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542A -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542A
KR20150081542A KR1020140001146A KR20140001146A KR20150081542A KR 20150081542 A KR20150081542 A KR 20150081542A KR 1020140001146 A KR1020140001146 A KR 1020140001146A KR 20140001146 A KR20140001146 A KR 20140001146A KR 20150081542 A KR20150081542 A KR 20150081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gas
leaking
discharge
open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용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1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1542A/ko
Publication of KR20150081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5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4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압된 액화가스가 임의의 방향으로 누출시 주변의 선체나 장비에 손상을 미치지 않도록 하여 이들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서 적은 비용으로 선박과 시스템의 안전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음부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액화가스의 누출 가능성이 있는 밸브, 플랜지, 탱크 노즐 등에 대한 검사, 보수 및 교체 작업을 쉽게 실시할 수 있고, 선체를 일반강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액화가스 운반선의 제작 비용과 액화가스의 운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는 액화가스 설비에서 액화가스의 누출 가능 부분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누출 가능 부분으로부터 누출되는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저장용기; 및 상기 저장용기의 내측으로부터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Apparatus for protecting leakage of liquefied gas}
본 발명은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압된 액화가스가 임의의 방향으로 누출시 주변의 선체나 장비에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구성된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격한 산업화와 연료 소비량 증가로 인해, LNG, LPG나 CO2와 같은 액화가스를 가압된 상태로 운송하는 선박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선박은 온도가 낮은 액화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구비되는데, 액화가스 저장탱크는 극저온이나 저온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지만, 이를 포함한 탱크의 선체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 상온에서만 사용 가능한 일반강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액화가스가 누출되었을 경우에 일반강에 직접 액화가스가 접촉하여 일반강이 저온 취성 파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액화가스의 누출시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LNG의 누출을 검사하거나 누출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등이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종래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24798호의 LNG 탱크 누출 검사 장치 및 LNG 탱크 누출 검사방법과,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15544호의 LNG 저장탱크의 누출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LNG의 누출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LNG의 누출시 주변 구조물의 손상을 직접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면 LNG선과 같은 액화가스 운반선의 LNG 저장탱크나 일반 상선에서 연료로서 사용하는 LNG 연료탱크에서, 밸브, 플랜지, 탱크의 노즐 등으로부터 액화가스가 누출되는 경우, 가압상태의 액화가스가 대기압 상태의 외부에서 압력차에 의해 바닥에 떨어지지 않고, 임의의 방향으로 분출되어 주변의 구성부재나 장치 또는 선체 등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CO2 운반선은 CO2가 5.18bar 이하에서는 액체상태로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항상 5.18bar 이상의 압력으로 유지되어야 하고, 일반적으로 6~20bar사이의 압력으로 운영되는 개념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고압의 CO2가 액상으로 대기중에 누출되면, 줄 톰슨 이펙트(Joule-Tomson effect)에 의해 -80℃ 정도까지 떨어지기 때문에 일반강이나 -50℃ 부근까지 견딜 수 있는 저온용강을 사용해서 선체를 만들 경우에 선체에 파손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직접적으로 해결함으로써 가압된 액화가스의 누출로 인한 선체나 장비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압된 액화가스가 임의의 방향으로 누출시 주변의 선체나 장비에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하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서 적은 비용으로 선박과 시스템의 안전도를 유지하며, 액화가스 운반선의 제작 비용과 액화가스의 운반 비용을 절감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출된 액화가스가 외부에 누출될 수 없도록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에 가스 배출구 이외에는 개방된 부분이 없도록 함으로써, 누출된 액화가스는 자중에 의해 하강 저장되고 기체가 된 가스만이 별도의 가스배출구에 의해 배출되도록 구성하여 누출된 액화가스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화가스 설비에서 액화가스의 누출 가능 부분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누출 가능 부분으로부터 누출되는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저장용기; 및 상기 저장용기의 내측으로부터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저장용기는 상부에 개폐커버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에 연결되는 "∩"자 형상의 배출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저장용기의 상면에 형성되는 배출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배출구에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차단부가 상기 상면에 대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차단부가 상기 배출구의 한쪽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수평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의 다른 측부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는 상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커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화가스 설비에서 액화가스의 누출 가능 부분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누출 가능 부분으로부터 누출되는 액화가스를 저장하며, 상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개방용기; 상기 개방용기에 삽입되어 상기 누출 가능 부분의 외측에 설치됨으로써 누출되는 액화가스의 비산을 차단하는 차단커버; 및 상기 개방용기와 상기 차단커버의 내측으로부터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차단커버는 하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방용기로부터 측면과 하단이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부에 개폐커버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개방용기와 상기 차단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갭; 및 상기 차단커버의 상부에 연결되는 "∩"자 형상의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화가스 설비에서 액화가스의 누출 가능 부분 외측에 위치하여 개방된 하단이 상기 액화가스 설비에 부착되고, 상기 누출 가능 부분으로부터 누출되는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저장부재; 및 상기 저장부재의 내측으로부터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저장부재는 상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커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저장부재와 상기 누출 가능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화가스 설비에서 액화가스의 누출 가능 부분 외측에 위치하여 개방된 하단이 상기 액화가스 설비에 부착되고, 상기 누출 가능 부분으로부터 누출되는 액화가스를 저장하며, 상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개방저장부재; 상기 개방저장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누출 가능 부분의 외측에 설치됨으로써 누출되는 액화가스의 비산을 차단하는 차단커버; 및 상기 개방저장부재와 상기 차단커버의 내측으로부터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차단커버는 하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방저장부재로부터 측면과 하단이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개방저장부재와 상기 차단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갭; 및 상기 차단커버의 상부에 연결되는 "∩"자 형상의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된 액화가스가 임의의 방향으로 누출시 주변의 선체나 장비에 손상을 미치지 않도록 하여 이들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서 적은 비용으로 선박과 시스템의 안전도를 유지하고, 액체가스의 직접 배출을 차단할 수 있고, 이음부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액화가스의 누출 가능성이 있는 밸브, 플랜지, 탱크 노즐 등에 대한 검사, 보수 및 교체 작업을 쉽게 실시할 수 있고, 선체를 일반강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액화가스 운반선의 제작 비용과 액화가스의 운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하기 실시례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100)는 액화가스 설비에서 액화가스의 누출 가능 부분(10) 외측에 설치되고, 누출 가능 부분(10)으로부터 누출되는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저장용기(110)와, 저장용기(110)의 내측으로부터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배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100)는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알루미늄 또는 이의 합금 등과 같이 극저온에 견디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고, 액화가스의 누출 가능 부분(10)으로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밸브(11)와 파이프(12)의 연결부분 외에도 플랜지 연결부분, 탱크의 노즐을 비롯하여 액화가스의 누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모든 부분이 해당될 수 있으며, LNG, LPG, CO2 등의 액화가스를 운반하는 선박, 액화가스의 저장을 필요로 하는 해양 구조물, LNG나 LPG 등의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일반 선박을 비롯하여, 액화가스의 저장을 요하는 다양한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점들은 이하의 모든 실시례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저장용기(110)는 전체적으로 밀폐된 구조를 가지되,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엄격하게 기밀을 유지할 필요는 없으며, 누출 가능 부분(10)의 일부 부재, 예컨대 파이프(12)가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내부에 수용된 누출 가능 부분(10)에 대한 유지, 보수 또는 교체를 위하여 상부에 개폐커버(11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개폐커버(111)는 예컨대 저장용기(110) 상면의 개구 주위에 형성되는 걸림부(112)에 가장자리가 지지되어 볼트(113)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배출부(120)는 저장용기(110) 내의 액화가스가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기화됨으로써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하여, 홀, 직선 형태의 관 등을 비롯한 다양한 구조 및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처럼 상방으로부터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상방으로 가스가 분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저장용기(110)의 상부에 연결되는 "∩"자 형상의 배출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200)는 액화가스 설비에서 액화가스의 누출 가능 부분(20), 예컨대 플랜지 연결부의 외측에 설치되고, 누출 가능 부분(20)으로부터 누출되는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저장용기(210)와, 저장용기(210)의 내측으로부터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배출부(220)를 포함한다.
배출부(220)는 밀폐 구조를 가지는 저장용기(210)의 상면(211)에 형성되는 배출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저장용기(210)는 배출부(220)인 배출구에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차단부(212)가 상면(211)에 대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저장용기(210)는 누출 가능 부분(20)의 일부 부재, 예컨대 파이프(21)가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본 실시례에서처럼 차단부(212)가 배출부(220)인 배출구의 한쪽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수평되게 형성될 수 있고, 배출구 측으로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하는데 유리하도록 배출구의 다른 측부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저장용기(210)는 누출 가능 부분(20)에 대한 유지, 보수 또는 교체를 위하여 상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커버(2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개폐커버(214)는 저장용기(210)의 결합부(215)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볼트(216)로 체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300)는 액화가스 설비에서 액화가스의 누출 가능 부분(30) 외측에 설치되고, 누출 가능 부분(30)으로부터 누출되는 액화가스를 저장하며, 상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개방용기(310)와, 개방용기(310)에 삽입되어 누출 가능 부분의 외측에 설치됨으로써 누출되는 액화가스의 비산을 차단하는 차단커버(320)와, 개방용기(310)와 차단커버(320)의 내측으로부터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배출부(330)를 포함한다.
개방용기(31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누출 가능 부분(30)에서 일부 부재, 예컨대 파이프(31)가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차단커버(32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하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개방용기(310)로부터 측면과 하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누출 가능 부분(30)에 대한 유지, 보수 또는 교체를 위하여, 상부에 개폐커버(32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개폐커버(321)는 예컨대 차단커버(320) 상면의 개구 주위에 형성되는 걸림부(322)에 가장자리가 지지되어 볼트(323)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배출부(330)는 예컨대 개방용기(310)와 차단커버(320) 사이에 형성되는 갭(331)과, 차단커버(320)의 상부에 연결되는 "∩"자 형상의 배출관(33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홀, 직선의 파이프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구조 또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400)는 액화가스 설비(4)에서 액화가스의 누출 가능 부분(40) 외측에 위치하여 개방된 하단이 액화가스 설비(4)에 부착되고, 누출 가능 부분(40)으로부터 누출되는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저장부재(410)와, 저장부재(410)의 내측으로부터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배출부(420)를 포함한다.
저장부재(410)는 액화가스 설비(4), 예컨대 저장 탱크 상부에 하단이 기밀을 유지하도록 밀착되기 위하여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액화가스 설비(4)와 함께 액화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를 이룰 수 있다. 이때 누출 가능 부분(40)의 파이프(41)는 저장부재(410)의 개구를 통해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저장부재(410)는 상부가 개방되되, 본 실시례에서처럼 상면 중 일부에 해당하는 영역에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상부가 개방될 수 있고, 누출 가능 부분(40)에 대한 유지, 보수 또는 교체를 위하여 상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커버(4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개폐커버(411)는 저장부재(410)의 결합부(412)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볼트(413)로 체결될 수 있다.
배출부(42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저장부재(410)와 누출 가능 부분(40) 사이에 형성되는 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례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500)는 액화가스 설비(5)에서 액화가스의 누출 가능 부분(50) 외측에 위치하여 개방된 하단이 액화가스 설비(5)에 부착되고, 누출 가능 부분(50)으로부터 누출되는 액화가스를 저장하며, 상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개방저장부재(510)와, 개방저장부재(510)에 삽입되어 누출 가능 부분(50)의 외측에 설치됨으로써 누출되는 액화가스의 비산을 차단하는 차단커버(520)와, 개방저장부재(510)와 차단커버(520)의 내측으로부터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배출부(530)를 포함한다.
개방저장부재(510)는 액화가스 설비(5), 예컨대 저장 탱크 상부에 하단이 기밀을 유지하도록 밀착되기 위하여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액화가스 설비(5)와 함께 액화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를 이룰 수 있다. 이때 누출 가능 부분(50)의 파이프(51)는 개방저장부재(510)의 개구를 통해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차단커버(52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하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개방저장부재(510)로부터 측면과 하단이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배출부(530)는 개방저장부재(510)와 차단커버(520) 사이에 형성되는 갭(531)과, 차단커버(520)의 상부에 연결되는 "∩"자 형상의 배출관(53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가스의 배출을 위한 홀 또는 직선의 파이프를 비롯하여 다양한 구조 및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에 따르면, 누출된 액화가스가 외부에 누출될 수 없도록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에 가스 배출구 이외에는 개방된 부분이 없도록 함으로써, 누출된 액화가스는 자중에 의해 하강 저장되고 기체가 된 가스만이 별도의 가스배출구에 의해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된 액화가스가 임의의 방향으로 누출시 주변의 선체나 장비에 손상을 미치지 않도록 하여 이들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서 적은 비용으로 선박과 시스템의 안전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음부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액화가스의 누출 가능성이 있는 밸브, 플랜지, 탱크 노즐 등에 대한 검사, 보수 및 교체 작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액화가스 운반선, 예컨대 CO2 운반선의 경우, 단열 팽창시에는 -80℃ 정도로 온도가 떨어지지만 금방 기화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에 의해, CO2가 누출되었을 때 안전도를 보장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선체를 일반강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CO2 운반선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CO2 운송에 대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CCS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20,30,40,50 : 누출 가능 부분 110 : 저장용기
111 : 개폐커버 112 : 걸림부
113 : 볼트 120 : 배출부
210 : 저장용기 211 : 상면
212 : 차단부 213 : 돌출부
214 : 개폐커버 215 : 결합부
216 : 볼트 220 : 배출부
310 : 개방용기 320 : 차단커버
321 : 개폐커버 322 : 걸림부
323 : 볼트 330 : 배출부
331 : 갭 334 : 배출관
410 : 저장부재 411 : 개폐커버
412 : 결합부 413 : 볼트
420 : 배출부 510 : 개방저장부재
520 : 차단커버 530 : 배출부
531 : 갭 532 : 배출관

Claims (16)

  1. 액화가스 설비에서 액화가스의 누출 가능 부분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누출 가능 부분으로부터 누출되는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저장용기; 및
    상기 저장용기의 내측으로부터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누출가능 부분으로부터 누출된 액화가스가 분산되지 않도록 상기 배출 부 이외에는 개방되는 부분이 없도록 마련되고,
    상기 배출부는 가스만을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는,
    상부에 개폐커버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에 연결되는 "∩"자 형상의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저장용기의 상면에 형성되는 배출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배출구에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차단부가 상기 상면에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차단부가 상기 배출구의 한쪽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수평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의 다른 측부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7.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는,
    상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커버로 이루어지는,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8. 액화가스 설비에서 액화가스의 누출 가능 부분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누출 가능 부분으로부터 누출되는 액화가스를 저장하며, 상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개방용기;
    상기 개방용기에 삽입되어 상기 누출 가능 부분의 외측에 설치됨으로써 누출되는 액화가스의 비산을 차단하는 차단커버; 및
    상기 개방용기와 상기 차단커버의 내측으로부터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차단커버는,
    하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방용기로부터 측면과 하단이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부에 개폐커버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개방용기와 상기 차단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갭; 및
    상기 차단커버의 상부에 연결되는 "∩"자 형상의 배출관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11. 액화가스 설비에서 액화가스의 누출 가능 부분 외측에 위치하여 개방된 하단이 상기 액화가스 설비에 부착되고, 상기 누출 가능 부분으로부터 누출되는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저장부재; 및
    상기 저장부재의 내측으로부터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재는,
    상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커버로 이루어지는,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저장부재와 상기 누출 가능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갭으로 이루어지는,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14. 액화가스 설비에서 액화가스의 누출 가능 부분 외측에 위치하여 개방된 하단이 상기 액화가스 설비에 부착되고, 상기 누출 가능 부분으로부터 누출되는 액화가스를 저장하며, 상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개방저장부재;
    상기 개방저장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누출 가능 부분의 외측에 설치됨으로써 누출되는 액화가스의 비산을 차단하는 차단커버; 및
    상기 개방저장부재와 상기 차단커버의 내측으로부터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차단커버는,
    하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방저장부재로부터 측면과 하단이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개방저장부재와 상기 차단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갭; 및
    상기 차단커버의 상부에 연결되는 "∩"자 형상의 배출관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KR1020140001146A 2014-01-06 2014-01-06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KR201500815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146A KR20150081542A (ko) 2014-01-06 2014-01-06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146A KR20150081542A (ko) 2014-01-06 2014-01-06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542A true KR20150081542A (ko) 2015-07-15

Family

ID=53793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146A KR20150081542A (ko) 2014-01-06 2014-01-06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15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379A (ko) * 2016-09-22 2018-03-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누출액의 비산 촉진 장치
KR101977501B1 (ko) 2017-12-05 2019-09-10 한국가스공사 9% Ni강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내부점검 및 정비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379A (ko) * 2016-09-22 2018-03-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누출액의 비산 촉진 장치
KR101977501B1 (ko) 2017-12-05 2019-09-10 한국가스공사 9% Ni강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내부점검 및 정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5295B1 (en) A liquefied gas outlet system, a tank for storing liquefied gas, a method of rebuilding a liquefied gas tank and a method of building a liquefied gas tank
US20220034453A1 (en) Method for checking the leakproofness of a leakproof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for storing a fluid
KR101471152B1 (ko)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 및 성능테스트 방법
KR20150081542A (ko)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KR20140075285A (ko) 액화가스 누출액 배출 장치
KR20100099907A (ko) 탱크돔 보호용 이중상갑판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
KR100980269B1 (ko) 극저온 액체 누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177572B1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2058383B1 (ko) 지상식 멤브레인형 lng 저장탱크의 개방보수 방법
KR200491182Y1 (ko) 액화천연압축가스 용기의 점검구조체
KR101751841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누출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51789B1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누출위치 확인장치
KR200480972Y1 (ko) Lng fpso의 극저온 유체 선외 배출구조 및 이를 가지는 lng 운반선
KR20140087794A (ko) 저온고압탱크의 압력제어방법
KR200462375Y1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누출액 수집장치
KR20200095624A (ko) 누출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극저온 저장탱크의 가스 돔 구조
KR20230101273A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선체 보호시스템
KR20190073051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쿨 다운 시스템
KR20140004355A (ko) 빌지 처리 장치
KR101422153B1 (ko) 극저온 설비의 지지 구조체 및 극저온 설비를 구비한 선박
KR20120070454A (ko) 액체이산화탄소 운반선의 화물 관장치 및 관장치 요소용 압력도출밸브의 배출 배관장치
KR102631184B1 (ko) 선박의 벙커링라인 쿨링시스템
KR102351595B1 (ko) 선박의 선체 보호 시스템
KR101390304B1 (ko) 재기화 장치
KR20140087795A (ko) 저온고압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