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8086A -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086A
KR20150078086A KR1020130167176A KR20130167176A KR20150078086A KR 20150078086 A KR20150078086 A KR 20150078086A KR 1020130167176 A KR1020130167176 A KR 1020130167176A KR 20130167176 A KR20130167176 A KR 20130167176A KR 20150078086 A KR20150078086 A KR 20150078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welded portion
inspecting
penetration depth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주왕
박태진
정승룡
심영훈
류재연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7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8086A/ko
Publication of KR20150078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23K31/125Weld quality monito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자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를 비파괴 방식으로 검사하여 용접부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용접부위의 불량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은, 친환경 차량에 탑재되는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고, 용접이 수행되는 배터리 셀(10)의 용접부위를 검사하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에 있어서, 용접이 수행된 배터리 셀(10)의 용접부위를 검사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 셀(10)을 검사장비의 내부로 투입하는 배터리 셀 투입단계(S110)와, 상기 배터리 셀(10)의 용접부위에서 용입부의 깊이가 미리 정해진 용입부 합격깊이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용입부 깊이 검사단계(S120)와, 상기 용입부 깊이 검사단계(S120)에서 상기 용입부의 용입깊이가 용입부 합격깊이 이상이면, 상기 용접부위의 표면을 검사하여 상기 용접부위의 표면이 검사기준을 만족하면, 검사를 종료하는 용접부위 표면 검사단계(S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Method for welding portion of battery cell of eco-friendly vehicle}
본 발명은 친환경 자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친환경 자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를 비파괴 방식으로 검사하여 용접부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용접부위의 불량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친환경 자동차에는 전력이 충전되는 단위 배터리 셀을 모아 구성되는 배터리 모듈이 탑재된다.
상기 배터리 모듈은 제작하는 공정 중에는 레이저 용접, 저항 용접 등의 방식으로 용접하는 공정이 추가된다. 상기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에서 용접부위에 용접불량이 발생하면, 이는 배터리 시스템 회로에 영향을 미쳐 성능 저하를 유발하게 된다. 예컨대, 용접 불량은 용접부위에서 저항을 증가시켜 개별 배터리 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떨어뜨리거나, 배터리 모듈의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모듈 또는 상기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에 대하여 용접불량을 검사하는 과정에 수행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용접부위를 촬영한 사진을 분석하거나, 용접부위의 용접 폭/형상 검사하는 방법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에 대한 검사방법은 정확하게 용접부위의 불량을 검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은 '스마트 배터리의 배터리셀 용접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10-0508412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친환경 자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에서 용접 부위의 용입 깊이와 표면을 검사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의 불량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은, 친환경 차량에 탑재되는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고, 용접이 수행되는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를 검사하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에 있어서, 용접이 수행된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를 검사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 셀을 검사장비의 내부로 투입하는 배터리 셀 투입단계와, 상기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에서 용입부의 깊이가 미리 정해진 용입부 합격깊이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용입부 깊이 검사단계와, 상기 용입부 깊이 검사단계에서 상기 용입부의 용입깊이가 용입부 합격깊이 이상이면, 상기 용접부위의 표면을 검사하여 상기 용접부위의 표면이 검사기준을 만족하면, 검사를 종료하는 용접부위 표면 검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입부 깊이 검사단계에서 용입부의 깊이가 미리 정해진 용입부 합격깊이 미만이거나, 상기 용접부위의 표면이 검사기준에 미달하면, 상기 용접부위가 재작업이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재작업 가능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작업 가능 판단단계에서 재작업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용접부위를 다시 용접하는 재작업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재작업단계 이후에, 상기 용입부 깊이 검사단계가 다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작업 가능 판단단계에서 재작업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배터리 셀를 폐기하는 폐기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입부 깊이 검사단계가 수행되기 전에 상기 용접부위 표면 검사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에 따르면, 친환경 자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모듈에서 상기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의 불량을 비파괴 방식으로 검출하여, 용접부위에 불량이 발생한 배터리 셀은 재작업하거나, 폐기처리함으로써, 용접부위의 불량이 있는 배터리 셀이 배터리 모듈로 제작되어 친환경 자동차에 탑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친환경 차량에 탑재되는 배터리 셀에서 용접불량에 의해 각 배터리 셀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저하되거나, 안정성을 저해하는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친환경 자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은, 용접이 수행된 배터리 셀(10)의 용접부위를 검사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 셀(10)을 검사장비의 내부로 투입하는 배터리 셀 투입단계(S110)와, 상기 배터리 셀(10)의 용접부위에서 용입부의 깊이가 미리 정해진 용입부 합격깊이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용입부 깊이 검사단계(S120)와, 상기 용입부 깊이 검사단계(S120)에서 상기 용입부의 용입깊이가 용입부 합격깊이 이상이면, 상기 용접부위의 표면을 검사하여 상기 용접부위의 표면이 검사기준을 만족하면, 검사를 종료하는 용접부위 표면 검사단계(S130)를 포함한다.
배터리 셀 투입단계(S110)는 용접이 완료된 배터리 셀(10)을 검사장비의 내부에 투입하는 단계이다. 배터리 모듈(1)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10)이 그 외측에 전극 등이 용접 작업에 의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용접작업이 완료된 배터리 셀(10)을 용접불량 검사를 수행하는 장비의 내부에 투입함으로써, 검사준비를 한다. 상기 배터리 셀(10)을 검사 장비의 내부의 정위치에 안착되도록 하여, 후술되는 배터리 셀(10)의 용접부위(11)에 대한 검사가 수행된다.
용입부 깊이 검사단계(S120)는 상기 배터리 셀(10)의 용접부위(11)에서 용입부의 깊이를 측정하여, 상기 용입부의 깊이가 미리 정해진 합격기준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즉, 상기 용입부의 깊이가 미리 정해진 용입부 합격깊이와 비교하여, 상기 용입부의 깊이가 용입부 합격깊이 이상이면, 용입부의 깊이는 합격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상기 용입부의 깊이가 용입부 합격깊이 미만이면, 상기 용접부위가 충분히 용접되지 않은 것이므로 불합격 판정한다.
상기 용입부 깊이 검사단계(S120)에서는 상기 용입부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거나,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상기 용입부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
용접부위 표면 검사단계(S130)에서는 용접부위의 표면의 광택, 반사율을 비전검사장치 또는 스캐너 등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 셀(10)의 용접부위의 표면을 검사한다. 비전검사 장치 또는 스캐너 등을 통하여 상기 용접부위의 표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와 미리 저장된 이미지와 비교하여, 상기 용접부위의 표면의 광택, 반사율을 비교함으로써, 용접부위의 표면을 검사한다. 이와 같이, 상기 용접부위의 표면을 검사하여 상기 용접부위의 표면이 검사기준을 만족하면, 검사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 용입부 깊이 검사단계(S120)와 상기 용접부위 표면 검사단계(S130)는 그 수행 순서가 서로 바뀌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상기 용접부위 표면 검사단계(S130)가 수행된 이후에, 상기 용입부 깊이 검사단계(S120)가 수행될 수도 있다.
재작업 가능 판단단계(S140)는 상기 용입부 깊이 검사단계(S120)에서 용입깊이가 용입부 합격깊이 미만이거나, 상기 용접부위 표면 검사단계(S130)에서 용접부위의 표면이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수행된다. 상기 재작업 가능 판단단계(S140)에서는 상기 용접부위에 대하여 다시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재작업 가능 판단단계(S140)에서 재작업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용접부위에 대하여 다시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재작업단계(S150)가 수행된다. 상기 재작업단계(S150)를 통하여 배터리 셀(10)의 용접부위에 대하여 다시 용접이 수행되면, 상기 배터리 셀(10)은 상기 용입부 깊이 검사단계(S120)로 리턴되어, 상기 용입부 깊이 검사단계(S120) 또는 용접부위 표면 검사단계(S130)가 재수행된다.
한편, 상기 재작업 가능 판단단계(S140)에서 재작업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용접불량이 있는 배터리 셀(10)을 폐기하는 폐기단계(S160)가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에 따르면, 용접부위의 불량을 비파괴 방식으로 검출하여, 용접부위에 불량이 발생한 배터리 셀을 재작업하거나, 폐기처리함으로써, 용접부위의 불량이 있는 배터리 셀로 제작된 배터리 모듈이 친환경 자동차에 탑재되어 성능저하를 유발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친환경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 모듈이 용접불량에 의해 각 배터리 셀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저하되거나, 안정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1 : 배터리 모듈
10 : 배터리 셀
11 : 용접부위
S110 : 배터리 셀 투입단계
S120 : 용입부 깊이 검사단계
S130 : 용접부위 표면 검사단계
S140 : 재작업 가능 판단단계
S150 : 재작업단계
S160 : 폐기단계

Claims (5)

  1. 친환경 차량에 탑재되는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고, 용접이 수행되는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를 검사하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에 있어서,
    용접이 수행된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를 검사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 셀을 검사장비의 내부로 투입하는 배터리 셀 투입단계와,
    상기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에서 용입부의 깊이가 미리 정해진 용입부 합격깊이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용입부 깊이 검사단계와,
    상기 용입부 깊이 검사단계에서 상기 용입부의 용입깊이가 용입부 합격깊이 이상이면, 상기 용접부위의 표면을 검사하여 상기 용접부위의 표면이 검사기준을 만족하면, 검사를 종료하는 용접부위 표면 검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입부 깊이 검사단계에서 용입부의 깊이가 미리 정해진 용입부 합격깊이 미만이거나, 상기 용접부위의 표면이 검사기준에 미달하면, 상기 용접부위가 재작업이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재작업 가능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작업 가능 판단단계에서 재작업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용접부위를 다시 용접하는 재작업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재작업단계 이후에, 상기 용입부 깊이 검사단계가 다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작업 가능 판단단계에서 재작업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배터리 셀를 폐기하는 폐기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입부 깊이 검사단계가 수행되기 전에 상기 용접부위 표면 검사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
KR1020130167176A 2013-12-30 2013-12-30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 KR201500780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176A KR20150078086A (ko) 2013-12-30 2013-12-30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176A KR20150078086A (ko) 2013-12-30 2013-12-30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086A true KR20150078086A (ko) 2015-07-08

Family

ID=5379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176A KR20150078086A (ko) 2013-12-30 2013-12-30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80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761A (ko) 2018-10-18 2020-04-28 주식회사 제이디 배터리 등급 분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761A (ko) 2018-10-18 2020-04-28 주식회사 제이디 배터리 등급 분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6683B (zh) 测量处理装置、测量处理方法、测量处理程序和用于制造该装置的方法
CN102213683B (zh) X射线透射检查装置及x射线透射检查方法
EP3511107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welding of secondary battery
TWI467202B (zh) Evaluation device and evaluation method of flake battery
WO2014167920A1 (ja) 電池状態判定装置
JP5071747B2 (ja) 二次電池の検査装置、二次電池の検査方法、二次電池の製造方法
US11757139B2 (en) Battery electrode inspection system
KR20200005290A (ko) 파우치형 2차전지의 전극 손상 검사방법 및 파우치형 2차전지의 전극 손상 검사장치
JP2013137249A (ja) 二次電池の劣化診断方法および電池システム
KR102303643B1 (ko) 배터리의 리드 필름 틈새 검사장치 및 방법
CN106289855A (zh) 钎焊金属蜂窝结构焊接质量金相检测方法
KR20170110331A (ko) 압력게이지를 사용하여 용접 상태를 검사하는 방법
Ahmeid et al. A rapid capacity evaluation of retired electric vehicle battery modules using partial discharge test
KR101509867B1 (ko) 검사 방법 및 검사 시스템
JP2010071945A (ja) Ae測定装置およびae測定方法
KR20150078086A (ko)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셀의 용접부위 검사방법
KR102141380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알루미늄 파우치 실링을 위한 비파괴검사 판정시스템
JP2010160055A (ja) 電池検査方法
CN110927170B (zh) 缺陷确定方法、装置及系统
KR20230009134A (ko) 배터리 셀 모듈 어셈블리의 비파괴 용접 품질 검사 방법 및 그 검사 장치
CN205991761U (zh) 车门盖板位置激光焊缝手动检验装置
JP7299260B2 (ja) 膜電極接合体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EP4306942A1 (en) Nondestructive wire bonding inspection method
JP2024069010A (ja) 固体二次電池の短絡予測方法
KR20230021963A (ko) 전지 셀의 전극 탭 단선 검사장치 및 단선 검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