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6656A -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6656A
KR20150076656A KR1020130165137A KR20130165137A KR20150076656A KR 20150076656 A KR20150076656 A KR 20150076656A KR 1020130165137 A KR1020130165137 A KR 1020130165137A KR 20130165137 A KR20130165137 A KR 20130165137A KR 20150076656 A KR20150076656 A KR 20150076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wave
inner container
dried
intermediate cov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현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이용현
모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이용현, 모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65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6656A/ko
Publication of KR20150076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6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F26B11/0495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with provisions for drying by electro-magnetic means, e.g. radiation, micro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2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on or in stationary dishes, trays, pans, or other mainly-open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26B3/2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the heat source and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eing in relative motion, e.g. of vibration
    • F26B3/2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the heat source and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eing in relative motion, e.g. of vibration the movement being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는 내부용기, 상기 내부용기를 수용하며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가 설치되는 중간커버, 상기 내부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건조 대상물의 투입구가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여,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로부터 생성되어 내부용기로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로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는 상기 중간커버의 하면에 복수개 설치되며, 내부용기와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가 설치된 중간커버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로부터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 간의 간섭을 차단하는 차폐막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DRYING EQUIPMENT USING MICROWAVE}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장치 내로 투입된 건조 대상물을 효과적으로 건조하고,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 간의 간섭을 억제함으로써 건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는 예를 들면, 농수산물, 축분, 폐란, 음식물 등의 수분을 제거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종래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건조장치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가 건조대상물이 수용되는 내통의 상부에 설치되어 내통의 상방 개구부를 통해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건조시키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내통의 상부로 상승하는 수증기 등이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와 충돌하여 건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1043594호에는 건조대상물을 수용하는 내통의 재질을 비도체로 구성함으로써, 복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를 내통의 하부 및 측면에 설치하고 생성된 마이크로웨이브가 내통을 투과하여 건조대상물에 조사되도록 하는 건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건조장치의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처리할 내용물의 양이나 종류 등 구체적인 용도에 따라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의 개수 및 설치위치를 가변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한정된 영역에 다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가 설치될 경우 다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에서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 간에 상호 간섭으로 인한 손실 발생이 불가피하였다. 또한, 다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를 작동시킬 때 발생하는 열은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가 설치된 건조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다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에서 각각 생성되어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온도상승으로 인한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는,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는 내부용기, 상기 내부용기를 수용하며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가 설치되는 중간커버, 상기 내부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건조 대상물의 투입구가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여,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로부터 생성되어 내부용기로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로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는 상기 중간커버의 하면에 복수개 설치되며, 내부용기와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가 설치된 중간커버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로부터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 간의 간섭을 차단하는 차폐막이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폐막은 각각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 사이에 설치되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가 설치된 중간커버의 하면으로부터 내부용기의 하면까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커버의 하면에 설치된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의 하부에는 냉각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조장치는, 상기 중간커버의 외부 하방 측벽에 설치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중간커버로부터 내부용기를 관통하여 내부용기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쇄스크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쇄스크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나선모양으로 연장형성된 블레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용기의 하부 일측에는 건조된 건조대상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되며, 중간커버에서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개구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건조장치의 덮개부에는 내부용기에 수용된 건조 대상물이 건조됨에 따라 방출되는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배기후드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상면에 중간커버의 상부 하면이 접하여 중간커버가 걸쳐지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면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모서리 하면에 접하여 상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중간프레임, 및 모서리 상면에 중간프레임의 하면이 접하여 중간프레임을 지지하는 하부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면에 로드셀이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 간에 차폐막을 설치함으로써, 다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에서 각각 생성된 마이크로웨이브간의 간섭을 억제하여 조사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가 설치된 영역의 하부에 냉각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온도상승으로 인한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의 성능저하를 방지하여 건조효율을 좋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에서, 중간커버의 하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의 배치구조의 예를 나타내기 위하여 중간커버 하면을 위에서 내려다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에서, 분쇄스크류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내부용기 하면을 위에서 내려다본 도면,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에서 덮개부의 평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하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건조장치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는 건조 대상물이 수용되는 내부용기(100), 내부에 상기 내부용기가 장착되며 하면에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210)가 설치된 중간커버(200), 상기 내부용기(100)의 상부를 덮으며 건조 대상물의 투입구(310)가 마련된 덮개부(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커버(200)의 하면에 설치된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210)에서 생성된 마이크로웨이브를 건조 대상물이 수용된 내부용기(100)의 바닥쪽을 향하여 조사함으로써 내용물을 건조시키는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내부용기(100)는 마이크로웨이브가 투과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와 같은 부도체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내부용기 바닥이 중간커버(200)의 바닥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내부용기의 상방 개구의 둘레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중간커버의 상부 둘레에 걸려져 장착되도록 한다.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내부용기(100)의 상기 걸림턱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중간커버(200)의 상부 둘레에는 걸림턱의 하면에 대응하는 치수의 지지턱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210)로부터 내부용기와 중간커버 사이의 하부 빈 공간으로 내부용기(100)를 향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면,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는 부도체 재질의 내부용기를 투과하여 그 안에 수용된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건조장치에 있어서,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210)는 중간커버(200)의 측벽이나 하부에 다수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3에 본 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채택한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의 배치구조를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커버(200)의 하면에 다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가 설치된 구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배치된 각각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에는 전원공급장치(220)가 연결된다(도 1 및 도 2 참조).
이와 같이 건조장치에 다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가 설치되는 경우,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로부터 각각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 간에 간섭으로 인한 손실이 발생한다. 이러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210) 사이에 차폐막(230)을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폐막(230)은 내부용기와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가 설치된 중간커버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서 각각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 사이에 설치되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가 설치된 중간커버의 하면으로부터 내부용기의 바깥쪽 하면까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차폐막(230)을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를 몇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 간의 경계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때, 동일 그룹 내에 속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들은 서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조사방향이 조정될 수 있고, 역으로 그렇게 조정되어 상호 간섭이 최소화된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들이 하나의 그룹으로 묶여지도록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210)가 중간커버(200)의 하면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었고, 이에 따라 차폐막도 중간커버(200)와 내부용기(100) 사이의 하부 이격 공간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차폐막의 설치 공간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어서,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가 중간커버의 측벽에 설치된 경우라면 중간커버와 내부용기 사이의 측면 이격 공간에 차폐막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건조장치는, 건조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내부용기(100)에 수용된 건조 대상물을 분쇄하고 교반하는 분쇄 수단이 구비된다(도 1 및 도 2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교반, 분쇄 수단으로서 분쇄스크류(41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쇄스크류(410)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나선모양으로 연장형성된 블레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쇄스크류(410)의 작동을 위하여, 중간커버(200)의 외부 하방 측벽에 모터(421)가 구비된 분쇄스크류의 구동부(420)가 설치되며, 분쇄스크류(410)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중간커버(200)로부터 내부용기(100)를 관통하여 내부용기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이로써, 모터의 회전동력에 의해 분쇄스크류의 회전축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블레이드도 함께 회전하여 건조 대상물을 분쇄, 교반한다. 상기 분쇄스크류(410)는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조장치의 용도나 건조대상물의 양에 따라 적절히 그 수를 증감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는 6개의 분쇄스크류(410)가 설치된 구조를 나타내었다.
건조작업이 완료된 후에 건조된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내부용기(100)의 하부 일측에는 배출구(110)가 마련되고, 중간커버(200)에서 상기 배출구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개구(24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구(110)에는 배출구 커버가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에어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에어실린더의 일측에는 배출구 커버를 장착시키고 타측은 중간커버에 고정한 후, 에어실린더의 승강동작에 의해 배출구 커버가 배출구에 탈장착되도록 함으로써 배출구가 개폐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건조작업의 진행 중에 건조 대상물로부터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건조장치의 덮개부(300)에는 배기후드(32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기후드(320)는 덮개부에 장착된 배기 팬(321)과 배기 팬을 통한 수증기 등의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호스(322)를 구비한다. 도 5에 덮개부에 증기배출 통로로서 배기 호스가 설치된 예를 나타내었다. 배기후드는 건조장치의 용도나 건조대상물의 양에 따라 적절히 그 수를 증감하여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중간커버(200)의 하부에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210)가 설치된 공간의 하부에는, 에어컨 등의 냉각장치(2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건조를 위하여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가 장시간 동작함에 따라 발생된 열로 인하여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는 내부용기(100)와 중간커버(200)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면에 중간커버(200)의 상부 하면이 접하여 중간커버의 지지턱이 걸쳐지는 상부 플레이트(510)와, 상면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510)의 모서리 하면에 접하여 상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중간프레임(520), 및 모서리 상면에 중간프레임(520)의 하면이 접하여 중간프레임을 지지하는 하부플레이트(530)를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건조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532) 이외에도 로드셀(531)이 장착될 수 있다.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건조 대상물로부터 수분이 방출되어 건조 전의 무게와 차이가 나게 되는데, 상기 로드셀(531)은 이때의 무게 변화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건조장치는 상기 로드셀을 통해 감지된 무게 변화에 기초하여,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210), 분쇄스크류(410), 냉각장치(250) 등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내부용기 200 중간커버
210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 220 전원장치
230 차폐막 250 냉각장치
300 덮개부 310 투입구
320 배기후드 410 분쇄스크류
420 구동부 510 상부플레이트
520 중간프레임 530 하부플레이트

Claims (8)

  1.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는 내부용기, 상기 내부용기를 수용하며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가 설치되는 중간커버, 상기 내부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건조 대상물의 투입구가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여,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로부터 생성되어 내부용기로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로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는 상기 중간커버의 하면에 복수개 설치되며,
    내부용기와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가 설치된 중간커버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로부터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 간의 간섭을 차단하는 차폐막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폐막은 각각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 사이에 설치되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가 설치된 중간커버의 하면으로부터 내부용기의 하면까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커버의 외부 하방 측벽에 설치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중간커버로부터 내부용기를 관통하여 내부용기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쇄스크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쇄스크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나선모양으로 연장형성된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커버의 하면에 설치된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의 하부에 냉각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의 하부 일측에는 건조된 건조대상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되며, 중간커버에서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내부용기에 수용된 건조 대상물이 건조됨에 따라 방출되는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배기후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면에 상기 중간커버의 상부 하면이 접하여 상기 중간커버가 걸쳐지도록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
    상면이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모서리 하면에 접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중간프레임; 및
    모서리 상면에 상기 중간프레임의 하면이 접하여 상기 중간프레임을 지지하는 하부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면에는 건조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
KR1020130165137A 2013-12-27 2013-12-27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 KR20150076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137A KR20150076656A (ko) 2013-12-27 2013-12-27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137A KR20150076656A (ko) 2013-12-27 2013-12-27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656A true KR20150076656A (ko) 2015-07-07

Family

ID=53789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137A KR20150076656A (ko) 2013-12-27 2013-12-27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66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1288A (zh) * 2018-09-25 2019-02-15 广州博昊信息科技有限公司 纺织烘干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1288A (zh) * 2018-09-25 2019-02-15 广州博昊信息科技有限公司 纺织烘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06472A (ko) 가열조리장치
KR101043594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멸균 건조장치
JP6656847B2 (ja) 真空包装機
KR20180039950A (ko) 마이크로파 건조장치
US20230221072A1 (en) Drying apparatus for powder raw material for manufacturing secondary cell with electric heater
KR20150076656A (ko)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장치
CN213631325U (zh) 一种可均匀受热的谷物干燥机
CN206739794U (zh) 有机肥输送干燥设备
KR1010530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
CN111219966B (zh) 一种固体颗粒饮料用烘干装置
JP4740495B2 (ja) 円錐型混合乾燥機
EP1880580A1 (en) Microware oven with a cooking air duct
RU49200U1 (ru) Зерносушилка
KR201001168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2002071269A (ja) 乾燥方法および乾燥装置
KR100512256B1 (ko) 대용량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3543040U (zh) 一种调配试管烘干装置
RU159391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сыпучих продуктов
CN214095297U (zh) 一种花椒油制备原料干燥装置
JPH0842970A (ja) 太陽熱利用の穀物乾燥装置
CN219561299U (zh) 一种可防止结块的覆膜砂散热设备
KR20120073596A (ko) 전자레인지용 방열장치
CN210512380U (zh) 一种医药中间体合成的原料干燥设备
RU15622U1 (ru) Микроволновая сушилка (варианты)
CN215162947U (zh) 一种回火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