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8501A - 자동차용 박스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501A
KR20150078501A KR1020130167908A KR20130167908A KR20150078501A KR 20150078501 A KR20150078501 A KR 20150078501A KR 1020130167908 A KR1020130167908 A KR 1020130167908A KR 20130167908 A KR20130167908 A KR 20130167908A KR 20150078501 A KR20150078501 A KR 20150078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ounting
main body
mounting portion
movable
movab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자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7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8501A/ko
Publication of KR20150078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5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자동차용 박스의 골격을 메인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메인몸체(10)의 외면 일측에는 패널과 같은 자동차의 고정부에 장착을 위한 장착브라켓(12)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10)의 표면에는 고정부품장착부(1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품장착부(14)의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가동부품장착부(20)가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된다. 상기 가동부품장착부(20)에는 부품(40)이 장착되는 장착공간(24)이 형성된 가동하우징(22)이 있고, 상기 가동하우징(22)의 양측 외면에 제1회전힌지부(28)에 의해 연결되는 연동레그(26)가 있다. 상기 연동레그(26)의 타단부에는 제2회전힌지부(28')가 있어, 상기 메인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용 박스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기능을 집적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박스{Box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이 장착되는 부품장착부가 메인몸체의 표면에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는 각종 전자부품이 집적되어 구성되는 박스, 예를 들면, 정션박스나 퓨즈박스 등과 같은 것이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박스는 여러 종류의 전자부품을 집적하여 설치하므로 자동차 내부의 공간을 보다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미리 전자부품이 장착된 상태의 박스를 자동차의 고정부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조립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최근에 자동차의 연비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들이 진행되면서, 자동차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자동차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경박단소화하기 위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자동차용 박스의 경우에도 예외는 아닌데, 하나의 자동차용 박스에 보다 많은 기능을 집적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자동차용 박스에 보다 많은 기능을 집적하기 위해서는 자동차용 박스의 메인몸체 표면 영역에 부품장착부를 조밀하게 위치시켜야 하는데, 이와 같이 되면 부품장착부에 장착된 부품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깝게 되어 작업자가 부품을 부품장착부에 장착하고 분리하는 것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166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2-007593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용 박스에 구비되는 부품장착부를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용 박스에 구비되는 부품장착부를 평면으로 볼 때 서로 다른 높이에 있는 부품장착부들이 일부 겹쳐지도록 하여 박스의 메인몸체의 외면 영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부품이 장착되는 고정부품장착부와, 상기 메인몸체의 외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품장착부의 사이에서 상기 고정부품장착부보다 높은 위치에 놓여지고 부품이 장착되는 가동부품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품장착부는 양측에 인접하는 고정부품장착부 사이에 위치되는데, 적어도 일측 고정부품장착부의 일부와 평면도로 볼 때 겹친다.
상기 가동부품장착부는 가동하우징과, 상기 가동하우징의 양단에 제1힌지부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메인몸체에 제2힌지부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레그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레그의 폭방향 양측에는 다른 높이로 돌출된 다수개의 걸이단이 형성된 걸이후크가 외팔보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메인몸체 측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되어 걸어진다.
상기 회동레그와 상기 메인몸체, 상기 회동레그와 상기 가동하우징의 사이에는 상기 회동레그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돌기와 홈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회동레그의 회전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1힌지부와 제2힌지부를 구성하는 회전축공과 회전축 사이는 서로 압입되어 구성된다.
상기 가동부품장착부에서 부품이 장착되는 가동하우징의 내부에 있는 장착공간에는 내부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내부기판에는 상대 부품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터미널이 실장된다.
상기 내부기판과 상기 메인몸체의 내부에 있는 부품 사이는 플렉시블 플렛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가동부품장착부에서 부품이 장착되는 가동하우징의 내부에 있는 장착공간에는 터미널이 설치되고, 상기 터미널의 후단에는 전선이 연결되어 상기 전선에 의해 상기 메인몸체의 내부에 있는 부품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박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부품장착부와 가동부품장착부를 메인몸체의 표면에서 높이차를 두고 위치되게 하므로 메인몸체의 표면 영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박스의 메인몸체를 평면도로 볼 때, 높이차가 있는 부품장착부 사이가 서로 겹칠 수 있게 되어 메인몸체의 표면 영역을 겹쳐지게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자동차용 박스에 많은 기능을 집적시킬 수 있게 되어 상대적으로 자동차용 박스를 경박단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부품장착부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가동부품장착부를 일정한 영역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주변의 인접한 고정부품장착부에 부품을 장착하고 분리할 때, 인접하는 부품장착부의 부품과의 간섭없이 편리하게 부품을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 부품들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가동부품장착부에 인접한 고정부품장착부에 부품을 장착하기 위해 가동부품장착부를 도 4와 비교해서 이동시킨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자동차용 박스의 골격을 메인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메인몸체(10)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자동차용 박스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는 상기 메인몸체(10)외에도 상기 메인몸체(10)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도시되지 않음) 그리고 상기 메인몸체(10)의 하부를 덮는 하부커버(도시되지 않음)가 더 있을 수 있다. 상기 메인몸체(10)의 구성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례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몸체(10)의 측벽을 구성하는 부분과 상기 메인몸체(10)의 상판을 구성하는 부분이 별개로 만들어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몸체(10) 전체가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은 자동차용 박스의 구성에 따라 다양한 부품들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될 수 있는 부품으로는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와이어 등 다양한 것이 있다. 상기 메인몸체(10)의 외면 일측에는 장착브라켓(12)이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12)은 자동차의 패널과 같은 고정부에 박스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메인몸체(10)의 표면, 보다 자세하게는 상면 및/또는 하면에는 다수개의 고정부품장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품장착부(14)는 상기 메인몸체(10)에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고정부품장착부(14)의 외관을 장착펜스(16)가 형성하고, 상기 장착펜스(16)의 내부에는 장착공간(18)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간(18)에 해당되는 부품(40)(도 5 참고)이 장착된다.
한편, 상기 메인몸체(10)에는 또한 가동부품장착부(20)가 있다. 상기 가동부품장착부(20)는 상기 메인몸체(10)에 대해 소정의 영역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동레그(26)에 의해 소정 영역에서 회전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품장착부(20)는 상기 고정부품장착부(14)의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품장착부(14) 사이의 거리는 상기 가동부품장착부(20)의 폭보다 작다. 즉, 상기 가동부품장착부(20)는 평면도로 볼 때 인접하는 양측 고정부품장착부(14)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는 일부가 겹쳐지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가동부품장착부(20)는 일정한 영역내에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인접한 각각의 고정부품장착부(14)에 부품(40)을 장착할 때, 상기 가동부품장착부(20)와 간섭되지는 않게 된다.
상기 가동부품장착부(20)에는 가동하우징(22)이 있다. 상기 가동하우징(22)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 장착공간(24)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간(24)은 상기 가동하우징(22)의 일측으로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장착공간(24) 내에 부품(40)이 장착된다.
상기 가동하우징(22)의 양단에는 회동레그(26)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동레그(26)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일단부는 상기 가동하우징(22)에 제1회전힌지부(28)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에서 메인몸체(10)에 제2힌지부(28')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28,28')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회전축과 회전축공(도면부호 부여않음)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제1 및 제2 힌지부(28,28')는 각각 회전중심이 되어 상기 가동하우징(22)이 소정의 영역내에서 회전하면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참고로,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1힌지부(28)를 중심으로 상기 가동하우징(22)이 회전하는 정도는 매우 좁은 범위에서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제1힌지부(28)를 중심으로도 상기 가동하우징(22)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동레그(26)에는 회동레그(26)가 제2힌지부(28')를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 양측에 걸이후크(29)를 둔다. 상기 걸이후크(29)는 상기 회동레그(26)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여러 구간으로 나눠서 돌출정도가 다른 걸이단(29')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단(29')이 메인몸체(10) 내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밀착되어 회동레그(26)의 회전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걸이후크(29)의 자유단부 쪽의 걸이단(29')은 메인몸체(10)의 외부로 개방되는 단부에 걸어지게 되는데, 이 걸이단(29')의 일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회동레그(26)가 메인몸체(10)에 대해 회전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을 수 있게 한다.
상기 가동하우징(22)의 장착공간(24) 내부 바닥에는 내부기판(30)이 설치된다. 상기 내부기판(30)에는 다수개의 터미널(3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32)은 상기 가동부품장착부(20)에 장착되는 부품(40)의 터미널(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내부기판(30)은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에 있는 구성, 예를 들면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연결기판(34)이 사용된다. 상기 연결기판(34)은 예를 들면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FPC)가 사용된다. 참고로, 상기 가동부품장착부(20)와 상기 메인몸체(10) 내부의 기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전선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동하우징(22)에 설치되는 터미널에 직접 전선이 연결되어 이 전선이 메인몸체(1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다. 이는 마치 상기 가동하우징(22)이 일종의 커넥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을 말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박스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박스에서 상기 고정부품장착부(14)와 가동부품장착부(20)에는 각각 부품(40)들이 장착된다. 상기 가동부품장착부(20)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접한 고정부품장착부(14)와 평면도로 볼 때 일부가 겹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동하우징(22)이 상기 회동레그(26)에 대해 제1 및 제2힌지부(28,28')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의해 이동되기 때문으로, 반대쪽에 인접한 고정부품장착부(14)와는 겹쳐지지 않도록 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가동부품장착부(20)와 겹쳐지지 않은 고정부품장착부(14)에는 부품(40)을 가동부품장착부(20)와 간섭없이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부품장착부(20)와 인접한 일측 고정부품장착부(14)에 부품(40)을 장착한 후에는 상기 가동부품장착부(20)를 이동시켜 부품(40)이 장착된 고정부품장착부(14)와 평면도로 볼 때 겹쳐지도록 하여, 부품(40)이 장착되지 않은 인접한 고정부품장착부(14)와 가동부품장착부(20)가 겹쳐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부품(40)이 장착되지 않은 고정부품장착부(14)가 가동부품장착부(20)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한 후에, 부품(40)을 해당 고정부품장착부(14)에 장착하면 상대적으로 쉽게 부품(40)을 장착할 수 있고, 또한 분리할 때도 상대적으로 쉽게 부품(40)을 고정부품장착부(14)에서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동부품장착부(20)가 상기 회동레그(26)에 대해서 상기 제1힌지부(28)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회동레그(26)는 다시 제2힌지부(26')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2중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동부품장착부(20)의 가동하우징(22)은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 내에서 항상 메인몸체(10)의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가동부품장착부(20)에 부품(40)을 장착하고 분리하는것 역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힌지부(26')를 중심으로 회동레그(26)가 회전되고, 이 회전된 상태가 상기 걸이후크(29)에 의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된다. 참고로, 상기 제1힌지부(28)와 제2힌지부(28')가 회전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서 다음과 같은 것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동하우징(22)의 외면과 상기 회동레그(26)의 서로 대응되는 면에 일측에는 돌기를 타측에는 다수개의 홈을 상기 돌기의 궤적을 따라 두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제1힌지부(28)와 제2힌지부(28')를 중심으로 한 회전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작업자가 가동부품장착부(20) 및 인접하는 고정부품장착부(14)에의 부품(40)의 장착과 분리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상기 회동레그(26)와 가동하우징(22) 사이의 상대 회전 상태와 상기 회동레그(26)와 메인몸체(10) 사이의 상대 회전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위한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것 외에 상기 제1힌지부(28)와 제2힌지부(28')를 구성하는 회전축공과 회전축이 서로 압입되어 일정 이상의 힘에 의해서만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10: 메인몸체 12: 장착브라켓
14: 고정부품장착부 16: 장착펜스
18: 장착공간 20: 가동부품장착부
22: 가동하우징 24: 장착공간
26: 회동레그 28: 제1힌지부
28': 제2힌지부 30: 내부기판
32: 터미널 34: 연결기판
40: 부품

Claims (8)

  1.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부품이 장착되는 고정부품장착부와,
    상기 메인몸체의 외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품장착부의 사이에서 상기 고정부품장착부보다 높은 위치에 놓여지고 부품이 장착되는 가동부품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품장착부는 양측에 인접하는 고정부품장착부 사이에 위치되는데, 적어도 일측 고정부품장착부의 일부와 평면도로 볼 때 겹치는 자동차용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품장착부는 가동하우징과, 상기 가동하우징의 양단에 제1힌지부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메인몸체에 제2힌지부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레그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그의 폭방향 양측에는 다른 높이로 돌출된 다수개의 걸이단이 형성된 걸이후크가 외팔보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메인몸체 측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되어 걸어지는 자동차용 박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그와 상기 메인몸체, 상기 회동레그와 상기 가동하우징의 사이에는 상기 회동레그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돌기와 홈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자동차용 박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그의 회전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1힌지부와 제2힌지부를 구성하는 회전축공과 회전축 사이는 서로 압입되어 구성되는 자동차용 박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품장착부에서 부품이 장착되는 가동하우징의 내부에 있는 장착공간에는 내부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내부기판에는 상대 부품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터미널이 실장되는 자동차용 박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기판과 상기 메인몸체의 내부에 있는 부품 사이는 플렉시블 플렛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자동차용 박스.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품장착부에서 부품이 장착되는 가동하우징의 내부에 있는 장착공간에는 터미널이 설치되고, 상기 터미널의 후단에는 전선이 연결되어 상기 전선에 의해 상기 메인몸체의 내부에 있는 부품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박스.
KR1020130167908A 2013-12-30 2013-12-30 자동차용 박스 KR20150078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908A KR20150078501A (ko) 2013-12-30 2013-12-30 자동차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908A KR20150078501A (ko) 2013-12-30 2013-12-30 자동차용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501A true KR20150078501A (ko) 2015-07-08

Family

ID=53791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908A KR20150078501A (ko) 2013-12-30 2013-12-30 자동차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8501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464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59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0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3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2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5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6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58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1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464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59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0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3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2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5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6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58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1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8501A (ko) 자동차용 박스
CN102823071B (zh) 用于装置连接的连接器结构
JP5813387B2 (ja) 電気接続箱
US10391955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6180810B2 (ja)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CN103796456B (zh) 车载用电子控制单元
JP4637730B2 (ja) ホルダ
WO2015041329A1 (ja) ヒューズユニット取付構造
US11325546B2 (en) Rotary connector
JP6101982B2 (ja) アース端子固定構造
US9426922B2 (en) In-vehicle electronic control unit
US9431807B2 (en) Booster cable holding structure
CN102991569A (zh) 电动机控制装置
WO2015020098A1 (ja) ターミナル固定補助部材
CN108281930B (zh) 电气连接箱的配置构造、电气连接箱、线束以及车辆
JP2012105508A (ja) 電気接続箱
JP2012094780A (ja) 電子機器ユニット
JP7322689B2 (ja) 端子台
US9203223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JP2007068308A (ja) 電気接続箱
WO2014056432A1 (zh) 刮水器电机以及具有这种电机的刮水器
US9960577B2 (en) Wiring harness and routing structure of the same
CN207382697U (zh) 电子控制装置及其外壳
JP6895705B2 (ja) 給電端子構造、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WO2022203015A1 (ja) コネクタ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