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5707A -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5707A
KR20150075707A KR1020130163924A KR20130163924A KR20150075707A KR 20150075707 A KR20150075707 A KR 20150075707A KR 1020130163924 A KR1020130163924 A KR 1020130163924A KR 20130163924 A KR20130163924 A KR 20130163924A KR 20150075707 A KR20150075707 A KR 20150075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adhesive
bicycle frame
frame
carbon nanotub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4660B1 (ko
Inventor
박경래
김영근
박동원
최웅재
Original Assignee
윈엔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윈엔윈(주) filed Critical 윈엔윈(주)
Priority to KR1020130163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660B1/ko
Publication of KR20150075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02Cycle frame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ross-section of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bicycles or motor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02Cycle frame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ross-section of frame members
    • B62K19/04Cycle frame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ross-section of frame members the material being wholly or mainly metallic, e.g. of high elasti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강도가 우수한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자전거 프레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bicycle frame using carbon nano tube}
본 발명은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소나노튜브(CNT)를 첨가하여 접착강도가 우수한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앞바퀴는 조향, 뒷바퀴가 구동식이고, 탄 사람의 발의 힘을 크랭크기구로 회전력으로 바꾸어 큰 스프로킷에 물려 있는 체인으로 뒷바퀴에 전달하며, 앞뒤 바퀴에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수동식 브레이크가 있다. 자전거의 차체를 형성하는 프레임은 마름모(또는 다이아몬드) 형상이며, 크로몰리, 티타늄, 알루미늄, 카본 등의 재질로 만들어진다. 프레임은 자전거의 성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헤드 튜브(Head Tube), 탑 튜브(Top Tube), 다운 튜브(Down Tube), 시트 스테이(Seat Stay), 체인 스테이(Chain Stay)로 구성되며, 형태와 길이 모양, 굵기 등은 각 차체의 프레임 지오메트리에 따라 달라진다. 최근 전문용 자전거는 가볍고 강도가 높은 카본 재질의 프레임을 사용하기도 한다.
자전거 프레임은 여러 개의 원형 파이프 또는 판재를 접착제로 접합하여 제조하는데, 접착제의 역할이 크므로, 접착제의 접착강도가 불충분할 경우 박리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강도가 우수한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제조된 접착제를 이용하여 자전거 프레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조된 접착제를 이용하여 복수의 프레임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자전거 프레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조된 접착제를 함침 수지로 이용하여 복수의 프리프레그를 제조한 후, 복수의 프리프레그를 접합하여 자전거 프레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지는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나일론 수지, 페놀수지,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실리콘 수지, 우레탄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탄소나노튜브는 단일 벽 탄소나노튜브 또는 다중 벽 탄소나노튜브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은 접착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접착제의 접착강도는 160 kgf/㎠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접착강도가 우수한 자전거 프레임을 제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기존보다 접착강도를 30% 이상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자전거 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자전거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소나노튜브(CNT)를 첨가하여 접착강도가 우수한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방법은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제조된 접착제를 이용하여 자전거 프레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조된 접착제를 이용하여 복수의 프레임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자전거 프레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조된 접착제를 함침 수지로 이용하여 복수의 프리프레그를 제조한 후, 복수의 프리프레그를 접합하여 자전거 프레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접착강도가 우수한 자전거 프레임을 제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기존보다 접착강도를 30% 이상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자전거 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프레임은 시트 튜브(10)와 헤드 튜브(4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용 튜브(20, 30)가 연결되어 지지되고, 시트 튜브(10)에는 한 쌍의 시트 스테이(50)와 한 쌍의 체인 스테이(60)가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시트 튜브(10)와 헤드 튜브(40)를 연결하는 지지용 튜브는 보통 탑 튜브(20)와 다운 튜브(30)로 지칭되는 두 개의 튜브가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메인튜브로 지칭되는 하나의 튜브로 연결된 것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용 튜브는 전술한 자전거 구조를 포함하여 다양한 구조를 갖는 자전거 프레임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자전거 구조에서 가장 힘을 많이 받는 부분인 시트 튜브(10), 탑 튜브(20), 및 다운 튜브(3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튜브로 이루어지며, 스틸, 알루미늄, 티타늄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진 금속 튜브, 탄소 섬유재로 이루어진 카본 튜브, 유리섬유재로 이루어진 글라스 튜브 등이 사용되고 있다.
도 2는 자전거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로서, 자전거 프레임(400)은 복수의 프레임 부재(410, 420, 430)로 구성될 수 있다. 각 프레임 부재(410, 420, 430)의 형상은 도면과 같이 원형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각 프레임 부재(410, 420, 430)는 각 부재마다 압축, 인장, 휨, 강성, 탄력, 표면보호, 변위 조절 및 비틀림 방지 등과 같은 다양한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부재(410)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을 실질적으로 흡수 및 완화하기 위해 탄성 및 반발력을 포함한 신축성을 갖는 기포 강화 플라스틱(Syntatic foam)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자전거 프레임(400)의 중심부에 기포 강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는 프레임 부재(410)가 배치되고, 이를 기준으로 외곽에 제1카본 소재로 구성되는 프레임 부재(420)가 적층되고, 프레임 부재(420)의 외곽에는 압축, 인장, 휨, 비틀림 등과 같은 역학적 성질이 다른 제2카본 소재로 구성되는 프레임 부재(430)가 적층될 수 있다.
기포 강화 플라스틱 소재는 메탈, 폴리머 혹은 속이 빈 세라믹 재료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혼합하여 합성시켜 만들어질 수 있다. 메탈은 일정 정도의 강도를 지니면 충분하고, 폴리머는 염화비닐, 나일론, 합성고무, 네오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여기서 합성 고무는 스티렌과 부타디엔이 에멀션화 중합된 스티렌부타디엔고무(styrene butadien rubber:SBR), 클로로프레인의 트랜스형 중합체인 폴리클로로프렌고무(polychloroprene rubber:CR), 주성분이 이소부틸렌 중합체인 부틸고무(isoprene-isobutylene rubber:IIR), 부타디엔을 중합한 부타디엔고무(butadiene rubber:BR),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 우레탄고무(urethane rubber) 및 아크릴산에틸를 포함하는 아크릴고무(acrylic rubb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합성 고무의 종류 이외에도 천연고무나 기타 다른 합성 고무들이 있지만 내구성이 뛰어나고 대부분 신축성을 내포하고 있어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데 효과적이다. 물론, 합성 고무의 실시예로 위와 같이 나열했지만, 실제 탄력을 갖고 신축성을 내포한 폴리머를 구성하는 합성고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포 강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는 프레임 부재(410)는 그 자체로 종래 쇽업소바의 주 기능인 외부 충격을 충분히 잘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쇽업소바 없이도 외부 충격을 잘 흡수할 수 있어 제조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다.
제1카본 소재는 자전거 프레임(400)의 강도 및 탄력 특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수지가 함침된 일방향성을 갖는 UD 카본(Unidirectional prepreg Carb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본이 갖는 일 방향성은 자전거 프레임(40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자전거 프레임(400)의 탄력 특성을 더욱 보완하기 위함이다.
제2카본 소재는 외부의 충격에 의한 크랙 및 파손 방지 등과 같은 표면보호나 비틀림 방지를 위해 직조된 카본(woven Carb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전거 프레임(400)의 최외곽을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430)의 두께는 프레임 부재(42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지만, 외부에 노출에 따른 파손이 쉬움으로 이를 보강하기 위해 적어도 프레임 부재(420)의 두께보다 더 두꺼움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임 부재(430)의 변위율은 프레임 부재(420)의 변위율보다 더 커야 외부 충격에 따른 댐핑 완화가 더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자전거 프레임(400)은 복수의 프레임 부재(410, 420, 430)가 접합된 복층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은 자전거 프레임 구조의 한가지 예시일 뿐이며, 이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가 가능함을 물론이다. 예를 들어, 각 프레임 부재(410, 420, 430)는 판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라운드로 된 파이프 모양뿐만 아니라 판상의 프레임 부재도 CNT 첨가 프리프레그와 접착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자전거 프레임 재료 구성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이 이외에도 다양한 재료 구성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각 프레임 부재(410, 420, 430)는 각각 독립적으로 다른 재료로 구성되거나, 동일한 재료가 2층 이상 적층될 수도 있다. 각 프레임 부재(410, 420, 430)의 재료는 위에서 언급된 재료 이외에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크로몰리, 티타늄,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 유리섬유, 유리섬유 시트, 카본 메쉬, 카본 섬유, 카본 시트 등과 같은 섬유 재질; 합판 등과 같은 목재 재질; 발포 고무, 합성 고무, 합성 수지 등과 같은 고무나 플라스틱 재질 중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자전거 프레임을 제조함에 있어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복수의 프레임 부재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접착제를 구성하는 수지는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나일론 수지, 페놀수지,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실리콘 수지, 우레탄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중에서도 에폭시 수지 또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에폭시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바이페닐형 에폭시 수지, 테트라메틸바이페닐형 에폭시 수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 티오바이페닐 에폭시 수지, 바이페닐설폰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형 페녹시 수지, 비스페놀 F형 페녹시 수지, 플로렌형 페녹시 수지 등 상용하는 에폭시 수지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무색 투명한 열경화성 수지로, 이소프탈산, 무수 말레산, 푸마르산과 같은 다염기산 및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다가 알코올을 반응시켜 제조하며, 뛰어난 내열성과 내식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탄소나노튜브는 단일 벽 탄소나노튜브 또는 다중 벽 탄소나노튜브일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는 탄소 6개로 이루어진 육각형들이 서로 연결되어 관 모양을 이루고 있는 신소재로서, 1991년 전기방전법을 사용하여 흑연의 음극상에 형성시킨 탄소덩어리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발견하였다. 형태는 탄소 6개로 이루어진 육각형 모양이 서로 연결되어 관 모양을 이루고 있다. 관의 지름이 수 내지 수십 나노미터에 불과하여 탄소나노튜브라고 일컬어지게 되었다. 나노미터는 10억 분의 1 m로 보통 머리카락의 10만 분의 1 굵기이다. 전기 전도도가 구리와 비슷하고, 열전도율은 자연계에서 가장 뛰어난 다이아몬드와 같으며, 강도는 철강보다 100배나 뛰어나다. 탄소섬유는 1%만 변형시켜도 끊어지는 반면 탄소나노튜브는 15%가 변형되어도 견딜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단일 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WNT) 및 다중 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NT)로 구분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의 물리적 특성을 살펴보면, 단일 벽 탄소나노튜브는 지름 1.2 내지 3 nm, 장력 45 GPa 미만, 밀도 1.33 내지 1.40 g/cc, 전기저항 10×10-6 Ω·m, 전류밀도 109 A/㎡ 미만, 열전도율 6000 W/m·K 미만이고, 다중 벽 탄소나노튜브는 지름 5 내지 100 nm, 장력 50 내지 300 GPa, 전기저항 5.1×10-8 Ω·m, 열전도율 3000 W/m·K 미만이다.
본 발명에서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은 접착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너무 적을 경우 접착강도가 불충할 수 있고, 너무 많을 경우 다른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접착제의 접착강도는 160 kgf/㎠ 이상, 바람직하게는 170 kgf/㎠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분말 형태의 CNT(탄소나노튜브)를 에폭시 등 각종 수지에 첨가해서 자전거 프레임을 제조하는데 접착제로 사용하게 되면, 접착성이 미첨가시와 비교하여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상술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 이외에 필요에 따라 경화제, 경화촉진제, 충진제(필러), 용제, 분산제, 커플링제, 레벨링제 및/또는 소포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성분들의 첨가량은 각각 독립적으로 접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경화제로는 에폭시 수지의 경우 아민류, 노볼락계 수지, 산무수물, 폴리아마이드,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 레졸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경우 유기 과산화물과 3급 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페놀 수지의 경우 헥사메틸렌테트라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화 촉진제로는 메틸 이미다졸, 페닐 이미다졸, 2-에틸-4-메틸 이미다졸 등의 이미다졸 화합물; 트리페닐 포스핀, 에틸트리페닐 포스핀 요오드아드, 에틸트리페닐 포스핀 브로마이드 등의 유기-인 착화물 등과 같은 염기성 촉매; 삼불화붕소 착화물, 인산 화합물 등의 산성 촉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충진제로는 금속 산화물, 금속 수화물, 금속 탄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분산제로는 예를 들어 BYK사의 DISPERBYK-110 시리즈, DISPERBYK-160 시리즈, DISPERBYK-170, 171, EFKA사의 EFKA-4009, 4015, 4020, 4300, 4330, 4400, 4401, 4500, 455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어 Z-6040(다우코닝사 제조)과 같은 실란 커플링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레벨링제로는 예를 들어 Polyflow No. 90D-50(한성공업 판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소포제로는 아크릴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용제로는 물, 알코올, 케톤, 에스테르, 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원형 파이프 형태의 각 프레임 부재를 제조한다. 각 프레임 부재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 모양을 몰드에서 블로잉(blowing) 하여 일체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다음, 제조된 각 프레임 부재에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합한다. 이후, 건조 및 경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CNT 첨가 프리프레그로서 제조되는 자전거 프레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조된 접착제를 함침 수지로 이용하여 복수의 프리프레그를 제조한 후, 복수의 프리프레그를 접합하여 자전거 프레임을 제조할 수 있다. 즉, 프리프레그 제조시 함침 수지에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여 제조한 후, 자전거 프레임 제조 시에 제조된 프리프레그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프리프레그(prepreg)는 섬유 강화 복합재료용의 중간 기재로서, 강화섬유에 매트릭스 수지를 예비 함침한 성형 재료를 의미할 수 있다. 프리프레그를 적층하여 가열·가압하여 수지를 경화시키는 것으로 성형품이 형성된다. 강화섬유의 형태에 따라 일방향 프리프레그와 크로스 프리프레그로 구별될 수 있다. 에폭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계가 주로 이용되지만, 폴리에테르케톤 등의 열가소성 수지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프레임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복수의 프리프레그를 제조한다. 프리프레그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또는 중공형일 수 있다.
프리프레그에 사용되는 기재 재료는 상술한 카본 소재, 각종 금속, 각종 섬유, 각종 고무, 각종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다.
CNT를 함유하는 접착제를 함침 수지로 이용하여 상기 기재 재료를 함침하여 프리프레그를 제조할 수 있다.
다음, 제조된 복수의 프리프레그를 적층하여 접합한다. 이때, 각 프리프레그로부터 함침수지인 접착제가 흘러나와 서로 접착력을 높여준다. 이후, 건조 및 경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실시예 1]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 등 포함)에 다중 벽 탄소나노튜브 1 중량%를 첨가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에폭시 수지로는 일본 TDR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접착제를 이용하여 미리 준비한 원형 파이프 형태의 프레임 부재들을 접합한 후 건조 및 경화하여 자전거 프레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폭시 수지로서 국도화학의 YD128H+CTBN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YD128H는 비스페놀-A 형 비결정성 액상 에폭시 수지이고, CTBN은 카르복실-말단 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carboxyl-terminated butadiene acrylonitrile)을 의미한다.
[실시예 3]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 등 포함)에 다중 벽 탄소나노튜브 1 중량%를 첨가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에폭시 수지로는 일본 TDR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접착제를 함침수지로 이용하여 3개의 원형 파이프 형태의 프리프레그를 제조한 후, 제조된 프리프레그를 접합하고 건조 및 경화하여 자전거 프레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하지 않을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2]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하지 않을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다.
[시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자전거 프레임의 접착강도(ASTM D648)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구분 접착강도(kgf/㎠)
평균 최소 최대
실시예 1 176.0 160.3 208.5
실시예 2 170.3 161.0 183.0
비교예 1 124.1 104.5 148.9
비교예 2 150.4 137.5 174.1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접착강도는 비교예 1을 기준으로 41.8% 향상되었고, 실시예 2의 접착강도는 비교예 1을 기준으로 37.2% 향상되었다.
10: 시트 튜브
20: 탑 튜브
30: 다운 튜브
40: 헤드 튜브
50: 시트 스테이
60: 체인 스테이
400: 자전거 프레임
410, 420, 430: 프레임 부재

Claims (7)

  1.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제조된 접착제를 이용하여 자전거 프레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조된 접착제를 이용하여 복수의 프레임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자전거 프레임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조된 접착제를 함침 수지로 이용하여 복수의 프리프레그를 제조한 후, 복수의 프리프레그를 접합하여 자전거 프레임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수지는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나일론 수지, 페놀수지,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실리콘 수지, 우레탄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는 단일 벽 탄소나노튜브 또는 다중 벽 탄소나노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은 접착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접착제의 접착강도는 160 kgf/㎠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20130163924A 2013-12-26 2013-12-26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1564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924A KR101564660B1 (ko) 2013-12-26 2013-12-26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924A KR101564660B1 (ko) 2013-12-26 2013-12-26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707A true KR20150075707A (ko) 2015-07-06
KR101564660B1 KR101564660B1 (ko) 2015-10-30

Family

ID=53788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924A KR101564660B1 (ko) 2013-12-26 2013-12-26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6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452A (ko) 2017-03-07 2018-09-17 이정훈 카본 시트, 카본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69455A (ko) * 2021-06-19 2022-12-27 김원봉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KR20230010526A (ko) * 2021-07-12 2023-01-19 주식회사 강운 전기 이륜차용 차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9365A1 (ko) * 2017-04-28 2018-11-01 윈엔윈(주) 카본섬유 강화 복합소재 스프링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카본섬유 강화 복합소재 스프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7942B2 (ja) * 1998-03-31 2001-02-2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電動式型締装置
WO2009093668A1 (ja) * 2008-01-22 2009-07-30 Taisei Plas Co., Ltd. 金属合金と被着材の接合体とそ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452A (ko) 2017-03-07 2018-09-17 이정훈 카본 시트, 카본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69455A (ko) * 2021-06-19 2022-12-27 김원봉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KR20230010526A (ko) * 2021-07-12 2023-01-19 주식회사 강운 전기 이륜차용 차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660B1 (ko) 2015-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660B1 (ko)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방법
US8283403B2 (en) Carbon nanotube-reinforced nanocomposites
US6586110B1 (en) Contoured metal structural member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CN107099117A (zh) 一种纤维增强气凝胶-聚合物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20020006523A1 (en) Structural members containing vibration damping mechanism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CN1902046A (zh) 高冲击强度弹性复合纤维金属层压制品
JP2009013327A (ja) 複合材料
US9574063B2 (en) Method of making a large area graphene composite material
Randjbaran et al. Reasons of Adding Carbon Nanotubes into Composite Systems-Review Paper.
JP4107475B2 (ja) 繊維強化複合材料用の補強繊維
KR20090025194A (ko) 탄소 나노튜브-보강된 나노복합체
CN111073222A (zh) 一种氧化石墨烯/碳纳米管增强的玻璃纤维层合板制备方法
KR101574859B1 (ko) 탄소나노튜브 첨가 활 및 화살의 제조방법
JP2004298357A (ja) ゴルフシャフト
JP2014162858A (ja) プリプレ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繊維強化複合材料
KR20130068774A (ko) 탄소나노튜브/폴리비닐알콜 복합섬유로 이루어진 타이어 보강벨트용 코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CN104497497B (zh) 一种导热环氧树脂及其制备方法
JP2007131697A (ja)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スタンパブルシート及び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成型物
Giliopoulos et al. Chemical functionalization of carbon nanotubes for dispersion in epoxy matrices
Anand et al. Structural composites hybridized with nanofillers: An overview
KR20210110612A (ko) 복합재의 제조 방법
Zhou et al. Mechanical behavior of advanced nano-laminates embedded with carbon nanotubes–a review
CN107639990B (zh) 车辆及其平衡杆
Suresh Babu et al. Evaluation of flexural properties of frp honeycomb core sandwich composites reinforced with cnt
Movva Effects of carbon nanoparticles on properties of thermoset polymer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