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8125A -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125A
KR20150078125A KR1020130167237A KR20130167237A KR20150078125A KR 20150078125 A KR20150078125 A KR 20150078125A KR 1020130167237 A KR1020130167237 A KR 1020130167237A KR 20130167237 A KR20130167237 A KR 20130167237A KR 20150078125 A KR20150078125 A KR 20150078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rea
photographing
user
capt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9508B1 (ko
Inventor
송원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7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508B1/ko
Publication of KR20150078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관심 피사체를 검출하는 단계; 복수의 관심 피사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복수의 관심 피사체 중 메인 피사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의 위치와 상기 제1 영역의 위치에 따라, 소리 가이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촬영 장치, 촬영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촬영 장치에 친숙하지 않은 일반 사용자들이 쉽게 원하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촬영 가이드 기능들이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촬영 장치에서 사진의 구도를 가이드해주는 기능 등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쉽게 좋은 구도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그런데 촬영 가이드 기능은 촬영 상황에 따른 변수가 발생하여,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셀프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품질의 셀프 촬영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관심 피사체를 검출하는 단계;
복수의 관심 피사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복수의 관심 피사체 중 메인 피사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의 위치와 상기 제1 영역의 위치에 따라, 소리 가이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소리 가이드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이 상기 제1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제1 비프음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의 중심이 상기 제1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제2 비프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영역 내에 제2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리 가이드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의 중심이 상기 제2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제3 비프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상기 제1 영역의 테두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의 중심이 상기 제2 영역 내에 있는 상태가 제1 기준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자동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사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의 위치와 상기 복수의 관심 피사체 각각의 위치에 따라 상기 메인 피사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의 중심이 상기 제1 영역 내에 있는 상태가 제1 기준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자동으로 연속 촬영하는 단계; 상기 연속 촬영된 복수의 캡쳐 영상들을 임시 저장하는 단계; 및 연속 촬영된 복수의 캡쳐 영상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연속 촬영된 복수의 캡쳐 영상들 중 추천 영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연속 촬영된 복수의 캡쳐 영상들 각각의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과 상기 복수의 캡쳐 영상들 각각의 썸네일 영상을 함께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이 상기 추천 영상과 다른 영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 대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에 대해, 후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과 상기 썸네일 영상을 함께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후처리된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후처리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후처리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관심 피사체는 얼굴이고, 상기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촬영 장치에 체결된 렌즈가 광각 촬영이 가능한 렌즈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렌즈가 광각 촬영이 불가능한 경우,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셀프 촬영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촬영 장치의 촬영 파라미터를 광각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사광을 광전 변환하여 라이브뷰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영역을 설정하는 관심 영역 설정부;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관심 피사체를 검출하는 관심 피사체 검출부;
복수의 관심 피사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복수의 관심 피사체 중 메인 피사체를 결정하는 메인 피사체 결정부; 및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의 위치와 상기 제1 영역의 위치에 따라, 소리 가이드를 출력하는 소리 가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소리 가이드 출력부는,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이 상기 제1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제1 비프음을 출력하고,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의 중심이 상기 제1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제2 비프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관심 영역 설정부는, 상기 제1 영역 내에 제2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소리 가이드 출력부는,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의 중심이 상기 제2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제3 비프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상기 제1 영역의 테두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의 중심이 상기 제2 영역 내에 있는 상태가 제1 기준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자동 촬영하도록 상기 촬영부를 제어하는 자동 촬영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사체 결정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위치와 상기 복수의 관심 피사체 각각의 위치에 따라 상기 메인 피사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의 중심이 상기 제1 영역 내에 있는 상태가 제1 기준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자동으로 연속 촬영하고,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연속 촬영된 복수의 캡쳐 영상들을 임시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 및 연속 촬영된 복수의 캡쳐 영상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연속 촬영된 복수의 캡쳐 영상들 중 추천 영상을 결정하는 추천 영상 결정부;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연속 촬영된 복수의 캡쳐 영상들 각각의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이 상기 추천 영상과 다른 영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과 상기 복수의 캡쳐 영상들 각각의 썸네일 영상을 함께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이 상기 추천 영상과 다른 영상인 경우,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 대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에 대해, 후처리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후처리된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 및 상기 후처리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상기 후처리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관심 피사체는 얼굴이고, 상기 촬영 장치는, 촬영 장치에 체결된 렌즈가 광각 촬영이 가능한 렌즈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렌즈가 광각 촬영이 불가능한 경우,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렌즈 확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장치는, 셀프 촬영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파라미터를 광각 모드로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프로세서에 의해 독출되어 수행되었을 때,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관심 피사체를 검출하는 단계;
복수의 관심 피사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복수의 관심 피사체 중 메인 피사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의 위치와 상기 제1 영역의 위치에 따라, 소리 가이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셀프 촬영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품질의 셀프 촬영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a)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R1)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복수의 관심 피사체 중 메인 피사체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소리 가이드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비프음, 제2 비프음, 및 제3 비프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c)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영역(R1)과 메인 피사체 영역(FD)이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d)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및 저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 네일 영상 및 썸네일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연속 촬영 후 영상을 처리하고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e)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렌즈가 적절하지 않다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촬영 장치의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a)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a)는 촬영부(110),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 메모리(130), 저장/판독 제어부(140), 데이터 저장부(142), 프로그램 저장부(150), 표시 구동부(162), 표시부(164), CPU/DSP(170), 및 조작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장치(100a)의 전체 동작은 CPU/DSP(170)에 의해 통괄된다. CPU/DSP(170)는 렌즈 구동부(112), 조리개 구동부(115), 촬상 소자 제어부(119) 등에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촬영부(110)는 입사광으로부터 전기적인 신호의 영상을 생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렌즈(111), 렌즈 구동부(112), 조리개(113), 조리개 구동부(115), 촬상 소자(118), 및 촬상 소자 제어부(119)를 포함한다.
렌즈(111)는 복수 군, 복수 매의 렌즈들을 구비할 수 있다. 렌즈(111)는 렌즈 구동부(112)에 의해 그 위치가 조절된다. 렌즈 구동부(112)는 CPU/DSP(170)에서 제공된 제어 신호에 따라 렌즈(111)의 위치를 조절한다.
조리개(113)는 조리개 구동부(115)에 의해 그 개폐 정도가 조절되며, 촬상 소자(118)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한다.
렌즈(111) 및 조리개(113)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18)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상기 촬상 소자(118)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센서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 소자(118)는 촬상 소자 제어부(119)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 소자 제어부(119)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소자(118)를 제어할 수 있다.
촬상 소자(118)의 노광 시간은 셔터(미도시)로 조절된다. 셔터(미도시)는 가리개를 이동시켜 빛의 입사를 조절하는 기계식 셔터와, 촬상 소자(118)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여 노광을 제어하는 전자식 셔터가 있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는 촬상 소자(118)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저감 처리, 게인 조정, 파형 정형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한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된 신호는 메모리(130)를 거쳐 CPU/DSP(170)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130)를 거치지 않고 CPU/DSP(170)에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130)는 촬영 장치(100a)의 메인 메모리로서 동작하고, CPU/DSP(170)가 동작 중에 필요한 정보를 임시로 저장한다. 프로그램 저장부(130)는 촬영 장치(100a)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아울러, 촬영 장치(100a)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촬영 장치(100a)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64)를 포함한다. 표시부(164)는 시각적인 정보 및/또는 청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표시부(164)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표시부(164)는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표시 구동부(162)는 표시부(164)에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CPU/DSP(17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한다. CPU/DSP(17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가역 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정지 영상에 경우,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 형식 등으로 변환도 가능하다. 또한, 동영상을 기록하는 경우,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표준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들을 압축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파일은 예를 들면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표준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CPU/DSP(17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13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140)에 입력되는데, 저장/판독 제어부(140)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142)에 저장한다. 또한 저장/판독 제어부(140)는 데이터 저장부(142)에 저장된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130)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표시 구동부에 입력하여 표시부(164)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데이터 저장부(142)는 탈착 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촬영 장치(100a)에 영구 장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CPU/DSP(170)에서는 불선명 처리, 색채 처리, 블러 처리, 에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인식 처리로 얼굴 인식, 장면 인식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아울러, CPU/DSP(170)에서는 표시부(164)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상기 CPU/DSP(170)는 외부 모니터와 연결되어, 외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소정의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으며, 이렇게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외부 모니터에서 해당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CPU/DSP(170)는 프로그램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별도의 모듈을 구비하여,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 자동 노출 보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리개 구동부(115), 렌즈 구동부(112), 및 촬상 소자 제어부(119)에 제공하고, 셔터, 스트로보 등 촬영 장치(100a)에 구비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180)는 사용자가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조작부(18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18)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도록 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줌 버튼, 모드 선택 버튼, 기타 촬영 설정값 조절 버튼 등 다양한 기능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80)는 버튼,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도 1에 도시된 촬영 장치(10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촬영 장치(100a)는 도 1에 도시된 촬영 장치(100a)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b)는 촬영부(210), 관심 영역 설정부(220), 관심 피사체 검출부(230), 메인 피사체 결정부(240), 및 소리 가이드 출력부(25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관심 영역 설정부(220), 관심 피사체 검출부(230), 메인 피사체 결정부(240), 및 소리 가이드 출력부(250)는 도 1의 실시예의 촬영 장치(100a)의 CPU/DSP(170)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의 촬영부(210)는 도 1의 실시예의 촬영부(110)에 대응될 수 있다. 물론 이 외에 다양한 실시예도 가능하다.
촬영부(210)는 입사광을 광전 변환하여 라이브뷰 영상을 생성한다.
관심 영역 설정부(2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영역을 설정한다. 제1 영역은, 사용자가 메인 피사체가 배치되기를 원하는 영역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메인 피사체가 배치되기를 원하는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직접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피사체가 화면의 중심, 우측, 좌측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용이하게 원하는 구도의 사진을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R1)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 영역(R3) 내에서 사용자는 메인 피사체가 배치되기를 원하는 제1 영역(R1)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제1 영역(R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영역(R1)은 원형, 타원형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설정한 제1 영역(R1) 내에, 제2 영역(R2)이 설정될 수 있다. 제2 영역(R2)은 관심 영역 설정부(220)에서 자동으로 설정하는 영역으로서, 예를 들면 제1 영역(R1)의 중심에 미리 설정된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영역(R2)은 제1 영역(R1)과 동일한 모양을 가질 수 있고, 다른 모양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영역(R2)은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은 영역일 수 있다.
관심 영역 설정부(220)는 사용자가 제1 영역(R1)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표시부(164, 도 1 참조)를 통해 표시되고, 조작부(180, 도 1 참조)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다. 표시부(164)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관심 영역 설정부(220)는 터치 입력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다.
관심 피사체 검출부(230)는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관심 피사체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심 피사체 및 메인 피사체는 얼굴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관심 피사체 및 메인 피사체는 공, 자동차 등 특정 종류의 객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사용자가 관심 피사체 및 메인 피사체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관심 피사체 검출부(230)는 사용자가 설정한 관심 피사체를 라이브뷰 영상에서 추적하여, 관심 피사체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관심 피사체 및 메인 피사체가 얼굴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관심 피사체 검출부(230)는 관심 피사체를 검출하기 위하여 얼굴 검출 알고리즘, 객체 검출 알고리즘, 객체 추적 알고리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메인 피사체 결정부(240)는 관심 피사체 검출부(230)에서 복수의 관심 피사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복수의 관심 피사체 중 메인 피사체를 결정한다.
도 4는 복수의 관심 피사체 중 메인 피사체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메인 피사체 결정부(240)는 복수의 관심 피사체 중 메인 피사체를 결정할 때, 각 관심 피사체의 중심과 상기 제1 영역(R1)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메인 피사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얼굴 영역(FD1, FD2, FD3)이 검출된 경우, 각 얼굴 영역(FD1, FD2, FD3)은 복수의 관심 피사체로 인식된다. 이때 각 얼굴 영역(FD1, FD2, FD3)의 중심과 제1 영역(R1)의 중심 사이의 거리(d1, d2, d3)에 기초하여, 세 개의 얼굴 영역(FD1, FD2, FD3) 중 메인 피사체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관심 피사체 중 제1 영역(R1)의 중심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관심 피사체가 메인 피사체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경우, 제1 영역(R1)의 중심과 얼굴 영역의 중심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제2 얼굴의 얼굴 영역(FD2)이 메인 피사체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피사체 결정부(240)는 복수의 관심 피사체 중 메인 피사체를 결정할 때, 각 관심 피사체의 중심과 제1 영역(R1)의 중심 사이의 거리와 함께, 각 관심 피사체의 크기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각 관심 피사체의 크기는 예를 들면, 얼굴 영역(FD1, FD2, FD3)의 크기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피사체 결정부(240)는 각 관심 피사체의 중심과 제1 영역(R1)의 중심과의 거리와, 각 관심 피사체의 크기 각각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각 관심 피사체에 점수를 매겨, 상기 점수를 기준으로 메인 피사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피사체 결정부(240)는 복수의 관심 피사체 중 사용자가 선택한 관심 피사체를 메인 피사체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관심 피사체 검출부(230)에 의해 검출된 관심 피사체 중 메인 피사체로 설정할 관심 피사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피사체 결정부(240)는 표시부(164) 상에 관심 피사체 검출부(230)에 의해 검출된 관심 피사체들의 영역을 각각 표시하여, 사용자가 관심 피사체 영역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소리 가이드 출력부(250)는 상기 메인 피사체가 위치한 메인 피사체 영역의 위치와 제1 영역(R1)의 위치에 따라, 소리 가이드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소리 가이드 출력부(250)는 메인 피사체 영역의 중심과 제1 영역(R1)의 중심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다른 종류의 소리 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리 가이드는 비프(beep)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리 가이드 출력부(250)는 메인 피사체 영역이 제1 영역(R1)에 진입했는지 여부, 및 메인 피사체 영역이 제2 영역(R2)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소리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영역(R1)이 설정된다(S502). 제1 영역(R1)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그 위치 및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관심 피사체가 검출된다(S504).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심 피사체는 얼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얼굴 영역이 검출되고, 라이브뷰 영상 상에 얼굴 영역이 표시될 수 있다.
만약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관심 피사체가 검출된 경우(S506),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복수의 관심 피사체로부터 메인 피사체를 결정한다(S508).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피사체는 각 관심 피사체와 제1 영역(R1)의 중심 사이의 거리, 상기 관심 피사체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피사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만약 관심 피사체가 1개 검출된 경우(S506), 검출된 관심 피사체를 메인 피사체로 설정한다(S510).
메인 피사체가 결정되면(S508, S510), 메인 피사체 영역의 위치와 제1 영역(R1)의 위치에 따라 소리 가이드를 출력한다(S512).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메인 피사체 영역의 중심과 제1 영역(R1)의 중심의 거리에 따라 소리 가이드를 달리하여, 소리 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R1) 내에 제2 영역(R2)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메인 피사체 영역이 제1 영역(R1)에 진입했는지 여부, 및 메인 피사체 영역이 제2 영역(R2)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소리 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소리 가이드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리가이드는 메인 피사체 영역(FD)의 위치, 제1 영역(R1)의 위치, 및 제2 영역(R2)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피사체 영역(FD)이 제1 영역(R1)에 진입하면 제1 비프음이 출력되고, 메인 피사체 영역(FD)의 중심이 제1 영역(R1)에 진입하면 제2 비프음이 출력되고, 메인 피사체 영역(FD)의 중심이 제2 영역(R2)에 진입하면 제3 비프음이 출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피사체 영역(FD)이 제1 영역(R1)에 진입하는 순간에 제1 비프음이 출력되고, 메인 피사체 영역(FD)의 중심이 제1 영역(R1)에 진입하는 순간에 제2 비프음이 출력되고, 메인 피사체 영역(FD)의 중심이 제2 영역(R2)에 진입하는 순간에 제3 비프음이 출력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피사체 영역(FD)이 제1 영역(R1)에 존재하는 동안 제1 비프음이 출력되고, 메인 피사체 영역(FD)의 중심이 제1 영역(R1)에 존재하는 동안 제2 비프음이 출력되고, 메인 피사체 영역(FD)의 중심이 제2 영역(R2)에 존재하는 동안 제3 비프음이 출력된다. 제1 비프음, 제2 비프음, 및 제3 비프음은 서로 다른 종류의 비프음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비프음, 제2 비프음, 및 제3 비프음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비프음은 제1 주기로 비프음이 출력되고, 제2 비프음은 제2 주기로 비프음이 출력되고, 제3 비프음은 계속해서 비프음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다른 종류의 비프음으로 출력되는 소리 가이드를 통해, 셀프 촬영 시 원하는 구도로 사직을 찍기 위해 촬영 장치(100b)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소리 가이드는 비프음 이외에도, 음성 가이드, 멜로디 등 다양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비프음이 변경되는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흐름도이다.
메인 피사체 영역(FD)이 제1 영역(R1)에 진입하면(S702), 제1 비프음이 출력된다(S704). 만약 메인 피사체 영역(FD)의 중심이 제1 영역(R1)에 진입하면(S706), 제2 비프음이 출력된다(S708). 만약 메인 피사체 영역(FD)의 중심이 제2 영역(R2)에 진입하면(S710), 제3 비프음이 출력된다(S712).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c)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c)는 촬영부(210), 표시부(910), 관심 영역 설정부(220), 관심 피사체 검출부(230), 메인 피사체 결정부(240), 소리 가이드 출력부(250), 및 자동 촬영 제어부(92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관심 영역 설정부(220), 관심 피사체 검출부(230), 메인 피사체 결정부(240), 소리 가이드 출력부(250), 및 자동 촬영 제어부(920)는 도 1의 실시예의 촬영 장치(100a)의 CPU/DSP(170)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의 촬영부(210)는 도 1의 실시예의 촬영부(110)에 대응될 수 있다. 물론 이 외에 다양한 실시예도 가능하다.
촬영부(210)는 입사광을 광전 변환하여 라이브뷰 영상을 생성한다.
관심 영역 설정부(2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영역을 설정한다. 관심 영역 설정부(220)는 사용자가 제1 영역(R1)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관심 피사체 검출부(230)는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관심 피사체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심 피사체 및 메인 피사체는 얼굴일 수 있다.
메인 피사체 결정부(240)는 관심 피사체 검출부(230)에서 복수의 관심 피사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복수의 관심 피사체 중 메인 피사체를 결정한다.
소리 가이드 출력부(250)는 상기 메인 피사체가 위치한 메인 피사체 영역의 위치와 제1 영역(R1)의 위치에 따라, 소리 가이드를 출력한다.
표시부(910)는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제1 영역(R1)과 메인 피사체 영역(FD)을 표시한다. 제1 영역(R1)과 메인 피사체 영역(FD)은 예를 들면 해당 영역의 위치 및 범위를 나타내는 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영역(R1)과 메인 피사체 영역(FD)이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910)는 촬영 영역(R3)에 대한 라이브뷰 화면과 함께, 제1 영역(R1)과 메인 피사체 영역(FD)을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제1 영역(R1)과 함께 제2 영역(R2)이 설정되더라도, 제2 영역(R2)에 대한 정보는 표시부(910)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단, 제2 영역(R2)에 대한 정보가 표시부(91)에 표시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표시부(91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표시부(164)에 대응될 수 있다.
자동 촬영 제어부(920)는 자동 촬영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자동 촬영 조건이 만족되면 자동 촬영을 수행한다. 자동 촬영 제어부(920)는 촬영부(210)를 제어하여 자동 촬영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 촬영 조건은 메인 피사체 영역(FD)의 중심이 제1 영역(R1) 내에 제1 기준 시간 동안 존재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메인 피사체 영역(FD)의 중심이 제1 영역(R1) 내에 제1 기준 시간 동안 존재하면, 자동 촬영이 수행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 촬영 조건은 메인 피사체 영역(FD)의 중심이 제2 영역(R2) 내에 제1 기준 시간 동안 존재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메인 피사체 영역(FD)의 중심이 제2 영역(R2) 내에 제1 기준 시간 동안 존재하면, 자동 촬영이 수행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영역(R1)이 설정된다(S1102). 제1 영역(R1)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그 위치 및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관심 피사체가 검출된다(S1104).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심 피사체는 얼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얼굴 영역이 검출되고, 라이브뷰 영상 상에 얼굴 영역이 표시될 수 있다.
만약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관심 피사체가 검출된 경우(S1106),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복수의 관심 피사체로부터 메인 피사체를 결정한다(S1108).
만약 관심 피사체가 1개 검출된 경우(S1106), 검출된 관심 피사체를 메인 피사체로 설정한다(S1110).
메인 피사체가 결정되면(S1108, S1110), 메인 피사체 영역의 위치와 제1 영역(R1)의 위치에 따라 소리 가이드를 출력한다(S1112).
만약, 메인 피사체 영역이 제1 기준 시간 동안 제1 영역(R1) 내에 존재하는 경우(S1114), 자동 촬영이 수행된다(S1116).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d)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d)는 촬영부(210), 표시부(910), 휘발성 메모리(1230), 비휘발성 메모리(1240), 관심 영역 설정부(220), 관심 피사체 검출부(230), 메인 피사체 결정부(240), 소리 가이드 출력부(250), 자동 촬영 제어부(920), 추천 영상 결정부(1210), 및 영상 처리부(1220)를 포함한다.
촬영부(210)는 입사광을 광전 변환하여 라이브뷰 영상을 생성한다.
관심 영역 설정부(2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영역을 설정한다. 관심 영역 설정부(220)는 사용자가 제1 영역(R1)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관심 피사체 검출부(230)는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관심 피사체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심 피사체 및 메인 피사체는 얼굴일 수 있다.
메인 피사체 결정부(240)는 관심 피사체 검출부(230)에서 복수의 관심 피사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복수의 관심 피사체 중 메인 피사체를 결정한다.
소리 가이드 출력부(250)는 상기 메인 피사체가 위치한 메인 피사체 영역의 위치와 제1 영역(R1)의 위치에 따라, 소리 가이드를 출력한다.
표시부(910)는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제1 영역(R1)과 메인 피사체 영역(FD)을 표시한다.
자동 촬영 제어부(920)는 자동 촬영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자동 촬영 조건이 만족되면 자동 촬영을 수행한다. 자동 촬영 제어부(920)는 자동 촬영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연속 촬영을 수행한다. 연속 촬영의 횟수는 미리 결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자동 촬영된 복수의 캡쳐 영상들은 휘발성 메모리(1230)에 임시 저장된다.
추천 영상 결정부(1210)는 자동 촬영된 상기 복수의 캡쳐 영상들 중 추천 영상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천 영상은 얼굴 정보 및 화질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얼굴 정보는 표정 인식, 눈 감음 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질 정보는, 화면의 콘트라스트, 촬영 시 손떨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20)는 상기 복수의 캡쳐 영상들 각각의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썸네일 영상 및 상기 스크린 네일 영상을 표시부(910)에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캡쳐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검출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이 상기 추천 영상과 다른 영상인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캡쳐 영상에 대해 스크린 네일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부(910)에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처리부(1220)는 상기 추천 영상 및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에 대해, 후처리를 한다. 상기 후처리는 예를 들면, 얼굴색 보정, 잡티 보정, 색감 보정, 및 콘트라스트 보정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1230)는 연속 촬영된 복수의 캡쳐 영상들을 임시 저장한다. 휘발성 메모리(1230)는 예를 들면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a)의 메모리(130)에 대응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124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저장한다. 비휘발성 메모리(1240)는 예를 들면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a)의 데이터 저장부(142)에 대응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1240)는 예를 들면 SD 카드, 플래시 메모리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및 저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처리부(1220)는 스크린 네일 영상으로 스케일이 다운된 영상에 대해 후처리를 하여, 영상 처리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추천 영상 및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에 대해서만 후처리를 하여 영상 처리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만 휘발성 메모리(1230)로부터 비휘발성 메모리(1240)로 이동하여 저장하고, 선택되지 않은 영상은 저장하지 않아, 불필요한 영상을 저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에게 촬영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에 대해 스크린 네일 영상을 생성하고, 후처리를 수행한 후에, 상기 후처리된 스크린 네일 영상을 비휘발성 메모리(1240)에 저장할 때 재사용하여, 영상 처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 네일 영상 및 썸네일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추천 영상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SN)이 표시된다. 또한 연속 촬영된 복수의 캡쳐 영상들의 썸네일 영상(TN)들이 상기 스크린 네일 영상(SN)과 함께 표시된다. 사용자는 썸네일 영상(TN)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저장할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연속 촬영이 수행되면, 최초에는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TN)과 복수의 캡쳐 영상들의 썸네일 영상(TN)이 함께 표시된다. 이후에 사용자가 추천 영상과 다른 캡쳐 영상을 선택하면, 선택된 캡쳐 영상에 대한 스크린 네일 영상(TN)을 생성하고 후처리하여, 선택된 캡쳐 영상에 대한 스크린 네일 영상(TN)이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TN) 대신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연속 촬영 후 영상을 처리하고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자동 촬영 조건이 만족되어, 연속 촬영이 수행되면(S1502), 연속 촬영된 복수의 캡쳐 영상들 중 추천 영상이 결정된다(S1504). 다음으로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이 생성되고, 상기 스크린 네일 영상이 후처리된다(S1506).
또한, 연속 촬영된 캡쳐 영상들의 썸네일 영상이 생성된다(S1508).
다음으로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과 연속 촬영된 복수의 캡쳐 영상들의 썸네일 영상을 함께 표시한다(S1510). 복수의 캡쳐 영상들에 대한 썸네일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을 수신한다(S1512). 만약 사용자가 추천 영상과 다른 캡쳐 영상을 선택하는 경우(S1514),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생성하고 후처리한다(S1516).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이,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대신하여 표시된다.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캡쳐 영상이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다(S1518).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캡쳐 영상들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고 삭제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e)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e)는 촬영부(210), 모드 설정부(1610), 렌즈 확인부(1620), 관심 영역 설정부(220), 관심 피사체 검출부(230), 메인 피사체 결정부(240), 및 소리 가이드 출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심 영역 설정부(220), 관심 피사체 검출부(230), 메인 피사체 결정부(240), 소리 가이드 출력부(250), 모드 설정부(1610), 및 렌즈 확인부(1620)는 도 1의 실시예의 촬영 장치(100a)의 CPU/DSP(170)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6의 실시예의 촬영부(210)는 도 1의 실시예의 촬영부(110)에 대응될 수 있다. 물론 이 외에 다양한 실시예도 가능하다.
촬영부(210)는 입사광을 광전 변환하여 라이브뷰 영상을 생성한다.
관심 영역 설정부(2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영역을 설정한다. 관심 영역 설정부(220)는 사용자가 제1 영역(R1)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관심 피사체 검출부(230)는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관심 피사체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심 피사체 및 메인 피사체는 얼굴일 수 있다.
메인 피사체 결정부(240)는 관심 피사체 검출부(230)에서 복수의 관심 피사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복수의 관심 피사체 중 메인 피사체를 결정한다.
소리 가이드 출력부(250)는 상기 메인 피사체가 위치한 메인 피사체 영역의 위치와 제1 영역(R1)의 위치에 따라, 소리 가이드를 출력한다.
모드 설정부(1610)는 셀프 촬영 모드로 진입하고, 촬영 장치(100e)의 촬영 파라미터를 광각 모드로 설정한다. 모드 설정부(161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셀프 촬영 모드로 진입하거나, 자동으로 셀프 촬영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셀프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 광각 모드에서 촬영해야 가까이 있는 피사체의 얼굴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따라서 모드 설정부(1610)는 셀프 촬영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자동으로 촬영 파라미터를 광각 촬영을 위한 값들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광각 모드에서는 초점 거리가 짧아지고, 조리개 값이 작아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렌즈 확인부(1620)는 셀프 촬영 모드로 진입하면, 촬영 장치(100e)에 체결된 렌즈로 셀프 촬영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촬영 장치(100e)에 체결된 렌즈로 셀프 촬영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렌즈가 적절하지 않다는 피드백을 제공한다. 여기서 셀프 촬영이 가능한지 여부는, 촬영 장치(100e)에 체결된 렌즈로 광각 모드에서 촬영할 수 있는지 여부는 촬영 장치(100e)에 체결된 렌즈로 미리 결정된 범위의 초점 거리를 가질 수 있는지 여부, 미리 결정된 범위의 조리개 값을 가질 수 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셀프 촬영의 경우, 광각 모드에서 촬영되는 것이 적절하고, 상기 초점 거리 및 조리개 값의 범위는 광각 모드에 대응되는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촬영 장치(100e)가 렌즈 교환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는 렌즈가 적절하지 않다는 피드백을 받은 경우, 렌즈를 교환하여 셀프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렌즈가 적절하지 않다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확인부(1620)는 렌즈가 셀프 촬영에 적절하지 않은 경우, 라이브뷰 화면 상에서 셀프 촬영이 어렵다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렌즈가 적절하지 않다는 피드백은 이외에도 음성 가이드, 비프음 가이드, LED 램프 점등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촬영 장치의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셀프 촬영 모드에 진입하면(S1802), 촬영 장치(100e)는 광각 모드로 진입한다(S1804). 만약 광각 모드 촬영에 적절하지 않은 경우(S1806), 사용자에게 렌즈가 적절하지 않다는 피드백을 제공한다(S1808).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를 저장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부터 프로세서에 의하여 독출되어 실행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반송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5)

  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관심 피사체를 검출하는 단계;
    복수의 관심 피사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복수의 관심 피사체 중 메인 피사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의 위치와 상기 제1 영역의 위치에 따라, 소리 가이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가이드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이 상기 제1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제1 비프음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의 중심이 상기 제1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제2 비프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영역 내에 제2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리 가이드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의 중심이 상기 제2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제3 비프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장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상기 제1 영역의 테두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는 표시되지 않는, 촬영 장치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의 중심이 상기 제2 영역 내에 있는 상태가 제1 기준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자동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장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피사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의 위치와 상기 복수의 관심 피사체 각각의 위치에 따라 상기 메인 피사체를 결정하는, 촬영 장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의 중심이 상기 제1 영역 내에 있는 상태가 제1 기준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자동으로 연속 촬영하는 단계;
    상기 연속 촬영된 복수의 캡쳐 영상들을 임시 저장하는 단계; 및
    연속 촬영된 복수의 캡쳐 영상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장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촬영된 복수의 캡쳐 영상들 중 추천 영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연속 촬영된 복수의 캡쳐 영상들 각각의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과 상기 복수의 캡쳐 영상들 각각의 썸네일 영상을 함께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이 상기 추천 영상과 다른 영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 대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장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에 대해, 후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과 상기 썸네일 영상을 함께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후처리된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후처리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표시하는, 촬영 장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후처리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과 함께 저장하는, 촬영 장치 제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피사체는 얼굴이고,
    상기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촬영 장치에 체결된 렌즈가 광각 촬영이 가능한 렌즈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렌즈가 광각 촬영이 불가능한 경우,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장치 제어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셀프 촬영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촬영 장치의 촬영 파라미터를 광각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장치 제어 방법.
  13. 입사광을 광전 변환하여 라이브뷰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영역을 설정하는 관심 영역 설정부;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관심 피사체를 검출하는 관심 피사체 검출부;
    복수의 관심 피사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복수의 관심 피사체 중 메인 피사체를 결정하는 메인 피사체 결정부; 및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의 위치와 상기 제1 영역의 위치에 따라, 소리 가이드를 출력하는 소리 가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가이드 출력부는,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이 상기 제1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제1 비프음을 출력하고,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의 중심이 상기 제1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제2 비프음을 출력하는, 촬영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 설정부는, 상기 제1 영역 내에 제2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소리 가이드 출력부는,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의 중심이 상기 제2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제3 비프음을 출력하는, 촬영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상기 제1 영역의 테두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지 않는, 촬영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의 중심이 상기 제2 영역 내에 있는 상태가 제1 기준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자동 촬영하도록 상기 촬영부를 제어하는 자동 촬영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촬영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피사체 결정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위치와 상기 복수의 관심 피사체 각각의 위치에 따라 상기 메인 피사체를 결정하는, 촬영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의 중심이 상기 제1 영역 내에 있는 상태가 제1 기준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자동으로 연속 촬영하고,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연속 촬영된 복수의 캡쳐 영상들을 임시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 및
    연속 촬영된 복수의 캡쳐 영상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촬영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연속 촬영된 복수의 캡쳐 영상들 중 추천 영상을 결정하는 추천 영상 결정부;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연속 촬영된 복수의 캡쳐 영상들 각각의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이 상기 추천 영상과 다른 영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과 상기 복수의 캡쳐 영상들 각각의 썸네일 영상을 함께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이 상기 추천 영상과 다른 영상인 경우,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 대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촬영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에 대해, 후처리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후처리된 상기 추천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 및 상기 후처리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표시하는, 촬영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상기 후처리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의 스크린 네일 영상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과 함께 저장하는, 촬영 장치.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피사체는 얼굴이고,
    상기 촬영 장치는, 촬영 장치에 체결된 렌즈가 광각 촬영이 가능한 렌즈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렌즈가 광각 촬영이 불가능한 경우,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렌즈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촬영 장치.
  24. 제13항에 있어서,
    셀프 촬영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파라미터를 광각 모드로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촬영 장치.
  25. 프로세서에 의해 독출되어 수행되었을 때,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관심 피사체를 검출하는 단계;
    복수의 관심 피사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복수의 관심 피사체 중 메인 피사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피사체 영역의 위치와 상기 제1 영역의 위치에 따라, 소리 가이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30167237A 2013-12-30 2013-12-30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149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237A KR102149508B1 (ko) 2013-12-30 2013-12-30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237A KR102149508B1 (ko) 2013-12-30 2013-12-30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125A true KR20150078125A (ko) 2015-07-08
KR102149508B1 KR102149508B1 (ko) 2020-10-14

Family

ID=53790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237A KR102149508B1 (ko) 2013-12-30 2013-12-30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5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833A1 (en) * 2015-11-24 2017-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hotograph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4618A (ja) * 2007-11-19 2009-06-04 Hitachi Ltd カメラ装置、画像処理装置
KR20100069579A (ko) * 2008-12-15 2010-06-2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메인 얼굴 선택장치, 그 제어방법, 및 촬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4618A (ja) * 2007-11-19 2009-06-04 Hitachi Ltd カメラ装置、画像処理装置
KR20100069579A (ko) * 2008-12-15 2010-06-2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메인 얼굴 선택장치, 그 제어방법, 및 촬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833A1 (en) * 2015-11-24 2017-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hotograph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854161B2 (en) 2015-11-24 2017-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hotograph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508B1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9985B2 (en) Imaging apparatus
KR101643321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4787180B2 (ja)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KR101795601B1 (ko)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JP5609270B2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515197B2 (en) Digital camera capable of obtaining crop image
KR10177735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JP2013013050A (ja) 撮像装置及びこの撮像装置を用いた表示方法
JP5048614B2 (ja) 撮影装置及び方法
JP4509081B2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プログラム
JP2005003813A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および撮像方法
JP2007281647A (ja) 電子カメラおよび画像処理装置
KR101795600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16303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4661269B2 (ja) 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079193A (ja) デジタルカメラ
JP4842919B2 (ja) 表示装置、撮影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07225897A (ja) 合焦位置決定装置及び方法
JP4767904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KR102149508B1 (ko)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2008244991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5846928B2 (ja) 撮像装置
KR101630295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5493273B2 (ja) 撮像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034838A (ja) 電子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