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8039A -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 - Google Patents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039A
KR20150078039A KR1020130167090A KR20130167090A KR20150078039A KR 20150078039 A KR20150078039 A KR 20150078039A KR 1020130167090 A KR1020130167090 A KR 1020130167090A KR 20130167090 A KR20130167090 A KR 20130167090A KR 20150078039 A KR20150078039 A KR 20150078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pipe
infiltration
wa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배
Original Assignee
오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현배 filed Critical 오현배
Priority to KR1020130167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8039A/ko
Publication of KR20150078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5/00Draining the sub-base, i.e. subgrade or ground-work, e.g. embankment of roads or of the ballastway of railways or draining-off road surface or ballastway drainage by trenches, culverts, or conduits or other specially adapted means
    • E01F5/005Culverts ; Head-structures for culverts, or for drainage-conduit outlets in slo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심에서 우수시 배수된 물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배수관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 보조침투수단으로 이루어진 보조 침수통을 설치하여 상기 배수관의 물을 땅속으로 침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하수고갈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경에 중공이 형성된 관에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다수 개의 통 연결구멍(11)을 형성하여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하여 빗물이 땅속으로 침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상기 내경에 중공이 형성된 관은 원형의 배수관(10)에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다수 개의 통 연결구멍(11)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보조침투수단은 마감부(21)의 양쪽으로 원터치 걸림턱(23)을 형성하며, 상기 마감부(21)의 하측으로 형성한 몸체(25)에 원주방향으로 침투공(26)을 설치하여 빗물이 침투되도록 하는 보조 침수통(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Aid permeation drainage means for permeation pipe}
본 발명은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심에서 우수시 배수된 물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배수관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 보조침투수단으로 이루어진 보조 침수통을 설치하여 상기 배수관의 물을 땅속으로 침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하수고갈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유공관이라 함은 관벽에 관체의 내, 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구멍을 형성시켜 관벽의 구멍을 통하여 관의 내외부로 유체가 유통될 수 있게 한 것으로, 관정의 하단 취수부에 연결 매설하여 지하수를 여과 수취하는데 흔히 사용되고 있다.
주요 용도로는 운동장, 골프장, 스키장, 택지조성 등의 일반 토목용 지하설치 배수관, 도로, 철로 지반의 우수 및 지하수 처리 배수관 터널 측벽 및 배면 배수관, 벽면 보호용 배수관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즉, 유공관을 지하에 매설하여 우천시 또는 기타의 사유로 인해 지면에 물이 고이거나 오폐수를 배출할 때, 통공을 통해 유공관 내부로 유체를 우입한 다음 유공관을 따라 배출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유공관을 포함한 지하에 매설되는 원통형 하수관은 관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토압과 중력 그리고 관 내부에서 작용하는 수압 등을 견디도록 두꺼운 일자형태로 성형하거나, 관벽을 주름지게 형성하고 있다.
현재, 도심에서 발생하는 우수의 배수는 빗물받이를 통하여 연결된 배수관로에 의해 집수조로 집수되도록 한 후 하천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지만, 콘크리트 포장 등으로 인한 도심의 불투수면적 증가로 홍수, 지하수고갈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여 빗물을 땅속으로 침투시키는 시설이 많이 연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종래의 침투 배수관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배수관(10)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에 원형의 배수구멍(13)을 형성하여 본래 땅속 침투용으로 개발된 것이 아니라 습지 등 땅속의 물을 배수관으로 유입시켜 배수하기 위한 것이므로, 반대로 배수관의 물을 배수구멍(13)을 통하여 땅속으로 침투되도록 하는 용도로는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구멍의 크기가 작고, 흙, 잡석 등 외부의 물질들이 배수구멍과 직접 맞닿아 있어 배수구멍을 막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침투효율이 많이 떨어짐은 물론 이물질 등으로 배수구멍이 막혀 비효율적인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0658559호(2006. 12. 11.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0716191호(2007. 05. 02. 등록) 문헌 3. 특허공개번호 제1996-0008144호(1996. 03. 22. 공개) 문헌 4.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414298호(2006. 04. 12.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우천시 발생하는 빗물이 빗물받이를 통하여 배수관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배수관로에 설치하는 보조침투수단을 통하여 빗물이 땅속으로 침투되어 지하수고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보조침투수단으로 이루어진 보조 침투통을 배수관에 원터치형으로 결합하며,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배수효율을 높여 빗물이 하천으로 유입되지 않고 땅속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빗물의 흐름에 방해자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경에 중공이 형성된 관에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다수 개의 통 연결구멍을 형성하여 보조침투수단인 보조 침수통을 구비하여 빗물이 땅속으로 침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내경에 중공이 형성된 관은 원형의 배수관에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다수 개의 통 연결구멍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보조침투수단은 마감부의 양쪽으로 원터치 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마감부의 하측으로 형성한 몸체에 원주방향으로 침투공을 설치하여 빗물이 침투되도록 하는 보조 침수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내경에 중공이 형성된 관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상측에 배수구를 설치한 사각형의 원심력수로관에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다수 개의 통 연결구멍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보조침투수단은 마감부의 양쪽으로 원터치 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마감부의 하측으로 형성한 몸체에 원주방향으로 침투공을 설치하여 빗물이 침투되도록 하는 보조 침수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내경에 중공이 형성된 관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상측이 개방되어 그레이팅을 설치한 사각형의 측구수로관에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다수 개의 통 연결구멍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보조침투수단은 마감부의 양쪽으로 원터치 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마감부의 하측으로 형성한 몸체에 원주방향으로 침투공을 설치하여 빗물이 침투되도록 하는 보조 침수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우천시 발생하는 빗물이 빗물받이를 통하여 배수관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배수관로에 원터치형으로 간편하게 설치하는 보조침투수단을 통하여 빗물이 땅속으로 침투되어 지하수고갈을 방지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조침투수단으로 이루어진 보조 침투통을 배수관의 중앙에서 하측 방향으로 한쪽 또는 양쪽에 원터치형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보조 침투통으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보조 침투통의 배수구멍 및 침투공을 길게 형성함으로써 배수효율을 높여 빗물이 하천으로 유입되지 않고 땅속으로 온전하게 유입될 수 있으므로 지하수고갈과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배수관에서 빗물의 흐름에 방해자 되지 않고 흐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배수관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보조 침투통이 배수관에 설치한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보조 침투통에 대한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보조 침투통을 배수관에서 분리한 상태의 일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보조 침투통을 배수관에 결합한 상태의 일부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보조 침투통에 대한 배수관의 다른 설치상태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보조 침투통에 대한 배수관의 또 다른 설치상태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보조 침투통에 대한 배수관의 또 다른 설치상태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보조 침투통에 대한 배수관의 또 다른 설치상태 정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보조 침투통에 대한 배수관의 또 다른 설치상태 측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보조 침투통에 여과제를 넣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을 원심력수로관에 적용한 상태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을 원심력수로관에 적용한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을 측구수로관에 적용한 상태의 설치상태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보조 침투통이 배수관에 설치한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에프알피(FRP), 금속관,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을 적어도 한가지 이상 혼합한 재료를 이용하여 원통형 또는 사각형의 중공이 내경에 형성된 배수관(10)을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배수관(10)은 중앙 부분에서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며, 양쪽 또는 어느 한쪽으로 보조 침투통(20)으로 이루어진 보조침투수단을 원터치형으로 결합는 통 연결구멍(11)이 일정한 간격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 침투통(20)이 연결된 배수관(10)은 보조 침투통(20)이 하측 방향을 향하여 양쪽 또는 어느 한쪽으로 벌어지도록 연결되어 땅 속에서 주변에 쇄석(12)이나 잡석으로 채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보조 침투통에 대한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보조 침투통을 배수관에서 분리한 상태의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보조 침투통을 배수관에 결합한 상태의 일부 단면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보조 침투통(20)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며, 몸체(25)의 상측으로 마감부(21)를 결합하고, 상기 마감부(21)는 평면상의 내부에 길게 장공형태의 배수 구멍(22)이 형성되어 배수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며, 양쪽으로 원터치 걸림턱(23)이 돌출되어 통 연결구멍(11)에 원터치형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25)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하측 부분이 반원형 또는 호상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에 원형 또는 긴 장공,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꼴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침투공(26)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도록 하며, 상기 몸체(25)와 마감부(21)의 연결 부분에는 밀착 연결부(24)가 형성되어 통 연결구멍(11)의 외측에 수밀이 유지되도록 밀착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밀착 연결부(24)에는 필요한 경우 패킹을 설치하여 보조 침투통(20)의 원터치 연결 후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보조 침투통에 대한 배수관의 다른 설치상태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보조 침투통(20)은 마감부(21)의 하측으로 휘어짐이 가능한 재질 또는 후렉시블형태로 휘어짐 연결부재(27)를 형성하여 몸체(21)를 원하는 방향 및 위치로 휘어지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의 보조 침투통에 대한 배수관의 또 다른 설치상태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보조 침투통(20)은 몸체(25)의 형태를 통 연결구멍(11)에 연결하는 부분은 작고 선단 부분은 큰 형태를 이루며 선단이 반원형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배수효율을 높이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보조 침투통에 대한 배수관의 또 다른 설치상태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보조 침투통(20)은 몸체(25)의 형태를 전체적으로 원통형이 되게 형성되며, 사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배수효율을 높이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보조 침투통에 대한 배수관의 또 다른 설치상태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보조 침투통(20)은 몸체(25)의 형태를 통 연결구멍(11)에 연결하는 부분은 작고 선단 부분은 수평이 되게 큰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배수효율을 높이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보조 침투통에 대한 배수관의 또 다른 설치상태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통 연결구멍(11)에 연결하는 보조 침투통(20)은 밀착 연결구(24)가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착 연결구(24)의 선단에 연결하는 몸체(25)가 전체적으로 "ㅗ"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가로방향으로 침투공(26)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보조 침투통에 여과제를 넣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보조 침투통(20)은 내부가 빈 중공상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필요에 다라서 여과재(50)를 넣어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여과재(50)는 활성탄, 여과사(Sand), 퍼라이트(Perlite), 제오라이트(Zeolite) 중 어느 하나를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을 원심력수로관에 적용한 상태의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을 원심력수로관에 적용한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32)에 의해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내경에 원형의 중공(33)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필요시 배수구(34)를 형성하는 원심력수로관(30)을 형성하되;
상기 원심력수로관(30)의 콘크리트구조물(32)에 중공(33)과 관통하도록 한쪽 또는 양쪽에 통 연결구멍(31)을 형성하여 보조 침수통(20)을 원터치형으로 연결하며, 상기 보조 침수통(20)은 하측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을 측구수로관에 적용한 상태의 설치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42)에 의해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되어 그레이팅(44)으로 설치하며, 상기 그레이팅(44)의 하측에는 중공(43)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쪽 선단부에 연결부(45)를 형성하는 측구수로관(40)을 형성하되;
사기 측구수로관(40)의 콘크리트 구조물(42)에 중공(43)과 관통하도록 한쪽 또는 양쪽에 통 연결구멍(41)을 형성하여 보조 침수통(20)을 원터치형으로 연결하며, 상기 보조 침수통(20)은 하측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은, 다양한 합성수지 재질로 압출 성형하는 배수관(10)이나 콘크리트 구조물(32, 42)로 성형하는 원심력수로관(30)과 측구수로관(40)을 성형하되; 내경의 중공 중심부에서 하측방향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통 연결구멍(11, 31, 41)을 설치하여 보조 침수통(20)을 원터치형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보조 침수통(20)은 통 연결구멍(11, 31, 41)에 끼워지는 마감부(21)가 내경의 중공과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물의 흐름에 방해요소가 되지 않도록 하며, 양쪽의 원터치 걸림턱(23)이 중공의 내벽에 결합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마감부(21)의 내부에는 장공 형태의 배수구멍(22)이 형성되어 배수관(10)이나 원심력수로관(30)과 측구수로관(40)으로 배수되는 물이 보조 침투통(20)으로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마감부(21)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밀착 연결부(24)는 배수관(10)이나 원심력수로관(30)과 측구수로관(40)의 외경에 밀착되어 수밀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보조 침수통(20)은 몸체(25)의 전체면을 따라서 장공 형태의 침투공(26)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어서 유입된 물이 땅속으로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지하수고갈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 침수통(20)은 주변이 쇄석(12)이나 잡석으로 채워져 있으므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배수관(10)이나 원심력수로관(30)과 측구수로관(40)으로 침투되지 않고 보조 침수통(20)의 하측에 쌓이게 되므로 배수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며, 배수관(10)이나 원심력수로관(30)과 측구수로관(4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배수가 항상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 침수통(20)의 경사각은 20∼70도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보조 침수통(20)의 하측 선단이 배수관(10)이나 원심력수로관(30)과 측구수로관(40)의 하측 선단보다 더 깊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각이 20도 이하인 경우에는 물의 유입에 의한 땅속으로의 침투수 발생이 너무 적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70도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보조 침수통(20)을 연결하는 것이 어려워 적용이 매우 불편하므로 바람직하게는 45도로 설치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어짐 연결부재(27)를 형성하거나 후렉시블형태로 연결하여 보조 침수통(20)을 원하는 방향으로 휘어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수관(10)이나 원심력수로관(30)과 측구수로관(40)에 설치하는 보조 침투통(20)은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설치 간격은 필요에 따라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배수능력에 따라 설치 간격을 조절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침투통(20)의 배수구멍(22)과 침투공(26)은 원형과 장공,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물의 배수 및 침투에 용이하며, 상기 보조 침투통(20)의 내경에 형성된 중공에는 여과재(50)를 넣되; 상기 여과재(50)는 활성탄, 여과사(Sand), 퍼라이트(Perlite), 제오라이트(Zeolite) 중 어느 하나를 넣어 초기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땅 속에 오염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심 우수시 발생하는 빗물을 배수하는 배수관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보조침투수단을 설치하여 빗물이 배수되는 과정에서 보조 침투통으로 유입되어 땅속으로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지하수고갈을 방지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배수관 11, 31, 41 : 통 연결구멍
12 : 쇄석 13 : 배수구멍
20 : 보조 침수통 21 : 마감부
22 : 배수구멍 23 : 원터치 걸림턱
24 : 밀착 연결부 25 : 몸체
26 : 침투공 27 : 휘어짐 연결부재
30 : 원심력수로관 32, 42 : 콘크리트 구조물
33, 43 : 중공 34 : 배수구
44 : 그레이팅 45 : 연결부
50 : 여과재

Claims (14)

  1. 내경에 중공이 형성된 관에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다수 개의 통 연결구멍을 형성하여 보조침투수단인 침투통을 구비하여 빗물이 땅속으로 침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에 중공이 형성된 관은 원형의 배수관(10)에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다수 개의 통 연결구멍(11)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보조침투수단은 마감부(21)의 양쪽으로 원터치 걸림턱(23)을 형성하며, 상기 마감부(21)의 하측으로 형성한 몸체(25)에 원주방향으로 침투공(26)을 설치하여 빗물이 침투되도록 하는 보조 침수통(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에 중공이 형성된 관은 콘크리트 구조물(32)로 이루어지며 상측에 배수구(34)를 설치한 사각형의 원심력수로관(30)에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다수 개의 통 연결구멍(11)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보조침투수단은 마감부(21)의 양쪽으로 원터치 걸림턱(23)을 형성하며, 상기 마감부(21)의 하측으로 형성한 몸체(25)에 원주방향으로 침투공(26)을 설치하여 빗물이 침투되도록 하는 보조 침수통(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에 중공이 형성된 관은 콘크리트 구조물(42)로 이루어지며 상측이 개방되어 그레이팅(44)을 설치한 사각형의 측구수로관(40)에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다수 개의 통 연결구멍(11)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보조침투수단은 마감부(21)의 양쪽으로 원터치 걸림턱(23)을 형성하며, 상기 마감부(21)의 하측으로 형성한 몸체(25)에 원주방향으로 침투공(26)을 설치하여 빗물이 침투되도록 하는 보조 침수통(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침수통(20)의 마감부(21)는 배수구멍(22)이 원형과 장공,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
  6.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침수통(20)의 몸체(25)에 형성하는 침투공(26)은 원형과 장공,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
  7.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침투통(20)은 마감부(21)의 하측으로 휘어짐이 가능한 휘어짐 연결부재(27)를 형성하여 몸체(21)를 원하는 방향과 위치로 휘어지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
  8. 제 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침투통(20)은 몸체(25)의 형태를 통 연결구멍(11)에 연결하는 부분은 작고 선단 부분은 큰 형태를 이루며 선단이 반원형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
  9.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침투통(20)은 몸체(25)의 형태를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사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
  10.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침투통(20)은 몸체(25)의 형태를 통 연결구멍(11)에 연결하는 부분은 작고 선단 부분은 수평이 되게 큰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
  11.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침투통(20)은 몸체(25)의 형태를 통 연결구멍(11)에 연결하는 부분은 작고 선단 부분이 다시 양 옆으로 길게 일자로 수평이 되게 긴 형태의 "ㅗ"형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
  12.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침투통(20)이 결합하는 통 연결구멍(11)은 배수관(10)과 원심력수로관(30), 측구수로관(40) 중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형성하여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
  13.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침투통(20)은 배수관(10)과 원심력수로관(30), 측구수로관(40)의 하측으로 벌어지며 20∼70도 경사지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
  14. 제 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침투통(20)은 내부에 활성탄, 여과사, 퍼라이트, 제오라이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여과재(50)를 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
KR1020130167090A 2013-12-30 2013-12-30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 KR201500780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090A KR20150078039A (ko) 2013-12-30 2013-12-30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090A KR20150078039A (ko) 2013-12-30 2013-12-30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039A true KR20150078039A (ko) 2015-07-08

Family

ID=53790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090A KR20150078039A (ko) 2013-12-30 2013-12-30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80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2216A (zh) * 2020-08-05 2022-02-18 神华神东煤炭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三维固液耦合相似模拟松散含水层的装置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2216A (zh) * 2020-08-05 2022-02-18 神华神东煤炭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三维固液耦合相似模拟松散含水层的装置及方法
CN114062216B (zh) * 2020-08-05 2024-03-15 神华神东煤炭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三维固液耦合相似模拟松散含水层的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208B1 (ko) 빗물 침투에 의한 저류 및 증발로 식생 성장이 가능토록 한 확장형 침투 화분 시설물
WO2008138218A1 (fr) Procédé de drainage d'eau et tuyau de drainage associé
KR101874284B1 (ko)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
KR101547900B1 (ko)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저영향 개발 기법 시설
KR101328223B1 (ko) 초기우수 배제 및 침투 시스템
JP2008267023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KR20150078039A (ko) 보조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
KR101962037B1 (ko)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KR101296348B1 (ko) 자유체결 및 지반변형 수용이 가능한 가로수목 식재박스
CN104563200A (zh) 一种利用路面水和隧道涌水作为水源的隧道消防系统
KR101042731B1 (ko) 지층수를 상수원 원수로 사용하는 우물통 구조의 취수원 저장장치
CN107938806A (zh) 一种利用海绵型雨水管补给深部地下水的装置及方法
CN103726567A (zh) 利用土层或者岩层排放雨水的装置
CN209958480U (zh) 一种景区绿化蓄水池结构
KR101218752B1 (ko) 빗물저장침투장치
CN203296070U (zh) 一种利用塑料制成的高强度井筒
JP6034732B2 (ja) 雨水貯溜配管構造とそれに用いる堰部材
KR101791170B1 (ko)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
KR101985599B1 (ko) 막힘 방지용 유공관 어댑터
KR200430582Y1 (ko) 관을 이용한 빗물 저류조 구조
KR200426719Y1 (ko) 터널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1532425B1 (ko) 환경정화수를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
CN204370510U (zh) 一种利用路面水和隧道涌水作为水源的隧道消防系统
KR100771586B1 (ko) 터널형 빗물 처리 시스템
KR101386389B1 (ko) 침지형막 모듈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736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210

Effective date: 2017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