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0255A - 베젤 민감 터치 스크린 시스템 - Google Patents

베젤 민감 터치 스크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0255A
KR20150070255A KR1020157012220A KR20157012220A KR20150070255A KR 20150070255 A KR20150070255 A KR 20150070255A KR 1020157012220 A KR1020157012220 A KR 1020157012220A KR 20157012220 A KR20157012220 A KR 20157012220A KR 20150070255 A KR20150070255 A KR 20150070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conductive material
pitch
region
bez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2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튜 도미니크 테누타
Original Assignee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70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5Switch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기계-구현 방법이 제공된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영역 및 디스플레이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패널 상에 형성된다. 터치 스크린은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배열되는 제 1 패턴의 도전성 물질 및 패널의 베젤 영역 상에 배열되는 제 2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 1 패턴의 도전성 물질은 투명하다.

Description

베젤 민감 터치 스크린 시스템{BEZEL SENSITIVE TOUCH SCREEN SYSTEM}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BEZEL SENSITIVE TOUCH SCREEN SYSTEM”라는 명칭의, 2013년 5월 9일에 출원된, 정규 특허 출원 제13/891,169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의 계속 출원이며, 이는 차례로, “BEZEL SENSITIVE TOUCH SCREEN SYSTEM”이라는 명칭의, 2012년 10월 11일에 출원된, 미국 가 특허 출원 제61/712,738호 및 “BEZEL SENSITIVE TOUCH SCREEN SYSTEM”이라는 명칭의, 2013년 3월 15일에 출원된, 미국 가 특허 출원 제61/800,231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발명들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본 출원은 또한 2012년 10월 11일에 출원된, 미국 가 특허 출원 제61/712,738호 및 2013년 3월 15일에 출원된, 미국 가 특허 출원 제61/800,231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발명들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이고, 특히,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 및 비-디스플레이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들은 입력 디바이스들로서 역할하기 위해 최신 컴퓨팅 디바이스들과 통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과의 다양한 상이한 사용자 상호작용들은 상이한 입력들을 제공할 수 있다. 항목의 선택은 터치 스크린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아이콘을 터치하는 사용자로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명령들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수행되는 제스처로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에 걸쳐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수평 손가락 스와이프는 브라우저 상의 "앞으로 네비게이트" 명령에 상응할 수 있다. 정밀한 접촉들로서 수신되는지 또는 제스처들로서 수신되는지와 관계없이, 사용자 명령들은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의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 수신된다.
개시된 발명 대상은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패널 상에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패널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배열되는 제 1 패턴의 도전성 물질 및 상기 패널의 상기 베젤 영역 상에 배열되는 제 2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턴의 도전성 물질은 투명하다.
개시된 발명 대상은 또한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시스템이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에서의 투명한 제 1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그 안에 저장된 지시들을 포함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 1 패턴과 상이한 적어도 제 2 패턴의 도전성 물질이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비-디스플레이 베젤 영역에서 제공된다. 제 3 패턴의 도전성 물질이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비-디스플레이 베젤 영역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 제공된다.
본 발명 기술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 및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패널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패널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배열되는 제 1 패턴의 도전성 물질, 및 상기 패널의 상기 베젤 영역 상에 배열되는 제 2 패턴의 투명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턴의 도전성 물질은 투명하며, 상기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은 상이하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과의 사용자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상기 제 1 패턴의 도전성 물질 및 상기 제 2 패턴의 도전성 물질의 정전용량들의 변화들을 감지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상호작용이 상기 패널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위치되는지 또는 상기 패널의 상기 베젤 영역에 위치되는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 기술의 다른 구성들이 다음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해질 것이라는 것이 이해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 기술의 다양한 구성들이 제시되고 예시를 통해 설명된다. 인식될 바와 같이, 본 발명 기술은 다른 및 상이한 구성들일 수 있고 그것의 몇몇 세부사항들은 모두 본 발명 기술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다른 측면들에서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은 본래 예시적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 기술의 특정 피처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에 제시된다. 그러나, 설명의 목적을 위해, 본 발명 기술의 몇몇 실시예들이 다음 도면들에 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 기술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 및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패널 상에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의 시스템의 예를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 기술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터치 스크린의 상이한 섹션들의 그래픽 표현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 기술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터치 스크린의 상이한 섹션들 사이의 전이 영역의 그래픽 표현을 제공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기술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터치 스크린의 두 개의 인접한 섹션들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들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 기술의 다양한 측면들에 따라,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 및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패널 상의 터치 스크린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예를 예시한다.
아래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 기술의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 의도되고, 본 발명 기술이 실시될 수 있는 구성들만을 표현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첨부 도면들이 본 명세서에 통합되고 상세한 설명의 부분을 구성한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 기술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는 목적을 위해 구체적인 세부내용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구체적인 세부내용들로 제한되지 않고, 이들 구체적인 세부내용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구조들 및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 기술의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개시된 발명 대상은 패널 상의 터치(예컨대,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으로부터의)의 존재 및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을 제공한다. 터치 스크린의 패널은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 및 베젤 영역을 제공한다. 베젤 영역의 포함은 패널의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콘텐츠를 모호하게 하지 않고 터치 스크린 상에서 수행될 특정 기능들을 가능하게 한다. 베젤 영역은 또한 베젤 영역에서만의 입력일 수 있는 추가 명령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을 베젤 영역 위아래로 스와이프하는 것은 디스플레이된 페이지가 위아래로 스크롤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상이한 명령들은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 및 베젤 영역 상의 터치들의 조합, 베젤 영역의 두 개의 상이한 위치들에서의 터치들의 조합, 또는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베젤 영역으로 또는 그 반대로 가로지르는 제스처로서의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베젤 영역 아래로 및 하단 베젤 영역을 거쳐 우측 베젤 영역으로 스와이프하는 제스처는 하나의 네비게이션 명령을 표현할 수 있다. 유사하게, 우측 베젤 영역 아래로 및 하단 베젤 영역을 거쳐 좌측 베젤 영역으로 스와이프하는 제스처는 또 다른 네비게이션 명령을 표현할 수 있다. 추가 명령들에 상응하는 추가 제스처 조합들이 또한 통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들은 기판(예컨대, 유리, 플라스틱 등)의 후면 상에 박막으로 부착되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과 같은, 격자의 도전성 물질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추가 처리방법은 기판의 후면에 그물망의 구리 또는 은 도전성 물질을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활성 디스플레이는 액정 모듈을 형성하기 위한 기판 뒤에 적층될 수 있다. 격자의 도전성 물질은 베젤 영역 및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응하는 터치 스크린 영역들을 형성하기 위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자의 도전성 물질은 좌측 및 우측 베젤 영역들, 하단 베젤 영역, 및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베젤 영역에의 터치 스크린의 포함은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컨텐츠를 모호하게 하지 않고 터치 스크린 상에서 수행될 특정 기능들을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격자의 도전성 물질의 패턴들은 아래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의 상이한 영역들(예컨대, 베젤 영역 대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사용자 상호작용들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베젤 영역에 상응하고 활성 디스플레이에 상응하는 터치 스크린 영역들 사이에서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기술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시스템(100)을 예시한다. 터치 스크린은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120) 및 베젤 영역(130)을 포함하는 패널의 형태이다. 일부 양상들에서, 시스템(100)은 디바이스의 상부 하우징(110) 및 하부 하우징(190)을 포함한다. 시스템(100)은 또한 터치 스크린 상의 접촉에 반응하는 정전용량들의 변화들을 감지하기 위해 상부 하우징(110)에서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컨트롤러(195)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접촉의 좌표들을 프로세싱을 위한 프로세서에 제공한다. 디바이스는 랩탑, 넷북, 또는 모바일 폰과 같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스템(100)은 단지 상부 하우징(110)(예컨대, 태블릿 디바이스)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모든 컴퓨팅 구성요소들 및 입력 구성요소들은 상부 하우징(110)에 포함된다.
도 2는 본 발명 기술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터치 스크린의 패널의 상이한 섹션들의 그래픽 표현을 제공한다.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은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120)에 상응하는 패널의 영역 상에 배치되는 격자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표현한다.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이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120)에 상응하기 때문에, 격자의 투명 도전성 물질이 적층된 픽셀들이 모호하지 않도록 사용될 수 있다. 제 2 터치 패널 영역(220)은 베젤 영역(130)의 좌측 부분에 상응하는 패널의 영역 상에 배치되는 격자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표현하고, 제 3 터치 패널 영역(230)은 베젤 영역(130)의 우측 부분에 상응하는 패널의 영역 상에 배치되는 격자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표현한다. 게다가, 제 4 터치 패널 영역(240)은 베젤 영역(130)의 하단 부분에 상응하는 패널의 영역 상에 배치되는 격자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표현한다. 다른 양상들에서, 도 2에 도시되지 않더라도, 패턴은 또한 베젤 영역의 상단 부분에 상응하는 패널의 영역 상에 배치되는 격자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표현하는 또 다른 터치 패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제 3 및 제 4 터치 패널 영역들(220, 230, 및 240)이 배치되는 패널의 베젤 영역(130)은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120) 둘레의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해 불투명하다. 베젤 영역(130)의 불투명함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터치 패널 상에 블랙 마스크를 적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점에서 베젤 영역을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과 구분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제 2 터치 패널 영역(220), 제 3 터치 패널 영역(230), 및 제 4 터치 패널 영역(240)의 격자 패턴의 도전성 물질은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의 격자 패턴의 도전성 물질과 상이하다. 예를 들어, 격자 패턴의 기하학적 구조는 제 2, 제 3 및 제 4 터치 패널 영역들(220, 230, 및 240)을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과 구별하기 위해 달라질 수 있으며(예컨대, 격자 패턴의 피치를 달리하여, 격자 패턴에 대해 상이한 형태들을 사용하여 등), 따라서 터치 스크린과의 사용자 상호작용들은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있는 것, 베젤 영역 상에 있는 것, 또는 하나의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전이하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 2 터치 패널 영역(220), 제 3 터치 패널 영역(230), 및 제 4 터치 패널 영역(240)은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게다가, 제 2 터치 패널 영역(220) 및 제 3 터치 패널 영역(230) 각각은 제 4 터치 패널 영역(240)과 측면을 공유한다. 각각의 터치 패널 영역들은 격자 패턴의 상이한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는 있으나, 격자 패턴들이 배치되는 패널은 단일의 연속적인 패널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관점에서, 사용자 상호작용들이 수행되는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 및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단일 터치 스크린이 제시된다. 게다가, 하나 이상의 독립된 센서들은 마스크 영역으로 경계를 이룬다. 예를 들어, 연성 회로들(flexible circuits)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은 베젤 영역의 후면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연성 회로들은 예를 들어, 연성 회로 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또는 연성 동박 회로(FFC; flexible foil circuit)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부 하우징(110)은 카메라 모듈(140), 표시등(150), 및 주변광 센서(160)와 같은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하우징(110)은 셀룰러 안테나들(170) 및 와이파이 안테나들(180)과 같은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격자 패턴의 도전성 물질은 도전성 재료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안테나들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셀룰러 안테나들(170) 및 와이파이 안테나들(180)과 중첩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패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패널이 셀룰러 안테나들(170) 및/또는 와이파이 안테나들(180)을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110)의 상단, 하단, 및 측면 에지들로 이어지면, 격자 패턴들의 도전성 물질 및 상응하는 상호연결부들(예컨대, 터치 스크린을 컨트롤러에 연결하는 배선들)은 셀룰러 안테나들(170) 및/또는 와이파이 안테나들(180)과 일치하지 않는 패턴의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패널이 상부 하우징(110)의 에지들로 이어지지 않고, 셀룰러 안테나들(170) 및/또는 와이파이 안테나들(180)과 중첩되지 않으면, 격자 패턴들의 도전성 물질은 전체 패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게다가, 투명 도전성 물질은 빛의 통과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때문에, 격자 패턴의 투명 도전성 물질은 카메라 모듈(140), 표시등(150) 및 주변광 센서(160)가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상부 부분의 영역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기술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터치 스크린의 패널의 상이한 섹션들 사이의 전이 영역의 그래픽 표현을 제공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각각의 제 2, 제 3 및 제 4 터치 패널 영역들(220, 230, 및 240) 및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 사이의 갭이 두 영역들 사이를 구별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전이 영역(310)은 제 2 터치 패널 영역(220) 및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 간 전이의 예를 제공한다. 확대된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갭(320)은 제 2 터치 패널 영역(220) 및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 사이에 제공된다. 갭(320)은 제 2 터치 패널 영역(220) 및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의 격자 패턴들을 분리하는 제 5 터치 패널 영역을 포함한다. 격자 패턴들을 갭과 분리하는 것은 두 개의 상이한 터치 패널 영역들 사이에서의 작은 비반응 영역을 생성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갭(320)은 아래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격자 패턴의 어떤 수신 측면도 존재하지 않는 영역으로 형성된다. 두 개의 상이한 터치 패널 영역들 사이의 비반응 영역은 언제 하나의 영역에서 생성되는 터치 입력이 다른 영역에서 생성되는 터치 입력으로 전이하는 지에 대한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120)을 너머 디스플레이(110)의 베젤 영역(130)으로 연장하는 터치 스크린이 제공된다. 갭(320)은 디스플레이 영역(120)에 상응하는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 및 디스플레이 영역 둘레의 베젤에 상응하는, 제 2, 제 3, 및 제 4 터치 패널 영역들(220, 230, 및 240) 사이를 구분하기 위해 형성된다. 터치 패널을 베젤 영역으로 연장시키고 서로 독립된 터치 패널 영역들을 갭(320)과 구별함으로써, 베젤 영역에서의 명령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의 명령으로의 전이(예컨대, 베젤 영역으로부터 터치 스크린의 활성 디스플레이 영역으로의 손가락 스와이프)가 식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의 패널의 상이한 섹션들을 구별함으로써, 상이한 명령들이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베젤 영역에서만의 사용자 상호작용들, 디스플레이 영역 및 베젤 영역 상의 사용자 상호작용의 조합, 베젤 영역의 두 개의 상이한 위치들에서의 사용자 상호작용의 조합, 또는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베젤 영역으로 또는 그 반대로 가로지르는 사용자 상호작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베젤 영역 아래로 및 하단 베젤 영역을 거쳐 우측 베젤 영역으로 스와이프하는 사용자 상호작용은 하나의 네비게이션 명령을 표현할 수 있다. 유사하게, 우측 베젤 영역 아래로 및 하단 베젤 영역을 거쳐 좌측 베젤 영역으로 스와이프하는 사용자 상호작용은 또 다른 네비게이션 명령을 표현할 수 있다. 추가 명령들에 상응하는 추가 사용자 상호작용들이 또한 통합될 수 있다. 추가 사용자 상호작용들은 일단의 사용자 선호도 설정들을 통해 미리 정의되거나 프로그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사용자 상호작용들은 상이한 명령들을 표현하기 위해 프로그램될 수 있다. 많은 명령들은 명령들에 상응하는 상이한 사용자 상호작용들을 위해 프로그램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기술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터치 스크린의 두 개의 인접한 섹션들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들을 제공한다. 도 4a는 제 2 터치 패널 영역(220) 및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 간 전이 영역의 예를 제공한다. 각각의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 및 제 2 터치 패널 영역(220)은 전송 측면(430) 및 수신 측면(440)을 포함하고, 여기서 사용자 입력의 위치는 터치 패널 영역의 전송 측면(430) 및 수신 측면(440) 간 정전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갭(320)은 두 영역들 사이를 구별하기 위해 제 2 터치 패널 영역(220) 및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 사이에 형성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갭(320)은 수신 측면(440)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으로 형성된다. 폭 x(예컨대, 1 mm < x < 2 mm)의 갭은 갭을 형성하기 위해 전송 측면(430)을 연장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두 개의 상이한 터치 패널 영역들의 격자 패턴들의 도전성 물질 사이에서의 작은 비반응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갭(320)에 의해 생성되는 비반응 영역은 언제 하나의 영역에서 생성되는 터치 입력이 다른 영역에서 생성되는 터치 입력으로 전이하는 지에 대한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갭(320)은 제 2 터치 패널 영역(220) 및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을 분리하는 제 5 터치 패널 영역으로 형성된다. 게다가, 도 4a 및 도 4b에 제공되는 예시들은 전송 측면(430)을 연장함으로써 형성된 갭(320)을 도시하지만, 갭(320)은 대안적으로 전송 측면(430)이 존재하지 않는 작은 비반응 영역이 생성되도록 수신 측면(440)을 연장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4a는 제 2 터치 패널 영역(220) 및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에 사용되는 격자 패턴들의 도전성 물질의 상이한 기하학적 구조들의 예시를 더 제공한다. 도면들이 다이아몬드-형태의 격자 패턴들의 활용을 도시하지만, 다른 기하학적 형태들(예컨대, 삼각형들, 정사각형들, 직사각형들, 원형들 등)이 또한 격자 패턴들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α의 제 1 피치(410)에 상응하는 제 1 기하학적 구조의 격자를 가진다. 제 2 터치 패널 영역(220)은 다른 한편으로, β의 제 2 피치(420)에 상응하는 제 2 기하학적 구조의 격자 패턴을 가진다. 이러한 예에서, 제 1 피치(410)는 제 2 피치(410)보다 큰 것으로 도시된다. 제 2 터치 패널 영역(220) 및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 간 피치를 다르게 하는 것은 격자 패턴의 상이한 기하학적 구조들에 상응한다. 격자 패턴들의 상이한 기하학적 구조들은 제 2 터치 패널 영역(220)으로부터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으로(또는 그 반대로)의 연속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이 불연속적인 이동으로 등록되게 한다.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에서의 격자 패턴의 기하학적 구조가 제 2 터치 패널 영역(220)의 격자 패턴의 기하학적 구조보다 더 작은 피치를 갖기 때문에, 제 2 터치 패널 영역(220)으로부터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으로의 연속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은 사용자 상호작용이 제 2 터치 패널 영역(220) 상에서 있을 때 저속으로 등록하고, 사용자 상호 작용이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으로 전이할 때 고속으로 빠르게 전환(즉, 즉각적으로 가속)할 것이다. 이때 저속 이동에서 고속 이동으로 빠르게 전환하는 것은 베젤 터치 패널 영역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영역으로의 전이로서 식별될 수 있다. 격자 패턴들의 도전성 물질에서의 상이한 기하학적 구조들 및 상이한 피치들의 유사한 활용은 제 3 터치 패널 영역(230) 및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을 구별하는데 더 사용될 수 있다.
도 4b는 또한 격자 패턴들의 도전성 물질에서의 상이한 기하학적 구조들의 예시를 제공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터치 패널 영역(240)은 γ의 제 3 피치(450)에 상응하는 제 3 기하학적 구조의 격자 패턴을 포함하고, 이는 α의 제 1 피치(410)에 상응하는 제 1 기하학적 구조의 격자 패턴과 상이하다. 이러한 예에서, 제 1 피치(410)는 제 3 피치(450)보다 작은 것으로 도시된다. 도 4a와 유사하게, 제 4 터치 패널 영역(240) 및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 사이에 격자 패턴들에서의 기하학적 구조들을 다르게 하는 것은 제 4 터치 패널 영역(240)으로부터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으로(또는 그 반대로)의 연속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이 불연속적인 이동을 등록하게 한다.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에서의 격자 패턴의 기하학적 구조가 제 4 터치 패널 영역(240)의 격자 패턴의 기하학적 구조보다 더 낮은 피치에 상응하기 때문에, 제 4 터치 패널 영역(240)으로부터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으로의 연속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은 사용자 상호작용이 제 4 터치 패널 영역(220) 상에 있을 때 저속으로 등록하고, 사용자 상호 작용이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으로 전이할 때 고속으로 빠르게 전환할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저속 이동에서 고속 이동으로 빠르게 전환하는 것은 또한 베젤 터치 패널 영역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영역으로의 전이로서 식별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갭(460)은 또한 하단 베젤 터치 패널 영역(240) 및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영역(210) 사이에서의 작은 비반응 영역을 제공하는 제 5 터치 패널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신 측면(440)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으로서 형성되는, 두 개의 상이한 터치 패널 영역들 사이의 비반응 영역은 또한 언제 하나의 영역에서 생성되는 터치 입력이 다른 영역에서 생성되는 터치 입력으로 전이하는 지에 대한 결정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베젤 터치 패널 영역들 및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영역 간 달라지는 기하학적 구조들은 사용자 상호작용의 영역에서의 구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터치 패널 영역(220)에서의 피치는 제 2 터치 패널 영역(220)의 격자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다이아몬드 형태들이 격자 패턴의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에 의해 형성되는 다이아몬드 형태들의 기하학적 영역보다 큰 기하학적 영역들을 가지게 한다. 따라서, 두 개의 터치 패널 영역들의 각각에서의 동일한 사용자 상호작용(예컨대, 손가락 끝 터치)은 상이한 크기들로서 효과적으로 등록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 1 터치 패널 영역(210)의 격자 패턴이 보다 밀접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격자 패턴 상의 손가락 끝 터치는 제 2 터치 패널 영역(220) 상의 격자 패턴의 유사한 손가락 끝 터치의 영역보다 큰 영역을 커버하는 것으로서 등록할 것이고, 이는 밀접하게 결합되는 바와 같지 않다(예컨대, 피치에 있어서 보다 신장된다). 사용자 상호작용들의 크기의 변화는 사용자 상호작용이 베젤 영역에서 발생하는지 또는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발생하는지에 관한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기술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 및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패널 상의 터치 스크린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예를 예시한다. 방법(500)은 터치 스크린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에서의 제 1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패턴의 도전성 물질은 투명하다. 방법은 또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비-디스플레이 베젤 영역에서의 적어도 제 2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적어도 제 2 패턴은 제 1 패턴과 상이하다. 방법은 터치 스크린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 및 비-디스플레이 베젤 영역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의 제 3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 1 및 제 2 패턴들의 도전성 물질은 다이아몬드 형태들을 형성하나; 다른 기하학적 형태들이 또한 격자 패턴들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패턴들은 또한 변화하는 기하학적 구조들(예컨대, 격자 패턴들에서의 상이한 피치들)을 가질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베젤 터치 패널 영역 및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영역 간 변화하는 기하학적 구조들은 터치 패널 영역들 중 하나의 터치 패널 영역으로부터 다른 터치 패턴 영역으로의 연속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을 불연속적인 이동으로 등록하게 한다. 제 3 패턴의 도전성 물질은 터치 스크린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 및 베젤 영역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 제공되고 제 1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적어도 제 2 패턴의 도전성 물질과 분리하는 비반응 영역을 형성한다. 두 개의 상이한 터치 패널 영역들 사이의 비반응 영역은 언제 하나의 영역에서 생성되는 터치 입력이 다른 영역에서 생성되는 터치 입력으로 전이하는지에 대한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추가 패턴들은 터치 스크린의 상이한 섹션들을 더 구분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및 제 5 패턴의 도전성 물질은 또한 터치 스크린 패널이 제공되는 베젤의 다른 섹션들을 표현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 패널의 베젤 영역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 4 및 제 5 패턴들의 피치들은 제 1 및 제 2 패턴들의 피치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양한 구성들을 실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 기술이 다양한 도면들 및 구성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것들은 단지 예시 목적들이고 본 발명 기술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취해지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많은 방법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들 및 요소들은 본 발명 기술의 범위 내에서 도시되는 기능들 및 요소들과 상이하게 분할될 수 있다. 이들 구성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은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일반적인 원리들이 다른 구성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변경들 및 수정들이 본 발명 기술의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본 발명 기술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개시된 프로세스들에서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은 대표적 접근법들의 예시라는 점이 이해된다. 설계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프로세서들에서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이 재배열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된다. 단계들의 일부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첨부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요소들을 제시하고, 제시되는 특정 순서 또는 계층에 제한되는 것으로 의미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상단", "상부", "하단", "하부", "우측", "좌측", "위", "아래", "앞으로", "뒤로" 및 기타와 같은 용어들은 본래의 중력 준거 프레임이 아닌, 임의의 준거 프레임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단 표면, 하단 표면, 전방 표면, 및 후방 표면은 중력 준거 프레임에서 상향으로, 하향으로, 대각선으로, 또는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양상(a aspect)”과 같은 구는 그러한 양상이 본 발명 기술에 필요하거나 그러한 양상이 본 발명 기술의 모든 구성들에 적용되는 것을 암시하지 않는다. 일 양상과 관련되는 발명은 모든 구성들, 또는 하나 이상의 구성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양상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예들을 제공할 수 있다. "양상"과 같은 구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 및 그 반대를 언급할 수 있다. “실시예”와 같은 구는 그러한 실시예가 발명 기술에 필요하거나 그러한 실시예가 발명 기술의 모든 구성들에 적용되는 것을 암시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와 관련되는 발명은 모든 실시예들, 또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예들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와 같은 구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그 반대를 언급할 수 있다. 일 “구성”과 같은 구는 그러한 구성이 본 발명 기술에 필요하거나 그러한 구성이 본 발명 기술의 모든 구성들에 적용되는 것을 암시하지 않는다. 일 구성과 관련되는 발명은 모든 구성들, 또는 하나 이상의 구성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일 구성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예들을 제공할 수 있다. "구성"과 같은 구는 하나 이상의 구성들 및 그 반대를 언급할 수 있다.
게다가, 용어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기타가 설명 또는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그러한 용어는 "포함하다"가 청구항에서 전이어로서 채용될 때 해석되는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하다"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단어 "대표적"은 "예, 사례 또는 예시로서 역할하는"을 의미하도록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대표적"으로 설명되는 임의의 실시예는 반드시 다른 실시예들보다 선호되고 바람직한 것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
단수 요소에 대한 언급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하나 및 단지 하나"를 의미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 이상"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용어 "일부"는 하나 이상을 지칭한다.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공지된 또는 이후에 공지될 본 발명 전체에 걸쳐 설명되는 다양항 구성들의 요소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들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명확하게 원용되고 본 발명 기술에 의해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베젤(bezel) 영역을 포함하는 패널로서, 상기 베젤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상기 패널;
    상기 패널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배열되는, 투명한 제 1 패턴의 도전성 물질; 및
    상기 패널의 상기 베젤 영역 상에 배열되는 제 2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상기 베젤 영역은 좌측 베젤 영역, 우측 베젤 영역, 상단 베젤 영역, 및 하단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젤 영역 상에 배열되는 상기 제 2 패턴의 도전성 물질은 상기 하단 베젤 영역 상에 배열되는, 터치 스크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좌측 베젤 영역 상에 배열되는 제 3 패턴의 도전성 물질 및 상기 우측 베젤 영역 상에 배열되는 제 4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은 제 1 피치(pitch)를 갖는 기하학적 형태의 격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패턴은 제 2 피치를 갖는 다이아몬드 형태의 격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 3 패턴은 제 3 피치를 갖는 다이아몬드 형태의 격자로 형성되며, 상기 제 4 패턴은 제 4 피치를 갖는 다이아몬트 형태의 격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피치는 상기 제 2 피치, 상기 제 3 피치 및 상기 제 4 피치와 상이한, 터치 스크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2 피치는 상기 제 3 피치 및 상기 제 4 피치와 상이한, 터치 스크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3 피치 및 상기 제 4 피치는 서로 상이한, 터치 스크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패널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베젤 영역 사이에 경계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경계 영역에 배열되는 제 5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과 사용자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상기 제 1 패턴의 도전성 물질 및 상기 제 2 패턴의 도전성 물질의 정전용량들의 변화들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상호작용이 상기 패널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위치되는지 또는 상기 패널의 상기 베젤 영역에 위치되는지 결정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11. 터치 스크린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에서의 제 1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패턴의 도전성 물질은 투명한, 상기 제 1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비-디스플레이 베젤 영역에서의 적어도 제 2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어도 제 2 패턴은 상기 제 1 패턴과 상이한, 상기 적어도 제 2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비-디스플레이 베젤 영역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의 제 3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상기 비-디스플레이 베젤 영역에서의 상기 적어도 제 2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는, 하단 베젤 영역 상의 상기 제 2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4 패턴의 도전성 물질이 좌측 베젤 영역 상에 제공되며, 제 5 패턴의 도전성 물질이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상기 비-디스플레이 베젤 영역의 좌측 베젤 영역 상에 제공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은 제 1 피치를 갖는 기하학적 형태의 격자로 제공되고, 상기 제 2 패턴은 제 2 피치를 갖는 기하학적 형태의 격자로 제공되고, 상기 제 4 패턴은 제 3 피치를 갖는 기하학적 형태의 격자로 형성되며, 상기 제 5 패턴은 제 4 피치를 갖는 기하학적 형태의 격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피치는 상기 제 2 피치, 상기 제 4 피치 및 상기 제 5 피치와 상이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2 피치는 상기 제 3 피치 및 상기 제 4 피치와 상이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및 상기 제 2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는 전송하는 도전성 물질 및 수신 도전성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상기 적어도 제 2 패턴의 도전성 물질로부터 분리하는 비반응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비-디스플레이 베젤 영역 사이의 상기 경계 영역에서의 전송하는 도전성 물질 또는 수신 도전성 물질 중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과 사용자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상기 제 1 패턴의 도전성 물질 및 상기 적어도 제 2 패턴의 도전성 물질의 정전용량들의 변화들을 감지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상호작용이 상기 패널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위치되는지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상기 비-디스플레이 베젤 영역에 위치되는지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7. 디스플레이 영역 및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패널;
    상기 패널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배열되는, 투명한 제 1 패턴의 도전성 물질;
    상기 패널의 상기 베젤 영역 상에 배열되는 제 2 패턴의 도전성 물질; 및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과 사용자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상기 제 1 패턴의 도전성 물질 및 상기 제 2 패턴의 도전성 물질의 정전용량들의 변화들을 감지하기 위한 컨트롤러로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상호작용이 상기 패널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위치되는지 또는 상기 패널의 상기 베젤 영역에 위치되는지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턴의 도전성 물질은 하단 베젤 영역 상에 제공되고, 상기 시스템은 좌측 베젤 영역 상에 제공되는 제 3 패턴의 도전성 물질, 및 우측 베젤 영역 상에 제공되는 제 4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은 제 1 피치를 갖는 다이아몬드 형태의 격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턴은 제 2 피치를 갖는 다이아몬드 형태의 격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패턴은 제 3 피치를 갖는 다이아몬드 형태의 격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4 패턴은 제 4 피치를 갖는 다이아몬트 형태의 격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피치는 상기 제 2 피치, 상기 제 3 피치 및 상기 제 4 피치와 상이한, 시스템.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베젤 영역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의 제 5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5 패턴의 도전성 물질은 상기 제 1 패턴의 도전성 물질을 상기 적어도 제 2 패턴의 도전성 물질로부터 분리하는 비감각 영역을 형성하는, 시스템.
KR1020157012220A 2012-10-11 2013-10-08 베젤 민감 터치 스크린 시스템 KR201500702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12738P 2012-10-11 2012-10-11
US61/712,738 2012-10-11
US201361800231P 2013-03-15 2013-03-15
US61/800,231 2013-03-15
US13/891,169 US9785291B2 (en) 2012-10-11 2013-05-09 Bezel sensitive touch screen system
US13/891,169 2013-05-09
PCT/US2013/063911 WO2014058899A1 (en) 2012-10-11 2013-10-08 Bezel sensitive touch scree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255A true KR20150070255A (ko) 2015-06-24

Family

ID=5047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2220A KR20150070255A (ko) 2012-10-11 2013-10-08 베젤 민감 터치 스크린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85291B2 (ko)
EP (1) EP2888648A4 (ko)
KR (1) KR20150070255A (ko)
CN (1) CN104769532B (ko)
AU (1) AU2013329445B2 (ko)
BR (1) BR112015008130A8 (ko)
WO (1) WO20140588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5291B2 (en) 2012-10-11 2017-10-10 Google Inc. Bezel sensitive touch screen system
CN103412667B (zh) * 2013-04-12 2015-04-08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触控显示装置
US9377345B2 (en) 2013-09-11 2016-06-28 Illinois Tool Works Inc. Food product scale
KR101539330B1 (ko) * 2014-04-30 2015-07-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표시패널
US10083289B1 (en) * 2015-10-07 2018-09-25 Google Llc Authentication using an interactive cord
US10047459B1 (en) 2015-10-07 2018-08-14 Google Llc Interactive cord
US9807852B1 (en) 2015-11-02 2017-10-31 Google Inc. Interactive cord with integrated light sources
CN105677085B (zh) 2015-12-31 2018-07-10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触控检测方法
KR102316024B1 (ko) * 2017-03-02 2021-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CN108845694B (zh) * 2018-06-06 2021-07-30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金属网格触控模组
JP7382863B2 (ja) * 2020-03-16 2023-11-17 株式会社ワコム ポインタの位置検出方法及びセンサコントローラ
US11983348B1 (en) * 2023-03-28 2024-05-14 Dell Products L.P. Video conferencing monitor with an advanced panel design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2558A (en) 1984-09-25 1987-06-09 Aquila Technologies Group, Inc. Touch-sensitive data input device
US7663607B2 (en) * 2004-05-06 2010-02-16 Apple Inc. Multipoint touchscreen
US6292178B1 (en) 1998-10-19 2001-09-18 Allergan Sales, Inc. Screen navigation control apparatus for ophthalmic surgical instruments
US20110267263A1 (en) * 2000-07-17 2011-11-03 Microsoft Corporation Changing input tolerances based on device movement
US20030018457A1 (en) 2001-03-13 2003-01-23 Lett Gregory Scott Biological modeling utilizing image data
US6755491B2 (en) 2001-06-26 2004-06-29 Mcelheney Billy W. Operator interface terminal for use in a harsh environment
GB2386707B (en) * 2002-03-16 2005-11-23 Hewlett Packard Co Display and touch screen
US7656393B2 (en) 2005-03-04 2010-02-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US6972401B2 (en) 2003-01-30 2005-12-06 Smart Technologies Inc. Illuminated bezel and touch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US6947032B2 (en) 2003-03-11 2005-09-20 Smart Technologies Inc. Touch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ointer contacts on a touch surface
US7307624B2 (en) * 2003-12-30 2007-12-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sensor with linearized response
US7973771B2 (en) * 2007-04-12 2011-07-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sensor with electrode array
TWI357012B (en) * 2007-05-15 2012-01-21 Htc Corp Method for operating user interface and recording
US8499251B2 (en) 2009-01-07 2013-07-30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page turn
TW201035829A (en) * 2009-03-31 2010-10-01 Compal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creen
US9367205B2 (en) 2010-02-19 2016-06-14 Microsoft Technolgoy Licensing, Llc Radial menus with bezel gestures
US9310994B2 (en) 2010-02-19 2016-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 of bezel as an input mechanism
US8707174B2 (en) 2010-02-25 2014-04-22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hold and page-flip gesture
TWI435292B (zh) * 2010-06-17 2014-04-21 Au Optronics Corp 感測式顯示裝置
US8674959B2 (en) * 2010-06-28 2014-03-18 Intel Corporation Dynamic bezel for a mobile device
KR101654335B1 (ko) 2010-08-25 2016-09-09 주식회사 케이티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방법 및 그 단말
CN107479737B (zh) * 2010-09-24 2020-07-24 黑莓有限公司 便携式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8400431B2 (en) 2010-11-22 2013-03-19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Method to improve performance of a proportional area weighted sensor for two-dimensional locations on a touch screen
US9870093B2 (en) 2010-11-23 2018-01-16 Ge Aviation Systems Ll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ouch screen display use under vibration and turbulence
TWI438662B (zh) 2010-12-01 2014-05-21 Wintek China Technology Ltd 觸控面板及具有此觸控面板的觸控顯示面板
US8780579B2 (en) * 2011-01-05 2014-07-1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20120304107A1 (en) 2011-05-27 2012-11-29 Jennifer Nan Edge gesture
US8884892B2 (en) 2011-08-12 2014-11-11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120042799A (ko) 2012-03-19 2012-05-03 김태상 소프트웨어적으로 활성화되는 베젤을 가진 테블릿피씨
US9785291B2 (en) 2012-10-11 2017-10-10 Google Inc. Bezel sensitive touch screen system
US9557911B2 (en) 2014-01-27 2017-01-31 Lenovo (Singapore) Pte. Ltd. Touch sensitive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5008130A8 (pt) 2018-01-02
CN104769532B (zh) 2018-08-03
AU2013329445A1 (en) 2015-04-09
EP2888648A1 (en) 2015-07-01
WO2014058899A1 (en) 2014-04-17
US20140313156A1 (en) 2014-10-23
EP2888648A4 (en) 2016-05-25
BR112015008130A2 (pt) 2017-07-04
CN104769532A (zh) 2015-07-08
US9785291B2 (en) 2017-10-10
AU2013329445B2 (en)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0255A (ko) 베젤 민감 터치 스크린 시스템
JP6161078B2 (ja) 表示領域エッジでのユーザ入力の検知
US9110566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in portable device
JP6247651B2 (ja) メニュー操作方法及びこれを行うタッチ入力装置を含むメニュー操作装置
JP2020053104A (ja) タッチの種類の判別方法及びこれを遂行するタッチ入力装置
US10031604B2 (en) Control method of virtual touchpad and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JP6577967B2 (ja) ディスプレイ対象の移動方向調節方法及び端末機
JP6326001B2 (ja) カメラの水中操作方法
US10088964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9483145B2 (en) Touch pane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5074618A (zh) 提供自适应触敏区域的可折叠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US9158447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splay method
US20150248186A1 (en) Touch panel
CN104166460B (zh) 一种电子设备及信息处理的方法
JP2014170334A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手持ち式電子機器
EP2889730B1 (en)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illumination region control method of display device
JP2015099577A (ja) タッチパネル
KR102124619B1 (ko) 터치종류 판별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터치 입력 장치
KR20140033644A (ko) 정전식 터치 패널
JP2010257444A (ja) タッチパネル
KR101223315B1 (ko) 입력 장치
KR20130079768A (ko) 터치 센싱 장치 및 터치 제스쳐 인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