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4254A - 운동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운동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운동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운동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254A
KR20150074254A KR1020130161213A KR20130161213A KR20150074254A KR 20150074254 A KR20150074254 A KR 20150074254A KR 1020130161213 A KR1020130161213 A KR 1020130161213A KR 20130161213 A KR20130161213 A KR 20130161213A KR 20150074254 A KR20150074254 A KR 20150074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displaying
point
movement
en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의성
조은하
정보경
최수민
김지성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61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4254A/ko
Publication of KR20150074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63B2220/12Absolute positions, e.g. by using GP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의한 운동 모니터링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출발 지점과 목적 지점을 입력받는 단계와,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출발지점과 목적지점을 연결하는 전체 경로의 경도 정보, 위도 정보 및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수신하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위성으로부터 항법신호를 수신하여 전체 경로 및 이동 경로를 평면 지도 및 단면도로 표시하는 단계와, 전체 경로에 따른 예상 소모 열량과 이동 경로에 따른 소모 열량을 표시하는 단계와, 이동 경로와 전체 경로를 비교하여 이동 경로가 전체 경로에서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이동 경로가 전체 경로에서 이탈한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동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운동 모니터링 장치{Method for Monitoring Physical Exercise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Physical Exercis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운동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운동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걷기, 등산 등의 운동은 우리 몸의 많은 근육들을 사용하는 유산소 운동으로 신체의 혈관, 순환 기능을 향상시키고, 근육과 관절의 기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걷기 등산 등의 운동은 바르고 곧은 자세로 주 3회 이상 30분 이상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에는 단순히 운동 시작 하는 시점과 운동을 종료하는 시점을 체크하여 운동 시간을 계산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이동 경로만을 도시하는 어플리케이션만 존재하여 일정한 시간 구간 별로 얼마만큼 이동하였는지 정보를 알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구간 별로 사용자가 얼만큼 이동하였는지, 어느 정도로 경사진 길을 얼만큼 이동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얼만큼의 열량을 소모하였는지 미리 설정된 목표 열량과 대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동 경로에서 위치를 이탈하지 않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운동 모니터링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운동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운동 모니터링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출발 지점과 목적 지점을 입력받는 단계와,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출발지점과 목적지점을 연결하는 전체 경로의 경도 정보, 위도 정보 및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수신하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위성으로부터 항법신호를 수신하여 전체 경로 및 이동 경로를 평면 지도 및 단면도로 표시하는 단계와, 전체 경로에 따른 예상 소모 열량과 이동 경로에 따른 소모 열량을 표시하는 단계와, 이동 경로와 전체 경로를 비교하여 이동 경로가 전체 경로에서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이동 경로가 전체 경로에서 이탈한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운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에 저장되는 운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으로, 운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출발 지점과 목적 지점을 입력받는 단계와,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출발지점과 목적지점을 연결하는 전체 경로의 경도 정보, 위도 정보 및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수신하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위성으로부터 항법신호를 수신하여 전체 경로 및 이동 경로를 평면 지도 및 단면도로 표시하는 단계와, 전체 경로에 따른 예상 소모 열량과 이동 경로에 따른 소모 열량을 표시하는 단계와, 이동 경로와 전체 경로를 비교하여 이동 경로가 전체 경로에서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이동 경로가 전체 경로에서 이탈한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휴대 단말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사용자가 얼마나 이동하였는지, 어느 정도로 경사진 길을 얼마나 이동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페이스에 따라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어느 정도 열량을 소모하였는지 미리 설정된 목표 열량과 대비할 수 있어 어느 정도로 운동을 더 지속하여야 하는지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나아가 이동 경로에서 위치를 이탈하지 않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초행인 산을 등반하거나, 초행인 경로를 따라 운동을 하는 경우에도 길을 잃을 염려 없이 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모니터링 방법 및 운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 동작의 각 단계를 순서도의 형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모니터링 방법의 각 단계를 순서도의 형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운동 모니터링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출발 지점과 목적 지점을 입력받는 단계(S100)와,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출발지점과 목적지점을 연결하는 전체 경로의 경도 정보, 위도 정보 및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수신하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위성으로부터 항법신호를 수신하여 전체 경로 및 이동 경로를 평면 지도 및 단면도로 표시하는 단계(S200)와, 전체 경로에 따른 예상 소모 열량과 이동 경로에 따른 소모 열량을 표시하는 단계(S300)와, 이동 경로와 전체 경로를 비교하여 이동 경로가 전체 경로에서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0) 및 판단 결과 이동 경로가 전체 경로에서 이탈한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운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에 저장되는 운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으로, 운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출발 지점과 목적 지점을 입력받는 단계와,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출발지점과 목적지점을 연결하는 전체 경로의 경도 정보, 위도 정보 및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수신하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위성으로부터 항법신호를 수신하여 전체 경로 및 이동 경로를 평면 지도 및 단면도로 표시하는 단계와, 전체 경로에 따른 예상 소모 열량과 이동 경로에 따른 소모 열량을 표시하는 단계와, 이동 경로와 전체 경로를 비교하여 이동 경로가 전체 경로에서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이동 경로가 전체 경로에서 이탈한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휴대 단말을 제어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의한 운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에 설치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하도록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것으로, 그 동작의 각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순서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1을 참조하여 두 실시예를 설명한다.
사용자로부터 출발 지점과 목적 지점을 입력받는다(S100). 운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하여 구동되면 최초 출발하는 지점과 목적지점을 입력받는다. 일 예로, 출발지점과 목적지점과 더불어 사용자의 성별 또는 연령을 더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출발 지점 및 목적 지점을 이용하여 뒤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체 경로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입력받아 성별, 연령별 단위 운동 강도당 열량 소모량을 더욱 정확하게 연산할 수 있다.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출발지점과 목적지점을 연결하는 전체 경로의 경도 정보, 위도 정보 및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수신하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위성으로부터 항법신호를 수신하여 전체 경로 및 이동 경로를 평면 지도 및 단면도로 표시한다(S300). 일 예로, 지도 데이터베이스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휴대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도 데이터베이스는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저장되며, 휴대 단말이 서버에 접속하여 지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지도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한 출발 지점 및 목적 지점의 위도, 경도 및 고도를 포함한다.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출발 지점과 목적 지점 사이의 거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출발 지점과 목적 지점을 연결하는 전체 경로에 포함된 각 지점의 고도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경로에 대한 단면도를 형성할 수 있다. GPS 위성으로부터 항법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 경로를 얻을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현재 완전하게 운용되고 있는 유일한 범지구위성항법시스템이다. 미국 국방부에서 개발되었으며 항법, 측량, 지도제작, 측지, 시각동기 등의 민간용 목적 및 군용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민간에게 개방된 GPS 위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다만, 항법 신호 수신시 현재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찾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GPS위성으로부터 항법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획득한 지도 정보와 항법 신호를 이용하여 전체 경로를 평면 지도 및 단면도로 표시한다. 즉, 출발 지점과 목적 지점의 위도 정보 및 경도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 화면에 전체 경로를 도시할 수 있으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발 지점과 목적 지점의 고도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경로의 높이를 도시하는 단면도의 형태로도 도시할 수 있다. 또한, GPS위성으로부터 수신한 항법 정보를 이용하여 출발 지점에서 현재 위치까지 사용자의 이동경로 및/또는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 지점까지의 이동경로를 지도상에 도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형성된 단면도를 이용하여 전체 경로의 고도 차이를 연산하고, 출발 지점과 목적 지점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여 등판각을 연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산된 거리와 등판각 정보 및 평균 이동 시간 및 사용자가 입력한 성별과 연령정보를 이용하여 평균 운동 강도 및 그에 따른 소모 열량을 연산하여 출발지점과 목적 지점까지 전체 경로를 완주한 경우에 소모된 예상 열량값으로 연산 결과값을 표시한다. 또한, 항법 정보를 이용하여 얻어진 현재 위치로부터 출발지점과 현재 지점까지 이동한 경우에 소모 열량을 연산하여 도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출발 지점에서 목적 지점까지 이동하는 경로와 전체 경로를 비교하여 이동 경로가 전체 경로에서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0). 운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GPS모듈을 포함한 휴대 단말을 제어하여 GPS위성으로부터 계속적으로 항법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갱신하며, 사용자가 전체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지속적으로 GPS 항법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갱신하나, 사용자의 현재위치가 전체 경로에서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 이격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경보를 발생한다(S500). 일 예로, 미리 설정된 임계치는 100m 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초행인 산을 등산하는 경우 또는 처음으로 운동하는 길을 따라 걷거나 뛰는 경우에도 길을 잃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에 저장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은 휴대 전화, 타블렛,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및 휴대용 디지털 음악 재생기 중 어느 하나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어 언제든지 운동효과를 측정하고 운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S100 내지 S5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모니터링 방법 및 운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 동작의 각 단계

Claims (17)

  1. 사용자로부터 출발 지점과 목적 지점을 입력받는 단계와,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출발지점과 목적지점을 연결하는 전체 경로의 경도 정보, 위도 정보 및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수신하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위성으로부터 항법신호를 수신하여 전체 경로 및 이동 경로를 평면 지도 및 단면도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전체 경로에 따른 예상 소모 열량과 이동 경로에 따른 소모 열량을 표시하는 단계와,
    이동 경로와 전체 경로를 비교하여 이동 경로가 전체 경로에서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이동 경로가 전체 경로에서 이탈한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 모니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출발 지점과 목적 지점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성별, 연령을 더 입력받는 운동 모니터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법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GPS위성으로부터 항법 신호를 수신하여 수행하는 운동 모니터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경로 및 이동 경로를 평면 지도 및 단면도로 표시하는 단계는,
    이차원 지도 상에 전체 경로를 표시하고,
    상기 이차원 지도 상에 출발 지점과 현재 위치를 연결하는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동 모니터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경로 및 이동 경로를 평면 지도 및 단면도로 표시하는 단계는,
    이차원 지도 상에 전체 경로를 표시하고,
    상기 이차원 지도 상에 현재 위치와 목적 지점을 연결하는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동 모니터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경로에 따른 예상 소모 열량을 표시하는 단계는,
    출발 지점과 상기 목적 지점을 고도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경로의 고도차이를 연산하는 과정과,
    연산된 전체 경로의 고도 차이와 출발 지점과 목적 지점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등판각을 연산하는 과정과
    상기 등판각과 출발 지점과 목적 지점 사이의 거리 및 등판각, 평균 이동 시간에 따른 평균 소모 열량을 이용하여 전체 경로에 따른 예상 소모 열량을 연산하는 과정 및
    연산된 예상 소모 열량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동 모니터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에 따른 소모 열량을 표시하는 단계는,
    출발 지점과 현재 위치의 고도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경로의 고도차이를 연산하는 과정과,
    연산된 전체 경로의 고도 차이와 출발 지점과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등판각을 연산하는 과정과
    상기 등판각과 출발 지점과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 및 등판각, 평균 이동 시간에 따른 평균 소모 열량을 이용하여 이동 경로에 따른 소모 열량을 연산하는 과정 및
    연산된 소모 열량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동 모니터링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와 전체 경로를 비교하여 이동 경로가 전체 경로에서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경로에서 현재 위치가 소정의 임계 거리 이상 이격되었는지 판단하여 수행하는 운동 모니터링 방법.
  9. 휴대 단말에 저장되는 운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운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출발 지점과 목적 지점을 입력받는 단계와,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출발지점과 목적지점을 연결하는 전체 경로의 경도 정보, 위도 정보 및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수신하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위성으로부터 항법신호를 수신하여 전체 경로 및 이동 경로를 평면 지도 및 단면도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전체 경로에 따른 예상 소모 열량과 이동 경로에 따른 소모 열량을 표시하는 단계와,
    이동 경로와 전체 경로를 비교하여 이동 경로가 전체 경로에서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이동 경로가 전체 경로에서 이탈한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운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출발 지점과 목적 지점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성별, 연령을 더 입력받도록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운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항법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GPS위성으로부터 항법 신호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운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
  12. 제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경로 및 이동 경로를 평면 지도 및 단면도로 표시하는 단계는,
    이차원 지도 상에 전체 경로를 표시하고,
    상기 이차원 지도 상에 출발 지점과 현재 위치를 연결하는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도록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운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경로 및 이동 경로를 평면 지도 및 단면도로 표시하는 단계는,
    이차원 지도 상에 전체 경로를 표시하고,
    상기 이차원 지도 상에 현재 위치와 목적 지점을 연결하는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동 모니터링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경로에 따른 예상 소모 열량을 표시하는 단계는,
    출발 지점과 상기 목적 지점을 고도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경로의 고도차이를 연산하는 과정과,
    연산된 전체 경로의 고도 차이와 출발 지점과 목적 지점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등판각을 연산하는 과정과
    상기 등판각과 출발 지점과 목적 지점 사이의 거리 및 등판각, 평균 이동 시간에 따른 평균 소모 열량을 이용하여 전체 경로에 따른 예상 소모 열량을 연산하는 과정 및
    연산된 예상 소모 열량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도록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운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에 따른 소모 열량을 표시하는 단계는,
    출발 지점과 현재 위치의 고도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경로의 고도차이를 연산하는 과정과,
    연산된 전체 경로의 고도 차이와 출발 지점과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등판각을 연산하는 과정과
    상기 등판각과 출발 지점과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 및 등판각, 평균 이동 시간에 따른 평균 소모 열량을 이용하여 이동 경로에 따른 소모 열량을 연산하는 과정 및
    연산된 소모 열량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도록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운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와 전체 경로를 비교하여 이동 경로가 전체 경로에서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경로에서 현재 위치가 소정의 임계 거리 이상 이격되었는지 판단하여 수행하도록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운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휴대 전화, 타블렛,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및 휴대용 디지털 음악 재생기 중 어느 하나인 운동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

KR1020130161213A 2013-12-23 2013-12-23 운동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운동 모니터링 장치 KR20150074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213A KR20150074254A (ko) 2013-12-23 2013-12-23 운동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운동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213A KR20150074254A (ko) 2013-12-23 2013-12-23 운동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운동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254A true KR20150074254A (ko) 2015-07-02

Family

ID=53787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213A KR20150074254A (ko) 2013-12-23 2013-12-23 운동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운동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42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1322A1 (zh) * 2015-09-15 2016-08-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导航方法、装置及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1322A1 (zh) * 2015-09-15 2016-08-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导航方法、装置及设备
CN106525022A (zh) * 2015-09-15 2017-03-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导航方法、装置及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3027B1 (ko)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차단 환경 내 네비게이션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US9037400B2 (en) Virtual walking stick for the visually impaired
US8788232B2 (en) Altitude estimation apparatus, altitude estimation method, and program
CN100504304C (zh) 具有徒步路线导引功能的导航系统和徒步路线导引的方法
US2015032852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analyzing golf swings
EP2642251A2 (en) Required time calculating system, required time calculat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required time calculating program
US11067410B2 (en) First-person perspective view
US20150081062A1 (en) Location-Based Athlete Pacing With Biofeedback Systems And Methods
JP2000097722A (ja) 携帯用位置検出装置および位置管理システム
US10591302B2 (en) Selecting routes
US10724871B2 (en) Camera-based heading-hold navigation
US9424730B2 (en) Device for providing directional guidance while swimming
US913189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1523147B1 (ko) 실내 측위 장치 및 방법
KR20150074254A (ko) 운동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운동 모니터링 장치
US11105634B2 (en) Positioning and navig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80292228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KR101736341B1 (ko) 실내 위치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08268006A (ja) 移動経路表示装置
Ahlers et al. GNSS quality in pedestrian applications-a developer perspective
JP6500369B2 (ja) 運動情報予測装置、運動情報予測プログラム、運動情報予測値の算出方法、および、運動情報予測システム
US10466051B2 (en) Sporting field measurement system
JP2001272234A (ja) 電子方位計
CN112732085A (zh) 一种可穿戴设备及其控制方法、装置和计算机存储介质
KR20150050965A (ko)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 및 서버에서 맵매칭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