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3011A - 스프링백 평가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백 평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3011A
KR20150073011A KR1020130160793A KR20130160793A KR20150073011A KR 20150073011 A KR20150073011 A KR 20150073011A KR 1020130160793 A KR1020130160793 A KR 1020130160793A KR 20130160793 A KR20130160793 A KR 20130160793A KR 20150073011 A KR20150073011 A KR 20150073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back
die
unit
sliding plate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0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양진
김학
정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60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3011A/ko
Publication of KR20150073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bend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23Ben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평가장치는 피시험부재의 일단부를 안착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홀딩부 및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수직하게 상기 홀딩부에 제공되는 맞접다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공되며, 상기 피시험부재의 타단부를 상기 맞접다이에 접하게 밴딩하는 펀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프링백 평가장치{Evaluating apparatus for spring back}
본 발명은 스프링백 평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부가 고정된 피시험부재의 타단부를 밴딩함으로써, 피시험부재의 스프링백을 일관되게 평가할 수 있어, 스프링백 평가의 오차를 감소시키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 프레임의 형성, 세탁기 등의 가전제품의 외형 성형 그밖에 다양한 제품의 형상 성형을 위해서, 금속 소재를 사용한 스탬핑가공, 롤포밍(roll forming)가공 등의 가공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스테인레스를 포함한 철강, 비철강의 금속 소재를 이용한 성형가공의 경우에는 소성변형을 위해 일정한 힘을 공급하고, 이러한 힘이 제거되면 탄성회복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려는 성질에 의해서 원하는 형태의 형상으로 성형이 되지 않는 스프링백(spring back)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백이 일어나는 정도는 소재의 종류, 두께 등의 소재의 특성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데, 제품의 가공을 위한 성형 설계시에 이와 같은 특징을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소재의 스프링백 특성을 평가해야하는데, 종래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이밴딩(V-Bending) 등의 방법이 이용되었다.
즉, 금속 소재에서 직사각형의 피시험부재(S)를 채취하여 90도 밴딩 실험을 실시하고 탄성회복에 의한 폄 변형을 수반한 스프링백 시편의 각도를 파라미터로 하여 스프링백 양을 평가하였던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브이 형상의 홈이 형성된 하단의 홀딩부(10') 상에 피시험부재(S)를 안착시키고, 상단의 펀칭부(20')가 상기 홀딩부(10')로 가압되면서 상기 피시험부재(S)는 상기 펀칭부(20')와 홀딩부(10') 사이에서 밴딩되어 스프링백을 평가할 수 있었다.
그러나, 브이밴딩에 의한 평가방법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시험부재(S)의 변형 모드에 있어 굽힘과 폄의 변형이 소재 내부에 불균일하게 분포하고 있어, 시험 완료 후 탄성회복에 의해 스프링백 혹은 스프링고가 발생하는 것이 일관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성형 가공 조건에 따라 스프링백 평가를 위한 펀칭부(20')와 홀딩부(10')의 금형을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성형장치의 곡률반경에 따른 스프링백을 평가하는 데 있어 0.1R 부터 10R 까지 0.1R 간격으로 금형을 제작해야 하므로 비용이 상승하고, 시험시 금형의 교체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스프링백 평가를 할 때, 피시험부재(S)를 밴딩 후에 상기 피시험부재(S)를 모눈종이 등에 수작업으로 전사하여 각도를 측정하고 있으나, 벤딩 후에 즉시 실시할 수 없고 시간적인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프링백 평가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시험부재의 스프링백을 일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조건으로 제공되는 피시험부재에 따라 새로운 금형의 설치 없이도 스프링백을 평가할 수 있는 스프링백 평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평가장치는 피시험부재의 일단부를 안착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홀딩부 및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수직하게 상기 홀딩부에 제공되는 맞접다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공되며, 상기 피시험부재의 타단부를 상기 맞접다이에 접하게 밴딩하는 펀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평가장치의 상기 펀칭부는 상기 피시험부재를 일 방향으로 밀면서 이동하는 밴딩다이 및 상기 밴딩다이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프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평가장치는 상기 맞접다이와 상기 펀칭부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게, 상기 홀딩부의 하단부에 제공되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평가장치의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홀딩부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제공되는 슬라이딩판, 상기 슬라이딩판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판을 상기 펀칭부 방향으로 움직이게 제공하는 마이크로미터 및 상기 슬라이딩판이 안착되어, 움직이게 가이드하는 베이스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평가장치의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슬라이딩판과 상기 베이스판 사이에 나사결합되게 제공되는 고정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평가장치의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맞접다이와 상기 펀칭부의 간격을 상기 피시험부재의 두께만큼 이격시키게 상기 펀칭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평가장치는 상기 맞접다이에 제공되어, 밴딩된 상기 피시험부재의 스프링백 각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프링백 평가장치는 피시험부재의 일단부는 고정하고 타단부는 밴딩하여 스프링백이 발생하는 부분을 동일한 부분으로 특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의해서, 스프링백의 평가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홀딩부의 맞접다이와 편칭부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피시험부재의 두께가 변경되더라도, 스프링백을 평가할 수 있어, 기존에 시험금형의 제작, 교체 등에 소요되었던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측정부를 제공하여, 피시험부재를 밴딩 후에 직접 스프링백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어, 빠르고 쉽게 스프링백을 평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스프링백 평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프링백 평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프링백 평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프링백 평가장치에 의해 측정된 소재의 스프링백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백 평가장치는 일단부가 고정된 피시험부재(S)의 타단부를 밴딩함으로써, 피시험부재(S)의 스프링백(spring back)을 일관되게 평가할 수 있어, 스프링백 평가의 오차를 감소시키는 것에 더하여,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스프링백 평가장치는 피시험부재(S)의 일단부는 고정하고 타단부는 밴딩하여 스프링백이 발생하는 부분을 동일한 부분으로 특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스프링백의 평가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홀딩부(10)의 맞접다이(12)와 펀칭부(20)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피시험부재(S)의 두께가 변경되더라도, 스프링백을 평가할 수 있어, 기존에 시험금형의 제작, 교체 등에 소요되었던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측정부(40)를 더 제공하여, 상기 피시험부재(S)를 밴딩 후에 직접 스프링백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어, 빠르고 쉽게 스프링백을 평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스프링백 평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스프링백 평가장치에 의해 측정된 소재의 스프링백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평가장치는 피시험부재(S)의 일단부를 안착플레이트(11)에 고정시키는 홀딩부(10) 및 상기 안착플레이트(11)와 수직하게 상기 홀딩부(10)에 제공되는 맞접다이(12)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공되며, 상기 피시험부재(S)의 타단부를 상기 맞접다이(12)에 접하게 밴딩하는 펀칭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평가장치의 상기 펀칭부(20)는 상기 피시험부재(S)를 일 방향으로 밀면서 이동하는 밴딩다이(21) 및 상기 밴딩다이(21)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프레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평가장치는 상기 맞접다이(12)와 상기 펀칭부(2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게, 상기 홀딩부(10)의 하단부에 제공되는 간격조절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평가장치의 상기 간격조절부(30)는 상기 맞접다이(12)와 상기 펀칭부(20)의 간격을 상기 피시험부재(S)의 두께만큼 이격시키게 상기 펀칭부(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평가장치는 상기 맞접다이(12)에 제공되어, 밴딩된 상기 피시험부재(S)의 스프링백 각도를 측정하는 측정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딩부(10)는 상기 피시험부재(S)가 후술할 펀칭부(20)에 의해서 밴딩될 수 있도록, 상기 피시험부재(S)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홀딩부(10)는 안착플레이트(11), 맞접다이(12), 홀딩판(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플레이트(11)는 상기 피시험부재(S)가 안착되는 부분으로써, 상기 홀딩판(13)이 상기 피시험부재(S)의 상면에서 압착함으로써, 상기 피시험부재(S)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홀딩판(13)이 상기 피시험부재(S)를 압착하는 것은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에 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홀딩판(13)이 상기 피시험부재(S)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안착플레이트(11)와의 사이에 상기 피시험부재(S)를 고정시킬 수 있다면 상기 홀딩판(13)을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로써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맞접다이(12)는 상기 안착플레이트(11)에 고정된 상기 피시험부재(S)가 후술할 펀칭부(20)에 의해서 밴딩될 때, 상기 펀칭부(20)의 맞은편에 맞접되어 제공되는 부분으로, 상기 안착플레이트(11)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플레이트(11)가 상면에 제공되고, 상기 맞접다이(12)는 측면에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맞접다이(12)에는 밴딩된 상기 피시험부재(S)의 스프링백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40)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펀칭부(20)는 상기 홀딩부(10)에 일단부가 고정된 상기 피시험부재(S)의 타단부를 밴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피시험부재(S)가 스프링백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스프링백 성질을 평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펀칭부(20)는 기존의 평가장치와는 달리 항상 동일한 부분이 밴딩될 수 있도록 제공하기 때문에, 스프링백 성질을 동일한 조건에 평가할 수 있어, 평가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펀칭부(20)는 밴딩다이(21), 구동프레스(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밴딩다이(21)는 상기 피시험부재(S)와 직접 접촉하여, 상기 피시험부재(S)를 밀어서 밴딩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구동프레스(22)는 상기 밴딩다이(2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프레스(22)는 상기 밴딩다이(2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그 종류에 제한이 없으나, 제어의 용이성을 위해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또는 전기모터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밴딩다이(21)의 에지부분에는 곡률을 제공한 라운드에지(21a)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피시험부재(S)의 밴딩시에 평가 조건으로 곡률을 주는 경우에 상기 라운드에지(21a)의 곡률을 변경하여 상기 밴딩다이(21)를 형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밴딩다이(21)는 상기 피시험부재(S)를 하측으로 밴딩시킬 때, 상기 맞접다이(12)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피시험부재(S)의 두께에 해당하는 부분이 밴딩시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밴딩다이(21)가 상기 피시험부재(S)를 밴딩할 때는 상기 맞접다이(12)와 상기 피시험부재(S)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피시험부재(S)가 수직하게 완전히 밴딩되는 경우에, 상기 맞접다이(12)와 상기 밴딩다이(21) 사이에 밴딩된 상기 피시험부재(S)의 타단부가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간격조절부(30)는 상기 홀딩부(10)와 상기 펀칭부(2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홀딩부(10)의 맞접다이(12)와 상기 펀칭부(20)의 밴딩다이(21)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게 상기 간격조절부(30)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스프링백을 평가하는 피시험부재(S)마다 두께가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맞추어 상기 맞접다이(12)와 상기 밴딩다이(21)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상기 간격조절부(30)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간격조절부(30)는 슬라이딩판(31), 마이크로미터(32), 베이스판(33)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간격이 조정된 상기 홀딩부(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나사(34)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측정부(40)는 밴딩된 상기 피시험부재(S)가 스프링백되는 각도를 측정하여 스프링백 성질을 평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도 4에 제시된 것과 같은 스프링백 관계식을 도출하기 위한 그래프를 도출할 수 있다.
도 4에 제시된 그래프는 스테인레스와 알루미늄 소재를 평가 대상으로 하여 스프링백 양(X)을 나타내는 X = (R × YS) / (E × t)의 식에 대한 스프링백 각도(Y)의 상관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X는 스프링백 양, R은 맞접다이(12) 모서리의 곡률 반경, YS는 피시험부재(S)의 항복응력, E는 피시험부재(S)의 탄성계수, t는 피시험부재(S)의 두께이다.
이러한 스프링백 양(X)과 스프링백 각도(Y)의 상관 관계에 대한 도트(dot) 데이터를 도 4에 제시된 선형 그래프와 같이 선형의 회귀 근사식으로 표현하면, Y = 427.12 × X + 7.5904의 관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스프링백 평가장치에 의한 스프링백 각도에 의하면, 피시험부재(S)의 두께(t)가 얇아질수록 스프링백 양(X)이 커지고, 맞접다이(12)의 모서리 곡률 반경(R)이 커질수록 스프링백 양(X)이 커짐을 평가할 수 있었다.
여기서, 상기 측정부(40)는 상기 피시험부재(S)를 밴딩 후 즉시 스프링백된 각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평가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측정부(40)는 상기 맞접다이(12)의 외측에 결합하여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맞접다이(12)에 영점(zero point)를 맞추어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프링백 평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평가장치의 상기 간격조절부(30)는 상기 홀딩부(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제공되는 슬라이딩판(31), 상기 슬라이딩판(31)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판(31)을 상기 펀칭부(20) 방향으로 움직이게 제공하는 마이크로미터(32) 및 상기 슬라이딩판(31)이 안착되어, 움직이게 가이드하는 베이스판(3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평가장치의 상기 간격조절부(30)는 상기 슬라이딩판(31)과 상기 베이스판(33) 사이에 나사결합되게 제공되는 고정나사(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홀딩부(10)와 상기 펀칭부(2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서, 슬라이딩판(31), 마이크로미터(32), 베이스판(33)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간격이 조정된 상기 홀딩부(10)를 고정나사(34)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판(31)은 상기 홀딩부(10)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고정된 베이스판(33) 상에서 슬라이딩되어 이동할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판(31) 상에 제공된 상기 홀딩부(10)도 이동되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판(31)은 상기 펀칭부(20)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데, 이에 의해 상기 홀딩부(10)도 상기 펀칭부(20)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 상기 펀칭부(20)와 상기 홀딩부(1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미터(32)는 상기 슬라이딩판(31)을 밀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미터(32)에 제공되는 눈금에 의해서, 세밀하게 상기 펀칭부(20)와 홀딩부(1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마이크로미터(32)의 일단부는 상기 슬라이딩판(3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미터(32)의 일단부는 타단부를 회전하여 수치를 조정함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33)은 상기 슬라이딩판(31)이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판(31)에는 가이드탭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판(33)에는 상기 가이드탭이 삽입이동되는 가이드홀(33a)이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나사(34)는 상기 슬라이딩판(31)이 이동된 후에, 상기 펀칭부(20)와 홀딩부(10) 사이의 고정된 간격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간격이 조정된 상기 홀딩부(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나사(34)는 상기 슬라이딩판(31)과 상기 베이스판(33) 사이에 나사결합되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판(31)에 형성된 나사홀과 상기 베이스판(33)에 형성된 나사홀에 상기 고정나사(34)가 결합되어 간격을 고정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10: 홀딩부 11: 안착플레이트
12: 맞접다이 13: 홀딩판
20: 펀칭부 21: 밴딩다이
22: 구동프레스 30: 간격조절부
31: 슬라이딩판 32: 마이크로미터
33: 베이스판 34: 고정나사
40: 측정부

Claims (7)

  1. 피시험부재의 일단부를 안착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홀딩부; 및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수직하게 상기 홀딩부에 제공되는 맞접다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공되며, 상기 피시험부재의 타단부를 상기 맞접다이에 접하게 밴딩하는 펀칭부;
    를 포함하는 스프링백 평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부는,
    상기 피시험부재를 일 방향으로 밀면서 이동하는 밴딩다이; 및
    상기 밴딩다이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프레스;
    를 포함하는 스프링백 평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접다이와 상기 펀칭부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게, 상기 홀딩부의 하단부에 제공되는 간격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스프링백 평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홀딩부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제공되는 슬라이딩판;
    상기 슬라이딩판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판을 상기 펀칭부 방향으로 움직이게 제공하는 마이크로미터; 및
    상기 슬라이딩판이 안착되어, 움직이게 가이드하는 베이스판;
    을 포함하는 스프링백 평가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슬라이딩판과 상기 베이스판 사이에 나사결합되게 제공되는 고정나사;
    를 더 포함하는 스프링백 평가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맞접다이와 상기 펀칭부의 간격을 상기 피시험부재의 두께만큼 이격시키게 상기 펀칭부를 이동시키는 스프링백 평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접다이에 제공되어, 밴딩된 상기 피시험부재의 스프링백 각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를 더 포함하는 스프링백 평가장치.
KR1020130160793A 2013-12-20 2013-12-20 스프링백 평가장치 KR20150073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793A KR20150073011A (ko) 2013-12-20 2013-12-20 스프링백 평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793A KR20150073011A (ko) 2013-12-20 2013-12-20 스프링백 평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011A true KR20150073011A (ko) 2015-06-30

Family

ID=53518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793A KR20150073011A (ko) 2013-12-20 2013-12-20 스프링백 평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30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0093A (zh) * 2018-10-17 2019-03-19 欣强电子(清远)有限公司 一种软硬结合板弯折角度性能检测装置
CN112161888A (zh) * 2020-10-26 2021-01-01 广东华路交通科技有限公司 回弹测试装置及桥面整体化层加铺沥青层时机测算方法
CN112903474A (zh) * 2021-01-14 2021-06-04 上海交通大学 一种金属薄板电流辅助微弯曲力学性能测试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0093A (zh) * 2018-10-17 2019-03-19 欣强电子(清远)有限公司 一种软硬结合板弯折角度性能检测装置
CN112161888A (zh) * 2020-10-26 2021-01-01 广东华路交通科技有限公司 回弹测试装置及桥面整体化层加铺沥青层时机测算方法
CN112903474A (zh) * 2021-01-14 2021-06-04 上海交通大学 一种金属薄板电流辅助微弯曲力学性能测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287B1 (ko) 프레스 금형
KR20150073011A (ko) 스프링백 평가장치
JP4808679B2 (ja) 薄板のプレス金型装置及びプレス成形方法
KR20090010448A (ko) 프레스 금형의 성형장치
KR20130003443A (ko) 예각 밴딩용 프레스 금형
WO2010067826A1 (ja) 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US11230078B2 (en) Press-work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CN103817175A (zh) 螺杆调直器
KR100804962B1 (ko) 비틀림 스프링백의 측정장치
KR102304101B1 (ko) 구름 안내 장치의 센서 설치 부재 및 센서 설치 방법
KR100805030B1 (ko) 형상 측정 장치
KR101710506B1 (ko) 일렬타입 벤딩장치
KR101575213B1 (ko) 프레스 금형 장치 및 프레스 성형 방법
KR100815739B1 (ko) 스프링백 측정장치
KR20210069187A (ko) 경량 소재 성형의 스프링 백 시험 장치 및 방법
JP5423574B2 (ja) 金属板の曲げ加工時の限界条件の決定方法及びプレス成形時の金属板の曲げ加工部の不具合の予測方法
KR101325488B1 (ko) 컷팅 프레스용 클램핑 장치
KR101285788B1 (ko) 강판의 절연코팅막 밀착성 시험장치
KR20190078379A (ko) 도금강판의 박리 평가 장치
CN114206519A (zh) 用于压弯机的工具和用于监测由所述工具施加的应力的装置
CN111417264A (zh) 折弯治具
KR20190085352A (ko) 히트블럭과 금형의 평면간 밀착 장치
KR20210089838A (ko) 원가 절감 및 제품정밀도가 향상되는 포밍금형 설계 및 제작방법
KR0143494B1 (ko) 도금밀착성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금밀착성 측정방법
JPH09225537A (ja) 曲げ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