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746A - 자동차용 박스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746A
KR20150081746A KR1020140001524A KR20140001524A KR20150081746A KR 20150081746 A KR20150081746 A KR 20150081746A KR 1020140001524 A KR1020140001524 A KR 1020140001524A KR 20140001524 A KR20140001524 A KR 20140001524A KR 20150081746 A KR20150081746 A KR 20150081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ing
terminal
box body
holder plate
tempo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자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1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1746A/ko
Publication of KR20150081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7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박스의 골격을 박스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박스몸체(10)의 내부공간(12)에 홀더플레이트(20)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박스몸체(10)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부품장착부(14)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14)와 상기 내부공간(12)을 연통시키도록 터미널안착공간(16)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에는 터미널(40)이 안착된다. 상기 홀더플레이트(20)에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22)이 형성된다. 상기 박스몸체(10)에 상기 홀더플레이트(20)는 임시결합위치와 완전결합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임시결합위치는 상기 홀더플레이트(20)가 박스몸체(10)의 내부공간(12)의 천정에서 소정 거리 떨어지고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과 관통공(22)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태이고, 완전결합위치는 상기 홀더플레이트(20)가 상기 터미널(40)을 지지하여 밀리지 않도록 하는 위치이다. 상기 박스몸체(10)에는 연동핀(17)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플레이트(20)의 외면에는 상기 연동핀(17)이 안내되는 연동슬롯(24)이 형성된다. 상기 연동슬롯(24)의 양단부에는 임시결합구간(26)과 완전결합구간(28)이 소정 거리 오프셋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을 하나의 홀더플레이트로 지지할 수 있어 자동차용 박스의 구성과 조립작업이 간단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박스{Box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몸체에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된 부품플레이트가 캠구조를 따라 안내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는 각종 부품이 집적되어 구성되는 박스, 예를 들면, 정션박스나 퓨즈박스 등과 같은 것이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박스는 여러 종류의 부품을 집적하여 설치하므로 자동차 내부의 공간을 보다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최근에 자동차의 연비향상을 위해 부품들을 소형화하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데, 자동차용 박스도 소형화를 함과 동시에 많은 부품이 집적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에 따라 박스의 내부에 다수개의 터미널들이 집적되어 설치되는데, 이러한 다수개의 터미널이 박스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터미널을 지지하는 홀더를 사용한다.
하지만, 터미널의 갯수가 많아지면서 그와 대응되는 갯수의 홀더를 사용하는 것은 자동차용 박스의 부품수를 늘여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터미널들을 하나의 구조물로 지지하여 자동차용 박스의 부품수를 줄이도록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166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2-007593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박스몸체에 설치된 다수개의 터미널을 하나의 홀더플레이트로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홀더플레이트를 박스몸체에 대해 이동시키는 것이 간단하게 이루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표면에 부품장착부가 위치하고 내부공간과 상기 부품장착부를 연통시키고 내부에 터미널이 안착되는 터미널안착공간이 있는 박스몸체와, 상기 박스몸체의 내부공간에 안착되고 상기 터미널안착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 장착된 터미널의 일측을 지지하는 홀더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플레이트의 외면과 상기 박스몸체의 내부공간 내면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홀더플레이트가 상기 박스몸체의 내부공간 천정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터미널안착공간과 관통공이 일치하는 임시결합상태와 상기 홀더플레이트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 안착된 터미널의 일측을 지지하는 완전결합상태 사이의 이동을 위한 연동핀과 연동슬롯이 형성된다.
상기 연동슬롯은 임시결합구간, 전이구간 그리고 완전결합구간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임시결합구간과 완전결합구간은 상기 홀더플레이트가 박스몸체에 결합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오프셋되어 가상의 연장성이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동슬롯의 임시결합구간 입구에는 제1임시결합돌기가 있고, 상기 임시결합구간의 반대쪽에는 제2임시결합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연동핀이 임의로 임시결합구간을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임시결합돌기에는 연동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연동핀이 상기 연동슬롯으로 진입하는 것을 안내하고, 상기 제2임시결합돌기는 표면이 곡면으로 되어 상기 임시결합구간의 양측 내면에 위치한다.
상기 터미널에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의 내면에 걸어지는 터미널랜스가 구비된다.
상기 박스몸체의 내면과 상기 홀더플레이트의 외면중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완전결합돌기와 간섭회피홈이 형성되어 상기 완전결합돌기가 임시결합상태에서는 상기 간섭회피홈에 위치하고 완전결합상태에서는 상기 간섭회피홈을 빠져나와 상대측에 걸어진다.
상기 연동핀이 상기 연동슬롯에 들어가는 위치를 안내하는 결합안내표시가 상기 박스몸체와 홀더플레이트의 외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박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박스몸체의 터미널안착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터미널을 하나의 홀더플레이트로 동시에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자동차용 박스의 부품수가 줄어들고 작업공정이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박스몸체의 내부공간으로 홀더플레이트를 밀어주기만 하면 연동핀과 연동슬롯의 연동에 의해 홀더플레이트의 관통공이 터미널안착공간과 어긋나면서 터미널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요부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홀더플레이트의 중요부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홀더플레이트가 박스몸체에 임시결합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홀더플레이트가 박스몸체에 완전결합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자동차용 박스의 골격을 박스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박스몸체(10)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박스몸체(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박스몸체(10)의 하부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박스몸체(10)의 표면중 도면을 기준으로 상면에는 다수개의 부품장착부(14)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14)에는 예를 들면, 릴레이, 퓨즈, 저항, 커넥터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부품장착부(14)에는 이들 부품의 레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40)이 설치되는 터미널안착공간(16)이 상기 박스몸체(1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도 5참고)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에 터미널(40)이 안착되고 상기 부품장착부(14)에 장착된 부품의 레그가 터미널(40)에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박스몸체(10)의 내부공간(12) 내면에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연동핀(17)이 있다. 상기 연동핀(17)은 횡단면이 원형으로 된다. 상기 연동핀(17)의 외면은 곡면으로 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연동핀(17)이 아래에서 설명될 홀더플레이트(20)의 연동슬롯(24)과 연동되는 것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동핀(17)에 인접하여 상기 내부공간(12)의 내면에는 완전결합돌기(1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완전결합돌기(18)는 상기 박스몸체(10)의 하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완전결합돌기(18)에는 걸이면(19)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면(19)은 상기 내부공간(12)의 내면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상기 부품장착부(14) 방향을 향한다. 상기 걸이면(19)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상기 완전결합돌기(18)에는 안내경사면(19')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19')은 상기 박스몸체(10)의 내부공간(12) 외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19')은 아래에서 설명될 홀더플레이트(20)의 간섭회피홈(34) 가장자리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박스몸체(10)의 내부공간(12)에는 홀더플레이트(20)가 설치된다. 상기 홀더플레이트(20)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에 안착된 터미널(40)을 지지하여 밀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홀더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서는 관통공(2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2)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으로 터미널(40)이 통과하는 경로가 된다. 상기 관통공(22)의 가장자리는 터미널지지부(22')가 되는데, 상기 홀더플레이트(20)에서 실제로 터미널(40)의 일측을 지지하는 부분이 상기 터미널지지부(22')이다.
상기 박스몸체(10)에는 많은 숫자의 터미널(40)이 설치되는데, 상기 홀더플레이트(20)는 이들 모든 터미널(40)을 동시에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실제로 도면에서는 상기 홀더플레이트(20)에 터미널(40)의 개수와 대응되는 다수개의 관통공(22)이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를 각각 둘러 터미널지지부(22')가 형성되어야 한다. 하지만, 본 실시례의 도면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관통공(22)과 터미널지지부(22')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홀더플레이트(20)의 외면에는 연동슬롯(24)이 형성된다. 상기 연동슬롯(24)은 본 실시례에서는 총 4군데에 형성된다. 상기 홀더플레이트(20)가 대략 사각형 판형상인데, 상대적으로 긴 변에 해당되는 양측 외면에 2개씩 총 4개의 연동슬롯(24)이 형성된다.
상기 연동슬롯(24)은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결합구간(26)과 전이구간(27) 그리고 완전결합구간(28)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임시결합구간(26)과 완전결합구간(28)은 그 가상의 연장선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소정 거리 오프셋되어 있다. 상기 임시결합구간(26)과 완전결합구간(28)의 오프셋 거리는 상기 홀더플레이트(20)가 임시결합시의 위치에서 완전결합시의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이다. 이와 같이 홀더플레이트(20)가 오프셋 거리만큼 이동함에 의해 관통공(22)을 통과한 터미널(40)이 홀더플레이트(20)에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전이구간(27)은 임시결합구간(26)과 완전결합구간(28)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동슬롯(24)의 입구에는 제1임시결합돌기(30)가 있다. 상기 제1임시결합돌기(30)에 상기 연동핀(17)이 걸어진다. 상기 제1임시결합돌기(30)에서 상기 연동슬롯(24)쪽에는 걸림면(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면(30')은 상기 연동핀(17)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걸림면(30')의 반대쪽에는 연동경사면(31)이 형성된다. 상기 연동경사면(31)은 정면에서 볼 때, 대략 반원정도의 구간에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동경사면(31)은 상기 연동핀(17)이 상기 연동슬롯(24)으로 들어가는 것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연동슬롯(24)의 임시결합구간(26)의 내면 양측에는 제2임시결합돌기(32)가 있다. 상기 제2임시결합돌기(32)는 원기둥형상을 높이방향으로 반으로 자른 형상이다. 상기 제2임시결합돌기(32) 사이의 공간은 상기 연동핀(17)의 직경보다 약간 작다. 따라서,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져야 상기 연동핀(17)이 상기 제2임시결합돌기(32) 사이를 빠져나갈 수 있다. 즉, 일정 이하의 힘에서는 상기 연동핀(17)이 상기 제2임시결합돌기(32)에 의해 걸어져 상기 전이구간927)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홀더플레이트(20)의 외면에는 간섭회피홈(34)이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홈(34)은 상기 박스몸체(10)의 완전결합돌기(18)와 홀더플레이트(20)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간섭회피홈(34)은 상기 홀더플레이트(20)의 도면상의 상단부에서부터 시작해서 하단부에 인접한 위치까지 형성된다.
터미널(40)은 상기 박스몸체(10)의 터미널안착공간(16)에 위치하여 상기 부품장착부(14)에 장착된 부품의 레그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40)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에 고정되도록 터미널랜스(도면부호 부여 않음)가 있어서,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의 내면에 걸어진다. 상기 터미널(40)의 구체적인 구성은 편의상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박스몸체(1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박스몸체(10)의 표면에 형성된 부품장착부(14)에 장착된 부품들을 차폐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박스몸체(10)의 내부공간(12)으로 연결되는 전선 등이 있는 공간을 차폐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박스가 조립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박스몸체(10)의 터미널안착공간(16)에는 각각 터미널(40)들이 안착되어야 한다. 상기 터미널(40)들은 바렐부에 전선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40)들이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상기 홀더플레이트(20)는 상기 박스몸체(10)의 내부공간(12)에 임시결합된 상태로 있어야 한다.
즉, 상기 박스몸체(10)의 내부공간(12)에 상기 홀더플레이트(20)가 삽입되어 상기 박스몸체(10)의 연동핀(17)이 상기 홀더플레이트(20)의 연동슬롯(24)중 임시결합구간(26)에 위치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홀더플레이트(20)를 상기 박스몸체(10)의 내부공간(12)에 삽입할 때에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화살표와 상기 홀더플레이트(20)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화살표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로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화살표를 기준으로 홀더플레이트(20)를 박스몸체(10)의 내부공간(12)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연동핀(17)이 상기 제1임시결합돌기(30)의 연동경사면(31)을 따라 안내되어 연동슬롯(24)의 임시결합구간(26)에 안착되어 상기 제1임시결합돌기(30)의 걸림면(30')에 걸어진다. 상기 박스몸체(10)의 완전결합돌기(18)는 상기 간섭회피홈(34)에 위치한다.
상기 연동핀(17)은 상기 제1임시결합돌기(30)의 걸림면(30')에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임시결합구간(26)의 제2임시결합돌기(32) 사이를 임의로 통과할 수 없으므로 상기 임시결합구간(26)내에 위치해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홀더플레이트(20)의 상면이 상기 박스몸체(10)의 내부공간(12) 천정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터미널안착공간(16)과 상기 홀더플레이트(20)의 관통공(22)은 서로 일치하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터미널(40)이 상기 홀더플레이트(20)의 관통공(22)을 관통하여 상기 박스몸체(10)의 터미널안착공간(16) 내로 간섭없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에 삽입된 터미널(40)은 터미널랜스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의 내면에 걸어져 임의로 터미널(40)이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홀더플레이트(20)와 박스몸체(10)의 내부공간(12) 천정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홀더플레이트(20)의 관통공(22)이 터미널안착공간(16)과 일치하여 터미널(40)의 삽입이 가능한 상태를 임시결합상태라고 한다.
위와 같이 임시결합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관통공(22)을 통해 터미널(40)을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들에 각각 삽입한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들에 터미널(40)의 삽입이 완료되고 나면, 상기 홀더플레이트(20)를 상기 박스몸체(10)에 완전결합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홀더플레이트(20)를 상기 박스몸체(10)의 내부공간(12) 천정쪽으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상기 박스몸체(10)를 잡고 상기 홀더플레이트(20)에 힘을 가하는 것이다.
상기 박스몸체(10)의 내부공간(12)으로 홀더플레이트(20)를 밀어주게 되면, 상기 홀더플레이트(20)가 이동되면서, 상기 연동핀(17)이 상기 연동슬롯(24)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연동핀(17)은 임시결합상태에서 상기 홀더플레이트(20)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전이구간(27)으로 들어가고, 상기 건이구간(27)을 통과하여 상기 완전결합구간(28)에 연동핀(17)이 위치하면 완전결합상태가 된다.
물론, 상기 연동핀(17)이 상기 완전결합구간(28)에 위치하는 것 자체로 상기 박스몸체(10)에 상기 홀더플레이트(20)가 고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홀더플레이트(20)가 상기 박스몸체(10)에 결합하는 것은 상기 박스몸체(10)의 완전결합돌기(18)가 홀더플레이트(20)를 걸어줌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완전결합돌기(18)는 임시결합상태에서는 상기 간섭회피홈(34)에 위치하고 있다가, 완전결합상태가 되면 상기 간섭회피홈(34)을 빠져나와 홀더플레이트(20)의 하단에 걸어져 박스몸체(10)에서 홀더플레이트(2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한다.
한편, 상기 홀더플레이트(20)가 임시결합상태에서 완전결합상태로 되면서, 상기 연동핀(17)과 상기 연동슬롯(24)의 연동에 의해 상기 박스몸체(10)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홀더플레이트(20)의 이동은 상기 박스몸체(10)의 터미널안착공간(16)과 상기 홀더플레이트(20)의 관통공(22)이 서로 어긋나게 한다. 이와 같이 되면서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에 안착된 터미널(40)의 일측을 상기 터미널지지부(22')가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터미널(40)을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홀더플레이트(20)를 완전결합상태에서 임시결합상태로 이동시켜야 한다. 즉, 상기 연동핀(17)이 상기 연동슬롯(24)의 완전결합구간(28)에서 상기 임시결합구간(26)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완전결합돌기(18)가 상기 홀더플레이트(20)의 하단에서 빠져나와 상기 간섭회피홈(34)으로 들어가게 하여야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연동핀(17)이 상기 연동슬롯(24)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2임시결합돌기(32) 사이를 통과해서 상기 제1임시결합돌기(30)에 걸어진 상태로 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과 상기 홀더플레이트(20)의 관통공(22)이 서로 일치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터미널(40)의 터미널랜스를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에서 분리되도록 하고 터미널(40)을 터미널안착공간(16)에서 빼내면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박스몸체(10)의 표면에 부품장착부(14)가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부품장착부(14)가 상기 박스몸체(10)와 별개로 만들어져 박스몸체(10)에 장착된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박스몸체(10)와 홀더플레이트(20)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연동핀(17)과 연동슬롯(24) 그리고 완전결합돌기(17)와 간섭회피홈(34)은 서로 반대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동슬롯(24)에 상기 연동핀(17)이 들어가는 것을 안내하기 위해서 상기 홀더플레이트(20)의 외면과 박스몸체(10)의 외면에 화살표를 형성하였다. 하지만, 상기 화살표 대신에 다양한 결합안내표시를 두어 할 수 있다. 상기 안내표시의 예로는 원형돌기나 홈, 삼각형돌기나 홈 등을 들 수 있다.
10: 박스몸체 12: 내부공간
14: 부품장착부 16: 터미널안착공간
17: 연동핀 18: 완전결합돌기
19: 걸이면 19': 안내경사면
20: 홀더플레이트 22: 관통공
22': 터미널지지부 24: 연동슬롯
26: 임시결합구간 27: 전이구간
28: 완전결합구간 30: 제1임시결합돌기
30': 걸림면 31: 연동경사면
32: 제2임시결합돌기 34: 간섭회피홈
40: 터미널

Claims (7)

  1. 표면에 부품장착부가 위치하고 내부공간과 상기 부품장착부를 연통시키고 내부에 터미널이 안착되는 터미널안착공간이 있는 박스몸체와,
    상기 박스몸체의 내부공간에 안착되고 상기 터미널안착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 장착된 터미널의 일측을 지지하는 홀더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플레이트의 외면과 상기 박스몸체의 내부공간 내면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홀더플레이트가 상기 박스몸체의 내부공간 천정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터미널안착공간과 관통공이 일치하는 임시결합상태와 상기 홀더플레이트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 안착된 터미널의 일측을 지지하는 완전결합상태 사이의 이동을 위한 연동핀과 연동슬롯이 형성되는 자동차용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슬롯은 임시결합구간, 전이구간 그리고 완전결합구간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임시결합구간과 완전결합구간은 상기 홀더플레이트가 박스몸체에 결합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오프셋되어 가상의 연장성이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는 자동차용 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슬롯의 임시결합구간 입구에는 제1임시결합돌기가 있고, 상기 임시결합구간의 반대쪽에는 제2임시결합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연동핀이 임의로 임시결합구간을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차용 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임시결합돌기에는 연동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연동핀이 상기 연동슬롯으로 진입하는 것을 안내하고, 상기 제2임시결합돌기는 표면이 곡면으로 되어 상기 임시결합구간의 양측 내면에 위치하는 자동차용 박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에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의 내면에 걸어지는 터미널랜스가 구비되는 자동차용 박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몸체의 내면과 상기 홀더플레이트의 외면중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완전결합돌기와 간섭회피홈이 형성되어 상기 완전결합돌기가 임시결합상태에서는 상기 간섭회피홈에 위치하고 완전결합상태에서는 상기 간섭회피홈을 빠져나와 상대측에 걸어지는 자동차용 박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핀이 상기 연동슬롯에 들어가는 위치를 안내하는 결합안내표시가 상기 박스몸체와 홀더플레이트의 외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자동차용 박스.
KR1020140001524A 2014-01-06 2014-01-06 자동차용 박스 KR201500817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524A KR20150081746A (ko) 2014-01-06 2014-01-06 자동차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524A KR20150081746A (ko) 2014-01-06 2014-01-06 자동차용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746A true KR20150081746A (ko) 2015-07-15

Family

ID=5379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524A KR20150081746A (ko) 2014-01-06 2014-01-06 자동차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17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6476B2 (en) Conductor connection device
US9905977B2 (en) Motor terminal, motor terminal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motor using the same
JP6757611B2 (ja) 端子支持体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US20170256928A1 (en) Adjustable support bracket for electrical devices
JP6190348B2 (ja) コネクタの支持構造及びアダプタ
CN104124581A (zh) 连接器以及线束
US9570841B2 (en) Connector structure and wiring harness
US9819123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having wings displaceably mounted in surrounding portions of a support to facilitate alignment with a mating housing
JP2018520489A (ja) 多極の電気的な差込みコネクタ部材、および、差込みコネクタ装置
US10535953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CN108352656B (zh) 连接器装置
US20180226732A1 (en) Connection housing with a connection device for conductors
KR20150081746A (ko) 자동차용 박스
US10910753B2 (en) Connector
KR101512615B1 (ko) 자동차용 박스
JP6946967B2 (ja) 端子ホルダ、ワイヤハーネス、固定構造
JP5838950B2 (ja) 接続ユニット
JP2012064536A (ja) コネクタ組立体
KR101561046B1 (ko) 자동차용 블럭
KR101110426B1 (ko) 암커넥터 조립체
KR101246518B1 (ko) 커넥터 조립체
JP6722386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20160007320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2226323B1 (ko) 헤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
JP2011249221A (ja) コネクタ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