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4862A -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862A
KR20150074862A KR1020130163043A KR20130163043A KR20150074862A KR 20150074862 A KR20150074862 A KR 20150074862A KR 1020130163043 A KR1020130163043 A KR 1020130163043A KR 20130163043 A KR20130163043 A KR 20130163043A KR 20150074862 A KR20150074862 A KR 20150074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heating
section
steel sheet
h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63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4862A/ko
Publication of KR20150074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Of Steel Electrode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로 C: 0.0060% (0을 포함하지 않음), Si: 1.5~3.6%, P: 0.01~0.04%, S: 0.006%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Mn: 0.4%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Al: 0.10~1.00%, N: 0.0010~0.0040%, Ti: 0.004%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슬라브를 가열, 열연, 냉연에 의해 스트립으로 제조한 다음 스트립을 탈지, 소둔 및 절연하는 연속 소둔 코팅로 내로 유입하는 단계와, 유입된 스트립을 하스 롤(Hearth roll)을 통해 가열 구간으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가열구간으로 이송된 스트립이 설정된 가열패턴에 의해 가열되는 단계 및 가열된 스트립이 연속 소둔 코팅로 출구 측 브라이들 롤(Bridle Roll)로 이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유입 구간측 하스 롤의 구동비가 연속 소둔 코팅로 라인속도(Line Speed)의 1.01 내지 1.50배인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성 및 표면 특성이 우수한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대형발전기로부터 소형의 정밀 전동기까지 회전기기의 철심소재에 널리 사용되고, 소형 변압기 등 정기기 용도로부터 발전기, 모터, 응축기 등의 일반용도와 고속회전기, 정밀 소형모터, 자기 스위치 등 특수용도에까지 널리 사용된다. 특히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전기기기의 에너지 효율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무방향성 전기강판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결정의 자화가 용이한 방향인 <100> 방향을 모든 방향으로 고르게 배열시킴으로써 자기적 특성이 전 방향으로 균일하게 가공해야 한다. 이에 따라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압연방향과 기타방향에 균일한 자기적 특성을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무방향성 전기강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으로 연속 소둔 코팅공정(Annealing & Coating Line, 이하 ACL)이 사용되며, ACL에서는 고객사가 요구하는 최종두께로 무방향성 전기강판 슬라브를 압연한 후 스트립의 탈지 및 소둔, 절연 코팅 단계를 거쳐 무방향성 전기강판 최종 제품을 생산한다.
이 때, 자성이 우수한 전기강판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자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에너지 손실, 즉 철손(Core Loss)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자속밀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스트립 내 비저항 원소 (Si, Al, Mn 등)나 합금철을 첨가하여 자기적 특성을 적정수준으로 조절한다.
다만, 미세 개재물은 스트립의 결정립 성장을 억제하여 자기적 특성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존재한다. 특히, 자성 및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급 전기강판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미세 개재물 관리뿐만 아니라 최종 소둔 공정 고온구간에서의 장력을 최소화하여 스트립 내 응력을 낮추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종래의 ACL 공정에서는 스트립 내 응력 제거를 위해 브라이들 롤(Bridle Roll) 등의 구성을 이용할 뿐, 집합조직이 개선되는 온도구간에서 소둔로 내 스트립을 지지하는 하스 롤(Hearth Roll)의 구동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스트립 내 응력을 제거하려는 시도는 존재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 공정 중, 하스 롤의 구동비를 구간별로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자성 및 표면 특성이 개선된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량%로 C: 0.0060% (0을 포함하지 않음), Si: 1.5~3.6%, P: 0.01~0.04%, S: 0.006%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Mn: 0.4%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Al: 0.10~1.00%, N: 0.0010~0.0040%, Ti: 0.004%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슬라브를 가열, 열연, 냉연에 의해 스트립으로 제조한 다음 상기 스트립을 탈지, 소둔 및 절연하는 연속 소둔 코팅로 내로 유입하는 단계; 상기 유입된 스트립을 하스 롤(Hearth roll)을 통해 가열 구간으로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가열구간으로 이송된 스트립이 설정된 가열패턴에 의해 가열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스트립이 상기 연속 소둔 코팅로 출구 측 브라이들 롤(Bridle Roll)로 이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유입 구간측 하스 롤의 구동비가 상기 연속 소둔 코팅로 라인속도(Line Speed)의 1.01 내지 1.50배인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가열구간으로 이송된 스트립이 20 내지 24 ℃/s 로 급속승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브라이들 롤의 표면 조도는 1.5μm 이하로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열패턴은 상기 스트립을 승온하는 구간(RHS구간)과 상기 승온된 스트립을 고온에서 소둔하는 구간(ESS구간) 그리고 상기 소둔된 스트립을 냉각하는 구간(SJCS-RJCS)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트립은 상기 승온구간에서 980℃에 이르기까지 100초 이내로 가열되고, 상기 소둔구간에서 1010℃에 이르기까지 100초 이내로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립의 결정조직은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이 45% 이상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트립의 결정조직은 γ-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이 10% 이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중량%로 C: 0.0060% (0을 포함하지 않음), Si: 1.5~3.6%, P: 0.01~0.04%, S: 0.006%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Mn: 0.4%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Al: 0.10~1.00%, N: 0.0010~0.0040%, Ti: 0.004%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슬라브를 가열, 열연, 냉연에 의해 스트립으로 제조한 다음, 상기 스트립을 탈지, 소둔 및 절연하는 연속 소둔 코팅로 내에서 제조되며, 상기 연속 코팅로의 유입 구간측 하스 롤의 구동비가 상기 연속 소둔 코팅로의 상기 스트립 라인속도(Line Speed)의 1.01 내지 1.50배의 조건으로 제조된 무방향성 전기강판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트립의 결정조직은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이 45% 이상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트립의 결정조직은 γ-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이 1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방향성 전기강판 제조방법은 로내 유입 구간 측 하스 롤 구동비를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바, 가열구간의 스트립 응력과 스트립 표면 품질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방향성 전기강판 제조방법은 스트립의 승온 단계에서 RHS 구간의 급속 승온을 통해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자성에 유리한 집합조직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방향성 전기강판 제조방법은 출구 측 브라이들 롤의 표면 조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바, 브라이들 롤 표면에 부착된 탄소 입자로 인한 스트립의 철손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소둔 코팅로 내 유입구간과 가열구간측 하스 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구간의 가열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구간의 무방향성 전기강판 내 무방향성 집합조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이들 롤의 스트립 접촉부와 스트립 비접촉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슬라브를 가열, 열연 및 냉연에 의해 스트립으로 제조한 후, 상기 스트립을 탈지, 소둔 및 절연하여 무방향성 전기강판을 제조하는 연속 소둔 코팅 공정(Annealing & Coating Line, 이하 ACL)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ACL 공정에서는 무방향성 전기강판 스트립에 탈지, 소둔 및 절연 코팅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ACL은 0.15mm 의 극박재로부터 0.70mm의 후물재까지 동시에 처리 가능한 용접기 등 입출측 설계 적용, 최고 1100℃까지 조업 가능한 소둔로, 고급재 표면 개선, 굽힘결함 방지 및 로내 결함 방지를 위한 고압 세정 및 철분 침전조 구성을 구비하고, 고급 무방향성 전기강판 제조를 위해 수소 40%의 분위기에서 조업이 가능한 시스템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방향성 전기강판 제조방법은 중량%로 C: 0.0060%(0을 포함하지 않음), Si: 1.5~3.6%, P: 0.01~0.04%, S: 0.006%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Mn: 0.4%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Al: 0.10~1.00%, N: 0.0010~0.0040%, Ti: 0.004%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스트립을 ACL 공정을 통해 표면 품질과 자성이 개선된 무방향성 전기강판을 생산할 수 있다.
먼저, 이하에서는 스트립의 조성을 상기와 같은 수치로 한정한 이유를 간략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C는 0.0060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C의 경우, 다량 첨가될 경우 Fe와의 오스테나이트 영역을 확대하여 상변태 구간을 증가시키지만 소둔 시에는 페라이트의 결정립 성장을 억제하여 철손(Core loss)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고, Ti 등과 결합하여 탄화물을 형성하여 강판의 자기적 특성을 열위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C는 0.0060중량% 이하로 한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Si은 1.5 내지 3.6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Si는 강의 비저항을 증가시켜서 철손 특성 중 와류손실을 낮추기 위해 첨가되는 주요원소이다. 다만, Si가 1.5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본 발명과 같이 자성이 우수한 전기강판의 저철손 특성을 얻기 어렵고 1000℃ 이상에서 소둔 시 상변태 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3.6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냉간 압연시 파단이 일어날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Si은 1.5 내지 3.6중량%으로 한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P는 0.01 내지 0.04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는 비저항을 증가시켜 철손을 낮추며 결정립계에 편석함으로써 자성에 유해한 {111} 집합 조직의 형성을 억제하고 유리한 집합조직인 {100}을 형성하나 과도하게 첨가되면 압연성을 저하시키므로 0.01 내지 0.04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는 강의 판면에서의 {100}면의 표면에너지를 낮추는 원소로 P함량을 보다 많이 함유시킴으로써 표면에 편석되는 P의 량이 많아지고 이에 따라 자성에 유리한 {100}면의 표면에너지를 더욱 낮추어서 소둔 중 자성에 유리한 {100}면을 갖는 결정립의 성장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S는 0.006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S는 자기적 특성에 유해한 MnS, CuS 및 (Cu,Mn)S 등의 황화물을 형성하는 원소이므로 낮게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0.006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는 미세한 황화물의 증가로 인해 강판의 자기적 특성이 열위해지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S의 함량을 0.006중량% 이하로 한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Mn은 0.4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Mn은 Si, Al등과 더불어 비저항을 증가시켜 철손을 낮추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기존의 무방향성 전기강판에서는 Mn을 미량 첨가함으로써 철손을 개선하려고 하였으나, Mn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포화자속밀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자속밀도가 감소하며 또한 S와 결합하여 미세한 MnS 개재물을 형성하여 결정립 성장을 억제하며 자벽 이동을 방해하여 철손 중 특히 이력 손실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자속밀도 향상 및 개재물에 의한 철손 증가 방지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Mn의 첨가량을 0.4중량% 이하로 한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Al은 0.10 내지 1.0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l은 제강공정에서 강의 탈산을 위하여 불가피하게 첨가되는 원소로서 비저항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소이기 때문에 철손을 낮추기 위하여 많이 첨가되지만 첨가시 포화 자속밀도를 감소시키는 역할도 한다. 또한, Al 첨가량이 0.10중량% 미만으로 과도하게 첨가되면 미세한 AlN을 형성시켜 결정립 성장을 억제하여 자성을 저하시키며, 1.0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자속밀도가 감소되는 원인이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Mn의 첨가량을 0.10 내지 1.00중량%로 한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Ti은 0.004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Ti는 미세한 탄화물과 질화물을 형성하여 결정립성장을 억제하며 많이 첨가될수록 증가된 탄화물과 질화물로 인해 집합 조직도 열위하게 되어 자성이 나빠지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0.004중량% 이하로 한정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조성을 구비한 스트립을 가공하여 자성과 표면품질이 우수한 무방향성 전기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방향성 전기강판 제조방법은 상기와 같은 조성의 슬라브를 가열, 열연, 냉연에 의해 제조된 스트립이 연속 소둔 코팅로 내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유입된 스트립을 하스 롤(Hearth roll)을 통해 가열구간으로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가열구간으로 이송된 스트립이 설정된 가열패턴에 의해 가열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스트립이 상기 연속 소둔 코팅로 출구 측 브라이들 롤(Bridle Roll)로 이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소둔 코팅로 내 유입구간과 가열구간측 하스 롤을 나타낸 도면이다.
연속 소둔 코팅로 내로 유입된 스트립은 하스 롤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구간으로 이송된다. 이 때, 상기 유입 구간 측의 하스 롤 구동비는 상기 연속 소둔 코팅로 라인속도(Line Speed)와 독립적으로 가변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열구간에 유입되는 스트립 내 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입 구간 측 하스 롤 구동비를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인속도의 1.01 내지 1.50배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유입 구간 측 하스 롤이 실질적으로 스트립을 가열구간측으로 밀어주는 효과가 발생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구간 내의 스트립 응력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유입 구간의 하스 롤 구동비를 상기 라인속도와 같도록 동기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속 소둔 코팅로로 유입된 스트립 표면에 발생할 수 있는 긁힘(Scratch), 덴트(Dent), 굽힘(Bending)뿐 아니라, 롤 벤딩(Roll bending) 등의 공정 부가 효과 또한 함께 개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방향성 전기강판 제조방법은 로내 유입 구간 측 하스 롤 구동비를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바, 가열구간의 스트립 응력과 스트립 표면 품질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구간의 가열패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구간의 무방향성 전기강판 내 (100)면을 갖는 집합조직을 나타낸 도면이다.
가열구간으로 이송된 스트립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가열패턴에 의해 가열되는 단계를 거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열패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을 RHS구간에서 승온하였다가 균열대에서 ESS 단계로 유지하고, 다시 SJCS-RJCS구간을 통해 냉각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즉, 상기 가열패턴은 상기 스트립을 승온하는 구간(RHS구간)과 상기 승온된 스트립을 고온에서 소둔하는 구간(ESS구간) 그리고 상기 소둔된 스트립을 냉각하는 구간(SJCS-RJCS)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RHS 구간은 980℃에 이르기까지, ESS 구간은 980℃ 로부터 1010℃에 이르기까지 각각 100초 내로 가열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통상적인 스트립이 RHS구간에서 약 9℃/s 의 승온속도로 승온되는 것과 달리 스트립을 20 내지 24 ℃/s로 급속승온시킬 수 있다. RHS구간에서 스트립이 20℃/s 미만의 승온속도로 승온되는 경우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철손이 높고, 24 ℃/s 를 초과하여 가열될 경우, 오히려 철손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RHS구간의 스트립 승온속도를 20 내지 24 ℃/s로 한정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열구간 내의 스트립을 20 내지 24 ℃/s로 급속승온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0)면 집합조직을 스트립 내에 보존할 수 있다.
여기서 (100)면 집합조직은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을 의미하며,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은 편차 15도 내의 (100)<uvw> 집합조직을 말한다. 이러한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은 그 분율이 높을수록 자속밀도와 철손이 모두 좋아 지므로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은 45% 이상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111)면 집합 조직은 γ-파이버 집합조직을 의미하며, γ-파이버 집합조직은 편차 15도 내의 (111)<uvw> 집합조직을 말한다 이러한 γ-파이버 집합조직은 자성에 유해하므로 그 분율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방향성 전기강판 제조방법은 스트립의 가열단계에서 RHS 구간의 급속 승온을 통해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자성에 유리한 집합조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이들 롤의 스트립 접촉부와 스트립 비접촉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가열단계를 마친 스트립은 상기 연속 소둔 코팅로 출구 측 브라이들 롤(Bridle Roll)로 이송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브라이들 롤은 도 4와 같이 스트립과 접촉하는 부분이 스트립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에 비해 탄소 입자가 선명하게 부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탄소 입자는 상기 출구 측 브라이들 롤이 상기 스트립에 가하는 장력을 변화시켜 철손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브라이들 롤의 표면 조도가 5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μm 이하로 유지되도록 제어되고, 이를 초과할 경우 상기 브라이들 롤을 교체 또는 세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방향성 전기강판 제조방법은 출구 측 브라이들 롤의 표면 조도를 1.5 μm 이하로 유지하는 바, 브라이들 롤 표면에 부착된 탄소 입자로 인한 스트립의 철손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Claims (9)

  1. 중량%로 C: 0.0060% (0을 포함하지 않음), Si: 1.5~3.6%, P: 0.01~0.04%, S: 0.006%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Mn: 0.4%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Al: 0.10~1.00%, N: 0.0010~0.0040%, Ti: 0.004%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슬라브를 가열, 열연, 냉연에 의해 스트립으로 제조한 다음 상기 스트립을 탈지, 소둔 및 절연하는 연속 소둔 코팅로 내로 유입시키는 단계;
    상기 유입된 스트립을 하스 롤(Hearth roll)을 통해 가열 구간으로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가열 구간으로 이송된 스트립이 설정된 가열패턴에 의해 가열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스트립이 상기 연속 소둔 코팅로 출구 측 브라이들 롤(Bridle Roll)로 이송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유입 구간측 하스 롤의 구동비가 상기 연속 소둔 코팅로 라인속도(Line Speed)의 1.01 내지 1.50배인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구간으로 이송된 스트립이 20 내지 24 ℃/s 로 급속승온되는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이들 롤의 표면 조도는 1.5μm 이하로 제어되는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패턴은 상기 스트립을 승온하는 구간(RHS구간)과 상기 승온된 스트립을 고온에서 소둔하는 구간(ESS구간) 그리고 상기 소둔된 스트립을 냉각하는 구간(SJCS-RJCS)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트립은 상기 승온구간에서 980℃에 이르기까지 100초 이내로 가열되고, 상기 소둔구간에서 1010℃에 이르기까지 100초 이내로 가열되는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의 결정조직은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이 45% 이상인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의 결정조직은 γ-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이 10% 이하인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7. 중량%로 C: 0.0060% (0을 포함하지 않음), Si: 1.5~3.6%, P: 0.01~0.04%, S: 0.006%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Mn: 0.4%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Al: 0.10~1.00%, N: 0.0010~0.0040%, Ti: 0.004%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슬라브를 가열, 열연, 냉연에 의해 스트립으로 제조한 다음, 상기 스트립을 탈지, 소둔 및 절연하는 연속 소둔 코팅로 내에서 제조되며,
    상기 연속 코팅로의 유입 구간측 하스 롤의 구동비가 상기 연속 소둔 코팅로의 상기 스트립 라인속도(Line Speed)의 1.01 내지 1.50배의 조건으로 제조된 무방향성 전기강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의 결정조직은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이 45% 이상인 무방향성 전기강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의 결정조직은 γ-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이 10% 이하인 무방향성 전기강판.
KR1020130163043A 2013-12-24 2013-12-24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4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043A KR20150074862A (ko) 2013-12-24 2013-12-24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043A KR20150074862A (ko) 2013-12-24 2013-12-24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862A true KR20150074862A (ko) 2015-07-02

Family

ID=53787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043A KR20150074862A (ko) 2013-12-24 2013-12-24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48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69407A (zh) * 2021-05-19 2022-11-22 四川瑞致电工钢有限公司 一种高效无取向电工钢的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69407A (zh) * 2021-05-19 2022-11-22 四川瑞致电工钢有限公司 一种高效无取向电工钢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8306A (ko) 무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KR101842417B1 (ko) (100) 집합조직으로 구성된 전기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87374A (ko) 무방향성 전기 강판, 및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제조 방법
TW201631181A (zh) 無方向性電磁鋼板的製造方法
JP6127408B2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KR101617288B1 (ko)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의 생산방법
KR101899453B1 (ko)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KR101223113B1 (ko) 압연방향의 투자율이 우수한 저철손 고자속밀도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83693B1 (ko)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KR20180071330A (ko)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KR20170075592A (ko)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6838601B2 (ja) 低鉄損方向性電磁鋼板とその製造方法
KR101877198B1 (ko)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5648331B2 (ja)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KR20150016434A (ko)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779579B1 (ko) 철손이 낮고 자속밀도가 높은 무방향성 전기강판의제조방법
KR20240035911A (ko)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CN113165033A (zh) 无取向性电磁钢板的制造方法
KR101596448B1 (ko)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74862A (ko)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4894A (ko)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286191B1 (ko) 압연방향의 투자율이 우수한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5308A (ko)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30425B1 (ko)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281246B1 (ko) 자기 특성이 우수한 선재 제조를 위한 인라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