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5969A - 용탕 혼합 장치 - Google Patents

용탕 혼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5969A
KR20150075969A KR1020130164449A KR20130164449A KR20150075969A KR 20150075969 A KR20150075969 A KR 20150075969A KR 1020130164449 A KR1020130164449 A KR 1020130164449A KR 20130164449 A KR20130164449 A KR 20130164449A KR 20150075969 A KR20150075969 A KR 20150075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l gear
molten metal
shaft portion
shaft
mix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6959B1 (ko
Inventor
이정욱
윤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64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959B1/ko
Publication of KR20150075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7/00Treating the metal in the mould while it is molten or ductile ; Pressure or vacuum casting
    • B22D27/09Treating the metal in the mould while it is molten or ductile ; Pressure or vacuum casting by using pressure
    • B22D27/11Treating the metal in the mould while it is molten or ductile ; Pressure or vacuum casting by using pressure making use of mechanical pres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4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8Melting p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46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 F16H3/48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with single orbital gears or pairs of rigidly-connected orbital gears
    • F16H3/50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with single orbital gears or pairs of rigidly-connected orbital gears comprising orbital conical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용탕 혼합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탕 혼합 장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의 회전축에 고정 결합된 제1베벨기어, 상기 제1베벨기어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베벨기어, 상기 제1베벨기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제1축부, 상기 제1축부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축부, 상기 제2베벨기어와 맞물리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2축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축부가 제1축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제3베벨기어, 상기 제1축부에 형성된 제1회전부 및 상기 제2축부에 형성된 제2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탕 혼합 장치{Melt m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용탕 혼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 스트립이나 리본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주조 방법은 용융된 금속을 도가니에서 보관하였다가 배출시키면서 금속 스트립을 생산하는 것이다.
한편, 도가니 내부에는 용탕이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게 하는 용탕 혼합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종래의 용탕 혼합 장치는 하나의 회전 날개를 회전시켜서 용탕을 혼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가니에 채워진 용탕이 신속하게 혼합되어 혼합시간이 단축되면, 열손실을 최소로 할 수 있다. 혼합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회전 날개의 회전력 및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제시될 수 있다. 그러나, 회전 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성능이 더욱 우수한 모터를 구비해야 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큰 동력을 사용하지 않아도 용탕이 더욱 신속하게 혼합할 수 있는 용탕 혼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용탕 혼합 장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의 회전축에 고정 결합된 제1베벨기어, 상기 제1베벨기어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베벨기어, 상기 제1베벨기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제1축부, 상기 제1축부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축부, 상기 제2베벨기어와 맞물리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2축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축부가 제1축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제3베벨기어, 상기 제1축부에 형성된 제1회전부 및 상기 제2축부에 형성된 제2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제3베벨기어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2베벨기어는 2개일 수 있고, 상기 2개의 제2베벨기어들은 동축선상에서 회전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2베벨기어는 상기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제3베벨기어 사이에서 상기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제3베벨기어 각각과 맞물리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제2회전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회전부 또는 상기 제2회전부는 프로펠러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축부와 상기 제2축부 사이에 위치된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탕 혼합 장치에서는 제1회전부와 제2회전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용탕을 신속하게 혼합시키기 위하여 더욱 성능이 우수한 동력부를 마련할 필요 없이, 성능과 소비 전력이 낮은 모터를 동력부로 사용하더라도, 용탕이 혼합되는 속도는 종래의 용탕 혼합 장치와 큰 차이가 없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탕 혼합 장치를 구동시키는데 있어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감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탕 혼합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탕 혼합 장치로 용탕을 혼합하는 경우의 유동을 해석한 그래프.
도 3은 비교예에 따른 용탕 혼합 장치로 용탕을 혼합하는 경우의 유동을 해석한 그래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탕 혼합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탕 혼합 장치(100)는 동력부(110)와, 제1베벨기어(120)와, 제2베벨기어(130)와, 제1축부(150)와, 제2축부(160)와, 제3베벨기어(140)와, 제1회전부(170)와, 제2회전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부(110)는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동력부(110)는 일례로 전기 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엔진인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1베벨기어(120)는 상기 동력부(110)의 회전축에 고정 결합된다.
제2베벨기어(130)는 상기 제1베벨기어(120)와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제2베벨기어(130)의 회전축은 동력부(110)의 회전축과 직교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2베벨기어(130)는 하우징(19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90)은 동력부(110)의 외면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와 다르게, 제2베벨기어(130)는 미도시된 구조물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베벨기어(130)는 제1베벨기어(120)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된다.
제1축부(150)는 상기 제1베벨기어(120)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1축부(150)는 상기 제1베벨기어(120)와 함께 회전된다.
제2축부(160)는 상기 제1축부(150)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제2축부(160)는 제1축부(150)보다 길이 방향의 길이가 짧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축부(150)의 양단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3베벨기어(140)는 상기 제2베벨기어(130)와 맞물리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제3베벨기어(140)는 상기 제2축부(160)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축부(160)가 제1축부(15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즉, 제1베벨기어(120), 제2베벨기어(130) 및 제3베벨기어(140)가 순차적으로 맞물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베벨기어(120), 제2베벨기어(130) 및 제3베벨기어(140)의 배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베벨기어(120)와 상기 제3베벨기어(140)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베벨기어(130)는 2개일 수 있고, 상기 2개의 제2베벨기어(130)들은 동축선상에서 회전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2베벨기어(130)는 상기 제1베벨기어(120)와 상기 제3베벨기어(140) 사이에서 상기 제1베벨기어(120)와 상기 제3베벨기어(140) 각각과 맞물리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베벨기어(120)의 회전되면, 2개의 제2베벨기어(130)들도 회전되면서 제3베벨기어(140)도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3베벨기어(140)의 회전방향은 제1베벨기어(12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이 된다.
제1회전부(170)는 상기 제1축부(150)에 형성된다. 상기 제1회전부(170)의 형상은 일례로 프로펠러일 수 있다.
제2회전부(180)는 상기 제2축부(160)에 형성된다. 상기 제2회전부(180)의 형상은 일례로 프로펠러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회전부(170)는 상기 제2회전부(18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회전부(170)와 상기 제2회전부(180)가 용탕 내부에서 회전되면, 용탕 내부에 와류가 발생되어 용탕이 더욱 원활하게 혼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탕 혼합 장치(100)는 베어링(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은 상기 제1축부(150)와 상기 제2축부(160) 사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탕 혼합 장치(100)에서는 제1축부(150)와 제2축부(160)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러한 베어링에 의해 제1축부(150)와 제2축부(16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탕 혼합 장치(100)의 동작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동력부(110)에서 회전력이 발생되면, 제1베벨기어(120)가 회전된다. 제1베벨기어(120)의 회전에 의해 제2베벨기어(130)도 회전되며, 이와 함께, 제3베벨기어(140)도 회전된다.
제3베벨기어(140)와 연결된 제2축부(160)는 제3베벨기어(140)와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제1베벨기어(120)와 연결된 제1축부(150)는 제2축부(16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제1축부(150)에 연결된 제1회전부(170)와 제2축부(160)에 연결된 제2회전부(18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제1회전부(170)와 제2회전부(180)가 용탕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용탕을 혼합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탕 혼합 장치(100)가 한 개의 회전부로 이루어진 종래의 용탕 혼합 장치보다 더욱 빠른 속도로 용탕을 혼합한다는 것은 도면을 참고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탕 혼합 장치로 용탕을 혼합하는 경우의 유동을 해석한 그래프이고, 도 3은 비교예에 따른 용탕 혼합 장치로 용탕을 혼합하는 경우의 유동을 해석한 그래프이다.
실시예에 따른 용탕 혼합 장치는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용탕 혼합 장치다. 그리고, 비교예에 따른 용탕 혼합 장치는 하나의 프로펠러로 이루어진 종래의 용탕 혼합 장치다. 여기서, 실시예 및 비교에에 따른 용탕 혼합 장치에 탑재된 동력부는 동일한 성능(spec)의 모터이다.
유동 해석 그래프에서 좌측은 속도(m/s)를 색상으로 표기한 것이고, 우측은 도가니(미도시) 내에서 유동의 방향 및 속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탕 혼합 장치로 용탕을 혼합하는 경우에는 용탕 내부의 평균 유속이 0.0071 m/s 이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용탕 혼합 장치로 용탕을 혼합하는 경우에는 용탕 내부의 평균 유속이 0.0034 m/s 이다.
평균 유속이 빠를수록 용탕이 더욱 신속하게 혼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다. 즉, 이러한 유동 해석 결과를 통하여 동일한 모터를 사용하더라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탕 혼합 장치가 비교예에 따른 용탕 혼합 장치보다 용탕이 혼합되는 속도가 더욱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로 되돌아가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탕 혼합 장치에서는 제1회전부(170)와 제2회전부(18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용탕을 신속하게 혼합시키기 위하여 더욱 성능이 우수한 동력부를 마련할 필요 없이, 성능과 소비 전력이 낮은 모터를 동력부(110)로 사용하더라도, 용탕이 혼합되는 속도는 종래의 용탕 혼합 장치와 유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탕 혼합 장치를 구동시키는데 있어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감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용탕 혼합 장치 110: 동력부
120: 제1베벨기어 130: 제2베벨기어
140: 제3베벨기어 150: 제1축부
160: 제2축부 170: 제1회전부
180: 제2회전부 190: 하우징

Claims (5)

  1.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의 회전축에 고정 결합된 제1베벨기어,
    상기 제1베벨기어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베벨기어,
    상기 제1베벨기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제1축부,
    상기 제1축부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축부,
    상기 제2베벨기어와 맞물리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2축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축부가 제1축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제3베벨기어,
    상기 제1축부에 형성된 제1회전부, 및
    상기 제2축부에 형성된 제2회전부를 포함하는 용탕 혼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제3베벨기어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2베벨기어는 2개이고, 상기 2개의 제2베벨기어들은 동축선상에서 회전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2베벨기어는 상기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제3베벨기어 사이에서 상기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제3베벨기어 각각과 맞물리도록 위치된 용탕 혼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제2회전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된 용탕 혼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 또는 상기 제2회전부는 프로펠러인 용탕 혼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부와 상기 제2축부 사이에 위치된 베어링을 포함하는 용탕 혼합 장치.
KR1020130164449A 2013-12-26 2013-12-26 용탕 혼합 장치 KR101546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449A KR101546959B1 (ko) 2013-12-26 2013-12-26 용탕 혼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449A KR101546959B1 (ko) 2013-12-26 2013-12-26 용탕 혼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969A true KR20150075969A (ko) 2015-07-06
KR101546959B1 KR101546959B1 (ko) 2015-08-27

Family

ID=53788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449A KR101546959B1 (ko) 2013-12-26 2013-12-26 용탕 혼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9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096A (ko) * 2017-09-20 2018-07-11 호산이엔지 주식회사 실시간 고속 믹서
CN110576172A (zh) * 2019-10-16 2019-12-17 安徽省辉煌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铸件生产用自动转运设备
KR20200040960A (ko) * 2018-10-10 2020-04-21 한국전력공사 드론 시스템
CN112517883A (zh) * 2020-12-01 2021-03-19 厦门市鑫五豪工贸有限公司 一种机械加工用压铸机
KR20210106738A (ko) * 2020-02-21 2021-08-31 주식회사 지에스나노셀 초음파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나노화 혼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4572B2 (ja) 2008-02-29 2012-10-24 黒崎播磨株式会社 カーボン含有耐火物の耐酸化性評価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096A (ko) * 2017-09-20 2018-07-11 호산이엔지 주식회사 실시간 고속 믹서
KR20200040960A (ko) * 2018-10-10 2020-04-21 한국전력공사 드론 시스템
CN110576172A (zh) * 2019-10-16 2019-12-17 安徽省辉煌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铸件生产用自动转运设备
KR20210106738A (ko) * 2020-02-21 2021-08-31 주식회사 지에스나노셀 초음파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나노화 혼합장치
CN112517883A (zh) * 2020-12-01 2021-03-19 厦门市鑫五豪工贸有限公司 一种机械加工用压铸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959B1 (ko) 2015-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959B1 (ko) 용탕 혼합 장치
JP2006254629A5 (ko)
JP2009126404A (ja) ハイブリット車両
US10158264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for vehicles
JP2019023442A5 (ko)
PT2146796E (pt) Misturador para betão e misturas similares que permite uma limpeza interna fácil e segura
JP2011068251A5 (ko)
JP6031062B2 (ja) 多液混合型注入機におけるロータリーミキサー
JP2010242811A (ja) 変速装置
EP1352725A1 (en) Closed kneader
CN102302906B (zh) 一种静动结合高效液-液混合装置
US20100225190A1 (en) Generator
JP6010472B2 (ja) ミシン用のモータ及び該ミシン用のモータを備えるミシン
JP6562256B2 (ja) 車両用回転電機
KR20150075968A (ko) 용탕 혼합 장치
CN105013384A (zh) 肥料搅拌装置
JP6333148B2 (ja) 偏心揺動型の減速装置およびそのクランク軸歯車の組み込み方法
US20070234836A1 (en) Drive union for a twin-screw machine
CN207427893U (zh) 用于绿篱机工作舱的传动装置和绿篱机
JP4229764B2 (ja) 風車ブレードのピッチ角制御装置
JP2009008095A (ja) 風車ブレードのピッチ角制御装置
JPS5942619B2 (ja) コ−ン型押出機
KR20150022354A (ko) 보조날개를 구비한 교반기
CN107939453B (zh) 一种动力涡轮导向器连接装置
KR101314814B1 (ko) 터널 추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