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7857A - 유아용 텐트 - Google Patents

유아용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7857A
KR20150077857A KR1020130166752A KR20130166752A KR20150077857A KR 20150077857 A KR20150077857 A KR 20150077857A KR 1020130166752 A KR1020130166752 A KR 1020130166752A KR 20130166752 A KR20130166752 A KR 20130166752A KR 20150077857 A KR20150077857 A KR 20150077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tent
hole
synthetic resin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9351B1 (ko
Inventor
김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셜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셜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셜빈
Priority to KR1020130166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351B1/ko
Publication of KR20150077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아용 텐트에 있어서, 외피(C)에 대하여 골격을 이루는 복수개의 리브(10), 리브(10)를 관통하여 마찰력에 의하여 지지력을 인가하며 원형의 프레임을 유지하기 위한 리브 결합부(20)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 결합부(20)는 방사 방향으로 향하여 구비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2)을 가지는 유아용 텐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아용 텐트{Tent for infants}
본 발명은 유아용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의 텐트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와 분해를 할 수 있으면서 인디언 텐트의 디자인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는 유아용 텐트에 관한 것이다.
유아는 영아기를 거쳐 보통 3세 이상부터는 자신만의 영역을 갖고자 하는 유아기의 성장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때부터 아이들은 조그만 공간 내지는 구석진 곳에서 자신의 영역을 형성하려는 성장 단계에 맞추어 자기만의 공간을 가질 수 있는 유아용 장난감이 유통되고 있다. 그 중에는 자신의 몸을 공간 내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사각 텐트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놀이용 텐트는 가옥형 또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천 재질의 외체에 일정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탄성체의 지지폴이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텐트는 유아에게 일정한 공간을 제공하고 있지만, 유아에게 공간에 호기심이나 구조물에 대한 호기심 유발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이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단순한 형태의 텐트를 보완하기 위하여 인디언들의 텐트 형태를 취하는 접이식 인디언 텐트가 개발되어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인디언 텐트는 대략 오각 내지 육각뿔 형상을 취하며, 이러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목봉을 이용하여 뼈대를 만들고 천으로 뼈대를 감싸는 구성을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 실용신안공보 제2013-5022호는 봉 세트를 이루는 복수개의 봉 상단이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수렴하고 각 봉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철사 등을 이용하여 상호 고정시키는 유아 및 어린이용 인디언 텐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인디언 텐트는 텐트의 골격을 유지하는 봉이 수렴하는 곳에서 철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가 조립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면서 유아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인디언 텐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과 해체가 용이한 유아용 인디언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유아용 인디언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아용 텐트에 있어서, 외피(C)에 대하여 골격을 이루는 복수개의 리브(10), 리브(10)를 관통하여 마찰력에 의하여 지지력을 인가하며 원형의 프레임을 유지하기 위한 리브 결합부(20)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 결합부(20)는 방사 방향으로 향하여 구비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2)을 가지는 유아용 텐트가 제공된다.
여기서, 리브 결합부(20)는 방사형으로 향하여 구비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2)과, 상기 관통공(2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중앙에서 중심축을 이루는 원형의 코어(2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브 결합부(20)의 코어(24)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관통공(22)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피(C)의 걸림공(C1)을 걸기 위한 걸쇠(32),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삽입공(34), 및 삽입공(34)의 내주에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마찰부재(36)로 이루어진 걸이부(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주 형태의 마찰부재(36)의 내주연으로부터 연장된 돌기(38)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용이하고 안전하게 유아용 인디언 텐트를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텐트에 있어서 골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텐트에 있어서 걸이부와 외피의 관계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텐트에 있어서 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텐트에 있어서 리브와 결합부의 1차 조립과정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텐트에 있어서 리브와 결합부의 2차 조립과정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텐트에 있어서 걸이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텐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텐트에 있어서 골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텐트에 있어서 걸이부와 외피의 관계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텐트에 있어서 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텐트는 외피(C)에 대하여 골격을 이루는 복수개의 리브(10), 리브(10)를 관통하여 마찰력에 의하여 지지력을 인가하며 원형의 프레임을 유지하기 위한 리브 결합부(20)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 결합부(20)는 방사 방향으로 향하여 구비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2)을 가진다.
외피(C)는 리브(10)가 리브 결합부(20)와의 결합에 의하여 원추형을 이룰 때 그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외피(C)의 내측에는 리브(10)에 결합되는 걸이부(30)에 걸릴 수 있는 걸림공(C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10)는 보편적으로 쓰이는 나무재질의 목봉이나, 가벼운 소재의 알루민늄 봉이나 합성수지재의 봉으로 이루어진다.
리브 결합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형으로 향하여 구비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2)와, 상기 관통공(2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중앙에서 중심축을 이루는 원형의 코어(24)로 이루어진다.
리브 결합부(20)의 코어(24)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관통공(22)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1차 성형되는 코어(24)에 대하여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2차 성형된다.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코어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에 따라 모든 외주 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지지력을 가지며,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관통공(22)은 유연하게 휘는 성질로 인하여 용이하게 리브(10)를 관통공(22)에 대하여 수직으로 관통시킨 후에 리브(10)를 원형의 코어(24)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함으로써 복수개의 리브(10)들의 상호 지지에 의하여 인디언 텐트의 골격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리브 결합부(20)의 원형의 코어(24)와 관통공(22)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여 결합하는 연결부(26)는 원형의 코어(24)로부터 각 관통공(22)에 대하여 연장되는 연장부로서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이 때 연결부(26)와 관통공(22)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원형의 코어(24)를 1차 성형한 후에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2차 관통공(22)과 연결부(26)가 동시에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원형의 코어(24)로부터 연장된 연결부(26)는 관통공(22)에 대하여 유연한 휨성을 가짐으로써 리브(10)가 관통공(22)에 대하여 삽입되어 원형의 코어(24)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있을 때, 다른 리브(10)들에 대하여 보다 강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관통공(22)의 내경은 리브(10)의 외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텐트에 있어서 리브와 결합부의 1차 조립과정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텐트에 있어서 리브와 결합부의 2차 조립과정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록 관통공(22)의 내경은 리브(10)의 외경보다 큼으로써, 조립이나 해체시 관통공(22)에 리브(10)가 관통공(22)의 수직축으로 삽입되거나 탈거되어 조립가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22)의 내경이 리브(10)의 외경보다 크지만, 조립시에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연결부(26)나 관통공(22)은 원형의 코어(24)의 중심축에 대하여 유연하게 경사짐으로써, 조립된 상태에서 경사진 리브(10)가 관통공(22)에 삽입된 단면은 관통공(22)의 내경에 대응된 단면을 가지게 된다. 그에 따라 조립시에 리브(10)가 관통공(22)으로부터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통공(22)은 상대적으로 유연한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리브(10)가 삽입되어 경사진 형태를 취할 때 향상된 마찰력을 가짐으로써 별도의 철사나 끈과 같은 매듭 부재를 요하지 않고 리브(10)를 리브 결합부(20)에 대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원형의 코어(24)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유연성을 가진 연결부(26)와 관통공(22)으로 인하여 그 해체 작업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텐트에 있어서 걸이부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텐트는 외피(C)의 걸림공(C1)을 걸기 위한 걸쇠(32),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삽입공(34), 및 삽입공(34)의 내주에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마찰부재(36)로 이루어진 걸이부(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이부(30)는 리브(10)에 관통되며,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마찰부재(36)에 의하여 리브(10)에 압착되어 밀착된다.
한편, 걸이부(30)의 마찰부재(36)는 삽입공(34)의 내주에 대응하는 원주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원주 형태의 마찰부재(36)의 내주연으로부터 연장된 돌기(38)를 더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돌기(38)는 마찰부재(36)의 내주연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부분이기 때문에 삽입공(34)에 대하여 리브(10)의 관통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편심으로 부착되어 있는 걸쇠(32)에 부하, 예를 들면 외피(C)의 걸림공(C1)에 걸려 부하를 받을 경우 리브(10)에 대하여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걸이부(30)의 걸쇠(32)는 필요에 따라 여러개가 그 외주연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소품의 걸쇠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리브 결합부(20)를 리브(10)에 결합한 상태에서 리브(10)의 외주연에 외피(C)가 구비됨으로써 유아용 텐트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리브(10)의 중간 부위에 리브 결합부(20)를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한 상태에서 넓혀진 리브(10)의 상단에 유아용 해먹(미도시)나 천(미도시)을 걸쳐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리브(10)의 상단에 해먹이나 천의 단부 부위에 구비된 후크(미도시) 등으로 해먹이나 천이 걸림으로써, 리브 결합부(20)가 위치하는 곳의 상부에 유아의 간이 침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실내외에서 간편하게 유아에게 간이 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10: 리브
20: 리브 결합부
22: 관통공
24: 코어
26: 연결부
30: 걸이부
32: 걸쇠
34: 삽입공
36: 마찰부재
38: 돌기
C: 외피
C1: 걸이공

Claims (6)

  1. 유아용 텐트에 있어서, 외피(C)에 대하여 골격을 이루는 복수개의 리브(10), 리브(10)를 관통하여 마찰력에 의하여 지지력을 인가하며 원형의 프레임을 유지하기 위한 리브 결합부(20)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 결합부(20)는 방사 방향으로 향하여 구비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리브 결합부(20)는 방사형으로 향하여 구비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2)과, 상기 관통공(2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중앙에서 중심축을 이루는 원형의 코어(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리브 결합부(20)의 코어(24)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관통공(22)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텐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피(C)의 걸림공(C1)을 걸기 위한 걸쇠(32),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삽입공(34), 및 삽입공(34)의 내주에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마찰부재(36)로 이루어진 걸이부(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텐트.
  5. 제4항에 있어서, 원주 형태의 마찰부재(36)의 내주연으로부터 연장된 돌기(38)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텐트.
  6.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피(C)를 리브(10)에 구비하는 대신에 리브(10)의 중간 부위에 리브 결합부(20)를 결합한 상태에서 리브(10)의 상단에 유아용 해먹(미도시)나 천(미도시)을 걸침으로써 유아용 간이 침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텐트.
KR1020130166752A 2013-12-30 2013-12-30 유아용 텐트 KR101539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752A KR101539351B1 (ko) 2013-12-30 2013-12-30 유아용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752A KR101539351B1 (ko) 2013-12-30 2013-12-30 유아용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857A true KR20150077857A (ko) 2015-07-08
KR101539351B1 KR101539351B1 (ko) 2015-07-27

Family

ID=53790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6752A KR101539351B1 (ko) 2013-12-30 2013-12-30 유아용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3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525B1 (ko) * 2015-01-30 2016-06-17 배현미 유아용 텐트
WO2019098412A1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소셜빈 유아용 텐트
KR20210016694A (ko) * 2019-08-05 2021-02-17 이영주 놀이용 인디언 텐트
EP4000706A1 (en) * 2020-11-17 2022-05-25 Zvonimir Jemric Children's tent with safety snap fastener for tent canvas tensi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525B1 (ko) * 2015-01-30 2016-06-17 배현미 유아용 텐트
WO2019098412A1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소셜빈 유아용 텐트
KR20190055409A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소셜빈 유아용 텐트
CN111356509A (zh) * 2017-11-15 2020-06-30 小韶兵股份有限公司 幼儿用帐篷
KR20210016694A (ko) * 2019-08-05 2021-02-17 이영주 놀이용 인디언 텐트
EP4000706A1 (en) * 2020-11-17 2022-05-25 Zvonimir Jemric Children's tent with safety snap fastener for tent canvas ten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351B1 (ko) 2015-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351B1 (ko) 유아용 텐트
US8851956B2 (en) Playhouse
US6058528A (en) Playpen with detachable cot
US20140179194A1 (en) Magnetic toy apparatuses and methods
CN101252977A (zh) 婴儿活动垫
US10433662B2 (en) Blanket-based structures
US20130298379A1 (en) Modular climbing tree and method of assembly
US20180250605A1 (en) Assembly toy
US6694546B1 (en) Canopy assembly having universal components for different types of canopies
KR101870014B1 (ko) 해먹 시스템
KR101696299B1 (ko) 간이 침대
KR101497605B1 (ko) 매트 겸용 인디언텐트
KR200471832Y1 (ko)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KR102249215B1 (ko) 놀이용 인디언 텐트
KR200489966Y1 (ko) 어린이 놀이집
KR20180000182U (ko) 조립식 가구용 고정지주 연결구
KR101631525B1 (ko) 유아용 텐트
US20050091745A1 (en) Bed foundation
KR101577421B1 (ko)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
CN220599398U (zh) 连接件及帐篷
US20150059088A1 (en) Pivotable Joint and Infant Support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KR20150126760A (ko) 고정용 인디언 텐트
JP3217458U (ja) 乳幼児向けマルチスキル育成・教育ビーズ玩具、及び前記のビーズから成る玩具アクセサリー
CN205287623U (zh) 一种直线型拼接结构
KR101873275B1 (ko) 로드 및 커넥터를 이용한 조립 완구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