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6973A -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6973A
KR20150076973A KR1020130165743A KR20130165743A KR20150076973A KR 20150076973 A KR20150076973 A KR 20150076973A KR 1020130165743 A KR1020130165743 A KR 1020130165743A KR 20130165743 A KR20130165743 A KR 20130165743A KR 20150076973 A KR20150076973 A KR 20150076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tank
treatment apparatus
wat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3471B1 (ko
Inventor
이경민
박정철
노용연
박시준
송민섭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5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471B1/ko
Publication of KR20150076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가 내부에 구비되며 물이 저장되는 필터보호탱크;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처리장치{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물을 여과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이 저장되는 필터보호탱크 내에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가 구비되도록 하여 겨울에 정수필터가 동파에 의해서 파괴되거나 여름에 정수필터에 결로(結露)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처리장치는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수처리장치는 물의 여과를 위해서 정수필터가 하나 이상 포함되는 여과부를 포함한다.
여과부에 포함되는 정수필터는 연결관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며 연결관은 수도 등의 물공급원에 연결된다. 또한, 연결관은 정수탱크에 연결된다. 따라서, 물공급원의 물은 연결관을 통해 정수필터에 공급되고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를 거치면서 여과된 후 정수탱크에 저장된다.
여과부에 포함되는 정수필터는 수처리장치의 케이스 내에 구비된다. 대개의 수처리장치의 케이스는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외기가 수처리장치 케이스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겨울에는 영하의 외기가 수처리장치 케이스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수처리장치 케이스 내에 유입된 외기와 여과부의 정수필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져서 정수필터가 동파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름에는 고온의 외기가 수처리장치 케이스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수처리장치 내에 유입된 고온의 외기에 의해서 정수필터에 결로(結露)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정수필터를 외기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겨울에 정수필터가 동파되고 여름에 정수필터에 결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 및 여과부가 내부에 구비되며 물이 저장되는 필터보호탱크;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여과부는 정수필터와, 정수필터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을 필터보호탱크에 저장된 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보호탱크는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정수탱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보호탱크는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되는 정수탱크에 연결되어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보호탱크에는 단열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이 저장되는 필터보호탱크 내에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가 구비되도록 하여 정수필터를 외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겨울에 정수필터가 동파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여름에 정수필터에 결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와 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와 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3실시예와 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4실시예와 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와 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제1실시예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0)와 필터보호탱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200)는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210,220,230,2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여과부(2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디먼트필터(210), 프리카본필터(220), 역삼투압필터(230) 및, 포스트카본필터(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여과부(200)에 포함되는 정수필터(210,220,230,240)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물을 여과할 수 있는 정수필터라면 주지의 어떠한 정수필터라도 가능하다.
또한, 여과부(200)에 포함되는 정수필터(210,220,230,240)의 개수도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에 한정되지 않고 1개 이상의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여과부(200)의 정수필터(210,220,230,24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LC)에 의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관(LC)은 수도 등의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관(LC)은 정수탱크(도1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의 물은 정수필터(210,220,230,240)를 차례로 거치면서 여과되어 정수탱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연결관(LC)에는 밸브(V)가 구비되어 정수필터(210,220,230,240)로의 물의 유입과 정수필터(210,220,230,240)로부터의 물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다.
필터보호탱크(3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여과부(200)가 내부에 구비되고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수필터(210,220,230,240)를 포함하는 여과부(200)가 물이 저장된 필터보호탱크(300)의 내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외기로부터 정수필터(210,220,230,240)가 보호될 수 있다. 즉, 정수필터(210,220,230,240)가 직접 외기와 열교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겨울에 정수필터(210,220,230,240)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여름에 정수필터(210,220,230,240)에 결로(結露)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보호탱크(300)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탱크본체(310)와, 탱크본체(32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탱크본체(310)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311)과 물이 배출되는 배출관(312)이 구비될 수 있다.
탱크본체(310)의 유입관(311)도 수도 등의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탱크본체(310)의 유입관(311)이 연결되는 물공급원은 전술한 연결관(LC)이 연결되는 물공급원과 같을 수 있다. 그러나, 탱크본체(310)의 유입관(311)은 연결관(LC)이 연결되는 물공급원과 다른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도 있다.
물공급원의 물은 탱크본체(310)의 유입관(311)을 통해 탱크본체(310)에 유입되어 저장되고 탱크본체(310)에 저장된 물은 탱크본체(310)의 배출관(31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탱크본체(310)의 유입관(311)과 배출관(312)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V)가 구비되어 탱크본체(310)로의 물의 유입과 탱크본체(310)로부터의 물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다.
필터보호탱크(300)에는 단열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보호탱크(300)의 물이 정수필터(210,220,230,240)가 겨울에 동파되지 않고 여름에 결로가 발생하지 않는 소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필터보호탱크(300)에 구비되는 단열부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단열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단열부재라도 가능하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와 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는 도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와 여과부(200)가 보호부(25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의 여과부(200)는 보호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250)는 정수필터(210,220,230,240)와, 정수필터(210,220,230,24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LC)을 필터보호탱크(300)에 저장된 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예컨대, 보호부(250)는 정수필터(210,220,230,240)와, 정수필터(210,220,230,24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LC)을 필터보호탱크(300)에 저장된 물로부터 밀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210,220,230,240)와 연결관(LC)을 물에 의해서 영향받거나 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특별한 재료로 만들지 않아도 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수필터(210,220,230,240)와 연결관(LC)을 사용할 수 있다.
보호부(250)의 구성과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필터보호탱크(300)에 저장된 물로부터 정수필터(210,220,230,240)와 연결관(LC)을 보호할 수 있는 구성과 재료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3실시예와 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3실시예는 도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와 필터보호탱크(300)가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정수탱크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3실시예의 필터보호탱크(300)는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정수탱크일 수 있다. 즉, 정수탱크 내부에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여과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여과부(200)의 연결관(LC)과 탱크본체(310)의 유입관(311)이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필터보호탱크(300)를 두지 않고 수처리장치(100)에 포함된 정수탱크를 필터보호탱크(300)로 활용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4실시예와 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4실시예는 도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와 필터보호탱크(300)가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되는 정수탱크(T)에 연결되어 물이 공급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3실시예의 필터보호탱크(300)는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정수탱크(T)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탱크본체(310)의 유입관(311)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탱크(T)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여과부(200)의 연결관(LC)은 정수탱크(T)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부(200)의 정수필터(210,220,230,240)를 거치면서 여과되어 정수탱크(T)에 저장된 물이 탱크본체(310)의 유입관(311)을 통해 필터보호탱크(300)에 공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여과부(200)의 보호에 정수탱크(T)에 저장된 물을 사용하면서도 사용자에게 정수필터(210,220,230,240)가 담겼던 물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를 사용하면, 정수필터를 외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겨울에 정수필터가 동파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여름에 정수필터에 결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수처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수처리장치 200 : 여과부
210 : 세디먼트필터 220 : 프리카본필터
230 : 역삼투압필터 240 : 포스트카본필터
300 : 필터보호탱크 310 : 탱크본체
311 : 유입관 312 : 배출관
320 : 덮개 LC : 연결관
T : 정수탱크 V : 밸브

Claims (5)

  1.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가 내부에 구비되며 물이 저장되는 필터보호탱크;
    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정수필터와, 상기 정수필터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을 상기 필터보호탱크에 저장된 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부; 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보호탱크는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정수탱크인 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보호탱크는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되는 정수탱크에 연결되어 물이 공급되는 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보호탱크에는 단열부재가 구비되는 수처리장치.
KR1020130165743A 2013-12-27 2013-12-27 수처리장치 KR102193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743A KR102193471B1 (ko) 2013-12-27 2013-12-27 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743A KR102193471B1 (ko) 2013-12-27 2013-12-27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973A true KR20150076973A (ko) 2015-07-07
KR102193471B1 KR102193471B1 (ko) 2020-12-21

Family

ID=53789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743A KR102193471B1 (ko) 2013-12-27 2013-12-27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4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762A (ko) * 2017-12-27 2019-07-05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442U (ko) * 1997-04-16 1998-11-16 배순훈 정수기의 냉수탱크구조
KR19990035134U (ko) * 1999-06-02 1999-09-06 김문희 물탱크의정수장치
JP6104170B2 (ja) * 2011-11-10 2017-03-29 カモ井加工紙株式会社 粘着テープ及びマスカ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442U (ko) * 1997-04-16 1998-11-16 배순훈 정수기의 냉수탱크구조
KR19990035134U (ko) * 1999-06-02 1999-09-06 김문희 물탱크의정수장치
JP6104170B2 (ja) * 2011-11-10 2017-03-29 カモ井加工紙株式会社 粘着テープ及びマスカ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762A (ko) * 2017-12-27 2019-07-05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471B1 (ko) 202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12015029319A8 (pt) elemento de filtragem e filtro de ar
WO2010146393A3 (en) A water filter
DK1773722T3 (da) Rensningsindretning, indsats samt fremgangsmåde til rensning af en væske
AR073194A1 (es) Filtro de particulas
US20160083278A1 (en) Three-Stage Water Filtration Device
US20130277285A1 (en) Multi-canister water-filtration system
ATE479487T1 (de) Filter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feinstäuben aus einem staubbeladenen gasstrom sowie filteranlage
UA111720C2 (uk) Фільтрувальний пристрій для фільтрації газового потоку, що містить аерозолі і/або газоподібний йод
BRPI0908006A2 (pt) instalação de trocador de calor, circuito de combustível de turbomáquina, e, turbomáquina
US20160030862A1 (en) Water filtering system
KR20150076973A (ko) 수처리장치
CN106587413A (zh) 一种过滤废水的管道
CN207811405U (zh) 一种复合滤芯以及净水设备
CN103363496A (zh) 灯具呼吸装置及灯具
KR101038738B1 (ko) 정수 필터
CN104860431A (zh) 净水设备的过滤系统和具有其的净水设备
KR101647647B1 (ko) 고탁도필터의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KR101262109B1 (ko) 정수기
KR20120063884A (ko) 물배출장치
CN106745885A (zh) 一种带有过滤装置的管道
CN204619516U (zh) 一种自动清洁的水净化装置
CN204737812U (zh) 净水设备的过滤系统和具有其的净水设备
KR20140047996A (ko)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
CN211521773U (zh) 一种农用小分子团水活化器
CN107774019B (zh) 一种防冻滤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