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0673A - HOOK FOR fIXING FREIGHT AND ROPE BINDING METHED FO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HOOK FOR fIXING FREIGHT AND ROPE BINDING METHED FOR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0673A
KR20150070673A KR1020130157165A KR20130157165A KR20150070673A KR 20150070673 A KR20150070673 A KR 20150070673A KR 1020130157165 A KR1020130157165 A KR 1020130157165A KR 20130157165 A KR20130157165 A KR 20130157165A KR 20150070673 A KR20150070673 A KR 20150070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rope
ring
fixing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1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72728B1 (en
Inventor
박근식
Original Assignee
박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근식 filed Critical 박근식
Priority to KR1020130157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728B1/en
Publication of KR20150070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6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7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1Metal parts manufactured by mou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ok for fixing freight is hung on a fixing ring formed on a cargo hold unit (a container or the like) on one side, and is bond with a rope on the other side. The hook for fixing freight comprises: a hook hung on the fixing ring; a first ring unit in a ring shape comprising a connection bar combined with a rear end of the hook and a first hanging bar arranged to be separated with the connection bar at regular distance; and a second ring unit in a ring shape sharing the first ring unit and the first hanging bar, including a second hanging bar arranged to be separated with the first hanging bar at regular distance, and where an opened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A bending unit is formed by folding one side of a rope, and then the bending unit is penetrated into the first ring unit and is hung on the second hanging bar so that the rope is fixed. A rope binding method using the hook for fixing freight comprises: a first step of forming the bending unit by bending one side of the rope to be combined to the hook for fixing freight, and inserting the bending unit to the first ring unit; a second step of inserting the second hanging bar into a path between the bending unit and holding the same; and a third step of providing tension and fixing freight by using a ratchet when the hook is hung on the fixing ring of the cargo hold unit.

Description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 및 이를 이용한 로프 결착방법{HOOK FOR fIXING FREIGHT AND ROPE BINDING METHED FOR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k fastening ring for fastening a cargo,

본 발명은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 및 이를 이용한 로프 결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걸림고리의 구조 개선을 통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화물 고정용 로프를 걸림고리에 결착할 수 있는 걸림고리 및 이를 이용한 로프 결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ening hook for fastening a cargo and a rope fastening method using the fastening 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stening ring for fastening a fastening rope to a fastening ring more easily and quickly through a structure improvement of the fastening ring, .

화물 운송시에는 운송중에 정해진 위치를 이탈하거나 추락하여 화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로프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화물을 단단히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로프와 같은 고정수단이 화물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걸림고리와 래칫을 사용하고 있다.In the case of freight transportation, it is common to firmly fix the cargo by a fixing means such as a rope in order to prevent the cargo from being damaged by leaving or falling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during transportation. Clamping rings and ratchet are typically used to ensure that the securing means, such as ropes, are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cargo.

도 11에는 묶음 방식의 로프 고정방식이 도시되어 있다.Fig. 11 shows a bundle-type rope fixing method.

종래의 걸림고리는 고리홈에 걸림고리를 걸기 위한 훅(hook)과 로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바로 구성된다. 걸림바에 로프를 고정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는 로프를 걸림바에 묶어 매듭을 짓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Conventional latching hooks are constituted by hooks for latching the latching hooks in the groove and latching bars for fixing the rope. In order to fix the rope to the hanging bar, generally, the rope is attached to the hanging bar to form a knot.

이러한 묶음 방식에 의하면 운송 중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로프를 걸림바에 묶은 매듭이 조금씩 조여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로프에 장력이 가해지면 대부분의 장력은 매듭에 가해지게 되고 그 결과 매듭이 보다 더 조여져 상대적으로 로프의 다른 부분은 느슨해지게 된다. 따라서, 화물이 도착할 시점이 되면 로프와 고정하고자 하는 화물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여 로프의 장력이 현저히 저하되고 화물을 고정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is bundling method, the knot tied to the hanging bar is slightly tightened by the vibration generated during transportation. When tension is applied to the rope, most of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knot, which results in a further tightening of the knot and relatively loosening of the other part of the rope. Therefore, when the cargo arrives, there is a gap between the rope and the cargo to be fixed, so that the tension of the rope is significantly lowered and the purpose of fixing the cargo can not be achiev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76332호(2012.8.22. 공고)에는 중량의 화물을 고정함에 있어 걸림고리를 기점으로 로프를 중첩시킨 다음 로프의 중첩 부분에 외력을 가하여 면 마찰력에 의해 고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176332 (published on Aug. 22, 2012) discloses a method for fixing a heavy cargo by superimposing the rope on the basis of the retaining ring and then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rope to fix the cargo by surface frictional force have.

도 12에는 상기 등록특허에서 걸림고리(120)에 로프(110)를 고정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FIG. 12 shows a method of fixing the rope 110 to the retaining ring 120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도 2를 참조하면, 걸림고리(20)에 로프(10)를 일련의 순서대로 매듭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걸림고리(20)는 일반적인 삼각형 방식 대신 두개의 걸림바(24,26)를 구비하고, 이러한 한 쌍의 걸림바에 로프를 수 회 회전시켜 매듭을 형성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rope 10 is knotted in a sequential order to the latching ring 20. In addition, the latching ring 20 has two latching bars 24 and 26 instead of the general triangular method, and the rope is rotated several times to the pair of latching bars to form a knot.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로프를 수 회 꼬아서 매듭을 형성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순서대로 로프를 꼬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숙련도가 필요하여 초보자가 능숙하게 작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method, since the rope is twisted several times to form a knot, the operation is very inconvenien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for beginners to skillfully work because a certain degree of skill is required to twine ropes in this order.

또한,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반드시 일정 길이로 로프를 절단하여 작업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하게 로프를 소모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상기 등록특허의 도면 5 참조). 즉, 수십 미터의 로프를 절단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로프 소모량이 급증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method, since the rope must be cut and cut to a certain lengt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ope is unnecessarily consumed (see FIG. 5 of the above-mentioned registered patent). In other words, since ropes of several tens of meters must be cut and used, the rope consumption is rapidly increased.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10-2013-0113077호(걸림고리와 로프의 결합구조)를 통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특허출원발명도 결합구조에 사용되는 결착구가 다소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이를 보완하여 보다 심플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상기 특허출원발명이 가지는 장점을 모두 발휘하는 개선된 로프 걸림고리가 필요하다.
The present applicant has solved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rough the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113077 (coupling structure of a hook and a rope). However, the above-mentioned patent application also requires an improved rope fastening ring which has a more complicated structure and has a simpler structure, and exhibits all the advantages of the above-mentioned patent application, since the fastener used for the fastening structure has a somewhat complicated structure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이 단순하여 숙련되지 않는 작업자라도 단시간에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로프의 장력을 충분히 확보하여 안정적으로 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화물 고정용 로프 걸림고리 및 이를 이용한 로프 결착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system for efficiently transporting a cargo by stably securing the tension of a rope, And a rope fastening method using the sam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는, 일측은 화물 적재부(컨테이너 등)에 형성된 고정고리에 걸고 타측은 로프가 결착되되,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a cargo holding h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hooked on a fixing ring formed on a cargo loading part (container or the like) and the other side is rope-

상기 고정고리에 거는 훅(hook);A hook hooking the fixing ring;

상기 훅의 후단에 결합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와 일정한 거리 이격된 거리에 배치되는 제1걸림바를 포함하는 고리 형상의 제1고리부; 및An annular first annular portion including a connection bar coupled to a rear end of the hook and a first engagement bar disposed at a distance apart from the connection ba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상기 제1고리부와 상기 제1걸림바를 공유하고, 상기 제1걸림바와 일정 거리 이격된 거리에 배치되는 제2걸림바를 포함하고, 일측에 개방홈이 형성된 고리 형상의 제2고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And a second hook portion that is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first hook portion, the first hook portion being spaced from the first hook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econd hook portion having an open groove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로프의 일측을 접어 벤딩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벤딩부를 제1고리부에 관통시키고, 상기 벤딩부를 제2걸림바에 걸어 로프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the rope is folded to form a bending portion, the bending portion is passed through the first ring portion, and the bending portion is hooked to the second latching bar to fix the rope.

이 경우, 상기 개방홈은 제2걸림바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opening groove may b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latching bar.

더불어, 상기 개방홈에 의해 단절된 제2걸림바의 단부에는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inforcing portion may be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latching bar which is disconnected by the opening groove.

또한, 상기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주물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urther, the cargo holding hook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by casting.

또한, 상기 훅의 입구부의 간극이 화물 적재부의 고정고리의 지름보다 작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urther, the gap of the inlet of the hook may be mad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ring of the cargo carrying part.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를 이용한 로프의 결착방법은,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에 결합할 로프의 일측을 구부려 벤딩부를 형성하고, 벤딩부를 제1 고리부에 삽입하는 제1단계;A method of binding a rope using a cargo fixing h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bending one side of a rope to be coupled to a cargo fixing hook to form a bending part and inserting the bending part into the first ring part;

상기 벤딩부 사이 통로에 제2걸림바를 삽입시켜 거는 제2단계; 및A second step of inserting a second latching bar into the passage between the bending portions; And

걸림고리의 훅을 화물 적재부의 고정고리에 건 상태에서 상기 로프에 래칫을 이용하여 장력을 제공하여 화물을 고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And a third step of securing the cargo by providing a tension to the rope by using a ratchet while the hook of the hook is hooked on the fixing ring of the cargo carrying part.

이 경우, 장력이 제공되지 않는 로프의 끝단을 말아올려 제1고리부를 관통시킨 다음, 걸림고리의 일측에 구비된 고정핀에 끼워 로프 끝단을 정리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ourth step may include a fourth step of winding the end of the rope to which the tension is not applied so as to penetrate the first ring, then fixing the end of the rope by the fixing pi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ok.

본 발명에 따르면,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에 개방홈을 두어 로프를 걸림고리에 거는 방법을 단순하게 함으로써, 걸림고리에 로프를 보다 쉽게 결착하고 작업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로프에 충분한 장력을 부여하여 완벽한 조임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화물의 안정적인 운송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method of placing the rope on the retaining ring by placing the opening groove in the retaining ring for retaining the cargo, making it easier to bind the rope to the retaining ring and to greatly reduce the working time, So that it is possible to ensure stable transportation of the cargo.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로프를 걸림고리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제1로프 부분의 길이를 충분히 예상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하게 로프의 여유길이를 많이 확보할 필요가 없어 쓸데없이 로프가 낭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ength of the first rope portion can be sufficiently predicted in the process of fixing the rope to the retaining ring, it is unnecessary to secure a sufficient length of the rope unnecessarily, thereby preventing waste of the rop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를 이용하여 화물 적재부에 화물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를 이용하여 로프를 결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를 이용하여 로프를 결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고정핀에 로프 끝단을 끼워 정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묶음 방식의 종래의 로프 고정방식을 도시한 개념도.
도 12는 걸림고리에 로프를 고정하는 종래의 방식을 도시한 개념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rgo is fixed to a cargo loading section using a cargo holding h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go holding h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to 7 are explanatory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binding a rope using a cargo holding h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go holding hoo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pe is engaged using a cargo holding hoo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in is put together with the rope end.
1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ope fixing method of the bundling method.
1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ethod of fixing a rope to a hooking ring.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100)를 이용하여 화물 적재부에 화물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의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100)를 이용하여 로프(10)를 결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rgo is fixed to a cargo holding portion using a cargo holding hoo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go holding h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to 7 are explanatory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binding the rope 10 using the cargo holding hoo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는 화물을 적재부(컨테이너 등)에 고정함에 있어, 적재부에 설치된 고정고리(5)와 로프를 연결하는 도구이다. 걸림고리(100)를 고정고리(5)에 걸고 로프(10)를 걸림고리(100)에 결착한 다음, 로프(10)에 레칫 등의 장력 제공 수단을 이용하여 로프에 장력을 제공하여 화물을 고정한다.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Fig. As shown in FIG. 1, the cargo holding h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ol for connecting the rope to the holding ring 5 installed on the loading part in fixing the cargo to the loading part (container or the like). The hook 10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ring 5 and the rope 1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ring 100. The rope 10 is then provided with tensile force by means of a tensioning means such as a ratchet, Fix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100)는, 훅(110), 제1고리부(125), 제2고리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훅(hook)은 화물 적재부에 설치된 고정고리(5)에 걸림고리(100)를 거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 모양이다. 훅(110)의 개방된 입구부의 간극은 통상적으로 고정고리(5)의 지름보다 크게 제작되어 쉽게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훅(110)을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거는 경우, 로프(10)에 장력이 제공되기 전에는 훅(110)이 고정고리(5)에서 쉽게 빠지는 경우가 잦아 작업에 방해가 된다. 따라서, 훅(110)의 입구부(111) 간극을 고정고리(5)의 지름보다 약간 작게(약 1mm 내외)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훅(110)을 고정고리(5)에 걸때 힘을 가하면 훅(110) 자체의 탄성에 의해 고정고리(5)가 훅(110)의 입구부(111)를 통과할 수 있는 정도가 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훅(110)을 고정고리(5)에 걸 때는 어느 정도 힘이 들지만, 훅(110)과 로프(10)의 자중에 의해 훅(110)이 고정고리(5)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the cargo holding hoo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ok 110, a first claw 125, and a second claw 126. As shown in Fig. The hook is an annular shape in which one side of the holding ring (5) provided on the cargo carrying part is hooked by the holding ring (100) is opened. The clearance of the opening of the hook 110 is generally mad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ring 5 so that it can be easily hooked. In this case, when the hook 110 is hook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he hook 110 easily gets slipped off from the fixing ring 5 before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rope 10, which interferes with the work.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gap of the inlet portion 111 of the hook 110 slightly smaller (about 1 mm or less)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ring 5. When the hook 110 is applied with a force when the hook 110 is hooked on the hook 5, the fixing hook 5 is able to pass through the mouth 111 of the hook 110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hook 110 itself. This prevents the hook 110 from being disengaged from the fixing collar 5 due to the weight of the hook 110 and the weight of the rope 10, .

제1고리부(125)는 훅(110)의 후단에 결합된다. 훅(110)의 후단에 가로 방향으로 직접 결합되는 연결바(121), 연결바와 일정 거리 이격된 제1걸림바(122) 및 연결바(121)와 제1걸림바(122)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23)를 포함한 닫힌 고리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연결부(123)는 연결바(121)와 제1걸림바(122)의 양 끝단을 연결하는 부분인데, 이 중 하나가 생략되거나, 단절되어 제1고리부(125)가 열린 고리 형상을 가지는 것도 무방하다. 다만, 제1걸림바(122)에는 로프에 의해 강한 장력이 작용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고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The first hook 125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hook 110. A connection bar 121 direct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hook 110 in a transverse direction, a first engagement bar 122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ba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bar 121 and the first engagement bar 122 It is preferable to have a closed annular shape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123 which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le. As shown in FIG. The connection part 123 connects the connection bar 121 and both ends of the first locking bar 122. One of them may be omitted or the first ring part 125 may have an open loop shape It is acceptable. However, since strong tension is applied to the first latching bar 122 by the rop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latching bar 122 has a closed annular shape as shown in Fig.

제1고리부(125)에 대한 표현 상 편의를 위하여 연결바(121), 연결부(123), 제1걸림바(122)로 구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일체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각 부위의 구별이 명확하지 아니할 수 있다. 예컨데, 도 2에는 제1고리부(125)가 4각 고리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고리부(125)가 원형 또는 타원형에 가까운 형상일 수 있으며, 이때에는 연결바(121), 연결부(123), 제1걸림바(122)의 경계가 어디인지 정확히 구별되지 않을 수 있으나, 훅(110)과 결합되는 부분(연결바), 로프가 걸리는 부분(제1걸림바), 중간부분(연결부)으로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속하는 변형된 형태에 불과함은 명백한 것이다.
Although the connecting bar 121, the connecting part 123 and the first latching bar 122 are separately described for the convenience of the first annular part 125, when they are integrally manufactured, It may not be clear. For example, although the first ring part 125 is shown as a quadrangular ring shape in FIG. 2, the first ring part 125 may have a circular or elliptic shape. In this case, the connecting bar 121, 123 and the first hooking bar 122 may not be accurate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However, the hooks 110, the rope-engaging portion (first hooking bar), the intermediate portion ), Which are obviously modified forms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고리부(125)에 인접하여 제2고리부(126)가 형성된다. 제2고리부(12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리부(125)와 제1걸림바(122)를 공유하고, 제2걸림바(127), 연결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걸림바(127)는 제1걸림바(122)에 일정한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제1걸림바(122)와 제2걸림바(127)의 단부는 연결부(124)에 의해 연결된다. 제2고리부(126)가 제1고리부(125)에 비해 가장 큰 차이점은 일측에 개방홈(128)이 형성된다는 점이다. A second annular portion 126 is formed adjacent to the first annular portion 125. 2, the second hook 126 shares the first hook 125 and the first hook 122, and includes a second hook 127 and a connecting portion 124, do. The second latching bar 127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atching bar 12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ends of the first latching bar 122 and the second latching bar 127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portion 124. The greatest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ring part 126 and the first ring part 125 is that an opening groove 128 is formed on one side.

개방홈(12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걸림바(127)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 개방홈(128)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4)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도 8과 같이 연결부에 개방홈(128)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2걸림바(127)에 큰 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변형 또는 파손의 위험이 더 커지므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가 가장 바람직한 형태이다.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opening groove 128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latching bar 127 as shown in Fig. In other embodiments, the open groove 128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124 as shown in FIG.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opening groove 128 is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as shown in FIG. 8, when a large tension is applied to the second latching bar 127, the risk of deformation or breakage becomes greater, It is a preferred form.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홈(128)이 제2걸림바(127)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2걸림바(127)는 개방홈(128)에 의해 제2-1걸림바(127a)와 제2-2걸림바(127b)로 단절되고, 제2-1걸림바(127a)와 제2-2걸림바(127b)의 단부와 연결부(124)를 잇는 보강부(129)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걸림바(127)에 로프의 벤딩부(13)를 걸고 로프에 장력을 제공하면 제2걸림바(127)에 변형 또는 파손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보강부(129)를 형성하는 것이다.
2, when the open groove 128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latching bar 127, the second latching bar 127 is engaged with the second latching bar 127a And a reinforcing portion 129 connecting the ends of the second-1 locking bar 127a and the second-second locking bar 127b to the connecting portion 124 is formed . When the bending portion 13 of the rope is hooked on the second hooking bar 127 and tension is applied to the rope, the reinforcing portion 129 is forme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deformation or breakage of the second hooking bar 127.

상기에 설명된 도 2에 도시된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100)에 로프(10)를 결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걸림고리의 훅(110)을 고정고리(5)에 건 다음, 로프(10)를 걸림고리(100)에 결착시킨다. 먼저 로프(10)를 접어 벤딩부(13)를 형성한다. 로프(10)는 벤딩부(13)를 기준으로 제1로프(11)와 제2로프(12)로 구별하여 설명한다. 편의상 로프(11) 중 절단되어 걸림고리에 걸리는 부분을 제1 로프(11), 화물과 밀착하여 화물에 장력을 제공하는 부분을 제2 로프(12)라 명명하기로 한다. 제1로프(11)와 제2로프(12)는 서로 일체로 이어져 있으며, 벤딩부(13)를 중심으로 제1로프(11)와 제2로프(12)가 구분된다. A method of binding the rope 10 to the cargo holding hook 100 shown in Fig. 2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The hook 110 of the hook is hooked on the fixing hook 5 and then the rope 10 is fastened to the hook 100. [ First, the rope 10 is folded to form a bending portion 13. The rope 10 will be described as a first rope 11 and a second rope 12 with respect to the bending portion 13 as a reference. A portion of the rope 11 which is cut out of the rope 11 to be caught by the retaining ring is referred to as a second rope 12 to provide a tension to the cargo by closely contacting the first rope 11 and the cargo. The first rope 11 and the second rope 12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rope 11 and the second rope 1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round the bending portion 13.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로프의 결착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벤딩부(13)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리부(125)를 통과하도록 삽입한다. 그 다음 벤딩부(13)를 당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부(13)의 사이 통로(14)에 제2-1걸림바 또는 제2-2걸림바 중 어느 하나를 삽입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하나를 벤딩부(13)의 사이 통로(14)에 삽입하여 벤딩부(13)를 제2걸림바(127)에 걸게 된다. 로프의 벤딩부(13)를 제2걸림바(127)에 건 상태에서 제2로프(12)에 장력을 제공하여 화물을 고정시킨 다음,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로프(11)의 끝단을 말아 올려 제1고리부(125)로 관통시켜 정리한다. 3 to 7, the bending part 13 is first inserted to pass through the first ring part 125 as shown in FIG. Next, the bending portion 13 is pulled to insert any one of the second-1 latching bar or the second-2 latching bar into the passageway 14 of the bending portion 13 as shown in Fig. 4, Another one is inserted into the passage 14 of the bending portion 13 and the bending portion 13 is hooked to the second latching bar 127 as shown in Fig. The bending portion 13 of the rope is tensioned on the second rope 12 in a state where the rope bending portion 13 is in a state of being hooked on the second rope bar 127 to fix the cargo. Then, as shown in Figs. 6 and 7, 11 are rolled up and pierced through the first ring part 125 to be arranged.

로프에 장력을 제공하기 위해 라쳇 형의 로프 당김 장치를 사용하는데, 이는 공지된 장치이므로 따로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아니한다.
A rochet-type rope-pulling device is used to provide tension to the rope, which is a known device and therefore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를 이용하여 로프를 결착하게 되면, 도 12에 도시된 종래 발명과 같이 로프를 복잡하게 넣었다 뺏다를 반복할 필요가 없어 로프를 걸림고리에 훨씬 수월하게 결착할 수 있으며, 작업 시간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ope is fastened by using the fastening hoo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repeatedly put the rope in a complicated manner as in the conventional invention shown in FIG. 12,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join and the working time can be remarkably shortened.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의 다른 실시예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홈(128)이 제2걸림바(127)의 중앙부에 형성되지 않고, 제1걸림바(122)와 제2걸림바(127)를 연결하는 연결바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로프를 접어 벤딩부(13)를 형성하고 벤딩부(13)를 제1고리부(125)에 관통시킨 다음, 벤딩부(13)의 사이 통로(14)에 제2걸림바(127)를 한 번에 관통시켜 끼운 다음 로프에 장력을 제공하면 화물이 고정된다. 로프를 장착하는 방법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거의 같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cargo holding h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8 and 9. Fig. 8, the opening groove 128 is no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latching bar 127, but is formed in the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first latching bar 122 and the second latching bar 127 It can be formed on either side. The bending portion 13 is formed by folding the rope and the bending portion 13 is passed through the first ring portion 125 and then the bending portion 13 is inserted into the bending portion 13 of the bending portion 13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When the second latching bar 127 is passed through at one time and tension is applied to the rope, the cargo is fixed. The method of mounting the rope is almost the sa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는 그 재질이 제한되지는 않으나, 걸림고리에 로프에 의해 큰 힘이 가해지므로, 금속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작의 편의성, 대량생산성 등을 고려하면 주물 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The material for the cargo holding h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ut a metal material is preferably used because a large force is applied to the cargo ring by the rope.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in production, mass productivity, and the like, it is most preferable to be integrally manufactured by molding.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를 이용한 로프의 결착방법은,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100)에 결합할 로프(10)의 일측을 구부려 벤딩부(13)를 형성하고, 벤딩부(13)를 제1고리부(125)에 삽입하는 제1단계;The bending portion 13 is formed by bending one side of the rope 10 to be coupled to the cargo holding hook 100 and the bending portion 13 is formed by bending one side of the rope 10 to be coupled to the cargo holding hook 100, To the first ring part (125);

상기 벤딩부(13) 사이 통로(14)에 제2걸림바(127)를 삽입시켜 거는 제2단계; 및A second step of inserting the second latching bar 127 into the passage 14 between the bending portions 13; And

걸림고리(100)의 훅(110)을 화물 적재부의 고정고리(5)에 건 상태에서 상기 로프에 래칫을 이용하여 장력을 제공하여 화물을 고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And a third step of securing the cargo by providing tension to the rope by using a ratchet in a state where the hook 110 of the retaining ring 100 is hooked on the retaining ring 5 of the cargo carrying portion.

이 경우, 장력이 제공되지 않는 로프의 끝단을 말아올려 제1고리부(125)를 관통시킨 다음, 걸림고리의 일측에 구비된 고정핀(15)에 끼워 로프 끝단을 정리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urth step of winding the end of the rope to which the tension is not applied so as to penetrate the first loop part 125 and then putting it on the fixing pin 15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oking ring, .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를 이용한 로프의 결착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method of binding the rope using the cargo holding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10 : 로프
11 : 제1로프
12 : 제2로프
15 : 고정핀
100 : 걸림고리
110 : 훅
123, 124 : 연결부
125 : 제1고리부
126 : 제2고리부
122 : 제1걸림바
127 : 제2걸림바
128 : 개방홈
129 : 보강부
10: Rope
11: first rope
12: second rope
15: Fixing pin
100: Clasp ring
110: Hook
123, 124:
125: first ring portion
126: second ring portion
122: First stop bar
127: second hanging bar
128: opening groove
129:

Claims (7)

일측은 화물 적재부(컨테이너 등)에 형성된 고정고리에 걸고 타측은 로프가 결착되는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에 있어서,
상기 고정고리에 거는 훅(hook);
상기 훅의 후단에 결합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와 일정한 거리 이격된 거리에 배치되는 제1걸림바를 포함하는 고리 형상의 제1고리부; 및
상기 제1고리부와 상기 제1걸림바를 공유하고, 상기 제1걸림바와 일정 거리 이격된 거리에 배치되는 제2걸림바를 포함하고, 일측에 개방홈이 형성된 고리 형상의 제2고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로프의 일측을 접어 벤딩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벤딩부를 제1고리부에 관통시키고, 상기 벤딩부를 제2걸림바에 걸어 로프를 고정하는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
One side is a hook for fixing a cargo to which a rope is fastened to a fixing ring formed on a cargo loading portion (a container or the like)
A hook hooking the fixing ring;
An annular first annular portion including a connection bar coupled to a rear end of the hook and a first engagement bar disposed at a distance apart from the connection ba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d a second hook portion which is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first hook portion, the first hook portion being spaced from the first hook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econd hook portion is formed with an opening groove at one side thereof, However,
Wherein the bending portion is passed through the first hooking portion and the bending portion is hooked to the second hooking bar to fix the ro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홈은 제2걸림바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opening groov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latching ba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홈에 의해 단절된 제2걸림바의 단부에는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latching bar which is separated by the open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주물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go holding hooks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are integrally formed by cas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훅의 입구부의 간극이 화물 적재부의 고정고리의 지름보다 작게 제작되며, 상기 제1고리부 또는 제2고리부의 배면부에는 로프의 끝단을 끼워 정리할 수 있는 고정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of the inlet of the hook is mad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ring of the cargo loading part and the fixing pin which can be arranged by putting the end of the rope is engag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ring part or the second ring part. Hanging hooks.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에 결합할 로프의 일측을 구부려 벤딩부를 형성하고, 벤딩부를 제1 고리부에 삽입하는 제1단계;
상기 벤딩부 사이 통로에 제2걸림바를 삽입시켜 거는 제2단계; 및
걸림고리의 훅을 화물 적재부의 고정고리에 건 상태에서 상기 로프에 래칫을 이용하여 장력을 제공하여 화물을 고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를 이용한 로프 결착방법.
A first step of bending one side of the rope to be coupled to the cargo fixing hook ring to form a bending portion and inserting the bending portion into the first ring portion;
A second step of inserting a second latching bar into the passage between the bending portions; And
And a third step of securing the cargo by providing a tensile force to the rope by using a ratchet while the hook of the retaining ring is hooked on the fixing ring of the cargo carrying part
A method of rope binding using a hanging hook for cargo fixing.
제6항에 있어서,
장력이 제공되지 않는 로프의 끝단을 말아올려 제1고리부를 관통시킨 다음, 걸림고리의 일측에 구비된 고정핀에 끼워 로프 끝단을 정리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를 이용한 로프 결착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fourth step of winding the end of the rope to which the tension is not applied to penetrate the first ring part and then fixing the end of the rope by being fitted to the fixing pi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cking ring, Binding method.

KR1020130157165A 2013-12-17 2013-12-17 HOOK FOR fIXING FREIGHT AND ROPE BINDING METHED FOR USING THE SAME KR1015727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165A KR101572728B1 (en) 2013-12-17 2013-12-17 HOOK FOR fIXING FREIGHT AND ROPE BINDING METHED FO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165A KR101572728B1 (en) 2013-12-17 2013-12-17 HOOK FOR fIXING FREIGHT AND ROPE BINDING METHED FOR USING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627A Division KR20150070992A (en) 2015-05-26 2015-05-26 HOOK FOR fIXING FREIGHT AND ROPE BINDING METHED FOR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673A true KR20150070673A (en) 2015-06-25
KR101572728B1 KR101572728B1 (en) 2015-12-01

Family

ID=53517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165A KR101572728B1 (en) 2013-12-17 2013-12-17 HOOK FOR fIXING FREIGHT AND ROPE BINDING METHED FOR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72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400B1 (en) * 2015-08-25 2016-01-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fixing freight of shipping cage for transportation vi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011B1 (en) * 2019-10-11 2020-05-25 한설봉 Engine powered work cart using rai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661Y1 (en) * 2001-04-17 2001-10-26 이복연 A cargo bending apparatus
KR101176332B1 (en) * 2012-06-05 2012-08-22 정도근 Fixing method of heavy goods with rope for transfor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400B1 (en) * 2015-08-25 2016-01-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fixing freight of shipping cage for transportation vi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728B1 (en) 201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41296A1 (en) Tensioning device
US8443471B2 (en) Rope and fastener assembly
US9222218B2 (en) Loop rope assembly
US8776323B2 (en) Cargo strap
CA2685383C (en) Tie-down and tensioning system
WO2005115867A1 (en) Binding band and binding band set
US5519921A (en) Mobile rope cleat
KR101572728B1 (en) HOOK FOR fIXING FREIGHT AND ROPE BINDING METHED FOR USING THE SAME
US8960707B2 (en) Pivoting tow hook
US20190135162A1 (en) Rope tie down apparatus
KR20150070992A (en) HOOK FOR fIXING FREIGHT AND ROPE BINDING METHED FOR USING THE SAME
KR101632501B1 (en) HOOK FOR fIXING FREIGHT AND ROPE BINDING METHED FOR USING THE SAME
EP3152459B1 (en) Line tensioner
US6418576B1 (en) Rope hammock
KR101578715B1 (en) Device for connecting rope and hanger, rope binding methed for using the same
KR20150044144A (en) Device for connecting rope and hanger
JP5832006B2 (en) Tying tool
WO1993000801A1 (en) Multi-purpose fastener
JP2010121766A (en) Belt fastener
KR20150118783A (en) Device for fixing freight and belt binding methed for using the same
JPH10329601A (en) Rope locker and rope hook
JP2007269374A (en) String fastening structure
ZA200404872B (en) The down elements
JPH10147362A (en) Fastening belt
JP2007302263A (en) Load bind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