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7226A - 2인용 하체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2인용 하체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7226A
KR20150077226A KR1020130166195A KR20130166195A KR20150077226A KR 20150077226 A KR20150077226 A KR 20150077226A KR 1020130166195 A KR1020130166195 A KR 1020130166195A KR 20130166195 A KR20130166195 A KR 20130166195A KR 20150077226 A KR20150077226 A KR 20150077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xercise
frames
pair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6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우
Original Assignee
이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우 filed Critical 이태우
Priority to KR1020130166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7226A/ko
Publication of KR20150077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2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58Step exercisers without mo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28Devices for two persons operating in opposition or in cooperation
    • A63B21/285Devices for two persons operating in opposition or in cooperation in co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2인용 하체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운동기구는 승하강 진폭운동에 의해 바닥과 선접촉을 할 수 있도록 원호 형상으로, 상호 이격 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 양단에 구비되는 평탄한 지지대;와 상기 이격 되어 나란하는 한 쌍의 프레임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승하강 진폭운동 시에도 연결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플랙시블부재;를 포함하는 2인용 하체 운동기구를 제안한다.
그에 따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절감함에 따라, 구매비용을 최소화하여 일반 가정집에서 쉽게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벼운 동작만으로 하체의 근육과 근력을 높이고 2인이 함께 운동함으로써, 친밀감 상승과 함께 운동에 대한 흥미를 최대화하여 지속적인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2인용 하체 운동기구{Lower body exercise equipment double}
본 발명은 2인용 하체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조립성이 뛰어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용이하여 운동 시 하체의 근육과 근력을 높이고 운동의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2인이 함께 사용하는 2인용 하체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기구는 헬스장, 공원, 등산로 등에 구비되어 사용자들이 원하는 시간이나 장소에 따라 원하는 운동을 할 시에 이를 보조하기 위한 기구로서, 그 쓰임새나 모양, 사용방법, 효과 등이 다양하다.
요즈음 현대인들은 육체적 활동보다는 정신적 활동을 많이 하는 관계로 각종 스트레스에 의한 정신적인 질환 및 운동 부족에 의한 비만과 함께 각종 질병에 노출되거나 아니면 체력이 점차로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현대인들은 일반 가정에서 필요한 운동기구를 구매하여 운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운동기구로는 도보를 응용하여 실내에서도 가능하게 행할 수 있도록 제작되고 대중화되어 사용하고 있으며 그 기능이 다양하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운동기구는 운동의 특성상 혼자 행하는 경우가 대다수여서 흥미가 떨어지기 쉽고, 운동기구 자체의 구매비용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운동기구에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4315호(이하 '선행특허문헌 1'이라 합니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 내부의 일측 및 타측이 길이 방향에 한 쌍씩 배치되는 레일과 레일의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되는 두 개의 이송장치와 크로스 형태로 결합하기 위해 결합 구를 형성한 링크 부재는 결합 구에 결합되며 벨트식으로 회전하는 전달수단과 상기 전달수단이 선회하도록 메인프레임의 폭 방향 중심에 각각 구비되는 연결수단과 동력전달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회전 부재의 일측과 상기 링크 부재중 어느 하나의 링크 부재의 일측과 연결하는 연결 바를 구성으로 전신운동이 가능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9576호(이하 '선행특허문헌 2'라 합니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호 나란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시소 작용부와 그에 결합된 한 쌍의 전방안내레일 및 후방안내레일과 전방안내레일에 설치된 한 쌍의 손파지부 및 후방안내레일에 설치된 한 쌍의 발거치 부가 각 시소작용 부에 하나씩 설치된 한 쌍의 받침판 및 한 쌍의 무릎지지판을 구비하여 양손과 양발의 반복적인 전진동작과 후퇴동작을 통해 신체를 단련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7645호(이하 '선행특허문헌 3'이라 합니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으로 한 쌍씩의 발판을 두고 발판을 지탱해주는 양쪽 철재 후레임이 서로 맞닿는 중심부 좌우 측에 깍지형식의 연결부를 제작하고 접합 힌지를 이용하여 양쪽 철재 후레임을 연결함으로써 두 개의 스텝퍼가 하나의 몸통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43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957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7645호
그러나 선행특허문헌 1은 메인 프레임 상면에 손잡이와 발디딤 대가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장공 홈이 형성된 상태로, 운동 중 이송 홈에 손이나 발이 끼일 위험이 있고 신체적으로 적합하지 않을 경우 사용이 불가능하며,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나 조립이 불편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선행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받침판 상단에 형성된 외곡선부안내홈 상에 운동기구가 시소 운동을 하는 형태로 이물질이 끼거나 마모되기 쉽고 외시소작용판이 손상될 경우 수리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외곡선부안내홈에서 운동기구가 이탈할 경우 사용자는 큰 위험에 빠질 수 있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나 조립이 불편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선행특허문헌 3은 유압실린더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증대하고 보관이 용이하도록 구비된 바퀴는 덮개를 분실하거나 부주의로 인해 바퀴를 폐쇄하지 않을 경우 사용 시 미끄럼에 의해 큰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조립이나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2인이 함께 운동이 가능한 2인용 하체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체운동뿐만 아니라 허리운동도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2인용 하체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운동기구는 승하강 진폭운동에 의해 바닥과 선접촉을 할 수 있도록 원호 형상으로, 상호 이격 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 양단에 구비되는 평탄한 지지대;와 상기 이격 되어 나란하는 한 쌍의 프레임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승하강 진폭운동 시에도 연결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플랙시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의 대응되는 각각의 내측 면에는 상기 플랙시블부재의 간격을 조절하여 승하강 진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간격조절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는 각각의 상면에 지압이 가능하도록 돌기부가 형성된 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랙시블부재는 복수의 간격조절홈에 단일 또는 복수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순차적인 승하강 진폭운동 시 가해지는 비틀림에 유연하게 동작이 가능한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랙시블부재는 양단에 간격조절홈에 대응하여 체결이 가능하도록 체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승하강 진폭운동에 의해 선 접촉을 하는 밑면에 대응하여 마찰에 의한 소음과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마찰방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의 밑면에 상기 마찰방지부재를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절감함에 따라, 구매비용을 최소화하여 일반 가정집에서 쉽게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벼운 동작만으로 하체의 근육과 근력을 높이고 2인이 함께 운동함으로써, 친밀감 상승과 함께 운동에 대한 흥미를 최대화하여 지속적인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 서로 지지하며 운동하기 때문에 비상사고에도 대응하기 쉽고 안전하게 운동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밑 면이 원호 형상으로 원호형상을 따라 누워 허리를 젖힘으로써, 하체운동뿐만 아니라 허리운동도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밑 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마찰방지부재의 장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밑 면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밑 면을 설명하기 위한 하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마찰방지부재의 장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밑 면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2인이 동시에 하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단에 발을 거치할 수 있는 지지대(20)를 구비하는 한 쌍의 프레임(10) 상에 사용자가 보행 운동함으로 인해 승하강 진폭운동을 하며, 지지대(20)의 상단에 지압부재(21)를 구비하여 운동 시 지압 효과를 가지고 하체 근력 운동과 운동의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2인이 함께 운동이 가능한 2인용 하체 운동기구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운동기구는 승하강 진폭운동에 의해 바닥과 선접촉을 할 수 있도록 원호 형상으로, 상호 이격 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프레임(10); 및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양단에 구비되는 평탄한 지지대(20);와 상기 이격 되어 나란하는 한 쌍의 프레임(1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승하강 진폭운동 시에도 연결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플랙시블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 따라 상기 프레임(10)은 일측의 지지대(20)를 가압할 시 원호형상의 밑면(11)이 바닥면과 선접촉을 하게 되고 타측의 지지대(20)는 시소 운동에 의해 상향된다. 또한, 상기 플랙시블부재(30)는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는 한 쌍의 프레임(10) 사이에 연결되어 구속하므로 일측의 지지대(20)를 가압할 시 나란하는 프레임(10)의 지지대(20)는 일정구간 상향하게 된다. 그로 인해 사용자는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는 한 쌍의 프레임(10)의 지지대(20) 상에서 보행운동을 할 시에 한 쌍의 프레임(10)의 승하강 진폭운동이 이루어지고 플랙시블부재(30)의 구속력에 의해 일정이상의 힘을 가압해야 한다. 또한, 시소 운동에 의해 타측의 나란하는 프레임(10)의 지지대(20)상에도 사용자가 보행운동을 하여 한 쌍의 프레임(10)이 수월하게 승하강 진폭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2인이 일정한 힘을 가지고 보행운동을 하여 한 쌍의 프레임(10)의 승하강 진폭운동에 의해 하체의 근육과 근력이 단련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들의 친밀감 상승의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도 5에 도신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을 뒤집어 상기 지지대(20)를 바닥면으로 향하게 할 경우 원호 형상의 밑면(11)을 따라 허리를 젖힘으로써, 척추교정의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10)의 대응되는 각각의 내측 면에는 상기 플랙시블부재(30)의 간격을 조절하여 승하강 진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간격조절홈(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조절홈(12)은 프레임(10)의 내측 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간격조절홈(12)을 기준으로 양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플랙시블부재(30)의 이격되어 연결되는 위치에 따라 나란하는 한 쌍의 프레임(10)의 구속력을 조절하여 승하강 진폭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에 따라 간격조절홈(12)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0)는 각각의 상면에 지압이 가능하도록 돌기부가 형성된 지압부재(21)를 더 포함한다. 즉, 지지대(20)의 상면에 장착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지압부재(21) 상에서 일정의 가압을 가하는 보행운동을 지속적으로 행하기 때문에 돌기부에 의해 지압효과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압부재(21)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돌기부를 형성하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용자의 취향이나 지압 효과에 따라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지압을 원하지 않을 시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소재나 통상적인 발판에 무늬를 첨가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교체가 편리한 편의성을 가진다.
상기 플랙시블부재(30)는 복수의 간격조절홈(12)에 단일 또는 복수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순차적인 승하강 진폭운동 시 가해지는 비틀림에 유연하게 동작이 가능한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 따라 복수의 플랙시블부재(30)의 연결 시 한 쌍의 나란하는 프레임(10)의 내측 면에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간격조절홈(12)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연결된다. 더불어 상기 프레임(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간격조절홈(12)의 위치에 각각 연결하여 프레임(10)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일의 플랙시블부재(30)의 연결 시에는 중심축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의 중심에 형성된 간격조절홈(12)의 중심에 연결되어 구속력이 없는 단순한 시소 운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플랙시블부재(30)는 상기 프레임(10)의 지속적인 승하강 진폭운동으로 인해 가해지는 비틀림 응력에 의해 가변되거나 늘어짐 또는 파손되지 않고 유연하게 동작이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통고무나 스프링 또는 고무로프 등과 같은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랙시블부재(30)는 양단에 간격조절홈(12)에 대응하여 체결이 가능하도록 체결수단(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수단(31)은 플랙시블부재(30)가 상호 이격 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프레임(10)의 사이에 이격된 프레임(10)을 구속하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승하강 진폭운동에 의해 비틀림이나 늘어짐에 따라 간격조절홈(12)에서 이탈이나 파손 시 사용자가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밴딩, 볼팅, 후크, 로프, 스냅링등 다양한 방법으로 체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하게 체결이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승하강 진폭운동에 의해 선 접촉을 하는 원호 형상의 밑면(11)에 대응하여 마찰에 의한 소음과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마찰방지부재(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 따라 상기 마찰방지부재(50)는 상기 프레임(10)이 승하강 진폭운동에 의해 원호 형상의 밑면(11)이 바닥 면과의 마찰로 인해 쉽게 마모되거나 선접촉에 의한 소음과 미끌림에 의해 사용자가 위험에 노출될 수 있고 마모와 소음으로 인하여 사용함에 있어 불편할 수 있기 때문에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소재나 일정한 거칠기를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밑면(11)에 상기 마찰방지부재(50)를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홈(51)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찰방지부재(50)에 대응하도록 결합홈(51)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홈(51)에 장착되는 돌기부를 형성하는 패드형상의 마찰방지부재(50a)또는 상기 결합홈(51)에 장착되어 일부가 돌출되는 형상의 마찰방지부재(50b)를 착탈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운동기구의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하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프레임 11 : 밑 면
12 : 간격조절홈 20 : 지지대
21 : 지압부재 30 : 플랙시블부재
31 : 체결수단 50 : 마찰방지부재
51 : 결합홈

Claims (7)

  1. 2인용 하체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운동기구는 승하강 진폭운동에 의해 바닥과 선접촉을 할 수 있도록 원호 형상으로, 상호 이격 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 양단에 구비되는 평탄한 지지대;
    상기 이격 되어 나란하는 한 쌍의 프레임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승하강 진폭운동 시에도 연결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플랙시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인용 하체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대응되는 각각의 내측 면에는 상기 플랙시블부재의 간격을 조절하여 승하강 진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간격조절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인용 하체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각각의 상면에 지압이 가능하도록 돌기부가 형성된 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인용 하체 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랙시블부재는 복수의 간격조절홈에 단일 또는 복수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순차적인 승하강 진폭운동 시 가해지는 비틀림에 유연하게 동작이 가능한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인용 하체 운동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랙시블부재는 양단에 간격조절홈에 대응하여 체결이 가능하도록 체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인용 하체 운동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승하강 진폭운동에 의해 선 접촉을 하는 밑면에 대응하여 마찰에 의한 소음과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마찰방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인용 하체 운동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밑면에 상기 마찰방지부재를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인용 하체 운동기구.
KR1020130166195A 2013-12-27 2013-12-27 2인용 하체 운동기구 KR201500772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195A KR20150077226A (ko) 2013-12-27 2013-12-27 2인용 하체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195A KR20150077226A (ko) 2013-12-27 2013-12-27 2인용 하체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226A true KR20150077226A (ko) 2015-07-07

Family

ID=53790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6195A KR20150077226A (ko) 2013-12-27 2013-12-27 2인용 하체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72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0335U (ja) 滑り車式脚部鍛錬装置
KR20140060130A (ko) 악력완력기
US7857742B2 (en) Hip training apparatus
CN103584967A (zh) 多功能护理床
JP6678168B2 (ja) 多機能湾曲ボード
CN104324480A (zh) 多功能、多固定模式综合训练器
US9782619B2 (en) Muscles and bones stretching health device
KR101177798B1 (ko) 운동기구
US20110152034A1 (en) Machine for gymnastic exercises, particularly for muscle stretching
KR101862794B1 (ko) 근력 운동기구
KR101578447B1 (ko) 하체 운동기구
US11077357B2 (en) Skateboard
KR20150077226A (ko) 2인용 하체 운동기구
KR20140103073A (ko) 악력완력기
KR20130107600A (ko) 하체회전 운동기구
CN208911388U (zh) 无动力自主跑步机
KR102163804B1 (ko) 트렘플린기구의 스펙조절수단
KR20220040892A (ko) 스틱봉 체결구조를 갖는 운동기구
KR101837100B1 (ko)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
KR101018286B1 (ko) 지각 기반 운동형 보행운동기구
CN204655324U (zh) 一种可帮助恢复的医用护理床
KR101045433B1 (ko) 전신 운동기구
KR100848178B1 (ko) 슬라이드 가능한 스텝퍼
KR20120024249A (ko) 탄성연결수단을 이용한 슬라이딩기구
CN213912175U (zh) 一种神经内科护理用的腿部锻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