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7950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7950A
KR20150077950A KR1020130166930A KR20130166930A KR20150077950A KR 20150077950 A KR20150077950 A KR 20150077950A KR 1020130166930 A KR1020130166930 A KR 1020130166930A KR 20130166930 A KR20130166930 A KR 20130166930A KR 20150077950 A KR20150077950 A KR 20150077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seat
cooling
vehicle
room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6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2197B1 (ko
Inventor
박두수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6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197B1/ko
Publication of KR20150077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7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including features for locking or memorising of control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85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 냉,난방장치를 조작하면, 이에 연동하여 공조장치의 "설정 차실내온도"도 현재의 차실내온도에 맞게 자동으로 재설정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시동을 온(ON)시킬 때마다 차실내온도에 일일이 재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줄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차실내온도를 기준으로 각 공조유닛들을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를 냉,난방하는 시트 냉,난방장치를 포함하며, 시트 냉,난방장치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냉,난방단수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시트 냉,난방장치로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를 냉방 또는 난방할 시에, 시트의 냉,난방과 연동하여 콘트롤러의 설정 차실내온도를 재설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콘트롤러는, 제어부에 의해 재설정된 설정 차실내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각 공조유닛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냉,난방장치를 조작하면, 이에 연동하여 공조장치의 "설정 차실내온도"도 현재의 차실내온도에 맞게 자동으로 재설정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시동을 온(ON)시킬 때마다 차실내온도에 일일이 재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줄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용 공조장치는 자동제어방식으로 개선되고 있다.
자동제어방식 공조장치(이하, "공조장치"라 약칭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러(1)의 오토모드 스위치(Auto Mode Switch)(3)로 "오토모드"를 선택한 다음, 온도조절 스위치(5)로 원하는 "차실내온도"를 설정하면, 각종 센서에서 감지된 차실내외의 온도 데이터와, 기설정된 "차실내온도"를 비교 처리하여 최적의 데이터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데이터를 근거로 에어컨(7)과 히터(9)와 블로어(10)와 각종 모드도어(Mode Door)(12)들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차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와 풍량과 토출방향 등을, 차실내외의 온도조건과 기설정된 "차실내온도"(이하, "설정 차실내온도"라 칭함)에 따라 자동 조절한다. 이로써, 차실내의 온도를 "설정 차실내온도"에 맞춰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한편, 이러한 공조장치는,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를 냉난방하는 시트 냉,난방장치(20)를 더 구비한다.
시트 냉,난방장치(20)는, 운전석과 조수석에 내장되는 열선(도시하지 않음)과 통풍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것으로, 콘트롤러(1)의 시트 냉,난방스위치(22)를 조작하여 온(ON)시키면,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를 따뜻하게 가열하거나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에 시원한 공기를 공급한다. 따라서, 겨울철에 운전석과 조수석을 난방하거나, 여름철에 운전석과 조수석을 냉방한다.
통상적으로, 시트 냉,난방장치(20)는, 급속 냉,난방이 가능하므로, 공조장치의 초기작동 시에, 시트의 예열 및 예냉용으로 많이 사용한다.
아울러 시트 냉,난방장치(20)는, 시트 냉,난방스위치(22)를 통해 냉,난방 단수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차실내외의 온도 조건에 따라 시트의 온도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시트 냉,난방장치(20)의 냉,난방 단수는, 3단으로 조절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차량의 시동이 온(ON)될 때마다 온도조절 스위치(5)를 통해 "설정 차실내온도"를 매번 재설정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될 때의 차실내온도와 온(ON)될 때의 차실내온도 편차가 심할 경우, 온도조절 스위치(5)를 통해 "설정 차실내온도"를 매번 재설정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사용하기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공조장치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될 시에는, 시동이 오프(OFF)될 때의 "설정 차실내온도"정보를 그대로 기억하고, 차량이 시동이 다시 온(ON)되었을 경우에는, 기억된 "설정 차실내온도"데이터 대로 각종 공조유닛(7, 9, 10, 12)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미 기억된 "설정 차실내온도"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될 때의 차실내온도를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시동이 온(ON)될 때의 차실내온도와는 편차가 발생된다.
특히, 기온이 낮은 겨울철이나 기온이 높은 여름철의 경우에는, 차량의 시동이 온(ON)될 때의 차실내온도가,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될 때의 차실내온도에 비해 큰 온도편차가 발생되는 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될 때에 기억된 "설정 차실내온도"를 기준으로 공조장치를 제어할 시에 차실내의 쾌적성이 현저하게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대부분의 운전자는, 차량의 시동을 온(ON)시킨 상태에서 공조장치를 온(ON)시킬 시에, 차량의 시동이 온(ON)될 때의 차실내온도에 맞게 "설정 차실내온도"를 매번 재설정하고 있으며, 이로써, 많은 운전자들이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차량의 초기 시동 시에, 시트 냉,난방장치(20)를 이용하여 운전석과 조수석의 시트를 예열 또는 예냉할 경우에는, 시트 냉,난방스위치(22)도 조작해야 하므로, 콘트롤러(1)의 스위치 조작이 더욱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많은 운전자들이 번거롭고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시트 냉,난방장치를 조작하면, 이에 연동하여 "설정 차실내온도"까지 자동으로 재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시동을 온(ON)시킬 때마다 "설정 차실내온도"를 일일이 재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줄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시동을 온(ON)시킬 때마다 "설정 차실내온도"를 일일이 재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차실내온도를 기준으로 각 공조유닛들을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를 냉,난방하는 시트 냉,난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 냉,난방장치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냉,난방단수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 냉,난방장치로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를 냉방 또는 난방할 시에, 상기 시트의 냉,난방과 연동하여 상기 콘트롤러의 설정 차실내온도를 재설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재설정된 설정 차실내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각 공조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 냉,난방장치의 각 난방단수에 대응되는 난방단수별 설정 차실내온도값들을 내장하고 있는 제 1메모리부와; 상기 시트 냉,난방장치의 각 냉방단수에 대응되는 냉방단수별 설정 차실내온도값들을 내장하고 있는 제 2메모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트 냉,난방장치로 특정의 냉,난방 단수를 선택했을 시에, 선택된 특정의 냉,난방 단수에 대응되는 설정 차실내온도값을 상기 제 1메모리부 또는 제 2메모리부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설정 차실내온도값을 상기 콘트롤러의 설정 차실내온도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메모리부에 내장된 난방단수별 설정 차실내온도값들은, 상기 시트 냉,난방장치의 난방단수에 비례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 2메모리부에 내장된 냉방단수별 설정 차실내온도값들은, 상기 시트 냉,난방장치의 냉방단수에 반비례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시트 냉,난방장치의 냉,난방단수를 조작하면, 이에 연동하여 공조장치의 "설정 차실내온도"까지 자동으로 재설정되는 구조이므로, 차량의 시동 온(ON) 후, 공조장치를 작동시킬 시에, 사용자가 현재의 차실내온도에 맞춰 "설정 차실내온도"를 일일이 수동으로 재설정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시동 온(ON) 후, 공조장치를 작동시킬 시에, 사용자가 현재의 차실내온도에 맞춰 "설정 차실내온도"를 일일이 수동으로 재설정하지 않아도 되는 구조이므로, 차량의 시동을 온(ON)시킬 때마다 온도조절 스위치를 통해 "설정 차실내온도"를 매번 일일이 재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시동을 온(ON)시킬 때마다 차실내의 온도에 일일이 재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자동제어방식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자동제어방식 공조장치는, 콘트롤러(1)의 오토모드 스위치(3)로 "오토모드"를 선택한 다음, 온도조절 스위치(5)로 원하는 "차실내온도"를 설정하면, 각종 센서에서 감지된 차실내외의 온도 데이터와, 기설정된 "차실내온도"를 비교 처리하여 최적의 데이터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데이터를 근거로 각 공조유닛(7, 9, 10, 12)들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차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와 풍량과 토출방향 등을, 차실내외의 온도조건과 "설정 차실내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한다.
그리고 자동제어방식 공조장치는,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를 냉난방하는 시트 냉,난방장치(20)를 더 구비한다.
시트 냉,난방장치(20)는, 콘트롤러(1)의 시트 냉,난방스위치(22)를 조작하여 온(ON)시키면,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를 따뜻하게 가열하거나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에 시원한 공기를 공급한다.
따라서, 겨울철에 운전석과 조수석을 난방하거나, 여름철에 운전석과 조수석을 냉방한다. 특히, 공조장치의 초기작동 시에, 공조장치가 충분히 활성화되기 전에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를 예열 또는 예냉한다.
통상적으로, 시트 냉,난방장치(20)는, 시트 냉,난방스위치(22)를 통해 냉,난방 단수의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시트 냉,난방스위치(22)를 반복적으로 눌러서 조작하면, 누름횟수에 따라 시트 냉,난방장치(20)의 냉,난방 단수가 각각 3단으로 조절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제어부(30)를 구비한다.
제어부(3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제 1메모리부(32)와 제 2메모리부(34)를 포함한다.
제 1메모리부(32)는, 시트 냉,난방장치(20)의 각 난방단수에 대응되는 "난방단수"별, "설정 차실내온도값"들이 내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시트 냉,난방장치(20)의 난방단수 "1단"에 대응되는 "26℃", "2단"에 대응되는 "29℃", "3단"에 대응되는 "32℃"(High)가 "설정 차실내온도값"으로 각각 내장되어 있다.
제 2메모리부(34)는, 시트 냉,난방장치(20)의 각 냉방단수에 대응되는 "냉방단수"별, "설정 차실내온도값"들이 내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시트 냉,난방장치(20)의 냉방단수 "1단"에 대응되는 "22℃", "2단"에 대응되는 "20℃", "3단"에 대응되는 "17℃"(Low)가 "설정 차실내온도값"으로 각각 내장되어 있다.
한편,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차량의 시동을 온(ON)시킨 상태에서, 시트 냉,난방장치(20)를 온(ON)시키고, 특정의 냉,난방 단수를 선택했을 경우, 선택된 특정의 냉,난방 단수에 대응되는 "설정 차실내온도값"을 제 1메모리부(32) 또는 제 2메모리부(34)에서 검출한다.
그리고 특정의 냉,난방 단수에 대응되는 "설정 차실내온도값"이 검출되면, 제어부(30)는, 콘트롤러(1)에 이미 기억된 기존의 "설정 차실내온도"를 제거하고, 이를 대신하여 제 1 및 제 2메모리부(34)에서 검출된 "설정 차실내온도값"을 공조장치의 "설정 차실내온도"로 콘트롤러(1)에 재기억시킨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차량의 시동을 온(ON)시킨 다음, 시트 냉,난방장치(20)를 난방 "1단"으로 선택했을 경우, 선택된 난방 "1단"에 대응되는 "설정 차실내온도값", "26℃"를 제 1메모리부(32)에서 검출한다.
그리고 시트 난방 "1단"에 대응되는 "설정 차실내온도값"(26℃)이 검출되면, 제어부(30)는, 콘트롤러(1)에 이미 기억된 기존의 "설정 차실내온도"를 제거하고, 이를 대신하여 시트 난방 "1단"에 대응되는 "설정 차실내온도값"(26℃)을 공조장치의 "설정 차실내온도"로 콘트롤러(1)에 재기억시킨다.
따라서, 공조장치가 작동되거나 작동 중일 경우, 상기 콘트롤러(1)가, 시트 난방 "1단"에 대응되는 "설정 차실내온도"(26℃)를 기준으로 공조장치의 각 공조유닛(7, 9, 10, 12)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온도와 풍량 및 풍향이, 시트 난방 "1단"에 대응되는 "설정 차실내온도"(26℃)에 맞춰 제어되게 한다.
결론적으로, 제어부(30)는, 차량의 시동이 온(ON)된 후에, 공조장치를 작동시킬 경우, 공조장치의 "설정 차실내온도"가 시트 냉,난방장치(20)의 냉,난방 단수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대부분의 운전자는, 차량의 시동을 온(ON)시킨 후, 현재의 차실내온도에 맞춰 시트 냉,난방장치(20)를 미리 예열, 예냉하고, 그 냉,난방 단수도 현재의 차실내온도에 맞춰 조절하는 바, 시트 냉,난방장치(20)의 냉,난방 단수에 연동하여 공조장치의 "설정 차실내온도"가 자동으로 설정되면, 공조장치의 "설정 차실내온도"도 현재의 차실내온도에 알맞게 설정되는 격이 된다.
따라서, 차량의 시동을 온(ON)시킨 후, 공조장치를 작동시킬 시에, 사용자가 현재의 차실내온도에 맞춰 "설정 차실내온도"를 일일이 수동으로 재설정하지 않아도, 공조장치의 "설정 차실내온도"가 현재의 차실내온도에 맞춰 자동으로 재설정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콘트롤러(1)의 온도조절 스위치(5)를 일일이 수동으로 조작하여 "설정 차실내온도"를 재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결과, 사용자의 편의성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한편, 제어부(30)는, 시트 냉,난방장치(20)의 냉,난방 단수에 맞춰 공조장치의 "설정 차실내온도"를 재설정할 경우, 재설정된 "설정 차실내온도"가 디스플레이부(1a) 상에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a)를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공조장치의 "설정 차실내온도"가 자동으로 재설정되었음을 알려준다.
그리고 제어부(30)의 제 1메모리부(32)에는, 시트 냉,난방장치(20)의 "난방단수"별, "설정 차실내온도값"들이 내장되어 있되, 상기 "설정 차실내온도값"들은, 시트 냉,난방장치(20)의 난방단수에 비례한 크기를 갖는다.
이는, 시트 냉,난방장치(20)의 난방단수가 증가될수록 "설정 차실내온도값"들도 이에 비례하여 증가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차실내의 온도가 낮을수록 사용자는 시트 냉,난방장치(20)의 난방단수를 높이는 바, 낮은 차실내온도에 대응하여 시트 냉,난방장치(20)의 난방단수를 높이면 높일수록, 공조장치의 "설정 차실내온도"도 낮은 차실내온도에 대응하여 점차 높게 설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30)의 제 2메모리부(34)에는, 시트 냉,난방장치(20)의 "냉방단수"별, "설정 차실내온도값"들이 내장되어 있되, 상기 "설정 차실내온도값"들은, 시트 냉,난방장치(20)의 냉방단수에 반비례한 크기를 갖는다.
이는, 시트 냉,난방장치(20)의 냉방단수가 증가될수록 "설정 차실내온도값"들은 이에 반비례하여 감소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차실내의 온도가 높을수록 사용자는 시트 냉,난방장치(20)의 냉방단수를 높이는 바, 높은 차실내온도에 대응하여 시트 냉,난방장치(20)의 냉방단수를 높이면 높일수록, 공조장치의 "설정 차실내온도"는 높은 차실내온도에 대응하여 점차 낮게 설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 냉,난방장치(20)의 냉,난방단수를 조작하면, 이에 연동하여 공조장치의 "설정 차실내온도"까지 자동으로 재설정되는 구조이므로, 차량의 시동 온(ON) 후, 공조장치를 작동시킬 시에, 사용자가 현재의 차실내온도에 맞춰 "설정 차실내온도"를 일일이 수동으로 재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차량의 시동 온(ON) 후, 공조장치를 작동시킬 시에, 사용자가 현재의 차실내온도에 맞춰 "설정 차실내온도"를 일일이 수동으로 재설정하지 않아도 되는 구조이므로, 차량의 시동을 온(ON)시킬 때마다 온도조절 스위치(5)를 통해 "설정 차실내온도"를 매번 일일이 재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줄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시동을 온(ON)시킬 때마다 차실내의 온도에 일일이 재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 콘트롤러 1a: 디스플레이부
3:오토모드 스위치(Auto Mode Switch)
5: 온도조절 스위치(Switch) 7: 에어컨(Aircon)
9: 히터(Heater) 10: 블로어(Blower)
12: 각 모드도어(Mode Door) 20: 시트 냉,난방장치
22: 시트 냉,난방스위치 30: 제어부
32: 제 1메모리부 34: 제 2메모리부

Claims (5)

  1.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차실내온도를 기준으로 각 공조유닛(7, 9, 10, 12)들을 제어하는 콘트롤러(1)와,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를 냉,난방하는 시트 냉,난방장치(20)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 냉,난방장치(20)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냉,난방단수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 냉,난방장치(20)로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를 냉방 또는 난방할 시에, 상기 시트의 냉,난방과 연동하여 상기 콘트롤러(1)의 설정 차실내온도를 재설정하는 제어부(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콘트롤러(1)는,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재설정된 설정 차실내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각 공조유닛(7, 9, 10, 12)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냉,난방장치(20)의 각 난방단수에 대응되는 난방단수별 설정 차실내온도값들을 내장하고 있는 제 1메모리부(32)와;
    상기 시트 냉,난방장치(20)의 각 냉방단수에 대응되는 냉방단수별 설정 차실내온도값들을 내장하고 있는 제 2메모리부(34)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시트 냉,난방장치(20)로 특정의 냉,난방 단수를 선택했을 시에, 선택된 특정의 냉,난방 단수에 대응되는 설정 차실내온도값을 상기 제 1메모리부(32) 또는 제 2메모리부(34)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설정 차실내온도값을 상기 콘트롤러(1)의 설정 차실내온도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메모리부(32)에 내장된 난방단수별 설정 차실내온도값들은, 상기 시트 냉,난방장치(20)의 난방단수에 비례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 2메모리부(34)에 내장된 냉방단수별 설정 차실내온도값들은, 상기 시트 냉,난방장치(20)의 냉방단수에 반비례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1)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될 시에, 시동이 오프(OFF)될 때의 설정 차실내온도를 기억하고, 차량이 시동이 다시 온(ON)될 시에, 기억된 설정 차실내온도를 기준으로 각 공조유닛(7, 9, 10, 12)들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30)는,
    차량이 시동이 온(ON)된 후, 상기 시트 냉,난방장치(20)가 작동될 시에, 상기 시트 냉,난방장치(20)의 냉,난방 단수에 대응되는 설정 차실내온도값을 검출하여 상기 콘트롤러(1)의 설정 차실내온도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시트 냉,난방장치(20)의 냉,난방에 대응하여 상기 콘트롤러(1)의 설정 차실내온도를 재설정할 시에, 재설정된 설정 차실내온도가 상기 콘트롤러(1)의 디스플레이부(1a) 상에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a)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30166930A 2013-12-30 2013-12-30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32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930A KR102032197B1 (ko) 2013-12-30 2013-12-30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930A KR102032197B1 (ko) 2013-12-30 2013-12-30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950A true KR20150077950A (ko) 2015-07-08
KR102032197B1 KR102032197B1 (ko) 2019-10-15

Family

ID=53790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6930A KR102032197B1 (ko) 2013-12-30 2013-12-30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1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3281A (zh) * 2016-03-21 2016-08-10 乐卡汽车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应用于车内环境及设施的温度控制方法、装置和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7243A (ja) * 1997-04-28 1998-11-10 Honda Motor Co Ltd 車両の空調装置とシート用加熱冷却装置
JP2004148949A (ja) * 2002-10-30 2004-05-27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6076399A (ja) * 2004-09-08 2006-03-23 Denso Corp シート用加熱冷却装置
KR20130005664A (ko) * 2011-07-07 2013-0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실내 및 시트 통합공조 방법과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7243A (ja) * 1997-04-28 1998-11-10 Honda Motor Co Ltd 車両の空調装置とシート用加熱冷却装置
JP2004148949A (ja) * 2002-10-30 2004-05-27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6076399A (ja) * 2004-09-08 2006-03-23 Denso Corp シート用加熱冷却装置
KR20130005664A (ko) * 2011-07-07 2013-0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실내 및 시트 통합공조 방법과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3281A (zh) * 2016-03-21 2016-08-10 乐卡汽车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应用于车内环境及设施的温度控制方法、装置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197B1 (ko) 201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9650B2 (en) Adaptive vehicl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WO2016047051A1 (ja) 車両用加湿装置
JP6844701B2 (ja) 車両用空調方法及び車両用空調装置
CN111409522A (zh) 一种座椅通风自动控制方法和系统
JP5492884B2 (ja) 自動暖房空調制御機能を備えた車両用暖房および/または空調装置
KR20160006848A (ko) 차량용 공조장치
US6823685B2 (en)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US7886815B2 (en) HVAC reset logic improvement for rear control usability
JP6201847B2 (ja) 車両用空調装置
CN106882009B (zh) 用于启动空气交换操作的方法和装置
JP5125937B2 (ja) 車両の空調装置
CN107878148B (zh) 冷暖空调装置
CN112424005B (zh) 完全可变的且整体的通风阀门控制装置
CN106467004B (zh) 用于禁用车辆的各个座椅的脚部空间区域通风的方法和用于实施方法的装置
KR20150077950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1098656A (zh) 与车辆空调系统关联的用户体温辅助系统
JP2005231597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JP6327020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511507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템프도어 제어방법
KR101644452B1 (ko) 차량의 공조 상태 표시 장치
JP6280481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75872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7387980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943589B2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10146733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