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6291A - 사용자 선호도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선호도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6291A
KR20150076291A KR1020130163558A KR20130163558A KR20150076291A KR 20150076291 A KR20150076291 A KR 20150076291A KR 1020130163558 A KR1020130163558 A KR 1020130163558A KR 20130163558 A KR20130163558 A KR 20130163558A KR 20150076291 A KR20150076291 A KR 20150076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genetic
preference
genet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1959B1 (ko
Inventor
공경은
김상희
최윤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163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959B1/ko
Publication of KR20150076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선호도 및 유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상품별 사용자 선호도 정보 및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상기 특정 상품과 관련된 유전형질의 획득확률에 따른 사용자 유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기 설정된 유전형질별 선호도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마케팅 대상자를 선정하여, 사용자별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선호도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Method for customized marketing using user preferences and genetic information and system for it}
본 발명은 사용자별로 맞춤화된 마케팅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와 유전 정보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환경적인 요인 및 유전적인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마케팅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인터넷(Internet)은 전세계 어디서나, 누구나 접속하고자 하는 상대편 컴퓨터에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라는 공통의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자유롭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방형 네트워크로서, 기본적인 문자정보의 전달은 물론 압축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멀티미디어 정보의 전달에 이용되는 등 전자 우편, 파일 전송, WWW(World Wide Web)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넷은 국내를 비롯하여 세계적으로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기존 산업의 전 부분에 걸쳐 효율성과 생산성 제고를 위한 전략적인 도구로서 중요성이 급속히 증대되고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지속적으로 창출됨은 물론, 그 영역도 확장되는 추세여서 인터넷을 이용한 사업자들도 점차 증가되고 있다.
즉, 인터넷을 통한 비즈니스의 일환으로 인터넷 광고, 인터넷 방송, 온라인 게임, 인터넷 신문/잡지, 검색 서비스, 포탈(portal) 서비스, 전자 상거래 등의 다양한 컨텐츠(contents)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이 급속히 증가하는 것이다.
이처럼 나날이 늘어가는 정보의 홍수로 인한 사용자들의 정보를 찾는 시간을 절약해 주기 위해 최근에는 사용자가 특정 사이트에 접속을 진행할 때 초기 화면을 사용자의 구미에 맞게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비롯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스타일에 맞는 정보들을 선별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customization)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사용자가 특정 사이트에 접속한 후 회원 등록을 수행할 때 자신이 선호하는 화면 형태나 색깔, 또는 관심분야와 같은 정보를 해당 사이트 측에 제공하면, 해당 사이트에서 이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해당 사용자의 통신 접속시 초기 화면을 사용자가 선택한 형태로 제공하거나 또는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정보를 초기 화면상에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초기 화면 형태 또는 정보 제공 카테고리(학술정보, 오락/게임, 업무관련, 뉴스, 동호회/채팅, 스포츠/연예 등)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한 특정 사용자가 회원등록을 수행할 때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있는 초기 화면 형태 또는 복수개의 정보 제공 카테고리들을 선택하면 해당 사이트에서 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며, 사용자의 통신 접속이 이루어지는 순간 해당 사용자가 선택한 화면 형태 또는 해당 정보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데이터를 취합하여 초기 화면상에 제공한다.
이러한 맞춤형 서비스는 정보 제공을 중심으로 하는 사이트 또는 상품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사이트 등에 적용되어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은, 사용자들의 정보이용 빈도 및 시간에 따른 선호도와 관심도, 제품구매 기록 등에 따른 사용자 선호도을 유추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보다 향상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전에 사용자들이 입력해야 할 항목을 많이 요구하는 경우 사용자들이 불성실하게 자료를 입력하게 되면 해당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은 사용자가 입력한 자료 이외에는 사용자들의 변화해 가는 취향을 미리 예측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변화된 선호도과 관련된 자료를 입력할 때까지는 사용자들의 구미에 맞는 정보를 제대로 추천해 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은 사용자의 과거 이력을 기준으로 선호도 분석을 수행할 뿐 선호도에 대한 이유를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사용자의 선호도이 실제 사용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고려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과거 선호도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또는 미래 선호도을 예측하므로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후천적 특성인 선호도 정보와 후천적 특성인 유전 정보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환경적 요인 및 유전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마케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전자 검사를 통해 유전정보를 확보하지 않은 사용자에 대해서도 유전적 연관성(예, 혈연관계)을 지닌 다른 사용자의 유전정보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추론하여 마케팅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상품별 사용자 선호도 정보 및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상기 특정 상품과 관련된 유전형질의 획득확률에 따른 사용자 유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기 설정된 유전형질별 선호도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단계; 및 (c)상기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마케팅 대상자를 선정하여, 사용자별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a)단계는,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상기 특정 상품을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단계는, 복수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관리하는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유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단계는, 유전정보 수집 대상인 제1 사용자의 유전정보가 수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와 유전적으로 연관관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기초하여 소정의 유전확률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b)단계는, 상기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유전정보를 객관적 수치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선호도 정보의 객관적 수치 및 상기 유전정보의 객관적 수치를 대비하여 기 설정된 편차범주에 따라 상관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관관계는,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상품에 대한 선호도와 유전적 성향이 일치하는 보완 관계,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상품에 대한 선호도와 유전적 성향이 불일치하는 상반 관계 및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상품에 대한 선호도와 유전적 성향이 무관한 무관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c)단계는, 상기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패턴에 대한 어드바이스 정보를 서비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 유전정보 관리 서버 및 서비스 사업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정보 분석을 수행하는 성향 분석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성향 분석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기 유전정보 관리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상품별 사용자 선호도 정보 및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상기 특정 상품과 관련된 유전형질의 획득확률에 따른 사용자 유전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정보 분석부; 및 정보 분석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정보테이블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정보분석부는,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상기 특정 상품별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선호도 분석부;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상기 특정 상품과 관련된 유전형질의 획득확률에 따른 사용자 유전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는 유전정보 분석부; 및 기 설정된 유전형질별 선호도 정보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유전정보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상관관계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선호도 분석부는,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전정보 분석부는, 유전정보 수집 대상인 제1 사용자의 유전정보가 수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유전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와 유전적으로 연관관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의 유전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유전확률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관관계 분석부는, 상기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유전정보를 객관적 수치로 변환하고, 상기 선호도 정보의 객관적 수치 및 상기 유전정보의 객관적 수치를 대비하여 기 설정된 편차범주에 따라 상관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마케팅 대상자를 선정하는 서비스 대상 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은 광고주의 정보 분석 요청에 따라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상품별 사용자 선호도 정보 및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상기 특정 상품과 관련된 유전형질의 획득확률에 따른 사용자 유전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성향 분석 서버; 복수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성향 분석 서버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유전정보를 제공하는 유전정보 관리 서버; 상기 성향 분석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부터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받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와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환경적 요인 및 유전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마케팅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적 요인에 따른 현재 또는 미래의 잠재적 선호도도 파악할 수 있으므로, 기업은 고객에 대한 맞춤형 마케팅으로 효율성을 높이고 미래 잠재적 고객까지 유치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마케팅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개인은 유전자 검사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유전자정보 추론에 따른 잠재적 선호도 분석을 받을 수 있고, 그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 정보(예, 쿠폰, 바우처, 리크루팅 등)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및 유전 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형 마케팅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호도 정보 및 유전 정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성향 분석 서버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사용자별 성향 분석을 통해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절차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정보 없는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도출하는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별 선호도 정보 및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호도 정보 및 유전정보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활용하는 부가 서비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본 발명은 사용자별로 맞춤화된 마케팅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와 유전 정보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환경적인 요인 및 유전적인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마케팅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및 유전 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형 마케팅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10), 유전정보 관리 서버(120),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및 유전정보로부터 사용자 성향을 분석하여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성향 분석 서버(130) 및 서비스 사업자 서버(140)로 구성되며, 각각의 구성은 유무선 인터넷 등의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호간에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진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10)는 네트워크 통신망에 개설된 성향 분석 서버 및 서비스 사업자 서버(140)와 접속할 수 있도록 통신 환경이 구축되어 있고, 서비스 사업자 서버(140)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마케팅 데이터를 입력받아 화면상에 출력한다.
유전정보 관리 서버(120)는 유전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유전자 검사 양식에 따라 도출한 사용자별 유전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서버로서, 사용자의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유전정보를 사용자 또는 시스템으로 제공하며, 개인정보 보안을 위해 정보 제공 과정에서 소정의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성향 분석 서버(130)는 사용자별로 선호도 정보 및 유전정보를 수집하여 선호도 및 유전 정보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별로 맞춤화된 마케팅 아이템 정보를 도출한다. 이를 위해, 성향 분석 서버(130)는 서비스 사업자 서버(140) 또는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별 서비스별 선호도 정보를 수집하거나 제공받고, 유전정보 관리 서버(12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유전적으로 연관있는 다른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성향 분석 서버(130)는 수집한 선호도 정보 및 유전정보에 대해 소정의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객관적인 수치로 환산하여 선호도와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특정 서비스 선호도와 관련하여 유전적 요인으로 보완, 상반, 무관 등의 상관관계 형태를 분석할 수 있다.
성향 분석 서버(130)는 이와 같이 도출한 선호도 정보 및 유전 정보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서비스 사업자 서버(140)로 제공하여 서비스 사업자 서버(140)에서 이에 기초한 사용자별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또는, 성향 분석 서버(130)에서 서비스 사업자 서버(140)의 요청에 따라 서비서 사업자 서버에서 제공하려는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아이템과 관련하여 선호도 정보 및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 기반의 마케팅 대상자 선정 과정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사업자 서버(140)는 성향 분석 서버(130)에서 제공하는 선호도 정보 및 유전 정보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활용하거나 또는 성향 분석 서버(130)에서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아이템 관련 마케팅 대상자 정보를 활용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로 각각 개별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호도 정보 및 유전 정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성향 분석 서버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향 분석 서버(200)는 외부 통신 장비 및 외부 통신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부(210), 사용자별 선호도 정보 및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정보 분석부(220) 및 정보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테이블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230)는 사용자의 선호도 분석을 위한 네트워크상에서의 사용패턴별 선호도 정보 테이블, 유전정보 도출을 위한 유전확률 정보 테이블 및 선호도 정보와 유전정보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유전형질별 선호도 정보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패턴별 선호도 정보 테이블 및 유전형질별 선호도 정보 테이블은 광고주가 요청하는 사항에 맞춰 사안별로 테이블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기, 유전정보 관리 서버 및 서비스 사업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부(211) 및 서버 간 연동을 위한 연동부(2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정보 분석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선호도 정보를 분석하는 선호도 분석부(221), 사용자별 유전정보를 분석하는 유전정보 분석부(222) 및 선호도 정보 및 유전정보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상관관계 분석부(223)를 포함한다.
선호도 분석부(221)는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또는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부터 다양한 경로로 사용자별 서비스별 선호도 정보 또는 아이템별 선호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부터 사용자 등록정보(예,사용자 개인정보, 서비스 사용이력, 아이템 사용이력 등) 또는 사용자와 소정의 결합 서비스(예, 패밀티 통합 서비스, 안심 귀가 서비스, SNS 가족 등록 내역 등)를 이용하는 다른 사용자 등록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 선호도 조사를 위한 소정의 양식 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선호도 정보를 피드백받아 기 설정된 선호도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를 분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유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의 서비스 또는 아이템 사용 패턴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를 분석할 수 있다.
유전정보 분석부(222)는 유전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수집한다. 유전정보는 유전자 검사를 받은 경우에 획득할 수 있는 개인정보로서 사용자가 유전자 검사를 받은 경우에 유전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한 소정의 인증절차를 통해 유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유전정보 분석부(222)는 유전정보가 없는 제1 사용자의 경우 제1 사용자와 유전적으로 연관관계(예, 혈연관계 등)에 놓인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의 유전정보 제공을 요청하고, 기 설정된 유전확률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의 유전정보로부터 제1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전정보를 알지 못하는 제1 사용자에 대해 혈연관계에 있는 다수의 제2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활용하여 제1 사용자가 특정 유전형질을 갖을 확률을 추론하여 유전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유전형질은 독립적으로 유전되므로, 해당 유전형질의 우성, 열성 특징에 따라서 해당 유전형질의 유전확률을 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전정보 도출 방식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유전 형질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상관관계 분석부(223)는 선호도 분석부(221) 및 유전정보 분석부(222)에서 분석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기 설정된 유전형질별 선호도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선호도 정보와 유전 정보를 객관적인 수치로 환산하고, 이를 토대로 사용자의 특정 서비스 선호도와 관련하여 유전적 요인으로 아래와 같이 보완, 상반, 무관 등의 상관관계 형태를 분석할 수 있다.
1. 보완관계
선호도 정보와 유전정보간의 보완관계는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상품에 대하여 후천적으로 조사된 선호도와 유전적 선호도로 조사되는 유전적 성향이 일치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때, 보완관계에 있는 사용자의 서비스 사용 이력을 비슷한 유전성향을 가진 다른 사용자들의 마케팅 전력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유전적 성향을 나타내는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에 대하여 보완관계에 있는 제1 사용자의 서비스 또는 상품 구매 리스트를 제2 사용자의 구매 리스트와 비교하여 특정 상품을 추천하는 마케팅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가 구매 이력이 없는 경우에도 같은 유전적 성향을 갖는 제1 사용자의 구매 리스트에 기초하여 특정 상품을 추천하는 마케팅으로 활용할 수 있다.
2. 상반관계
선호도 정보와 유전정보간의 상반관계는 특정 서비스 또는 상품에 대하여 후천적으로 조사된 선호도와 유전적 선호도로 조사되는 유전적 성향이 불일치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상반관계는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상품에 대하여 유전적 선호도가 있는 사용자가 실제 조사된 후천적 선호도는 높지 않은 경우,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 사용자로서 해당 서비스 또는 상품에 대한 잠재적 고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적 특성상 단맛을 지나치게 인지하는 유전자 성향을 갖은 사용자에 대해 음식 쇼핑 패턴정보로부터 도출한 선호도 정보에서는 단맛 음식 구매 이력이 낮게 분석된 경우, 해당 사용자는 단맛을 선호하나 단맛에 민감한 성향을 갖으므로, 저가당 상품의 마케팅 대상자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실재 단맛을 선호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단맛을 가진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이력이 낮은 경우, 해당 상품의 당성분을 분석하여 새로운 상품 출시나 해당 상품에 대한 성분 조정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반관계로 분석된 사용자의 후천적 선호도가 유전적 성향에 따른 선호도보다 높을 경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통해 해당 상품에 대해 선호하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여 유사 환경에 놓은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다.
3. 무관관계
선호도 정보와 유전정보간의 무관관계는 특정 서비스 또는 상품에 대하여 후천적으로 조사된 선호도 및 유전적 선호도로 조사된 유전적 성향이 모두 낮거나 관련된 유전형질이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
특정 서비스 또는 상품에 대하여 무관관계로 분석된 사용자는 해당 서비스 또는 상품에 대하여 마케팅 비대상자로 필터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보완관계, 상반관계 및 무관관계는 객관적 수치(%)로 나타낼 수 있고, 일정 수치 범위로 구분하며, 상술한 관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많은 상관관계로 세분화할 수 있다.
성향 분석 서버(200)는 이와 같이 도출한 선호도 정보 및 유전 정보간의 상관관계(보완, 상반, 무관) 분석 결과를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성향 분석 서버(200)는 다수 사용자들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서비스 사업자가 마케팅하려는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아이템과 관련된 마케팅 대상자를 선정하는 서비스 대상 선정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대상 선정부(240)는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복수의 사용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정보 분석부(230)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기 설정된 필터링 알고리즘에 따라 서비스 사업자가 마케팅하려는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아이템별로 마케팅 대상자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사용자별 성향 분석을 통해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광고주 요청에 따라 성향 분석 서버로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위한 정보 분석을 의뢰하는데,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광고주로부터 제공받은 서비스 사용자 리스트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S301).
성향 분석 서버는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사용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별 선호도 정보와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성향 분석 서버는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부터 사용자 등록정보(선호도 정보 포함)를 수집하거나 또는 서비스 사업자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과거 이용하였거나 또는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서비스별 선호도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와 연관성 있는 다른 사용자들의 과거 이용하였거나 또는 현재 이용중인 결합서비스(예, 안심 귀가 서비스, 패밀리 통합 상품, SNS 가족 등록 내역 등)를 통해 다른 사용자 개인정보 및 다른 사용자의 서비스별 선호도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접속을 수행하여 선호도 조사를 위한 소정의 양식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양식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는 선호도 관련 데이터를 전송받아 사용자별 선호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302).
그리고, 서비스 사용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유전정보 관리 서버로 분석대상인 제1 사용자의 유전정보 제공을 요청한다(S303).
유전정보 관리 서버는 기 구축된 유전정보 DB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1차 검색하고(S304), 검색 결과에 따른 제1 응답메시지를 성향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S305). 이때, 검색 결과에 따라 제1 응답 메시지와 함께 제1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1 사용자의 유전정보가 검색되지 않음을 알리는 매시지와 함께 제1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성향 분석 서버는 제1 사용자의 유전정보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유전정보 관리 서버로 제1 사용자와 유전적으로 연관관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의 유전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S306, S307).
유전정보 관리 서버는 기 구축된 유전정보 DB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2차 검색하고(S308), 검색 결과에 따라 제2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도출하여 제2 응답 메시지와 함께 성향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S309). 마찬가지로, 2차 검색 결과 제2 사용자의 유전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검색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성향 분석 서버는 기 설정된 유전확률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의 유전정보로부터 제1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도출한다. 유전정보 도출 방식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유전 형질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S310).
이후, 사용자별로 분석한 선호도 정보 및 유전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유전형질별 선호도 정보 테이블에 따라 선호도 정보와 유전 정보를 객관적인 수치로 환산하고, 이를 토대로 사용자의 특정 서비스 선호도와 관련하여 유전적 요인으로 보완, 상반, 무관 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S311).
성향 분석 서버는 이와 같이 도출한 선호도 정보 및 유전 정보간의 상관관계(보완, 상반, 무관) 분석 결과를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S312).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광고주로부터 제공받은 마케팅 상품(예, 서비스, 아이템 등)에 대하여 서비스 사용자들의 선호도 및 유전정보간 상관관계를 적용하여 마케팅 대상자를 선정하거나 또는 사용자별로 마케팅 상품을 선정할 수 있다(S313, S314). 이때, 서비스 사용자들의 선호도 및 유전정보간 상관관계를 적용하여 마케팅 대상자를 선정하거나 또는 사용자별로 마케팅 상품을 선정하는 과정은 성향 분석 서버에서 수행하고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서비스 사용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별로 선호도 정보와 유전정보를 고려한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31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향 분석 시스템은 광고주로부터 특정 아이템(예, 탈모방지 샴푸, 유제품 등)에 대한 마케팅 대상자 선별을 요청받을 수 있다. 이에 다라, 성향 분석 시스템은 서비스 사용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선호도 정보 및 유전정보를 수집하는데, 이때 유전정보가 없는 사용자의 경우 해당 사용자와 유전적으로 연관관계(예, 혈연관계)에 있는 다른 사용자들의 유전정보로부터 유전정보가 없는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정보 없는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도출하는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가계도(400)상에서, 유전정보가 없는 제1 사용자(401) 및 제5 사용자(405)에 대해 유전정보가 있는 제2 사용자(402), 제3 사용자(403) 및 제4 사용자(404)의 유전정보를 이용하여 유전확률을 도출할 수 있다.
대머리 유전형질이 열성인자(aa)이고, 유당불소화 유전형질이 우성인자(AA, Aa)인 경우, 제1 사용자(401)의 유전형질은 제2 사용자(402)와의 유전형질(aaBb)과 결합하여 제3 사용자(403)의 유전형질(AaBB) 및 제4 사용자(404)의 유전형질(aabb)이 배출되기 위해서는 'AaBb'인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제5 사용자(405)는 추론된 제1 사용자(401)의 유전형질(AaBB) 및 제2 사용자(402)의 유전형질(aaBb)로부터 (AaBB, AaBb, AabB, Aabb, aaBB, aaBb, aabB, aabb)의 총 8개의 유전형질이 추론되며, 대머리 형질과 관련하여 50%의 유전확률, 유당불소화 형질과 관련하여 75%의 유전확률을 갖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즉, 예시된 가계도(400)에서 열성 대머리 형질(aa)과 관련하여 제2 사용자(402), 제4 사용자(404)는 100%의 유전확률을 갖고, 제5 사용자(405)는 50%의 유전확률을 갖으며, 제1 사용자(401)는 0%의 유전확률을 갖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우성 유당불소화 형질(BB, Bb)과 관련하여 제1 사용자(401), 제2 사용자(402) 및 제3 사용자(403)는 100%의 유전확률을 갖고, 제5 사용자(405)는 75%의 유전확률을 갖으며, 제4 사용자(404)는 0%의 유전확률을 갖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별 선호도 정보 및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향 분석 서버는 사용자 단말 및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부터 사용자별 선호도 정보 및 유전정보(510)를 수집하고, 기 설정된 유전형질별 선호도 정보 테이블(520)에 기초하여 상관관계 테이블(530)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전형질별 선호도 정보 테이블(520)을 살펴보면, 특정 유전자(521)로 분류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형 정보(522)를 포함하며, 유전자형 정보(522)에 따라 구별되는 선호도 정보(523), 선호 강도(524), 관련분야 정보(525) 및 아이템 정보(526) 등이 유전자형 정보(522)와 연관되어 테이블(520)에 기록된다.
유전형질별 선호도 정보 테이블(520)에 예시된 정보를 분석해보면, 'TAS2R' 유전자의 'R4' 유전자형을 갖는 사용자는 선천적으로 '강도 10'의 '쓴맛 수용력'을 갖으며, 이와 같은 유전적 특성을 '음식' 분야에 적용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는 선천적으로 가당 상품보다는 무가당 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 수 있다. 다른 예로, 'AS2R38' 유전자의 'LL' 유전자형을 갖는 사용자(B)는 선천적으로 '강도 30'의 '리스크 수용력'을 갖으며, 이와 같은 유전적 특성을 '금융' 분야에 적용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는 선천적으로 주식채권혼합형 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 수 있다.
그리고, 유전형질별 선호도 정보 테이블(520)에 기초하여 객관적 수치화된 사용자별 선호도 정보 및 유전정보를 적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면 도시된 상관관계 테이블(53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관관계 테이블(530)은 서비스 분야(531)별로 후천적 선호도 정보(532), 후천적 선호도 획득 정도(533), 유전자형에 따른 선천적인 선호도 정보(534), 유전확률 정보(535), 유전점수 정보(536), 선호도 및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 정도(537) 및 상관관계 결과에 따른 마케팅 대상 정보(53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후천적 선호도 정보(532) 및 후천적 선호도 획득 정도(533)는 사용자별로 서비스 이용 패턴 등에 기초하여 수집된 선호도 정보를 의미한다. 유전확률 정보(535)는 유전자형에 따른 유전적 선호도(534)가 사용자에게 부합될 수 있는 정확도를 나타내고, 유전점수 정보(536)는 유전적 선호도 정보(534)와 유전확률 정보(535)를 통해 도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호도 정보 및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는 선호도(532)별로 유전적 선호도 획득 정보(533)와 유전점수 정보(536)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비교레벨에 따라 보완관계, 상반관계, 무관관계 등으로 분석할 수 있다.
상관관계 테이블(530)에 예시된 정보를 분석해보면, 사용자에 대하여 '음식' 분야의 경우 후천적 선호도로 조사된 '7' 강도의 '쓴맛 수용력'은 실제 유전정보(유전성향 10, 유전확률 70%)를 통해 분석된 유전 점수가 '7.5'인 것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으므로 '음식의 쓴맛 수용력'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와 유전정보는 서로 보완관계에 놓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해당 사용자는 무가당 상품에 대한 마케팅 대상자로 선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금융' 분야의 경우 후천적 선호도로 조사된 '70' 강도의 '리스크 수용력'은 실제 유전정보(유전성향 20, 유전확률 50%)를 통해 분석된 유전 점수가 '10'인 것과 비교하여 상반된 점수 결과를 나타내므로, '금용 리스크 수용력'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와 유전정보는 서로 상반관계에 놓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해당 사용자는 공격성 투자 상품보다는 안전성 투자 상품의 마케팅 대상자로 선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관관계 테이블(530)에 예시된 것처럼, '여행'분야에 대해서 '패밀리 콘도'에 대한 유전적 선호도 성향이 있으나 그 획득 정보가 낮고 유전성향 또한 낮아 유전적으로 '패밀리 콘도'에 대한 유전적 선호도가 0에 가까우므로 해당 사용자는 '패밀리 콘도'에 대하여 무관한 것으로 판단하여, 마케팅 비대상자로 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성향 분석 서버 또는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 리스트에 대하여 마케팅 대상자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별로 적합한 서비스 또는 상품을 분류하거나,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상품에 대해 마케팅 대상자 및 마케팅 비대상자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광고주는 사용자별 선호도 정보 및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사용자별 적합한 서비스 또는 상품에 대한 쿠폰, 바우처, 리크루팅 등의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호도 정보 및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사용자의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상품에 대한 후천적 선호도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의 생활습관, 소비습관과 같은 패턴에 대한 어드바이스 정보 제공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호도 정보 및 유전정보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활용하는 부가 서비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성향 분석 시스템(601)은 사용자 단말기(602) 및 의료기관(603)으로부터 사용자의 후천적 선호도 정보 및 유전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602)를 통해 사용자의 소비습관/생활습관 등의 패턴 정보를 수집하여 분야별 후천적 선호도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의료 기관(603)은 유전정보 관리 기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유전정보와 함께 개인건강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성향 분석 시스템(601)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별 선호도 정보 및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관관계 테이블(604)을 구성할 수 있다. 상관관계 테이블(604)에 기초하면, 사용자는 과자/스낵류에 대한 후천적 선호도가 10이고 유전점수는 18로서 당 성분이 가미된 과자/스낵류에 대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는 보완관계인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당뇨 증세와 관련된 획득 성향이 30이고 75%의 높은 유전적 확률로 당뇨병 인자를 갖는 경우, 해당 사용자는 당뇨병 확률이 높은 편임에도 과자/스낵류와 같이 단 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바람직하지 못한 패턴을 갖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성향 분석 시스템(601)은 상관관계 테이블(604)로부터 평가한 사용자 건강 관련 패턴 정보를 의료기관(603) 등으로 제공하고, 의료 기관(603)은 사용자 단말기(602)로 식이/라이프스타일 코칭 등의 건강 관련 어디바이스 정보(605)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와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환경적 요인 및 유전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마케팅 방법은, 유전적 요인에 따른 현재 또는 미래의 잠재적 선호도도 파악할 수 있어 기업은 고객에 대한 맞춤형 마케팅으로 효율성을 높이고 미래 잠재적 고객까지 유치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마케팅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별 유전적 성향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후천적 선호도에 대하여 올바른 소비/생활패턴을 위한 어드바이스 정보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서비스의 활용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사용자별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상품별 사용자 선호도 정보 및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상기 특정 상품과 관련된 유전형질의 획득확률에 따른 사용자 유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기 설정된 유전형질별 선호도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단계; 및
    (c)상기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마케팅 대상자를 선정하여, 사용자별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호도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상기 특정 상품을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호도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복수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관리하는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유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호도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유전정보 수집 대상인 제1 사용자의 유전정보가 수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와 유전적으로 연관관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기초하여 소정의 유전확률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선호도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유전정보를 객관적 수치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선호도 정보의 객관적 수치 및 상기 유전정보의 객관적 수치를 대비하여 기 설정된 편차범주에 따라 상관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호도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관계는,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상품에 대한 선호도와 유전적 성향이 일치하는 보완 관계,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상품에 대한 선호도와 유전적 성향이 불일치하는 상반 관계 및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상품에 대한 선호도와 유전적 성향이 무관한 무관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호도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패턴에 대한 어드바이스 정보를 서비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선호도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방법.
  8. 사용자별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 유전정보 관리 서버 및 서비스 사업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정보 분석을 수행하는 성향 분석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성향 분석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기 유전정보 관리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상품별 사용자 선호도 정보 및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상기 특정 상품과 관련된 유전형질의 획득확률에 따른 사용자 유전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정보 분석부; 및
    정보 분석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정보테이블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호도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분석부는,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상기 특정 상품별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선호도 분석부;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상기 특정 상품과 관련된 유전형질의 획득확률에 따른 사용자 유전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는 유전정보 분석부; 및
    기 설정된 유전형질별 선호도 정보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유전정보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상관관계 분석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호도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도 분석부는,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선호도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정보 분석부는,
    유전정보 수집 대상인 제1 사용자의 유전정보가 수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유전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와 유전적으로 연관관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의 유전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유전확률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도출하는, 사용자 선호도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관계 분석부는,
    상기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유전정보를 객관적 수치로 변환하고, 상기 선호도 정보의 객관적 수치 및 상기 유전정보의 객관적 수치를 대비하여 기 설정된 편차범주에 따라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사용자 선호도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관계는,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상품에 대한 선호도와 유전적 성향이 일치하는 보완 관계,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상품에 대한 선호도와 유전적 성향이 불일치하는 상반 관계 및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상품에 대한 선호도와 유전적 성향이 무관한 무관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호도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마케팅 대상자를 선정하는 서비스 대상 선정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선호도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15. 사용자별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광고주의 정보 분석 요청에 따라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상품별 사용자 선호도 정보 및 상기 특정 서비스 또는 상기 특정 상품과 관련된 유전형질의 획득확률에 따른 사용자 유전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성향 분석 서버;
    복수 사용자의 유전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성향 분석 서버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유전정보를 제공하는 유전정보 관리 서버;
    상기 성향 분석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유전정보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부터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받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사용자별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130163558A 2013-12-26 2013-12-26 사용자 선호도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131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558A KR102131959B1 (ko) 2013-12-26 2013-12-26 사용자 선호도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558A KR102131959B1 (ko) 2013-12-26 2013-12-26 사용자 선호도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291A true KR20150076291A (ko) 2015-07-07
KR102131959B1 KR102131959B1 (ko) 2020-07-08

Family

ID=53789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558A KR102131959B1 (ko) 2013-12-26 2013-12-26 사용자 선호도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9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105B1 (ko) * 2017-10-20 2018-07-12 양창영 매장별 또는 상품별 특화코드에 유전 정보를 매칭하여 모바일 단말로 개인 맞춤형 상품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
CN111652741A (zh) * 2020-04-30 2020-09-11 中国平安财产保险股份有限公司 用户偏好分析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KR102190899B1 (ko) * 2020-01-09 2020-12-15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유전자 마커에 기반한 개인화 정보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098A (ko) * 2000-07-28 2000-12-05 이종인 게놈족보 및 유전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US20050026117A1 (en) * 2000-12-04 2005-02-03 Judson Richard S System and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genomic data
KR20130037433A (ko) * 2011-10-06 2013-04-16 주식회사 제퍼런스 유전 정보 맞춤형 서비스 중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098A (ko) * 2000-07-28 2000-12-05 이종인 게놈족보 및 유전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US20050026117A1 (en) * 2000-12-04 2005-02-03 Judson Richard S System and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genomic data
KR20130037433A (ko) * 2011-10-06 2013-04-16 주식회사 제퍼런스 유전 정보 맞춤형 서비스 중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최윤섭, ‘최초의 유전 정보 거래소 Miinome: 당신의 유전자에 마케팅을!’, 2013.7, online*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105B1 (ko) * 2017-10-20 2018-07-12 양창영 매장별 또는 상품별 특화코드에 유전 정보를 매칭하여 모바일 단말로 개인 맞춤형 상품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
KR102190899B1 (ko) * 2020-01-09 2020-12-15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유전자 마커에 기반한 개인화 정보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N111652741A (zh) * 2020-04-30 2020-09-11 中国平安财产保险股份有限公司 用户偏好分析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1652741B (zh) * 2020-04-30 2023-06-09 中国平安财产保险股份有限公司 用户偏好分析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959B1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7684B2 (en) Systems and method for tracking consumer tasting preferences
US20050096997A1 (en) Targeting shoppers in an online shopping environment
JP4947477B1 (ja) レコメンド装置、レコメンド方法およびレコメンドプログラム
CN112015998B (zh) 一种基于用户画像的商品推荐方法
US20010011235A1 (en) Apparatus for realizing personal shops in an electronic commerce business
KR101579376B1 (ko) 주관성 분석을 이용한 사용자 분류와 그에 따른 개인화된 장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
US11972469B2 (en) System and machine-readable media for selection of regulated products
KR101646312B1 (ko) 개인행동기반 관심 대상 및 선호 분야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533660A (ja) 知能性能ベースの製品推奨システム
JP2011039909A (ja) 提示情報の最適化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90084458A (ko) 매장 및 고객 간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한 매장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Zhang et al. Social shopping communities as an emerging business model of youth entrepreneurship: exploring the effects of website characteristics
KR20020072939A (ko) 인터넷 쇼핑 에이전트에서의 다이알로그 마이닝 기법을이용한 개인화된 구매의사결정 지원과 마케팅 정보 추출방법
KR20220165225A (ko) 상품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 및 서비스 제공 서버
KR20060099377A (ko) 소비자의 구매 취향에 따른 상품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150076291A (ko) 사용자 선호도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N104981829A (zh) 优选图像标识码生成方法、优选图像标识码诊断方法及利用优选图像标识码的信息提供方法
US201202157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Objective Measure of Human Quality of Life
JP4886940B2 (ja) 因子データベースを用いたマッチング・システム、マッチング装置、およびそのシステムのための因子データベース作成方法
KR102323153B1 (ko) 고객의 무의식 영역에 기반하여 의사결정 지원자료를 제공하는 의사결정 지원서버 및 그 의사결정 지원방법
KR100521752B1 (ko) 가맹점으로 회원 고객의 고객관리정보를 제공하는고객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65754A (ko) 도서 추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KR20010111913A (ko) 전자상거래에서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을 위한 복합적필터링장치 및 방법
KR20020078714A (ko) 상품 사용 평가에 의한 사용자 구매지원 시스템
KR100717214B1 (ko) 성격 검사를 이용한 블로그 커뮤니티 매칭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