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9927A - 무선랜으로 우회되었던 트래픽에 대한 핸드오버 결정 방법 및 단말 - Google Patents

무선랜으로 우회되었던 트래픽에 대한 핸드오버 결정 방법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9927A
KR20150079927A KR1020157014344A KR20157014344A KR20150079927A KR 20150079927 A KR20150079927 A KR 20150079927A KR 1020157014344 A KR1020157014344 A KR 1020157014344A KR 20157014344 A KR20157014344 A KR 20157014344A KR 20150079927 A KR20150079927 A KR 20150079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lan
utran
handover
data traffic
t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4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2073B1 (ko
Inventor
김현숙
김재현
김래영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79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8Resource reservation f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49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according to tim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04W36/00224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between packet switched [PS] and circuit switched [CS] network technologies, e.g. circuit switched fallback [CSF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단말에 의해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핸드오버 결정 방법은 단말이 타이머를 구동중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여러 RAT(Radio Access Technologies)으로의 액세스를 수행중일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결정 방법은 상기 단말이 상기 타이머를 구동하고 있지 않은 경우, 무선랜(WLAN)으로 우회되었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 제1 RAT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이 상기 타이머를 구동중인 경우, 무선랜(WLAN)으로 우회되었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트래픽은 CSFB(Circuit Switched Fall-Back)의 결과 또는 3GPP RAT 변경의 결과로서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되었던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랜으로 우회되었던 트래픽에 대한 핸드오버 결정 방법 및 단말{METHOD AND TERMINAL FOR DETERMINING HANDOVER FOR TRAFFIC OFFLOADED ONTO WLAN}
본 발명은 무선랜으로 우회되었던 트래픽에 대한 핸드오버 결정 방법 및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술 규격을 제정하는 3GPP에서는 4세대 이동통신과 관련된 여러 포럼들 및 새로운 기술에 대응하기 위하여, 2004년 말경부터 3GPP 기술들의 성능을 최적화 시키고 향상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LTE/SAE (Long Term Evolution/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기술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3GPP SA WG2을 중심으로 진행된 SAE는 3GPP TSG RAN의 LTE 작업과 병행하여 네트워크의 구조를 결정하고 이 기종 망간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망 기술에 관한 연구이며, 최근 3GPP의 중요한 표준화 이슈들 중 하나이다. 이는 3GPP 시스템을 IP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발전 시키기 위한 작업으로, 보다 향상된 데이터 전송 능력으로 전송 지연을 최소화 하는, 최적화된 패킷 기반 시스템을 목표로 작업이 진행되어 왔다.
3GPP SA WG2에서 정의한 EPS (Evolved Packet System) 상위 수준 참조 모델(reference model)은 비로밍 케이스(non-roaming case) 및 다양한 시나리오의 로밍 케이스(roaming case)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세 내용은 3GPP 표준문서 TS 23.401과 TS 23.402에서 참조할 수 있다. 도 1의 네트워크 구조도는 이를 간략하게 재구성 한 것이다.
도 1은 진화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구조도이다.
EPC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그 중에서 일부에 해당하는, S-GW(Serving Gateway)(52), PDN GW(Packet Data Network Gateway)(53),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51), SGSN(Servin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ing Node), ePDG(enhanced Packet Data Gateway)를 도시한다.
S-GW(52)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경계점으로서 동작하고, eNodeB(22)와 PDN GW(53) 사이의 데이터 경로를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요소이다. 또한, 단말(또는 User Equipment : UE)이 eNodeB(22)에 의해서 서빙(serving)되는 영역에 걸쳐 이동하는 경우, S-GW(52)는 로컬 이동성 앵커 포인트(anchor point)의 역할을 한다. 즉, E-UTRAN (3GPP 릴리즈-8 이후에서 정의되는 Evolved-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내에서의 이동성을 위해서 S-GW(52)를 통해서 패킷들이 라우팅될 수 있다. 또한, S-GW(52)는 다른 3GPP 네트워크(3GPP 릴리즈-8 전에 정의되는 RAN, 예를 들어, UTRAN 또는 GERAN(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EDGE(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Radio Access Network)와의 이동성을 위한 앵커 포인트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PDN GW(또는 P-GW) (53)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를 향한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종료점(termination point)에 해당한다. PDN GW(53)는 정책 집행 특징(policy enforcement features), 패킷 필터링(packet filtering), 과금 지원(charging support)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3GPP 네트워크와 비-3GPP 네트워크 (예를 들어, I-WLAN(Interwork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과 같은 신뢰되지 않는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나 WiMax와 같은 신뢰되는 네트워크)와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앵커 포인트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의 네트워크 구조의 예시에서는 S-GW(52)와 PDN GW(53)가 별도의 게이트웨이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지만, 두 개의 게이트웨이가 단일 게이트웨이 구성 옵션(Single Gateway Configuration Option)에 따라 구현될 수도 있다.
MME(51)는, UE의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액세스,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 트래킹(tracking), 페이징(paging), 로밍(roaming) 및 핸드오버 등을 지원하기 위한 시그널링 및 제어 기능들을 수행하는 요소이다. MME(51)는 가입자 및 세션 관리에 관련된 제어 평면(control plane) 기능들을 제어한다. MME(51)는 수많은 eNodeB(22)들을 관리하고, 다른 2G/3G 네트워크에 대한 핸드오버를 위한 종래의 게이트웨이의 선택을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한다. 또한, MME(51)는 보안 과정(Security Procedures), 단말-대-네트워크 세션 핸들링(Terminal-to-network Session Handling), 유휴 단말 위치결정 관리(Idle Terminal Location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SGSN은 다른 접속 3GPP 네트워크(예를 들어, GPRS 네트워크, UTRAN/GERAN)에 대한 사용자의 이동성 관리 및 인증(authentication)과 같은 모든 패킷 데이터를 핸들링한다.
ePDG는 신뢰되지 않는 비-3GPP 네트워크(예를 들어, I-WLAN, WiFi 핫스팟(hotspot) 등)에 대한 보안 노드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IP 능력을 가지는 단말(또는 UE)은, 3GPP 액세스는 물론 비-3GPP 액세스 기반으로도 EPC 내의 다양한 요소들을 경유하여 사업자(즉, 오퍼레이터(operator))가 제공하는 IP 서비스 네트워크(예를 들어, IMS)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다양한 레퍼런스 포인트들(예를 들어, S1-U, S1-MME 등)을 도시한다. 3GPP 시스템에서는 E-UTRAN 및 EPC의 상이한 기능 개체(functional entity)들에 존재하는 2 개의 기능을 연결하는 개념적인 링크를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라고 정의한다. 다음의 표 1은 도 1에 도시된 레퍼런스 포인트를 정리한 것이다. 표 1의 예시들 외에도 네트워크 구조에 따라 다양한 레퍼런스 포인트들이 존재할 수 있다.
레퍼런스 포인트 설명
S1-MME E-UTRAN와 MME 간의 제어 평면 프로토콜에 대한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 for the control plane protocol between E-UTRAN and MME)
S1-U 핸드오버 동안 eNB 간 경로 스위칭 및 베어러 당 사용자 평면 터널링에 대한 E-UTRAN와 SGW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 between E-UTRAN and Serving GW for the per bearer user plane tunnelling and inter eNodeB path switching during handover)
S3 유휴(Idle) 및/또는 활성화 상태에서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간 이동성에 대한 사용자 및 베어러 정보 교환을 제공하는 MME와 SGSN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 이 레퍼런스 포인트는 PLMN-내 또는 PLMN-간(예를 들어, PLMN-간 핸드오버의 경우)에 사용될 수 있음) (It enables user and bearer information exchange for inter 3GPP access network mobility in Idle and/or active state. This reference point can be used intra-PLMN or inter-PLMN (e.g. in the case of Inter-PLMN HO).)
S4 GPRS 코어와 SGW의 3GPP 앵커 기능 간의 관련 제어 및 이동성 지원을 제공하는 SGW와 SGSN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 또한, 직접 터널이 수립되지 않으면, 사용자 평면 터널링을 제공함(It provides related control and mobility support between GPRS Core and the 3GPP Anchor function of Serving GW. In addition, if Direct Tunnel is not established, it provides the user plane tunnelling.)
S5 SGW와 PDN GW 간의 사용자 평면 터널링 및 터널 관리를 제공하는 레퍼런스 포인트. UE 이동성으로 인해, 그리고 요구되는 PDN 연결성을 위해서 SGW가 함께 위치하지 않은 PDN GW로의 연결이 필요한 경우, SGW 재배치를 위해서 사용됨(It provides user plane tunnelling and tunnel management between Serving GW and PDN GW. It is used for Serving GW relocation due to UE mobility and if the Serving GW needs to connect to a non-collocated PDN GW for the required PDN connectivity.)
S11 MME와 SGW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
SGi PDN GW와 PDN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 PDN은, 오퍼레이터 외부 공용 또는 사설 PDN이거나 예를 들어, IMS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오퍼레이터-내 PDN일 수 있음. 이 레퍼런스 포인트는 3GPP 액세스의 Gi에 해당함(It is the reference point between the PDN GW and the packet data network. Packet data network may be an operator external public or private packet data network or an intra operator packet data network, e.g. for provision of IMS services. This reference point corresponds to Gi for 3GPP accesses.)
도 2는 일반적으로 E-UTRAN과 일반적인 EPC의 주요 노드의 기능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eNodeB(20)는 RRC 연결이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 게이트웨이로의 라우팅, 페이징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브로드캐스터 채널(BCH)의 스케줄링 및 전송, 상향링크 및 하향 링크에서의 자원을 UE에게 동적 할당, eNodeB(20)의 측정을 위한 설정 및 제공, 무선 베어러 제어, 무선 허가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그리고 연결 이동성 제어 등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EPC 내에서는 페이징 발생, LTE_IDLE 상태 관리, 사용자 평면이 암호화, EPS 베어러 제어, NAS 시그널링의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는 UE과 eNodeB 사이의 제어 평면에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사용자 평면에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구조를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상기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3GPP 무선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다.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계층(Physical Layer), 데이터링크계층(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계층(Network Layer)으로 이루어지며, 수직적으로는 데이터정보 전송을 위한 사용자평면(User Plane)과 제어신호(Signaling)전달을 위한 제어평면(Control Plane)으로 구분된다.
상기 프로토콜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기준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 (제1계층), L2 (제2계층), L3(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도 3에 도시된 제어 평면의 무선프로토콜과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평면에서의 무선 프로토콜의 각 계층을 설명한다.
제1 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정보전송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상기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송 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의 데이터가 전달된다. 그리고, 서로 다른 물리계층 사이, 즉 송신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전달된다.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은 시간축 상에 있는 여러 개의 서브프레임과 주파수축상에 있는 여러 개의 서브 캐리어(Sub-carrier)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나의 서브프레임(Sub-frame)은 시간 축 상에 복수의 심볼 (Symbol)들과 복수의 서브 캐리어들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들로 구성되며, 하나의 자원블록은 복수의 심볼(Symbol)들과 복수의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된다.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위시간인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1개의 서브프레임에 해당하는 1ms이다.
상기 송신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에 존재하는 물리 채널들은 3GPP LTE에 따르면, 데이터 채널인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와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및 제어채널인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및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로 나눌 수 있다.
서브프레임의 첫번째 OFDM 심벌에서 전송되는 PCFICH는 서브프레임내에서 제어채널들의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벌의 수(즉, 제어영역의 크기)에 관한 CFI(control format indicator)를 나른다. 무선기기는 먼저 PCFICH 상으로 CFI를 수신한 후, PDCCH를 모니터링한다.
PDCCH와 달리, PCFICH는 블라인드 디코딩을 사용하지 않고, 서브프레임의 고정된 PCFICH 자원을 통해 전송된다.
PHICH는 UL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위한 ACK(positive-acknowledgement)/NACK(negative-acknowledgement) 신호를 나른다. 무선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PUSCH 상의 UL(uplink)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는 PHICH 상으로 전송된다.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은 무선 프레임의 첫번째 서브프레임의 두번째 슬롯의 앞선 4개의 OFDM 심벌에서 전송된다. PBCH는 무선기기가 기지국과 통신하는데 필수적인 시스템 정보를 나르며, PBCH를 통해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를 MIB(master information block)라 한다. 이와 비교하여, PDCCH에 의해 지시되는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를 SIB(system information block)라 한다.
PDCCH는 DL-SCH(downlink-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 UL-SCH(up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정보, PCH 상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과 같은 상위 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임의의 UE 그룹 내 개별 UE들에 대한 전송 파워 제어 명령의 집합 및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활성화 등을 나를 수 있다. 복수의 PDCCH가 제어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으며, 단말은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또는 몇몇 연속적인 CCE(control channel elements)의 집합(aggregation) 상으로 전송된다. CCE는 무선채널의 상태에 따른 부호화율을 PDCCH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적 할당 단위이다. CCE는 복수의 자원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에 대응된다. CCE의 수와 CCE들에 의해 제공되는 부호화율의 연관 관계에 따라 PDCCH의 포맷 및 가능한 PDCCH의 비트수가 결정된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고 한다. DCI는 PDSCH의 자원 할당(이를 DL 그랜트(downlink grant)라고도 한다), PUSCH의 자원 할당(이를 UL 그랜트(uplink grant)라고도 한다), 임의의 UE 그룹내 개별 UE들에 대한 전송 파워 제어 명령의 집합 및/또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활성화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계층에는 여러 가지 계층이 존재한다. 먼저 매체접속제어 (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은 다양한 논리채널 (Logical Channel)을 다양한 전송채널에 매핑시키는 역할을 하며, 또한 여러 논리채널을 하나의 전송채널에 매핑시키는 논리채널 다중화 (Multiplexing)의 역할을 수행한다. MAC 계층은 상위계층인 RLC 계층과는 논리채널 (Logical Channel)로 연결되어 있으며, 논리채널은 크게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제어평면 (Control Plane)의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채널 (Control Channel)과 사용자평면 (User Plane)의 정보를 전송하는 트래픽채널 (Traffic Channel)로 나뉜다.
제2계층의 무선링크제어 (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은 상위계층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할 (Segmentation) 및 연결 (Concatenation)하여 하위계층이 무선 구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하도록 데이터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각각의 무선베어러 (Radio Bearer; RB)가 요구하는 다양한 QoS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TM (Transparent Mode, 투명모드), UM (Un-acknowledged Mode, 무응답모드), 및 AM (Acknowledged Mode, 응답모드)의 세가지 동작 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AM RLC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자동 반복 및 요청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ARQ) 기능을 통한 재전송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제2계층의 패킷데이터수렴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은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 전송시에 대역폭이 작은 무선 구간에서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고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담고 있는 IP 패킷 헤더 사이즈를 줄여주는 헤더압축 (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데이터의 헤더(Header) 부분에서 반드시 필요한 정보만을 전송하도록 하여, 무선 구간의 전송효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LTE 시스템에서는 PDCP 계층이 보안 (Security) 기능도 수행하는데, 이는 제 3자의 데이터 감청을 방지하는 암호화 (Ciphering)와 제 3자의 데이터 조작을 방지하는 무결성 보호 (Integrity protection)로 구성된다.
제3 계층의 가장 상부에 위치한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약칭함)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되며, 무선 운반자(Radio Bearer; RB라 약칭함)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 채널, 전송 채널 및 물리 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이때, RB는 단말과 E-UTRAN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상기 단말의 RRC와 무선망의 RRC계층 사이에 RRC 연결(RRC connection)이 있을 경우, 단말은 RRC연결상태(Connected Mode)에 있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RRC휴지상태(Idle Mode)에 있게 된다.
이하 단말의 RRC 상태 (RRC state)와 RRC 연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RRC 상태란 단말의 RRC가 E-UTRAN의 RRC와 논리적 연결(logical connection)이 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말하며, 연결되어 있는 경우는 RRC_CONNECTED 상태(state),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RRC_IDLE 상태라고 부른다. RRC_CONNECTED 상태의 단말은 RRC 연결이 존재하기 때문에 E-UTRAN은 해당 단말의 존재를 셀 단위에서 파악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RRC_IDLE 상태의 단말은 E-UTRAN이 단말의 존재를 파악할 수는 없으며, 셀 보다 더 큰 지역 단위인 TA(Tracking Area) 단위로 핵심망이 관리한다. 즉, RRC_IDLE 상태의 단말은 셀에 비하여 큰 지역 단위로 해당 단말의 존재여부만 파악되며, 음성이나 데이터와 같은 통상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해당 단말이 RRC_CONNECTED 상태로 천이하여야 한다. 각 TA는 TAI(Tracking area identity)를 통해 구분된다. 단말은 셀에서 방송(broadcasting)되는 정보인 TAC(Tracking area code)를 통해 TAI를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의 전원을 맨 처음 켰을 때, 단말은 먼저 적절한 셀을 탐색한 후 해당 셀에서 RRC 연결을 맺고, 핵심망에 단말의 정보를 등록한다. 이 후, 단말은 RRC_IDLE 상태에 머무른다. RRC_IDLE 상태에 머무르는 단말은 필요에 따라서 셀을 (재)선택하고,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나 페이징 정보를 살펴본다. 이를 셀에 캠프 온(Camp on) 한다고 한다. RRC_IDLE 상태에 머물러 있던 단말은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을 때 비로소 RRC 연결 과정 (RRC connection procedure)을 통해 E-UTRAN의 RRC와 RRC 연결을 맺고 RRC_CONNECTED 상태로 천이한다. RRC_IDLE 상태에 있던 단말이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의 통화 시도 등의 이유로 상향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다거나, 아니면 E-UTRAN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 전송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RRC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연결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아래는 도 3에 도시된 NAS 계층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NAS 계층에 속하는 ESM (Evolved Session Management)은 Default Bearer 관리, Dedicated Bearer관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여, 단말이 망으로부터 PS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제어를 담당한다. Default Bearer 자원은 특정 Packet Data Network(PDN)에 최초 접속 할 시에 망에 접속될 때 망으로부터 할당 받는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때, 네트워크는 단말이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단말이 사용 가능한 IP 주소를 할당하며, 또한 default bearer의 QoS를 할당해준다. LTE에서는 크게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특정 대역폭을 보장해주는 GBR(Guaranteed bit rate) QoS 특성을 가지는 bearer와 대역폭의 보장 없이 Best effort QoS 특성을 가지는 Non-GBR bearer의 두 종류를 지원한다. Default bearer의 경우 Non-GBR bearer를 할당 받는다. Dedicated bearer의 경우에는 GBR또는 Non-GBR의 QoS특성을 가지는 bearer를 할당 받을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단말에게 할당한 bearer를 EPS(evolved packet service) bearer라고 부르며, EPS bearer를 할당 할 때 네트워크는 하나의 ID를 할당하게 된다. 이를 EPS Bearer ID라고 부른다. 하나의 EPS bearer는 MBR(maximum bit rate) 와 GBR(guaranteed bit rate) 또는 AMBR (Aggregated maximum bit rate) 의 QoS 특성을 가진다.
도 5는 3GPP LTE에서 랜덤 액세스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랜덤 액세스 과정은 UE(10)가 기지국, 즉 eNodeB(20)과 UL 동기를 얻거나 UL 무선자원을 할당받기 위해 사용된다.
UE(10)는 루트 인덱스(root index)와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설정 인덱스(configuration index)를 eNodeB(20)로부터 수신한다. 각 셀마다 ZC(Zadoff-Chu) 시퀀스에 의해 정의되는 64개의 후보(candidate)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이 있으며, 루트 인덱스는 단말이 64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생성하기 위한 논리적 인덱스이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은 각 셀마다 특정 시간 및 주파수 자원에 한정된다. PRACH 설정 인덱스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이 가능한 특정 서브프레임과 프리앰블 포맷을 지시한다.
UE(10)은 임의로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eNodeB(20)로 전송한다. UE(10)은 64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중 하나를 선택한다. 그리고, PRACH 설정 인덱스에 의해 해당되는 서브프레임을 선택한다. UE(10)은 은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선택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한다.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한 eNodeB(20)은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RAR)을 UE(10)로 보낸다. 랜덤 액세스 응답은 2단계로 검출된다. 먼저 UE(10)은 RA-RNTI(random access-RNTI)로 마스킹된 PDCCH를 검출한다. UE(10)은 검출된 PDCCH에 의해 지시되는 PDSCH 상으로 MAC(Medium Access Control) PDU(Protocol Data Unit) 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다.
한편, 최근에는 데이터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이동통신 사업자의 핵심 네트워크의 혼잡이 가중되고 있다. 이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를 사업자의 핵심 네트워크를 거치치 않고, 일반 데이터 통신망으로 우회(offload)시키려는 움직임이 있다.
트래픽을 일반 데이터 통신망으로 우회시키기 위해서 사업자는 정책을 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정책에 따라 자신의 데이터를 무선랜(Wireless LAN)으로 우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책을 단말에게 프로비저닝(provisioning)하기 위해서, 3GPP에 기반한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가 무선랜(Wireless LAN)과 관련된 정책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도 6a 및 6b는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을 위한 네트워크 제어 엔티티를 나타낸다.
도 6a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NDSF는 UE(10)의 홈 네트워크(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 이하 ‘HPLMN’이라 함)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도 6b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NDSF는 UE(10)의 방문 네트워크(Visi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 이하 ‘VPLMN’이라 함)에도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홈 네트워크에 위치할 때, H-ANDSF(61)로 불릴 수 있고, 방문 네트워크에 위치할 때 V-ANDSF(62)로 불릴 수 있다. 이하, ANDSF(60)은 H-ANDSF(61) 또는 V-ANDSF(62)를 통칭한다.
상기 ANDSF는 시스템간(inter-system) 이동 정책에 대한 정보, 액세스 네트워크 탐색을 위한 정보, 그리고 시스템간(inter-system) 라우팅에 관한 정보, 예컨대 Routing Rule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를 사업자의 핵심 네트워크를 거치치 않고, 일반 데이터 통신망으로 우회(offload)시키려는 움직임에 따라, 다중 무선 액세스(Multiple radio access)를 지원하기 위한 IFOM(IP Flow Mobility and Seamless Offload), MAPCON(Multi Access PDN Connectivity) 등의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MAPCON 기술은 3GPP 액세스와 Wi-Fi 액세스를 각각의 PDN 연결(connection)으로 두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고, IFOM 기술은 3GPP 액세스와 Wi-Fi 액세스를 하나의 PDN이나 P-GW 에 묶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일컫는다.
도 7a는 IFOM 기술의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a을 참조하면, IFOM은 동일한 PDN 연결을 동시에 다른 여러 액세스들을 통해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IFOM은 끊김없는(Seamless) WLAN으로의 우회를 제공한다.
또한 IFOM은 동일한 하나의 PDN 연결의 IP 흐름을 하나의 액세스로부터 다른 액세스로 전달하는 것을 제공한다.
도 7b는 MAPCON 기술의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b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MAPCON 기술은 여러 PDN 연결, 쉽게 IP 흐름(flow)들을 다른 액세스 시스템을 통하여 다른 APN들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MAPCON 기술에 따라 UE(10)는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던 액세스 상에서 새로운 PDN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UE(10)는 이전에 사용된 여러 액세스들 중에서 선택적인 하나에 새로운 PDN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UE(10)는 이미 연결되어 있는 모든 PDN 연결들 중 전부 또는 일부를 다른 액세스로 이전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단말의 트래픽을 무선랜(Wireless LAN)으로 우회시킬 수 있는 기술덕분에, 이동통신 사업자의 핵심 네트워크의 혼잡을 덜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일부의 상황에서는 단말의 트래픽이 안정적으로 지속되지 못하고, 핑-퐁(ping-pong)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트래픽이 무선랜(Wireless LAN)으로 우회되었다가, 이후 다시 3GPP 액세스 네트워크로 이전되었다가, 다시 무선랜(Wireless LAN)으로 우회되는 식으로, 핑-퐁(ping-pong)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무선랜(WLAN) 간의 PS(Packet Switching) 핸드오버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단말에 의해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핸드오버 결정 방법은 단말이 타이머를 구동중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여러 RAT(Radio Access Technologies)으로의 액세스를 수행중일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결정 방법은 상기 단말이 상기 타이머를 구동하고 있지 않은 경우, 무선랜(WLAN)으로 우회되었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 제1 RAT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이 상기 타이머를 구동중인 경우, 무선랜(WLAN)으로 우회되었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트래픽은 CSFB(Circuit Switched Fall-Back)의 결과 또는 3GPP RAT 변경의 결과로서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되었던 것일 수 있다.
상기 타이머가 구동되지 않고 만료됨에 따라, 상기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마킹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핸드오버가 수행되고, 상기 타이머의 구동에 따라 상기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마킹이 해제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핸드오버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위한 베어러 단위로 마킹이 되거나,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위한 PDN 단위로 마킹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트래픽은 CSFB(Circuit Switched Fall-Back)의 결과 또는 3GPP RAT 변경의 결과와, 그리고 ISRP(Inter-System Routing Policy)에 따라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되었던 것일 수 있다. 상기 ISRP는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를 담당하는 노드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상기 ISRP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우선순위가 무선랜(WLAN)의 우선순위 보다 높고, 상기 무선랜(WLAN)의 우선순위는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혹은 GERAN(GSM EDGE Radio Access Network)의 우선순위 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타이머가 구동중인 경우, 상기 ISRP에 설정된 E-UTRAN, UTRAN, GERAN 및 WLAN 간의 우선순위를 무시함으로써,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 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타이머가 구동중이 아닌 경우, 상기 ISRP에 설정된 E-UTRAN, UTRAN, GERAN 및 WLAN 간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결정 방법은 지리적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RAT에서 제2 RAT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2 RAT로의 핸드오버에 의해 영향을 받은 트래픽이 ISRP(Inter-System Routing Policy)의 조건에 충족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시키는 단계와; 상기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결정 방법은 상기 제1 RAT에 존재하는 상기 단말이 음성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제2 RAT으로의 CSFB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2 RAT로의 CSFB에 의해 영향을 받은 트래픽이 ISRP(Inter-System Routing Policy)의 조건에 충족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시키는 단계와; 상기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다른 일 개시는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여러 RAT(Radio Access Technologies)으로의 액세스를 수행하는 송수신부와; 타이머를 구동중인지 판단하고, 상기 타이머를 구동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무선랜(WLAN)으로 우회되었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 제1 RAT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타이머를 구동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무선랜(WLAN)으로 우회되었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트래픽은 CSFB(Circuit Switched Fall-Back)의 결과 또는 3GPP RAT 변경의 결과로서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되었던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하면, 무선랜으로 우회(offloading)된 데이터 트래픽이 다시 3GPP RAT으로 핑-퐁(ping-pong)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도 1은 진화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구조도이다.
도 2는 일반적으로 E-UTRAN과 일반적인 EPC의 아키텍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는 UE과 eNodeB 사이의 제어 평면에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사용자 평면에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구조를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5는 3GPP LTE에서 랜덤 액세스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을 위한 네트워크 제어 엔티티를 나타낸다.
도 7a는 IFOM 기술의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b는 MAPCON 기술의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핸드오버 상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a는 E-UTRAN에서 UTRAN으로 핸드오버에 따른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9b는 UTRAN에서 무선랜 오프로딩에 따른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a는 UTRAN에서 E-UTRAN으로 핸드오버에 따른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0b는 무선랜으로 오프로딩되었던 트래픽을 E-UTRAN으로 이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은 CSFB 상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a는 CSFB 메커니즘에 따른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12b는 무선랜으로의 오프로딩에 따른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통화의 종료에 따라 무선랜으로 오프로딩되었던 트래픽을 E-UTRAN으로 이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는 지리적 이동에 따른 RAT 변경에 의해 데이터 트래픽이 무선랜으로우회된 이후 발생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해결책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개념적으로 나타난 제1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는 도 14에 개념적으로 나타난 제2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는 CSFB에 의해 데이터 트래픽이 무선랜으로 우회된 이후 발생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의 해결책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8는 도 17에 개념적으로 나타난 제3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개념적으로 나타난 제4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E(100) 및 MME(510)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및 EPC(Evolved Packet Core)를 기준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은 이러한 통신 시스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예시적으로 UE(User Equipment)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시된 상기 UE는 단말(Terminal), ME(Mobile Equipment), 등의 용어로 언급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UE는 노트북, 휴대폰,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멀티미디어 기기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기기일 수 있거나, PC, 차량 탑재 장치와 같이 휴대 불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용어의 정의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간략하게 정의하기로 한다.
GERAN: GSM EDGE Radio Access Network의 약자로서, GSM/EDGE에 의한 코어 네트워크와 단말을 연결하는 무선 접속 구간을 말한다.
UTRAN: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약자로서, 3세대 이동통신의 코어 네트워크와 단말을 연결하는 무선 접속 구간을 말한다.
E-UT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약자로서, 4세대 이동통신, 즉 LTE의 코어 네트워크와 단말을 연결하는 무선 접속 구간을 말한다.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약자로서 3세대 이동통신의 코어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UE/MS : User Equipment/Mobile Station, 단말 장치를 의미 함.
EPS: Evolved Packet System의 약자로서,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코어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UMTS가 진화된 형태의 네트워크
PDN (Public Data Network):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위치한 독립적인망
PDN connection: 단말에서 PDN으로의 연결, 즉, ip 주소로 표현되는 단말과 APN으로 표현되는 PDN과의 연관(연결)
PDN-GW (Packet Data Network Gateway) : UE IP address allocation, Packet screening & filtering, Charging data collection 기능을 수행하는 EPS망의 네트워크 노드
Serving GW(Serving Gateway) : 이동성 담당(Mobility anchor), 패킷 라우팅(Packet routing), 유휴 모드 패킷 버퍼링(Idle mode packet buffering), Triggering MME to page UE 기능을 수행하는 EPS망의 네트워크 노드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 : 서비스 flow 별로 차별화된 QoS 및 과금 정책을 동적(dynamic) 으로 적용하기 위한 정책 결정(Policy decision)을 수행하는 EPS망의 노드
APN (Access Point Name): 네트워크에서 관리하는 접속 포인트의 이름으로서 UE에게 제공된다. 즉, PDN을 지칭하거나 구분하는 문자열. 요청한 서비스나 망(PDN)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해당 P-GW를 거치게 되는데, 이 P-GW를 찾을 수 있도록 망 내에서 미리 정의한 이름(문자열) (예) internet.mnc012.mcc345.gprs
TEID(Tunnel Endpoint Identifier) : 네트워크 내 노드들 간에 설정된 터널의 End point ID, 각 UE의 bearer 단위로 구간별로 설정된다.
NodeB: UMTS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옥외에 설치되며, 셀 커버리지 규모는 매크로 셀에 해당한다.
eNodeB: EPS(Evolved Packet System) 의 기지국으로 옥외에 설치되며, 셀 커버리지 규모는 매크로 셀에 해당한다.
(e)NodeB: NodeB와 eNodeB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의 약자로서, UE에 대한 세션과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EPS 내에서 각 엔티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세션(Session): 세션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로로써 그 단위는 PDN, Bearer, IP flow 단위 등이 될 수 있다. 각 단위의 차이는 3GPP에서 정의한 것처럼 대상 네트워크 전체 단위(APN 또는 PDN 단위), 그 내에서 QoS로 구분하는 단위(Bearer 단위), 목적지 IP 주소 단위로 구분할 수 있다.
PDN 연결(connection) : 단말에서 PDN으로의 연결, 즉, ip 주소로 표현되는 단말과 APN으로 표현되는 PDN과의 연관(연결)을 나타낸다. 이는 세션이 형성될 수 있도록 코어 네트워크 내의 엔티티간 연결(단말-PDN GW)을 의미한다.
UE Context : 네크워크에서 UE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UE의 상황 정보, 즉, UE id, 이동성(현재 위치 등), 세션의 속성(QoS, 우선순위 등)으로 구성된 상황 정보
NAS (Non-Access-Stratum) : UE와 MME간의 제어 플레인(control plane)의 상위 stratum. UE와 네트워크간의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와 세션 관리 (Session management), IP 주소 관리 (IP address maintenance) 등을 지원
RAT: Radio Access Technology의 약자로서, GERAN, UTRAN, E-UTRAN 등을 의미한다.
WORM: WLAN(Wireless LAN) Offloading RAT Mobility의 약자로서, RAT 간의 핸드오버가 발생할 때, 사업자 선호도 정책에 따라 특정 데이터 트래픽을 무선랜(WLAN)으로 우회시킬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사업자 선호도가 E-UTRAN>WLAN>UTRAN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E-UTRAN에서 UTRAN으로의 핸드오버에 따라 RAT이 변경되는 경우, 그 핸드오버의 영향을 받은 일부 데이터 트래픽이 무선랜(WLAN)으로 우회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핸드오버 상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일반적으로, UE가 지리적으로 이동하게 되면 핸드오버가 수행되게 된다. 이때, 이동한 지역에 동일한 RAT(Radio Access Technology)가 없다면, RAT간 핸드오버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RAT이라 함은 GERAN, UTRAN, E-UTRAN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소스 RAT에 해당하는 E-UTRAN 지역에 있던 UE가 타겟 RAT에 해당하는 UTRAN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RAT 간에 핸드오버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RAT 간에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타겟 RAT의 QoS(Quality of Service)에 때문에, 혹은 타겟 RAT에서의 이용 가능한 무선 자원이 부족함 때문에, 혹은 네트워크 정책 때문에, 베어러가 드롭(drop)되거나, QoS가 저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서비스가 단절되거나 혹은 사용자의 경험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만약 이용 가능한 무선랜(WLAN)이 있고, 상기 무선랜이 허용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거나 혹은 선호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트래픽 중 특정 IP 데이터 트래픽을 무선랜으로 우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E-UTRAN에서 UTRAN으로 핸드오버하고, 상기 UE의 IP 데이터 트래픽이 무선랜으로 우회된 후, 상기 UE가 다시 E-UTRAN으로 복귀하는 경우, 상기 IP 데이터 트래픽도 마찬가지로 다시 E-UTRAN으로 복귀되버리게 된다. 즉, 핑-퐁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UE(100)는 E-UTRAN의 기지국(220a)을 통하여 EPC의 S-GW(520) 및 P-GW(530)을 경유하여 데이터 트래픽을 송수신하고 있다.
이후, UE(100)가 지리적으로 이동하여 UTRAN의 NodeB(21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UTRAN의 NodeB(210)에 의해 제공되는 QoS가 만족할 만한 수준이 아니어서 영향을 받게 되는 특정 트래픽이 ANDSF로부터 전달받은 정책, 예컨대 ISRP(Inter-system routing policy)에 따라 무선랜의 선호도가 높은 경우, 상기 UE(100)는 해당 데이터 트래픽을 무선랜으로 우회시킨다. 즉, ADNSF로부터 전달받은 정책이, E-UTRAN>WLAN>UTRA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UE(100)는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무선랜(WLAN)으로 우회시킨다. 즉, WORM에 의해 데이터 트래픽은 무선랜으로 우회된다.
그런데, 상기 UE(100)가 지리적으로 이동하여 다시 E-UTRAN의 eNodeB(220b)의 커버리지 내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되었던 데이터 트래픽을 다시 E-UTRAN의 eNodeB(220b)로 복귀시키기 위해,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한다. 즉, 상기 ADNSF로부터 전달받은 정책이, E-UTRAN>WLAN>UTRA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UE(100)는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다시 E-UTRAN의 eNodeB(220b)로 복귀시키기 위해,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E-UTRAN의 eNodeB(220b)의 커버리지 내에서도 이용 가능한 무선랜이 있다면,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다시 E-UTRAN의 eNodeB(220b)로 복귀시키는 것 보다, 상기 무선랜을 통하여 송수신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무선랜을 경유하던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E-UTRAN의 eNodeB(220b)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당히 많은 제어 신호의 불필요한 송수신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UE(100)가 셀의 경계에 위치한다면, 상기 UTRAN과 E-UTRAN 간에 RAT 핸드오버가 매우 빈번히 일어 날 것이고, 전술한 문제점은 더욱더 가중될 것이다.
이하, 도 8에 도시된 시나리오에 따른 제어 신호들 송수신을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는 E-UTRAN에서 UTRAN으로 핸드오버에 따른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9b는 UTRAN에서 무선랜 오프로딩에 따른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a는 UTRAN에서 E-UTRAN으로 핸드오버에 따른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10b는 무선랜으로 오프로딩되었던 트래픽을 E-UTRAN으로 이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a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UE(100)는 E-UTRAN의 eNodeB(220)를 통하여 EPC의 S-GW(520) 및 P-GW(530)을 경유하는 1st 데이터 트래픽과 2nd 데이터 트래픽을 진행중이다가, UTRAN의 NodeB(210)의 커버리지로 이동한다.
1~2) 그에 따라 핸드오버가 개시되고, 상기 eNodeB(220)은 핸드오버 요구(HO required) 메시지를 EPC의 MME(510)로 전송하여 핸드오버가 필요한 상황을 알린다.
3~4) 상기 MME(510)는 순방향 재배치 요청 메시지(예컨대, Forward Relocation Request)를 UMTS의 SGSN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SGSN는 상기 NodeB(210)에게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예컨대, Handover Request 메시지)를 보낸다.
5~6) 상기 NodeB(210)는 무선 자원의 할당 여부를 결정한 후, SGSN에게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예컨대, Handover Request ACK)를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SGSN는 상기 MME(510)에게 순방향 재배치 응답 메시지(예컨대 Forward Relocation Response)를 전송한다.
7) 상기 MME(510)는 상기 eNodeB(220)에게 핸드오버 명령(예컨대 HO command)를 보냄으로써 핸드오버를 지시한다.
8) 상기 eNodeB(220)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예컨대 HO command)을 수신한 상기 UE(100)는 상기 eNodeB(220)로부터 디태치(detach)되고, 상기 NodeB(210)과의 동기화 작업을 수행한다.
9) 그러면, 상기 UE(100)은 상기 NodeB(210)로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예컨대, Handover complete 메시지)를 보낸다.
10) 그러면 상기 NodeB(210)는 상기 SGSN에게 재배치 완료 메시지(예컨대, Relocation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핸드오버 수행을 알린다.
11~12) 상기 SGSN은 상기 MME(510)에게 전방향 재배치 완료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MME(510)는 전방향 재배치 완료 응답 메시지를 상기 SGSN으로 전송한다.
13~16) 네트워크 상에서 핸드오버로 인해 변경된 베어러 컨텍스트를 갱신 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SGSN는 S-GW(520)으로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예컨대, Modify Bearer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예컨대, Modify Bearer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S-GW(520)와 P-GW(520) 사이의 베어러 수정 절차는 필요한 경우에만 수행된다.
17) 한편, 상기 UE(100)는 핸드오버 절차의 마지막 단계로 이동한 위치를 네트워크에게 알리기 위해 RAU(Routing Area Update) 절차의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핸드오버 중에, 상기 NodeB(210)에 의해 제공되는 QoS가 낮음으로 인하여, 상기 UE(100)의 1st 데이터 트래픽과 2nd 데이터 트래픽 중 2nd 데이터 트래픽은 원할하게 송수신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ANDSF의 정책, 예컨대 ISRP에 의하여 해당 트래픽의 선호도가 E-UTRAN>WLAN>UTRAN인 경우, 상기 2nd 데이터 트래픽은 무선랜(WLAN)으로 우회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드오버가 완료되면, 상기 UE(100)는 1st 데이터 트래픽 만을 NodeB(210)를 통해 S-GW(520)을 거쳐 P-GW(530)과 송수신할 수 있다.
2nd 데이터 트래픽은 WORM에 의해 도 9b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선랜(WLAN)으로 우회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상기 UE(100)는 무선랜(WLAN)을 통해 AAA/HSS와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2) 상기 UE(100)는 ePDG를 거쳐 인증/터널 셋업을 수행한다.
3~5) 상기 ePDG는 P-GW(530)로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proxy Binding Update)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P-GW(530)은 P-GW 주소 갱신 메시지(예컨대, Update PDN GW address) 메시지를 AAA/HSS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P-GW(530)은 프록시 바인딩 응답 메시지(예컨대, Proxy Binding ACK) 메시지를 ePDG로 전송한다.
6~7) 그러면, 상기 ePDG와 상기 UE(100)간에 터널 셋업이 완료되고, ePDG는 IP 주소를 상기 UE(100)에 할당한다.
이에 따라, 상기 2nd 데이터 트래픽은 상기 무선랜(WLAN)을 통해 우회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UE(10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리적으로 이동하여 다시 E-UTRAN의 eNodeB(220b)의 커버리지 내로 이동하는 경우, UTRAN에서 E-UTRAN으로 핸드오버에 따라 RAT 변경이 다시 발생한다. 즉, 도 10a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st 데이터 트래픽을 UTRAN의 NodeB(210)에서 E-UTRAN의 eNodeB(220b)로 핸드오버시키기 위해 제어 신호들이 송수신된다.
1~2) 상기 UE(100)가 다시 E-UTRAN의 eNodeB(220b)의 커버리지 내로 이동할 때, 핸드오버가 개시되고, 상기 UE(100)는 eNodeB(220)을 거쳐 MME(510)으로 어태치(Attach) 메시지를 전송한다.
3~4) 이에 따라, MME(510), UE(100), AAA/HSS 간에 인증 절차가 수행되고, MME(510)는 HSS에 위치 갱신 및 가입자 데이터 검색을 요청한다.
5~9) 상기 MME(510)는 S-GW(520)로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예컨대, Create Session Request)를 전송하면, 상기 S-GW(520)은 이를 P-GW(53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P-GW(530)이 세션 생성 응답 메시지(예컨대, Create Session Response) 메시지를 S-GW(520)으로 전송하면, 상기 S-GW(520)은 이를 MME(51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eNodeB(220)와 UE(100)간에는 무선 베어러가 생성된다.
10~13) 상기 MME(510)은 S-GW(520)으로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예컨대, Modify Bearer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S-GW(520)은 이를 P-GW(530)으로 전달한다. 상기 P-GW(530)은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예컨대, Modify Bearer Response 메시지)를 상기 S-GW(520)로 전송하고, 상기 S-GW(520)는 이를 상기 MME(510)로 전달한다.
상기 UE(100)가 다시 E-UTRAN의 eNodeB(220b)의 커버리지 내로 이동할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트래픽에 대한 정책이 E-UTRAN>WLAN>UTRA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무선랜(WLAN)으로 우회되었던 2nd 데이터 트래픽도 E-UTRAN의 eNodeB(220)으로 핸드오버된다. 구체적으로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2) 정책이 E-UTRAN>WLAN>UTRAN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핸드오버가 개시되고, 상기 UE(100)는 eNodeB(220)을 거쳐 MME(510)으로 어태치(Attach) 메시지를 전송한다.
3~4) 이에 따라, MME(510), UE(100), AAA/HSS 간에 인증 절차가 수행되고, MME(510)는 HSS에 위치 갱신 및 가입자 데이터 검색을 요청한다.
5~9) 상기 MME(510)는 S-GW(520)로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예컨대, Create Session Request)를 전송하면, 상기 S-GW(520)은 이를 P-GW(53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P-GW(530)이 세션 생성 응답 메시지(예컨대, Create Session Response) 메시지를 S-GW(520)으로 전송하면, 상기 S-GW(520)은 이를 MME(51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eNodeB(220)와 UE(100)간에는 무선 베어러가 생성된다.
10~13) 상기 MME(510)은 S-GW(520)으로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예컨대, Modify Bearer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S-GW(520)은 이를 P-GW(530)으로 전달한다. 상기 P-GW(530)은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예컨대, Modify Bearer Response 메시지)를 상기 S-GW(520)로 전송하고, 상기 S-GW(520)는 이를 상기 MME(510)로 전달한다.
이러한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통하여,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되었었던 2nd 데이터 트래픽은 다시 E-UTRAN의 eNodeB(220)로 이전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되었었던 2nd 데이터 트래픽을 다시 E-UTRAN의 eNodeB(220)로 이전시키기 위해, 많은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보다, 차라리 상기 E-UTRAN의 eNodeB(220b)의 커버리지 내에서도 이용가능한 무선랜이 있다면,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무선랜을 통하여 송수신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
더욱이, 상기 UE(100)가 셀의 경계에 위치한다면, 상기 UTRAN과 E-UTRAN 간에 RAT 핸드오버가 매우 빈번히 일어 날 것이고, 전술한 문제점은 더욱더 가중될 것이다.
도 11a 내지 도 11c은 CSFB 상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른 한편, E-UTRAN이 가능한 지역에 있던 UE가 VoLTE(Voice over LTE)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통화(call)를 착신하거나 발신하려면, CSFB(Circuit Switched Fall-Back) 메커니즘으로 인해, UTRAN으로 캠프온(camp-on)한다. 이때, UE가 진행중이던 IP 데이터 트래픽이 있는 경우, PS 핸드오버가 지원되지 않으면 상기 IP 데이터 트래픽은 일시 중단(suspend)될 수 있다. 혹은 이용가능한 무선랜이 있고 ANDSF에서 제공되는 ISRP에 따라 무선랜이 선호되는 경우, 상기 IP 데이터 트래픽은 무선랜으로 우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CSFB에 의해 UTRAN으로 캠프온함에 따라 상기 UE의 IP 데이터 트래픽이 무선랜으로 우회된 후, 상기 통화(call)가 종료됨으로써, 상기 UE가 다시 E-UTRAN으로 복귀하는 경우, 상기 IP 데이터 트래픽도 마찬가지로 다시 E-UTRAN으로 복귀되버리게 된다. 즉, 핑-퐁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도 11a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UE(100)는 UTRAN과 E-UTRAN이 모두 가능한 지역에 있는 상황에서, E-UTRAN의 기지국(220a)을 통하여 EPC의 S-GW(520) 및 P-GW(530)을 경유하여 데이터 트래픽을 송수신하고 있다.
이후, 도 11b을 참조하여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UE(100)가 통화를 발신하거나 착신하려는 경우, CSFB 메커니즘에 의해 UTRAN의 NodeB(210)로 캠프-온(camp-on)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UTRAN의 NodeB(210)에 의해 제공되는 QoS가 만족할 만한 수준이 아니거나 PS 핸드오버 자체를 제공하기 않아 영향을 받는 트래픽이 있는 경우, ANDSF로부터 전달받은 정책, 예컨대 ISRP에 따라 해당 IP 트래픽에 대한 무선랜의 선호도가 높은 경우, 상기 UE(100)는 데이터 트래픽을 무선랜으로 우회시킨다. 즉, ADNSF로부터 전달받은 정책이, E-UTRAN>WLAN>UTRA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UE(100)는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무선랜으로 우회(오프로딩)시킨다.
그런데, 도 11c를 참고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UE(100)의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되었던 데이터 트래픽을 다시 E-UTRAN의 eNodeB(220b)로 복귀시키기 위해,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한다. 즉, 상기 ADNSF로부터 전달받은 정책이, E-UTRAN>WLAN>UTRA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UE(100)는 데이터 트래픽을 다시 E-UTRAN의 eNodeB(220b)로 복귀시키기 위해,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다시 E-UTRAN의 eNodeB(220b)로 복귀시키는 것 보다, 상기 무선랜을 통하여 송수신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무선랜을 경유하던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E-UTRAN의 eNodeB(220b)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당히 많은 제어 신호의 불필요한 송수신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시나리오에 따른 제어 신호들 송수신을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a는 CSFB 메커니즘에 따른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12b는 무선랜으로의 오프로딩에 따른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통화의 종료에 따라 무선랜으로 오프로딩되었던 트래픽을 E-UTRAN으로 이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a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UE(100)는 E-UTRAN의 eNodeB(220)를 통하여 EPC의 S-GW(520) 및 P-GW(530)을 경유하는 1st 데이터 트래픽을 진행중이다가, 통화 발신을 결정한다.
1) 그러면, 상기 UE(100)는 확장 서비스 요청 메시지(예컨대, NAS 계층의 Extended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MME(510)로 전송한다.
2~3) 그러면, 상기 MME(510)은 컨텍스트 수정 요청 메시지(예컨대, S1-AP 기반의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 메시지)를 상기 eNodeB(220)으로 전송하고, 상기 eNodeB(220)는 컨텍스트 수정 응답 메시지(예컨대, S1-AP 기반의 UE Context modification Response 메시지)를 상기 MME(510)로 전송한다.
4~5) 상기 eNodeB(220)은 CSFB를 알리기 위해, UE(100)으로 CCO/NACC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eNodeB(220)은 컨텍스트 해제 요청 메시지(예컨대, S1-AP 기반의 S1 UE Context Release Request 메시지)를 상기 MME(510)으로 전송한다.
6~7) 한편, 상기 CSFB에 의해 상기 진행중이던 1st 데이터 트래픽이 더 이상 진행할 수 없다면, 일시 중단(suspend)를 BSS/RNS로 요청하고, 상기 BSS/RNS는 SGSN으로 전달한다. 상기 SGSN은 중단 요청(Suspend Request)를 MME(510)로 전송하고, 상기 MME(510)은 중단 응답(Suspend Response)를 MME(510)로 전송한다.
8) 한편, 상기 MME(510)와 S-GW(520)/P-GW(530) 간에는 베어러 갱신 절차가 수행된다.
9~10) 상기 UE(100)는 CM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MSC로 전송하고, 이어서 통화 발신을 위해 CS MO(Mobile Orienting) Call 신호를 MSC로 전송한다.
한편, 위와 같이 상기 CSFB에 의해 상기 1st 데이터 트래픽이 더 이상 진행할 수 없다면, 일시 중단(suspend)되는데, 이때 이용가능한 무선랜(WLAN)이 존재하고, 해당 트래픽에 대한 정책에 의해 상기 무선랜이 선호된다면, 상기 1st 데이터 트래픽은 무선랜으로 우회될 수 있다. 이하 도 12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 도 12b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UE(100)는 무선랜(WLAN)을 통해 AAA/HSS와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2) 상기 UE(100)는 ePDG를 거쳐 인증/터널 셋업을 수행한다.
3~5) 상기 ePDG는 P-GW(530)로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proxy Binding Update)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P-GW(530)은 P-GW 주소 갱신 메시지(예컨대, Update PDN GW address) 메시지를 AAA/HSS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P-GW(530)은 프록시 바인딩 응답 메시지(예컨대, Proxy Binding ACK) 메시지를 ePDG로 전송한다.
6~7) 그러면, 상기 ePDG와 상기 UE(100)간에 터널 셋업이 완료되고, ePDG는 IP 주소를 상기 UE(100)에 할당한다.
이에 따라, 상기 1st 데이터 트래픽은 상기 무선랜(WLAN)을 통해 우회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UE(100)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를 종료하는 경우, 우회되었던 트래픽에 대한 정책이 E-UTRAN>WLAN>UTRAN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E-UTRAN으로의 RAT 변경이 다시 발생한다. 상기 RAT 변경을 위해 다시 제어 신호들이 송수신된다.
상기 통화 종료에 따라 E-UTRAN으로의 RAT 변경(change)이 다시 발생하는 경우,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되었던 상기 1st 데이터 트래픽이 다시 E-UTRAN으로 이전된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2) 상기 UE(100)가 통화를 종료하는 경우, 정책이 E-UTRAN>WLAN>UTRAN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핸드오버가 개시되고, 상기 UE(100)는 eNodeB(220)을 거쳐 MME(510)으로 어태치(Attach) 메시지를 전송한다.
3~4) 이에 따라, MME(510), UE(100), AAA/HSS 간에 인증 절차가 수행되고, MME(510)는 HSS에 위치 갱신 및 가입자 데이터 검색을 요청한다.
5~9) 상기 MME(510)는 S-GW(520)로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예컨대, Create Session Request)를 전송하면, 상기 S-GW(520)은 이를 P-GW(53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P-GW(530)이 세션 생성 응답 메시지(예컨대, Create Session Response) 메시지를 S-GW(520)으로 전송하면, 상기 S-GW(520)은 이를 MME(51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eNodeB(220)와 UE(100)간에는 무선 베어러가 생성된다.
10~13) 상기 MME(510)은 S-GW(520)으로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예컨대, Modify Bearer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S-GW(520)은 이를 P-GW(530)으로 전달한다. 상기 P-GW(530)은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예컨대, Modify Bearer Response 메시지)를 상기 S-GW(520)로 전송하고, 상기 S-GW(520)는 이를 상기 MME(510)로 전달한다.
이러한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통하여,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되었었던 1st 데이터 트래픽은 다시 E-UTRAN의 eNodeB(220)로 이전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되었었던 1st 데이터 트래픽을 다시 E-UTRAN의 eNodeB(220)로 이전시키기 위해, 많은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보다, 차라리 상기 E-UTRAN의 eNodeB(220b)의 커버리지 내에서도 이용가능한 무선랜이 있다면,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무선랜을 통하여 송수신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
더욱이, 상기 UE(100)가 통화를 반복적으로 시도할 경우, 전술한 문제점은 더욱더 가중될 것이다.
따라서, 이하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들이 제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해결책에 대한 간략한 설명>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무선랜(WLAN), 즉 WiFi 간의 PS(Packet Switched) 핸드오버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E-UTRAN/WLAN/UTRAN 사이의 관계에 대한 예제로 설명하였으나, 이 시나리오에만 국한 되는 것이 아니다. UE가 WiFi 와 셀룰러 액세스가 가용한 상황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타입의 우선순위(priority)에 따라 셀룰러 액세스에서 무선랜(WLAN)으로 모든 베어러 혹은 일부 베어러(혹은 일부 PDN 혹은 일부 IP 플로우 등)에 대한 PS 핸드오버가 요구되는 모든 시나리오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CSFB에 의해 E-UTRAN에서 UTRAN/GERAN로의 RAT 변경이 있을 때, 모든 베어러 혹은 일부 PS 베어러가 무선랜(WLAN)으로 우회된 경우, 다시 E-UTRAN으로 돌아오는 시나리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아래 언급하는 메시지들은 종래 기술의 메시지들에 추가적인 정보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언급하지 않은 다양한 종래기술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새로운 메시지 혹은 파라메터가 추가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아래 언급하는 각 단계들의 순서는 변경되거나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시 언급한 각 단계는 반드시 모두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면 일부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아래 언급하는 정보들은 해당 정보를 직접적으로 포함하지 않더라도 다른 정보와 함께 가공되거나 함축적인 의미로 전달 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선랜(WLAN)으로 우회된 IP 데이터 트래픽을 다시 E-UTRAN으로 이전하는 것이 효과적인 경우가 있을 수 있고, 무선랜(WLAN)에 두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위 두 가지의 상황에 대한 판단은 HPLMN /VPLMN사업자 정책 및 사용자의 선호도, 사용자의 가입자 멤버쉽(membership) 수준, 각 액세스의 신호 세기 및 부화 정도 등 조건 정보, 로밍 정책 등에 따라 결정된다.
먼저, 무선랜(WLAN)으로 우회(offload)된 IP 데이터 트래픽을 다시 E-UTRAN으로 가져오는 것이 효과적인 경우, IP 데이터 트래픽을 다시 E-UTRAN으로 이전하기 위해서는 E-UTRAN을 항상 최고 우선순위를 가지도록 ANDSF의 정책, 예컨대 ISRP을 설정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무선랜(WLAN) 으로 우회(offload)된 IP 데이터 트래픽을 다시 E-UTRAN으로 가져오지 않는 것이 효과적인 경우, 아래 기술된 방법 중 하나 혹은 일부 조합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A. ANDSF의 정책, 예컨대 ISRP에 E-UTRAN> WLAN>UTRAN의 순서로 설정하기 보다는, 무선랜>UTAN 등과 같이 무선랜(WLAN)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액세스와의 관계에 대해서만, 설정하는 것이 나을 수 있다.
B.E-UTRAN으로 이전시키는 경우에 사용가능한 정책을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즉, E-UTRAN으로 다시 이전시키는 정책이 사용되는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바꿔 말하면, E-UTRAN으로 이전시키지 못하게 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아래 내용들은 어떤 특정 RAT으로 옮겨가거나 현재 RAT에 그대로 머무를 수 있는 정책을 고려하기 위한 조건 혹은 그때 다른 동작을 기술한다고 볼 수 있다.
(1) IP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추적(trace) 관리를 하는 경우(즉, 히스토리 관리)
E-UTRAN->UTRAN->PS로의 핸드오버 과정중에 무선랜(WLAN)으로 우회된 IP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 마킹(marking) 및 추적을 수행한다. 상기 미킹 및 추적은 UE및 네트워크에서 기록/저장/관리 될 수 있다. 상기 마킹 및 추적 정보는 그 후 또 다른 핸드오버 및 위치 갱신(location update) 등이 발생하더라도 UE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되어 유지/관리 될 수 있다. 상기 마킹 및 추적 정보는 E-UTRAN으로 돌아오는 정책을 사용하기 위한 식별자/조건 등의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2) IP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추적(trace) 관리를 하지 않는 경우
사업자로부터 받은 정책에 따라 UE가 아래와 같이 어느 특정 상황(아래 리스트에 한정되지 않는다)을 인지 하게 되면, 어떤 특정 RAT으로 옮겨가거나 현재 RAT에 그대로 머무를 수 있는 정책을 고려(적용/사용)하기 위한 식별자/조건 등의 하나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SFB의 경우, CS 음성 통화 서비스가 종료됨을 인지 함으로써 E-UTRAN으로 돌아오는 정책을 고려(적용/사용)하기 위한 식별자/조건 등의 하나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랜(WLAN)의 신호 세기 혹은 트래픽 부하 정보 등을 인지함으로써 함으로써 E-UTRAN으로 돌아오는 정책을 고려(적용/사용)하기 위한 식별자/조건 등의 하나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따른 UE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UE은 ANDSF로부터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우선순위/선호도 에 대한 정책, 예컨대 ISRP을 받는다. 이때,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우선순위/선호도는 RAT들 간의 세분화된 우선순위, 즉 E-UTRAN>WLAN>UTRAN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NDSF로부터 수신되는 정책, 예컨대 ISRP은 전술한 핑-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추가적인 조건 및 정책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조건 및 정책은 무선랜(WLAN)으로의 우회 이후, 다시 3GPP RAT으로 복귀를 판단해야 하는 시점/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적인 조건 및 정책은 무선랜(WLAN)으로의 우회 이후, 다시 3GPP RAT으로 복귀를 인지하게 되면, 사용할 수 있는 액세스 네트워크 및 우선순위/선호도와 해당 액세스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UE는 무선랜(WLAN)으로의 우회 이후, 다시 본래의 RAT의 복귀를 결정할 때, 다음과 같은 정보들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정보들은 예를 들어 이전에 우회되었던 트래픽에 대한 추적 정보, CSFB의 CS 음성 통화의 종료에 대한 정보, 무선랜으로의 우회에 따라 시작되었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는 정보, 무선랜으로 우회되지 않고 다른 3GPP RAT으로 핸드오버되었던 트래픽이 다시 핸드오버되는지에 대한 정보, 무선랜(WLAN)의 신호 강도가 약해지거나, 무선랜(WLAN)의 부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핑-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라 ANDSF의 정책, 예컨대 ISRP를 개선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상기 개선된 ANDSF의 정책, 예컨대 ISRP는 어느 3GPP RAT에 비하여 무선랜이 더 우선되는지로 설정되어야 하고, 무선랜에 비하여 더 선호되는 3GPP RAT을 설정하면 안된다.
또 다른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핑-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타이머를 사용하거나, 마킹 및 추적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1)UE의 검출 및 타이머 구동
UE는 지리적 이동에 따른 RAT 변경에 따라 베어러들 중 일부가 손실되는 경우, 상기 베어러의 손실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AT 변경이 일어남에 따라 UE가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핸드오버 명령 내의 정보에 따라 UE는 PDN 연결에 해당하는 어느 베어러가 해제되는지를 알 수 있다. 이때, 핸드오버에 따라 해제되는 베어러가 무선랜으로 우회되는 경우, UE는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이후, 상기 UE의 지리적 이동에 따라 다시 본래의 RAT으로 변경되더라도, 상기 타이머가 구동되는 동안에는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되었던 베어러를 통한 데이터 트래픽은 다시 본래의 RAT으로 이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UE는 CSFB에 의해 IP 데이터 트래픽을 위한 베어러가 중단되는 경우, 상기 베어러의 중단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E는 스스로 중단 절차를 개시하므로, 상기 UE는 베어러의 중단을 당연히 알 수 있다. 이때, 중단되는 베어러가 무선랜으로 우회되는 경우, UE는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가 구동되는 동안에는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되었던 베어러를 통한 데이터 트래픽은 다시 본래의 RAT으로 이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2)UE의 검출 및 마킹
UE는 지리적 이동에 따른 RAT 변경에 따라 베어러들 중 일부가 손실되는 경우, 상기 베어러의 손실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AT 변경이 일어남에 따라 베어러가 무선랜으로 우회되는 경우, UE는 상기 우회되는 베어러의 트래픽에 대해서 마킹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UE의 지리적 이동에 따라 다시 본래의 RAT으로 변경되더라도, 상기 마킹된 트래픽은 다시 본래의 RAT으로 이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UE는 CSFB에 의해 IP 데이터 트래픽을 위한 베어러가 중단되는 경우, 상기 베어러의 중단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중단되는 베어러가 무선랜으로 우회되는 경우, UE는 무선랜으로 우회되는 베어러를 통핸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서 마킹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UE는 음성 통화가 종료되더라도, 상기 마킹된 데이터 트래픽은 다시 본래의 RAT으로 이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지리적 이동에 따른 RAT 변경에 의해 데이터 트래픽이 무선랜으로 우회되는 상황에 대한 본 명세서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해결책들을 도 14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CSFB에 의해 데이터 트래픽이 무선랜으로 우회되는 상황에 대한 본 명세서의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해결책들을 도 17 내지 도 19을 변경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지리적 이동에 따른 RAT 변경에 의해 데이터 트래픽이 무선랜으로우회된 이후 발생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해결책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를 참고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E-UTRAN에서 UTRAN으로 핸드오버할 때, UTRAN의 NodeB(210)에 의해서 제공되는 QoS가 낮거나 혹은 ANDSF의 정책, 예컨대 ISRP가 핸드오버에 의해 영향받는 IP 트래픽에 대해서 E-UTRAN>WLAN>UTRA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UE의 IP 데이터 트래픽이 무선랜으로 우회될 수 있다. 상기 UE가 다시 E-UTRAN으로 복귀하는 경우,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된 IP 데이터 트래픽이 다시 E-UTRAN으로 이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타이머가 이용될 수도 있고, 제2 실시예에 의하면 마킹 및 추적 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에 개념적으로 나타난 제1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UE(100)는 E-UTRAN의 eNodeB(220)를 통하여 EPC의 S-GW(520) 및 P-GW(530)을 경유하는 1st 데이터 트래픽과 2nd 데이터 트래픽을 진행중이다가, UTRAN의 NodeB(210)의 커버리지로 이동한다.
1~2) 그에 따라 핸드오버가 개시되고, 상기 eNodeB(220)은 핸드오버 요구(HO required) 메시지를 EPC의 MME(510)로 전송하여 핸드오버가 필요한 상황을 알린다.
3~4) 상기 MME(510)는 순방향 재배치 요청 메시지(예컨대, Forward Relocation Request)를 UMTS의 SGSN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SGSN는 상기 NodeB(210)에게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예컨대, Handover Request 메시지)를 보낸다.
5~6) 상기 NodeB(210)는 무선 자원의 할당 여부를 결정한 후, SGSN에게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예컨대, Handover Request ACK)를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SGSN는 상기 MME(510)에게 순방향 재배치 응답 메시지(예컨대 Forward Relocation Response)를 전송한다.
7) 상기 MME(510)는 상기 eNodeB(220)에게 핸드오버 명령(예컨대 HO command)를 보냄으로써 핸드오버를 지시한다.
8) 상기 eNodeB(220)는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상기 UE(1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핸드오버 명령 내의 정보에 따라 UE(100)는 2nd 데이터 트래픽을 위한 베어러가 해제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해당 트래픽에 대한 ANDSF의 정책, 예컨대 ISRP 에 E-UTRAN>WLAN>UTRA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UE(100)는 상기 2nd 데이터 트래픽을 무선랜으로 우회하기로 결정하고,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이후, 핸드오버의 나머지 절차들이 수행되면, 상기 1st 데이터 트래픽은 상기 UTRAN의 NodeB(210)을 경유하여 송수신된다.
그리고 상기 결정된 바에 따라, 상기 2nd 데이터 트래픽은 무선랜으로 우회된다.
이후, 상기 UE(100)가 지리적으로 이동하여 다시 E-UTRAN의 지역으로 복귀하는 경우, UTRAN에서 E-UTRAN으로의 핸드오버 절차가 수행된다.
상기 핸드오버의 수행에 따라, 상기 1st 데이터 트래픽은 다시 상기 E-UTRAN의 eNodeB(220)을 경유하여 송수신된다.
그러나, 상기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는, 상기 해당 트래픽에 대한 ANDSF의 정책, 예컨대 ISRP에 설정된 E-UTRAN>WLAN>UTRAN가 충족되더라도, 상기 무선랜으로의 우회되었던 상기 2nd 데이터 트래픽을 E-UTRAN으로 이전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지 않는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 상기 타이머가 구동되는 시점은 아래의 변형예들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아래의 변형예들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첫 번째 변형예로서, 3GPP RAT간 PS 핸드오버 절차 중 UE(100)가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함으로써, UE가 베어러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인지하거나, QoS가 감소하는 베어러가 있다는 것을 인지한 후, 임의 시점에 타이머가 구동될 수 있다. 이때, 타이머 구동과 함께 무선랜(WLAN)으로의 우회를 병렬적으로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임의 시점은 상기 베어러를 통한 데이터 트래픽을 무선랜으로 우회시킬 수 있다고 결정한 이후의 시점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임의 시점은 핸드오버 절차를 모두 완료한 이후, 상기 베어러를 통한 데이터 트래픽을 무선랜으로 우회시킬 수 있다고 결정한 이후의 시점일 수 있다
두 번째 변형예로서, 3GPP RAT간 PS 핸드오버 절차 완료한 후, UE가 베어러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인지하거나, QoS가 감소하는 베어러가 있다는 것을 인지한 후, 상기 베어러를 통한 데이터 트래픽을 무선랜으로 우회시킬 수 있다고 결정하면, 타이머를 구동한다.
세 번째 변형예로서, 무선랜(WLAN)으로의 우회가 성공적으로 수행된 이후에 타이머를 시작한다. 상기 우회가 실패한 경우 타이머를 시작하지 않을 수 있다.
네 번째 변형예로서, UTRAN에서 E-UTRAN으로 복귀하는 핸드오버 절차가 시작되는 시점에, 무선랜(WLAN) 우회되었던 트래픽이 여전히 존재하는 경우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우회된 트래픽이 종료되었을 경우 타이머를 시작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E-UTRAN으로 복귀하는 시점에 타이머를 구동하는 이유는, 타이머의 시간이 짧을 경우, 상기 우회되었던 트래픽이 금새 다시 E-UTRAN으로 이전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즉, 가능한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시킨 트래픽을 가능한 오래 머무르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타어머를 활용하면, 핑-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6는 도 14에 개념적으로 나타난 제2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UE(100)는 E-UTRAN의 eNodeB(220)를 통하여 EPC의 S-GW(520) 및 P-GW(530)을 경유하는 1st 데이터 트래픽과 2nd 데이터 트래픽을 진행중이다가, UTRAN의 NodeB(210)의 커버리지로 이동한다.
1~7) 그에 따라 핸드오버가 개시되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시지들이 송수신된다.
8) 상기 eNodeB(220)는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상기 UE(1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핸드오버 명령 내의 정보에 따라 UE(100)는 2nd 데이터 트래픽을 위한 베어러가 해제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해당 트래픽에 대한 ANDSF의 정책, 예컨대 ISRP에 E-UTRAN>WLAN>UTRA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UE(100)는 상기 2nd 데이터 트래픽을 무선랜으로 우회하기로 결정한다.
이후, 핸드오버의 나머지 절차들이 수행되면, 상기 1st 데이터 트래픽은 상기 UTRAN의 NodeB(210)을 경유하여 송수신된다.
그리고 상기 결정된 바에 따라, 상기 2nd 데이터 트래픽은 마킹된다. 예컨대, 상기 2nd 데이터 트래픽은 SM=1로 마킹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2nd 데이터 트래픽은 무선랜으로 우회된다.
이후, 상기 UE(100)가 지리적으로 이동하여 다시 E-UTRAN의 지역으로 복귀하는 경우, UTRAN에서 E-UTRAN으로의 핸드오버 절차가 수행된다.
상기 핸드오버의 수행에 따라, 상기 1st 데이터 트래픽은 다시 상기 E-UTRAN의 eNodeB(220)을 경유하여 송수신된다.
그러나, 상기 무선랜으로의 우회되었던 상기 2nd 데이터 트래픽은 마킹이 되어 있으므로, 상기 해당 트래픽에 대한 ANDSF의 정책, 예컨대 ISRP에 설정된 E-UTRAN>WLAN>UTRAN가 충족되더라도, 상기 2nd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E-UTRAN으로 다시 이전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마킹은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상기 2nd 데이터 트래픽은 SM=0으로 기록됨으로써, 마킹이 해제될 수 있다.
도 17는 CSFB에 의해 데이터 트래픽이 무선랜으로 우회된 이후 발생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의 해결책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E-UTRAN이 가능한 지역에 있던 UE가 VoLTE(Voice over LTE)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통화(call)를 착신하거나 발신하려면, CSFB(Circuit Switched Fall-Back) 메커니즘으로 인해, UTRAN으로 캠프 온(camp-on)하게 되고, UE가 진행중이던 IP 데이터 트래픽이 있는 경우, 상기 IP 데이터 트래픽은 무선랜으로 우회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통화(call)가 종료됨으로써, 상기 UE가 다시 E-UTRAN으로 복귀하는 경우,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된 IP 데이터 트래픽이 다시 E-UTRAN으로 이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타이머가 이용될 수도 있고, 제4 실시예에 의하면 마킹 및 추적 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8는 도 17에 개념적으로 나타난 제3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UE(100)는 E-UTRAN의 eNodeB(220)를 통하여 EPC의 S-GW(520) 및 P-GW(530)을 경유하는 1st 데이터 트래픽을 진행중이다가, 통화 발신을 결정한다.
1) 그러면, 상기 UE(100)는 확장 서비스 요청 메시지(예컨대, NAS 계층의 Extended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MME(510)로 전송한다.
2~3) 그러면, 상기 MME(510)은 컨텍스트 수정 요청 메시지(예컨대, S1-AP 기반의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 메시지)를 상기 eNodeB(220)으로 전송하고, 상기 eNodeB(220)는 컨텍스트 수정 응답 메시지(예컨대, S1-AP 기반의 UE Context modification Response 메시지)를 상기 MME(510)로 전송한다.
4~5) 상기 eNodeB(220)은 CSFB를 알리기 위해, UE(100)으로 CCO/NACC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eNodeB(220)은 컨텍스트 해제 요청 메시지(예컨대, S1-AP 기반의 S1 UE Context Release Request 메시지)를 상기 MME(510)으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CSFB에 의해 상기 진행중이던 1st 데이터 트래픽이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고, 일시 중단(suspend)된다면, 상기 UE(100)는 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ANDSF의 정책, 예컨대 ISRP에 핸드오버에 의해 영향받는 IP 트래픽에 대해서 E-UTRAN>WLAN>UTRA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UE(100)는 상기 1st 데이터 트래픽을 무선랜으로 우회하기로 결정한다. 그러면, 상기 UE(100)는 타이머를 구동한다.
이어서, CSFB의 나머지 절차가 수행되고, 그로 인해 음성 통화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결정된 바에 따라, 상기 데이터 트래픽은 무선랜으로 우회된다.
이후, 상기 음성 통화가 종료됨에 따라, UE는 E-UTRAN으로 복귀한다.
그러나, 상기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는, 상기 해당 트래픽에 대한 ANDSF의 정책, 예컨대 ISRP에 설정된 E-UTRAN>WLAN>UTRAN가 충족되더라도, 상기 무선랜으로의 우회되었던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E-UTRAN으로 이전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지 않는다.
한편, 제3 실시예에서 상기 타이머가 구동되는 시점은 아래의 변형예들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아래의 변형예들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첫 번째 변형예로서, CSFB 절차 중 UE가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를 받아, 베어러의 일시 중단이 발생하는 것을 인지 한 후, 임의 시점에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이때, 타이머 구동과 함께 무선랜(WLAN)으로의 우회를 병렬적으로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임의 시점은 상기 베어러를 통한 데이터 트래픽을 무선랜으로 우회시킬 수 있다고 결정한 이후의 시점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임의 시점은 CSFB 절차를 모두 완료한 이후, 상기 베어러를 통한 데이터 트래픽을 무선랜으로 우회시킬 수 있다고 결정한 이후의 시점일 수 있다
두 번째 변형예로서, CSFB 절차 종료 후, 베어러 일시 중단이 발생하는 것을 인지 한 후, 상기 베어러를 통한 데이터 트래픽을 무선랜으로 우회시킬 수 있다고 결정하면, 타이머를 구동한다.
세 번째 변형예로서, 무선랜(WLAN)으로의 우회가 성공적으로 수행된 이후에 타이머를 시작한다. 상기 우회가 실패한 경우 타이머를 시작하지 않을 수 있다.
네 번째 변형예로서, 음성 통화 종료로 인해 UTRAN에서 E-UTRAN으로 복귀하기 위한 절차가 시작되는 시점에, 무선랜(WLAN) 우회되었던 트래픽이 여전히 존재하는 경우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음성 통화가 끝나자 마자 타이머를 시작할 수도 있고, CSFB 구현에 의해 일정 시간 이후, E-UTRAN으로 복귀할 수도 있으므로, 복귀하는 시점에 타이머를 시작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우회된 트래픽이 종료되었을 경우 타이머를 시작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E-UTRAN으로 복귀하는 시점에 타이머를 구동하는 이유는, 타이머의 시간이 짧을 경우, 상기 우회되었던 트래픽이 금새 다시 E-UTRAN으로 이전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즉, 가능한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시킨 트래픽을 가능한 오래 머무르게 하기 위함이다. 특히 이는 짧은 시간의 음성 통화가 수시로 일어나는 경우, 효과적일 수 있다.
도 19는 도 17에 개념적으로 나타난 제4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9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UE(100)는 E-UTRAN의 eNodeB(220)를 통하여 EPC의 S-GW(520) 및 P-GW(530)을 경유하는 1st 데이터 트래픽을 진행중이다가, 통화 발신을 결정한다.
1~5) 그러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CSFB을 위한 제어 신호들이 송수신된다.
한편, 상기 CSFB에 의해 상기 진행중이던 1st 데이터 트래픽이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고, 일시 중단(suspend)된다면, 상기 UE(100)는 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해당 트래픽에 대한 ANDSF의 정책, 예컨대 ISRP에 E-UTRAN>WLAN>UTRA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UE(100)는 상기 1st 데이터 트래픽을 무선랜으로 우회하기로 결정한다.
이어서, CSFB의 나머지 절차가 수행되고, 그로 인해 음성 통화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결정된 바에 따라, 상기 데이터 트래픽은 무선랜으로 우회된다. 이때, 상기 UE는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하는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서 마킹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음성 통화가 종료됨에 따라, UE는 E-UTRAN으로 복귀한다.
그러나,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하는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서 마킹이 존재하므로, 상기 ANDSF의 정책, 예컨대 ISRP에 설정된 E-UTRAN>WLAN>UTRAN가 충족되더라도, 상기 무선랜으로의 우회되었던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E-UTRAN으로 이전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마킹은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상기 2nd 데이터 트래픽은 SM=0으로 기록됨으로써, 마킹이 해제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들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E(100) 및 MME(51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E(100)은 저장 수단(101)와 컨트롤러(102)와 송수신부(10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MME(510)는 저장 수단(511)와 컨트롤러(512)와 송수신부(513)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 수단들(101, 511)은 도 8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방법을 저장한다.
상기 컨트롤러들(102, 512)은 상기 저장 수단들(101, 511) 및 상기 송수신부들(103, 513)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들(102, 512)은 상기 저장 수단들(101, 511)에 저장된 상기 방법들을 각기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들(102, 512)은 상기 송수신부들(103, 513)을 통해 상기 전술한 신호들을 전송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Claims (16)

  1. 단말에 의해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단말이 타이머를 구동중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여기서 상기 단말은 여러 RAT(Radio Access Technologies)으로의 액세스를 수행중이고;
    상기 단말이 상기 타이머를 구동하고 있지 않은 경우, 무선랜(WLAN)으로 우회되었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 제1 RAT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이 상기 타이머를 구동중인 경우, 무선랜(WLAN)으로 우회되었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데이터 트래픽은 CSFB(Circuit Switched Fall-Back)의 결과 또는 3GPP RAT 변경의 결과로서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되었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가 구동되지 않고 만료됨에 따라, 상기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마킹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핸드오버가 수행되고,
    상기 타이머의 구동에 따라 상기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마킹이 해제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핸드오버가 수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결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위한 베어러 단위로 마킹이 되거나,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위한 PDN 단위로 마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결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트래픽은
    CSFB(Circuit Switched Fall-Back)의 결과 또는 3GPP RAT 변경의 결과와, 그리고 ISRP(Inter-System Routing Policy)에 따라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되었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결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ISRP는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를 담당하는 노드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ISRP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우선순위가 무선랜(WLAN)의 우선순위 보다 높고, 상기 무선랜(WLAN)의 우선순위는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혹은 GERAN(GSM EDGE Radio Access Network)의 우선순위 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결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가 구동중이 아닌 경우, 상기 ISRP에 설정된 E-UTRAN, UTRAN, GERAN 및 WLAN 간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결정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가 구동중인 경우, 상기 ISRP에 설정된 E-UTRAN, UTRAN, GERAN 및 WLAN 간의 우선순위를 무시함으로써,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결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지리적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RAT에서 제2 RAT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2 RAT로의 핸드오버에 의해 영향을 받은 트래픽이ISRP(Inter-System Routing Policy)의 조건에 충족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시키는 단계와;
    상기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결정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AT에 존재하는 상기 단말이 음성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제2 RAT으로의 CSFB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2 RAT로의 CSFB에 의해 영향을 받은 트래픽이 ISRP(Inter-System Routing Policy)의 조건에 충족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시키는 단계와;
    상기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결정 방법.
  10.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단말로서,
    여러 RAT(Radio Access Technologies)으로의 액세스를 수행하는 송수신부와;
    타이머를 구동중인지 판단하고, 상기 타이머를 구동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무선랜(WLAN)으로 우회되었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 제1 RAT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타이머를 구동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무선랜(WLAN)으로 우회되었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데이터 트래픽은 CSFB(Circuit Switched Fall-Back)의 결과 또는 3GPP RAT 변경의 결과로서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되었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가 구동되지 않고 만료됨에 따라, 상기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마킹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핸드오버가 수행되고,
    상기 타이머의 구동에 따라 상기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마킹이 해제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핸드오버가 수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위한 베어러 단위로 마킹이 되거나,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위한 PDN 단위로 마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트래픽은
    CSFB(Circuit Switched Fall-Back)의 결과 또는 3GPP RAT 변경의 결과와, 그리고 ISRP(Inter-System Routing Policy)에 따라 상기 무선랜으로 우회되었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ISRP는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를 담당하는 노드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ISRP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우선순위가 무선랜(WLAN)의 우선순위 보다 높고, 상기 무선랜(WLAN)의 우선순위는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혹은 GERAN(GSM EDGE Radio Access Network)의 우선순위 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가 구동중이 아닌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ISRP에 설정된 E-UTRAN, UTRAN, GERAN 및 WLAN 간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가 구동중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ISRP에 설정된 E-UTRAN, UTRAN, GERAN 및 WLAN 간의 우선순위를 무시함으로써,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57014344A 2013-01-20 2014-01-17 무선랜으로 우회되었던 트래픽에 대한 핸드오버 결정 방법 및 단말 KR101752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54621P 2013-01-20 2013-01-20
US61/754,621 2013-01-20
US201361805514P 2013-03-26 2013-03-26
US61/805,514 2013-03-26
US201361805939P 2013-03-28 2013-03-28
US61/805,939 2013-03-28
US201361912028P 2013-12-05 2013-12-05
US61/912,028 2013-12-05
PCT/KR2014/000516 WO2014112826A1 (en) 2013-01-20 2014-01-17 Method and terminal for determining handover for traffic offloaded onto wla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927A true KR20150079927A (ko) 2015-07-08
KR101752073B1 KR101752073B1 (ko) 2017-06-28

Family

ID=51208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4344A KR101752073B1 (ko) 2013-01-20 2014-01-17 무선랜으로 우회되었던 트래픽에 대한 핸드오버 결정 방법 및 단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179383B2 (ko)
EP (1) EP2946601B1 (ko)
JP (1) JP6122149B2 (ko)
KR (1) KR101752073B1 (ko)
CN (1) CN104919855B (ko)
WO (1) WO201411282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7742A1 (en) * 2017-08-04 2019-02-07 Intel IP Corporation ESTABLISHING DATA TRANSFER TUNNEL BETWEEN TWO USER PLAN FUNCTIONS IN A FIFTH GENERATION
WO2021049841A1 (ko) * 2019-09-09 2021-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3gpp 상의 ims 음성 세션을 3gpp 액세스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9440B (zh) * 2013-02-18 2016-03-02 华为终端有限公司 网络接入处理方法和用户设备
US9629025B2 (en) * 2013-05-03 2017-04-18 Blackberry Limited Controlling data offload in response to feedback information
WO2014181830A1 (ja) * 2013-05-10 2014-11-13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及びユーザ端末
US9203572B2 (en) * 2013-05-20 2015-12-01 Broadcom Corporation Managing interference between collocated radios
WO2015002404A1 (en) * 2013-07-02 2015-0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01110B2 (en) * 2013-09-27 2017-10-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avoidance of partial offloading of traffic bearers
US20150109927A1 (en) * 2013-10-18 2015-04-23 Qualcomm Incorporated Base station to access point interface for data bearer routing
US9936428B2 (en) * 2014-05-09 2018-04-03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ffloading through radio access network rules
WO2015174456A1 (ja) 2014-05-13 2015-11-19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CN107079379B (zh) 2014-08-18 2021-10-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控制终端设备的操作的方法和装置
WO2016033811A1 (zh) 2014-09-05 2016-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分流策略协商方法及装置
EP3007516B1 (en) * 2014-10-06 2017-08-30 Motorola Mobility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net protocol (IP) flow mobility
US9655034B2 (en) 2014-10-31 2017-05-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Transaction sensitive 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US9629076B2 (en) 2014-11-20 2017-04-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etwork edge based 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US10206109B2 (en) * 2014-12-24 2019-02-12 Intel Corporation Offline 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 (ANDSF) provisioning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NFC)
US10313942B2 (en) 2015-01-14 2019-06-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o offload traffic to WLAN
US9820331B1 (en) * 2015-02-11 2017-11-14 Sprint Spectrum L.P. UE-context release in response to failure of air interface communication
JP2018093252A (ja) * 2015-04-07 2018-06-14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mme、pgw、及び通信制御方法
US10980073B2 (en) 2015-04-07 2021-04-13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PGW, and TWAG
US10129706B2 (en) 2015-06-05 2018-11-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ntext sensitive communication augmentation
US10162351B2 (en) 2015-06-05 2018-12-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mote provisioning of a drone resource
US20170055193A1 (en) * 2015-08-18 2017-02-23 Intel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using a frequency range
CN105228120A (zh) * 2015-11-02 2016-01-06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语音通话时保持数据连接的方法及系统
WO2017083258A1 (en) * 2015-11-10 2017-05-18 Motorola Mobility Llc Offload bear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8293183B (zh) * 2015-11-18 2021-06-01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E-utran与wlan之间的切换
US10609616B2 (en) 2015-12-22 2020-03-31 Alfred Consult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mobility information in heterogeneous networks
CN107306405A (zh) * 2016-04-18 2017-10-31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一种数据业务处理方法及装置
CN107872733A (zh) * 2016-09-26 2018-04-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语音和视频分流传输的视频通话方法和装置及服务器
US10470241B2 (en) 2016-11-15 2019-11-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ultiple mesh drone communication
EP3554134B1 (en) * 2016-12-28 2021-09-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transmitting method and data transmit end
US10772022B2 (en) * 2017-02-10 2020-09-08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system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EP3675557B1 (en) 2017-09-28 2022-06-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related to handover from 5gs to ep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08156635B (zh) * 2017-12-14 2021-04-20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移动终端及wifi接入点检测处理方法、及存储介质
KR20210125380A (ko) * 2020-04-08 2021-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핸드오버 지원 방법 및 장치
US11863594B2 (en) 2021-01-07 2024-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call request in electronic device
US11871474B2 (en) * 2021-01-14 2024-01-09 Apple Inc. Coordinated leaving for concurrent RRC procedures in a multiple-SIM UE
JPWO2022162862A1 (ko) * 2021-01-29 2022-08-04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2909A1 (en) * 2004-08-02 2006-02-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CN1794681A (zh) * 2005-12-29 2006-06-28 上海贝豪通讯电子有限公司 基于定位信息的在3g网络和wifi网络间的切换方法
US20080096560A1 (en) * 2006-10-24 2008-04-24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ensuring handoffs across heterogeneous networks
US20100027510A1 (en) * 2008-08-04 2010-02-04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idle handoff to support femto cells
JP5403678B2 (ja) * 2009-10-21 2014-01-29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477724B2 (en) * 2010-01-11 2013-07-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ession context continuity of local service availability in local cellular coverage
US8478269B2 (en) * 2010-03-24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enable a UE to return to a wireless network after failure to obtain service
CN103222308B (zh) * 2010-09-20 2018-02-02 黑莓有限公司 在电路交换回退操作期间提供分组交换服务连续性的方法和装置
US8989142B2 (en) * 2010-09-28 2015-03-24 Blackberry Limited Residential/enterprise network connection management and CSFB scenarios
KR101480372B1 (ko) * 2010-10-01 2015-01-09 블랙베리 리미티드 장치 내 공존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US8934455B2 (en) * 2010-11-18 2015-01-1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munication terminal and network node
JP2014502831A (ja) * 2011-01-14 2014-02-03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回線交換フォールバックおよびハンドオーバー中のローカル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アクセス接続処理
CA2825346C (en) * 2011-01-21 2017-12-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Network apparatus and process to determine the connection context for connections used for (local) offloading
US9094864B2 (en) * 2011-03-02 2015-07-28 Qualcomm Incorporated Architecture for WLAN offload in a wireless device
KR101417256B1 (ko) * 2011-04-05 2014-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사용자 장치
TW201246879A (en) * 2011-04-13 2012-11-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d/or enforcing policies for managing internet protocol (''IP'') traffic among multiple accesses of a network
CN103493392B (zh) * 2011-04-29 2016-08-17 英特尔公司 Mimo通信系统中的秩自适应的系统和方法
WO2012154506A1 (en) * 2011-05-06 2012-11-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andwidth aggregation for ip flow
US9014027B2 (en) * 2012-02-29 2015-04-21 Cisco Technology, Inc. Multi-interface adaptive bit rate session management
US20130265985A1 (en) * 2012-04-10 2013-10-10 Motorola Mobility,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data connectivity between a wireless communicaiton device and a first access networ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7742A1 (en) * 2017-08-04 2019-02-07 Intel IP Corporation ESTABLISHING DATA TRANSFER TUNNEL BETWEEN TWO USER PLAN FUNCTIONS IN A FIFTH GENERATION
US11871291B2 (en) 2017-08-04 2024-01-09 Apple Inc. Data forwarding tunnel establishment between two user plane functions in fifth generation
WO2021049841A1 (ko) * 2019-09-09 2021-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3gpp 상의 ims 음성 세션을 3gpp 액세스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46601A1 (en) 2015-11-25
US20140206353A1 (en) 2014-07-24
KR101752073B1 (ko) 2017-06-28
EP2946601A4 (en) 2016-09-21
JP6122149B2 (ja) 2017-04-26
EP2946601B1 (en) 2022-05-04
WO2014112826A1 (en) 2014-07-24
CN104919855A (zh) 2015-09-16
USRE46870E1 (en) 2018-05-22
US9179383B2 (en) 2015-11-03
CN104919855B (zh) 2018-10-16
JP2016508330A (ja) 2016-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2073B1 (ko) 무선랜으로 우회되었던 트래픽에 대한 핸드오버 결정 방법 및 단말
US1086918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NBIFOM capabi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206155B2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performing network selection and traffic routing
KR101729878B1 (ko) 정책에 기반한 액세스 결정 방법 및 단말
US10341911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plurality of PDN connections by means of CSIPTO
US10512001B2 (en) Method for rearranging gateway and method for generating dedicated bearer
US20170026824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routing rules
US10420021B2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selecting network and routing traffic
US10313942B2 (en)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o offload traffic to WLAN
US10142926B2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selecting network and performing traffic routing
EP3142454A1 (en) Method for processing csfb or srvcc during sipto service
US10805846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supporting service continuity after performing handover
US10455460B2 (en) Method for processing loss of ac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