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6531A - 제어 장치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제어 장치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6531A
KR20150076531A KR1020130164837A KR20130164837A KR20150076531A KR 20150076531 A KR20150076531 A KR 20150076531A KR 1020130164837 A KR1020130164837 A KR 1020130164837A KR 20130164837 A KR20130164837 A KR 20130164837A KR 20150076531 A KR20150076531 A KR 20150076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server
shared account
input
us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237B1 (ko
Inventor
홍진영
공동건
김세훈
배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4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237B1/ko
Priority to US14/578,686 priority patent/US10389816B2/en
Publication of KR20150076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 장치는 서버 또는 다른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 및 제1 제어 장치 또는 제2 제어 장치가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공유 계정(shared account)을 서버에 요청하고, 서버로부터 공유 계정을 수신하고, 제2 제어 장치로부터 등록 요청(registration request)을 수신하고, 입력부가 등록 요청을 승인(approve)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제2 제어 장치의 장치 등록(device registration)을 서버에 요청하고, 서버로부터 장치 등록의 완료(completion)를 통지받으면 제2 제어 장치에 공유 계정을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공유 계정은 제1 제어 장치 또는 제2 제어 장치에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서버에 등록하지 않은 계정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등록 절차를 거치지 않고 간편하게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어 장치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CONTROL DEVICE TO SERVER}
본 발명은 제어 장치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버에 등록되지 않은 제어 장치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서 서버에 기 등록된 제어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 서비스는 가정내의 다양한 장치(Device)들을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홈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기기는 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Control Device)와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스마트 장치(Smart Device)로 나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각 사용자(user)는 하나 이상의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스마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가정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각 사용자는 서버에 등록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서버에 등록하는 절차는 사용자 등록(User Registration) 및 장치 등록(Device Registr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등록은 사용자 계정(User Account)을 생성하기 위한 절차이다. 사용자 등록은 서비스 등록(Service Registr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서버에 등록하는 절차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새로운 사용자는, 서버에 기 등록된 사용자 계정의 서브(sub)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경우에도, 사용자 등록 절차를 모두 거쳐야 한다. 서버에 기 등록된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가, 타인과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공유하고 싶은 경우에, 절차를 간소화하여 사용자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서버 등록 및 로그인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등록된 제1 제어 장치가 제2 제어 장치의 서버 등록을 지원(support)하는 방법은, 상기 제1 제어 장치 또는 상기 제2 제어 장치가 상기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공유 계정(shared account)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공유 계정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제어 장치로부터 등록 요청(registration request)을 수신하고, 상기 등록 요청을 승인(approve)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2 제어 장치의 장치 등록(device registration)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장치의 장치 등록의 완료(completion)를 통지받으면(notified) 상기 제2 제어 장치에 상기 공유 계정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계정은 상기 제1 제어 장치 또는 제2 제어 장치에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 장치의 서버 등록을 지원하고 서버에 등록된 제1 제어 장치는, 상기 서버 또는 다른 제어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제1 제어 장치 또는 상기 제2 제어 장치가 상기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공유 계정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공유 계정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제어 장치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등록 요청을 승인(approve)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2 제어 장치의 장치 등록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장치의 장치 등록의 완료를 통지받으면 상기 제2 제어 장치에 상기 공유 계정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계정은 상기 제1 제어 장치 또는 제2 제어 장치에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 장치가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은, 제2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제1 제어 장치에 등록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제1 제어 장치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공유 계정을, 상기 제1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공유 계정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로그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계정은 상기 제1 제어 장치 또는 제2 제어 장치에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 장치는, 상기 서버 또는 다른 제어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가 제2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제1 제어 장치에 등록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제2 제어 장치가 상기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공유 계정을 상기 제1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공유 계정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로그인을 요청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계정은 상기 제1 제어 장치 또는 제2 제어 장치에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에 등록하는 절차를 완료한 계정과 상이한 계정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등록 절차를 거치지 않고 간편하게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서버에 등록하는 과정에 사용자 등록을 위해 개인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가 보장된다. 서버가 아니라 제어 장치에서 계정의 권한(Authority) 및 정책(policy)을 관리하므로, 서버의 부담이 경감되고, 사용자가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 장치별로 권한 및 정책을 할당하거나 공유 계정에 대응하는 권한 및 정책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제어 장치가 제2 제어 장치의 서버 등록을 지원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제어 장치가 공유 계정을 이용하여 서버에 로그인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입력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 입력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제어 장치가 제1 제어 장치로부터 공유 계정을 제공받아 스마트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제어 장치가 서버로부터 공유 계정을 제공받아 스마트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포함하는"은 다른 요소들 또는 동작들을 배제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단수 명사는 달리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다면 복수 명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은 하나의 입력을 가리킬 수도 있고 2 종류 이상의 입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제1, 제2, 제3"는 유사한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반드시 순차적 또는 연대순으로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계정(account)"은, 사용자가 서버에 등록된 제어 장치를 통해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서, 아이디 또는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계정은 "공유 계정(shared account)" 또는 "고유 계정(unique account)"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간략화되거나 생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이 상술한 예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구성들의 형태 변경이나, 추가적인 기능들까지도 포함할 수 있다. 도면들에서, 일부 요소들의 크기는 예시를 위해 확대될 수 있으며, 크기에 비례하여 도시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어 장치의 서버 등록을 위한 시스템은 서버(110), 제어 장치(120) 및 스마트 장치(13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서버(110)가 1개, 제어 장치(121, 122)가 2개, 스마트 장치(131, 132, 133)가 3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각 구성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10)는 인증(authentication)을 거쳐 제어 장치를 등록한다. 사용자가 등록된 제어 장치를 통해 로그인하면, 서버(110)는 로그인한 제어 장치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는, 사용자가 등록된 제어 장치(120)를 통해 스마트 장치(130)를 제어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서버(110)가 제어 장치(121, 122)와 통신하는 것에 대해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110)는 스마트 장치(131, 132, 133)와도 통신할 수 있다. 서버(110), 제어 장치(120), 그리고 스마트 장치(130)는 반드시 구분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 장치(120)가 스마트 장치(130)로서 동작할 수 있다.
제어 장치(120)는 서버에 등록한 후 스마트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이다. 제어 장치(120)는 서버(110), 다른 제어 장치 또는 스마트 장치(130)와 통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제어 장치(120)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단말, 태블릿(Tablet)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개인용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mobile phone), 디지털 액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다른 제어 장치를 거치지 않고 서버로부터 공유 계정을 수신하는 제어 장치를 제1 제어 장치(121)라 하고, 제1 제어 장치(121)로부터 공유 계정을 제공받는 장치를 제2 제어 장치(122)라 한다. 한편 제2 제어 장치(122)가 다른 제어 장치에 공유 계정을 전달하는 경우, 공유 계정을 전달받는 제어 장치를 제3 제어 장치라 한다.
스마트 장치(130)는 서버(110) 또는 제어 장치(120)와 통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스마트 장치(130)는 서버(110) 또는 제어 장치(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스마트 장치(130)는 퍼스널 컴퓨터, 팩스, 스캐너, 프린터, 텔레비전, 셋탑박스, DVD, VCR, 오디오, 캠코더, 가정용 게임기, 커피메이커, 전기밥솥, 냉장고, 에어컨, 선풍기, 헤드폰, 진공청소기, 세탁기, 가습기, 가스레인지, 전자레인지, 정수기, 오븐, 카메라, 리모콘, 인터폰, 센서, 라이트, 스마트 폰, PMP, PDA 등의 홈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제어 장치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표시부(230), 저장부(240) 및 제어부(25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서버(110) 또는 다른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공유 계정을 서버(110)에 요청하고, 서버(110)로부터 공유 계정을 수신하고, 제2 제어 장치(122)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제2 제어 장치(122)의 장치 등록을 서버(110)에 요청하고, 서버(110)로부터 제2 제어 장치(122)의 장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통지받고, 제2 제어 장치(122)에 공유 계정을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소프트 키 또는 하드 키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2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등록 요청의 승인 여부를 선택하는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하여, 사용자 기능 지원을 위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공유 계정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제2 제어 장치(122)의 서버 등록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공유 계정을 서버(110)에 요청하고, 서버(110)로부터 공유 계정을 수신하고, 제2 제어 장치(122)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입력부(220)가 등록 요청을 승인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제2 제어 장치(122)의 장치 등록을 서버(110)에 요청하고, 서버(110)로부터 제2 제어 장치(122)의 장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통지받으면 제2 제어 장치(122)에 공유 계정을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제어 장치가 제2 제어 장치의 서버 등록을 지원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서버에 등록된 제1 제어 장치(121)는 공유 계정을 서버(110)에 요청한다(S310). 공유 계정 요청을 수신한 서버는 제1 제어 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장치가 고유 계정을 통해 로그인 요청을 하면, 서버는 상기 고유 계정에 대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공유 계정을 제1 제어 장치(121)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제어 장치(121)는 서버(110)로부터 공유 계정을 수신한다(S320).
제2 제어 장치(122)는 제2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서버(110)에 등록된 제1 제어 장치에 등록 요청을 전송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제2 사용자 입력은, 제어 장치가 공유 계정을 통한 로그인을 요청하는 입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공유 계정을 통한 로그인 동작은, 사용자가 직접 공유 계정을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지 않는다. 제2 사용자 입력은 제2 제어 장치(122)의 미리 정해진 소프트 키 또는 하드 키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제어 장치(121)는 제2 제어 장치(122)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S330), 등록 요청의 승인 여부를 선택하는 창을 표시할 수 있다(S340).
제1 제어 장치(121)는 등록 요청을 승인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제2 제어 장치(122)의 장치 등록을 서버(110)에 요청한다(S350).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제1 사용자 입력은, 제어 장치가 다른 제어 장치로부터의 등록 요청을 승인하는 입력을 의미한다. 제1 사용자 입력은 제2 제어 장치(122)가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장치를 선택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은 제2 제어 장치(122)가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건은,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거나, 제1 제어 장치(121) 또는 제2 제어 장치(122)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은 미리 정해진 소프트 키 또는 하드 키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제어 장치는 350 단계에서 등록 요청을 서버에 전송할 때 제2 제어 장치의 고정 장치 UID(Fixed Device UID)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제1 제어 장치(121)는 서버(110)로부터 제2 제어 장치(122)의 장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통지받으면 제2 제어 장치(122)에 공유 계정을 전송한다(S360).
제1 제어 장치(121)가 제2 제어 장치(122)의 서버 등록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공유 계정은 제1 제어 장치(121) 또는 제2 제어 장치(122)에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상기 공유 계정은 숨은 계정(Hidden Account)이라 불릴 수 있다. 제1 제어 장치(121) 또는 제2 제어 장치(122)가 공유 계정을 수신하면, 제1 제어 장치(121) 또는 제2 제어 장치(122)는 상기 공유 계정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제어 장치(121) 또는 제2 제어 장치(122)는 제2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공유 계정을 이용하여 서버(110)에 로그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 계정이 "tmakxmgha"라고 가정하면 상기 저장 또는 로그인 과정에서 "tmakxmgha"는 제1 제어 장치(121)의 표시부 또는 제2 제어 장치(122)의 표시부에 표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제어 장치는 통신부(410), 입력부(420), 표시부(430), 저장부(440) 및 제어부(45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의 설명에서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한다.
통신부(410)는 서버(110)에 등록된 제1 제어 장치(121)에 등록 요청을 전송하고, 공유 계정을 제1 제어 장치(121)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공유 계정을 이용하여 서버(110)에 로그인을 요청할 수 있다. 입력부(420)는 소프트 키 또는 하드 키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표시부(430)는 로그인을 요구하는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440)는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공유 계정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450)는 입력부(420)가 제2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서버(110)에 등록된 제1 제어 장치(121)에 등록 요청을 전송하고, 제2 제어 장치(122)가 서버(110)에 로그인하기 위한 공유 계정을 제1 제어 장치(121)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공유 계정을 이용하여 서버(110)에 로그인을 요청하도록 통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제어 장치가 공유 계정을 이용하여 서버에 로그인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제2 제어 장치(122)의 입력부(420)가 제2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제2 제어 장치(122)는 서버(110)에 등록된 제1 제어 장치(121)에 등록 요청을 전송한다(S510). 여기서 제2 사용자 입력은 미리 정해진 소프트 키 또는 하드 키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제어 장치는 등록 요청 전송시에 제2 제어 장치의 고정 장치 UID(Fixed Device UID)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제1 제어 장치(121)가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공유 계정을 제2 제어 장치(122)에 전달하면(S520), 제2 제어 장치는 제1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한 공유 계정을 저장한다(S530). 제2 제어 장치(122)는 제1 제어 장치(121)로부터 수신한 공유 계정을 이용하여 서버(110)에 로그인을 요청한다(S540). 제2 제어 장치(122)는 서버(110)로부터 로그인 완료를 통지받을 수 있다(S550). 상기 통지는 제2 제어 장치(122)가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510 단계에서 제2 제어 장치(122)의 입력부(420)가 제2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저장부(440)에 공유 계정을 저장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2 제어 장치(122)는, 저장된 공유 계정이 있으면 저장된 공유 계정을 이용하여 서버에 로그인을 요청할 수 있다(S540). 제2 제어 장치는, 저장된 공유 계정이 없으면 서버에 등록된 제어 장치에 등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2 제어 장치는 공유 계정을 다른 제어 장치에 재전달할 수 있다.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제어 장치가 제3 제어 장치로부터 공유 계정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공유 계정을 상기 제3 제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S560).
공유 계정을 수신한 제1 제어 장치(121), 제2 제어 장치(122) 또는 제3 제어 장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수신한 공유 계정을 이용하여 서버(110)에 로그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 계정이 "tmakxmgha"라고 가정하면 상기 수신 또는 로그인 과정에서 "tmakxmgha"는 제1 제어 장치(121)의 표시부, 제2 제어 장치(122)의 표시부 또는 제3 제어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입력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제1 사용자 입력은, 제1 제어 장치가 제2 제어 장치로부터의 등록 요청을 승인하는 입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 제1 제어 장치는 제2 제어 장치의 장치 등록을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제1 제어 장치는 등록 요청을 전송한 장치를 검색(Search)하여 표시부(230)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은, 표시부(230)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장치 중에서 선택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1 제어 장치의 표시부(230)가 3개의 장치(장치 3, 장치 4 그리고 장치 5)를 리스트 형태(620)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그 중에서 장치 3에 대응되는 버튼(610)을 선택하는 것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어 장치의 표시부(230)는 검색된 장치의 고정 장치 UID(Fixed Device UID)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은 제2 제어 장치에 할당되는 권한(Authority) 및 정책(policy)을 설정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권한 및 정책은 제2 제어 장치가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장치가 제어할 수 있는 냉장고, 세탁기 그리고 에어컨이 표시부(230)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그 중에서 냉장고만을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사용자 입력은, 제2 제어 장치가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장치를 선택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권한 및 정책은 제2 제어 장치가 각각의 스마트 장치에 대하여 갖는 권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 장치가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장치가 텔레비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텔레비전의 음량 및 채널 변경만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는 등록 요청을 한 제어 장치 별로 또는 공유 계정별로 권한 및 정책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권한 및 정책은 제2 제어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건은 제1 제어 장치 또는 제2 제어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장치와 제2 제어 장치가 근거리 통신에 의해 통신할 수 있는 경우에만, 제2 제어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제2 제어 장치와 제2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스마트 장치가 근거리 통신에 의해 통신할 수 있는 경우에만, 제2 제어 장치가 해당 스마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제2 제어 장치가 특정한 위치(예를 들어, 집, 사무소, 공장, 학교 등)에 있는 경우에만, 제2 제어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건은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월요일 PM 1:30 - PM 5:30에만 제2 제어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예들에서는 각각 하나의 조건만을 제시하고 있으나, 제1 사용자 입력에 포함되는 조건이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두 개 이상의 조건을 동시에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 입력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제2 사용자 입력은, 제어 장치가 공유 계정을 통한 로그인을 요청하는 입력을 의미한다. 도 7에서는 제어 장치가 로그인을 요구하는 창을 표시부에 표시한 것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고유 계정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는 경우, 아이디(710)와 패스워드(720)를 입력하여 서버에 로그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제어 장치의 미리 정해진 소프트 키 또는 하드 키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특정 버튼(730)을 선택하는 것이 제2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은 도 7에 도시한 것과 달리, 하드 키 단독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하드 키와 소프트 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 제2 제어 장치는 저장부(440)에 공유 계정을 저장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제어 장치는, 저장부(440)에 저장된 공유 계정이 있으면, 저장된 공유 계정을 이용하여 서버에 로그인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제어 장치는, 저장부(440)에 저장된 공유 계정이 없으면, 서버에 등록된 제어 장치에 등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제어 장치가 제1 제어 장치로부터 공유 계정을 제공받아 스마트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제1 제어 장치의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805).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제1 제어 장치의 사용자는 이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제1 제어 장치의 표시부가 로그인을 요구하는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제어 장치의 표시부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유 계정을 입력하여 서버에 로그인한다(S810). 사용자는, 예를 들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서버에 로그인할 수 있다. 고유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1 제어 장치는 서버에 공유 계정을 요청한다(S815). 공유 계정의 요청을 수신한 서버는 공유 계정을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820).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서버는 제1 제어 장치에 공유 계정을 전송한다(S825). 제1 제어 장치는 수신한 공유 계정을 저장한다(S830).
제2 제어 장치의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835).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제2 제어 장치의 사용자는 이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제2 제어 장치의 표시부가 로그인을 요구하는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제어 장치의 표시부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제어 장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S840).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공유 계정을 통한 로그인을 요청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 제2 제어 장치는 서버에 등록된 제1 제어 장치에 등록 요청을 전송한다(S845). 845 단계에서 제2 제어 장치는 제2 제어 장치의 고정 장치 UID(Fixed Device UID)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제2 제어 장치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한 제1 제어 장치는 표시부(230)에 등록 요청의 승인(Approval)을 요구하는 창을 표시할 수 있다. 등록 요청의 승인을 요구하는 창은,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화면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제어 장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S850).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제2 제어 장치의 등록 요청을 승인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은 제2 제어 장치에 할당되는 권한 및 정책을 설정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 제1 제어 장치는 서버에 제2 제어 장치의 장치 등록을 요청한다(S855). 855 단계에서 제1 제어 장치는 제2 제어 장치의 고정 장치 UID(Fixed Device UID)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855 단계에서 제1 제어 장치는 제2 제어 장치에 할당되는 권한 및 정책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제2 제어 장치의 장치 등록을 요청받은 서버는 제2 제어 장치의 장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제2 제어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S860).
제1 제어 장치는 제2 제어 장치와 공유 계정을 공유하기 위해 공유 계정을 제2 제어 장치에 전송한다(S865). 제2 제어 장치는 수신한 공유 계정을 저장한다(S870). 제2 제어 장치는 서버에 수신한 공유 계정으로 로그인을 요청한다(S875). 서버는 제2 제어 장치에 대한 장치 인증 후에(S880), 공유 계정을 통한 로그인이 완료되었음을 제2 제어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S885). 885 단계에서 서버는 제2 제어 장치에 할당되는 권한 및 정책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서버로부터 로그인 완료 통지를 받은 제2 제어 장치는 로그인이 완료되었음을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S890). 등록이 완료되면 제2 제어 장치는 공유 계정에 대응되는 스마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S895). 제1 제어 장치가 955 단계에서 권한 및 정책에 대한 정보를 함께 통지 받은 경우 상기 권한 및 정책에 기초하여 스마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840단계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 제2 제어 장치는 저장부(440)에 저장된 공유 계정이 있는지 판단한다. 제2 제어 장치는 저장부(440)에 저장된 공유 계정이 있으면 저장된 공유 계정을 이용하여 서버에 로그인을 요청하고(S875), 이후 단계가 진행된다. 제2 제어 장치는 저장부(440)에 저장된 공유 계정이 없으면 서버에 등록된 제1 제어 장치에 등록 요청을 전송하고(S845). 이후 단계가 진행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제어 장치가 서버로부터 공유 계정을 제공받아 스마트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공유 계정을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1 제어 장치는 고유 계정이 아니라 공유 계정을 이용하여 서버에 로그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공유 계정을 통해 서버에 로그인하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고유 계정을 제1 제어 장치에 입력할 필요가 없다.
제1 제어 장치의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905).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제1 제어 장치의 사용자는 이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제1 제어 장치의 표시부가 로그인을 요구하는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제어 장치의 표시부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유 계정을 입력하여 서버에 로그인한다(S910). 사용자는, 예를 들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서버에 로그인할 수 있다. 고유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1 제어 장치는 서버에 공유 계정을 요청한다(S915). 공유 계정의 요청을 수신한 서버는 공유 계정을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920).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서버는 제1 제어 장치에 공유 계정을 전송한다(S925). 제1 제어 장치는 수신한 공유 계정을 저장한다(S930).
제1 제어 장치가 서버에 공유 계정으로 로그인을 요청하면(S935), 서버는 공유 계정을 통한 로그인이 완료되었음을 제1 제어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S940). 940 단계에서 서버는, 공유 계정에 대응되는 권한 및 정책에 대한 정보를 함께 통지할 수 있다. 서버로부터 로그인 완료 통지를 받은 제1 제어 장치는 로그인이 완료되었음을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S945). 등록이 완료되면 제1 제어 장치는 공유 계정에 대응되는 스마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S950). 제1 제어 장치가 940 단계에서 권한 및 정책에 대한 정보를 함께 통지 받은 경우 상기 권한 및 정책에 기초하여 스마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110 : 서버 120 : 제어 장치
130 : 스마트 장치 210 : 통신부
220 : 입력부 230 : 표시부
240 : 저장부 250 : 제어부
410 : 통신부 420 : 입력부
430 : 표시부 440 : 저장부
450 : 제어부

Claims (20)

  1. 서버에 등록된 제1 제어 장치가 제2 제어 장치의 서버 등록을 지원(support)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장치 또는 상기 제2 제어 장치가 상기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공유 계정(shared account)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공유 계정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제어 장치로부터 등록 요청(registration request)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등록 요청을 승인(approve)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2 제어 장치의 장치 등록(device registration)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장치의 장치 등록의 완료(completion)를 통지받으면 상기 제2 제어 장치에 상기 공유 계정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계정은 상기 제1 제어 장치 또는 제2 제어 장치에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등록 지원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제어 장치가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장치를 선택하는 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등록 지원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제어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등록 지원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거나, 상기 제1 제어 장치 또는 상기 제2 제어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등록 지원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제어 장치의 미리 정해진 소프트 키 또는 하드 키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등록 지원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등록 요청의 승인 여부를 선택하는 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등록 지원 방법.
  7. 제2 제어 장치의 서버 등록을 지원(support)하고 서버에 등록된 제1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버 또는 다른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제1 제어 장치 또는 상기 제2 제어 장치가 상기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공유 계정(shared account)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공유 계정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제어 장치로부터 등록 요청(registration request)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등록 요청을 승인(approve)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2 제어 장치의 장치 등록(device registration)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장치의 장치 등록의 완료(completion)를 통지받으면 상기 제2 제어 장치에 상기 공유 계정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계정은 상기 제1 제어 장치 또는 제2 제어 장치에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제어 장치가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장치를 선택하는 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제어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제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거나, 상기 제1 제어 장치 또는 상기 제2 제어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제어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소프트 키 또는 하드 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미리 정해진 소프트 키 또는 하드 키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제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장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2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표시부가 상기 등록 요청의 승인 여부를 선택하는 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제어 장치.
  13. 제2 제어 장치가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2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제1 제어 장치에 등록 요청(Registration request)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 장치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공유 계정(shared account)을, 상기 제1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유 계정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로그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계정은 상기 제1 제어 장치 또는 제2 제어 장치에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등록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로그인 완료를 통지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지는 상기 제2 제어 장치가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등록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공유 계정을 저장하는 단계; 및
    제3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공유 계정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공유 계정을 상기 제3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등록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제어 장치의 미리 정해진 소프트 키 또는 하드 키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등록 방법.
  17. 제2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버 또는 다른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가 제2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제1 제어 장치에 등록 요청(Registration request)을 전송하고, 상기 제2 제어 장치가 상기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공유 계정(shared account)을 상기 제1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공유 계정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로그인을 요청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계정은 상기 제1 제어 장치 또는 제2 제어 장치에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제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로그인 완료를 통지받고,
    상기 통지는 상기 제2 제어 장치가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제어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공유 계정을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는 제3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공유 계정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공유 계정을 상기 제3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제어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소프트 키 또는 하드 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미리 정해진 소프트 키 또는 하드 키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제어 장치.
KR1020130164837A 2013-12-27 2013-12-27 제어 장치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47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837A KR102147237B1 (ko) 2013-12-27 2013-12-27 제어 장치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US14/578,686 US10389816B2 (en) 2013-12-27 2014-12-22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control devices in ser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837A KR102147237B1 (ko) 2013-12-27 2013-12-27 제어 장치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531A true KR20150076531A (ko) 2015-07-07
KR102147237B1 KR102147237B1 (ko) 2020-08-24

Family

ID=5348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837A KR102147237B1 (ko) 2013-12-27 2013-12-27 제어 장치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389816B2 (ko)
KR (1) KR1021472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722A1 (ko) * 2016-07-15 2018-01-18 에스프린팅솔루션주식회사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의 계정을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실시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01777B8 (en) * 2015-06-04 2018-11-14 ABB Schweiz AG Communicating of frequency converter parameters
CN105915947A (zh) * 2016-06-29 2016-08-31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在线影院观影卷维护的方法、装置和系统
SG10201607852YA (en) * 2016-09-20 2018-04-27 Mastercard International Inc Shared card payment system and process
CN106487622B (zh) * 2016-10-24 2019-10-2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设备控制权分享方法及装置
US10331875B2 (en) 2017-09-20 2019-06-25 Level 3 Communications, Llc Access control for content delivery services
CN109660842B (zh) * 2018-11-14 2021-06-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播放多媒体数据的方法及电子设备
US11893585B2 (en) * 2019-05-31 2024-02-06 Apple Inc. Associating multiple user accounts with a content output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9039A1 (en) * 2005-08-10 2007-02-15 Microsoft Corporation Authorization of device access to network services
US20110277016A1 (en) * 2010-05-05 2011-1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managing shared accounts in an identity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2309B2 (en) * 1999-10-27 2008-06-24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Network appliance management
US8245280B2 (en) * 2005-02-11 2012-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user access control to content in a network
JP5153998B2 (ja) * 2005-02-25 2013-02-27 Hoya株式会社 マスクブランク用透明基板の製造方法、マスクブランクの製造方法、露光用マスク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デバイスの製造方法
US20080005353A1 (en) * 2006-06-28 2008-01-03 Microsoft Corporation Enabling a plurality of devices to control each other
KR100803610B1 (ko) * 2006-11-21 2008-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을 통해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US8365249B1 (en) * 2007-01-30 2013-01-29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roxy registration and authentication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s
US8201231B2 (en) * 2007-02-21 2012-06-12 Microsoft Corporation Authenticated credential-based multi-tenant access to a service
US8353052B2 (en) * 2007-09-03 2013-01-08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Providing services to a guest device in a personal network
US20110066712A1 (en) * 2009-04-17 2011-03-17 Prem Jothipragasam Kumar User-defined services in a personal distributed network
US8321956B2 (en) * 2009-06-17 2012-11-27 Microsoft Corporation Remote access control of storage devices
US8640204B2 (en) * 2009-08-28 2014-01-28 Broadcom Corporation Wireless device for group access and management
US8621056B2 (en) * 2010-12-02 2013-12-31 Microsoft Corporation Enabling plural computing devices to communicate using a master account
KR101909487B1 (ko) * 2011-09-30 2018-12-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장치
US8469816B2 (en) * 2011-10-11 2013-06-25 Microsoft Corporation Device linking
US9323916B1 (en) * 2013-02-14 2016-04-26 Google Inc. Secure authorization for accessing content on a shareable device
US8844012B1 (en) * 2013-03-21 2014-09-23 Nextbit Systems Inc. Connecting to Wi-Fi network based off approval from another user device
US9858052B2 (en) * 2013-03-21 2018-01-02 Razer (Asia-Pacific) Pte. Ltd. Decentralized operat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9039A1 (en) * 2005-08-10 2007-02-15 Microsoft Corporation Authorization of device access to network services
US20110277016A1 (en) * 2010-05-05 2011-1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managing shared accounts in an identity management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722A1 (ko) * 2016-07-15 2018-01-18 에스프린팅솔루션주식회사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의 계정을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실시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88762A1 (en) 2015-07-02
US10389816B2 (en) 2019-08-20
KR102147237B1 (ko) 202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6531A (ko) 제어 장치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30031261A1 (en) Pairing a device based on a visual code
CN105518642B (zh) 共享电子设备的系统、装置和方法
US10667307B2 (en) Disambiguation of target devices using ambient signal data
US10003683B2 (en)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users and smart appliances
EP2605170B1 (en) Computer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pplication
US20120206317A1 (en) Device affiliation process from second display
US10712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rolled device included in network
KR20120140687A (ko) 정보 처리 장치, 서버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50070813A (ko)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US9223942B2 (en) Automatically presenting rights protected content on previously unauthorized device
KR101028502B1 (ko) 웹패드가 착탈가능한 인터넷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US20160173930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automatic configuration
EP3261318B1 (en) Method for sharing content using temporary key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60078442A1 (en) User id with integrated device setup parameters
KR101343918B1 (ko) 네트워크 상에서 제어 신호를 중계하는 서버, 상기 서버를 기반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네트워크 상에서 제어 신호를 중계하는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가 제어 대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JP5959698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US20160098180A1 (en) Presentation of enlarged content on companion display device
KR101948840B1 (ko) 멀티디바이스 환경에서 컨텐츠 제공을 지원하기 위한 셋탑박스 및 이를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642997B1 (ko) 영상표시 시스템 및 이벤트 공유 방법
JP2019079270A (ja) 通訳支援システム
KR101731289B1 (ko) Cpns 환경에서 개인 네트워크 정보 공개 방법 및 장치
KR101480921B1 (ko) 아이피티브이 서비스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12059090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通信装置
JP668969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サー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