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996A -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 - Google Patents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996A
KR20140047996A KR1020120114442A KR20120114442A KR20140047996A KR 20140047996 A KR20140047996 A KR 20140047996A KR 1020120114442 A KR1020120114442 A KR 1020120114442A KR 20120114442 A KR20120114442 A KR 20120114442A KR 20140047996 A KR20140047996 A KR 20140047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unit
microbial
carb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근상
조경제
황지현
최선미
강대식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4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7996A/ko
Publication of KR20140047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처리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는, 입수구와 출수구가 형성된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물에 함유된 미생물을 포함한 입자성 물질을 여과하는 미생물 필터부; 상기 미생물 필터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미생물 필터부를 통과한 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카본 필터부; 및 상기 카본 필터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출수구에 연결되며, 상기 카본 필터부에서 발생된 카본 분진을 여과하는 미분진 필터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필터를 소형화함으로써 수처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수처리 장치를 유지 보수하는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필터의 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COMPOSIT FILTER OF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 장치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만드는 장치이다. 수처리 장치에는 정수기, 온수기, 냉수기, 이온수기, 냉장고 등 다양한 장치가 있다.
이러한 수처리 장치에는 원수를 여과하기 위해 다수의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처리 장치에는 세디먼트 필터, 프리카본 필터, 역삼투 필터 또는 중공사막필터, 포스트카본 필터 등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60998호(2011.06.09. 공개)에는 정수기 및 정수기의 수환 살균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개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 장치 중 하나인 다수의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수처리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필터가 설치되므로, 수처리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필터의 교체 주기가 다르므로, 수처리 장치의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처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입수구와 출수구가 형성된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물에 함유된 미생물을 포함한 입자성 물질을 여과하는 미생물 필터부; 상기 미생물 필터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미생물 필터부를 통과한 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카본 필터부; 및 상기 카본 필터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출수구에 연결되며, 상기 카본 필터부에서 발생된 카본 분진을 여과하는 미분진 필터부; 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를 제공한다.
상기 미분진 필터부는, 상기 카본 필터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출수구에 연결되는 코어 부재; 및 상기 코어 부재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미분진 필터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분진 필터 소재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미분진 필터 소재의 일단부가 코어 부재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미분진 필터 소재는 코어 부재의 외측면에 감길 수 있다.
상기 미분진 필터 소재는 다수의 미분진 여과층을 포함하고, 상기 최외측 미분진 여과층에서 최내측 미분진 여과층으로 갈수록 공극이 작아질 수 있다.
상기 미생물 필터부는 지그재그로 절곡되고 상기 카본 필터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미생물 필터부는 다수의 미생물 여과층을 포함하고, 상기 최외측 미생물 여과층에서 최내측 미생물 여과층으로 갈수록 공극이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카본 필터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본 필터부는 입수구 측에서 반대측으로 갈수록 저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본 필터부는 밀도가 서로 다른 적어도 2개의 카본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카본 블록들은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필터를 소형화함에 의해 수처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처리 장치를 유지 보수하는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필터의 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합 필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복합 필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복합 필터의 미분진 필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미생물 필터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미분진 필터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복합 필터의 미분진 필터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복합 필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복합 필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복합 필터의 미분진 필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100)는 필터 하우징(110), 미생물 필터부(120), 카본 필터부(130) 및 미분진 필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하우징(110)은 하우징 바디(111)와 밀봉 캡(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바디(111)는 일측이 개구되고 타측이 폐쇄된 원통 또는 다각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봉 캡(113)은 하우징 바디(111)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하우징 바디(111)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밀봉 캡(113)에는 입수구(115)와 출수구(1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구(116)는 밀봉 캡(113)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수구(115)는 출수구(116)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출수구(116)와 입구수는 이중관 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 입수구(115)는 물이 필터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출수구(116)는 필터 하우징(110) 내부에서 여과된 물이 필터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출수구(116)에서 배출된 물은 수처리 장치의 타입에 따라 정수 탱크, 온수 탱크, 냉수 탱크 또는 직수 라인 등에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밀봉 캡(113)은 하우징 바디(111)의 개구부에 나사 결합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 캡(113)은 하우징 바디(111)의 개구부에 억지 끼움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밀봉 캡(113)과 하우징 바디(111)의 결합부에는 틈새를 실링하도록 오링이 끼워질 수도 있다. 이러한 밀봉 캡(113)과 하우징 바디(111)의 결합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미생물 필터부(120)는 상기 필터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미생물 필터부(120)는 물에 함유된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을 포함한 각종 입자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 필터부(120)는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주름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미생물 필터부(120)는 필터 하우징(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생물 필터부(120)가 주름진 형태로 형성되므로, 물과의 접촉면적을 1.5-10배 정도로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미생물 필터부(120)의 유효 여과 면적을 극대화시킴에 따라 미생물 필터부(120)의 여과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미생물 필터부(120)는 다른 크기의 공극을 갖는 복수의 미생물 여과층(125,12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미생물 여과층(125,126)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하나의 필터링 시트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미생물 여과층(125,126)이 2개의 층이 적층된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미생물 여과층(125,126)은 3개의 층 이상이 적층된 구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미생물 필터부(120)는 다른 크기의 공극을 갖는 복수의 미생물 여과층(125,126)을 포함하므로, 각 미생물 여과층(125,126)마다 서로 다른 크기의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다. 따라서, 미생물 필터부(120)의 특정 부위가 이물질이나 미생물에 의해 집중적으로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미생물 필터부(120)의 일부분에서 여과 기능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미생물 필터부(120) 전체가 정상적으로 여과할 수 있으므로, 복합 필터(100)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필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 필터부(120)가 막힘에 따라 복합 필터의 수압이 현저히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복합 필터(100) 내지 수처리 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 필터부(120)에는 카본 필터부(130)(복합 필터의 중심부) 측으로 갈수록 작은 공극이 형성된 미생물 여과층(125,126)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미생물 필터부(120)는 최외측에 가장 큰 공극을 갖는 미생물 여과층(125)이 배치되고 내측에 가장 작은 공극이 형성된 미생물 여과층(126)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미생물 필터부(120)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공극이 점차적으로 작게 형성되므로, 최외측 미생물 여과층(125)에서는 가장 큰 크기의 미생물을 포함한 각종 입자성 물질이나 이물질이 여과되고, 최내측 미생물 여과층(126)에서는 가장 작은 크기의 미생물을 포함한 각종 입자성 물질이나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다.
따라서, 미생물 필터부(120)는 최외측에서 가장 큰 미생물을 포함한 각종 입자성 물질이나 이물질이 먼저 여과된 후 최내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은 미생물을 포함한 각종 입자성 물질이나 이물질이 여과되므로, 미생물 필터부(120)의 두께방향을 따라 여과되는 미생물을 포함한 각종 입자성 물질이나 이물질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나아가, 미생물 필터부(120)의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에, 미생물 필터부(120)의 외측과 내측의 여과 성능이 현저히 균일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생물 필터부(120)의 특정 미생물 여과층(125,126)이 미생물을 포함한 각종 입자성 물질이나 이물질에 의해 집중적으로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미생물 필터부(120)의 특정 층에서 여과 기능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거의 모든 미생물 여과층(125,126)이 이물질을 정상적으로 여과할 수 있으므로, 복합 필터(100)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복합 필터(10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아울러, 미생물 필터부(120)의 특정 층이 막힘에 따라 복합 필터(100)의 수압이 현저히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복합 필터(100) 내지 수처리 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미생물 필터부(120)가 길이방향 및 두께방향 전체적으로 균일한 여과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미생물 필터부(120)가 전체적으로 여과에 참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 필터부(120)의 일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1의 미생물 필터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미생물 필터부(120)는 지지체(121)와 미생물 여과층(125,1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121)의 내부에는 2개 이상의 미생물 여과층(125,126)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121)는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다공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121)는 미생물 필터부(120)가 카본 필터부(13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120)는 미생물 필터부(120)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미생물 필터부(120)에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최외측 미생물 여과층(125)에는 0.5-2um의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최외측 미생물 여과층(125)의 공극이 0.5um 미만인 경우, 미생물 필터부(120)의 외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물이 통과될 수 있다. 따라서, 미생물 필터부(120)에서 물의 유동 성능이 현저히 저하되므로, 복합 필터(100)의 수압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고, 미생물 필터부(120)의 여과 성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복합 필터(100)의 수압이 증가함에 따라 복합 필터(100)나 수처리 장치가 파손될 위험이 현저히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비해, 상기 최외측 미생물 여과층(125)의 공극이 2um를 초과하는 경우, 미생물 필터부(120)의 외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물이 통과될 수 있다. 따라서, 최외측 미생물 여과층(125)에는 이물질이 거의 여과되지 않을 수 있고, 내측에 배치된 미생물 여과층(125,126)에 이물질의 여과가 편중될 수 있다. 나아가, 미생물 필터부(120)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여과 기능을 수행하기 곤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내측 미생물 여과층(126)에는 0.02-0.5um의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최내측 미생물 여과층(126)은 미생물 필터부(120)에서 최종적으로 이물질과 바이러스 등을 여과하는 층이다.
상기 최내측 미생물 여과층(126)의 공극이 0.02um 미만인 경우, 미생물 필터부(120)의 내측면에서 현저히 작은 양의 물이 통과될 수 있다. 따라서, 미생물 필터부(120)에서 물의 유동 성능이 현저히 저하되므로, 복합 필터(100)의 수압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고, 미생물 필터부(120)의 여과 성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복합 필터(100)의 수압이 증가함에 따라 복합 필터나 수처리 장치가 파손될 위험이 현저히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비해, 상기 최내측 미생물 여과층(126)의 공극이 0.5um를 초과하는 경우, 미생물 필터부(120)의 내측 공극이 너무 크게 형성됨에 따라 미생물 필터부(120)에서 최종적으로 이물질과 바이러스 등이 여과되기 곤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처리 장치의 용량, 수압, 여과 성능 또는 여과 속도 등을 고려하여 미생물 필터부(120)의 미생물 여과층(125,126)의 공극이 적절하게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카본 필터부(130)는 입수구(115) 측에서 반대측으로 갈수록 저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본 필터부(130a)는 일정한 길이단위로 입수구(115) 측에서 반대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저밀도 구간이 배치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본 필터부(130)는 밀도가 서로 다른 적어도 2개의 카본 블록(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본 블록(131,132)들은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수구(115) 측에 배치된 카본 블록(131,132)은 가장 고밀도로 형성되고, 상기 입수구(115) 측의 반대편에 배치된 카본 블록(131,132)은 가장 저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합 필터는 입수구(115) 측이 입수구(115) 반대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압이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합 필터는 입수구(115) 측에 상대적으로 고밀도의 카본 블록(131,132)이 배치되므로, 고밀도 카본 블록(131,132)에서 충분한 투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필터부는 입수구(115) 반대측에 상대적으로 저밀도의 카본 블록(131,132)이 배치되므로, 저밀도 카본 블록(131,132)에 상대적으로 낮은 수압이 작용하더라도 충분한 투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복합 필터의 여과 성능이 전체적으로 균일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복합 필터의 내부에서 수압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카본 필터부(130)는 미생물 필터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본 필터부(130)는 카본 분말을 원통 또는 다각통 형태로 고형화한 카본 블록(131,132)일 수 있다. 상기 카본 필터부(130)는 출수구(116)와 연결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미생물 필터부(120)에서 여과된 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이러한 카본 필터부(130)는 물에 함유된 납과 같은 중금속을 여과할 수 있다.
상기 미분진 필터부(140)는 상기 카본 필터부(1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미분진 필터부(140)는 출수구(116)에 연결되며, 상기 카본 필터부(130)에서 발생된 카본 분진을 여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미분진 필터부(140)는 필터 사용 초기 및 사용중에 상기 카본 필터부(130)에서 발생된 카본 분진뿐만 아니라 각종 입자성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상기 미분진 필터부(140)는 코어 부재(141)와 미분진 필터 소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부재(141)는 상기 카본 필터부(13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출수구(116)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 부재(141)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14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어 부재(141)는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수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미분진 필터 소재(143)는 상기 코어 부재(141)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분진 필터 소재(143)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미분진 필터 소재(143)의 일단부가 코어 부재(141)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미분진 필터 소재(143)는 코어 부재(141)의 외측면에 감기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 부재(141)는 미분진 필터 소재(143)가 일정한 형태를 이루도록 지지하면서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미분진 필터 소재(143)는 코어 부재(141)의 외측면에 1겹으로 감긴 형태 또는 복수 겹으로 감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분진 필터 소재(143)가 복수 겹으로 감긴 경우, 물이 미분진 필터 소재(143)에 지그재그로 통과하므로 물의 유동거리가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미분진 필터 소재(143)와 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므로, 카본 분진과 입자성 이물질의 여과 성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미분진 필터부의 일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1의 미분진 필터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미분진 필터 소재(143)는 지지층(144)과 미분진 여과층(145,14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층(121)은 미분진 필터 소재(143)의 양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미분진 여과층(145,146)은 지지층(14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층(144)은 미분진 여과층(145,146)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층(144)은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공극이 형성된 다공성 부재일 수 있다.
상기 미분진 여과층(145,146)은 지지층(144) 사이에 2개 이상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미분진 여과층(145,146)은 공극을 갖는 부직포, 섬유막, 합성수지막 또는 이들의 복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미분진 여과층(145,146)은 씨줄과 날줄이 교차함에 의해 직조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미분진 여과층(145,146)들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미분진 필터 소재(143)의 내측면을 향하는 미분진 여과층(145,146)은 공극이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미분진 필터 소재(143)의 외측면을 향하는 미분진 여과층(145,146)은 공극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분진 여과층(145,146)들이 서로 다른 크기의 공극을 가지므로, 각 미분진 여과층(145,146)마다 서로 다른 크기의 카본 분진 및 입자성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여과층이 집중적으로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미분진 필터부(140)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필터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미분진 필터부(140)에서 물의 유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복합 필터(100) 내부에서 수압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2개의 미분진 여과층(145,146)이 적층된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미분진 필터부(140)는 제1 미분진 여과층(145)과 제2 미분진 여과층(14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미분진 여과층(145)에는 1-10um의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미분진 여과층(145)의 공극이 1um 미만인 경우, 제1 미분진 여과층(145)에 다량의 카본 분진과 입자성 이물질이 집중적으로 여과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미분진 여과층(145)을 통과하는 물의 양이 현저히 감소되어 여과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제1 미분진 여과층(145)에서 물의 여과가 편중되게 이루어지므로, 미분진 필터부(140)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여과 성능을 갖기는 곤란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제1 미분진 여과층(145)의 공극이 10um를 초과하는 경우, 제2 미분진 여과층(146)에서 여과할 카본 분진과 입자성 이물질의 여과량이 증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미분진 여과층(146)에서 여과가 편중되게 이루어지므로, 미분진 필터부(140)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여과 성능을 갖기는 곤란할 수 있다.
상기 제2 미분진 여과층(146)에는 0.2-1um의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미분진 여과층(146)의 공극이 0.2um 미만인 경우, 제2 미분진 여과층(146)에서 물의 유동성이 현저히 악화되어 여과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비해, 제2 미분진 여과층(146)의 공극이 1um를 초과하는 경우, 제2 미분진 여과층(146)의 공극이 제1 미분진 여과층(145)과 유사하여 제2 미분진 여과층(146)에서 정상적인 여과가 진행되기 곤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처리 장치의 용량, 수압, 여과 성능 또는 여과 속도 등을 고려하여 미분진 필터부(140)에서 미분진 여과층(145,146)의 공극이 적절하게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필터의 제2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실시예는 카본 필터부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의 카본 필터부의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복합 필터의 미분진 필터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카본 필터부(130a)는 미생물 필터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본 필터부(130a)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본 필터부(130a)는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본 필터부(130a)는 카본 분말을 고온에서 압착하여 고형화시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카본 필터부(130a)는 동일한 밀도로 형성되므로, 카본 필터부(130a)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키고 카본 필터부의 설치(130a)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복합 필터(100)는 미생물 필터부(120), 카본 필터부(130,130a) 및 미분진 필터부(140)를 하나의 필터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하므로, 수처리 장치에서 필터가 설치되는 공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처리 장치의 크기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필터(100)는 다양한 필터부를 하나의 필터에 내장이 가능하므로, 수처리 장치를 유지 보수하는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복합 필터 110: 필터 하우징
111: 하우징 바디 113: 밀봉 캡
115: 입수구 116: 출수구
120: 미생물 필터부 121: 지지층
125,126: 미생물 여과층 130,130a: 카본 필터부
131,132: 카본 블록 140: 미분진 필터부
141: 코어 부재 141a: 통공
143: 미분진 필터 소재 144: 지지층
145,146: 미분진 여과층

Claims (9)

  1. 입수구와 출수구가 형성된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물에 함유된 미생물을 포함한 입자성 물질을 여과하는 미생물 필터부;
    상기 미생물 필터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미생물 필터부를 통과한 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카본 필터부; 및
    상기 카본 필터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출수구에 연결되며, 상기 카본 필터부에서 발생된 카본 분진을 여과하는 미분진 필터부;
    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진 필터부는,
    상기 카본 필터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출수구에 연결되는 코어 부재; 및
    상기 코어 부재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미분진 필터 소재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진 필터 소재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미분진 필터 소재의 일단부가 코어 부재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미분진 필터 소재는 코어 부재의 외측면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진 필터 소재는 다수의 미분진 여과층을 포함하고,
    상기 최외측 미분진 여과층에서 최내측 미분진 여과층으로 갈수록 공극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필터부는 지그재그로 절곡되고 상기 카본 필터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필터부는 다수의 미생물 여과층을 포함하고,
    상기 최외측 미생물 여과층에서 최내측 미생물 여과층으로 갈수록 공극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필터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밀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필터부는 입수구 측에서 반대측으로 갈수록 저밀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필터부는 밀도가 서로 다른 적어도 2개의 카본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카본 블록들은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
KR1020120114442A 2012-10-15 2012-10-15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 KR20140047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442A KR20140047996A (ko) 2012-10-15 2012-10-15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442A KR20140047996A (ko) 2012-10-15 2012-10-15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996A true KR20140047996A (ko) 2014-04-23

Family

ID=50654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442A KR20140047996A (ko) 2012-10-15 2012-10-15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79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7210540B2 (en) * 2016-08-05 2018-10-18 Lg Electronics Inc. Filter system
KR20190023254A (ko) * 2017-08-28 2019-03-08 코웨이 주식회사 직수형 정수기의 메인 필터용 소재 및 그 필터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7210540B2 (en) * 2016-08-05 2018-10-18 Lg Electronics Inc. Filter system
KR20190023254A (ko) * 2017-08-28 2019-03-08 코웨이 주식회사 직수형 정수기의 메인 필터용 소재 및 그 필터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8010B1 (ko)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
WO2010093026A1 (ja) ろ過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682766A (zh) 过滤装置
US10293283B2 (en) Multistage filter
KR20160012011A (ko) 필터 시스템
KR20140047996A (ko)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
KR102010976B1 (ko) 카본필터
CN210915611U (zh) 复合滤芯及净水系统
KR102611950B1 (ko) 활성탄을 이용한 정수용 다기능 복합 필터
KR20090116438A (ko) 정수기용 필터
US20210340028A1 (en) Filtration system
JP4603303B2 (ja) 水処理装置
CN210915612U (zh) 复合滤芯及净水系统
TWI295583B (en) Water purifier
JP2012166122A (ja) 筒形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及び該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を含む濾過装置
CN210261330U (zh) 一种净水器
JP4688049B2 (ja) 浄水器及び浄水器の逆洗方法
JP2006000798A (ja) イオン交換フィルタ
US11376529B2 (en) Particle filter system
CN214114980U (zh) 一种过滤芯、过滤组件及出水装置
KR101947998B1 (ko) 카본필터
TWI391176B (zh) Water filter
US20150068967A1 (en) High adsorption chambered filter
CN218188255U (zh) 便于更换的大流量滤芯
CN212179235U (zh) 一种具有过滤功能的即热式热水器出水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