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3448A -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3448A
KR20150073448A KR1020130161156A KR20130161156A KR20150073448A KR 20150073448 A KR20150073448 A KR 20150073448A KR 1020130161156 A KR1020130161156 A KR 1020130161156A KR 20130161156 A KR20130161156 A KR 20130161156A KR 20150073448 A KR20150073448 A KR 20150073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
molten steel
main body
upper dam
molten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61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3448A/ko
Publication of KR20150073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6Refining the metal
    • B22D11/118Refining the metal by circulating the metal under, over or around we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되는 용강을 수강하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기 용강을 출강하도록 바닥부에 출강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폭방향의 양측벽을 연결하여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으로 분할하도록 일부가 상기 용강의 유동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댐을 포함하는 용강 처리 장치로서, 이전 용강을 이용한 조업의 말기에 상기 댐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으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용강 혼합 영역에 후속 용강을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댐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의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을 연결시키는 과정을 수행하여 이강종 연속주조 조업 시 이전 용강과 후속 용강이 혼합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는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molten metal}
본 발명은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전 용강과 후속 용강이 혼합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는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속주조 설비는 제강 설비로부터 정련된 용강을 공급받아 주편을 제조하는 설비이다. 예컨대, 연속주조 설비는 특허문헌 KR10-1235728 B1 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강 설비에서 정련이 완료된 용강이 담기는 래들(ladle), 래들의 하측에 배치되어 래들로부터 용강을 공급받아 임시 저장하는 턴디시(tundish), 턴디시의 하측에 배치되어 턴디시로부터 용강을 공급받아 주편 형상으로 응고시키는 몰드(mold) 및 몰드의 하측에 배치되어 일련의 성형 작업을 수행하며 주편을 제조하는 세그먼트(segment)를 포함한다. 턴디시는 개재물의 부상 분리, 슬래그(slag) 안정화, 용강의 재산화 방지 그리고 스트랜드(strand)로 용강을 분배하는 역할을 하며, 내부에 용강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댐이 설치된다. 이러한 연속주조 설비가 적용되는 연속주조 조업은 현재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고 있다. 예컨대 연속주조 설비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강종을 연속주조하는 이강종 연속주조 조업이 실시되고 있다.
상술한 이강종 연속주조 조업은 현재 처리 중인 용강(이하, 이전 용강)을 이용한 연속주조 조업의 말기에 이전 용강과 다른 성분을 가지는 새로운 용강(이하, 후속 용강)을 턴디시로 공급하여 연속주조하는 조업이다. 이때, 턴디시 내에서는 이전 용강과 후속 용강이 혼합되고, 혼합된 용강은 몰드로 공급되어 주편으로 제조된다. 이로 인해, 연속하여 인발되는 주편에는 혼합된 용강으로 제조된 혼합부가 발생하고, 혼합부는 목적하는 스팩(spec)을 만족하지 않으므로 스크랩(scrap) 처리된다. 예컨대, 종래에는 특허문헌 KR10-0419886 B1 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업정보를 이용하여 혼합부의 위치를 결정한 후, 이를 스크랩 처리하였다. 이러한 혼합부의 스크랩 처리는 연속주조 조업의 실수율 저하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이강종 연속주조 조업 시 혼합부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연속주조 장치 및 연속주조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연속주조 설비로는 이강종 연속주조 조업 시 턴디시 내부의 용강 혼합 및 이에 따른 혼합부의 발생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예컨대, 종래에는 이전 용강을 이용한 연속주조 조업의 말기에 턴디시의 용강량을 낮게 관리하거나 주조속도를 낮춘 후, 턴디시에 후속 용강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혼합부의 발생량을 줄여 왔다. 따라서, 이강종 연속주조 조업 시 더욱 효과적으로 혼합부의 발생량을 줄이기 위하여 연속주조 설비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KR 10-1235728 B1 KR 10-0419886 B1
본 발명은 이강종 연속주조 조업 시 이전 용강과 후속 용강이 혼합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는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강종 연속주조 조업 시 스크랩 처리되는 혼합부의 발생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강종 연속주조 조업 시 실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는 공급되는 용강을 수강하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기 용강을 출강하도록 바닥부에 출강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한 댐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댐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댐유닛은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댐유닛의 내측에는 상기 용강 혼합 영역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출강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유닛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부댐; 상기 본체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부댐으로부터 상기 상부댐과 가까운 상기 출강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바닥부에 접촉하여 설치되는 하부댐; 및 상기 상부댐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유닛은 상기 상부댐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폭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댐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댐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용강 혼합 영역을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고립시키고, 회전하기 전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하부댐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댐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의 양측벽으로부터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댐의 폭방향의 크기가 형성되며, 상기 댐유닛은, 상기 상부댐의 회전 전 및 회전 후 위치에서 상기 상부댐과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의 양측벽 사이를 밀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의 양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밀폐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댐은, 회전 전 위치에서의 상기 상부댐의 폭방향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도록, 상기 본체의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부댐으로부터 상기 하부댐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댐에 선행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의 양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밀폐댐; 회전 후 위치에서의 상기 상부댐의 폭방향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부댐의 회전 후 위치에서의 상기 상부댐의 폭방향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부댐으로부터 상기 하부댐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댐에 후행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의 양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제2 밀폐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댐은 상기 밀폐댐과 상기 상부댐의 폭방향의 가장자리가 접촉하거나 상기 밀폐댐과 상기 상부댐이 상호 중첩되도록, 상기 밀폐댐의 폭방향의 크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밀폐댐은 상단부가 상기 상부댐을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댐은 상기 상부댐이 상기 용강의 유동방향으로 회전하였을 경우 상기 상부댐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댐의 상단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부댐의 높이방향의 크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부댐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상부댐과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의 양측벽을 연결하여 설치되는 구동로드; 상기 구동로드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연속주조 설비에서 사용되는 턴디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용강 처리 방법은 용강을 수강하는 내부 공간 및 상기 내부공간을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으로 분할 가능한 댐유닛을 가지는 본체를 마련하는 과정; 이전 용강을 이용한 조업의 말기에 상기 댐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용강 혼합 영역을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고립시키는 과정; 상기 용강 혼합 영역에 후속 용강을 공급하는 과정; 상기 댐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의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을 연결시키는 과정; 후속 용강을 이용한 후속 조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체의 내부공간을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는 댐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조업 도중 이전 용강과 후속 용강이 혼합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잇다.
이로부터 조업 시 스크랩 처리되는 혼합부의 발생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이에 조업의 실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이강종 연속주조 조업에 적용되는 경우, 댐은 이전 용강을 이용한 조업의 말기에 턴디시의 내부공간을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으로 분할하고, 용강 혼합 영역에 후속 용강을 공급하며, 그외 영역에서는 이전 용강으로 조업을 지속할 수 있다. 이후 댐을 이용하여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을 연결시키고, 후속 용강을 이용한 조업을 연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전 용강과 후속 용강의 혼합은 용강 혼합 영역에서만 수행되며, 이에 이전 용강과 후속 용강이 혼합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로부터 이전 용강과 후속 용강이 혼합되어 발생하는 주편의 혼합부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고, 이에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의 제1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의 제2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의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그 크기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의 일측을 절단하여 그 절단면에서의 구조를 도시한 제1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부분을 절단하여 그 절단면에서의 구조를 도시한 제2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의 모식도이다. 여기서, 도 3(a)는 상부댐의 회전 전 상태에서의 용강 처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 이고, 도 3(b)는 상부댐의 회전 후 상태에서의 용강 처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 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는 철강 제조 설비에서 제조되는 용융 상태의 피처리물을 처리 가능한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용강 처리 장치는 용강을 수강하여 내부에 소정 시간 체류시키면서 용강에 혼입된 개재물을 부상 분리시키고, 이를 지속적으로 출강시키면서 출강량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용강 처리 장치가 적용되는 철강 제조 설비로서 연속주조 설비를 예시한다. 따라서, 용강 처리 장치의 본체(100)는 연속주조 설비에서 사용되는 턴디시(tundish)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가 적용되는 설비는 연속주조 설비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는 현재 처리 중인 용강(이하, 이전 용강(1a))을 이용한 연속주조 조업의 말기에 이전 용강(1a)과 다른 성분을 가지는 새로운 용강(이하, 후속 용강(1b))을 턴디시로 공급하여 연속주조하는 조업 예컨대 이강종 연속주조 조업에 적용 가능한 용강 처리 장치이다. 이때, 용강 처리 장치는 후술하는 댐유닛(200)을 이용하여 이강종 연속주조 조업 시 이전 용강(1a)과 후속 용강(1b)이 혼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체(100)의 장변방향(L)을 길이방향이라 하고(도 1 참조), 본체(100)의 단변방향(W)을 폭방향 이라 하며(도 2 참조), 길이방향과 폭방향에 교차하는 방향(H)을 높이방향 이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는 공급되는 용강(1: 1a, 1b)을 수강하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용강(1)을 출강하도록 바닥부(130)에 출강구(140)가 형성된 본체(100),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으로 분할하도록,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한 댐 예컨대 상부댐(210)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댐유닛(200)을 포함한다. 또한, 용강 처리 장치는 출강구(140)와 연통하도록 본체(100)의 외측에서 본체(100)의 바닥부(130)에 장착되는 노즐(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댐유닛(200)은 복수개 설치되고,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며, 서로 마주보는 댐유닛(200)의 내측에는 용강 혼합 영역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출강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의 상부에는 용강운반용기(10)가 마련되고, 용강운반용기(10)에는 공급노즐(20)이 구비된다. 용강(1)은 용강운반용기(10)의 공급노즐(20)을 통과하여 본체(100)내에 낙하 공급되고, 본체(100)에 형성된 출강구(140)를 향하여 유동하여 출강구(140) 및 이에 연결된 노즐(300)에 유입된다. 이후, 용강(1)은 노즐(300)의 하측에 마련된 몰드(30)로 공급되어 주편으로 제조된다. 이때, 용강운반용기(10)는 예컨대 본체(100)에 용강(1)을 공급하도록 본체(100)의 상부에 마련되는 래들(ladle)일 수 있고, 공급노즐(20)은 래들(ladle)의 쉬라우드 노즐(shroud nozzle)일 수 있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용강의 유동방향(2)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바닥부(130) 상에서 공급노즐(20)로부터 출강구(140)를 향하는 각각의 방향을 용강 유동방향(2)이라 한다. 또한, 용강 혼합 영역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이전 용강(1a)을 이용한 연속주조 조업의 말기에 후속 용강(1b)을 본체(100)에 공급하여 본체(100) 내에서 이전 용강(1a)과 후속 용강(1b)이 혼합되는 영역을 용강 혼합 영역이라 한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내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댐유닛(200)의 내측에 형성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그외 영역은 본체(100)의 내부공간에서 용강 혼합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의미한다.
본체(100)는 용강(1)을 수강 가능한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용기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내측면에는 내화물이 구축되어 본체(100) 내로 공급되는 용강(1)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본체(100)는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중심위치 및 폭방향의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각각 대칭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너비가 폭방향의 너비보다 넓을 수 있다. 본체(100)의 상부에는 용강(1)을 본체(100) 내에 공급하도록 공급노즐(20)이 마련될 수 있다. 공급노즐(2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본체(100)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중심위치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0)에는 본체(100) 내에 수강되는 용강(1)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댐유닛(200)이 설치되고, 본체(100) 내에 수강되는 용강(1)을 출강하도록 출강구(140)가 형성된다.
출강구(140)는 본체(100) 내에 수강되는 용강(1)을 출강하도록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중심위치로부터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본체(100)의 바닥부(13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각각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출강구(140)는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중심위치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하도록 서로 이격되며, 본체(100)의 폭방향의 양측벽(110)에 근접하여 본체(100) 바닥부(130)의 길이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의 폭방향의 양측벽(110)은 본체(100)의 폭방향 예컨대 단변방향(W)으로 연장 형성된 양측벽(110)을 의미한다. 출강구(140)에는 노즐(300)이 장착되며, 본체(100) 내에 수강된 용강(1)은 출강구(140)를 통과하여 노즐(300)로 유입될 수 있다.
노즐(300)은 본체(100)의 하측에서 본체(100)의 바닥부(13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출강구(140)에 각각 장착된다. 노즐(30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중공의 관 형상이며, 내화물로 제작될 수 있다. 노즐(300)은 상하부가 개방되어 용강(1)이 통과할 수 있는 내부경로가 마련된다. 노즐(300)은 상부노즐(Upper Nozzle)(310)과 하부노즐(320) 예컨대 침지노즐(Submerged Entry Nozzle)을 포함한다. 상부노즐(310)은 출강구(140)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하부노즐(320)은 상부노즐(310)의 하측에서 상부노즐(310)에 연결된다. 하부노즐(320)의 하단부에는 용강(1)을 출강하도록 토출구가 형성된다. 본체(100) 내에 수강된 용강(1)은 출강구(140)와 노즐(300)을 거쳐 노즐(300)의 하측에 마련되는 몰드(30) 내로 공급될 수 있다.
노즐(300)의 일측에는 노즐(300)의 내부경로를 통과하는 용강(1)의 출강량을 조절하도록 게이트(330)가 장착될 수 있다. 게이트(330)는 상부노즐(310)과 하부노즐(3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330)는 용강(1)이 출강되는 동안 노즐(300)의 개도를 조절하여 용강(1)의 출강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게이트(330)는 연속주조 설비의 턴디시에 마련되는 슬라이딩 게이트(sliding gate)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댐유닛(200)을 설명한다. 댐유닛(200)은 본체(100) 내에 공급되는 용강(1)의 유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댐유닛(200)은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하도록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0)는 본체(100)의 길이방향 예컨대 장변방향(L)의 중심위치를 중심으로 양측의 형상이 대칭하며, 이하에서는 본체(100)의 양측 중 일측을 기준으로 하여 그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댐유닛(200)은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100)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바닥부(130)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부댐(210), 본체(100)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부댐(210)으로부터 상부댐(210)과 가까운 출강구(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바닥부(130)에 접촉하여 설치되는 하부댐(220) 및 상부댐(21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부(2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댐(210)으로부터 상부댐(210)과 가까운 출강구(140)를 향하는 방향은 용강 유동방향(2)에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상부댐(210)은 회전 시 본체(100)에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양측벽(120)으로부터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양측벽(120)은 본체(100)의 길이방향 예컨대 장변방향(L)으로 연장 형성된 양측벽(120)을 의미한다. 이에, 상부댐(210)의 회전 전 및 회전 후 위치에서 상부댐(210)과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양측벽(12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을 통하여 용강(1)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댐유닛(200)은 밀폐댐(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밀폐댐(230)은 상부댐(210)의 회전 전 및 회전 후 위치에서 상부댐(210)과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양측벽(120) 사이를 밀폐하도록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양측벽(120)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밀폐댐(230)은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양측벽(120)에 설치되어 본체(10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댐(210)의 회전 전 위치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댐(210)의 하단부가 바닥부(130)를 향하도록 상부댐(210)이 수직방향으로 놓여져 있는 상태이다. 또한 상부댐(210)의 회전 후 위치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댐(210)의 하단부가 하부댐(220)에 밀착되도록 상부댐(210)이 놓여져 있는 상태이다. 이때, 상부댐(210)과 바닥부(130)는 소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댐유닛(200)은 상부댐(210)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본체(100)의 폭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 예컨대 후술하는 구동로드(2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댐(21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부댐(220)과 접촉함으로써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으로 분할하여 용강 혼합 영역을 내부공간으로부터 고립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댐(210)은 회전하기 전 위치로 복귀하여 하부댐(220)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부댐(210)은 본체(100)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소정 두께와 소정 면적을 가지는 판의 형상이며, 내화물로 제작될 수 있다. 상부댐(210)은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중심위치 또는 본체(100)의 상부에 마련된 공급노즐(20)로부터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본체(100)의 바닥부(130)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양측벽(1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댐(210)은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양측벽(12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댐(210)은 상부댐(210)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소정 위치에서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양측벽(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부댐(210)은 공급노즐(20)로부터 낙하 공급되는 용강(1)의 유동을 본체(100)의 내부공간의 하부로 유도한다. 이를 위해, 상부댐(210)의 상단부는 본체(100) 내에 공급되는 용강(1)의 탕면 높이의 상한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본체(100)의 바닥부(130)로부터의 소정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부댐(210)의 하단부는 본체(100) 내에 낙하 공급되는 용강(1)의 초기유동의 강도를 목적하는 만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본체(100)의 바닥부(130)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부댐(210)은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양측벽(120)으로부터 상호 이격되도록 상부댐(210)의 폭방향의 크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부댐(210)은 구동부(240)에 의한 회전 시 본체(100)와의 충돌 및 마찰을 포함하는 본체(100)로부터의 간섭 없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하부댐(220)은 본체(100)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소정 두께와 소정 면적을 가지는 판의 형상이며, 내화물로 제작될 수 있다. 하부댐(220)은 상부댐(210)으로부터 상부댐(210)과 가까운 출강구(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바닥부(130) 및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양측벽(120)에 접촉하여 설치될 수 있다. 하부댐(220)은 상부댐(210)에 의해 본체(100)의 내부공간의 하부로 유도된 용강(1)의 상승 유동을 유도한다. 하부댐(220)의 상단부는 용강(1)의 상승유동이 용이하고 용강(1)의 유속을 목적하는 유속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본체(100)의 바닥부(130)로부터의 일정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하부댐(220)의 높이가 일정 높이보다 높아질 경우에는 용강(1)의 상승유동이 용이하지 않고, 낮아질 경우에는 용강의 유속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댐(21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여 하부댐(220)과 접촉함으로써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댐(210)은 상부댐(210)이 용강의 유동방향으로 회전하였을 경우 상부댐(210)의 하단부가 하부댐(220)의 상단부에 밀착되도록 상부댐(210)의 높이방향의 크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댐(210)의 하단부는 용강(1)의 초기유동의 강도를 목적하는 강도로 감소시킬 수 있는 소정 높이 범위 내에서, 상부댐(210)의 회전 후 위치에서 하부댐(220)에 밀착될 수 있도록, 본체(100)의 바닥부(130)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될 수 있다.
상부댐(210)의 회전 각도는 상부댐(210)과 하부댐(220)의 이격거리와 상부댐(210)의 하단부의 높이와 하부댐(220)의 상단부의 높이와 서로 관련되어 있다. 즉, 상부댐(210)의 회전 각도는 상부댐(210)과 하부댐(220)의 이격거리와 상부댐(210)의 하단부의 높이와 하부댐(220)의 상단부의 높이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댐(210)의 회전 각도는 상부댐(210)이 회전 후 위치에서 하부댐(220)에 밀착 가능하도록 상부댐(210)을 용강 유동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소정 각도일 수 있다.
밀폐댐(230)은 회전 전 위치에서의 상부댐(210)의 폭방향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도록, 본체(10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부댐(210)으로부터 하부댐(220)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댐(210)에 선행하는 위치에서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양측벽(120)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밀폐댐(231), 회전 후 위치에서의 상부댐(210)의 폭방향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도록, 상부댐(210)의 회전 후 위치에서의 상부댐(210)의 폭방향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부댐(210)으로부터 하부댐(220)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댐(210)에 후행하는 위치에서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양측벽(120)에 각각 설치되는 제2 밀폐댐(2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밀폐댐(231)과 제2 밀폐댐(232)은 상부댐(210) 또는 하부댐(220)과 동일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밀폐댐(230)은 밀폐댐(230)과 상부댐(210)의 폭방향의 가장자리가 접촉하거나 밀폐댐(230)과 상부댐(210)이 상호 중첩되도록, 밀폐댐(230) 각각의 폭방향의 크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밀폐댐(231)은 상단부가 상부댐(210)을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밀폐댐(231)의 기울어진 각도는 회전 후 위치에서의 상부댐(210)과 본체(100) 바닥면(130)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부댐(210)은 회전 후 위치에서 제2 밀폐댐(231)의 기울어진 경사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제2 밀폐댐(231)은 상부댐(210)을 향하는 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밀폐댐(231)이 회전 후 위치에서의 상부댐(210)과 바닥부(130)와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밀폐댐(231) 및 제2 밀폐댐(232)은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댐(210)의 회전 전 및 회전 후 위치에서 상부댐의 폭방향(W)의 가장자리에 각각 밀착되도록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양측벽(120)에 각각 설치되어 본체(10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밀폐댐(231)과 제2 밀폐댐(232)이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양측벽(120)으로부터 돌출된 크기 즐, 밀폐댐(230)의 폭방향의 크기는 상부댐(210)과 본체(100)의 폭방향의 양측벽(110) 사이의 이격거리와 같거나 이격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부댐(210)의 회전 전 및 회전 후 위치에서 상부댐(210)과 본체(100)의 폭방향의 양측벽(110)과의 사이가 기밀하게 밀폐될 수 있다. 제1 밀폐댐(231) 및 제2 밀폐댐(232)의 상단부는 상부댐(210)의 회전시 상부댐(210)의 상단부와 충돌하지 않도록 상부댐(210)의 상단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밀폐댐(231)의 하단부는 각각 상부댐(210)과 본체(100)의 폭방향의 양측벽(110)과의 사이를 밀폐하도록 상부댐(210)의 하단부의 높이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밀폐댐(232)의 하단부는 하부댐(220)의 의 상단부에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부댐(210)의 회전 후 위치에서 상부댐(210)은 제2 밀폐댐(232)과 하부댐(220)에 밀착될 수 있고,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구동부(240)는 본체(100)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부댐(210)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부댐(210)과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양측벽(120)을 연결하여 설치되는 구동로드(241), 구동로드(24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242) 예컨대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로드(241)는 상부댐(210)과 본체(10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부댐(2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부댐(210)은 구동로드(241)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구동로드(241)는 예컨대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길이부재일 수 있고, 그 단면이 환형일 수 있다. 구동로드(241)는 복수개 구비되어 본체(100)의 폭방향의 양측벽(110)을 각각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고, 본체(100) 내에 위치하는 일 단부가 상부댐(210)에 관통 장착되어 상부댐(210)을 지지할 수 있다. 구동로드(241)의 타 단부에는 구동수단(242)이 연결될 수 있다. 구동수단(242)은 구동로드(241)의 타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구동로드(241)를 일방향 및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수단(242)은 조업 예컨대 이강종 연속주조 조업시 구동로드(241)에 장착되어 상부댐(210)을 회전시키고, 본체(100)의 수리 및 교환시 구동로드(241)로부터 분리되어 본체(100)의 수리 및 교환 시 발생할 수 있는 구성부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부(240)는 상부댐(210)에 연결되어 상부댐(210)을 안정적으로 지지 가능하고, 상부댐(210)을 용강의 유동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에 만족하는 다양한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의 연결관계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240)의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의 연결관계는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가 적용되는 용강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이때,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용강 처리 방법은 용강(1)을 수강하는 내부 공간 및 내부공간을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으로 분할 가능한 댐유닛(200)을 가지는 본체(100)를 마련하는 과정, 이전 용강(1a)을 이용한 조업의 말기에 댐유닛(200)을 이용하여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으로 분할하여 용강 혼합 영역을 내부공간으로부터 고립시키는 과정, 용강 혼합 영역에 후속 용강(1b)을 공급하는 과정, 댐유닛(200)을 이용하여 본체(100)의 내부공간의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을 연결시키는 과정 및 후속 용강(1b)을 이용한 후속 조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으로 분할할 때, 댐유닛(200)의 상부댐(210)이 댐유닛(200)의 하부댐(220)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부댐(220)과 접촉함으로써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으로 분할하며, 용강 혼합 영역을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고립시킨다. 또한, 본체(100)의 내부공간의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을 연결시킬 때, 상부댐(210)이 회전하기 전 위치로 복귀하여 하부댐(220)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을 연결시킨다.
이하, 상술한 용강 처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체(100)를 마련한다. 본체(100)는 용강(1)을 수강하는 내부공간과 내부공간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 가능한 댐유닛(200)을 구비할 수 있다. 본체(100)의 상부에 용강운반용기(10) 예컨대 래들을 위치시키고, 본체(100) 내에 용강 예컨대 이전 용강(1a)을 공급한다. 공급되는 용강은 본체(100) 내를 유동하며 본체(100)의 출강구(140)로 유입되고, 본체(100)의 하측에 마련된 몰드(30)로 공급되어 주편으로 제조된다. 이때, 본체(100) 내에 구비된 상부댐(210)은 회전 전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부댐(210)의 회전 전 위치는 상부댐의 길이방향이 수직방향에 나란하도록 상부댐(210)이 수직으로 놓여져 있는 위치일 수 있다.
현재 처리중인 용강 즉, 이전 용강(1a)을 이용한 조업 말기에 조업 스케줄에 따라 댐유닛(200)을 이용하여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으로 분할한다. 이때,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과정에 있어서, 본체(100)의 상부에 위치한 용강운반용기(10) 예컨대 래들로부터 이전 용강(1a)의 공급이 완료된 후, 본체(100) 내의 용강 탕면의 높이가 목적하는 높이 즉, 조업 계획에 따른 혼합부의 예정 발생량에 대응하는 탕면의 높이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으로 분할한다. 상세하게는, 이전 용강(1a)의 공급이 완료된 후, 본체(100) 내의 용강 탕면의 높이가 목적하는 높이에 도달한 경우에 구동부(240)를 이용하여 상부댐(210)을 용강 유동방향 즉, 하부댐(220)을 향하는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부댐(210)은 구동부(240)에 의해 소정 각도 회전 이동하고, 상부댐(210)과 제2 밀폐댐(232)과 하부댐(220)이 상호 밀착하여 본체(100) 내의 공간을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으로 분할되며, 용강 혼합 영역은 내부공간으로부터 고립된다. 용강 혼합 영역에 위치하는 이전 용강(1a)은 용강 혼합 영역 내에 정체되고, 그외 영역에 위치하는 이전 용강(1b)은 지속하여 출강구(140)로 유입되어 주편으로 제조된다.
이전 용강(1a)을 담은 용강운반용기(10)가 제거되고, 후속 용강(1b)을 담은 용강운반용기(10)가 본체(100)의 상부로 이송되어 본체(100)의 용강 혼합 영역에 후속 용강(1b)을 공급한다. 이에, 본체(100)의 내부공간 중 용강 혼합 영역에서만 이전 용강(1a)과 후속 용강(1b)의 혼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그외 영역에 위치하는 이전 용강(1a)은 댐유닛(200)에 의해 후속 용강(1b)의 혼합이 방지될 수 있고, 청정한 상태의 이전 용강(1a)이 주편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처리 방법은 종래보다 주편의 혼합부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이강종 연속주조 조업 시 실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후, 댐유닛(200)을 이용하여 본체(100)의 내부공간의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을 연결시킨다. 본체(100)의 내부공간의 영역들을 연결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그외 영역의 이전 용강(1a)의 탕면의 높이가 목적하는 높이 즉, 그외 영역에 위치한 이전 용강(1a)이 청정성을 유지 가능한 용강량에 대응하는 탕면의 높이에 도달한 경우에 구동부(240)를 이용하여 본체(100)의 내부공간의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을 연결시킨다. 상세하게는, 그외 영역의 이전 용강(1a)의 탕면의 높이가 목적하는 높이에 도달한 경우에 구동부(240)를 이용하여 상부댐(210)을 용강 유동방향의 반대방향 즉, 하부댐(220)을 향하는 일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부댐(210)은 구동부(240)에 의해 소정 각도 회전 이동한다. 상부댐(210)은 제2 밀폐댐(232) 및 하부댐(220)과 이격되고, 상부댐(210)의 회전 전 위치에서 제1 밀폐댐(231)에 밀착된다. 이로 인해, 본체(100) 내의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이 연결된다. 용강 혼합 영역에 위치하는 이전 용강(1a)과 후속 용강(1b)이 혼합된 용강은 그외 영역으로 유동하고, 지속하여 출강구(140)로 유입되어 주편으로 제조된다.
이후, 후속 용강(1b)을 이용한 후속 조업을 수행한다. 본체(100) 내에 후속 용강(1b)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며, 후속 용강(1b)은 본체(100) 내에서 용강 유동방향을 따라 유동하여 출강구(140)에 유입되고 노즐(300)을 통과하여 주편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용강 처리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업 시 이전 용강과 후속 용강이 혼합되는 것을 종래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본체(100) 내부 전체 영역에서 용강이 혼합되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용강 처리 방법에서는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중심위치로부터 댐유닛(200) 사이에 마련되는 용강 혼합 영역에서만 용강이 혼합된다. 이에, 조업 시 스크랩 처리되는 주편의 혼합부의 발생량을 종래보다 저감시킬 수 있고, 이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연속주조 설비의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이외의 다양한 용융금속 처리 설비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본체 210: 상부댐
220: 하부댐 230: 밀폐댐
240: 구동부

Claims (11)

  1. 공급되는 용강을 수강하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기 용강을 출강하도록 바닥부에 출강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한 댐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댐유닛;을 포함하는 용강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유닛은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댐유닛의 내측에는 상기 용강 혼합 영역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출강구가 형성되는 용강 처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댐유닛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부댐;
    상기 본체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부댐으로부터 상기 상부댐과 가까운 상기 출강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바닥부에 접촉하여 설치되는 하부댐; 및
    상기 상부댐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용강 처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댐유닛은 상기 상부댐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폭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댐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댐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용강 혼합 영역을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고립시키고, 회전하기 전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하부댐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을 연결시키는 용강 처리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댐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의 양측벽으로부터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댐의 폭방향의 크기가 형성되며,
    상기 댐유닛은,
    상기 상부댐의 회전 전 및 회전 후 위치에서 상기 상부댐과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의 양측벽 사이를 밀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의 양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밀폐댐;을 더 포함하는 용강 처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밀폐댐은,
    회전 전 위치에서의 상기 상부댐의 폭방향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도록, 상기 본체의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부댐으로부터 상기 하부댐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댐에 선행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의 양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밀폐댐;
    회전 후 위치에서의 상기 상부댐의 폭방향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부댐의 회전 후 위치에서의 상기 상부댐의 폭방향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부댐으로부터 상기 하부댐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댐에 후행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의 양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제2 밀폐댐;을 포함하는 용강 처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밀폐댐은 상기 밀폐댐과 상기 상부댐의 폭방향의 가장자리가 접촉하거나 상기 밀폐댐과 상기 상부댐이 상호 중첩되도록, 상기 밀폐댐의 폭방향의 크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밀폐댐은 상단부가 상기 상부댐을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면을 가지는 용강 처리 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댐은 상기 상부댐이 상기 용강의 유동방향으로 회전하였을 경우 상기 상부댐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댐의 상단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부댐의 높이방향의 크기가 형성되는 용강 처리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부댐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상부댐과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의 양측벽을 연결하여 설치되는 구동로드;
    상기 구동로드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용강 처리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연속주조 설비에서 사용되는 턴디시를 포함하는 용강 처리 장치.
  11. 용강을 수강하는 내부 공간 및 상기 내부공간을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으로 분할 가능한 댐유닛을 가지는 본체를 마련하는 과정;
    이전 용강을 이용한 조업의 말기에 상기 댐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용강 혼합 영역을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고립시키는 과정;
    상기 용강 혼합 영역에 후속 용강을 공급하는 과정;
    상기 댐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의 용강 혼합 영역과 그외 영역을 연결시키는 과정;
    후속 용강을 이용한 후속 조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강 처리 방법.
KR1020130161156A 2013-12-23 2013-12-23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 KR201500734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156A KR20150073448A (ko) 2013-12-23 2013-12-23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156A KR20150073448A (ko) 2013-12-23 2013-12-23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448A true KR20150073448A (ko) 2015-07-01

Family

ID=53786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156A KR20150073448A (ko) 2013-12-23 2013-12-23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34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336A1 (ko) * 2015-11-02 2017-05-11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 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336A1 (ko) * 2015-11-02 2017-05-11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8348996A (zh) * 2015-11-02 2018-07-31 株式会社Posco 钢水处理设备和钢水处理方法
EP3372326A4 (en) * 2015-11-02 2018-09-12 Posco Molten steel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CN108348996B (zh) * 2015-11-02 2020-06-12 株式会社Posco 钢水处理设备和钢水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82902B (zh) 一种浸入式水口的更换方法
JP5104153B2 (ja) 異鋼種連続鋳造における継目部鋳片の処理方法
EP3372326B1 (en) Molten steel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EP3050645B1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KR20150073448A (ko)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
TWI654041B (zh) 連續鑄造方法
KR101239537B1 (ko) 침지노즐의 침적깊이 최적화에 의한 주편 표면 결함 저감방법
KR101914084B1 (ko) 용융물 처리장치
KR101408220B1 (ko) 몰드플럭스 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장치
JP4714624B2 (ja) 鋳型内溶鋼の電磁撹拌方法
JP4998705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6527069B2 (ja) 溶鋼用中間容器の操業方法
KR101749077B1 (ko) 턴디시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
KR20150073449A (ko) 용강 처리 장치
CN105170920A (zh) 一种带锯用钢板坯连铸的生产方法
CN209532036U (zh) 速度自动控制式电石回转浇铸设备
KR101485035B1 (ko) 가스 주입기 및 이를 구비하는 용탕 처리 장치
CN104550790A (zh) 一种中锰耐磨钢板坯连铸的生产方法
KR101914089B1 (ko) 용융물 처리장치 및 용융물 처리방법
KR101949698B1 (ko) 용융물 처리 장치
KR101510265B1 (ko) 용강 처리 장치
KR100701192B1 (ko) 연속주조공정에서 침지노즐 막힘 방지장치
KR20140085127A (ko) 연속주조용 턴디쉬 및 연속주조장치
KR100802478B1 (ko) 연속주조장치의 주형
KR20140140819A (ko) 슈라우드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