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428A - 신규한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80428A KR20150080428A KR1020140193622A KR20140193622A KR20150080428A KR 20150080428 A KR20150080428 A KR 20150080428A KR 1020140193622 A KR1020140193622 A KR 1020140193622A KR 20140193622 A KR20140193622 A KR 20140193622A KR 20150080428 A KR20150080428 A KR 201500804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n
- formula
- compound represented
- phenyl
- compou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7/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7/0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37/04—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45—Oxadiazo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1/02—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from carboxylic acids or from esters, anhydrides, or halides thereof by reaction with ammonia or ami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7/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7/0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37/2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nitrogen atoms of amin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further acylated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 C07D24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1/10—1,3,4-Oxadiazoles; Hydrogenated 1,3,4-oxadiazoles
- C07D271/113—1,3,4-Oxadiazoles; Hydrogenated 1,3,4-oxadiazoles with oxygen, sulfur or nit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the nitrogen atoms not forming part of a nitro radic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29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acylated on ring nitrogen atoms
- C07D295/1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acylated on ring nitrogen atoms by radicals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or sulfur or nitrogen analogues thereof
- C07D295/182—Radicals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 C07D295/185—Radicals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from aliphatic carboxylic acid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나트륨 채널 활성을 억제하고, 말초 신경 손상, 중추 신경 손상뿐만 아니라, 염증으로 유발된 통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척수 손상 후 활성화되는 MMP-2 및 MMP-9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규한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증은 삶을 위협하거나 강한 외부자극에 대한 방어기작으로 나타나는 생리적 반응 중 하나로서 위험에서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증은 조직손상에 의한 침해성 통증(nocieptive pain)과 조직손상을 수반하지 않지만 신경계 이상반응으로 나타나는 신경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으로 구분된다.
침해성 통증은 조직손상에 의한 염증반응이 수반되어 통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손상된 부위가 치유되면서 자연히 소멸된다. 신경병증성 통증은 외상(trauma)이나 염증, 허혈성 손상, 또는 대사산물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신경계가 손상될 때 유발되는 만성적 신경질환이다.
신경병증성 통증은 아무런 자극 없이 생기는 자발통(spontaneous pain)과 외부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통각과민(hyperalgesia) 또는 이질통(allodynia)등의 증상을 수반하는 것이 특징이다. 통각과민은 유해자극에 대한 과도한 비정상적인 통증반응으로 정의되며, 이질통은 무해한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통증반응으로 알려져 있다.
신경병증성 통증은 기존의 진통제로는 통증을 완화시키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제로는 칼슘채널에 작용하는 가바펜틴(Gabapentin), 프리가발린(Pregabalin)과 같은 항경련제, 나트륨 채널에 작용하는 카바마제핀(Carbamazepine)과 같은 항경련제; SNRI(Serotonin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계열 항우울제; 응급 시에만 사용되는 아편류 등의 4가지 계열이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완전한 혹은 부분적인 척수신경의 손상은 척수손상 환자들 중 약 70% 정도의 대다수에서 손상 후 몇 달 이내에 신경병증성 통증을 유발하며 궁극적으로 오랫동안 지속되는 만성적인 신경병증성 통증으로 발전하게 된다. 척수손상 후 발생되는 이러한 통증은 경미한 저림에서부터 자살을 시도할 정도로 극심한 통증까지 그 양상이 다양하며, 대개 만성 통증으로 이어짐으로써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환자들을 괴롭힌다. 더구나, 신경병증성 통증은 통증 자체뿐만 아니라 수면장애, 불안, 우울증과 같은 정신적 스트레스를 동반하기 때문에 환자의 삶의 질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막대한 치료비용이 지출되어(척수손상 환자의 경우 환자 개인당 연간 2,500만 원으로 평생 약 10억 원) 환자 및 가족을 넘어 심각한 사회, 경제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신경병증성 통증에 사용되는 약물들은 임상에서 대부분 병용되지만, 각 계열의 약물들이 모두 비슷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어 오히려 이러한 병용으로 인해 환자에 따라서는 부작용이 더욱 악화될 수 있는 반면, 치료효과는 저조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현재까지 다양한 진통제 또는 진통방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신경병증성 통증 환자의 75%가 여전히 심각한 통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는 사실은 신경병증성 통증의 유발기전이 확실히 정립되지 않음은 물론, 기존의 진통제가 신경병증성 통증을 적절히 치료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므로 독성과 부작용이 없으며 더욱 진통효과가 큰 통증 억제제나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나트륨 채널-차단제는 급성, 만성, 염증성, 신경병증성, 및 통증 장애(paroxysmalextreme pain disorder)과 같은 형태의 통증을 포함하는 통증 치료에 효과적이다(Kyle and Ilyin, J. Med. Chem. 50:2583-2588 (2007); Wood et al., J. Neurobiol. 61:55-71 (2004); Baker et al., TRENDS in Pharmacological Sciences 22:27-31 (2001); 및 Lai et al., Current Opinion in Neurobiology 13:291-297 (2003) 참조).
매트릭스 메탈로프로디나아제(Matrix metalloproteinase: MMP)류는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의 여러 가지 성분을 분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MMP류에 중에서 특히 MMP-2와 MMP-9는 타입 IV 콜라겐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염증, 졸증, 종양생장 및 전이와 같은 질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척수액에서 MMP-9의 수준은 다발성 경화증 및 기타 신경성 질환과 관련되어 있으며(Beeley N.R.A. et al, Nature 362:839-841(1993)), 또한 아밀로이드 베타단백질을 분해하여 축적시키는데도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다(Backstrom J.R. et al, J Neurosci 16(24):7910-9(1996)).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신규한 아미드 유도체가 나트륨 채널 활성을 억제하고, 말초 또는 중추 신경에 손상을 받은 후 신경통이 유발된 래트 모델에서 말초신경병증성 통증, 중추신경병증성 통증 또는 염증성 신경병증성 통증을 억제시키며 척수 손상 후 활성화되는 MMP-2 및 MMP-9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신규한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신규한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신규한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i) 수소, ii) C6-10아릴, iii) 질소(N), 산소(O) 및 황(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동일 또는 상이한 헤테로 원자를 1종 이상 포함하는 5 내지 8 원자 헤테로아릴 또는 iv) R1 및 R2는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함께 질소(N), 산소(O) 및 황(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동일 또는 상이한 헤테로 원자를 1종 이상 포함하는 5 내지 8 원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할 수 있고,
A는 i) 상기 R1 및 R2 어느 하나가 아릴일 경우, -CH(CH3)- 또는 -(CH2)n-NH(C=O)-CH(CH3)-이고, 이때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ii) 상기 R1 및 R2 어느 하나가 헤테로아릴일 경우, -CH(CH3)- 또는 -(CH2)n-이고, 이때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iii) 상기 R1 및 R2가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함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하는 경우, -CH(CH3)- 또는 -(CH2)n-NH(C=O)-CH(CH3)-이고, 이때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신규한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신규한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규한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나트륨 채널 활성을 억제하고, 말초 신경 손상, 중추 신경 손상뿐만 아니라, 염증으로 유발된 통증을 억제하며, 척수 손상 후 활성화되는 MMP-2 및 MMP-9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의 A는 10 μM의 실시예 2에 의해 DRG 신경세포들에서 발현되는 TTX-S 전류의 억제 그래프이고; 도 1의 B는 10 μM의 실시예 2에 의해 DRG 신경세포들에서 발현되는 TTX-R 전류의 억제 그래프이고; 도 1의 C는 10 μM 실시예 2의 TTX-S 전류 및 TTX-R 전류의 감소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의 A는 실시예 2의 유무에 따른 TTX-S 나트륨 전류의 전압의존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B는 실시예 2의 유무에 따른 TTX-R 나트륨 전류의 전압의존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의 A는 실시예 2의 유무에 따른 TTX-S 전압의존성 활성화곡선을 전류의 상대적 전도도로 계산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B는 실시예 2의 유무에 따른 TTX-R 전압의존성 활성화곡선을 전류의 상대적 전도도로 계산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C는 실시예 2의 유무에 따른 TTX-S 비활성화곡선을 상대적 전류의 크기로 나타낸 그래프이고, D는 실시예 2의 유무에 따른 TTX-R 비활성화곡선을 상대적 전류의 크기로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의 동물모델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신경 손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그림:
ossa coxae: 두 개의 장골들;
S1: 첫 번째 천골 신경(1번 Sacral nerve);
S2: 두 번째 천골 신경;
S3: 세 번째 천골 신경;
S4: 네 번째 천골 신경;
C1: 첫 번째 미골 신경(1번 Coccygeal nerve);
C2: 두 번째 미골 신경; 및
×: 신경 손상 위치로써, 구체적으로 천골 신경 1번과 2번 사이 상(superior), 하(inferior) 신경 위치를 잘라, 쥐의 꼬리로 가는 1번 신경만 손상시킴;이고;
도 5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화합물의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 동물 모델의 기계 자극에 대한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B는 냉 자극에 대한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C는 온 자극에 대한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화합물의 중추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화합물의 염증성 통증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주입 농도에 따른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B는 종래 진통제의 주입 농도에 따른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내고;
도 9는 척수 손상 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화합물의 신경 활성 응답의 변화에 대한 세포 외 단위(extracellular unit) 기록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내고(A: 약물 주입전, B: 약물 주입 후 10분, C: 약물 주입 후 20분, D: 약물 주입 후 30분, E: 약물 세척 후 30분, F: 각각 시간에 대한 비교그래프);
도 10은 척수 손상 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화합물의 L4 DRG MMP-9 활성화 억제에 대한 결과이고(A: L4 DRG MMP-2 및 MMP 9 기질 함유 젤라틴 자이모그램 젤에서의 활성화 정도, B: 상기 A에 대한 상대 강도 그래프, C: DQ-젤라틴-FITC 및 폴리머릭 프로브를 사용한 In situ 자이모그라피에서, Sham, 대조군, 실시예 2의 화합물의 L4 DRG MMP-2 및 MMP 9 활성화 정도); 및
도 11은 척수 손상 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화합물의 L4 척수 MMP-2 및 MMP 9 활성화 억제에 대한 결과이다(A: L4 척수 MMP-2 및 MMP 9 기질 함유 젤라틴 자이모그램 젤에서의 활성화 정도, B: 상기 A에 대한 상대 강도 그래프, C 및 D: DQ-젤라틴-FITC에서 L4 척수 내 젤라티나아제 활성화 정도, E: 폴리머릭 프로브를 사용한 In situ 자이모그라피에서 L4 척수 내 MMP-2 및 MMP 9 활성화 정도)이다.
도 2의 A는 실시예 2의 유무에 따른 TTX-S 나트륨 전류의 전압의존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B는 실시예 2의 유무에 따른 TTX-R 나트륨 전류의 전압의존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의 A는 실시예 2의 유무에 따른 TTX-S 전압의존성 활성화곡선을 전류의 상대적 전도도로 계산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B는 실시예 2의 유무에 따른 TTX-R 전압의존성 활성화곡선을 전류의 상대적 전도도로 계산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C는 실시예 2의 유무에 따른 TTX-S 비활성화곡선을 상대적 전류의 크기로 나타낸 그래프이고, D는 실시예 2의 유무에 따른 TTX-R 비활성화곡선을 상대적 전류의 크기로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의 동물모델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신경 손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그림:
ossa coxae: 두 개의 장골들;
S1: 첫 번째 천골 신경(1번 Sacral nerve);
S2: 두 번째 천골 신경;
S3: 세 번째 천골 신경;
S4: 네 번째 천골 신경;
C1: 첫 번째 미골 신경(1번 Coccygeal nerve);
C2: 두 번째 미골 신경; 및
×: 신경 손상 위치로써, 구체적으로 천골 신경 1번과 2번 사이 상(superior), 하(inferior) 신경 위치를 잘라, 쥐의 꼬리로 가는 1번 신경만 손상시킴;이고;
도 5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화합물의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 동물 모델의 기계 자극에 대한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B는 냉 자극에 대한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C는 온 자극에 대한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화합물의 중추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화합물의 염증성 통증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주입 농도에 따른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B는 종래 진통제의 주입 농도에 따른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내고;
도 9는 척수 손상 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화합물의 신경 활성 응답의 변화에 대한 세포 외 단위(extracellular unit) 기록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내고(A: 약물 주입전, B: 약물 주입 후 10분, C: 약물 주입 후 20분, D: 약물 주입 후 30분, E: 약물 세척 후 30분, F: 각각 시간에 대한 비교그래프);
도 10은 척수 손상 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화합물의 L4 DRG MMP-9 활성화 억제에 대한 결과이고(A: L4 DRG MMP-2 및 MMP 9 기질 함유 젤라틴 자이모그램 젤에서의 활성화 정도, B: 상기 A에 대한 상대 강도 그래프, C: DQ-젤라틴-FITC 및 폴리머릭 프로브를 사용한 In situ 자이모그라피에서, Sham, 대조군, 실시예 2의 화합물의 L4 DRG MMP-2 및 MMP 9 활성화 정도); 및
도 11은 척수 손상 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화합물의 L4 척수 MMP-2 및 MMP 9 활성화 억제에 대한 결과이다(A: L4 척수 MMP-2 및 MMP 9 기질 함유 젤라틴 자이모그램 젤에서의 활성화 정도, B: 상기 A에 대한 상대 강도 그래프, C 및 D: DQ-젤라틴-FITC에서 L4 척수 내 젤라티나아제 활성화 정도, E: 폴리머릭 프로브를 사용한 In situ 자이모그라피에서 L4 척수 내 MMP-2 및 MMP 9 활성화 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i) 수소, ii) C6 - 10아릴, iii) 질소(N), 산소(O) 및 황(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동일 또는 상이한 헤테로 원자를 1종 이상 포함하는 5 내지 8 원자 헤테로아릴 또는 iv) R1 및 R2는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함께 질소(N), 산소(O) 및 황(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동일 또는 상이한 헤테로 원자를 1종 이상 포함하는 5 내지 8 원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할 수 있고,
A는 i) 상기 R1 및 R2 어느 하나가 아릴일 경우, -CH(CH3)- 또는 -(CH2)n-NH(C=O)-CH(CH3)-이고, 이때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ii) 상기 R1 및 R2 어느 하나가 헤테로아릴일 경우, -CH(CH3)- 또는 -(CH2)n-이고, 이때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iii) 상기 R1 및 R2가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함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하는 경우, -CH(CH3)- 또는 -(CH2)n-NH(C=O)-CH(CH3)-이고, 이때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또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비치환 또는 직쇄 또는 측쇄의 C1 - 4알킬, 할로겐 및 비치환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된 C6 - 10아릴, C6 - 10아릴옥시, 직쇄 또는 측쇄의 C1 - 4알킬로 더 치환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헤테로아릴은 옥사디아졸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옥사디아졸은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로 더 치환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 옥사디아졸은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피페라지닐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피페라지닐은 (4-클로로페닐)(페닐)메틸로 더 치환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를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하기와 같다:
(1) (+)-2-아미노-N-(4-(p-토릴옥시)페닐)프로판아미드;
(2) (-)-2-아미노-1-(4-((4-클로로페닐)(페닐)메틸)피페라진-1-일)- 프로판-1-온;
(3) (-)-2-아미노-N-(5-(4-클로로페닐)-1,3,4-옥사디아졸-2-일)프로판아미드;
(4) 3-아미노-N-(5-(4-클로로페닐)-1,3,4-옥사디아졸-2-일)프로판아미드;
(5) 4-아미노-N-(5-(4-클로로페닐)-1,3,4-옥사디아졸-2-일)부탄아미드;
(6)(-)-2-아미노-N-(3-옥소-3-(4-(p-토릴옥시)페닐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7) (+)-4-(2-아미노프로판아미도)-N-(4-(p-토릴옥시)페닐)부탄아미드
(8) 2-아미노-N-(4-(4-((4-클로로페닐)(페닐)메틸)피페라진-1-일)-4-옥소부틸)프로판아미드; 및
(9) (+)-5-(2-아미노프로판아미도)-N-(4-(p-토릴옥시)페닐)펜탄아미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바람직한 구조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아질산, 아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류, 지방족 모노 및 다이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 등과 같은 무독성 유기산, 아세트산, 안식향산, 구연산, 젖산, 말레인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주석산, 푸마르산등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의 종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나이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다이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다이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만델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다이클로로메탄, 아세토나이트릴 등과 같은 유기용매에 녹이고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건조시켜 제조하거나, 용매와 과량의 산을 감압 증류한 후 건조시켜 유기용매 하에서 결정화시켜셔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용매화물, 수화물 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성 조건 하에 반응시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2);을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상기 반응식 1에서, R1 및 R2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A1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A 중 -CH(CH3)- 또는 -(CH2)n-이고, 이때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유도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1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아민기와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카르복실기를 아미드화 반응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아미드화 반응의 시약으로는 통상적으로 아미드화 반응을 수행할 수 있는 시약이라면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나,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니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OP),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니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OP)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미드화 반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디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또는 트리에틸아민(TEA) 등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가능한 용매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과 같은 알코올계 용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1,2-디메톡시에탄과 같은 에테르계 용매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성 조건 하에 반응시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2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아민 보호기인 Boc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아민 보호기인 Boc를 제거할 수 있는 반응 조건이라면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나, 산성 조건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사용가능한 용매는 클로로포름,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과 같은 알코올계 용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1,2-디메톡시에탄과 같은 에테르계 용매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을 수행한 후, 유기용매로 추출, 건조, 여과 및 감압 증류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추가적으로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재결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성 조건 하에 반응시켜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2);을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2]
상기 반응식 2에서, R1 및 R2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A1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A 중 -CH(CH3)- 또는 -(CH2)n-이고, 이때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유도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의 단계 1 및 2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의 단계 1 및 2와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통증은 신경병증성 통증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신경병증성 통증은 말초 신경 손상, 중추 신경 손상, 염증성 신경 손상 등의 신경 손상에 의해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경병증성 통증은 당뇨병 신경병증성 통증, 척추관협착증, 척추 수술후 통증, 이질통(allodynia), 작열통(causalgia), 통각과민증, 과민병증(hyperpathia), 신경통, 대상포진 후 신경통(postherpetic neuralgia), 개흉수술후통증(post-thoracotomic pain), 삼차신경통(trigemial neuralgia), 다발성경화증 관련 통증, 시상통(thalamic pain), 환지통(phantom limb pain), 무감각통증(anesthesia dolorosa), HIV 관련 신경병증성 통증, 척수장애에 의한 양하지마비통(paraplegic pain) 또는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발작후 통증, 신경병증-관련 통증, 예를 들어, 특발 또는 외상후 신경병증 및 홑신경염, 암-관련 신경병증성 통증, 손목굴-관련 신경병증성 통증, 척수 손상-관련 통증, 섬유근육통-관련 신경병증성 통증, 허리 및 경부 통증, 반사교감신경 이상증, 환상지 증후군 및 자발통, 외상-유도 신경병증성 통증, 탈수초(demyelination)-유도 통증, 환상 사지(Phantom-limb) 통증, 화학요법 유도 신경병증, 등 통증(back pain), 골 통증, 만성 알콜중독, 갑상선기능저하증, 요독증 또는 비타민 결핍으로 인한 신경병증성 통증 및 중추성 뇌졸중후 통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는 나트륨 채널 활성을 억제하고, 말초 또는 중추 신경에 손상을 받은 후 신경통이 유발된 래트 모델에 각각 투여하였을 때, 기계적 이질통 및 열 통각과민이 감소하여 신경병증성 통증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며 척수 손상 후 활성화되는 MMP-2 및 MMP-9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실험예 1 내지 7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나트륨 채널 활성을 억제하고, 신경병증성 통증을 완화 또는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척수 손상 후 활성화되는 MMP-2 및 MMP-9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인체에 대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몸무게가 70 Kg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0.1-1000 mg/일이며, 바람직하게는 1-500 mg/일이며, 또한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신경병증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통증은 신경병증성 통증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신경병증성 통증은 말초 신경 손상, 중추 신경 손상, 염증성 신경 손상 등의 신경 손상에 의해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경병증성 통증은 당뇨병 신경병증성 통증, 척추관협착증, 척추 수술후 통증, 이질통(allodynia), 작열통(causalgia), 통각과민증, 과민병증(hyperpathia), 신경통, 대상포진 후 신경통(postherpetic neuralgia), 개흉수술후통증(post-thoracotomic pain), 삼차신경통(trigemial neuralgia), 다발성경화증 관련 통증, 시상통(thalamic pain), 환지통(phantom limb pain), 무감각통증(anesthesia dolorosa), HIV 관련 신경병증성 통증, 척수장애에 의한 양하지마비통(paraplegic pain) 또는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발작후 통증, 신경병증-관련 통증, 예를 들어, 특발 또는 외상후 신경병증 및 홑신경염, 암-관련 신경병증성 통증, 손목굴-관련 신경병증성 통증, 척수 손상-관련 통증, 섬유근육통-관련 신경병증성 통증, 허리 및 경부 통증, 반사교감신경 이상증, 환상지 증후군 및 자발통, 외상-유도 신경병증성 통증, 탈수초(demyelination)-유도 통증, 환상 사지(Phantom-limb) 통증, 화학요법 유도 신경병증, 등 통증(back pain), 골 통증, 만성 알콜중독, 갑상선기능저하증, 요독증 또는 비타민 결핍으로 인한 신경병증성 통증 및 중추성 뇌졸중후 통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는 나트륨 채널 활성을 억제하고, 말초 또는 중추 신경에 손상을 받은 후 신경통이 유발된 래트 모델에 각각 투여하였을 때, 기계적 이질통 및 열 통각과민이 감소하여 신경병증성 통증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며 척수 손상 후 활성화되는 MMP-2 및 MMP-9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실험예 1 내지 7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는 나트륨 채널 활성을 억제하고, 신경병증성 통증을 완화 또는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척수 손상 후 활성화되는 MMP-2 및 MMP-9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로 식품, 음료 등의 건강보조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는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g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나아가,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아미드 유도체는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2-아미노-
N
-(4-(p-
토릴옥시
)
페닐
)
프로판아미드
단계 1: (-)-
tert
-부틸 1-옥소-1-(4-(p-
토릴옥시
)
페닐아미노
)프로판-2-일-
카바메이트
N-BocL-알라닌(2.46mmol), 4-(p-톨릴옥시)벤젠아민(2.71 mmol) 및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니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OP; 2.71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3 mL)에 용해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용액에 디아이소프로필에틸렌아민(4.92 mmol)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상기 반응 용액에 10% 염산 수용액(20 mL)을 붓고 에틸아세테이트(30 mL)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10% 염산 수용액(20 mL), 포화된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20 mL)으로 두 번, 포화된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두 번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필터하고 감압 증류하였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하여 흰 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66%)을 얻었다.
[α]D 23 .8-24.5°(MeOH,c0.58); 1H NMR (CDCl3, 400 MHz) δ 8.27 (brs, 1H), 7.11(d, J=8.4 Hz, 2H), 6.94(d, J=8.8 Hz, 2H), 6.88(d, J=8.4 Hz, 2H), 4.93(brs, 1H), 4.24-4.34(m, 1H), 2.32(s, 3H), 1.47(s, 9H), 1.43(d, J=6.8 Hz, 3H); HR-FABMS Calcd for C21H17O4N2(M+H)+:371.1971,Found:371.1974.
단계 2: (+)-2-아미노-
N
-(4-(p-
토릴옥시
)
페닐
)
프로판아미드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tert-부틸 1-옥소-1-(4-(p-토릴옥시)페닐아미노)프로판-2-일-카바메이트(0.76 mmol)를 클로로포름(5 mL) 및 4M 염산-디옥산에 넣고 3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반응물의 용매 및 과량의 산을 감압 제거하여 밝은 갈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99%)을 얻었다.
mp 158-160℃; [α]D 22 .726.1°(MeOH,c0.49); 1H NMR (D2O, 400 MHz) δ 7.46 (d, J=9.2 Hz, 2H), 7.28(d, J=8.8 Hz, 2H), 7.09(d, J=8.8 Hz, 2H), 7.02(d, J=8.4 Hz, 2H), 4.23(q, J=7.2 Hz, 1H), 2.35(s, 3H), 1.65(d, J=7.2 Hz, 3H); HR-FABMS Calcd for C16H19O2N2 (M+H)+:271.1447, Found: 271.1449.
<
실시예
2> (-)-2-아미노-1-(4-((4-
클로로페닐
)(
페닐
)
메틸
)피페라진-1-일)- 프로판-1-온
단계 1: (+)-
tert
-부틸 1-(4-((4-
클로로페닐
)(
페닐
)
메틸
)피페라진-1-일)-1-o옥소프로판-2-
일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4-(p-톨릴옥시)벤젠아민 대신에 1-((4-클로로페닐)(페닐)메틸)피페라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52%)을 얻었다.
[α]D 25 .37.4°(MeOH, c 0.31); 1H NMR (CDCl3, 400 MHz) δ 7.58-7.60 (m, 4H), 7.32-7.41 (m, 5H), 5.37 (s, 1H), 4.54 (q, J=7.2 Hz, 1H), 3.70-3.87(m, 4H), 2.68-2.93(m, 4H), 1.43(s, 9H), 1.27(d, J=6.8 Hz, 3H); HR-FABMS Calcd for C25H33O3N3Cl(M+H)+:458.2210,Found:458.2212.
단계 2: (-)-2-아미노-1-(4-((4-
클로로페닐
)(
페닐
)
메틸
)피페라진-1-일)-프로판-1-온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tert-부틸 1-(4-((4-클로로페닐)(페닐)메틸)피페라진-1-일)-1-옥소프로판-2-일카바메이트를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옅은 노란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99%)을 얻었다.
mp 220-222℃; [α]D 22 .7-1.9°(MeOH,c0.79); 1H NMR (D2O, 400 MHz) δ 7.63-7.66 (m, 4H), 7.51-7.57 (m, 5H), 5.36 (s, 1H), 4.51 (q, J=7.2 Hz, 1H), 3.80-3.90(m, 4H), 3.29-3.35(m, 4H), 1.50(d, J=6.8 Hz, 3H); HR-FABMS Calcd for C20H25ON3Cl (M+H)+:358.1686, Found: 358.1690.
<
실시예
3> (-)-2-아미노-
N
-(5-(4-
클로로페닐
)-1,3,4-
옥사디아졸
-2-일)
프로
판아미드
단계 1: (-)-
tert
-부틸 1-(5-(4-
클로로페닐
)-1,3,4-
옥사디아졸
-2-
일아미노
)-1-옥소- 프로판-2-
일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4-(p-톨릴옥시)벤젠아민 대신에 5-(4-클로로페닐)-1,3,4-옥사디아졸-2-아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흰색 고체(14%)를 얻었다.
[α]D 24 .5-3.3°(MeOH, c 0.33); 1H NMR (CDCl3, 400 MHz) δ 8.0 (d, J=8.8 Hz, 2H), 7.48(d, J=8.8 Hz, 2H), 5.35(brs, 1H), 4.36-4.46(m, 1H), 1.51(d, J=7.2 Hz, 3H), 1.44(s, 9H); HR-FABMS Calcd for C16H20O4N4Cl (M+H)+:367.1173, Found: 367.1176.
단계 2: (-)-2-아미노-
N
-(5-(4-
클로로페닐
)-1,3,4-
옥사디아졸
-2-일)
프로판아미드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2-아미노-N-(5-(4-클로로페닐)-1,3,4-옥사디아졸-2-일)프로판아미드를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옅은 노란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89%)을 얻었다.
mp 259-261℃; [α]D 22 .8-9.1°(MeOH, c 0.54); 1H NMR (D2O, 400 MHz) δ 7.98 (d, J=8.8 Hz, 1H), 7.89(d, J=8.4 Hz, 1H), 7.63(d, J=8.8 Hz, 2H), 4.39(q, J=6.8,7.6 Hz, 1H), 1.71(d, J=7.2 Hz, 3H); HR-FABMS Calcd for C11H12O2N4Cl(M+H)+:267.0649,Found:267.0650
<
실시예
4> 3-아미노-
N
-(5-(4-
클로로페닐
)-1,3,4-
옥사디아졸
-2-일)
프로판아
미드
단계 1:
tert
-부틸 3-(5-(4-
클로로페닐
)-1,3,4-
옥사디아졸
-2-
일아미노
)-3-옥소-
프로필카바메이트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프로판산(2.46 mmol), 5-(4-클로로페닐)-1,3,4-옥사디아졸-2-아민(2.71 mmol) 및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니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OP; 2.71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3 mL)에 용해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용액에 디아이소프로필에틸렌아민(4.92 mmol)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상기 반응 용액에 10% 염산 수용액(20 mL)을 붓고 에틸아세테이트(30 mL)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10% 염산 수용액(20 mL), 포화된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20 mL)으로 두 번, 포화된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두 번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필터하고 감압 증류하였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하여 노란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36%)을 얻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7.96 (d, J = 8.8 Hz, 2H), 7.48 (d, J=8.8 Hz, 2H), 5.11(brs, 1H), 3.54(q, J=6.0 Hz, 2H), 2.82-2.88(m, 2H), 1.45(s, 9H); HR-FABMS Calcd for C16H20O4N4Cl(M+H)+:367.1173,Found:367.1176.
단계 2: 3-아미노-
N
-(5-(4-
클로로페닐
)-1,3,4-
옥사디아졸
-2-일)
프로판아미드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tert-부틸 3-(5-(4-클로로페닐)-1,3,4-옥사디아졸-2-일아미노)-3-옥소- 프로필카바메이트(0.76 mmol)를 클로로포름(5 mL) 및 4M 염산-디옥산에 넣고 3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반응물의 용매 및 과량의 산을 감압 제거하여 밝은 갈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89%)을 얻었다.
mp 128-130℃; 1H NMR (D2O, 400 MHz) δ 7.94 (d, J=8.4 Hz, 2H), 7.61(d, J=8.8 Hz, 2H), 3.36-3.43(m, 2H), 2.91-3.04(m, 2H); HR-FABMS Calcd for C11H12O2N4Cl(M+H)+:267.0649,Found:267.0648.
<
실시예
5> 4-아미노-
N
-(5-(4-
클로로페닐
)-1,3,4-
옥사디아졸
-2-일)
부탄아미
드
단계 1:
tert
-부틸 4-(5-(4-
클로로페닐
)-1,3,4-
옥사디아졸
-2-
일아미노
)-4-옥소-
부틸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4의 단계 1에서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프로판산 대신에 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부탄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의 단계 1과 유사하게 수행하여 밝은 갈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22%)을 얻었다.
1H NMR(CDCl3, 400 MHz) δ 7.99 (d, J=8.8 Hz, 2H), 7.47(d, J=8.8 Hz, 2h), 4.90(brs, 1H), 3.29-3.31(m, 2H), 2.55-2.62(m, 2H), 1.90-1.96(m, 2H), 1.47(s, 9H); HR-FABMS Calcd for C17H22O4N4Cl(M+H)+:381.1330,Found:381.1333.
단계 2: 4-아미노-
N
-(5-(4-
클로로페닐
)-1,3,4-
옥사디아졸
-2-일)
부탄아미드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tert-부틸 4-(5-(4-클로로페닐)-1,3,4-옥사디아졸-2-일아미노)-4-옥소- 부틸카바메이트를 상기 실시예 4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흰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74%)을 얻었다.
mp 172-174℃; 1H NMR (D2O, 400 MHz) δ 7.94 (d, J=8.8 Hz, 2H), 7.60(d, J=8.8 Hz, 2H), 3.08(t, J=7.4 Hz, 2H), 2.49(t, J=7.4 Hz, 2H), 1.99-2.06(m, 2H); HR-FABMS Calcd for C12H14O2N4Cl(M+H)+:281.0805,Found:281.0808.
<
실시예
6> (-)-2-아미노-
N
-(3-옥소-3-(4-(p-
토릴옥시
)
페닐아미노
)프로필) 프로판아미드
단계 1: (+)-
tert
-부틸 1-옥소-1-(3-옥소-3-(4-(p-
토릴옥시
)
페닐아미노
)
프로필아미노
)프로판-2-
일카바메이트
3-아미노-N-(4-(p-토릴옥시)페닐)프로판아미드(2.71mmol), N-Boc-L-알라닌(2.46mmol) 및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니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OP; 2.71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3 mL)에 용해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용액에 디아이소프로필에틸렌아민(4.92 mmol)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상기 반응 용액에 10% 염산 수용액(20 mL)을 붓고 에틸아세테이트(30 mL)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10% 염산 수용액(20 mL), 포화된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20 mL)으로 두 번, 포화된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두 번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필터하고 감압 증류하였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하여 노란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59%)을 얻었다.
[α]D 23 .721.1°(MeOH,c0.18);1H NMR (CDCl3, 400 MHz) δ 7.8 (brs, 1H), 7.48 (d, J = 8.8 Hz, 2H), 7.12 (d, J=8.4 Hz, 2H), 6.95(d, J=8.8 Hz, 2H), 6.88(d, J=8.4 Hz, 2H), 4.93(brs, 1H), 4.05-4.09(m, 1H), 3.56-3.70(m, 2H), 2.58-2.61(m, 2H), 2.33(s, 3H), 1.41(s, 9H), 1.34(d, J=7.2 Hz, 3H); HR-FABMS Calcd for C24H32O5N3(M+H)+:442.2342,Found:442.2339.
단계 2: (-)-2-아미노-
N
-(3-옥소-3-(4-(p-
토릴옥시
)
페닐아미노
)프로필)
프로
판아미드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tert-부틸 1-옥소-1-(3-옥소-3-(4-(p-토릴옥시)페닐아미노) 프로필아미노)프로판-2-일카바메이트(0.76 mmol)를 클로로포름(5 mL) 및 4M 염산-디옥산에 넣고 3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반응물의 용매 및 과량의 산을 감압 제거하여 흰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71%)을 얻었다.
mp 183-185℃; [α]D 22 .7-5.3°(MeOH,c0.38);1H NMR (D2O, 400 MHz) δ 7.41 (d, J = 8.0 Hz, 2H), 7.28 (d, J=7.2 Hz, 2H), 7.07(d, J=7.6 Hz, 2H), 7.01(d, J=7.6 Hz, 2H), 4.02-4.08(m, 1H), 3.56-3.76(m, 2H), 2.62-2.75(m, 2H), 2.35(s, 3H), 1.50(d, J=6.4 Hz, 3H); HR-FABMS Calcd for C19H24O3N3(M+H)+:342.1818,Found:3421819.
<
실시예
7> (+)-4-(2-
아미노프로판아미도
)-
N
-(4-(p-
토릴옥시
)
페닐
)
부탄아미
드
단계 1: (+)-
tert
-부틸 1-옥소-1-(4-옥소-4-(4-(p-
토릴옥시
)
페닐아미노
)
부틸아미노
) 프로판-2-
일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6의 단계 1에서 3-아미노-N-(4-(p-토릴옥시)페닐)프로판아미드 대신에 4-아미노-N-(4-(p-토릴옥시)페닐)부탄아미드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의 단계 1과 유사하게 수행하여 노란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63%)을 얻었다.
[α]D 25 .013.9°(MeOH,c0.28); 1H NMR (CDCl3, 400 MHz) δ ; 8.71 (brs, 1H), 7.57 (d, J = 9.2 Hz, 2H), 7.11 (d, J=8.0 Hz, 2H), 6.94(d, J=8.8 Hz, 2H), 6.88(d, J=8.4 Hz, 2H), 6.45(brs, 1H), 4.90(brs, 1H), 4.09-4.16(m, 1H), 3.35-3.46(m, 2H), 2.34-2.36(m, 2H), 2.32(s, 3H), 1.90-1.93(m, 2H), 1.45(s, 9H), 1.38(d, J=7.2 Hz, 3H); HR-FABMS Calcd for C25H34O5N3(M+H)+:456.2498,Found:456.2499.
단계 2: (+)-4-(2-
아미노프로판아미도
)-
N
-(4-(p-
토릴옥시
)
페닐
)
부탄아미드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tert-부틸 1-옥소-1-(4-옥소-4-(4-(p-토릴옥시)페닐아미노)부틸아미노) 프로판-2-일카바메이트를 상기 실시예 7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밝은 노란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74%)을 얻었다.
mp 164-167℃; [α]D 22 .79.2°(MeOH, c 0.24); 1H NMR (D2O, 400 MHz) δ 7.42 (d, J = 8.8 Hz, 2H), 7.28 (d, J=8.4 Hz, 2H), 7.08(d, J=8.8 Hz, 2H), 7.02(d, J=8.4 Hz, 2H), 4.02(q, J=6.8,7.2 Hz, 1H), 3.32-3.37(m, 2H), 2.48(t, J=7.4 Hz, 2H), 2.35(s, 3H), 1.91-1.97(m, 2H), 1.50(d, J=7.2 Hz, 3H); HR-FABMS Calcd for C20H26O3N3(M+H)+:356.1974,Found:356.1976.
<
실시예
8> 2-아미노-
N
-(4-(4-((4-
클로로페닐
)(
페닐
)
메틸
)피페라진-1-일)-4-옥소부틸)
프로판아미드
단계 1: (-)-
tert
-부틸 1-(4-(4-((4-
클로로페닐
)(
페닐
)
메틸
)피페라진-1-일)-4-옥
소부틸아미
노)-1-
옥소프로판
-2-
일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6의 단계 1에서 3-아미노-N-(4-(p-토릴옥시)페닐)프로판아미드 대신에 4-아미노-1-(4-((4-클로로페닐)(페닐)메틸)피페라진-1-일)부탄-1-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의 단계 1과 유사하게 수행하여 흰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23%)을 얻었다.
[α]D 24 .7-3.2°(MeOH,c0.34);1H NMR (CDCl3, 400 MHz) δ 7.34-7.37 (m, 4H), 7.19-7.31 (m, 5H), 6.60 (brs, 1H), 4.99 (brs, 1H), 4.22 (s, 1H), 4.04-4.18 (m, 1H), 3.58-3.62 (m, 2H), 3.44 (t, J = 5.2 Hz, 2H), 3.28 (q, J=6.0,6.4 Hz, 2H), 2.33-2.36(m, 6H), 1.83-1.88(m, 2H), 1.43(s, 9H), 1.32(d, J=6.8 Hz, 3H); HR-FABMS Calcd for C29H40O4N4Cl(M+H)+:543.2738,Found:543.2740.
단계 2: 2-아미노-
N
-(4-(4-((4-
클로로페닐
)(
페닐
)
메틸
)피페라진-1-일)-4-
옥소부틸
)
프로판아미드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tert-부틸 1-(4-(4-((4-클로로페닐)(페닐)메틸)피페라진-1-일)-4-옥소부틸아미노)-1-옥소프로판-2-일카바메이트를 상기 실시예 6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노란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27%)을 얻었다.
1H NMR(D2O, 400 MHz) δ 7.62-7.67 (m, 4H), 7.51-7.57 (m, 5H), 5.46 (s, 1H), 4.04 (q, J = 7.2 Hz, 1H), 3.74-3.77 (m, 4H), 3.31-3.34 (m, 2H), 3.23-3.29 (m, 4H), 2.49 (t, J=7.4 Hz, 2H), 1.79-1.82(m, 2H), 1.52(d, J=7.2 Hz, 3H); HR-FABMS Calcd for C24H32O2N4Cl(M+H)+:443.2214,Found:443.2212.
<
실시예
9> (+)-5-(2-
아미노프로판아미도
)-
N
-(4-(p-
토릴옥시
)
페닐
)
펜탄아미
드
단계 1: (+)-
tert
-부틸 1-옥소-1-(5-옥소-5-(4-(p-
토릴옥시
)
페닐아미노
)
펜틸아미노
)프로판-2-
일카바메이트
상기 실시예 6의 단계 1에서 3-아미노-N-(4-(p-토릴옥시)페닐)프로판아미드 대신에 5-아미노-1-(4-((4-클로로페닐)(페닐)메틸)피페라진-1-일)펜탄-1-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의 단계 1과 유사하게 수행하여 흰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55%)을 얻었다.
[α]D 24 .821°(MeOH,c0.51);1H NMR (CDCl3, 400 MHz) δ 7.74 (brs, 1H), 7.50 (d, J = 8.8 Hz, 2H), 7.11 (d, J=8.0 Hz, 2H), 6.94(d, J=8.8 Hz, 2H), 6.88(d, J=8.4 Hz, 2H), 6.32(brs, 1H), 4.89(brs, 1H), 4.09-4.13(m, 1H), 3.31-3.38(m, 2H), 2.38-2.42(m, 2H), 2.32(s, 3H), 1.72-1.79(m, 2H), 1.57-1.64(m, 2H), 1.42(s, 9H), 1.36(d, J=7.2 Hz, 3H); HR-FABMS Calcd for C26H36O5N3(M+H)+:470.2655,Found:470.2652.
단계 2: (+)-5-(2-
아미노프로판아미도
)-
N
-(4-(p-
토릴옥시
)
페닐
)
펜탄아미드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tert-부틸 1-옥소-1-(5-옥소-5-(4-(p-토릴옥시)페닐아미노) 펜틸아미노)프로판-2-일카바메이트를 상기 실시예 6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노란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26%)을 얻었다.
mp 149-150℃; [α]D 22 .519.5°(MeOH,c0.22);1H NMR (D2O, 400 MHz) δ 7.40 (d, J = 8.0 Hz, 2H), 7.28 (d, J=7.6 Hz, 2H), 7.07(d, J=8.4 Hz, 2H), 7.01(d, J=8.4 Hz, 2H), 4.03-4.18(m, 1H), 3.29-3.34(m, 2H), 2.44-2.48(m, 2H), 2.35(s, 3H), 1.71-1.76(m, 2H), 1.62-1.68(m, 2H), 1.52(d, J=6.4 Hz, 3H); HR-FABMS Calcd for C21H28O3N3(M+H)+:370.2131,Found:370.2134.
<
실험예
1>
VIPR
에세이를 이용한 나트륨 채널 활성 억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in vitro 나트륨 채널 활성 억제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전압 이온 프로브 리더(voltage/ion probe reader), hNav 1.7 이 발현된 안정한 HEK-293 세포 라인 및 전압-센서 형광 염료를 사용한 형광 이미지 플레이트 리더(FLIPR) 에세이로부터 인간 Nav 1.7(SCN9A 통증을 느끼게 하는 단백질을 포함한 나트륨 통로)인 나트륨 채널 hNav 1.7 활성 억제를 측정하였다.
hNav 1.7의 세포막의 탈분극(depolarization)을 검출하기 위하여 전압-감각 염료를 사용하는 형광 이미지 플레이트 리더(FLIPR) 에세이를 사용하였다. hNav 1.7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베라트리딘(veratridine, 50 μM)을 사용하였으며, Nav 채널 억제제인 테트라카인(Tetracaine, 50 μM)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9의 화합물을 10 μM로 하여 억제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 억제율(%) at 10 μM |
1 | 25 |
2 | 27 |
3 | 10 |
4 | 15 |
5 | 18 |
6 | 23 |
7 | 21 |
8 | 12 |
9 | 32 |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나트륨 채널 hNav 1.7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 생물학적 평가(나트륨 채널 억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나트륨 채널 활성 억제에 대한 생물학적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DRG(Dorsal Root Ganglia) 신경세포들을 생후 1-2개월이 지난 수컷 흰쥐 (Sprague-Dawley rats)로부터 분리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DRG 신경세포들을 콜라게나아제 A (1 mg/mL; Roche, Indianapolis, IN)가 포함되어 있는 pH 7.2의 멸균된 염용액(CSS)에서 20분 동안 37℃에서 배양시킨 후, 콜라게나아제 D (1 mg/mL; Roche) 및 파파인 (30 U/mL; Worthington, Lakewood, NJ)이 포함되어 있는 멸균된 CSS에서 20분 동안 37℃에서 다시 배양시켰다. 배양된 DRG가 들어있는 CSS를 3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침전된 DRG 신경세포들을 1.5 mg/mL BSA (Fraction V; Sigma, St. Louis, MO) 및 1.5 mg/mL trypsin inhibitor (Sigma)가 포함된 DRG media (1:1 DMEM/ F12, 10% FBS, 100 U/mL penicillin, and 0.1 mg/mL streptomycin)으로 조심스럽게 풀어주었다. 풀어진 세포들은 폴리-오르니틴-라미닌이 코팅된 유리 커버 슬립 위에 도포한 후 37℃(humidified 95% air 5% CO2) 배양기에서 1시간 동안 배양 후 DRG media를 1 mL씩 넣어주고 실험에 사용할 때까지 배양기내에서 배양하였다.
테트로도톡신-저항성 (TTX-R) 또는 테트로도톡신-민감성 (TTX-S) 나트륨 전류를 Axopatch 200B 증폭기(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로 측정하였고, 측정된 데이터는 pClamp10.3 (Molecular Device)와 OriginPro 8.5 (Microcal, Northampton, MA, USA)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였다.
TTX-R 나트륨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세포외 용액은 70 mM NaCl, 70 mM Choline-Cl, 3 mM KCl, 1 mM MgCl2, 1 mM CaCl2, 20 mM TEA-Cl, 0.1 mM CdCl2, 0.0003 mM TTX, 10 mM glucose 및 10 mM HEPES, pH 7.3 (adjusted to 320 mOsm/l with sucrose)를 사용하였다.
TTX-S 나트륨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세포외 용액에서 140 mM NaCl 대신에 30 mM NaCl과 110 mM Choline-Cl를 사용하였고 TTX는 사용하지 않았다. 모든 TTX-S 나트륨 전류는 실험 후 300 nM TTX를 처리하여 완전히 억제되는지 확인하였다. 세포내 용액은 140 mM CsF, 10 mM NaCl, 1 mM EGTA, 10 mM HEPES, pH 7.3 (adjusted to 315 mOsm/l with sucrose)을 사용하였다. TTX-R 나트륨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작은 크기의 DRG 신경세포(직경 30 um 이하)를 선택하였고, TTX-S 나트륨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중간 크기의 DRG 신경세포(직경 30-45 um)를 선택하여 기록하였다. 100 mM 실시예 2의 stock 용액은 DMSO에 녹여 만들었고, 원하는 농도를 만들 때는 세포외 용액에 희석시켜 실험을 실시하였다.
1.
실시예
2의 화합물의
TTX
-S와
TTX
-R 전류 발생의 억제율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화합물이 TTX-S와 TTX-R 전류 발생을 억제하는지 확인해보기 위해 흰쥐의 DRG 신경세포들을 사용하였다. 작은 크기의 DRG 신경세포들은 TTX-S와 TTX-R 전류를 둘 다 발생하기 때문에 TTX-R 전류는 세포외 용액에 300 nM TTX를 첨가하여 작은 크기의 신경세포(<30 um)에서 측정하였고, 중간 크기의 신경세포들은 주로 TTX-S 전류만을 생산하기 때문에 TTX-S 전류는 중간 크기의 신경세포(30-45 um)에서 측정하였으며, TTX-S 전류의 경우 실험이 종료될 때 마다 300 nM TTX를 피펫으로 주입하여 TTX-R 전류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TTX-R 전류가 남아있는 경우 결과분석에서 제외하였다. 1초 동안 -100 mV로 전압을 고정시킨 후 10 mV로 20초마다 탈분극시켜 TTX-S 나트륨 전류를 측정하여 도 1의 A에 나타내었고, 70 mV의 고정전압에서 100 ms동안 10 mV로 15초마다 탈분극시켜 TTX-R 나트륨 전류를 측정하여 도 1의 B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에 의한 TTX-S (n = 9)와 TTX-R (n = 4)의 억제 정도를 평균 ± 표준오차로 계산하여 도 1의 C에 나타나내었다.
도 1의 A는 10 μM의 실시예 2에 의해 DRG 신경세포들에서 발현되는 TTX-S 전류의 억제 그래프이고; 도 1의 B는 10 μM의 실시예 2에 의해 DRG 신경세포들에서 발현되는 TTX-R 전류의 억제 그래프이고; 도 1의 C는 10 μM 실시예 2의 TTX-S 전류 및 TTX-R 전류의 감소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화합물의 10 μM은 TTX-S 전류 및 TTX-R 전류를 각각 59.0 ± 4.9 % (n=9)와 41.0 ± 4.0 % (n=4)로 감소시켜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
실시예
2의 화합물에 의한
TTX
-S와
TTX
-R의 억제 메커니즘 비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화합물에 의한 TTX-S와 TTX-R의 억제 메커니즘을 비교하기 위해 이들의 이온통로의 전압의존성 활성화를 실험하였다.
10 μM 실시예 2가 존재하지 않거나(closed square) 존재하는(open circle) 상태를 20초 마다 -80 mV의 고정전압으로부터 1초 동안 -100 mV로 전압을 낮춘 후 다양한 전압으로 탈분극시켜 TTX-S 나트륨 전류의 전압의존성을 측정하여 도 2의 A에 나타내었고, 70 mV의 고정전압으로부터 다양한 전압으로 15초마다 탈분극시켜 TTX-R 나트륨 전류의 전압의존성을 측정하여 도 2의 B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전압의존성 활성화곡선을 전류의 상대적 전도도로 계산하여 TTX-S를 도 3의 A에 나타내었고, TTX-R를 도 3의 B에 나타내었다. 나아가, 나트륨 전류의 정류상태의 비활성화곡선을 상대적 전류의 크기로부터 구하여 TTX-S를 도 3의 C에 나타내었고, TTX-R를 도 3의 D에 나타내었다. 모든 데이터는 평균 ± 표준오차로 나타냈다.
도 2의 A는 실시예 2의 유무에 따른 TTX-S 나트륨 전류의 전압의존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B는 실시예 2의 유무에 따른 TTX-R 나트륨 전류의 전압의존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의 A는 실시예 2의 유무에 따른 TTX-S 전압의존성 활성화곡선을 전류의 상대적 전도도로 계산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B는 실시예 2의 유무에 따른 TTX-R 전압의존성 활성화곡선을 전류의 상대적 전도도로 계산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C는 실시예 2의 유무에 따른 TTX-S 비활성화곡선을 상대적 전류의 크기로 나타낸 그래프이고, D는 실시예 2의 유무에 따른 TTX-R 비활성화곡선을 상대적 전류의 크기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유무에 따른 전류-전압의 관계를 살펴보면, 대표적인 whole-cell 나트륨 전류 모양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3의 A 및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서 TTX-S 나트륨 전류의 평균 V50 및 k값은 각각 -34.6 ± 0.5 및 5.2 ± 0.4 mV (n=6)이었고, TTX-R 나트륨 전류에서 평균 V50 및 k값은 각각 -16.3 ± 2.2 및 6.6 ± 0.2 mV (n=4)이었다. 실시예 2의 화합물 존재하에서는 TTX-S 나트륨 전류의 평균 V50 및 k값은 각각 -33.5 ± 0.8 mV 및 4.7 ± 0.3 mV (n=8)이었고, TTX-R 나트륨 전류에서 평균 V50 및 k값은 각각 -16.5 ± 1.7 및 6.3 ± 0.4 mV (n=4)이었다. 따라서 TTX-S 및 TTX-R 나트륨 전류의 전압의존성 활성화곡선은 대조군과 실시예 2의 실험군이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도 3의 C 및 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2의 화합물이 나트륨 전류의 정류 성비활성화 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면, 대조군에서 TTX-S 나트륨 전류의 평균 V50 및 k값은 각각 -68.9 ± 1.7 및 7.6 ± 0.5 mV (n=7)이었고, TTX-R 나트륨 전류의 평균 V50와 k값은 각각 -39.6 ± 0.6 및 6.5 ± 0.4 mV이었다. 실시예 2의 실험군에서는 TTX-S 나트륨 전류의 평균 V50 및 k값은 각각 -67.4 ± 1.6 mV 및 7.3 ± 0.3 mV (n=8)이었고, TTX-R 나트륨 전류의 평균 V50 및 k값은 각각 -40.1 ± 0.6 및 6.1 ± 0.2 mV (n=4)이었다. 따라서, TTX-S 및 TTX-R 나트륨 전류에서 정류성 비활성화 곡선은 대조군과 실시예 2 실험군이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화합물은 TX-S 및 TTX-R 나트륨 전류의 전압의존성 활성화곡선 또는 전류에서 정류성 비활성화 곡선에서 대조군과의 차이 없이, TTX-S 전류 및 TTX-R 전류를 감소시키므로 나트륨 채널 활성을 억제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3>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아미드 유도체의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의 동물모델의 제작
래트(Sprague-Dawley rats, 150 - 200g) 수컷을 4% 아이소풀루란(isoflurane) 및 96% 산소의 혼합가스로 마취를 유도한 후, 수술 전 과정에 걸쳐 상기 혼합가스로 마취를 유지시켰다. 꼬리에 신경병증성 통증을 유발시키기 위해 래트의 꼬리에 분포하는 상, 하미간(superior, inferior caudal trunk)을 노출시키고,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 1, 2 천수신경 사이에서 1 ~ 2 mm를 잘라낸다.
말초 신경 손상 후 약 14 일후 유도되는 통증반응을 관찰하였으며, 14, 15, 16일에 통증 행동 테스트를 실시하여 3일동안의 평균값을 "pre -14d"로 간주하였다. 이 중 신경병증성 통증이 완전히 유도된 래트를 선별하여 척수 손상 후 14일째, 15일째, 및 16일째에 통증 행동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상기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의 동물 모델에게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디메틸설폭사이드에 녹여 60 mg/kg의 농도 (100 μl/rat)로 1회 복강주사 한 후 (n=5) 4시간 동안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군(vehicle, n=6)은 실시예 2의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은 디메틸설폭사이드 100 μl를 복강주사하였다.
실시예 2 화합물을 투여하기 전에 통증을 확인하였으며, 약물 투여 후 모든 행동 검사는 약제 투여 여부를 모르는 연구자에 의해 맹검법(blind study)으로 시행되었다.
1. 기계적
이질통(mechanical allodynia)의
판정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 동물모델을 둥근 아크릴 통(5.5×15, 6.5×18 cm, 몸 크기에 따라 맞게 사용)에 넣고 꼬리만 밖으로 빼낸 후, 판 위에 올려 놓았다. 기계적 이질통에 대한 측정은 여러 가지 von Frey hair(후지에의 기계적 자극)(0.4, 0.6, 1.0, 2.0, 4.0, 6.0, 8.0, 15.0 g)를 이용하여 Up-Down 방식(Chaplan et al, 1994)으로 꼬리를 자극하여 50% 회피반응을 보이는 후지에의 기계적 자극의 그램(g)을 산정하는 방식으로 시행하였다. 신경 손상 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회피반응 역치가 감소한 것을 기계적 이질통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여, 그 결과를 도 5의 A에 나타내었다.
도 5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화합물을 주입한 동물은 실시예 2의 화합물을 주입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면, 1 시간 내에 현저한 진통 효과를 나타내고 주입 1 시간 후 가장 강력한 진통 효과를 나태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진통 완화 효과는 약 4시간 정도 지속됨을 알 수 있다.
2.냉
이질통(cold allodynia)의
판정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 동물모델을 둥근 아크릴 통에 넣고 꼬리만 밖으로 꺼내 늘어뜨린 후 4℃ 물 속에 넣어 꼬리가 회피반응을 보일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실험결과는 5분간의 간격을 두고 5회 실시한 평균값으로 하였다. 15초까지 회피하지 않을 때는 꼬리의 민감화를 막기 위해 물속에서 꼬리를 빼내고 15초를 결과로 하였다. 수술 전보다 유의성 있게 빨리 회피하는 경우는 냉 이질통의 결과로 추정하여 그 결과를 도 5의 B에 나타내었다.
도 5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화합물을 주입한 동물은 실시예 2의 화합물을 주입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면, 1 시간 내에 현저한 진통 효과를 나타내고 주입 1 시간 후 가장 강력한 진통 효과를 나태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진통 완화 효과는 약 4시간 정도 지속됨을 알 수 있다.
3. 온
이질통(warm allodynia)의
측정
온 이질통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의 냉 이질통과 같은 방법으로 시행하되 물의 온도를 40℃로 하여 수행하였다. 말초 신경 손상을 가하기 전에 비하여 유의하게 빨리 회피하는 경우를 온 이질통의 결과로 추정하여, 그 결과를 도 5의 C에 나타내었다.
도 5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화합물을 주입한 동물은 실시예 2의 화합물을 주입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면, 1 시간 내에 현저한 진통 효과를 나타내고 주입 2 시간 후 가장 강력한 진통 효과를 나태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진통 완화 효과는 약 4시간 정도 지속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의 완화에 우수한 효과가 있으므로,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4> 중추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아미드 유도체의 중추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중추
신경병증성
통증의 동물모델의 제작
클로랄 하이드레이트(chloral hydrate, 500 mg/kg)를 복강 주입하여 마취한 후에 척수 T8-T10 부분을 노출시켰다. 척수손상 동물 모델로서 10g 무게의 추를 일정 높이에서 떨어뜨려 인간 척수손상과 유사한 외상을 주고, 외상 강도를 컴퓨터에서 수치화할 수 있게 고안된 NYU impactor를 사용하였다. NYU impactor의 클램프에 래트를 고정시킨 다음, 25 mm 높이에서 10 g 무게의 추를 자유낙하시켜 척수 T9 부위에 손상을 주었다. 컴퓨터에 나타나는 손상 강도에 대한 데이터를 통하여 정해진 오차 범위 내에 일정한 손상이 가해진 것을 확인한 후 상처부위를 봉합하였다. 상처부위를 포비돈 용액으로 소독한 후, 2마리씩 케이지(cage)에 넣어 사육하였고, 하루 3회 인위적으로 방광을 마사지하여 배뇨를 도왔다.
상기 중추 신경병증성 통증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행위반응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척수손상 후 약 28일까지 BBB locomoter test 및 손상 후 유도되는 통증반응을 관찰하였으며, 28, 29, 30일에 통증 행동 테스트를 실시하여 3일 동안의 평균값을 pre로 간주하였다. 그 중 신경병증성 통증이 완전히 유도된 래트를 선별하여 척수 손상 후 31일째, 32일째, 및 33일째에 통증 행동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중추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 효과
상기 중추 신경병증성 통증의 동물 모델에게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디메틸설폭사이드에 녹여 60 mg/kg의 농도 (100 μl/rat)로 1회 복강주사 한 후 (n=5) 4시간 동안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군(vehicle, n=6)은 실시예 2의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은 디메틸설폭사이드 100 μl를 복강주사하였다.
실시예 2 화합물을 투여하기 전에 통증을 확인하였으며, 약물 투여 후 모든 행동 검사는 약제 투여 여부를 모르는 연구자에 의해 맹검법(blind study)으로 시행하였고, 투여 후 1 시간 내지 4 시간 동안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화합물의 중추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화합물을 주입한 동물은 실시예 2의 화합물을 주입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면, 1 시간 내에 현저한 중추 신경병증성 통증의 진통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신경병증성 통증의 완화에 우수한 효과가 있으므로, 중추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5> 염증성 통증에 대한 효능 평가
염증성 통증 동물모델의 제작
염증성 통증 동물모델을 제작하기 위하여, 한쪽 발등 피하에 5% 포르말린 용액 50 ㎕를 주입한 성체 수컷 래트(체중 200-250g)를 이용하였다.
염증성 통증 억제 효과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화합물의 염증성 통증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염증성 통증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중추 염증성 통증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포르말린 주입하기 30분 전에 투여한 후, 포르말린 용액을 성체 수컷 래트의 발등에 주입하였다. 프르말린 주입 직후 쥐의 발을 핥거나(licking time), 발을 드는 시간(lifting time)을 5분 간격으로 기록하여 총 60분 간 측정하였다. 약물을 처치하지 않은 대조군은 약물처치 없이 포르말린만 발등 피하로 주입하였고 주입하자마자 통증성 행위반응을 측정하여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화합물의 염증성 통증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화합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0분 내지 10분 사이(초반)에서는 그룹 간 유의성이 없으며, 염증성 반응이 나타나는 10분 내지 60분 사이(후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염증성 통증 억제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30분 경과 후, 염증성 통증의 완화 작용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40분 경과 후 완화의 효과가 최대치에 도달한 것을 알 수 있고 1 시간 이상 효과가 지속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염증성 통증의 완화에 우수한 효과가 있으므로, 염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6> 종래 진통제 및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통증 완화효과 비교
종래 진통제인 가바펜틴(gabapentin) 및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투여 농도에 따른 통증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4의 중추 신경병증성 통증 동물 모델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화합물을 0.1, 1, 5 및 10 μg의 농도, 종래 진통제인 가바펜틴(gabapentin)을 10, 50 및 100 μg의 농도의 농도로 하여 각각 1회 복강 내로 투여한 후, 4시간 동안 통증의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8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주입 농도에 따른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B는 종래 진통제의 주입 농도에 따른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화합물을 10 μg 농도로 주입한 실험군은 1 시간에서 9 g이고, 가바펜틴(gabapentin) 약물을 10 μg 농도로 주입한 비교군은 1 시간에서 5 g이므로, 동일한 약물의 농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화합물의 통증 완화 효과가 더욱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7> 척수 외상에서의
MMP
-2 또는
MMP
-9 활성화 억제 효과
척수 손상 후 신경병증성 통증이 유발된 쥐에서 척수 내 MMP-2, MMP-9 활성화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1. 실험방법
1)
척수조직절편
준비
척수 외상을 준지 31일째 실시예 2 화합물을 투여하고 1시간 후, 랫트의 심장(right atrium)을 통해 PBS로 관류한 후, L4-L5 척수조직과 척수 신경절(DRG)을 분리하여 액체질소에 동결시켜 사용할 때까지 -80℃에 보관하였다.
2) 자이모그래피(
Zymography
)
라이시스 버퍼용액(1% Nonidet P-40, 50 mM Tris (pH 8.0), 150 mM NaCl, 0.5% 소듐 디옥시콜레이트, 0.1% SDS)를 이용하여 얻은 세포 내 단백질 30 μg을 Novex 10% 젤라틴 자이모그램 겔(EC61752;Invitrogen)에 로딩한 후 4에서 100V 조건 하에 전기영동을 시행하였다. 그 후 겔을 리네이쳐링 버퍼 용액(renaturing buffer)(2.5% Triton X-100) 넣고 상온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한 후 developing 버퍼(50 mM Tris-HCl, pH 8.5, 0.2 M NaCl, 5 mM CaCl2, 0.02% Brii35)에 넣어 37C에서 24시간 동안 두었다. 그 후 0.5% 쿠마씨 블루(Coomassie blue)로 24시간 염색 후 40% 메탄올, 10% 아세트산을 함유한 오염제거(destaining) 버퍼에 두었다. 이 때 자이모그램 겔에서 명확하게 나오는 밴드가 젤라티나아제 활성(gelatinase activity)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3
)
In
situ
자이모그라피
(
In
situ
zymography
)
상기 액체 질소에 얼린 척수와 DRG 조직을 크라이오스태트(cryostat)를 이용하여 20μm 두께로 잘라 젤라틴 코팅된 슬라이드 유리에 붙혔다. 조직 절편 위에 0.05M Tris-HCl, 0.15M NaCl, 5mM CaCl2, 0.2mM NaN3 버퍼 용액에 40g FITC-표지된 젤라틴(Invitrogen), 형광원 MMP-2 특정 폴리머릭 프로브(specific polymeric probe) 또는 형광원 MMP-9 특정 폴리머릭 프로브(KIST, Korea) 등을 섞어 처리한 후 상온에서 12시간 배양한 뒤 PBS로 세척한 후 형광현미경으로 확인하여 젤라티나아제 활성이 있는 부분에 녹색 형광을 관찰하였다. 대조군으로는 40g FITC를 처리하였다.
4) 세포 외 기록(
Extracellular
recording
)
척수 손상 후 30 일된 L3 및 L5 사이의 척수의 후각(dorsal horn)으로부터 신경 신호를 기록하였다. 렛트(Rat)는 소듐 펜토바비탈(sodium pentobarbital)(40 mg/kg) 의 복강 내 주사 (IP)로 마취하고, 정위 장치(stereotaxic apparatus; David Kopf Instruments, Tujunga, CA)에 고정하였다. 페럴린-C 절연된 낮은 임피던스 텅스텐 기판(A-M Systems, Carlsborg, WA)으로 제조한 미세 전극을, 척수의 후각에서 1000 μm 깊이의 배근(dorsal root) 엔트리 존까지 삽입하였다(Hains et al_2003, 2004, 2006, 2007). 레퍼런스 및 배경 와이어는 후면에 피하 배치하였다. 신경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수집 시스템(Neuralynx, Tucson, AZ)에서 32-kHz 샘플 속도 및 300 내지 5000 Hz 에서 필터된 밴드 패스를 사용하여 기록하였다.
기계적 자극은 왼쪽 뒷발의 발바닥 표면에 페이직 브러쉬(phasic brush)로 공급하였다. 자극의 지속은 20초로 설정하고 각 자극 간격은 20초로 하였다. 모든 단일 처리는 Spike2 소프트웨어(v8; Cambrige Electronic Design, Cambrige, UK)로 오프라인으로 수행하였다. 자극에 대한 히스토그램(Peristimulus time histograms)은 길이 내 각각 1초 빈스에서 스파이크의 수를 구측하였다(Hains et al_2003, 2004, 2006, 2007). 약물의 효과는 시간 코스 연구에 의해 조사하였다: 약물 주입 전, 약물 치료 후 10분, 약물 치료 후 20분, 약물 치료 후 30분, 세척 후 30분. 약물은 정확히 L3-L5 척추 세그멘트의 척수 표면에 전달되었고, PBS로 여러번 세척하여 플러싱하였다.
2. 실험 결과
1) 척수 손상(
SCI
) 후 말초 자극(
peripheral
stimuli
)의 유발 반응(
the
evoked
responses
) 감소
도 9 는 신경 활성 응답의 변화에 대한 세포 외 단위(extracellular unit)를 나타낸다. 약물 주입 전, 약물 치료 후 10분, 약물 치료 후 20분, 약물 치료 후 30분, 세척 후 30분에서 PB 자극에 대한 유발 전위 방전 속도는 각각 17.75 ± 11.82Hz, 2.06 ± 1.68Hz, 1.44 ± 1.26Hz, 2.57 ± 3.58Hz, 및 9.03 ± 6.40Hz 이었다. 약물 주입 전과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화합물 투여(p < 0.05) 후 유발 활성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약물 반응의 최대 효과 피크는 약물 치료 후 20분 후에 도달되었으며, 유발 전위 방전 속도는 약물 주입 전보다 91.89% 낮았다. 세척 30 분 후, 유발 반응은 약물 주입 전 수준의 50.87% 로 회복하였다.
2)
L4
DRG
MMP
-9 활성화 억제 효과
MMP는 pro-form의 단백질이 잘려 활성화되어야 주변의 기질을 분해시키는 성질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 2 화합물의 MMP-2, MMP-9 활성 억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MMP-2, MMP-9의 기질이 함유된 젤라틴 자이모그램 젤을 이용하여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척수손상 후 31일째 L4 DRG에서 활성화된 MMP-9이 sham에 비해 현저히 증가된 것이 확인되었고, 실시예 2 화합물 처리한 그룹에서 거의 sham과 비슷한 수준으로 MMP-9의 활성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MMP-2의 경우에는 척수손상이나 실시예 2 화합물 투여에 의해 활성이 변화하지 않았다(도 10의 A). In situ 자이모그래피를 시행하였을 때 MMP-2, MMP-9을 포함하는 젤라티나아제 활성(gelatinase activity)을 측정하는 DQ-gelatin-FITC를 처리한 경우, sham에 비하여 대조군 DRG에서 젤라티나아제의 활성화가 관찰되었고, 실시예 2 화합물에 의해 형광 감도(fluorescence intensity)가 감소되었다(도 10의 C, Gelatinse). MMP-2와 MMP-9을 특정하게 검출하는 폴리머릭 프로브(polymeric probe)를 사용하여 DRG에서의 MMP-2, MMP-9의 활성화에 미치는 실시예 2 화합물의 영향을 확인한 결과 zymgram gel의 결과와 동일하게 MMP-2는 차이가 없으나, MMP-9에서 손상 후 활성이 증가되고 실시예 2 화합물에 의해서는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0의 C, MMP-2, MMP-9).
3)
L4
척수
MMP
-2,
MMP
-9 활성화 억제 효과
척수 손상 후 신경병증성 통증이 유발된 쥐에서 실시예 2 화합물이 척수 내 MMP-2, MMP-9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L4-L5 척수를 분리하여 zymogram gel을 이용하여 활성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active-MMP-2, -9 수준이 손상 후 현저히 증가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 2 화합물 처리에 의해 각각 약 38%, 27% 가량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11의 A, B). 또한, DQ-gelatin-FITC를 통해 in situ activity를 확인한 결과 L4 척수 내 젤라티나아제 활성이 확연히 증가되어 있으며, RECA-1과 double staining을 통하여 혈관에서 젤라티나아제 활성이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11의 C, D). FITC만 처리한 컨트롤에서는 형광 신호가 전혀 관찰되지 않음을 통하여 신호의 특별함을 확인하였다(도 11의 C, Control-FITC). 또한 형광원 MMP-2 및 MMP-9 특정 폴리머릭 프로브를 사용하여 in situ 자이모그라피를 시행하였을 때 L4 척수조직에서 MMP-2와 MMP-9 활성이 실시예 2 화합물에 의해서 현저히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11의 E).
<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주사액제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10 ㎍/㎖
묽은 염산 BP
pH 3.5로 될 때까지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최대 1 ㎖
적당한 용적의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중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의 pH를 묽은 염산 BP를 사용하여 pH 3.5로 조절하고, 주사용 염화나트륨 BP를 사용하여 용적을 조절하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용액을 투명 유리로 된 5 ㎖ 타입 I 앰플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공기의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120 ℃에서 15 분 이상 오토클래이브시켜 살균하여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2> 건강식품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500 n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
제제예
3>
건강음료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500 ng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건강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 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9)
-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i) 수소, ii) C6 - 10아릴, iii) 질소(N), 산소(O) 및 황(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동일 또는 상이한 헤테로 원자를 1종 이상 포함하는 5 내지 8 원자 헤테로아릴 또는 iv) R1 및 R2는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함께 질소(N), 산소(O) 및 황(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동일 또는 상이한 헤테로 원자를 1종 이상 포함하는 5 내지 8 원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할 수 있고,
A는 i) 상기 R1 및 R2 어느 하나가 C6 - 10아릴일 경우, -CH(CH3)- 또는 -(CH2)n-NH(C=O)-CH(CH3)-이고, 이때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ii) 상기 R1 및 R2 어느 하나가 헤테로아릴일 경우, -CH(CH3)- 또는 -(CH2)n-이고, 이때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iii) 상기 R1 및 R2가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함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하는 경우, -CH(CH3)- 또는 -(CH2)n-NH(C=O)-CH(CH3)-이고, 이때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비치환 또는 직쇄 또는 측쇄의 C1 - 4알킬, 할로겐 및 비치환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된 C6 - 10아릴, C6 - 10아릴옥시, 직쇄 또는 측쇄의 C1-4알킬로 더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드 유도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릴은 페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드 유도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페닐은 톨릴옥시로 더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드 유도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아릴은 옥사디아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드 유도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옥사디아졸은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로 더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드 유도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피페라지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드 유도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페라지닐은 (4-클로로페닐)(페닐)메틸로 더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드 유도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는:
(1) (+)-2-아미노-N-(4-(p-토릴옥시)페닐)프로판아미드;
(2) (-)-2-아미노-1-(4-((4-클로로페닐)(페닐)메틸)피페라진-1-일)- 프로판-1-온;
(3) (-)-2-아미노-N-(5-(4-클로로페닐)-1,3,4-옥사디아졸-2-일)프로판아미드;
(4) 3-아미노-N-(5-(4-클로로페닐)-1,3,4-옥사디아졸-2-일)프로판아미드;
(5) 4-아미노-N-(5-(4-클로로페닐)-1,3,4-옥사디아졸-2-일)부탄아미드;
(6)(-)-2-아미노-N-(3-옥소-3-(4-(p-토릴옥시)페닐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미드
(7) (+)-4-(2-아미노프로판아미도)-N-(4-(p-토릴옥시)페닐)부탄아미드
(8) 2-아미노-N-(4-(4-((4-클로로페닐)(페닐)메틸)피페라진-1-일)-4-옥소부틸)프로판아미드; 및
(9) (+)-5-(2-아미노프로판아미도)-N-(4-(p-토릴옥시)페닐)펜탄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성 조건 하에 반응시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2);을 포함하는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반응식 1]
(상기 반응식 1에서, R1 및 R2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A1은 제1항에서 정의한 A 중 -CH(CH3)- 또는 -(CH2)n-이고, 이때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유도체이다).
-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성 조건 하에 반응시켜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2);을 포함하는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반응식 2]
(상기 반응식 1에서, R1 및 R2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A1은 제1항에서 정의한 A 중 -CH(CH3)- 또는 -(CH2)n-이고, 이때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유도체이다).
- 제1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은 신경병증성 통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병증성 통증은 말초 신경 손상, 중추 신경 손상 및 염증성 신경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신경 손상에 의해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은 신경병증성 통증인 것을 특징으로 건강식품 조성물.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병증성 통증은 말초 신경 손상, 중추 신경 손상 및 염증성 신경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신경 손상에 의해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66818 | 2013-12-30 | ||
KR1020130166818 | 2013-12-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80428A true KR20150080428A (ko) | 2015-07-09 |
KR101705718B1 KR101705718B1 (ko) | 2017-02-14 |
Family
ID=53493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93622A KR101705718B1 (ko) | 2013-12-30 | 2014-12-30 | 신규한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5718B1 (ko) |
WO (1) | WO2015102390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18750A1 (ko) * | 2015-07-24 | 2017-02-02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Blt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CN108349874A (zh) * | 2015-07-24 | 2018-07-31 | 东国大学校产学协力团 | 具有blt抑制活性的新颖化合物和包含其作为活性成分的用于预防或治疗炎症性疾病的组合物 |
WO2019156465A1 (ko) * | 2018-02-07 | 2019-08-15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척수 손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8069B1 (ko) * | 2006-06-02 | 2009-03-11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규한 비펩타이드성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KR20090028239A (ko) * | 2007-09-14 | 2009-03-18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규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통증억제용 조성물 |
KR101124742B1 (ko) * | 2006-03-17 | 2012-04-13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통증 억제용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9727523D0 (en) * | 1997-12-31 | 1998-02-25 | Pharmacia & Upjohn Spa | Alpha-aminoamide derivatives useful as analgesic agents |
EP1438956A1 (en) * | 2003-01-16 | 2004-07-21 | Newron Pharmaceuticals S.p.A. | Alpha-aminoamide derivatives useful as antimigraine agents |
DK2229351T3 (en) * | 2007-12-11 | 2018-01-22 | Newron Pharm Spa | PROCEDURE FOR THE PREPARATION OF 2- [4- (3- OR 2-FLUORBENZYLOXY) BENZYLAMINO] PROPANAMIDS WITH HIGH PURITY |
-
2014
- 2014-12-30 WO PCT/KR2014/013076 patent/WO201510239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12-30 KR KR1020140193622A patent/KR10170571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4742B1 (ko) * | 2006-03-17 | 2012-04-13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통증 억제용 조성물 |
KR100888069B1 (ko) * | 2006-06-02 | 2009-03-11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규한 비펩타이드성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KR20090028239A (ko) * | 2007-09-14 | 2009-03-18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규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통증억제용 조성물 |
KR101079459B1 (ko) * | 2007-09-14 | 2011-11-03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규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통증억제용 조성물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18750A1 (ko) * | 2015-07-24 | 2017-02-02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Blt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CN108349874A (zh) * | 2015-07-24 | 2018-07-31 | 东国大学校产学协力团 | 具有blt抑制活性的新颖化合物和包含其作为活性成分的用于预防或治疗炎症性疾病的组合物 |
US10179764B2 (en) | 2015-07-24 | 2019-01-15 | Dongguk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 Compound having BLT inhibitory activity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comprising same as active ingredient |
US10766857B2 (en) | 2015-07-24 | 2020-09-08 | Dongguk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 Compound having BLT inhibitory activity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comprising same as active ingredient |
CN108349874B (zh) * | 2015-07-24 | 2021-07-27 | 东国大学校产学协力团 | 具有blt抑制活性的化合物和包含其作为活性成分的用于预防或治疗炎症性疾病的组合物 |
WO2019156465A1 (ko) * | 2018-02-07 | 2019-08-15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척수 손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5718B1 (ko) | 2017-02-14 |
WO2015102390A1 (ko) | 2015-07-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29149B2 (en) | Oxopiperaz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pain and epilepsy | |
US20100256145A1 (en) | Use of kcnq potassium channel openers for reducing symptoms of or treating disorders or conditions wherein the dopaminergic system is disrupted | |
AU2017317529A1 (en) | Aldehyde trapping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 |
JP7513713B2 (ja) | 荷電したイオンチャンネル遮断薬および使用方法 | |
CN113795248A (zh) | 带电荷的离子通道阻滞剂及其使用方法 | |
CN114828845A (zh) | 带电的离子通道阻滞剂及其使用方法 | |
US20150045442A1 (en) | Novel melatonin ligands having antidepressant activity as well as sleep inducing properties | |
KR101705718B1 (ko) | 신규한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CN113811305A (zh) | 带电的离子通道阻滞剂及其使用方法 | |
US11701370B2 (en) | Phosphonium ion channel blockers and methods for use | |
CN113924094A (zh) | 酯取代的离子通道阻滞剂及其使用方法 | |
JP2022554360A (ja) | ホスホニウムイオンチャンネル遮断薬および使用方法 | |
KR101079459B1 (ko) | 신규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통증억제용 조성물 | |
BR112019010816A2 (pt) | composto de fórmula i, composto de fórmula ii, composto de fórmula iii, composto de fórmula iv, composto de fórmula v, composição farmacêutica, compostos, composto de fórmula viii, composto de fórmula ix, e composto de fórmula x | |
KR20090047637A (ko) | 커큐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US10874636B2 (en) | Application of substituted cinnamamide derivatives in preparation of anti-anxiety medication | |
US20130338116A1 (en) | Compound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pain and other diseases | |
US20160354352A1 (en) | Method of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6-aminopyridin-3-ol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to a subject | |
CA2970256C (en) | Diarylmethylidene piperid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delta opioid receptor agonists | |
US9932302B1 (en) | N-phenyl and N-benzyl enaminones and methods for using same | |
KR101591772B1 (ko) | 신규한 아민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t-형 또는 n-형 칼슘 채널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US20200181067A1 (en) | Fluorinated amide derivatives and their uses as therapeutic agents | |
KR20230138688A (ko) | Halenaquinol sulf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으로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KR20240123775A (ko) | 인돌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BR112019006830B1 (pt) | COMPOSTOS QUE INTERROMPEM A INTERAÇÃO ENTRE Fbxo48 E AMPK FOSFORILADA E COMPOSIÇÃO FARMACÊUTICA QUE OS COMPREEND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