무관하게 냉장고의 모든 도어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은 냉장고의 형태에 구애받는 것은 아니고, 모든 형태의 냉장고에 두루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냉장고 10 : 본체
11 : 냉장실 12 : 냉동실
21 : 좌도어 21a : 손잡이
22 : 우도어 22a : 손잡이
31 : 슬라이딩 도어 31a : 손잡이
40: 발포 공간 41 : 단열재
50 : 전면판 51 : 관통홀
52 : 필러 부재 52a : 오버 플로우
60 : 상부캡 61 : 상면
62 : 삽입홈 63 : 몸체부
64 : 수용 공간 65 : 고정 돌기
67 : 실링 부재 68 : 커버
69 : 가압부 70 : 후면판
71 : 다이크 90 : 하부캡
100 : 디스플레이 유닛 300 : 도어 어셈블리
310: 전면판 320 : 후면판
330 : 상부캡 340 : 하부캡
350 : 연결 부재

Claims (24)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위치하고, 전면이 개방되어 마련되는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전면 및 양 측면을 형성하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의 후방에서 상기 전면판의 양 측면과 결합되는 후면판;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상면 또는 저면을 커버하는 도어캡; 및
    상기 전면판과 결합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도어캡과 결합되는 제2 연결부를 가지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판은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제1 걸림부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홀이 마련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연결 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판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홈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연결 부재와 결합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은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일측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홀은 상기 제2 결합부에 마련되는 냉장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캡은 내측면에 상기 제2 결합홀에 결합되도록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캡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홈과 나란하게 마련된 제2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홀은 상기 제2 홈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1 홈보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내측에 마련되는 냉장고.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전면판의 전면, 상기 제1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2 결합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캡은 그 상면이 상기 전면판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10. 냉장고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도어 어셈블리 제조방법에 있어서,
    전면판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연결 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연결 부재에 도어캡을 결합하고;
    상기 전면판과 상기 도어캡의 배면에 후면판을 결합하되,
    상기 전면판에 결합된 상기 연결 부재에 상기 도어캡을 결합하여 상기 전면판과 상기 도어캡을 고정하는 도어 어셈블리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에 상기 연결 부재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 부재에 마련된 제1 걸림부를 상기 전면판의 일측에 마련된 제1 결합홀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도어 어셈블리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은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의 일측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판에 상기 연결 부재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결합부를 상기 연결 부재의 일측에 마련된 제1 홈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결합홀을 결합하는 도어 어셈블리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홈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전면판의 전면, 상기 제1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2 결합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면판에 상기 연결 부재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전면판의 내측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전면판에 상기 연결 부재를 결합하는 어셈블리 제조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에 상기 도어캡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캡에 마련된 도어캡 결합 부재를 상기 연결 부재의 일측에 마련된 제2 결합홀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도어 어셈블리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홈과 나란하게 마련되는 제2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에 상기 도어캡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캡 결합 부재를 상기 제2 홈의 내측에 마련된 제2 결합홀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도어 어셈블리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1 홈보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내측에 마련되는 도어 어셈블리 제조방법.
  17. 냉장고의 개방된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전면 및 양 측면을 형성하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의 후방에서 상기 전면판의 양 측면과 결합되는 후면판;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상면 또는 저면을 커버하는 도어캡; 및
    상기 전면판과 상기 도어캡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도어캡을 상기 전면판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도어 어셈블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판은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제1 걸림부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홀이 마련되는 도어 어셈블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은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일측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홀은 상기 제2 결합부에 마련되는 도어 어셈블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연결 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판은 상기 제2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홈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연결 부재와 결합되는 도어 어셈블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캡은 내측면에 상기 제2 결합홀에 결합되도록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캡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도어 어셈블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홈과 나란하게 마련된 제2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홀은 상기 제2 홈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는 도어 어셈블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1 홈보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내측에 마련되는 도어 어셈블리.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전면판의 전면, 상기 제1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2 결합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 어셈블리.
KR1020140106155A 2014-01-07 2014-08-14 냉장고, 이에 적용되는 도어 어셈블리, 그리고 도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102238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5205138A AU2015205138B2 (en) 2014-01-07 2015-01-07 Refrigerator, door assembly therefor, and method for producing door assembly
EP15735242.8A EP3093592B1 (en) 2014-01-07 2015-01-07 Refrigerator
PCT/KR2015/000155 WO2015105331A1 (ko) 2014-01-07 2015-01-07 냉장고, 이에 적용되는 도어 어셈블리, 그리고 도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CA2936059A CA2936059C (en) 2014-01-07 2015-01-07 Refrigerator, door assembly therefor, and method for producing door assembly
US15/110,205 US10012426B2 (en) 2014-01-07 2015-01-07 Refrigerator, door assembly therefor, and method for producing door assembly
CN201580012588.5A CN106104183B (zh) 2014-01-07 2015-01-07 冰箱、采用于此的门组件、以及门组件制造方法
US15/989,717 US10254039B2 (en) 2014-01-07 2018-05-25 Refrigerator, door assembly therefor, and method for producing do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067 2014-01-07
KR1020140002067 2014-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063A true KR20150082063A (ko) 2015-07-15
KR102238962B1 KR102238962B1 (ko) 2021-04-12

Family

ID=53793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155A KR102238962B1 (ko) 2014-01-07 2014-08-14 냉장고, 이에 적용되는 도어 어셈블리, 그리고 도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012426B2 (ko)
EP (1) EP3093592B1 (ko)
KR (1) KR102238962B1 (ko)
CN (1) CN106104183B (ko)
AU (1) AU2015205138B2 (ko)
CA (1) CA2936059C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914A (ko) * 2019-08-20 2021-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10075947A (ko) * 2019-04-15 2021-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280540B2 (en) 2020-04-08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287175B2 (en) 2019-08-20 2022-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US11402147B2 (en) 2019-04-15 2022-08-02 Samsung Electronic Co., Ltd.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800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KR102391682B1 (ko) * 2016-01-05 2022-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6016889A (zh) * 2016-05-20 2016-10-12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及其制造方法
KR101858236B1 (ko) * 2016-05-31 2018-05-16 주식회사 대우전자 냉장고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9903641B1 (en) 2016-10-27 2018-02-2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Harvest bin assembly
PL234976B1 (pl) * 2017-10-09 2020-05-18 Bitron Poland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Urządzenie dozujące środek myjący, w szczególności do zmywarki do naczyń
DE102018203038A1 (de) * 2018-03-01 2019-09-05 BSH Hausgeräte GmbH Spritzgegossenes Haushaltsgerätebauteil mit Türinnenwand und Türabsteller
CN112304009B (zh) * 2019-08-02 2022-01-21 重庆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冰箱的门体及其装配方法
CN115298494A (zh) * 2020-01-17 2022-11-04 伊莱克斯巴西有限公司 用于制冷器具的门的端盖组件
EP3926271B1 (en) * 2020-06-17 2023-05-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774164B2 (en) * 2020-06-17 2023-10-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268750B1 (en) * 2020-12-23 2022-03-0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On door drawer and refrigerating appliance with same
US11598574B2 (en) * 2021-03-19 2023-03-0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Appliance door including a wireless module
KR20230008567A (ko) * 2021-07-07 2023-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30008568A (ko) * 2021-07-07 2023-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조리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5761A (ja) * 1994-07-20 1996-02-06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の扉
KR20010111427A (ko) * 2000-06-09 2001-12-19 윤종용 김치냉장고용 도어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37183A (en) * 1955-05-18 1958-06-03 Jordan L Heiman Sheet metal door
US3786613A (en) * 1972-06-09 1974-01-22 W Shepheard Sheet metal door with foam plastic core
SE389745B (sv) 1973-05-31 1976-11-15 S M Ellis Presentationsenhet
JPS50124661U (ko) 1974-03-27 1975-10-13
JPS5933980Y2 (ja) 1978-05-17 1984-09-20 三菱電機株式会社 断熱扉体
JPS5976981U (ja) * 1982-11-15 1984-05-24 株式会社東芝 冷蔵庫の断熱扉
JPH01111427A (ja) * 1987-10-23 1989-04-28 Hitachi Ltd 同位体分離装置
JP2825405B2 (ja) 1993-03-15 1998-11-18 株式会社東芝 冷蔵庫の扉
JP2003050082A (ja) 2001-08-03 2003-02-21 Hitachi Ltd 冷蔵庫
US6722083B2 (en) * 2001-11-28 2004-04-20 Gemtron Corporation Structural unit, specifically a door including an injected molded frame
JP2003166779A (ja) 2001-11-29 2003-06-13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のドア構造
KR20040082515A (ko) 2003-03-19 2004-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캡 데코 구조
US7886500B2 (en) * 2005-05-27 2011-02-15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door with ratcheting end cap
CN201196521Y (zh) 2008-03-11 2009-02-18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具有多媒体播放装置的冰箱
KR101520691B1 (ko) 2008-11-21 2015-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조립체
KR101410459B1 (ko) * 2012-05-02 2014-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도어의 제조 방법
KR102028014B1 (ko) * 2012-11-09 2019-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KR102025177B1 (ko) * 2012-11-09 2019-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KR102102642B1 (ko) * 2013-01-30 2020-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냉장고 도어의 제조 방법 및 냉장고
WO2015105331A1 (ko) 2014-01-07 2015-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이에 적용되는 도어 어셈블리, 그리고 도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US9476633B2 (en) * 2015-03-02 2016-10-25 Whirlpool Corporation 3D vacuum panel and a folding approach to create the 3D vacuum panel from a 2D vacuum panel of non-uniform thicknes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5761A (ja) * 1994-07-20 1996-02-06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の扉
KR20010111427A (ko) * 2000-06-09 2001-12-19 윤종용 김치냉장고용 도어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0192B2 (en) 2019-04-15 2022-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210075947A (ko) * 2019-04-15 2021-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815304B2 (en) 2019-04-15 202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768027B2 (en) 2019-04-15 2023-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402147B2 (en) 2019-04-15 2022-08-02 Samsung Electronic Co., Ltd. Refrigerator
US11287174B2 (en) 2019-04-15 2022-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333426B2 (en) 2019-08-20 2022-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US11287175B2 (en) 2019-08-20 2022-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US11293687B2 (en) 2019-08-20 2022-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US11333427B2 (en) 2019-08-20 2022-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KR20210071914A (ko) * 2019-08-20 2021-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가전기기
US11340007B2 (en) 2019-08-20 2022-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US11397043B2 (en) 2019-08-20 2022-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US11867450B2 (en) 2019-08-20 202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US11480384B2 (en) 2019-08-20 2022-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US11428457B2 (en) 2020-04-08 202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280542B2 (en) 2020-04-08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280540B2 (en) 2020-04-08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313612B2 (en) 2020-04-08 2022-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940203B2 (en) 2020-04-08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20952A1 (en) 2018-11-08
EP3093592B1 (en) 2020-03-04
AU2015205138B2 (en) 2017-04-20
EP3093592A1 (en) 2016-11-16
US10012426B2 (en) 2018-07-03
CN106104183A (zh) 2016-11-09
EP3093592A4 (en) 2017-09-13
CA2936059C (en) 2019-09-03
US10254039B2 (en) 2019-04-09
KR102238962B1 (ko) 2021-04-12
AU2015205138A1 (en) 2016-07-21
CA2936059A1 (en) 2015-07-16
US20160341468A1 (en) 2016-11-24
CN106104183B (zh) 201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2063A (ko) 냉장고, 이에 적용되는 도어 어셈블리, 그리고 도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CA2935155C (en) Refrigerator
US9448005B2 (en) Guard assembly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20240118020A1 (en) Refrigerator having panel assembly
KR20150082062A (ko) 냉장고
US9459041B2 (en) Refrigerator
KR101829352B1 (ko) 냉장고
KR101954874B1 (ko) 냉장고
CN101482357B (zh) 用于冰箱的打开装置
KR101437984B1 (ko) 냉장고의 수평조절장치
KR20090077564A (ko) 냉장고
KR102030847B1 (ko) 가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00022654A (ko) 냉장고의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936886B1 (ko) 가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00009107A (ko) 냉장고
KR20110089790A (ko) 냉장고
KR102259771B1 (ko) 냉장고
KR20110089788A (ko) 냉장고
KR101346518B1 (ko) 냉장고
KR20220011760A (ko) 냉장고
KR20110089789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