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880A - 선실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컨테이너선 - Google Patents

선실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컨테이너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880A
KR20150081880A KR1020140001822A KR20140001822A KR20150081880A KR 20150081880 A KR20150081880 A KR 20150081880A KR 1020140001822 A KR1020140001822 A KR 1020140001822A KR 20140001822 A KR20140001822 A KR 20140001822A KR 20150081880 A KR20150081880 A KR 20150081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container
rail
ship
servo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춘
이철호
정태석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1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1880A/ko
Publication of KR20150081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8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25Modular or prefabricated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실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컨테이너선에 관한 것으로서, 갑판의 양측에 선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장 설치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는 선실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선실의 선체의 길이방향 이동 및 승강이동이 가능하므로 컨테이너 화물의 적재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선실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컨테이너선{A CONTAINER SHIP MOUNTED WITH MOVABLE CABIN}
본 발명은 선실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컨테이너선에 관한 것으로, 선실의 종방향 및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여 컨테이너 화물의 적재공간을 유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컨테이너선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선은 선창 안쪽과 갑판 위에 최대한 많은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수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컨테이너선(1)은 선창 내부 또는 선체의 갑판 상부에 복수 개의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운송할 수 있도록 건조되어 있다.
종래의 컨테이너선(1)은 선체의 전방 갑판에 컨테이너(2)를 적재하기 위한 전방 컨테이너 적재구역과, 선체의 후방 갑판에 컨테이너(3)를 적재하기 위한 후방 컨테이너 적재구역과, 이들 적재구역 사이에 마련된 선실(4)을 포함한다.
물론, 선체의 갑판 아래쪽에도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실(4)은 컨테이너(2, 3)의 적재 높이 보다 높게 선체의 간판에 복층으로 세워져 설치되어 있어 조망을 확보하고 있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선이 대형화되고 더 많은 컨테이너를 갑판에 선적하기 위하여 선실의 위치를 선박의 중앙부에 가져가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선실(4)의 하부에는 연료창을 두는 것이 대형 컨테이너선의 일반적인 배치구조이다.
한편, 현재 운항하는 컨테이너선의 연료는 대부분 액체 연료를 사용한다.
그러나, 고유가와 배출가스의 규제로 인해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들이 많아질 것이며, 그 중에서도 컨테이너선이 가장 빨리 채택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는 액체와 가스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이중연료 추진 시스템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며,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에 대한 규칙(spec.)이 제정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안전성을 고려하여 선실 하부의 연료탱크 배치에 대하여 매우 엄격한 규제와 통제가 이루어질 전망이다.
만일, 안전성을 이유로 선실 하부에 연료창이 배치되지 않는다면 선실 하부의 많은 공간은 낭비적인 공간이 될 것이며, 연료창을 선실 하부가 아닌 별도의 장소에 배치하게 되면 화물창의 감소가 불가피하게 된다.
그러므로, 선실 하부 공간에 컨테이너 화물을 적재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2013-0105058호 (2013.09.25) 컨테이너선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선실 하부의 공간에 컨테이너 화물을 자유롭게 적재하도록 하여 적재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선실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컨테이너선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선실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컨테이너선은,
갑판의 양측에 선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장 설치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는 선실을 포함하는 선실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실 조립체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
상기 대차 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선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실과 대차 사이에는 선실의 승강 이동을 위한 유압 실린더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직육면체 형태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수직 모서리에는 각각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차에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바퀴에는 서보 모터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서보 모터로의 유선 또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실에는 상기 유압 실린더와 서보 모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선실의 선체 길이방향 이동 및 승강이동이 가능하므로 컨테이너 화물의 적재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조종에 의해 선실을 이동시킬 수 있어 컨테이너 화물의 적재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선실의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100)은, 갑판의 양측에 선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장 설치되는 레일(20), 및 상기 레일(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는 선실(33)을 포함하는 선실 조립체(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선실이(33)이 상기 선체(10)의 길이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실 조립체(30)는, 상기 레일(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臺車, 31), 상기 대차(31) 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33),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32)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선실(33)을 포함한다.
상기 선실(33)과 대차(31) 사이에는 선실(33)의 승강 이동을 위한 유압 실린더(34)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32)은 직육면체 형태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수직 모서리에는 각각 가이드 레일(3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선실(33)은 상기 가이드 레일(35)을 따라 승강하는데, 상기 선실(33)에 별도의 휠(미도시)이 설치되어 이동할 수도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35)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의 이동편(미도시)이 접촉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대차(31)에는 레일(20)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37)가 설치되고, 상기 바퀴(37)에는 서보 모터(38)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선실(33)로부터 상기 서보 모터(38)로의 유선 또는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바퀴(37)에는 적당한 제동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선실(33)에는 상기 유압 실린더(34)와 서보 모터(38)의 제어를 위한 제어실(39)을 포함하고 있어, 작업자가 선실(33) 내의 승무원이나 다른 선원에게 선실(33)의 이동 작업 과정을 알리면서 선실(33)을 정확한 목표 위치에 위치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격조종에 의해 선실(33)을 이동시킬 수 있어 컨테이너 화물(50)의 적재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100)에서 선실(33)을 이동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안전상 상기 선실(33)이 연료창(40) 위에 배치되는 것은 가급적 회피될 필요가 있다.
먼저, 선실 조립체(30)가 위치한 공간에 컨테이너 화물을 더 적재하기 위해 선실 조립체(30)를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해야 하며, 이를 위해 컨테이너 화물(50)을 안내하는 횡격벽(60)의 높이보다 더 높이 선실(33)을 상승시켜야 한다(도 4(a) 참조).
이를 위해, 유압 실린더(34)를 작동시키며 소정의 높이까지 끌어올리면 된다(도 4(b) 참조).
이 상태에서 서보 모터(38)를 구동시킴으로써 바퀴(37)를 회전시키고 대차(31)를 이동시킨다(도 4(c) 참조).
소정의 위치까지 선실 조립체(30)를 이동시킨 후 컨테이너 화물(50)을 적재하고, 선실(33)을 하강시킨다(도 4(d) 참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선실(33)이 연료창의 상부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면서도 화물의 적재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컨테이너선
10... 선체
20... 레일
30... 선실 조립체
31... 대차
32... 가이드 프레임
33... 선실
34... 유압 실린더
35... 가이드 레일
37... 바퀴
38... 서보 모터
39... 제어실
40... 연료창
50... 컨테이너 화물
60... 횡격벽

Claims (6)

  1. 갑판의 양측에 선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장 설치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는 선실을 포함하는 선실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실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컨테이너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실 조립체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
    상기 대차 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선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실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컨테이너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실과 대차 사이에는 선실의 승강 이동을 위한 유압 실린더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실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컨테이너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직육면체 형태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수직 모서리에는 각각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실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컨테이너선.
  5.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에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바퀴에는 서보 모터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서보 모터로의 유선 또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실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컨테이너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실에는 상기 유압 실린더와 서보 모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실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컨테이너선.
KR1020140001822A 2014-01-07 2014-01-07 선실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컨테이너선 KR201500818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822A KR20150081880A (ko) 2014-01-07 2014-01-07 선실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컨테이너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822A KR20150081880A (ko) 2014-01-07 2014-01-07 선실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컨테이너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880A true KR20150081880A (ko) 2015-07-15

Family

ID=5379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822A KR20150081880A (ko) 2014-01-07 2014-01-07 선실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컨테이너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18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689U (ko) * 2015-08-13 2017-02-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갠트리형 데크 하우스를 구비한 선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689U (ko) * 2015-08-13 2017-02-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갠트리형 데크 하우스를 구비한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66696B1 (en) Lng tank container transport ship, and transport method using same
EP2855201B1 (en) A platform system for a cargo compartment of a truck, lorry or trailer
US7708514B2 (en) Automated shipboard material handling and storage system
GB2456634A (en) Cargo transport system and method
CN103538811A (zh) 自卸式集装箱
KR20120105306A (ko) 컨테이너선의 선실 거주구 하부 컨테이너 적재 방법 및 장치
CN203780625U (zh) 液压伸缩式载重运输车厢
JP4312055B2 (ja) バッファストラドルクレーン
CN104444956A (zh) 一种装卸货物用升降车
JP2022528449A (ja) 多機能貨物移送車及び方法
CN105555685A (zh) 用于使机场车辆转向的方法
KR20150020351A (ko) 이동대차를 이용한 화물 운반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81880A (ko) 선실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컨테이너선
US9340268B2 (en) Floor device capable of up-down movement for vessels
US20190241379A1 (en) Method for transferring standardised containers between a container ship and a quay
JP2015531730A (ja) 荷役プラント内でのコンテナ、特にisoコンテナの無接触検査のためのシステム
US20170036893A1 (en) Apparatus for moving a shipping container
KR20150092969A (ko) 화물 적재가 가능한 선박 거주구
KR101595414B1 (ko)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
KR20120122061A (ko) 선박용 컨테이너 지지블럭
KR20160130580A (ko) 화물창
KR20220124647A (ko) 컨테이너 수송선 및 컨테이너의 반송 방법
RU2004132738A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многоэтажный гараж-пенал
DK177551B1 (en) Platform system for a cargo compartment in a truck or trailer
JPS621271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