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3551A -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3551A
KR20150073551A KR1020130161376A KR20130161376A KR20150073551A KR 20150073551 A KR20150073551 A KR 20150073551A KR 1020130161376 A KR1020130161376 A KR 1020130161376A KR 20130161376 A KR20130161376 A KR 20130161376A KR 20150073551 A KR20150073551 A KR 20150073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re earth
steel sheet
cold
rolling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병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61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3551A/ko
Publication of KR20150073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5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rare earths, i.e. Sc, Y, Lanthan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1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the working step(s) being of interes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4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the heat treatment(s) being of interes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sh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Steel Electrode Plates (AREA)

Abstract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방향성 전기강판은 중량%로, Si: 2.5 ~ 4.5%, 산가용성 Al: 0.02~0.04%, C: 0.04~0.12%, 희토류 원소: 0.03~0.3%, 잔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하게 혼입되는 불순물을 포함하며, 희토류 원소 또는 희토류 산화물, 희토류 황화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결정립성장 억제제로 작용하여 결정립계에 편석된 방향성 전기강판이다.

Description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향성 전기강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성분계를 제어하여 철손 및 자기적 특성이 우수한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향성 전기강판은 강판면의 모든 결정립들의 방위가 {110}면이고 압연방향의 결정방위는 <001>축에 평행한, 소위 고스(Goss) 집합조직(texture)을 이루어서 강판의 압연방향으로 자기특성이 뛰어난 연자성 재료이다.
일반적으로 자기특성은 자속밀도와 철손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높은 자속밀도는 결정립의 방위를 {110}<001>방위에 정확하게 배열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기특성이 우수한 방향성 전기강판은 강판의 압연방향으로 {110}<001>방위의 고스조직(Goss texture)이 강하게 발달하여야 하며, 이와 같은 집합조직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고스 방위의 결정립들이 2차 재결정이라는 비정상인 결정립 성장을 형성시켜야 한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결정성장은 통상적인 결정립성장과 다르게 정상적인 결정립 성장이 석출물, 개재물이나 혹은 고용되거나 입계에 편석되는 원소들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성장하는 결정립계의 이동이 억제되었을 때 발생하게 된다.
이제까지 방향성 전기강판은 주로 AlN, MnS[Se]등의 석출물을 결정립성장 억제제로 이용하여 2차재결정을 일으키는 제조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AlN, MnS 석출물을 결정립성장 억제제로 사용하는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AlN, MnS 석출물을 결정립성장 억제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석출물 들을 매우 미세하고 균일하게 강판에 분포시켜야만 한다.
이와 같이 미세한 석출물을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위해서는 슬라브를 1300℃ 이상의 높은 온도로 장시간 동안 가열하여 강 중에 존재하던 조대한 석출물 들을 고용시킨 후 매우 빠른 시간내에 열간압연을 실시하여 석출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열간압연을 종료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대단위의 슬라브 가열설비를 필요로 하며, 석출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열간압연과 권취공정을 매우 엄격하게 관리하고 열간압연 이후의 열연판 소둔공정에서 고용된 석출물이 미세하게 석출되도록 관리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온으로 슬라브를 가열하게 되면 융점이 낮은 Fe2SiO4가 형성됨에 따라 슬라브 워싱(washing) 현상이 발생하여 실수율이 저하된다.
또한 2차 재결정 완료후에 석출물 구성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1200℃의 고온에서 30시간 이상 장시간 순화소둔을 해야만 하는 제조공정상의 복잡성과 원가부담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순화소둔 과정에서 AlN계 석출물이 Al과 N으로 분해된 후에 Al이 강판표면으로 이동하여 표면산화층의 산소와 반응함에 따라 Al2O3 산화물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Al계 산화물이나 순화소둔 과정에서 분해되지 않은 AlN 석출물들은 강판내 혹은 표면가까이에서 자구의 이동을 방해하여 철손을 열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성분계를 제어하여 희토류 원소, 희토류 화합물을 결정립성장 억제제로 사용하여 {110}<001>방위의 2차 재결정을 안정적으로 형성 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향성 전기강판은, 중량%로, Si: 2.5 ~ 4.5%, 산가용성 Al: 0.02~0.04%, C: 0.04~0.12%, 희토류 원소: 0.03~0.3%, 잔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하게 혼입되는 불순물을 포함하며, 희토류 원소 또는 희토류 산화물, 희토류 황화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결정립성장 억제제로 작용하여 결정립계에 편석된 방향성 전기강판이다.
상기 전기강판은 Cu: 0.03~0.3%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불가피하게 혼힙되는 불순물은 Mn: 0.03~0.2%, S: 0.001~0.05%, N: 0.01%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은, 중량%로, Si: 2.5 ~ 4.5%, 산가용성 Al: 0.02~0.04%, C: 0.04~0.12%, 희토류 원소: 0.03~0.3%, 잔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하게 혼입되는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를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를 열간 압연하여 열연 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열연 강판을 냉간 압연하여 냉연 강판을 제조 하는 단계; 상기 냉연 강판을 1차 재결정 소둔을 실시하는 단계; 및 2차 재결정 소둔을 실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브는 Cu: 0.03~0.3%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불가피하게 혼입되는 불순물은, Mn: 0.03~0.2%, S: 0.001~0.05%, N: 0.01%이하,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브를 재가열 하는 단계에서 재가열 온도는 1050~1300℃ 일 수 있다.
상기 냉연 강판을 제조 하는 단계는 1회 강 냉간압연으로 85% 이상의 압하율로 압연할 수 있다.
상기 냉연 강판을 제조 하는 단계는 중간 소둔을 포함하여 2회 이상 냉간압연을 실시하며, 전체 압하율은 85% 이상, 수회의 냉간 압연 중 최종 냉간 압연은 50% 이상의 압하율로 압연할 수 있다.
상기 2차 재결정 소둔은 5~30 ℃/hour 의 승온 속도로 최종 도달온도 1100~1300 ℃ 에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성분 원소의 함유량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중량 % 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향성 전기강판은 {110}<001>방위의 2차 재결정을 안정적으로 형성시키고 2차 재결정이 완료된 강판 내에 존재하는 Al계 석출물과 산화물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철손이 낮고 자기적 특성이 뛰어나다.
또한, 2차재결정 형성을 위해서 필요한 결정립성장 억제제로서 희토류 원소, 희토류 화합물, CuS 의 입계편석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2차재결정을 일으키고 2차재결정된 강판에 Al계 석출물과 산화물들의 양을 감소시켜 자구이동의 방해인자를 최소화함으로써 극히 낮은 철손 특성을 갖는 방향성 전기강판을 제공한다.
또한, AlN 및 MnS같은 석출물을 제거하기 위한 고온의 순화 소둔이 필요없게 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의한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 의한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향성 전기강판은, 중량%로, Si: 2.5 ~ 4.5%, 산가용성 Al: 0.040% 이하(0%를 포함하지 않는다), C: 0.04~0.12%, 희토류 원소: 0.03~0.3%, 잔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하게 혼입되는 불순물을 포함하며, 희토류 원소 또는 희토류 산화물, 희토류 황화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결정립성장 억제제로 작용하여 결정립계에 편석된 방향성 전기강판이다.
상기 전기강판은 Cu: 0.03~0.3% 를 더 포함하며, 희토류 원소 또는 희토류 산화물, 희토류 황화물, CuS 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결정립성장 억제제로 작용하여 결정립계에 편석된 방향성 전기강판일 수 있다.
상기 전기강판은 Mn: 0.03~0.2%, S: 0.001~0.05%, N: 0.01%이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속밀도(B8)는 1.87 T 이상으로 자기적 특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성분을 한정한 이유를 설명한다.
Si는 비저항을 증가시켜 철손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Si함량이 2.0% 미만인 경우 비저항이 감소하여 철손특성이 열화되고 고온소둔시 상변태구간이 존재하여 2차재결정이 불안정해지며, 4.5%을 초과할 경우 강의 취성이 커져 냉간압연이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Si은 2.0~4.5%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가용성 Al은 산화물로 존재하는 Al의 양을 제외하고 강중에 고용되어 있는 Al, AlN 으로 존재하는 Al의 양을 말한다.
Al은 N과 결합하여 결정립 성장 억제제로 작용하므로, 산 가용성 Al의 양이 0.02% 미만이면 AlN에 의한 결정립 성장 억제력이 약하고, 산 가용성 Al의 양이 0.04초과일 경우 조대한 AlN이 형성 되어 결정립 성장 억제력이 약화된다.
따라서 산가용성 Al의 양은 0.02~0.04% 가 바람직하다.
C는 열간압연시 조직을 균일하게 하고, 연속주조에서 발생하는 주상정 조직의 성장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다.
C가 0.01%미만이면 열간압연시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 상변태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중심부에 연신립이 발생하고 열연판 표면에 {110}<001> 고스 집합조직의 발달이 미약하다.
C가 0.1% 초과일 경우 탈탄 소둔 시간이 증가하고, 1차 재결정립이 미세해져 2차재결정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자성이 열위해진다.
따라서 C는 0.01~0.1% 인 것이 바람직하다.
희토류 원소란 주기율표 Ⅲ족에 속하는 스칸듐(Sc, 원자번호 21) 이트륨(Y, 원자번호 39) 및 란타이노이드(원자번호 57~71) 중의 란탄(La), 세륨(Ce), 프라세오디뮴(Pr), 네오디뮴(Nd), 프로메튬(Pm), 사마륨(Sm), 유로븀(Eu), 가돌리늄(Gd), 테르%(Tb), 디스프로슘(Dy), 홀뮴(Ho), 에르븀(Er), 툴륨(Tm), 이테르븀(Yb), 루테튬(Lu)의 17원소를 희토류 원소라고 한다.
종래의 AlN을 결정립 성장 억제제로 사용하는 경우, 조업 변수에 의해 품질이 영향을 많이 받는다.
예를 들어, 저온가열법에서 Al은 제강공정에서 투입되어 일부는 강중 존재하는 N과 결합하여 AlN을 형성하지만 대부분의 Al은 고용상태로 있다. 따라서 질화소둔을 따로 실시하여 대부분의 AlN을 형성시킨다.
이 경우 소둔분위기 편차에 의해 AlN의 분포가 불균일해지면 자성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러 가지 실험을 거듭한 결과, 희토류 원소를 결정립 성장 억제제로 사용할 경우, 희토류 원소 단독 또는 희토류 황화물 또는 희토류 산화물의 형태로 1차 재결정립계의 이동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2차 재결정시 고스 방위의 결정립 성장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고스 방위 입자의 비율을 높이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알아내었다.
또한 상기 희토류 원소의 화합물은 슬라브 내에서 미세한 크기를 가지고 균질하게 분포되어 있어 후속되는 공정에서 상기 화합물을 미세석출 시키기 위한 용체화 처리단계가 필요없다.
상기 희토류 원소는 1 종 만이 포함 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포함 될 수도 있다. 상기 희토류 원소 첨가량이 0.03% 미만일 경우 결정립 성장 억제제로서의 효과가 적으며, 0.3% 초과시 조대한 화합물이 생성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희토류 원소는 0.03~0.3% 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소들과 함께 Cu가 첨가 될 수 도 있다.
Cu는 결정립 성장 억제제를 안정화시키며, 결정립 성장 억제제를 미세하고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Cu가 0.03% 미만이면 첨가의 효과가 없고, 0.3% 초과면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시 가공성을 해친다.
따라서 Cu의 첨가범위는 0.03~0.3% 인 것이 바람직 하다.
기타 불가피 하게 혼입되는 불순물은 Mn, S, N을 포함 할 수 있다.
Mn은 재가열시 석출물의 고용온도를 낮추며, 열간압연시 소재의 크랙을 방지하는 원소로서, 이와 같은 효과를 위해서 0.03%이상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과잉첨가되면 Mn산화물을 형성하고, MnS화합물을 만들어 철손을 악화시키므로, 그 함량범위는 0.03~0.2% 인 것이 바람직하다.
S는 희토류 원소와 결합하여 인히비터를 생성시킬 수 있는 원소이다. 이를 위해서는 0.001중량%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과다하게 첨가될 경우에는 형성되는 S 화합물이 조대화되어 1차 재결정립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인히비터로 작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그 상한은 0.05중량%로 정한다.
N은 Al과 반응하여 AlN을 형성하여 결정립 성장 억제제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으나, N이 과량 첨가될 경우에는 강에 블리스터라고 불리는 부풀음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N은 첨가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강공정 중 불가피하게 혼입되는 양을 고려하여 0.01중량% 이하로 제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중량%로, Si: 2.5 ~ 4.5%, 산가용성 Al: 0.02~0.04%, C: 0.04~0.12%, 희토류 원소: 0.03~0.3%, 잔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하게 혼입되는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제공한다.
상기 슬라브는 Cu: 0.03~0.3%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브에 첨가되는 희토류 원소는 1종 만이 첨가될 수 있으며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첨가 할 수 있다.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첨가하는 경우 미시메탈(misch metal)의 형태로 첨가 될 수도 있다. 전체 첨가되는 희토류 원소의 함량의 합이 본 발명에서 정한 범위를 벗어나지만 않는다면, 미시메탈 자체의 조성이나 종류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슬라브를 1050~13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1250℃ 의 온도로 가열한다. 본 발명에서는 희토류 원소를 결정립 성장 억제제로 사용하므로, MnS, MnSe 등을 결정립 성장 억제제로 사용하는 종래기술과 달리 용체화 처리 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열된 슬라브를 열간압연 하여 열연강판을 제조한다. 열연강판 제조 시 최종 냉간압연단계에서 50~95%의 압연율을 적용하여 최종 제품두께로 제조할 수 있도록 열간압연에 의하여 1.0~4.0mm 두께의 열연판으로 제조할 수 있다.
열간압연된 열연판은 필요에 따라 열연판 소둔을 실시하거나 열연판 소둔을 실시하지 않고 냉간압연을 수행한다.
열연판 소둔을 실시하는 경우 열연조직을 균일하게 만들기 위해서 90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고 적정시간 동안 균열한 다음 냉각한다.
이후 냉간압연은 리버스(Reverse) 압연기 혹은 텐덤(Tandom) 압연기를 이용하여 1회의 냉간압연 혹은 중간소둔을 포함하는 2회 이상의 냉간압연으로 하여 최종제품 두께의 냉연판이 제조되도록 실시한다
1회의 냉간압연으로 냉연판을 제조 할 경우 85% 이상의 압하율로 압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소둔을 포함하여 2회 이상 냉간압연을 실시할 경우, 전체 압하율은 85% 이상, 수회의 냉간 압연 중 최종 냉간 압연은 50% 이상의 압하율로 압연함이 고스 방위를 가진 결정립을 다량 형성시키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강판 내에 집합조직을 충분한 정도로 형성시켜 이후의 1차 재결정을 거친 2차 재결정 후 고스 방위를 가진 결정립을 다량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냉간압연 압하율은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냉간 압연된 강판을 1차 재결정 소둔을 실시한다.
충분한 재결정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1차 재결정 소둔 온도는 700~950℃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1차 재결정 소둔시 탈탄이 함께 일어난다.
1차 재결정 온도가 700℃이하이면 탈탄이 일어나지 않고, 1차 재결정 온도가 950℃이상이면 1차 재결정립이 조대해져서 2차 재결정 구동력이 약해져 고스결정립이 발달하지 못한다.
상기 1차 재결정소둔시 분위기를 수소와 질소의 혼합 습윤 분위기에서 실시함으로써 강판 내 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1차 재결정 소둔된 강판을 승온하여 2차 재결정 소둔을 실시한다.
상기 2차 재결정소둔은 5~30℃/hr의 승온속도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종 도달온도를 1100~1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승온속도가 5℃/hr미만일 경우 소둔시간의 증가로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2차재결정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1차 재결정립이 조대해져 2차재결정의 구동력이 약해질 수 있다.
승온속도가 30℃/hr 초과일 경우 코일내부와 외부의 온도편차가 발생하여 2차재결정이 균일하게 발생하지 않아 자성을 해치게 된다.
상기 2차 재결정소둔 온도는 1100~13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2차 재결정 소둔 온도가 1100℃미만일 경우 2차재결정립 내부에 작은 결정립들을 완전히 제거할 수가 없어서 철손 특성이 나쁘다. 2차 재결정 소둔 온도가 1300℃초과시 코일이 변형이 되어 생산성을 해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2차 재결정소둔 전에 소둔분리제를 도포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소둔분리제로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MgO계나 Al2O3계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실시예 1]
Si: 3.1중량%, 산가용성 Al: 0.029중량%, C: 0.04중량%, Mn: 0.08중량%, Cu: 0.12%, S: 0.006중량%, N: 0.006중량%, 희토류 원소의 양을 도1과 같이 변화시키면서 첨가하고, 잔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용강을 제조하였다.
용강 제조시 희토류 원소는 각각의 금속을 개별적으로 첨가하거나 미시메탈형태로 첨가하여 그 조성을 조정하였다.
여기서는 희토류의 주종이 La, Pr, Ce이다.
상술한 조성의 용강을 주조하여 두께 250mm의 슬라브를 얻었으며, 슬라브를 1150℃의 온도로 가열한 다음 2.3mm의 두께로 열간압연하였다.
상기 열간압연된 열연판을 1100℃의 온도로 가열하는 열연판 소둔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가열된 강판을 냉각하고 산세하였다.
상기 산세된 열연판을 1회의 냉간압연을 통하여 0.30mm까지 냉간압연하여 냉연판을 얻었다.
상기 냉연판을 수소와 질소가 혼합된 습윤분위기에서 830℃의 온도로 가열하여 1차 재결정과 탈탄소둔을 실시하여 잔류탄소량을 30ppm이하로 하였다.
탈탄소둔시 암모니아 개스를 혼합하여 200ppm까지 질화소둔을 시행하였다.
이후, 상기 탈탄소둔된 강판을 15℃/hr의 승온속도로 1200℃까지 가열하여 2차 재결정시켰으며, 이후 냉각을 통하여 다양한 조건의 전기강판을 얻을 수 있었다.
도 1의 결과에서 보듯, 0.03~0.3%의 범위로 첨가했을 때 자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2]
Si: 3.1중량%, sol-Al: 0.031중량%, C: 0.045중량%, Mn: 0.085중량%, S: 0.005중량%, N: 0.005중량%, Cu의 첨가량을 도2와 같이 변경하고, 잔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용강을 제조하였다.
또한, 용강 제조시 미시메탈을 이용하여 희토류 원소를 더 0.15%첨가한 것을 제조 하였다. 희토류 첨가 각각의 금속을 개별적으로 첨가하거나 미시메탈형태로 첨가하여 그 조성을 조정하였다. 첨가한 희토류 원소는 Ce 50%, La 25%, 기타 Pr과 Nd등의 희토류 원소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용강은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여 자속밀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2에서 알 수 있듯 Cu: 0.03~0.3% 일 때 자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중량%로, Si: 2.5 ~ 4.5%, 산가용성 Al: 0.02~0.04%, C: 0.04~0.12%, 희토류 원소: 0.03~0.3%, 잔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하게 혼입되는 불순물을 포함하며, 희토류 원소 또는 희토류 산화물, 희토류 황화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결정립성장 억제제로 작용하여 결정립계에 편석된 방향성 전기강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희토류 원소는, 스칸듐(Sc), 이트륨(Y), 란탄(La), 세륨(Ce), 프라세오디뮴(Pr), 네오디뮴(Nd), 프로메튬(Pm), 사마륨(Sm), 유로븀(Eu), 가돌리늄(Gd), 테르%(Tb), 디스프로슘(Dy), 홀뮴(Ho), 에르븀(Er), 툴륨(Tm), 이테르븀(Yb), 루테튬(Lu)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방향성 전기강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희토류 원소는, 란탄(La), 세륨(Ce), 프라세오디뮴(Pr), 네오디뮴(Nd)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방향성 전기강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강판은 Cu: 0.03~0.3% 를 더 포함하는 방향성 전기강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불가피하게 혼힙되는 불순물은 Mn: 0.03~0.2%, S: 0.001~0.05%, N: 0.01%이하를, 포함하는 방향성 전기강판.
  6. 중량%로, Si: 2.5 ~ 4.5%, 산가용성 Al: 0.02~0.04%, C: 0.04~0.12%, 희토류 원소: 0.03~0.3%, 잔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하게 혼입되는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를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를 열간 압연하여 열연 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열연 강판을 냉간 압연하여 냉연 강판을 제조 하는 단계;
    상기 냉연 강판을 1차 재결정 소둔을 실시하는 단계; 및
    2차 재결정 소둔을 실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희토류 원소는, 스칸듐(Sc), 이트륨(Y), 란탄(La), 세륨(Ce), 프라세오디뮴(Pr), 네오디뮴(Nd), 프로메튬(Pm), 사마륨(Sm), 유로븀(Eu), 가돌리늄(Gd), 테르%(Tb), 디스프로슘(Dy), 홀뮴(Ho), 에르븀(Er), 툴륨(Tm), 이테르븀(Yb), 루테튬(Lu)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희토류 원소는, 란탄(La), 세륨(Ce), 프라세오디뮴(Pr), 네오디뮴(Nd)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는 Cu: 0.03~0.3% 를 더 포함하는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불가피하게 혼입되는 불순물은, Mn: 0.03~0.2%, S: 0.001~0.05%, N: 0.01%이하, 를 포함하는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를 재가열 하는 단계에서 재가열 온도는 1050~1300℃ 인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연 강판을 제조 하는 단계는 1회 강 냉간압연으로 85% 이상의 압하율로 압연하는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냉연 강판을 제조 하는 단계는 중간 소둔을 포함하여 2회 이상 냉간압연을 실시하며, 전체 압하율은 85% 이상, 수회의 냉간 압연 중 최종 냉간 압연은 50% 이상의 압하율로 압연하는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재결정 소둔은 5~30 ℃/hour 의 승온 속도로 최종 도달온도 1100~1300 ℃ 에서 실시하는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KR1020130161376A 2013-12-23 2013-12-23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3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376A KR20150073551A (ko) 2013-12-23 2013-12-23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376A KR20150073551A (ko) 2013-12-23 2013-12-23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551A true KR20150073551A (ko) 2015-07-01

Family

ID=53787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376A KR20150073551A (ko) 2013-12-23 2013-12-23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355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1509A1 (ko) * 2015-12-22 2017-06-29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8080167A1 (ko) * 2016-10-26 2018-05-03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 및 이의 제초방법
WO2018117639A1 (ko) * 2016-12-21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장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77986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8390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US11667984B2 (en) 2016-12-22 2023-06-06 Posco Co., Ltd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1509A1 (ko) * 2015-12-22 2017-06-29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74478A (ko) * 2015-12-22 2017-06-30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US10907231B2 (en) 2015-12-22 2021-02-02 Posco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18080167A1 (ko) * 2016-10-26 2018-05-03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 및 이의 제초방법
CN109906284B (zh) * 2016-10-26 2021-10-15 Posco公司 取向电工钢板及其制造方法
CN109906284A (zh) * 2016-10-26 2019-06-18 Posco公司 取向电工钢板及其制造方法
JP2020509153A (ja) * 2016-10-26 2020-03-26 ポスコPosco 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088306A (zh) * 2016-12-21 2019-08-02 Posco公司 取向电工钢板及其制造方法
KR20180072107A (ko) * 2016-12-21 2018-06-29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WO2018117639A1 (ko) * 2016-12-21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장판 및 그의 제조방법
US11326221B2 (en) 2016-12-21 2022-05-10 Posco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1667984B2 (en) 2016-12-22 2023-06-06 Posco Co., Ltd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19132378A1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8390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77986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115B1 (ko) 자성이 우수한 방향성 전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EP3235919B1 (e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70117568A (ko) 표면상태가 양호한 고자속밀도와 저철손을 갖는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82354B1 (ko) 철손이 우수한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3551A (ko)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6663999B2 (ja) 方向性電磁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30235434A1 (en) 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EP3859019A1 (e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506679B1 (ko)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94601B1 (ko)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51957B1 (ko) 자성이 우수한 방향성 전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950002895B1 (ko) 초고규소 방향성 전자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223108B1 (ko) 자성이 우수한 방향성 전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63842B1 (ko) 저철손 고자속밀도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KR101869455B1 (ko) 방향성 전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56342B1 (ko) 자성 및 탈탄성이 우수한 방향성전기강판의 제조방법
KR20020044243A (ko) 자기특성이 우수한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JP2709549B2 (ja) 磁気特性の優れた一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KR101263846B1 (ko) 저철손 고자속밀도 방향성 전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77964A (ko)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263843B1 (ko) 저철손 고자속밀도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KR101223112B1 (ko) 자성이 우수한 방향성 전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2870B1 (ko)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435455B1 (ko) 자기적특성이 우수한 저온재가열 방향성 전기강판과 그제조방법
KR101539750B1 (ko)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