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8480A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480A
KR20150078480A KR1020130167867A KR20130167867A KR20150078480A KR 20150078480 A KR20150078480 A KR 20150078480A KR 1020130167867 A KR1020130167867 A KR 1020130167867A KR 20130167867 A KR20130167867 A KR 20130167867A KR 20150078480 A KR20150078480 A KR 20150078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umper
bumper beam
vehicle
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8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필중
차동은
김현경
이승목
임종명
최지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7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8480A/en
Publication of KR20150078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48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destroyed upon impact, e.g. one-shot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bumper stay unit for a vehicle. The bumper st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d with the back of a bumper beam, composed of an outer stay panel and an inner stay panel, having a back bracket attached on the back of the outer stay panel and the inner stay panel, wherein the front ends of the outer stay panel and the inner stay panel are overlapped, and a notch part if formed on at least one among both ends of the front end of the outer stay panel.

Description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BUMPER STAY UNIT FOR VEHICLE}[0001]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0002]

본 발명은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 시 스태이 유닛의 효과적인 붕괴를 유도하여 충돌에너지에 대한 충돌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mper sta- tionary unit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mper sta- tionary unit for a vehicle that improves collision absorbing performance against impact energy by inducing effective collapse of the sta- tion unit in a vehicle crash.

일반적으로 차량에서의 범퍼는 차량이 다른 차량이나 고정체와의 충돌 시, 그 충격을 흡수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며, 동시에 차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전, 후방에 배치되는 완충 유닛이다.BACKGROUND ART A bumper in a vehicle generally includes a shock absorber unit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of a vehicle so as to minimize the deformation of the vehicle body while assuring the safety of a passenger by absorbing the shock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another vehicle or a fixed body, to be.

상기와 같은 범퍼는 차량의 전, 후방에서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 빔의 후방 양측에 범퍼 스태이 유닛을 매개로 차체 측 사이드 멤버에 장착되는 범퍼 빔 유닛과, 상기 범퍼 빔의 전방에 배치되어 충격력을 흡수하는 에너지 업소버, 그리고 상기 범퍼 빔과 에너지 업소버를 감싸는 범퍼 커버로 이루어진다.The bumper unit includes a bumper beam unit mounted on the vehicle body side member via bumper sta- tus units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bumper beam arrang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An energy absorber for absorbing the bumper beam and the energy absorber, and a bumper cover for covering the bumper beam and the energy absorb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결합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umper staunch unit. FIG.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109)은 아웃터 스태이 패널(103), 인너 스태이 패널(105) 및 후방 브래킷(107)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vehicular bumper staunch unit 109 is composed of an outer stance panel 103, an inner stance panel 105, and a rear bracket 107. Fig.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103)과 인너 스태이 패널(105)은 선단이 상호 오버랩되어 접합된다.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panel 103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panel 105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103)과 인너 스태이 패널(105)은 범퍼 빔(101)의 후방에 장착된다.The outer surface panel 103 and the inner surface panel 105 are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bumper beam 101.

그리고 상기 후방 브래킷(107)은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103)과 인너 스태이 패널(105)에 접합되고, 상기 후방 브래킷(107)의 후방에는 사이드 멤버(미도시)가 결합된다.The rear bracket 107 is joined to the outer studio panel 103 and the inner panel 105 and a side member (not shown)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rear bracket 107.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109)은 범퍼 빔(101)을 차체의 사이드 멤버(미도시)에 장착한 상태로, 차량의 충돌 시, 범퍼 빔(101)을 통해 전달되는 충돌에너지에 의해 붕괴되면서 충돌에너지를 흡수한다. The bumper sta- tion unit 109 for a vehicl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bumper beam 101 mounted on a side member (not shown) of the vehicle body, It collapses by energy and absorbs impact energy.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범퍼 스태이 유닛(109)은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103)과 인너 스태이 패널(105)이 상호 오버랩 되어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여 차량의 전방 충돌 시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103)과 인너 스태이 패널(105)의 효과적인 붕괴가 발생하지 않아 차량의 전방 충돌 시에 충돌에너지에 대한 초기 충격 흡수력이 낮아 차체로 전달되는 초기 충격력이 너무 크게 나타나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However, the bumper staunch unit 109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maintains a firm engagement state with the outer stance panel 103 and the inner stance panel 105 mutually overlapping each other, 103 and the inner surface panel 105 do not collapse effectively, the initial impact force against the impact energy at the time of the front-end collision of the vehicle is low and the initial impact force transmitted to the vehicle body becomes too large. .

즉, 종래의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109)은 초기 충돌에너지 흡수 효과가 미비하여 차체 측 사이드 멤버(미도시) 등의 손상을 피할 수 없고, 이로 인해 탑승자의 상해치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된다. That is, the conventional bumper sta- tion unit 109 for a vehicle does not have an initial impact energy absorbing effect and can not avoid damages to the side members (not shown) on the vehicle side, thereby causing an increase in the injury value of the occupan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아웃터 스태이 패널과 인너 스태이 패널의 선단이 상호 오버랩되며,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의 선단 양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노치부를 형성하여 차량 충돌 시 상기 노치부를 통해 스태이 유닛의 효과적인 붕괴를 유도하여 충돌에너지에 대한 충돌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을 제공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s of the outer surface panel and the inner surface panel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panel is formed with a notch portion, Thereby improving collision absorbing performance with respect to the impact energy.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범퍼 빔 후방에 결합되고, 아웃터 스태이 패널과 인너 스태이 패널로 구성되며,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과 인너 스태이 패널의 후방에 후방 브래킷이 접합되는 차량용 스태이 유닛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과 인너 스태이 패널의 선단이 상호 오버랩되며,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의 선단 양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노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In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umper beam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bumper beam and is composed of an outer stance panel and an inner stance panel, and the outer stance panel and the rear stance Wherein a front end of the outer stance panel and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stance panel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front end of the outer stance panel is formed with a notch portion. .

또한, 상기 노치부는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의 선단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tch portions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ont end of the outer studio panel.

또한, 상기 인너 스태이 패널의 선단 양 단부중 어느 하나는 상기 노치부에 의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ny one of both ends of the distal end of the inner panel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notch.

또한,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은 상기 범퍼 빔에 접합되는 제1 접합 플랜지를 가장 자리 부분에 형성하고, 상기 노치부는 상기 인너 스태이 패널의 선단 양 단부에 대응하는 제1 접합 플랜지의 선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panel may be formed with a first joint flange to be joined to the bumper beam at an edge portion thereof, and the notch portion may be formed at a distal end portion of the first joint flange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distal end of the inner body panel .

또한, 상기 제1 접합 플랜지의 상기 노치부 부위는 상기 인너 스태이 패널의 선단 양단부와 별개로 상기 범퍼 빔에 접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tched portion of the first joint flange may be joined to the bumper beam separately from both ends of the distal end of the inner panel.

또한, 상기 인너 스태이 패널은 상기 범퍼 빔에 접합되는 제2 접합 플랜지를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하고, 상기 노치부에 대응하는 제2 접합 플랜지의 선단부는 그 노치부와 별개로 상기 범퍼 빔에 접합될 수 있다.Further, the inner panel may be formed with a second joint flange to be joined to the bumper beam at an edge portion thereof, and a tip portion of a second joint flange corresponding to the notch portion may be joined to the bumper beam separately from the notch portion .

또한,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과 인너 스태이 패널의 오버랩된 부위는 용접을 통하여 상호 접합될 수 있다.Also, the overlapped portions of the outer surface panel and the inner panel may be welded together.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아웃터 스태이 패널과 인너 스태이 패널의 선단이 상호 오버랩되며,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의 선단 양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노치부를 형성하여 차량 충돌 시 상기 노치부를 통해 스태이 유닛의 효과적인 붕괴를 유도하여 충돌에너지에 대한 충돌 흡수 성능을 높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s of the outer surface panel and the inner surface panel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panel is formed with a notch portion, The collision absorbing performance against the collision energy can be enhanced.

즉, 아웃터 스태이 패널과 인너 스태이 패널은 충돌에너지에 효과적으로 붕괴되고 충돌에너지가 고르게 분산되어 흡수됨으로 충돌에너지의 흡수 효율을 높이게 되며, 특히, 초기 충돌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저속 및 중속 충돌에 의한 차체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In other words, the outer stance panel and the inner-stance panel effectively collapse the collision energy, and the collision energy is uniformly dispersed and absorbed, thereby increasing the absorption efficiency of the collision energy. In particular,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vehicle body and protecting the passenger more safel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 스태이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 스태이 유닛의 붕괴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umper staunch unit.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bumper sta- tion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bumper staun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ate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collapse state of the bumper stasis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 스태이 유닛의 측면도이다.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bumper sta- tion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of a bumper sta- 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또는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11)은 아웃터 스태이 패널(3), 인너 스태이 패널(5) 및 후방 브래킷(9)을 구성된다.2 or 3, the vehicular bumper staunch unit 1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outer structure panel 3, the inner panel 5, and the rear bracket 9.

먼저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3)과 인너 스태이 패널(5)은 범퍼 빔(1)의 후방에 결합된다.First, the outer studio panel 3 and the inner panel 5 are joined to the rear of the bumper beam 1.

그리고 상기 후방 브래킷(9)은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3)과 인너 스태이 패널(5)의 후방에 접합된다.And the rear bracket 9 is joined to the rear of the outer studio panel 3 and the inner panel 5.

또한, 상기 후방 브래킷(9) 후방에는 사이드 멤버(미도가) 장착된다.A side member (not shown) is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rear bracket 9.

그리고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3)과 인너 스태이 패널(5)의 선단이 상호 오버랩되어 상기 범퍼 빔(1)의 후방에 결합된다.The ends of the outer structure panel 3 and the inner structure panel 5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joined to the rear of the bumper beam 1. [

또한,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3)의 선단 양 단부 중 어느 한 곳 또는 양 단부에 모두에 노치부(7)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tched portion 7 may be formed at one or both ends of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tructure panel 3.

또한,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3)은 상기 범퍼 빔(1)에 접합되는 제1 접합 플랜지(3a)가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다.In the outer structure panel 3, a first joint flange 3a to be joined to the bumper beam 1 is formed at the edge portion.

상기 노치부(7)는 상기 인너 스테이 패널(5)의 선단 양 단부에 대응하는 제1 접합 플랜지(3a)의 선단부에 형성된다.The notch portion 7 is formed at the tip end of the first joint flange 3a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distal end of the inner stay panel 5. [

그리고 상기 인너 스태이 패널(5)은 상기 노치부(7)에 의해 선단 양 단부 중 어느 한 곳이 외부로 노출된다.The inner panel (5) is exposed to one of both end portions by the notch (7).

또한, 상기 제1 접합 플랜지(3a)의 상기 노치부(7) 부위는 상기 인너 스태이 패널(5)의 선단 양 단부와 별개로 상기 범퍼 빔(1)에 결합된다.The notched portion 7 of the first joint flange 3a is joined to the bumper beam 1 separately from both ends of the distal end of the inner panel 5. [

그리고 상기 인너 스태이 패널(5)은 상기 범퍼 빔(1)에 접합되는 제2 접합 플랜지(5a)가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다.The inner panel 5 is formed with a second joint flange 5a joined to the bumper beam 1 at an edge thereof.

상기 제2 접합 플랜지(5a)의 선단부는 상기 노치부(7)에 대응하며 상기 노치부(7)와 별개로 상기 범퍼 빔(1)에 접합된다.The tip end of the second joint flange 5a corresponds to the notch 7 and is bonded to the bumper beam 1 separately from the notch 7.

그리고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3)과 인너 스태이 패널(5)의 오버랩 되어진 부위는 용접을 통한 용접부(W)를 형성하여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3)과 인너 스태이 패널(5)을 상호 접합시킨다.The overlapped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panel 3 and the inner surface panel 5 forms a welded portion W by welding so that the outer surface panel 3 and the inner surface panel 5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 스태이 유닛의 붕괴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4 is a state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collapse state of the bumper stasis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범퍼 빔(1)에 충격이 전달되며, 상기 범퍼 빔(1)의 후방에 설치된 아웃터 스태이 패널(3)과 인너 스태이 패널(5)에 충격력이 전달된다.4, an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bumper beam 1, and an impact force is transmitted to the outer stance panel 3 and the inner stance panel 5 installed behind the bumper beam 1 .

이때,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3)에 형성된 노치부(7)는 충격력을 상기 인너 스태이 패널(5)로 빠르게 분산 시켜 상기 인너 스태이 패널(5)이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며 붕괴된다.At this time, the notch portion 7 formed on the outer surface panel 3 rapidly disperses the impact force to the inner surface panel 5, so that the inner surface panel 5 absorbs the collision energy and collapses.

즉, 붕괴가 상기 인너 스태이 패널(5)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태이 유닛(11)의 붕괴 패턴을 안정적으로 형성하여 충격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That is, the collapse is effectively performed in the inner panel 5 to stably form the collapse pattern of the stasis unit 11 as shown in FIG. 4, thereby improving the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11)은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3)에 노치부(7)를 형성하여 차량 충돌 시 상기 노치부(7)를 통해 스태이 유닛(11)의 붕괴 패턴을 안정적으로 형성하여 충돌에너지에 대한 충돌 흡수 성능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ular bumper staunch unit 1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notched portion 7 on the outer structure panel 3, and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stably form a collapse pattern of the unit 11 to increase collision absorbing performance against impact energy.

즉, 상기 스태이 유닛(11)은 충돌에너지에 효과적으로 붕괴되고 충돌에너지가 고르게 분산되어 흡수됨으로 충돌에너지의 흡수 효율을 높이게 되며, 특히, 초기 충돌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저속 및 중속 충돌에 의한 차체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That is, the state unit 11 effectively collapses the impact energy, and the impact energy is uniformly dispersed and absorbed, thereby enhancing the absorption efficiency of the impact energy.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bsorb the initial impact energy, The damage is minimized and the occupant is protected more safely.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all changes to the scope that are deemed to be valid.

1: 범퍼 빔 3: 아웃터 스태이 패널
3a; 제1 접합 플랜지 5: 인너 스태이 패널
5a: 제2 접합 플랜지 7: 노치부
9: 후방 브래킷 11: 스태이 유닛
1: Bumper Beam 3: Outer Stainless Panel
3a; First joint flange 5: Inner chassis panel
5a: second joint flange 7:
9: rear bracket 11:

Claims (7)

범퍼 빔의 후방에 결합되고, 아웃터 스태이 패널과 인너 스태이 패널로 구성되며,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과 인너 스태이 패널의 후방에 후방 브래킷이 접합되는 차량용 스태이 유닛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과 인너 스태이 패널의 선단이 상호 오버랩되며,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의 선단 양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노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And a rear bracket coupled to the rear of the outer surface panel and the inner panel, wherein the rear surface of the bumper beam is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umper beam,
Wherein a front end of the outer stance panel and a front end of the inner stance panel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a notch portion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outer stance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는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의 선단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notch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ont end of the outer studio panel,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스태이 패널의 선단 양 단부중 어느 하나는 상기 노치부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of both ends of the distal end of the inner panel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no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은
상기 범퍼 빔에 접합되는 제1 접합 플랜지를 가장 자리 부분에 형성하고, 상기 노치부는 상기 인너 스태이 패널의 선단 양 단부에 대응하는 제1 접합 플랜지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studio panel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joint flange to be joined to the bumper beam is formed at the edge portion and the notch portion is formed at a tip end portion of the first joint flange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front end of the inner stanchion panel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 플랜지의 상기 노치부 부위는 상기 인너 스태이 패널의 선단 양단부와 별개로 상기 범퍼 빔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notched portion of the first joint flange is bonded to the bumper beam separately from both ends of the distal end of the inner stance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스태이 패널은
상기 범퍼 빔에 접합되는 제2 접합 플랜지를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하고, 상기 노치부에 대응하는 제2 접합 플랜지의 선단부는 그 노치부와 별개로 상기 범퍼 빔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Wherein a second joint flange to be joined to the bumper beam is formed at an edge portion and a tip end portion of a second joint flange corresponding to the notch portion is bonded to the bumper beam separately from the notch por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스태이 패널과 인너 스태이 패널의 오버랩된 부위는 용접을 통하여 상호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verlapped portions of the outer surface panel and the inner surface panel are welded to each other.
KR1020130167867A 2013-12-30 2013-12-30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KR2015007848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867A KR20150078480A (en) 2013-12-30 2013-12-30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867A KR20150078480A (en) 2013-12-30 2013-12-30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480A true KR20150078480A (en) 2015-07-08

Family

ID=53791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867A KR20150078480A (en) 2013-12-30 2013-12-30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848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490A (en) * 2017-03-15 2018-09-28 (주)엘지하우시스 Bumper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490A (en) * 2017-03-15 2018-09-28 (주)엘지하우시스 Bumper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2678B2 (en)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for coping with small overlap collision
KR101500366B1 (en) Structure for absorbing collision energy of front of vehicle
JP2002166854A (en) 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automotive fender panel having protective function to walker
KR101416387B1 (en) Frontal collision impact absorbing device for vehicle
KR101546292B1 (en) Impact absorbing device of bumper beam for vehicle
KR20150078480A (en)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KR20190016692A (en) Front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KR101826541B1 (en) Bumper assembly for vehicle
KR101689571B1 (en) Reinforcement unit of bumper beam for vehicle
KR101034790B1 (en) Crash box in automotive bumper system
KR102002308B1 (en) Bumper beam for vehicles
KR101189063B1 (en) Crash box in vehicle bumper system
KR101704003B1 (en) Walker protector
KR20130136302A (en) Bumper assembly for vehicle
KR20110114263A (en) Crash box for sub-frame in vehicles
KR20130070357A (en)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KR101547278B1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front side member for vehicle
KR20170070981A (en) Car crash box
KR20140057924A (en)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KR20170027212A (en) Bumper beam for vehicle
JP2008074264A (en) Front part vehicle body structure for vehicle
KR101594489B1 (en) Bumper stay unit for vehicles
KR101398226B1 (en)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KR101588801B1 (en)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for coping with front collision
KR20140032226A (en)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