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4388A - 저자극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저자극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388A
KR20150074388A KR1020130162130A KR20130162130A KR20150074388A KR 20150074388 A KR20150074388 A KR 20150074388A KR 1020130162130 A KR1020130162130 A KR 1020130162130A KR 20130162130 A KR20130162130 A KR 20130162130A KR 20150074388 A KR20150074388 A KR 20150074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erfume composition
perfume
weight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낙준
최은호
조진훈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2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4388A/ko
Publication of KR20150074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38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자극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소이수퍼, 메틸 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 헥실살리실레이트, 에틸리날룰, 및 페닐에틸알코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저자극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향료 조성물은 기존의 향료보다 자극성 물질을 최대한 배제하고 향취 또한 기존의 제품보다 우수한 효과를 가지며, 화장료, 방향제 또는 의약부외품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저자극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Low-irritating perfume composition and the use thereof}
본 발명은 자극성 물질을 최대한 배제하고 향취 또한 기존의 제품보다 우수한 저자극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저자극성 화장품은 자극에 약한 민감성 피부를 위해 만들어진 화장품으로, 일반 화장품에 비해 안정성의 기준이 높아 피부의 부담을 극소화하도록 만들어진다.
화장품에 의한 자극의 가장 흔한 원인은 향료(fragtrances), 방부제(preservatives) 및 기제(vehicle) 등으로, 상기 향료는 다양한 원인 중 하나이다.
향료의 종류에는 천연 및 동식물에서 추출한 것도 있으나 최근에는 합성 향료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현재 약 5000여 가지의 향료가 존재한다. 향수가 보통 10∼300여 개의 성분으로 구성되고 있고 직접 피부에 사용하는 화장품 이외에 비누, 치약, 방부제, 껌 등 식품과 일상 생활 용품에도 다양한 향료가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0131970호는 파촐리 오일(Patchouli oil), 프랭킨센스 오일(Frankincense) 및 샌들우드 오일(Sandalwood oi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천연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생리적 및 심리적 치료 효과가 있고, 스트레스 완화, 긴장 완화, 이완, 정서 안정, 릴렉스 효과가 있어서, 이를 미용 및 화장품 분야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0109021호는 국화 향취의 주요 성분인 페닐아세트알데히드(Phenyl acetaldehyde),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캠퍼(Camphor) 및 페닐에틸알코올(Phenyl ethyl alcohol)과 인공합성물질인 헤디온(Hedione)을 함유함으로써, 국화의 고유 향취를 재현할 수 있고 우수한 기호성을 나타낼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0140686호는 리나룰(Linalool),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오시멘(Ocimene), 시트로네롤(Citronellol), 네롤(Nerol), 리모넨(Limonene), 미르센(Myrcene), 및 나프탈렌(Naphthalene)을 포함하여 백서향 향취 재현성을 가질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바디 미스트나 바디 로션의 경우 종래에는 보습력이 선택의 기준이 되었으나 최근에는 향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여 이를 강화한 퍼퓸 바디 제품이 시판되고 있다. 기존의 향수가 강한 향기로 인해 자주 사용하기에 부담되는 반면에, 이들 퍼퓸 바디 제품군은 몸에 직접 도포하여 은은한 향을 나타내나, 과도한 향료 사용으로 인한 피부 알러지에 대한 피해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이를 보완하여 출시되는 제품이 국내에서 퍼퓸 바디 제품군으로 소비자의 인기가 높지만 자극 부분에서는 적극적인 개선이 이루어진 제품이 없는 실정이다.
저자극 키워드는 최근 소비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으며, 화장품 분야에서도 저자극 성분을 강조한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더욱이, 종래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 에센셜 오일을 사용하여 제품의 저자극 요소로 강조하였으나 천연 에센셜 오일 또한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폭넓은 다양한 소비자를 위한 저자극 제품이라고 규정하기는 어렵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0131970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0109021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0140686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지 향료 중 자극이 거의 없는 향료를 선정하고, 이를 특정 함량으로 혼합하여 향취가 우수한 저자극의 향료 조성물을 조합하였으며, 이들이 다양한 제품으로 응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자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저자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저자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저자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부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소이수퍼, 메틸 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 헥실살리실레이트, 에틸리날룰, 및 페닐에틸알코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저자극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자극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자극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자극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부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기존의 향료보다 자극성 물질을 최대한 배제하고 향취 또한 기존의 제품보다 우수한 효과를 가지며, 화장료, 방향제 또는 의약부외품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이소이수퍼(ISO E SUPER), 메틸 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methyl dihydrojasmonate), 헥실살리실레이트(hexyl salicylate), 에틸리날룰(ethyl linalool), 및 페닐에틸알코올(phenyl ethyl alcoh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향료물질은 일반적으로 방향 제품에 사용되는 천연 향료나 고휘발성 합성 향료에 비해 자극도가 낮은 물질들이다.
이소이수퍼는 7-아세틸-1,2,3,4,5,6,7,8-옥타하이드로-1,1,6,7-테트라메틸나프탈렌(7-acetyl-1,2,3,4,5,6,7,8-octahydro-1,1,6,7-tetramethylnaphthalene, CAS No.54464-57-2)을 성분으로 하며, 벨벳 이미지의 부드러운 향기를 보여주는 무색 또는 담황색의 액체로 다양한 타입의 제품에 사용된다.
메틸 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는 CAS No.가 24851-98-7이며, 분자량이 226.3인 향료로, 달콤한 과일 향기를 가지며 화장품, 비누, 식품 등에 많이 사용된다.
헥실살리실레이트는 CAS No.가 6259-76-3이고 분자량이 222.2인 향료로, 그린, 플로럴, 스파이시한 향이 나는 무색의 액체로, 플로럴 조합 향료의 특징적인 꽃향기를 만드는데 많이 사용된다.
에틸리날룰은 CAS No.가 10339-55-6이고 분자량 170.1인 향료로, 리날룰(Linalool)의 대체 향료로 사용되며, 풍성한 꽃향과 나무, 풀 향기를 가지고 있으며,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한다.
페닐에틸알코올은 CAS No.가 60-12-8이며 분자량이 122.1인 향료로, 천연 장미 향의 성분 중 하나로 풍성한 장미 향기를 가지는 무색의 액체로 향수, 세정제 등에 많이 사용된다.
상기 향료는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고, 저자극성 및 향취 기호도를 높이기 위해 그 함량을 한정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이소이수퍼 5∼15 중량%, 메틸 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 15∼25 중량%, 헥실살리실레이트 15∼20 중량%, 에틸리날룰 10∼15 중량%, 및 페닐에틸알코올 25∼3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범위는 저자극성 및 향의 조화를 통하여 사용자의 기호를 고려한 것으로, 그 함량이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특정한 향이 강해짐으로 인해 사용자의 기호에 적합하지 못한 부담스런 향을 내어 기호성이 나빠질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향을 저해하거나 피부 자극을 높이지 않는 범위 내에서 향료용 용제에 용해하여 사용하고,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킬레이트제, 자외선 흡수제, 색소 등 공지된 바의 첨가제를 더욱 사용할 수 있다.
향료용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틴(트리아세틴), MMB 아세테이트(3-메톡시-3-메틸부틸아세테이트), 수크로스디아세테이트헥사이소부틸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부틸레이트, 헥실렌글리콜디부틸세바케이트, 델틸엑스트라(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메틸카르비톨(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카르비톨(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 에테르), TEG(트리에틸렌글리콜), 안식향산 벤질, 프로필렌글리콜, 프탈산 디에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아볼린(디메틸프탈레이트), 델틸프라임(이소푸로필팔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파르네센, 디옥틸아디페이트, 트리부티린(글리세릴트리부타노에이트), 히드로라이트-5(1,2-펜탄디올), 프로필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세틸아세테이트(헥사데실아세테이트), 에틸아비에테이트, 아발린(메틸아비에테이트), 시트로플렉스A-2(아세틸트리에틸시트레이트), 시트로플렉스A-4(트리부틸아세틸시트레이트), 시트로플렉스No.2(트리에틸시트레이트), 시트로플렉스No.4(트리부틸시트레이트), 도우라픽스(메틸디히드로아비에테이트), MITD(이소트리데실미리스테이트), 폴리리모넨(리모넨 폴리머), 1,3-부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 상기 향료용 용제의 함량은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50 중량부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저자극성을 가지며, 다양한 제품에 적용 가능하며, 일례로 화장료 조성물, 방향제 조성물, 또는 의약부외품 조성물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3.0 중량% 범위로 사용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발향성이 매우 낮아 향을 음미하기 어려울 우려가 있으며,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화장료로 사용하기에는 향이 너무 강하게 된다.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오일,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킨케어, 팩/마스크, 메이크업, 클렌징, 선케어, 바디, 헤어 제품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이들로는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젤, 파우더, 메이크업베이스, 선크림, 선밤, 바디클렌저,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바디미스트, 바디스크럽, 데어도란트, 샴푸, 린스,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왁스, 헤어 미스트, 헤어 에센스, 헤어 오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바디클렌저,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바디미스트, 바디스크럽 등 퍼퓸 바디 제품군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형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첨가제들이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보조제 또는 담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방향제 조성물로 적용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방향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3.0 중량% 범위로 사용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발향성이 매우 낮아 방향제에서 향을 음미하기 어려울 우려가 있으며,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방향제로 사용하기에는 향이 너무 강하게 된다.
방향제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겔 제형, 고상, 또는 액상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이러한 사용을 위해 공지된 방향제에서 사용되는 향미제, 방향제, 부형제 등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의약부외품 조성물로 적용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의약부외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3.0 중량% 범위로 사용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발향성이 매우 낮아 의약부외품에서 향을 음미하기 어려울 우려가 있으며,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의약부외품으로 사용하기에는 향이 너무 강하게 된다.
의약부외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독청결제, 샤워폼, 세정제, 주방식기 세정제, 치약, 구강세정액,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샴푸, 가습기 세정제, 마스크, 연고제 및 필터 세정제 등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이러한 사용을 위해 공지된 의약부외품에서 사용되는 향미제, 방향제, 부형제 등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예 1: 향료 성분에 대한 자극도 테스트
본 실험은 각 성분에 대한 자극도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평가인원 5명으로 하고, 상온 (25℃)에서 실시하였다. 실험 방법은 직경 5cm의 범위를 정해 시료 2g씩을 팔에 바른 후 1시간, 4시간, 8시간으로 구분하여 방치한다. 팔에 느껴지는 따가움이나 알레르기 반응으로 자극도를 측정하여 다음의 기준에 의해 관능 평가를 행하여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이때 자극 관능 평가는 하기를 기준으로 하였다.
<자극 관능 평가 기준>
0 - 알레르기 반응
1 - 아주 따가움
2 - 따가움
3 - 약간 따가움
4 - 반응 없음
 
성분명
자극도
1시간 후 4시간 후 8시간 후
1 이소 이 수퍼(ISO E SUPER) 4.0 3.8 3.6
2 메틸 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METHYL DIHYDROJASMONATE) 4.0 3.8 3.8
3 헥실살리실레이트(HEXYL SALICYLATE) 4.0 4.0 3.4
4 에틸리날룰(ETHYL LINALOOL) 4.0 3.8 3.8
5 페닐에틸알코올(PHENYL ETHYL ALCOHOL) 4.0 3.8 3.8
6 암브레톨리도(AMBRETTOLIDE) 4.0 3.8 2.8
7 아밀 신남알(AMYL CINNAMAL) 3.6 2.8 2.0
8 벤질 벤조에이트 3.8 3.2 2.4
9 신남알(CINNAMAL) 3.4 2.8 2.8
10 시스-자스몬(CIS-JASMON) 4.0 3.4 2.8
11 디프로필렌 글리콜 4.0 4.0 3.8
12 파네솔(FARNESOL) 4.0 3.6 3.0
13 게라니올(GERANIOL) 3.6 3.4 2.6
14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3.6 3.2 2.8
15 마그놀란(MAGNOLAN) 4.0 3.4 2.6
16 머스크 T(MUSK T) 4.0 3.4 3.0
17 네롤(NEROL) 3.6 3.2 3.0
18 로즈 옥사이드(ROSE OXIDE) 4.0 3.6 3.2
19 트랜스-4-데세날(TRANS-4-DECENAL) 4.0 3.4 2.8
20 바닐라(VANILLIN) 3.8 3.2 2.6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조성은 다른 성분들에 비해 자극이 별로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향료 조성물 제조 및 관능 평가
(1) 향료 조성물 제조
하기 표 2의 조성의 향료 성분을 디프로필렌글리콜 20g에 용해하여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No. 성분 조성(g)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1 이소 이 수퍼 5 10 15 20 20
2 메틸 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 20 15 15 5 5
3 헥실살리실레이트 15 10 10 5 5
4 에틸리날룰 10 15 20 5 50
5 페닐에틸알코올 30 25 20 50 5
(2) 관능 평가
관능 평가를 위해 상기 제조된 향료 조성물 0.5g을 하기 표 3의 무향 베이스 100g에 혼합하였다.
 기능 원료명 조성(중량%)
용매 정제수 91.30
변성알코올40 5.00
계면활성제 TWEEN 80(폴리소르베이트80) 0.50
HCO 60(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50
보습제 글리세린 1.00
1,3-부틸렌글리콜 1.00
pH 조절제 시트르산 0.10
소디엄 시트레이트 0.10
보존제 KMO-6(1,2-헥산디올) 0.50
관능 평가는 향 품평단 5명의 점수를 합산하여 평균한 값을 기록했으며, 평가의 공정성을 위해 관능 평가는 독립된 공간에서 실시했으며 관능 평가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향취 관능 평가 기준>
0 - 매우 안좋음
1 - 안좋음
2 - 보통
3 - 좋음
4 - 매우 좋음
  기호도
평가 1 평가 2 평가 3 평가 4 평가 5
실시예 1 3 3 3 2 3
실시예 2 3 4 3 3 2
실시예 3 2 3 3 4 3
비교예 1 2 1 1 2 2
비교예 2 1 2 2 3 2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다른 성분들에 비해 자극이 별로 없으며 선호도가 높은 저자극 향료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임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제형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제형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제형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퍼퓸 바디 미스트
하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은 조성으로 바디 미스트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조성 함량(중량%)
실시예 1의 향료 조성물 0.5
부틸렌 글리콜 2.5
글리세린 3.0
에탄올 15.0
사이클로덱스트린 0.1
카프릴릴 글리콜 0.4
카프릴하이드록사민 애시드 0.1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0.1
니아시나마이드 0.3
아르기닌 0.2
정제수 잔부
제형예 2: 퍼퓸 바디 워시
하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은 조성으로 바디 워시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조성 함량(중량%)
실시예 1의 향료 조성물 1.0
소디엄 로우릴 설패이트 15.0
라우릴 글루코시드 6.0
코카미도 프로필 베타인 6.0
카프릴릴 글리콜 0.4
카프릴하이드록사민 애시드 0.1
정제수 잔부

Claims (12)

  1. 이소이수퍼(ISO E SUPER), 메틸 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methyl dihydrojasmonate), 헥실살리실레이트(hexyl salicylate), 에틸리날룰(ethyl linalool), 및 페닐에틸알코올(phenyl ethyl alcoh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저자극 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자극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이소이수퍼 5∼15 중량%, 메틸 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 15∼25 중량%, 헥실살리실레이트 15∼20 중량%, 에틸리날룰 10∼15 중량%, 및 페닐에틸알코올 25∼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자극 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저자극 향료 조성물은 향료용 용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킬레이트제, 자외선 흡수제, 색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자극 향료 조성물.
  4. 제1항의 저자극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저자극 향료 조성물을 0.0001∼5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젤, 파우더, 메이크업베이스, 선크림, 선밤, 바디클렌저,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바디미스트, 바디스크럽, 데어도란트, 샴푸, 린스,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왁스, 헤어 미스트, 헤어 에센스, 또는 헤어 오일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의 저자극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향제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 조성물은 전체 방향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저자극 향료 조성물을 0.0001∼5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 조성물은 겔 제형, 고상, 또는 액상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조성물.
  10. 제1항의 저자극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부외품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부외품 조성물은 전체 의약부외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저자극 향료 조성물을 0.0001∼5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부외품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부외품 조성물은 소독청결제, 샤워폼, 세정제, 주방식기 세정제, 치약, 구강세정액,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샴푸, 가습기 세정제, 마스크, 연고제 또는 필터 세정제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부외품 조성물.
KR1020130162130A 2013-12-24 2013-12-24 저자극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50074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130A KR20150074388A (ko) 2013-12-24 2013-12-24 저자극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130A KR20150074388A (ko) 2013-12-24 2013-12-24 저자극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388A true KR20150074388A (ko) 2015-07-02

Family

ID=53787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130A KR20150074388A (ko) 2013-12-24 2013-12-24 저자극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43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439A (ko) * 2019-01-21 2020-07-29 한국콜마주식회사 황매화의 향취 재현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439A (ko) * 2019-01-21 2020-07-29 한국콜마주식회사 황매화의 향취 재현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1222B2 (ja) ロスマリン酸含有組成物
JP2002088391A (ja) 香料の香り立ち及び持続性の強化方法及び強化剤
WO2019194779A2 (en) Baby shampoo
KR20110130406A (ko) 향료 조성물
JP2015093859A (ja) 化粧料
KR102334446B1 (ko) 투명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JP2002020242A (ja) 毛髪外用剤組成物
KR101884297B1 (ko) 허브추출물을 포함한 클렌징 화장료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TW201235054A (en) Deodorant containing polyvalent alcohol
KR102348162B1 (ko)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JP2013203701A (ja) ジケトン作用抑制剤
KR20150074388A (ko) 저자극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A3230264A1 (en) Personal case composition based on anionic surfactant, amphoteric surfactant and alkyl glucoside
KR102427909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후각 자극 및 뇌파 조절용 향료 조성물
KR20230134758A (ko) 올리고 펩타이드 나노캡슐을 함유하는 피부진정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2004203848A (ja) 植物抽出物含有組成物
KR102277571B1 (ko) 천연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JP2001206822A (ja) 頭髪用化粧料
JP4469451B2 (ja) 洗浄剤組成物
KR100983207B1 (ko) 화장품 조성물
JP2005068043A (ja) 皮膚柔軟化剤
KR102241417B1 (ko) 향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81063B1 (ko) 살구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194261B1 (ko) 혈압상승이 없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세정 조성물
EP3446676B1 (en) Aroma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