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1465A -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 - Google Patents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1465A
KR20150071465A KR1020130158534A KR20130158534A KR20150071465A KR 20150071465 A KR20150071465 A KR 20150071465A KR 1020130158534 A KR1020130158534 A KR 1020130158534A KR 20130158534 A KR20130158534 A KR 20130158534A KR 20150071465 A KR20150071465 A KR 20150071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bottle
low temperature
beverage
rod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훈
구정모
강민석
Original Assignee
조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훈 filed Critical 조명훈
Priority to KR1020130158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1465A/ko
Publication of KR20150071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005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made i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음료병 내부의 탄산음료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한 구조의 저온막대를 통해 냉장고 내부의 냉기가 저온막대를 통해 탄산음료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탄산음료의 저온을 유지시켜 탄산가스의 기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개봉이 이루어진 상태의 음료병의 내부에 남겨진 잔량의 탄산음료로부터 탄산가스의 기화를 방지하는 기구에 있어서, 음료병의 깊이에 비해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지되 음료병의 입구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잔량의 탄산음료와 직접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는 저온막대; 저온막대의 상단에 형성되어지되 음료병의 입구 내경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냉장실의 냉기를 저온막대로 전달되도록 하는 저온헤드; 및 저온헤드의 하부측에 구성되어 음료병의 입구 내경과의 밀착을 통해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리콘 재질의 밀봉패킹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Beverage bottle holding mechanism of carbon dioxide}
본 발명은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병의 주둥이를 통해 내부로 저온막대를 삽입하여 탄산음료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냉장고 내부의 냉기가 저온막대를 통해 탄산음료에 전달되도록 하여 탄산음료의 저온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통해 탄산가스의 기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탄산음료는 마실 때 상쾌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음료의 주입과정에 있어 탄산가스를 주입하고 있다. 이러한 탄산음료는 한 번 개봉을 하면 탄산가스가 배출구를 통하여 쉽게 빠져나가므로 음료를 따른 후에는 항상 마개로 배출구를 막아서 탄산가스의 유출을 방지하여야 한다.
한편, 현재 플라스틱 용기는 식음료 산업 전반에 걸쳐 폭넓게 이용되고 있음은 주진하는 바와 같다. 이러한 플라스틱 용기는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금속이나 유리 용기에 비해 경량이라는 점, 저렴하다는 점, 파손되지 않는다는 점, 투명하다는 점 및 제조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실제로 탄산음료 시장에서는 용기의 대부분이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탄산음료를 수용하는 플라스틱 용기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수지를 원료로 하여 소정의 형태로 성형된다. 이러한 PET 병에는 H2O와 CO2가스가 함유된 탄산음료가 충진되어 맛과 신선도를 높이기 위해 밴더벌스(Van Der Vels : 탄소입자의 물에 대한 용해로 측정이 기준이 되는 힘) 힘에 의해 맛의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2리터 크기 PET 병(음료용기)은 일반적으로 마개를 열 때마다 PET 병의 상부 공간에 있는 이산화탄소(CO2)를 대기 중으로 방출한다. 이때, 마개를 다시 닫으면 PET 병 내부의 탄산음료 내에 녹아 있는 이산화탄소(CO2)는 PET 병 내부의 탄산음료와 PET 병 내부의 상부 공간 사이에서 평형 상태가 이루어질 때까지 PET 병 내부의 상부 공간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사이클은 PET 병을 열 때마다 계속 반복된다. PET 병 내부의 탄산음료가 소비됨에 따라서 더 커진 PET 병 내부의 상부 공간에서 평형이 이루어져야 한다. 결과적으로, 전형적인 2리터 크기 탄산음료 PET 병에서는 PET 병이 약 반 정도 차 있거나 5회 내지 6회 정도 PET 병을 개봉한 후에는 탄산가스를 잃어버린 상태, 즉 김빠진 상태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마개가 이미 개봉된 PET 병에 탄산음료가 남아 있는 경우 남아 있는 탄산음료로부터 탄산가스의 기화를 방지하여 유지되게 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PET 병을 거꾸로 뒤집은 상태로 냉장실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컵이나 음료병 보관대 및 디스펜서 등의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남아 있는 탄산음료로부터 탄산가스의 기화를 방지하여 유지되게 하기 위한 기술로 체적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구조의 음료병이나 가스 차단 피막이 형성된 음료병 등의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탄산가스의 기화를 방지하기 위한 컵이나 음료병 보관대 및 디스펜서 등의 종래 기술들은 냉장실의 냉기가 탄산음료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냉장실에 보관되는 음료라 하더라도 탄산가스의 기화를 방지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는 기술이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탄산가스의 기화를 방지하기 위한 체적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구조의 음료병이나 가스 차단 피막이 형성된 음료병 등의 기술 역시 냉장실의 냉기가 탄산음료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냉장실에 보관되는 음료라 하더라도 탄산가스의 기화를 방지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는 기술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8710호(2003.10.04.자 공고)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1138호(2003.10.22.자 공고)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15217호(2007.02.01.자 공개) 4.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0-0076222호(2000.12.26.자 공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료병 내부의 탄산음료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한 구조의 저온막대를 통해 냉장고 내부의 냉기가 저온막대를 통해 탄산음료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탄산음료의 저온을 유지시켜 탄산가스의 기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음료병 내부의 탄산음료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한 구조의 저온막대 상단에 일체로 저온헤드를 형성하여 냉장실의 냉기가 직접적으로 저온헤드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냉기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음료병 내부의 탄산음료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한 구조의 저온막대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저온헤드의 하부측에 실리콘 재질의 밀봉패킹을 구성하여 음료병의 효과적인 밀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음료병 내부의 탄산음료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한 구조의 저온막대를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여 깊이가 다른 음료병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는 개봉이 이루어진 상태의 음료병의 내부에 남겨진 잔량의 탄산음료로부터 탄산가스의 기화를 방지하는 기구에 있어서, 음료병의 깊이에 비해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지되 음료병의 입구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잔량의 탄산음료와 직접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는 저온막대; 저온막대의 상단에 형성되어지되 음료병의 입구 내경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냉장실의 냉기를 저온막대로 전달되도록 하는 저온헤드; 및 저온헤드의 하부측에 구성되어 음료병의 입구 내경과의 밀착을 통해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리콘 재질의 밀봉패킹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저온막대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저온헤드의 외주면은 원형 또는 다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저온막대와 저온헤드는 금속제와 비금속광물 및 세라믹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저온막대와 저온헤드의 금속재질은 은(Ag)), 금(Au), 알루미늄(Al), 텅스텐(W) 및 스테인리스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비금속광물은 수정이나 옥 또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저온막대와 저온헤드는 중실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 구성에서 저온막대는 다단의 입출식으로 이루어져 음료병의 깊이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저온막대의 다단 중 상부막대는 중공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부막대는 중실로 이루어지되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막대의 상단 내경을 통해 삽입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음료병 내부의 탄산음료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한 구조의 저온막대를 통해 냉장고 내부의 냉기가 저온막대를 통해 탄산음료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탄산음료의 저온을 유지시켜 탄산가스의 기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 이에 따라, 언제나 탄산음료의 맛과 신선도를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저온막대 상단에 일체로 저온헤드를 형성하여 냉장실의 냉기가 직접적으로 저온헤드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냉장실의 냉기가 저온헤드를 통해 저온막대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저온막대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저온헤드의 하부측에 실리콘 재질의 밀봉패킹을 구성하여 음료병 주둥이를 효과적으로 밀봉하여 탄산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저온막대를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깊이가 다른 음료병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를 보인 사용 상태 단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를 보인 사용 상태 단면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를 보인 사용 상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100)는 음료병(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잔량의 탄산음료(20)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냉기를 탄산음료(20)에 전달하는 저온막대(110), 저온막대(110)의 상단에 구성되어 음료병(10)의 마개 기능과 냉장실의 냉기를 저온막대(110)에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저온헤드(120) 및 저온헤드(120)의 하부측인 저온막대(110)의 상단부 외주면 상에 구성되어 음료병(10)의 입구 내경과의 밀착을 통해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리콘 재질의 밀봉패킹(130)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100)는 개봉된 음료병(10)의 입구를 통해 저온막대(110)를 삽입하여 저온막대(110)의 하부측이 잔량의 탄산음료(20)에 침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밀봉패킹(130)은 음료병(10)의 입구측 내경과의 밀착을 통해 음료병(10)의 밀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100)를 음료병(10)의 내부에 삽입한 상태로 냉장실에 음료병(10)을 냉장 보관하게 되면 냉장실의 냉기가 탄산가스 유지기구(100)의 저온헤드(120)를 통해 잔량의 탄산음료(20)에 침수된 상태의 저온막대(110)로 전달되어 탄산음료(20)의 온도를 더욱 낮추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온헤드(120)와 저온막대(110)를 통해 전달된 냉기에 의해 탄산음료(20)의 온도가 낮춰지게 되면 탄산음료(20)에 용해된 탄산가스의 기화가 차단된다. 이처럼 탄산가스의 기화가 차단된다는 것은 장시간의 보관 후 음료병(10)을 개봉하여도 탄산가스로 인한 음료의 맛과 신선도가 유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100)를 구성하는 저온막대(110)가 잔량의 탄산음료(20)에 침수되는 만큼 탄산음료(20) 상부의 빈 공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탄산음료 내에 녹아 있는 이산화탄소(CO2)는 음료병(10) 내부의 탄산음료(20)와 음료병(10) 내부의 상부 공간 사이에서 평형 상태가 빨리 이루어져 탄산가스의 기화가 그만큼 빨리 차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100)를 통해 보다 빠른 시간에 탄산음료(20)의 온도를 낮춰 탄산음료(20)에 용해된 탄산가스의 기화가 차단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열전달률이 양호한 금속이나 비금속광물 또는 세라믹 재질로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100)를 제조함이 양호하다 할 것이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보다 빠른 시간에 탄산음료(20)의 온도를 낮춰 탄산음료(20)에 용해된 탄산가스의 기화가 차단되도록 하기 위해서 열전달률이 양호한 금속이나 비금속광물 또는 세라믹 재질로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100)를 제조하더라도 단가가 높은 귀금속 재질 등을 사용하여 탄산가스 유지기구(100)를 제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100)를 통해 보다 빠른 시간에 탄산음료(20)의 온도를 낮춰 탄산음료(20)에 용해된 탄산가스의 기화가 차단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냉기와의 접촉면적이 큰 저온헤드(120)와 탄산음료(20)와의 접촉면적이 큰 저온막대(110)로 이루어진 탄산가스 유지기구(100)를 제조하는 것이 보다 양호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저온막대(110)는 잔량의 탄산음료에 냉기를 지속적으로 전달하여 탄산음료에 용해된 이산화탄소(CO2)의 기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저온막대(110)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병(10)의 깊이에 비해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지되 음료병(10)의 입구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잔량의 탄산음료(20)에 하단부측이 침수됨으로써 직접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저온막대(110)는 음료병(10)의 깊이에 비해 짧은 길이로 형성되기는 하지만 음료병(10)의 내부 바닥면에 인접한 거리까지의 길이로 형성되어 음료병(10)에 남아 있는 탄산음료(20)의 잔량이 소량이라 하더라도 저온막대(110)의 하단부가 잔량의 탄산음료(20)에 침수되어 냉기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저온막대(110)를 음료병(10)의 입구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잔량의 탄산음료(20)에 하단부측이 침수된 상태로 하여 음료병(10)을 냉장실에 보관하게 되면 냉장실의 냉기는 후술하는 저온헤드(120)를 통해 저온막대(110)로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잔량의 탄산음료(20)에 전달이 이루어진다. 물론, 잔량의 탄산음료(20)에는 음료병(10)을 통해서도 냉기가 전달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냉장실의 냉기가 후술하는 저온헤드(120)를 통해 저온막대(110)로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잔량의 탄산음료(20)에 전달이 이루어지게 되면 잔량의 탄산음료(20)는 음료병(10)을 통해서 전달되는 냉기에 더하여 저온막대(110)를 통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냉기에 의해 보다 빠른 시간에 냉각이 이루어지면서 잔량 탄산음료(20)에 용해된 이산화탄소(CO2)의 상태가 안정화되어 이산화탄소((CO2)의 기화 속도를 현저히 줄인다. 즉, 이산화탄소((CO2)의 기화를 방지하는 수준이다.
또한,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저온막대(110)를 잔량의 탄산음료(20)에 침수시키게 되면 저온막대(110)가 잔량의 탄산음료(20)에 침수되는 만큼 탄산음료(20) 상부의 빈 공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탄산음료 내에 녹아 있는 이산화탄소(CO2)는 음료병(10) 내부의 탄산음료(20)와 음료병(10) 내부의 상부 공간 사이에서 평형 상태가 빨리 이루어져 탄산가스의 기화가 그만큼 빨리 차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저온막대(110)는 잔량의 탄산음료(20)에 냉기의 전달이 보다 양호하도록 하기 위해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다각형일 경우에는 접촉면적이 원기둥에 비해 보다 넓게 하기 위해 최소 5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함이 양호하다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저온막대(110)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의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 중실 또는 중공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탄산음료(20)에 냉장실의 냉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중실의 저온막대(110)로 제조함이 보다 양호하다 할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저온막대(110)의 재질로는 금속제와 비금속광물 및 세라믹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금속제인 경우에는 은(Ag)), 금(Au), 알루미늄(Al), 텅스텐(W) 및 스테인리스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가격적인 측면과 인체의 무해성 및 열전도성 전부를 고려할 때 스테인리스가 보다 양호하다 할 것이다. 물론, 열전도성만을 고려할 경우 은이나 금이 양호하겠지만 가격을 감당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전술한 저온막대(110)의 재질 중 비금속광물인 경우에는 가격면에서 경제적인 수정이나 옥 또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저온막대(110)는 흙을 일정 형태로 성형하여 초벌구이 또는 초벌구이와 재벌구이를 거친 도자기인 세라믹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저온헤드(120)는 음료병(10)의 입구의 마개 기능과 냉장실의 냉기를 저온막대(110)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저온헤드(120)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온막대(110)의 상단에 형성되어지되 음료병(10)의 입구 내경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냉장실의 냉기를 저온막대로 전달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저온헤드(120)는 냉장실 냉기와의 접촉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원형의 형태나 반원형의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음료병(10)의 입구에 비해 더 크게 형성하여 음료병(10)의 마개 기능은 물론 냉장실 냉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냉기의 전달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저온헤드(120)는 냉장실의 냉기를 보다 양호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주면의 형태를 다면체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저온헤드(120)는 저온막대(11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저온막대(110)와는 별도로 제작하여 나사 결합과 같은 방식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다만, 저온헤드(120)로부터 저온막대(110)로의 냉기 전달을 보다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일체로 형성함이 보다 양호하다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저온헤드(120) 역시 저온막대(110)와 마찬가지로 재질로는 금속제와 비금속광물 및 세라믹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금속제인 경우에는 은(Ag)), 금(Au), 알루미늄(Al), 텅스텐(W) 및 스테인리스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가격적인 측면과 인체의 무해성 및 열전도성 전부를 고려할 때 스테인리스가 보다 양호하다 할 것이다.
또한, 전술한 저온헤드(120)의 재질 중 비금속광물인 경우에는 가격면에서 경제적인 수정이나 옥 또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저온헤드(120)는 흙을 일정 형태로 성형하여 초벌구이 또는 초벌구이와 재벌구이를 거친 도자기인 세라믹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밀봉패킹(130)은 탄산가스 유지기구(100)를 음료병(10)에 삽입시 음료병(10)의 입구를 밀봉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밀봉패킹(130)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온헤드(120)의 하부측에 구성되어 음료병(10)의 입구 내경과의 밀착을 통해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밀봉패킹(130)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병(10)의 다양한 내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상부로부터 하부로 단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밀봉패킹(130)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하여 음료병(10)의 입구 내경에 삽입시 탄력적으로 밀착이 이루어져 보다 확실한 밀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를 보인 사용 상태 단면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100a)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100)와 마찬가지로 음료병(10)의 깊이에 비해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지되 음료병(10)의 입구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잔량의 탄산음료(20)와 직접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는 저온막대(110a), 저온막대(110a)의 상단에 형성되어지되 음료병(10)의 입구 내경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냉장실의 냉기를 저온막대(110a)로 전달되도록 하는 저온헤드(120a) 및 저온헤드(120a)의 하부측에 구성되어 음료병(10)의 입구 내경과의 밀착을 통해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리콘 재질의 밀봉패킹(130a)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도 5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100a)를 구성하는 저온막대(110a)와 저온헤드(120a) 및 밀봉패킹(130a)의 재질은 도 1 내지 도 4 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100)의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100a)의 구성에서 저온막대(110a)는 다단의 입출(入出)식으로 이루어져 음료병(10)의 깊이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점이 도 1 내지도 4 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100)와 다른 점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100a) 구성에서 저온막대(110a)는 도 5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직경이 다른 막대(112a, 114a)로 이루어지되 둘 이상의 저온막대(110a) 중 중공으로 이루어진 상부막대(112a)의 내부에 하부막대(114a)가 상단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상부막대(112a)의 하단을 통해 입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100a) 구성에서 저온막대(110a)의 구성을 상부막대(112a)는 중공으로 형성하되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하고, 하부막대(114a)는 중실로 형성하되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하여 상부막대(112a)의 상단 내경을 통해 삽입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상부막대(112a)와 하부막대(114a) 형성하는 경우 하부막대(114a)의 상단부 직경은 상부막대(112a)의 하단부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하여 상부막대(112a) 하단 내경을 통해 하부막대(114a)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저온막대(110a)를 다단의 입출(入出)식으로 형성하여 음료병(10)의 깊이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저온막대(110a)를 구성하는 상부막대(112a)는 저온헤드(120a)와는 별도로 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부막대(112a)와 저온헤드(120a)는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저온막대(110a)를 구성하는 상부막대(112a)의 상단 외주면 상에 숫나사산(112a-1)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저온헤드(120a)의 하부면 중심에는 암나사산(122a)을 형성하여 상부막대(112a)의 수나사산(112a-1)이 형성된 상단부를 저온헤드(120a)의 암나사산(122a)이 형성된 하부 중심에 결합을 통해 결합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100)는 저온헤드(120)를 통해 냉장실의 냉기를 전달받아 저온막대(110)로 냉기를 전달함으로써 음료병(10) 내부에 남아 있는 잔량의 탄산음료(20)는 침수된 저온막대(110)를 통해 냉기를 전달받아 냉각이 보다 빠르게 진행되어 탄산음료(20)에 용해된 탄산가스의 안정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탄산가스의 기화가 방지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저온헤드(120)와 저온막대(110)를 통해 전달되는 냉기에 의해 탄산음료(20)에 용해된 탄산가스의 안정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탄산가스의 기화가 방지됨으로써 잔량의 탄산음료(20)를 냉장실에 장시간 보관 후에 개봉하여 식음하더라도 탄산가스의 유지로 인하여 맛과 신선도가 유지된 탄산음료(20)를 마실 수가 있데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 음료병
20. 탄산음료
100, 100a. 탄산가스 유지기구
110, 110a. 저온막대
112a. 상부막대
112a-1. 숫나사산
114a. 하부막대
120, 120a. 저온헤드
122a. 암나사산
130. 밀봉패킹

Claims (8)

  1. 개봉이 이루어진 상태의 음료병의 내부에 남겨진 잔량의 탄산음료로부터 탄산가스의 기화를 방지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음료병의 깊이에 비해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지되 음료병의 입구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잔량의 탄산음료와 직접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는 저온막대;
    상기 저온막대의 상단에 형성되어지되 상기 음료병의 입구 내경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냉장실의 냉기를 저온막대로 전달되도록 하는 저온헤드; 및
    상기 저온헤드의 하부측에 구성되어 상기 음료병의 입구 내경과의 밀착을 통해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리콘 재질의 밀봉패킹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막대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헤드의 외주면은 원형 또는 다면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막대와 저온헤드는 금속제와 비금속광물 및 세라믹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막대와 저온헤드의 금속재질은 은(Ag)), 금(Au), 알루미늄(Al), 텅스텐(W) 및 스테인리스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비금속광물은 수정이나 옥 또는 유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막대와 저온헤드는 중실 또는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막대는 다단의 입출식으로 이루어져 상기 음료병의 깊이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막대의 다단 중 상부막대는 중공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부막대는 중실로 이루어지되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막대의 상단 내경을 통해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
KR1020130158534A 2013-12-18 2013-12-18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 KR20150071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534A KR20150071465A (ko) 2013-12-18 2013-12-18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534A KR20150071465A (ko) 2013-12-18 2013-12-18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465A true KR20150071465A (ko) 2015-06-26

Family

ID=5351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534A KR20150071465A (ko) 2013-12-18 2013-12-18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14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9945B2 (en) Single-serve beverage cup
US20170367536A1 (en) Stainless steel food service vessels
US20200407151A1 (en) Retaining member and insulating vessel incorporating same
US20150210465A1 (en) Method and Device to Seal, Insulate and Dispense from a Beverage Can
KR20150071465A (ko) 음료병의 탄산가스 유지기구
KR20110003111U (ko)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
US20150233632A1 (en) Beverage chiller and method
US20160023841A1 (en) Single use sealed container assembly for a large format ice unit
CN215675978U (zh) 一种酒类保鲜装置
US11548694B1 (en) Liquid dispenser for a bottle
KR100840436B1 (ko) 탄산가스 주입용 압력용기 일체형 냉장고
BR102014025747A2 (pt) dispositivo para servir líquido gaseificado com válvula para introdução de co2
US20110088410A1 (en) Chilled Beverage Container
US201600509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hollow frozen vessel
JP2001048244A (ja) 筒状保冷具
HUP0004446A2 (hu) Edény szénsavtartalmú italok, különösen szódavíz tárolására és kiadására
KR100936080B1 (ko) 병 주둥이 탈부착형 냉각 노즐
TWI699315B (zh) 冰飲料器構造
CN110251402B (zh) 一种储物器皿的保温方法及储物器皿
JP3050770U (ja) 保冷用飲料容器
KR20160140519A (ko) 술병 아이스박스
KR101566175B1 (ko)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 용기
KR20090128199A (ko)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
KR200396029Y1 (ko) 가스 누출 방지 마개
KR200406835Y1 (ko) 병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