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7980A -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7980A
KR20150077980A KR1020130166986A KR20130166986A KR20150077980A KR 20150077980 A KR20150077980 A KR 20150077980A KR 1020130166986 A KR1020130166986 A KR 1020130166986A KR 20130166986 A KR20130166986 A KR 20130166986A KR 20150077980 A KR20150077980 A KR 20150077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bias
voltage
activ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6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1056B1 (ko
Inventor
장문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6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056B1/ko
Priority to US14/224,287 priority patent/US9501123B2/en
Publication of KR20150077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파워 업 회로는 바이어스 전압에 응답하여, 외부 전압의 제1 타겟 레벨을 감지하고 파워 업 신호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 감지부, 상기 파워 업 신호에 응답하여 가변하는 분배비에 따라 상기 외부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바이어스 전압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바이어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SEMICONDUCTOR APPARATUS}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장치의 파워 업 회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는 외부로부터 외부 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반도체 장치는 초기화 동작 시 외부 전압이 적절한 레벨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장치는 외부 전압의 레벨을 감지하기 위해 파워 업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반도체 장치의 파워 업 회로는 외부 전압의 레벨을 감지하고, 외부 전압이 적절한 레벨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 파워 업 신호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반도체 장치는 파워 업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 비로소 내부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한편, 반도체 장치가 내부 동작을 개시한 이후에는, 파워 업 회로는 외부 전압의 일시적인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파워 업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즉, 파워 업 회로가 일시적인 외부 전압의 레벨 감소에 응답하여 파워 업 신호를 비활성화시킬 경우 반도체 장치가 비정상적으로 리셋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회로 구성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반도체 장치에 공급되는 외부 전압의 일시적인 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반도체 장치의 파워 업 신호를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파워 업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파워 업 회로는 바이어스 전압에 응답하여, 외부 전압의 제1 타겟 레벨을 감지하고 파워 업 신호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 감지부, 상기 파워 업 신호에 응답하여 가변하는 분배비에 따라 상기 외부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바이어스 전압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바이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파워 업 회로는 감지 노드를 외부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풀업 구동력과 접지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풀다운 구동력에 따라 상기 감지 노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파워 업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감지부 및 상기 풀업 구동력과 상기 풀다운 구동력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파워 업 신호에 응답하여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바이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파워 업 회로는 파워 업 신호를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파워 업 회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회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업 회로의 동작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파워 업 회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파워 업 회로(10)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파워 업 회로(10)는 감지부(100) 및 바이어스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00)는 바이어스 전압(vvias)에 응답하여, 외부 전압(vext)의 제1 타겟 레벨을 감지하고 파워 업 신호(pwup)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1 타겟 레벨은 반도체 장치의 동작에 적절한 외부 전압(vext)의 임계 레벨일 수 있다. 감지부(100)는 감지 노드(ndet)를 외부 전압(vext)으로 구동하기 위한 풀업 구동부(110)의 풀업 구동력과 접지 전압(vss)으로 구동하기 위한 풀다운 구동부(120)의 풀다운 구동력에 따라 출력되는 감지 신호(det)에 응답하여 파워 업 신호(pwup)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100)는 파워 업 신호(pwup)가 활성화된 이후, 외부 전압(vext)이 불안정하여 제1 타겟 레벨보다 낮은 레벨로 일시적으로 하락하더라도 활성화된 파워 업 신호(pwup)를 안정적으로 출력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감지부(100)는 파워 업 신호(pwup)가 활성화된 경우, 바이어스 전압(vvias)에 응답하여 제1 타겟 레벨보다 낮은 외부 전압(vext)의 제2 타겟 레벨을 감지하고 파워 업 신호(pwup)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바이어스부(200)는 감지 노드(ndet)에 대한 풀업 구동부(110)의 풀업 구동력과 풀다운 구동부(120)의 풀다운 구동력을 조정하기 위해 파워 업 신호(pwup)에 응답하여 바이어스 전압(vvias)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어스부(200)는 파워 업 신호(pwup)가 활성화된 경우, 파워 업 신호(pwup)가 활성화되기 직전에 비하여 풀업 구동력을 증가시키도록 바이어스 전압(vvias)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어스부(200)는 파워 업 신호(pwup)가 활성화된 경우, 파워 업 신호(pwup)가 활성화되기 직전에 비하여 풀다운 구동력을 감소시키도록 바이어스 전압(vvias)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이어스부(200)는 파워 업 신호(pwup)에 응답하여 가변하는 분배비에 따라 외부 전압(vext)을 분배하여 바이어스 전압(vvias)을 출력할 수 있다. 바이어스부(200)는 파워 업 신호(pwup)가 활성화된 경우, 파워 업 신호(pwup)가 활성화되기 직전에 비하여 감소한 분배비에 따라 외부 전압(vext)을 분배하여 바이어스 전압(vvias)을 출력할 수 있다. 즉, 바이어스부(200)는 파워 업 신호(pwup)가 활성화된 경우, 파워 업 신호(pwup)가 활성화되기 직전에 비하여 더 낮은 레벨의 바이어스 전압(vvias)을 출력할 수 있다.
감지부(100)는 풀업 구동부(110), 풀다운 구동부(120) 및 버퍼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풀업 구동부(110)는 바이어스 전압(vvias)에 응답하여 감지 노드(ndet)를 외부 전압(vext)으로 구동할 수 있다. 풀다운 구동부(120)는 바이어스 전압(vvias)에 응답하여 감지 노드(ndet)를 접지 전압(vss)으로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 신호(det)는 감지 노드(ndet)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버퍼부(130)는 감지 신호(det)를 버퍼링하여 파워 업 신호(pwup)로 출력할 수 있다.
풀업 구동부(110)는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pm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pm1)는 외부 전압 단자와 감지 노드(ndet) 사이에 소스와 드레인 간의 전류 패스를 형성할 수 있고, 게이트로 바이어스 전압(vvias)을 인가받을 수 있다.
풀다운 구동부(120)는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nm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nm1)는 접지 단자와 감지 노드(ndet) 사이에 소스와 드레인 간의 전류 패스를 형성할 수 있고, 게이트로 바이어스 전압(vvias)을 인가받을 수 있다.
버퍼부(130)는 직렬로 연결된 짝수개의 인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이어스부(200)는 가변 저항부(210) 및 제1 저항(r1)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저항부(210)는 외부 전압 단자와 출력 노드(nout)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저항(r1)은 출력 노드(nout)와 접지 단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가변 저항부(210)는 파워 업 신호(pwup)에 응답하여 가변하는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가변 저항부(210)는 파워 업 신호(pwup)가 활성화된 경우, 파워 업 신호(pwup)가 활성화되기 직전에 비하여 증가한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가변 저항부(210)는 스위치부(212), 제2 저항(r2) 및 제3 저항(r3)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212)와 제3 저항(r3)은 외부 전압 단자와 중간 노드(nmid) 사이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저항(r2)은 중간 노드(nmid)와 출력 노드(nout)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부(212)는 파워 업 신호(pwup)에 응답하여 온/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부(212)는 파워 업 신호(pwup)가 비활성화된 경우 온될 수 있고, 파워 업 신호(pwup)가 활성화된 경우 오프될 수 있다.
스위치부(212)는 제2 피모스 트랜지스터(pm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피모스 트랜지스터(pm2)는 외부 전압 단자와 중간 노드(nmid) 사이에 소스와 드레인 간의 전류 패스를 형성할 수 있고, 게이트로 파워 업 신호(pwup)를 인가받을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업 회로(도1의 10)의 동작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이하,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파워 업 회로(10)의 동작 방법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파워 업 회로(10)는 접지 전압(vss)의 레벨에서 상승하는 외부 전압(vext)을 인가받을 수 있다. 파워 업 회로(10)는 비활성화된 파워 업 신호(pwup)를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치부(212)는 비활성화된 파워 업 신호(pwup)에 응답하여 온될 수 있고, 설명의 간편화를 위해, 외부 전압 단자와 중간 노드(nmid)는 스위치부에 의해 단락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바이어스부(200)는 외부 전압(vext)에 대한 분배비에 따라 바이어스 전압(vvias)을 출력할 수 있다. 즉, 바이어스부(200)는 아래의 식에 따라 결정된 바이어스 전압(vvias)을 출력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바이어스부(200)는 외부 전압(vext)이 상승함에 따라 점점 상승하는 바이어스 전압(vvias)을 출력할 수 있다. 바이어스 전압(vvias)이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nm1)의 문턱 전압보다 큰 경우,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nm1)는 턴온될 수 있고 감지 노드(ndet)를 접지 전압(vss)으로 풀다운 구동할 수 있다. 버퍼부(130)는 접지 전압(vss) 레벨의 감지 신호(det)에 응답하여, 비활성화된 파워 업 신호(pwup)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바이어스 전압(vvias)의 상승률은 외부 전압(vext)의 상승률보다 더 작기 때문에,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pm1)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의 전압 차이는 외부 전압(vext)이 상승함에 따라 점점 커질 수 있다. tdet에서, 외부 전압(vext)이 아래 식을 만족하도록 일정 레벨로 상승한 경우,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pm1)는 턴온될 수 있고 감지 노드(ndet)를 외부 전압(vext)으로 풀업 구동할 수 있다. 아래 식에서, vgspm1는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pm1)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의 전압이고, vthpm1는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pm1)의 문턱 전압이다.
Figure pat00002
외부 전압(vext)이 더욱 상승함에 따라, 감지 노드(ndet)에 대한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pm1)의 풀업 구동력은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nm1)의 풀다운 구동력보다 커질 수 있다. 따라서, 감지 신호(det)의 전압 레벨은 상승할 수 있다.
tpw에서, 외부 전압(vext)이 제1 타겟 레벨로 상승한 경우, 감지 신호(det)의 전압 레벨은 버퍼부(130)의 논리 문턱보다 상승할 수 있다. 버퍼부(130)는 논리 문턱보다 높은 전압 레벨의 감지 신호(det)에 응답하여, 활성화된 파워 업 신호(pwup)를 출력할 수 있다.
이어서, 스위치부(212)는 활성화된 파워 업 신호(pwup)에 응답하여 오프될 수 있다. 바이어스부(200)는 외부 전압(vext)에 대한 분배비에 따라 바이어스 전압(vvias)을 출력할 수 있다. 즉, 바이어스부(200)는 아래의 식에 따라 결정된 바이어스 전압(vvias)을 출력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즉, 바이어스부(200)는 외부 전압(vext)에 대한 감소한 분배비에 따라, 파워 업 신호(pwup)가 활성화되기 직전에 비하여 더 낮은 레벨의 바이어스 전압(vvias)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파워 업 신호(pwup)가 활성화되기 직전에 비하여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pm1)의 풀업 구동력은 증가하고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nm1)의 풀다운 구동력은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tns에서, 불안정한 외부 전압(vext)이 일시적으로 제1 타겟 레벨 이하로 내려가더라도, 감지 노드(ndet)에 대한 풀업 구동력이 풀다운 구동력보다 충분히 클 수 있다. 따라서, 감지 신호(det)의 전압 레벨은 유지될 수 있고, 파워 업 신호(pwup)의 전압 레벨도 유지될 수 있다.
파워 업 회로(10)는 외부 전압(vext)의 순간적인 노이즈에도 불구하고, 활성화된 파워 업 신호(pwup)를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파워 업 회로(10)는 외부 전압(vext)이 제2 타겟 레벨까지 감소하는 경우 비로소 비활성화된 파워 업 신호(pwup)를 출력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파워 업 회로(10)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3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1에서 설명된 파워 업 회로(10)의 구성 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1과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것이다.
파워 업 회로(10)는 감지부(100) 및 바이어스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어스부(200)는 가변 저항부(210) 및 조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부(230)는 외부 전압(vext)의 상승으로 인한 바이어스 전압(vvias)의 상승을 적어도 일부 상쇄시킬 수 있다. 조정부(230)는 외부 전압(vext)에 응답하여 출력 노드(nout)와 접지 단자 사이에 전류 패스를 형성할 수 있다. 조정부(230)는 외부 전압(vext)이 상승함에 따라 출력 노드(nout)로부터 접지 단자로 더 많은 전류를 흘려보냄으로써, 바이어스 전압(vvias)의 상승을 적어도 일부 상쇄시킬 수 있다.
조정부(230)는 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nm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nm2)는 접지 단자와 출력 노드(nout) 사이에 소스와 드레인 간의 전류 패스를 형성할 수 있고, 게이트로 외부 전압(vext)을 인가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활성화된 파워 업 신호(pwup)가 출력될 때, 바이어스부(200)는 아래의 식에 따라 결정된 바이어스 전압(vvias)을 출력할 수 있다. 아래 식에서, rnm2은 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nm2)의 저항값이다.
Figure pat00004
즉, 바이어스 전압(vvias)의 레벨은 rnm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게이트로 인가되는 외부 전압(vext)이 상승함에 따라 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nm2)가 트라이오드 영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rnm2은 아래의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5
μ는 전자 이동도, c는 게이트와 바디 간 커패시터의 단위 면적 당 커패시턴스, w는 채널의 폭, l은 채널의 길이, vgs는 게이트과 소스 간의 전압, vth는 문턱 전압, vds는 드레인과 소스 간의 전압이다.
위 식을 직관적으로 살펴보면, rnm2은 외부 전압(vext)이 상승함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nm2)는 외부 전압(vext)이 상승함에 따라 바이어스 전압(vvias)의 상승을 적어도 일부 상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 전압(vext)의 레벨이 낮더라도,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pm1)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의 전압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낮은 레벨의 외부 전압(vext)을 공급받도록 구성된 반도체 장치일 경우, 이러한 구성은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제1 타겟 레벨이 낮게 설정된 반도체 장치일 경우, 이러한 구성은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파워 업 회로
100 : 감지부
110 : 풀업 구동부
120 : 풀다운 구동부
130 : 버퍼부
200 : 바이어스부
210 : 가변 저항부

Claims (17)

  1. 바이어스 전압에 응답하여, 외부 전압의 제1 타겟 레벨을 감지하고 파워 업 신호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 감지부;
    상기 파워 업 신호에 응답하여 가변하는 분배비에 따라 상기 외부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바이어스 전압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바이어스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파워 업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파워 업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바이어스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압의 상기 제1 타겟 레벨보다 낮은 제2 타겟 레벨을 감지하고 상기 파워 업 신호를 비활성화시키는 반도체 장치의 파워 업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바이어스 전압에 응답하여 감지 노드를 상기 외부 전압으로 풀업 구동하도록 구성된 풀업 구동부; 및
    상기 바이어스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감지 노드를 접지 전압으로 풀다운 구동하도록 구성된 풀다운 구동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파워 업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는 상기 파워 업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파워 업 신호가 활성화되기 직전에 비하여 감소한 분배비에 따라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하는 반도체 장치의 파워 업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는 상기 파워 업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파워 업 신호가 활성화되기 직전에 비하여 더 낮은 레벨의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하는 반도체 장치의 파워 업 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는 상기 파워 업 신호에 응답하여 가변하는 저항값을 가지도록 구성된 가변 저항부를 포함하는 파워 업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부는 상기 파워 업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파워 업 신호가 활성화되기 직전에 비하여 증가한 저항값을 가지는 파워 업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부는,
    상기 파워 업 신호에 응답하여 온/오프되도록 구성된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을 포함하는 파워 업 회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는 상기 외부 전압의 상승으로 인한 상기 바이어스 전압의 상승을 적어도 일부 상쇄시키도록 구성된 조정부를 포함하는 파워 업 회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외부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바이어스 전압이 형성되는 분배 노드와 접지 단자 사이에 전류 패스를 형성하는 파워 업 회로.
  11. 감지 노드를 외부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풀업 구동력과 접지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풀다운 구동력에 따라 상기 감지 노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파워 업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감지부; 및
    상기 풀업 구동력과 상기 풀다운 구동력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파워 업 신호에 응답하여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바이어스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파워 업 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는 상기 파워 업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파워 업 신호가 활성화되기 직전에 비하여 상기 풀업 구동력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하는 반도체 장치의 파워 업 회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는 상기 파워 업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파워 업 신호가 활성화되기 직전에 비하여 상기 풀다운 구동력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하는 반도체 장치의 파워 업 회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는 상기 파워 업 신호에 응답하여 가변하는 분배비에 따라 상기 외부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바이어스 전압으로 출력하는 반도체 장치의 파워 업 회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는 상기 파워 업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파워 업 신호가 활성화되기 직전에 비하여 감소한 분배비에 따라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하는 반도체 장치의 파워 업 회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는 상기 파워 업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파워 업 신호가 활성화되기 직전에 비하여 더 낮은 레벨의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하는 반도체 장치의 파워 업 회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외부 전압이 제1 타겟 레벨일 때 상기 파워 업 신호를 활성화시켜 출력하고, 상기 파워 업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외부 전압이 상기 제1 타겟 레벨보다 낮은 제2 타겟 레벨일 때 상기 파워 업 신호를 비활성화시켜 출력하는 반도체 장치의 파워 업 회로.
KR1020130166986A 2013-12-30 2013-12-30 반도체 장치 KR102211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986A KR102211056B1 (ko) 2013-12-30 2013-12-30 반도체 장치
US14/224,287 US9501123B2 (en) 2013-12-30 2014-03-25 Semiconducto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986A KR102211056B1 (ko) 2013-12-30 2013-12-30 반도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980A true KR20150077980A (ko) 2015-07-08
KR102211056B1 KR102211056B1 (ko) 2021-02-02

Family

ID=53481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6986A KR102211056B1 (ko) 2013-12-30 2013-12-30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01123B2 (ko)
KR (1) KR1022110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8568A1 (fr) * 2021-12-26 2023-06-29 Valeo Vision Commande d'un circuit integre a comportement d'hysteresi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606A (ko) * 2004-04-30 2005-11-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낸드 플래시 소자의 파워업 신호 생성 회로
US20090237130A1 (en) * 2008-03-18 2009-09-24 Hynix Semiconductor Inc. Dual power-up signal generator
KR20120004246A (ko) * 2010-07-06 2012-01-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파워업 신호 생성회로 및 생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9470B1 (en) * 2000-10-06 2003-10-28 Skyworks Solutions, Inc. Constant current biasing circuit for linear power amplifiers
US6515903B1 (en) * 2002-01-16 2003-02-04 Advanced Micro Devices, Inc. Negative pump regulator using MOS capacitor
KR100605574B1 (ko) 2003-12-30 2006-07-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회로
KR100666928B1 (ko) * 2004-02-19 2007-01-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온도변화에 따라 최적의 리프레쉬 주기를 가지는 반도체메모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606A (ko) * 2004-04-30 2005-11-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낸드 플래시 소자의 파워업 신호 생성 회로
US20090237130A1 (en) * 2008-03-18 2009-09-24 Hynix Semiconductor Inc. Dual power-up signal generator
KR20120004246A (ko) * 2010-07-06 2012-01-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파워업 신호 생성회로 및 생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85796A1 (en) 2015-07-02
KR102211056B1 (ko) 2021-02-02
US9501123B2 (en)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1335B2 (en) Voltage regulator
US9671804B2 (en) Leakage reduction technique for low voltage LDOs
US9088280B2 (en) Body bias control circuit
US9143133B2 (en) Output apparatus, output driver, and level shifting system
JP6082356B2 (ja) 半導体装置
JP4445780B2 (ja) 電圧レギュレータ
US20150188436A1 (en) Semiconductor Device
US9236854B2 (en) Voltage slop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driver circuit application
CN105591636B (zh) 半导体电路、电压检测电路以及电压判定电路
KR102519602B1 (ko) 레벨 쉬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드라이버 회로
US9660651B2 (en) Level shift circuit
US10084311B2 (en) Voltage generator
KR20170091608A (ko) 개선된 시간 응답 특성을 가지는 패스 스위치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77980A (ko) 반도체 장치
JP5111336B2 (ja) 半導体回路
US20160182040A1 (en) Audio switch circuit with slow turn-on
US20120268208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WO2017149957A1 (ja) 信号出力回路
US10691151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dynamic overvoltage protection in regulators
JP6983718B2 (ja)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KR20170038158A (ko) 볼티지 레귤레이터
US10720917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generating power-on reset signal
JP2017153037A (ja) 半導体装置
KR20060053427A (ko) 반도체 장치용 내부전압 발생기
JP6530226B2 (ja) 電圧レギュレータ、半導体装置、及び電圧レギュレータの電圧生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