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5921A - 유리 시트 가공용 연마휠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시트 가공용 연마휠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5921A
KR20150075921A KR1020130164348A KR20130164348A KR20150075921A KR 20150075921 A KR20150075921 A KR 20150075921A KR 1020130164348 A KR1020130164348 A KR 1020130164348A KR 20130164348 A KR20130164348 A KR 20130164348A KR 20150075921 A KR20150075921 A KR 20150075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layer
cleaning
cleaning layer
poli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한텍
Priority to KR1020130164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5921A/ko
Publication of KR20150075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9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3/0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 B24D13/02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ir periph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3/0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 B24D3/02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 B24D3/2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and being essentially organic
    • B24D3/22Rubbers synthetic or natu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5/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nly by their periphery;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Abstract

유리 가공용 연마휠에 관해 기술된다. 연마휠:은 회전 장치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축공을 가지는 부싱; 상기 부싱의 외주면 주위에 방사상으로 다수 연장 배치되어 가공 대상의 피연마면을 클리닝하는 것으로,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 소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소정 두께의 방사상 클리닝 층; 그리고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클리닝층들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피연마면을 연마하는 소정 두께의 지립층; 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유리 시트 가공용 연마휠 및 그 제조 방법{Grinding wheel for glass sheet and manufacturing the wheel}
본 발명은 유리 시트 가공용 연마휠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리 시트의 테두리 면을 안전하고 깨끗하게 연마할 수 있는 연마휠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PDP(Plasma Display Panel) 등 기존의 CRT 모니터를 대체하는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제품들은 컴퓨터, 모니터, TV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유리는 통상 수 밀리미터 두께의 박판 형태의 유리 시트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유리 시트는 구조적으로 테두리 면(Edge surface)의 깨짐이 없고, 매끄럽게 연마되어야 한다.
유리의 테두리 면의 가공하는 연마휠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유리의 테두리 면을 연마하게 되는데, 이는 지립(砥粒, abrasive grain)층과, 이를 지지하는 부싱을 갖춘다. 상기 지립층은 유리에 대한 연마를 수행하는 부분이고, 부싱은 지립층의 중심에 마련되는 것으로 회전 장치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지립층은 단순히 돌가루 등의 연마재와 우레탄 등의 충진재를 혼합된 재료로 형성된다.
이러한 지립층은 단순히 돌가루 등의 연마재와 우레탄 등의 충진재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리 시트 또는 기판의 크기가 대형화되면서 테두리면의 연마 품질을 만족시키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사용되는 유리의 에지 강도는 100 내지 110Mpa 정도로서 외력에 의해 쉽게 깨어질 수 있는 정도이다. 여기서, 에지 강도는 테두리 면이 가공된 유리 기판을 일정 규격(예: 150mm×20mm)으로 절단한 후 지면에 고정하고 유리 중앙에 서서히 압력을 가하여 깨질 때의 압력을 측정한 수치를 나타낸다.
종래의 연마휠의 약점은 유리의 테두리 면 가공시 부싱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유리에 그대로 전달되고 이로 인해서 테두리 면의 표면 거칠기가 악화되며 심한 경우 테두리 면의 깨짐을 발생할 수 있고, 한편으로는 연마휠의 지립층이 부싱으로부터 박리될 수 도 있다. 연마휠의 지립층은 피연마면(被硏磨面, 가공면)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고, 또한 외부 충격에 대해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동이 적고 불균일한 파손이나 마모가 적을 뿐 아니라 피연마면으로부터 절삭된 입자를 신속하게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유리시트의 테두리 면과 같은 연마대상 면 또는 피연마면을 효과적으로 연마할 수 있는 유리 가공용 연마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연마면으로부터 절삭 또는 분리되는 파티클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피연마면의 2차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 가공용 연마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연마면에 대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피연마면의 깨짐 이나 조직 결합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 가공용 연마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휠:은
회전 장치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축공을 가지는 부싱;
상기 부싱의 외주면 주위에 방사상으로 다수 연장 배치되어 가공 대상의 피연마면에 접촉하여 클리닝하는 것으로, 상기 부싱의 외부면에 방사상 방향으로 다수 연장 배치되는 소정 두께의 방사상 클리닝 층; 그리고
상기 부싱의 주위에서 상기 클리닝 층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피연마면을 연마하는 소정 두께의 지립층; 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클리닝 층은 상기 피연마물로부터 탈락된 입자에 대해 점착성을 가지며 상기 지립층에 비해 유연한 점착성 탄성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층은 저경도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클리닝층과 지립층의 경계 부분에 상기 피연마면에서 탈락한 입자 등이 배출되는 입자 배출홈이 상기 부싱의 회전축 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에에 따르면, 상기 지립층은 경질의 연마재에 충진재가 혼합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 연마면을 매우 깨끗하게 연마할 수 있으며, 지립층과 연마면과의 충격을 감소하고 특히 이물질에 의한 2차 연마를 방지하여 피연마면의 깨짐이나 조직 결함이 없는 유리 연마면을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마휠의 사용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마휠의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마휠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유리의 연마에 발생한 연마휠의 마모홈을 도시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휠의 부싱의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에 도시된 부싱의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싱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마휠의 제조를 위한 금형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9는 도8에 도시된 금형의 중간틀에 부싱과 클리닝층이 장착된 중간틀의 평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마휠의 제조 공정을 보이는 공정 흐름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마휠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배출홈의 설계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유리 가공용 연마휠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동일한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마휠의 사용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박판 유리 면취용 연마휠(100)은, 부싱(10)과, 지립층(20)과, 클리닝 층(30)을 포함한다.
상기 부싱(10)은, 회전장치의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는 축공(10a)을 그 중심에 가진다. 이러한 부싱(10)은 이러한 부싱(10)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ABS 재질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과 합성수지의 복합체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합성수지에 우레탄을 혼합할 수 있는데, 우레탄은 지립층(20)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므로 지립층(20)의 안정적인 고정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립층(20)은 박판 유리(1)의 테두리 면(1a)과의 마찰에 의해 테두리 면(1a)의 연마가 가능하도록 연마재에 충진재가 혼합된 합성수지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립층(20)의 연마재의 주성분의 탄화규소(SiC)이며, 충진재의 주성분으로는 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지립층에는 연마재와 충진재와는 별도로 광택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광택재는 산화크롬(CrO), 세륨옥사이드(Ce2O), 레진 파우더(Resin Powder), 탄산칼슘(CaO3), 산화칼슘(CaO), 산화철(Fe2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립층(20)의 재료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성질을 가지며 따라서 액체 상태의 재료로 성형틀 또는 금형을 이용한 지립층(20) 형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클리닝 층 (30)은, 상기 지립층(20)과 함께 상기 박판 유리(1)의 테두리면(1a), 즉 피연마면에 번갈아가면서 접촉됨으로서 지립층(20)에 의해 연마된 피연마면을 닦아내어 피연마면을 클리닝하여, 피연마면으로부터 깍여 나온 입자가 피연마면에 부착됨에 따른 피연마면의 비정상적 2차 연마를 방지한다. 피연마면으로부터 연삭등에 의해 탈락된 입자들은 크기가 고르지 않고, 이것이 피연마면에 남아 있게 되면 피연마면에 대한 고르지 못한 연삭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피연마면의 고른 표면 거칠기의 획득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클리닝 층(30)은 치밀한 조직을 가지는 것으로 고무와 같이 부드러우면서도 마찰력이 큰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일정 수준의 점착성을 가짐으로써 피연마면에 부착되어 있는 탈락입자를 치밀한 조직의 마찰에 의해 효과적으로 닦아 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클리닝 층(30)의 재료로는 저경도 고무 또는 폴리우탄이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이들 재료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클리닝 층(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10)의 둘레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放射狀)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클리닝 층(30)은 부싱(1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지립층(20)에 매립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도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립층(20)과 제 2 접촉층(30)의 외측 경계부분에 이물질(2)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배출홈(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지립층(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모든 배출홈(21)의 폭의 합은 지립층(20)의 폭(외주면의 원주길이)에 대해 10% 이하 바람직하게 5% 미만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배출홈(21)의 폭이 너무 크게 되게 배출홈 개구부 양측의 가장자리부분에 의한 피연마면에 대한 진동 충격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매끄러운 연마에 장애가 우려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연마휠(100)에 의한 박판 유리(1)의 테두리면(1a)을 연마하게 되면, 먼저 지립층(20)에 의한 테두리면(1a)의 연삭이 일어나고, 이에 이어 클리닝 층(30)에 의한 세척 또는 클리닝이 일어난다. 연삭 및 클리닝에 의해 데두리면(1a)으로부터 분리된 입자들은 원심력에 의해 연마휠(100)로 부터의 분리가 일어나는데, 그 전에 일부 입자는 배출홈(21)을 경유하여 고속 회전하는 연마휠(100)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배출홈(21)은 입자가 배출되는 공간이면서 연마 시, 공급되는 냉각액이 주입되면서 피연마면으로 공급하는 통로로도 작용한다. 이러한 배출홈에 따르면 냉각액 공급에 따른 피연마면의 효과적인 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마휠(200)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3에 도시된 연마휠(200)은 복 층 구조의 클리닝층(30)을 구비한다. 이 클리닝 층(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저경도 고무나 폴리 우레탄과 같은 유연한 탄력성을 가지는 점성 재료에 의한 제1클리닝 층(31)과 점착성이 없는 부직포나 수세미와 같이 입자의 흡착 등이 가능한 섬유상 제2클리닝층(32)을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클리닝층(31)에 의한 입자의 완전한 제거, 그리고 제2클리닝 층(31)에 의한 입자의 흡착, 그리고 배출홈(21)을 통한 연마 부산물인 탈락 입자의 효과적인 배출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배출홈(21)의 폭(w)은 지립층(20)의 외주면이 이루는 원호(20a)의 반경(R)에 따라 변화되며 아래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이때에 배출홈(21)의 폭(w)을 설정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크리닝층 또는 제2크리닝층의 두께까지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제1, 제2크리닝층이 연마에 기여하기 않는 연질의 물질로 형성되고 그리고 이것은 배출홈(21)의 일부 영역을 잠시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11에서 h는 배출홈(21)의 개구 평면로부터 지립층(20)의 외주면이 이루는 원주까지의 높이이며, w는 배출홈(21)의 개구평면 상에서의 지립층 회전 방향의 폭이다. 여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홈(21)의 폭(w)은 크리닝 층의 두께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홈921)의 폭(w)은 연마휠의 일회 연삭량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 연삭량은 피 연마면에 대해 위치 고정된 연마휠에 의한 연삭 두께 또는 깊이(d)를 나타낸다. 유리의 경우 일회 연삭량(d)에 비해 상기 높이(h)를 같게 하거나 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아래의 부등식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h ≤ d
상기 높이 h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아래와 같은 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h = R-R*cos(arcsin(w/2R))
따라서, 배출홈을 설계할 때에 일회 연삭량 d는 아래의 식을 표현될 수 있다.
d ≥ R-R*cos(arcsin(w/2R))
여기에서 유리에 대한 1회 연삭량을 0.02mm 이하로 제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w를 산출할 수 있는 아래의 수식을 도출할 수 있다.
0.02(mm) ≥ R-R*cos(arcsin(w/2R))
위의 식을 통하여 지립층(20)의 외주면의 반경(R)과 일회 연삭량(d)을 고려하여 배출홈의 폭(w)의 최대 크기의 산출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배출홈의 재소의 폭은 이물질이 끼이지 않고 연마액과 함께 배출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가 되면 되고, 따라서 이물질의 예를 연마휠에 사용된 지립층 입자의 최대 크기보다 약간 크면 될 것이다.
위와 같은 계산에 의해 배출홈의 최대폭을 정할 수 있으며, 한편, 연마휠의 외주에 형성되는 모든 배출홈의 폭의 합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마휠 외주 길이의 10% 또는 5% 이하로 결정하는 것이 일정이상의 연마속도의 유지에 바람직하다.
도 4는 유리의 연마에 발생한 연마휠(100)의 마모홈(3)을 나타내 보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휠(100)을 이용하여 박판 유리(1)의 테두리면(1a)을 연마하면, 상기 박판 유리(1)의 테두리면(1a)의 연마에 사용된 부분에 다수 줄의 마모홈(3)이 형성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연마휠(100, 200)에서 상기한 클리닝 층(30)은 유리(1)의 테두리면(1a) 부분을 효과적으로 클리닝하여 연마에 의해 발생한 입자에 의한 테두리면(1a)의 비정상적 연마를 예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휠(100, 200)를 이용한 연마 실험에 따르면, 동일한 조건하에서, 에지(Edge) 파티클(ea/cm2)의 개수가 종래 연마휠에서는 평균 590개가 발생했는데,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연마휠에 따르면 평균 200개 이하로 크게 줄였다. 에지 조도(㎛)에 있어서도, 종래의 연마휠의 경우 평균 0.3~0.4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연마휠의 경우에 있어서는 평균 0.15 이하로 크게 개선되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휠의 부싱(10)의 사시도이며, 도6은 그 평면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부싱(10)의 중앙에 축공(10a)이 마련되고, 그 외주 둘레에 클리닝층(30)의 내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홈(12)이 마련된다. 이 고정홈(12)은 상기 부싱(10)의 둘레에 형성되는 플랜지(11)에 형성된다. 이 플랜지(11)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7의 (a)는 도5에 도시된 플랜지의 배치 위치를 보이고, (b)는 상기 부싱(10)의 외주면 전체에 외주면과 같은 높이로 형성되는 구조를 도시하며, 그리고 (c)는 상기 부싱(10)의 외주 중간 부분에 상기 플랜지(11)가 형성되는 구조를 예시한다.
이러한 플랜지의 구조, 특히 클리닝 층(30)의 고정하는 구조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클리닝 층의 고정을 위한 특정한 구조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마휠(100, 200)의 제조를 위한 성형틀 또는 금형(50)의 구조를 예시하며, 도9는 부싱(10)과 클리닝 층(30)이 장착된 중간틀(52)의 평면도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50)은 상하가 열려 있는 도너츠형의 중간틀(52)과 상기 중간틀(52)의 상하를 폐쇄하는 상판(51)과 하판을 포함한다. 상기 중간틀(52)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마휠(100, 200)의 주요 구성요소인 부싱(10)과 부싱(10) 주위에 배치되는 클리닝 층(30, 31, 32)을 수용하는 크기를 가진다. 여기에서 부싱(10)의 중간틀의 정중앙에 위치하며, 부싱의 주위에 배치되는 클리닝 층(30)은 그 내단부가 상기 플랜지(11)의 결합홈에 끼워지고, 그 외단부는 상기 중간틀(52)의 내면에 접촉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틀(52)에는 전술한 지립층(20)의 배출홈(21)에 대응하는 돌출부(52a)가 마련되고, 이에 인접하여 상기 클리닝 층(30)의 외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홈(52b)가 마련된다. 도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부싱(10)의 외주면에 대한 지립층(20)의 형성이 진행되며, 구체적인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10과 함께 다음에서 설명한다.
먼저, 부싱 원료를 준비(S1)한 후, 이를 이용해 부싱을 제조한다(S2). 부싱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용탕을 이용한 주물 성형 또는 금속 재료의 절삭 가공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싱(10)과 부싱(10) 주위의 클리닝 층(30)을 수용하는, 예를 들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금형(50)을 준비한다.
한편, 부싱 원료 준비(S1)와는 별도로 클리닝 층을 형성을 위해 클리닝 부재와 지립층 원료 물질을 준비(S3, S5) 한 후, 각각을 교반(S4) 및 재단(S6)한다. 여기에서 클리닝 층이 복층의 구조를 가지는 경우, 예를 들어 저경도 고무 부재 및 섬유상 부재로 클리닝 부재를 구성하는 경우 이 둘을 각각 또는 하나로 겹친 상태에서 소정 형성으로 재단한다.
위와 같이 재료 및 금형 준비가 완료된 후,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금형(50) 내에 부싱(10)을 장착한 후 이를 정렬한다(S7). 그런 다음, 상기 부싱(10)의 주위에 클리닝 층(30)을 고정한다(S8). 결과적으로 지립층(20)이 형성되는 금형(50) 내에 부싱(10) 및 클리닝 부재(층)(30)은 금형(50) 내에 인서트로서 설치되며, 이러한 방법은 인서트 몰딩 방법에 해당한다 볼 수 있다. 부싱(10)과 클리닝 부재(30)가 금형 내에 장착 정렬된 후, 금형(50) 내에 준비된 지립층 원료를 투입한다(S9).
지립층 원료가 금형 내에 골고루 그리고 완전하게 채워진 후, 소성 및 건조 그리고 숙성을 통해 견고하게 부싱의 외주면에 고정된 고체 상태의 지립층(20)을 형성한다(S10).
지립층(20)까지 형성된 연마휠을 지립층 금형(50)에서 분리한 후, 지립층 및 클리닝 부재(층)에서 불필요하게 돌출된 부분을 커터 또는 다이아몬드 휠 등을 이용해 제거 및 마무리하여 전체 외관을 최종 마무리한다(S11). 그리고 제조된 연마휠을 일련의 테스트를 거쳐 검사한 후 기준 적합 제품은 최종 출하가 될 수 있도록 준비한다(S12).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휠은 유리의 테두리 면과 같은 피연마면에 대한 효과적인 연마 및 클리닝이 가능하여 연마 면의 깨짐이 없는 양질의 제품, 예를 들어 양질의 테두리 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용 유리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가지는 연마휠은 전술한 제조 방법 외에 다른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연마휠은 특정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00, 200: 연마휠
10: 부싱
20: 지립층
21: 배출홈
30 클리닝 층
31: 제1클리닝 층
32: 제2클리닝 층

Claims (7)

  1. 회전 장치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축공을 가지는 부싱;
    상기 부싱의 외주면 주위에 방사상으로 다수 연장 배치되어 가공 대상의 피연마물을 클리닝하는 것으로,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 소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소정 두께의 방사상 클리닝 층; 그리고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클리닝층들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피연마면을 연마하는 소정 두께의 지립층; 을 구비하는 연마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층은 지립층에 의해 상기 피연마물로부터 탈락된 입자에 대해 점착성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지립층에 비해 유연한 점착성 탄성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휠.
  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층은 저경도 고무 또는 폴리 우레탄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층은 입자의 흡착이 가능한 섬유 조직의 제2클리닝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휠.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립층에 클리닝층에 인접하는 배출홈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리닝층은 부직포 또는 수세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휠.
  7.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의 주위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에 상기 클리닝층의 내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휠.
KR1020130164348A 2013-12-26 2013-12-26 유리 시트 가공용 연마휠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759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348A KR20150075921A (ko) 2013-12-26 2013-12-26 유리 시트 가공용 연마휠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348A KR20150075921A (ko) 2013-12-26 2013-12-26 유리 시트 가공용 연마휠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921A true KR20150075921A (ko) 2015-07-06

Family

ID=53788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348A KR20150075921A (ko) 2013-12-26 2013-12-26 유리 시트 가공용 연마휠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59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8609A (zh) * 2021-07-27 2021-11-09 宜春市龙腾机械电气有限公司 动态自助清理仿真永磁同步抛光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8609A (zh) * 2021-07-27 2021-11-09 宜春市龙腾机械电气有限公司 动态自助清理仿真永磁同步抛光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554B1 (ko) 박판 유리 면취용 연마휠 및 이의 제조방법
US5910041A (en) Lapping apparatus and process with raised edge on platen
US5967882A (en) Lapping apparatus and process with two opposed lapping platens
US5993298A (en) Lapping apparatus and process with controlled liquid flow across the lapping surface
US6120352A (en) Lapping apparatus and lapping method using abrasive sheets
US6048254A (en) Lapping apparatus and process with annular abrasive area
JP5374713B2 (ja) 工作物目視特性を備えた砥粒ホイ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513635A (ja) マルチ研磨工具
JP6424829B2 (ja) 遠心バレル機用のバレル槽、その製造方法、及び遠心バレル研磨機
JPH1119866A (ja) 平坦な物体を研磨するための重合体キャリヤ
CN102601725A (zh) 在双面加工设备的两个工作盘的每个盘上提供平坦工作层的方法
JP2011025382A (ja) 回転砥石
JP4441552B2 (ja) ダイヤモンドコンディショナ
KR20150083733A (ko) 유리 시트 가공용 연마 휠
KR20150075921A (ko) 유리 시트 가공용 연마휠 및 그 제조 방법
JP2011031361A (ja) 研磨用具、研磨方法及び研磨用具の製造方法
KR101004257B1 (ko) 유리기판용 연마롤러 및 그 제조방법
JP2012179680A (ja) ガラス板の研磨方法
KR101990947B1 (ko) 연마재 및 연마재의 제조방법
KR20150014045A (ko) 판유리 연마용 탄성휠 및 그 제조방법
KR101079468B1 (ko) 양면 연마장치용 캐리어 및 이를 이용한 양면 연마방법
KR101290778B1 (ko) 박판 유리 면취용 연마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0035B1 (ko) 유리 시트 가공용 연삭 휠
KR101399905B1 (ko) 판형 패널의 면취휠의 드레싱방법, 이를 이용한 판형 패널의 면취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드레싱 휠
KR102297660B1 (ko) 박판 유리 연마용 폴리싱 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