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0118A - Stroller - Google Patents

S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0118A
KR20150070118A KR1020157007958A KR20157007958A KR20150070118A KR 20150070118 A KR20150070118 A KR 20150070118A KR 1020157007958 A KR1020157007958 A KR 1020157007958A KR 20157007958 A KR20157007958 A KR 20157007958A KR 20150070118 A KR20150070118 A KR 20150070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wheel
main link
seat
rear wheel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9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69105B1 (en
Inventor
마사시 다니자키
다케시 데라우치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0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1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1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04Carriages supporting a hammock-styl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4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to hold in the fold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4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adjustable or reclining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6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head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유모차는, 사용 상태와 절첩(折疊)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다. 유모차는, 전륜을 지지한 전륜 지지 요소와, 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며 또한 후륜을 지지하는 후륜 지지 요소와, 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주(主) 링크 요소와, 주 링크 요소와 후륜 지지 요소 사이를 연장하고 또한 주 링크 요소와 후륜 지지 요소 각각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한 연결 링크 요소를 갖는다.The stroller can be deformed between the use state and the folded state. The stroller includes a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supporting a front wheel, a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connected to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and supporting the rear wheel, a main link element connect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And a connecting link element extending between the main link element and the rear wheel support element and being rotatable relative to each of the main link element and the rear wheel support element.

Description

유모차{STROLLER}Stroller {STROLLER}

본 발명은, 사용 상태와 절첩(折疊)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간이한 구성을 가짐과 함께, 절첩해서 보관할 때에 시트가 더러워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carriage which is deformable between a use state and a folded st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by carriage which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effectively prevent the seat from becoming dirty when folded and stored.

EP 1972522A2(CN 101269667A)에는,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한 유모차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유모차는, 후각(後脚)(6)과, 후각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핸들바(4)와, 핸들바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전각(前脚)(2)과, 전각(2)과 후각(6) 사이를 연결하는 가로재(8, 9)를 갖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유모차는, 사용 상태에서 절첩 상태로 변형시킬 때, 핸들바가 후방측으로 쓰러지도록 후각에 대해서 회동한다.EP 1972522A2 (CN 101269667A) discloses a stroller which is deformable between a use state and a folded state. The strolle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s provided with a rear leg 6, a handle bar 4 rotatably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horn, a front leg 2 rotatably attached to the handle bar, And transverse members 8 and 9 connecting between the full angle 2 and the smell 6. In the baby carriag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when the baby carriage is deformed from the use state to the folded state, the baby carriage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mell so that the handlebar collapses to the rear side.

그런데, 통상, 유유아(乳幼兒)가 착석하는 시트는, 핸들바나, 절첩 동작시에 핸들바와 동일한 동작을 행하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유모차에서는, 핸들바가 후방측으로 쓰러지는 절첩 상태에서, 시트의 유유아에 접촉하게 되는 면이 바깥쪽으로 노출된다. 이 때문에, 유모차를 절첩해서 보관할 때에, 이물 등이 시트에 부착되거나 하여 시트가 더러워지기 쉬워진다.In general, the seat on which the infant is seated is supported by a handle bar or a support portion that performs the same operation as the handle bar during the folding operation. Therefore, in the baby carriag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in a folded state in which the handlebar collapses to the rear side, the fac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aby's baby is exposed to the outside. For this reason, when the baby carriage is folded and stored, foreign matter or the like sticks to the seat, and the seat tends to become dirty.

EP 1972522A2(CN 101269667A)EP 1972522A2 (CN 101269667A)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간이한 구성을 가짐과 함께, 절첩해서 보관할 때에 시트가 더러워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oller which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effectively prevent a sheet from being dirty when folded and stored.

또, EP 1972522(CN 101269667)에 개시된 유모차는, 절첩 상태에서, 전륜 및 후륜이 이간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유모차는, 절첩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자립(自立)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절첩한 유모차의 취급성이 나쁘고, 또한, 절첩한 유모차에 필요로 되는 보관 스페이스가 넓게 되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의해, 이러한 문제가 해소되면 더욱 편리하다.Further, the baby carriage disclosed in EP 1972522 (CN 101269667)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folded state. Such a baby carriage can not stably stand up in a folded state. As a result, the handleability of the folded baby carriage is poor, and the storage space required for the folded baby carriage is wide. The baby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convenient when such a problem is solved.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는,In the first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게 한 유모차로서,A stroller which is deformable between a use state and a folded state,

전륜(前輪)을 지지한 전륜 지지 요소와,A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for supporting a front wheel,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며, 또한 후륜(後輪)을 지지하는 후륜 지지 요소와,A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connected to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in a relatively rotatable manner and supporting a rear wheel,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주(主) 링크 요소와,A main link element connect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후륜 지지 요소 사이를 연장하고, 또한,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후륜 지지 요소 각각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한 연결 링크 요소를 구비한다.And a connecting link element extending between the main link element and the rear wheel support element and relativ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each of the main link element and the rear wheel support element.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In the first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연결 링크 요소는,The connecting link element comprises:

상기 주 링크 요소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보다 상기 사용 상태에서 하방이 되는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또한,Wherein the main link element is rotatably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main link element which is lower than the center of rotation relative to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in the use state,

상기 후륜 지지 요소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보다 상기 후륜으로부터 이간하는 측이 되는 연장 돌출부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The rear wheel support element may be rotatably attached to an extending projection that is a side away from the rear wheel relative to a center of rotation relative to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가,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핸들을 더 구비해도 된다. 혹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서, 상기 주 링크 요소가 핸들을 구성해도 된다.The first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connect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main link element. Alternatively, in the first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link element may constitute a handle.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절첩 상태로 변형시킬 때, 상기 주 링크 요소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이 전방측으로 쓰러지도록 상기 주 링크 요소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에 대해서 회동하여, 상기 주 링크 요소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던 부분이 상기 전륜 지지 요소에 접근하도록 해도 된다.In the first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forming from the use state to the folded state, a portion of the main link element exten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rotation relative to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The main link element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so that the front link element is collapsed so that the portion of the main link element exten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rotation relative to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approaches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do.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절첩 상태로 변형시킬 때, 상기 전륜 및 상기 후륜이 서로 접근하도록, 상기 전륜 지지 요소 및 상기 후륜 지지 요소가 상대 회동해도 된다.In the first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re deformed from the use state to the folded state,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may be relatively rotated.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In the first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주 링크 요소는, 상기 전륜 지지 요소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의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위치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 및 상기 주 링크 요소의 상대 회동 중심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과 걸어 맞출 수 있고,Wherein the main link element is capable of engaging with a portion of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which is located between a position for supporting the front wheel of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and a relative rotation center of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and the main link element,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의 상기 부분이 걸어 맞춰짐으로써,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의 상대 회동이 규제되도록 해도 된다.The relative rotation of the main link element and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may be regulated by engaging the main link element and the portion of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In the first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전륜 지지 요소는, 상기 주 링크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과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위치 사이를 적어도 연장하는 전각 부재와, 상기 전각 부재에 설치된 접속 부재를 갖고,Wherein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includes a full-width-wise member at least extending between a center of rotation relative to the main link element and a position for supporting the front wheel, and a connecting member provided on the full-

상기 후륜 지지 요소는, 상기 접속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Wherein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connecting member,

상기 주 링크 요소는, 상기 접속 부재에 걸어 맞출 수 있으며,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가 걸어 맞춰짐으로써,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의 상대 회동이 규제되도록 해도 된다.The main link element can engage with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main link element and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can be regulated by engaging the main link element and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유모차에 승차하는 유유아의 둔부(臀部)에 대면하게 되는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 링크 요소는,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first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at support part plate which faces the buttocks of the infant riding on the baby carriage may be provided, and the connection link element may be formed by the seat support part support plate.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In the first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의 양 측방에 한 쌍의 상기 주 링크 요소가 설치되고,A pair of the main link element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at support portion,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의 양 측방에 한 쌍의 상기 후륜 지지 요소가 설치되고,A pair of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at supporting portion support plate,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의 양 측방에 한 쌍의 상기 전륜 지지 요소가 설치되고,A pair of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at supporting portion support plate,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의 양측부가, 각각, 상기 연결 링크 요소를 구성하고, 대응하는 측의 주 링크 요소 및 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며,Wherein both side portions of the sitting support plate constitute the connecting link element and are connect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main link element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on the corresponding side,

각 전륜 지지 요소가, 대응하는 측의 주 링크 요소 및 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Each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s may be connected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main link element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둔부에 대면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대면해서 유지체가 배치되고, 상기 유지체와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유모차의 전개(展開) 상태에서 적어도 후방으로 개구된, 수용(收容)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first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ing body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surface of the seat-sitting portion support plate opposite to the side facing the buttocks, and between the holding body and the seat- A receiving space may be formed which is open at least rearward in a deployed state.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 부분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first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andle may be provided at a rear portion of the seat supporting portion support plate.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유모차의 절첩 상태에서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해도 된다.In the first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seat supporting portion support plate in a folded state of the baby carriage.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에 짐 걸이 훅(hook)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first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ok hanger may be provided on the seat supporting plate.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가, 앉음부와, 상기 앉음부와 접속된 등받이부와, 상기 앉음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측방에 설치된 측벽부를 갖는 시트를 더 구비하고,The first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t having a seat portion, a back portion connected to the seat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at portion and the back portion,

상기 후륜 지지 요소는,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을 넘어, 상기 후륜을 지지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를 갖고,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has an extending projection that extends beyond the center of relative rotation with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and that is extended from the side supporting the rear wheel,

상기 시트의 상기 측벽부는, 상기 연장 돌출부와, 상기 주 링크 요소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The side wall portion of the seat may be attached to the extending projection and a portion of the main link element exten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rotation relative to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in the use state.

본 발명에 의한 제 2 유모차는,In the second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한 유모차로서,As a deformable stroller between the use state and the folded state,

전륜을 지지한 전륜 지지 요소와,A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for supporting a front wheel,

후륜을 지지하고,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한 후륜 지지 요소와,A rear wheel support element that supports the rear wheel and is relatively rotatable with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상기 전륜 지지 요소 및 상기 후륜 지지 요소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한 핸들을 구비하고,And a handle rotatable relative to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and the rear wheel support element,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절첩 상태로 변형시킬 때, 상기 핸들이 전방측으로 쓰러지도록 상기 전륜 지지 요소에 대해서 회동하여, 상기 핸들 및 상기 전륜 지지 요소가 서로 접근하고, 또한, 상기 전륜 및 상기 후륜이 서로 접근하도록 상기 전륜 지지 요소 및 상기 후륜 지지 요소가 상대 회동한다.The handle and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re deformed from the use state to the folded state,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are relatively rotated.

본 발명에 의한 제 2 유모차가, 앉음부와, 상기 앉음부와 접속된 등받이부와, 상기 앉음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측방에 설치된 측벽부를 갖는 시트를 더 구비하고,The second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seat having a seat portion, a back portion connected to the seat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at portion and the back portion,

상기 후륜 지지 요소는,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을 넘어, 상기 후륜을 지지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를 갖고,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has an extending projection that extends beyond the center of relative rotation with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and that is extended from the side supporting the rear wheel,

상기 시트의 상기 측벽부는, 상기 연장 돌출부와, 상기 핸들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The side wall portion of the seat may be attached to a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extending projection and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of the handle in the use state.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 또는 제 2 유모차는, 앉음부와, 상기 앉음부와 접속된 등받이부를 갖는 시트를 더 구비하고,The first baby carriage or the second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seat having a sitting portion and a back portion connected to the sitting portion,

상기 후륜 지지 요소는,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을 넘어, 상기 후륜을 지지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를 갖고,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has an extending projection that extends beyond the center of relative rotation with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and that is extended from the side supporting the rear wheel,

상기 연장 돌출부에 상기 시트가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And the sheet may be supported by the extending projection.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 또는 제 2 유모차에 있어서,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시(側面視)에서, 상기 연장 돌출부의 상기 시트를 지지하는 부분이 전후 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각도는, 상기 후륜 지지 요소 중 상기 후륜을 지지하는 위치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전후 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각도보다 작게 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first baby carriage or the second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formed by the portion of the extending projection that supports the seat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side view (side view)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may be smaller than an angle formed between the position for supporting the rear wheel and the center of rotation relative to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with respect to the front-rear direction.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 또는 제 2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연장 돌출부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시에서, 전후 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각도가 전방측에서 작아지도록 구부러져 있어도 된다.In the first baby carriage or the second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ding projection may be bent such that the angle form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 the side view in the use state becomes smaller at the front side.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 또는 제 2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절첩 상태의 측면시에서, 상기 전륜 및 상기 후륜이 접지면에 접지한 상태에서, 상기 전륜 지지 요소 및 상기 후륜 지지 요소의 상대 회동 중심은, 상기 접지면을 따른 방향에서 상기 전륜의 접지 위치와 상기 후륜의 접지 위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In the first baby carriage or the second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ive rotation center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wh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 And may be located between the ground position of the front wheel and the ground position of the rear wheel in the direction along the ground surface.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 또는 제 2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유모차가 자립 가능해도 된다.In the first baby carriage or the second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by carriage may be self-supporting in the folded state.

본 발명에 의하면, 유모차가 간이한 구성을 갖고, 또한, 유모차를 절첩해서 보관할 때에, 시트가 더러워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oller has a simple structure, and when the stroller is folded and stor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seat from becoming dir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사용 상태에 있는 유모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사용 상태에 있는 도 1의 유모차의 유모차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사용 상태에 있는 도 2의 유모차 본체를 측방에서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사용 상태에 있는 유모차 본체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5는,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 본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사용 상태에서 절첩 상태로 변형 중인 유모차 본체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8은, 도 5의 VIII-VI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9는, 사용 상태에 있는 유모차 본체의 구성 요소를 측방에서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선도(線圖).
도 10은,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 본체의 구성 요소를 측방에서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선도.
도 11은, 도 2에 대응하는 사시도로서, 유모차 본체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2에 대응하는 사시도로서, 유모차 본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9에 대응하는 선도로서, 도 12의 유모차 본체의 구성 요소를 측방에서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도 1에 대응하는 사시도로서, 유모차 본체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도 2에 대응하는 사시도로서, 도 14의 유모차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도 9에 대응하는 선도로서, 도 15의 유모차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도 5에 대응하는 측면도로서, 절첩 상태에 있는 도 15의 유모차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도 6에 대응하는 사시도로서, 절첩 상태에 있는 도 15의 유모차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carriage in a use state,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by carriage body of the baby carriage of Fig. 1 in use; Fig.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baby carriage body of Fig. 2 in a use state from the side. Fig.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carriage body in a use stat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baby carriage body in a folded stat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carriage body in a folded state;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carriage body being deformed from a use state to a folded state;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I-VIII in Fig. 5;
Fig. 9 is a diagram (lin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baby carriage body in a use state from the side. Fig.
Fig.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view of the components of the baby carriage body in the folded state. Fig.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2,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baby carriage body. Fig.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2,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baby carriage body; Fig.
Fig. 13 is a diagram corresponding to Fig. 9,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view of the components of the baby carriage body of Fig. 12; Fig.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1,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baby carriage body; Fig.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2, showing the baby carriage body of Fig. 14; Fig.
Fig. 16 is a diagram corresponding to Fig. 9, showing the baby carriage body of Fig. 15; Fig.
Fig. 17 is a side view corresponding to Fig. 5, showing the baby carriage body of Fig. 15 in a folded state; Fig.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6, showing the baby carriage body of Fig. 15 in a folded state; Fig.

이하에, 도 1~도 10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Fig.

도 1에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의 전체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시된 유모차(10)는, 전륜(21) 및 후륜(31)을 갖는 유모차 본체(15)와, 유모차 본체(15)에 장착된 시트(시트 유닛)(70)와, 유모차 본체(15)에 부착된 어닝(awning; 75)을 갖고 있다. 이 유모차(10)에서는, 시트(70) 위에 유유아가 앉거나 자게 된다. 도 1, 도 9, 도 10, 도 14 및 도 16 이외의 도면에서는, 이해의 편의상, 시트(70)를 분리한 상태에서 유모차(10)를 나타내고 있다. 시트(70)는, 앉음부(71)와, 앉음부(71)와 접속되어 앉음부(71)의 후방에 위치하는 등받이부(72)와, 앉음부(71) 및 등받이부(72)로부터 양 측방으로 연장 돌출된 좌우의 측벽부(73)를 갖고 있다. 유모차(10)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폭 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해서 대체로 대칭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Fig. 1 shows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baby carriage 10 in one embodiment. The illustrated baby carriage 10 includes a baby carriage body 15 having a front wheel 21 and a rear wheel 31, a seat (seat unit) 70 mounted on the baby carriage body 15, And has an attached awning 75. In this baby carriage (10), the baby sit on the seat (70) or fall asleep. 1, 9, 10, 14, and 16, the stroller 10 is shown in a state in which the seat 70 is separated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The seat 70 includes a sitting portion 71 and a backrest portion 72 which is connected to the sitting portion 71 and is located behind the sitting portion 71 and a backrest portion 72 which is connected to the sitting portion 71 and the backrest portion 72 And left and right sidewall portions 73 extending in both lateral directions. The baby carriage 10 as a whole is gener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여기에서 설명하는 유모차(10)는, 도 1~도 3, 도 5, 도 6,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 상태(전개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첩 상태의 유모차(10)는, 보관 등에 적합한 치수가 되도록, 사용 상태의 유모차(10)와 비교해서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소형화된다. 유모차 본체(15)의 많은 구성 요소는, 절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시트(70)는, 유연성을 갖는 포재(布材)나 메시(mesh)재 등을 사용해서 형성되어 있고, 유모차 본체(15)의 동작에 따라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 변형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Fig. 5, Fig. 6, Fig. 9, and Fig. 10, the baby carriage 10 described herein can be deformed between the use state (unfolded state) and the folded state. As shown in the figure, the folded stroller 10 is downsiz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in the width direction as compared with the stroller 10 in use so as to have a size suitable for storage or the like. Many components of the baby carriage body 15 ar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in order to enable folding. The seat 70 is formed by using flexible fabric or mesh material or the like and is deformed between the use state and the 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body 15. [

또, 본 명세서 중에서, 유모차(10) 및 유모차 본체(15)에 대한 「전」, 「후」, 「상」 및 「하」의 용어는, 특별한 지시가 없는 경우, 사용 상태(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및 「하」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후 방향」이란, 도 1에 있어서의 지면(紙面)의 좌측 하방과 우측 상방을 잇는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이란, 승차한 유유아가 향하는 측이며,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측 하방측이 「전방측」이 된다. 한편,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함과 함께 유모차(10)의 접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유모차(10)의 접지면이 수평면인 경우, 「상하 방향」이란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가로 방향」 및 「폭 방향」이란, 「전후 방향」및 「상하 방향」 중 어느 것에나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한, 「우」 및 「좌」에 대해서도, 각각,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가로 방향 또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우」 및 「좌」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s "before", "after", "upper", and "lower" for the baby carriage 10 and the baby carriage body 15 are used in the use state (unfolded state) Quot ;, " back ", " upper ", and " lower " Therefore, the "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 corresponds to a direction connecting the lower left portion and the upper right portion of the paper surface in Fig. Unless otherwise indicated, the term " before " means the side toward the infant who rides, and the lower left side of the paper in Fig. 1 is the " front side ". On the other hand, the " vertical direction "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back direction an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plane of the baby carriage 10. [ Therefore, when the ground contact surface of the baby carriage 10 is a horizontal plane, the " vertical direction "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re directions orthogonal to any of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up-down direction". The "right" and "left" also mean "right" and "left" in the later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with reference to an infant who rides on the baby carriage 10.

우선, 유모차 본체(15)에 대해서 상술하고, 그 후에, 유모차 본체(15)에 부착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설명한다.First, the components of the baby carriage body 15 described above and attached to the baby carriage body 15 thereafter will be described.

도 1~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5)는, 전륜(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전륜 지지 요소(20)와, 전륜 지지 요소(20)와 상대 회동 가능하며, 또한 후륜(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후륜 지지 요소(30)와, 전륜 지지 요소(20) 및 후륜 지지 요소(30)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한 핸들(50)을 갖고 있다.1 to 10, the baby carriage body 15 includes a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that rotatably supports the front wheel 21 and a rear wheel supporting member 20 which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31 and a handle 50 which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도시된 예에서는, 예를 들면 도 2~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50)은,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주부(主部; 51)와, 한 쌍의 주부(51)를 연결하는 연결부(52)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각 주부(51)는, 유모차 본체(15)가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 변형될 때에 링크재로서 기능하는 주 링크 요소(40)를 구성하고 있다. 즉,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주 링크 요소(40)가 핸들(50)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2~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5)에는, 대응하는 측의 주 링크 요소(40)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한 쌍의 전륜 지지 요소(20)와, 대응하는 측의 전륜 지지 요소(20)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한 쌍의 후륜 지지 요소(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모차(10)는, 대응하는 측의 주 링크 요소(40) 및 후륜 지지 요소(30) 사이를 연장하며, 또한 대응하는 측의 주 링크 요소(40) 및 후륜 지지 요소(30) 각각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한 연결 링크 요소(60)를 더 갖고 있다.2 to 7, the handle 50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main portions 51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main portions 51, And a connection portion 52. Each of the main portions 51 constitutes a main link element 40 which functions as a link member when the baby carriage body 15 is deformed between the use state and the folded state. That i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main link element 40 constitutes a part of the handle 50. 2 to 7, the baby carriage body 15 is provided with a pair of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s 20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main link element 40 in a relatively rotatable manner, And a pair of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s 30 which are connected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corresponding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s 20 are provided. The baby carriage 10 also extends between the main link element 40 and the rear wheel support element 30 on the corresponding side and also extends between the main link element 40 and the rear wheel support element 30 on the corresponding side And has a connection link element 60 that can be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plate.

도 3 및 도 9로부터 잘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전륜 지지 요소(20)는, 하방 부분에서,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하단에서, 전륜(21)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각 전륜 지지 요소(20)는, 전륜(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각으로서 기능하는 전각 부재(23)와, 전각 부재(23)의 중간부에 부착된 제 1 접속 부재(25)를 갖고 있다. 전각 부재(23)는, 전륜(21)을 지지하는 위치로부터,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의 상대 회동 중심(RC2)까지의 사이를 적어도 연장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전각 부재(23)는, 하단에서 전륜(21)을 지지함과 함께, 상단에서 주 링크 요소(40)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전각 부재(23)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 파이프와, 당해 파이프의 일단(一端)에 고정되며, 또한 차륜을 회전 가능하고 또한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스터 기구로 구성될 수 있다.As can be understood from Figs. 3 and 9, each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rotatably holds the front wheel 21 at the lower portion, particularly at the lower end in the illustrated example. Each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s 20 has a front engaging member 23 functioning as a front engaging portion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front wheel 21 and a first connecting member 25 attach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front engaging member 23 have. The full angle member 23 at least extends from a position for supporting the front wheel 21 to a relative rotation center RC2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ull-width member 23 supports the front wheel 21 at the lower end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link element 40 at the upper end. The full-width member 23 can be composed of, for example, a metal pipe such as an aluminum alloy, and a caster mechanism fixed to one end of the pipe and also capable of supporting the wheel rotatably and pivotally.

제 1 접속 부재(25)는, 전각 부재(23)에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전륜 지지 요소(20)는, 제 1 접속 부재(25)에 의해, 동일한 측에 위치하는 후륜 지지 요소(30)와 회동 가능하게 피벗 부착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 1 접속 부재(25)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 내를 따라 전각 부재(23)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있다. 한편, 후륜 지지 요소(30)는, 전륜 지지 요소(20)에 대해서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접속 부재(25) 및 후륜 지지 요소(30)는, 축 부재(28)에 의해 관통됨으로써, 피벗 부착되어 있다. 즉, 도시된 예에서는, 전륜 지지 요소(20) 및 후륜 지지 요소(30)가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단,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전륜 지지 요소(20) 및 후륜 지지 요소(30)가, 다른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The first connecting member (25) is fixed to the full-width member (23). 4, each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s 20 is pivotably attached to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located on the same side b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5. [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5 is extended from the full-width member 23 along the inner sid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s shown in Fig. 4,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5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are pivotally attached by being pierced by the shaft member 28. As shown in Fig. That is,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are directly conn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may be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nother member.

도 3 및 도 9로부터 잘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후륜 지지 요소(30)는, 하방 부분에서,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하단에서, 후륜(31)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각 후륜 지지 요소(30)는, 후륜(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각으로서 기능하는 후각 부재(33)를 갖고 있다. 후각 부재(33)는, 후륜(31)을 지지하는 위치로부터, 전륜 지지 요소(20)와 후륜 지지 요소(30)의 상대 회동 중심(RC1)까지의 사이를 적어도 연장하고 있다. 후각 부재(33)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 파이프와, 당해 파이프의 일단에 고정되며 또한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 기구로 구성될 수 있다.As can be understood from Figs. 3 and 9, each of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s 30 rotatably holds the rear wheel 31 at a downward portion, particularly at a bottom end in the illustrated example. Each of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s 30 has a smell member 33 functioning as a smell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rear wheel 31. [ The smell member 33 at least extends from the position for supporting the rear wheel 31 to the relative rotation center RC1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 The smell member 33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 metal pipe such as an aluminum alloy, and a holding mechanism fixed to one end of the pipe and holding the wheel rotatably.

도시된 예에서는, 후각 부재(33)는, 하단에서 후륜(31)을 지지함과 함께, 전륜 지지 요소(20)와 후륜 지지 요소(30)의 상대 회동 중심(RC1)을 넘어 후륜(31)을 지지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즉, 후각 부재(33)는, 후륜(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유지 기구를 포함하는 후각부(34)와, 전륜 지지 요소(20)와 후륜 지지 요소(30)의 상대 회동 중심(RC1)을 사이에 두고 후각부(34)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연장 돌출부(35)를 갖고 있다. 도 1 및 도 9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연장 돌출부(35)에는, 시트(70)의 앉음부(71)가 부착되어 있다. 즉, 도시된 형태에서는, 후륜 지지 요소(30)에 의해, 시트(70)의 앉음부(71)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70)의 앉음부(71)를 지지하기 위한 전용 부재를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모차(10)를 구성하는 부품 개수를 감소시켜 유모차(10)의 구성을 간략화 및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smell member 33 supports the rear wheel 31 at the lower end and moves the rear wheel 31 beyond the relative rotation center RC1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smell member 33 includes a rear corner portion 34 including a holding mechanism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rear wheel 31, and a relative rotation center RC1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And an extending projection 35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ear corner portion 34 with a space therebetween. 1 and 9, the sitting portion 71 of the seat 70 is attached to the extending projection 35. As shown in Fig. That i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eat support portion 30 of the seat 70 can support the sitting portion 71. Therefore, a dedicated member for supporting the sitting portion 71 of the seat 70 can be omitted. As a result, the number of parts constituting the baby carriage 10 can be reduc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simplified and reduced in weight.

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유모차의 측면시에서, 연장 돌출부(35)의 시트를 지지하는 부분이 전후 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각도(θa)는, 후륜 지지 요소(30) 중 후각부(34)가 전후 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각도(θb)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연장 돌출부(35)가 앉음부(71)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 유효하게 기능하여, 앉음부(71)를 적절한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9, the angle? A formed by the portion of the extending projection 35 that supports the seat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side view of the baby carriage in the used state is the same as the angle? Is smaller than the angle &thetas; b of the rear corner portion 34 with respect to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extending projection 35 effectively functions as a frame for supporting the sitting portion 71, so that the sitting portion 71 can be supported in a proper direction.

도시된 형태에서, 도 9로부터 잘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연장 돌출부(35)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유모차의 측면시에서, 전후 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각도가 전방측에서 작아지도록 구부러져 있다. 특히 도시된 형태에서는, 연장 돌출부(35)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유모차의 측면시에서 굴곡되어 있고, 굴곡 개소를 사이에 두고 연장 돌출 단부(端部)(36) 및 연장 돌출 기부(基部)(37)를 갖고 있다. 연장 돌출 기부(37)는, 후각부(34)에 연결되어 있다. 연장 돌출 단부(36)는, 연장 돌출 기부(37)에 전방에서 연결되어 있다. 시트(70)의 앉음부(71)는, 전후 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각도(θa)가 작은 연장 돌출 단부(36)에 부착되어 있다.9, the extending projection 35 is bent such that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extending projection 35 and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side view of the baby carriage in the used state becomes smaller at the front side. In particular,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extended projection 35 is bent at the side of the baby carriage in the used state, and the extended projection end 36 and the extended projection base (base) (37). The extended projection base 37 is connected to the rear leg portion 34. The extended projecting end 36 is connected to the extended projecting base 37 from the front. The sitting portion 71 of the seat 70 is attached to an extending projection 36 having a small angle? A form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다음으로, 핸들(50)의 주부(51)를 구성하는 주 링크 요소(40)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 링크 요소(40)는, 핸들(50)의 주부(51)의 하방 부분을 구성하는 주 링크부(41)와, 주 링크부(41)에 부착된 제 2 접속 부재(43)를 갖고 있다. 주 링크부(41)는, 핸들(50)의 주부(51) 및 연결부(52)를 이루는 대략 U자 형상의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제의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main link element 40 constituting the main portion 51 of the handle 50 will be described. The main link element 40 has a main link portion 41 constituting a lower portion of the main portion 51 of the handle 50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43 attached to the main link portion 41 . The main link portion 41 may be constituted by a substantially U-shaped material such as an aluminum alloy pipe constituting the main portion 51 and the connecting portion 52 of the handle 50.

제 2 접속 부재(43)는, 주 링크 요소(40)의 주 링크부(41)에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주 링크 요소(40)는, 제 2 접속 부재(43)에 의해, 동일한 측에 위치하는 전륜 지지 요소(20)와 회동 가능하게 피벗 부착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 2 접속 부재(43)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 내를 따라 주 링크부(41)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접속 부재(43)를 통해 접속된 주 링크부(41) 및 전륜 지지 요소(20)의 전각 부재(23)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배치 위치는 동일하게 되어 있다.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3 is fixed to the main link portion 41 of the main link element 40. As shown in Fig. 4, each of the main link elements 40 is pivotally attached to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located on the same side by a second connecting member 43. As shown in Fig.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3 is extended and protruded from the main link portion 41 along the inner sid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main link portion 41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3 and the full-angular member 23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have the same arrangement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접속 부재(43)는, 주 링크부(41)에 고정된 본체부(44)와, 본체부(44)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한 쌍의 지지벽부(45)를 갖고 있다. 전륜 지지 요소(20)의 전각 부재(23)가, 한 쌍의 지지벽부(4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축 부재(46)가, 제 2 접속 부재(43)의 지지벽부(45) 및 전륜 지지 요소(20)의 전각 부재(23)를 관통함으로써, 전륜 지지 요소(20) 및 주 링크 요소(40)가 피벗 부착되어 있다. 즉, 도시된 예에서는, 전륜 지지 요소(20) 및 주 링크 요소(40)가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단,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전륜 지지 요소(20) 및 주 링크 요소(40)가, 다른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4,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3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44 fixed to the main link portion 41 and a pair of supporting wall portions 44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portion 44 in the front- 45). The full-angular member 23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ing wall portions 45. [ The shaft member 46 penetrates the supporting wall portion 45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3 and the full angle member 23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member 20 so that the front wheel supporting member 20 and the main link member 40, Is pivoted. That is,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are directly conn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may be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nother member.

도시된 형태에서는, 전각 부재(23)의 상단 부분이, 한 쌍의 지지벽부(45) 사이에 배치되고, 축 부재(46)에 의해 관통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각 부재(23)의 상단 부분에는 단(端) 부재(24)가 끼워 넣어져 있고, 단 부재(24)는, 전각 부재(23)와 함께, 축 부재(46)에 의해 관통 유지되어 있다. 단 부재(24)는 측면시에서 호(弧) 형상의 윤곽을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 부재(24)는, 측면시에서, 전각 부재(23)의 축 부재(46)에 의해 관통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한 원호, 바꿔 말하면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의 상대 회동 중심(RC2)을 중심으로 한 원호를 따라 연장되는 윤곽을 갖고 있다. 이러한 단 부재(24)는, 전각 부재(23)의 상단과 제 2 접속 부재(43)의 본체부(44) 사이의 극간을 메워,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의 상대 회동시에, 전각 부재(23)의 상단과 제 2 접속 부재(43)의 본체부(44) 사이에 의류 등이 끼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ull-width member 23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wall portions 45 and is penetrated by the shaft member 46. 4, the end member 24 is fitted i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ull-width member 23 and the end member 24 is fixed to the shaft member 46 together with the full- As shown in Fig. The end member 24 has an arc-shaped outline at a side view. More specifically, the end member 24 has, at the side surface thereof, an arc centered at a position passing through the shaft member 46 of the full-width member 23, in other words, And has a contour extending along an arc centered on the relative rotation center RC2 of the arm 40. The end member 24 is provided to cover the gap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ull-width member 23 and the main body portion 44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3,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garment or the like from being stuck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ull-width member 23 and the main body portion 44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3 at the same time.

또한, 도시된 형태에서는, 유모차(10)의 사용 상태에서, 주 링크 요소(40)는, 전륜 지지 요소(20) 중, 전륜 지지 요소(20)의 전륜(21)을 지지하는 위치와, 전륜 지지 요소(20) 및 주 링크 요소(40)의 상대 회동 중심(RC2) 사이가 되는 부분과 걸어 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주 링크 요소(40)와 전륜 지지 요소(20)가 걸어 맞춰짐으로써, 주 링크 요소(40)와 전륜 지지 요소(20)의 상대 회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모차(10)의 사용 상태에서, 전륜 지지 요소(20)의 상방 부분과, 주 링크 요소(40)의 하방 부분이, 대체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영역의 양단에서,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가 서로 접속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가 서로 접속됨으로써, 주 링크 요소(40)와 전륜 지지 요소(20)의 상대 회동이 규제되게 되어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n the state of use of the baby carriage 10, the main link element 40 is positioned between the position for supporting the front wheel 21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mong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Can be engaged with a portion between the support element 20 and the relative rotation center RC2 of the main link element 40. [ The main link element 40 and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main link element 40 and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is regulated. More specifically, in the use state of the baby carriage 10,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link element 40 extend substantially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region,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main link element 40 and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is regulated by connecting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to each other.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5)는, 각 구성 요소를 상대 회동시킴으로써,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 링크 요소(40) 및 전륜 지지 요소(20) 중 서로를 따라 연장되는 부분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간된 2개소에서 접속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 링크 요소(40) 및 전륜 지지 요소(20)의 상대 회동을 안정적으로 규제하여, 유모차(10)를 사용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aby carriage body 15 is deformable between the use state and the folded state by relatively rotating each constituent element.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link element 40 and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wo portions separ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40 and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is stably regulated and the baby carriage 10 can be stably maintained in the use state.

특히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주 링크 요소(40)의 하방 부분, 특히 주 링크 요소(40)의 하단 부분이, 전륜 지지 요소(20)의 제 1 접속 부재(25)에 걸어 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주 링크 요소(40)와 전륜 지지 요소(20)가 걸어 맞춰진 경우, 주 링크 요소(40)의 제 2 접속 부재(43) 및 전륜 지지 요소(20)의 제 1 접속 부재(25)에 의해,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가 2개소에서 접속되어,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의 상대 회동이 규제된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륜 지지 요소(20)의 제 1 접속 부재(25)가, 후륜 지지 요소(20)와의 접속 및 주 링크 요소(40)와의 걸어 맞춤의 양쪽을 담당하게 된다. 이 때문에, 유모차(10)를 구성하는 부품 개수를 감소시켜, 유모차의 구성을 간략화 및 경량화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shown, the lower part of the main link element 40, in particular the lower end part of the main link element 40, is adapted to engage wit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5 of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20 . When the main link element 40 and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by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3 of the main link element 40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5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are connected at two places so that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is regulate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5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serves both to connect with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o engage with the main link element 40. [ Therefore, the number of parts constituting the baby carriage 10 can be reduc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baby carriage can be simplified and reduced in weight.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링크 요소(40)의 주 링크부(41)의 하단에는, 돌출부(42)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42)는, 주 링크부(41)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가압되어 있다. 이 돌출부(42)는, 주 링크부(41)의 하단 부분에 설치된 조작편(操作片)(41a)과 연결되어 있고, 조작편(41a)을 주 링크부(41)에 대해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돌출부(42)를 주 링크부(41) 내에 몰입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이나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륜 지지 요소(20)의 제 1 접속 부재(25)에는, 통(筒) 형상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형상부(26)는, 선단이 개방되어, 돌출부(42)를 수용하는 수용 구멍(27)을 구획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주 링크 요소(40)의 돌출부(42)가, 제 1 접속 부재(25)의 수용 구멍(27)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의 상대 회동이 규제된다.5 and 6, a protruding portion 42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link portion 41 of the main link element 40. As shown in Fig. The projecting portion 42 is press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link portion 41. The protruding portion 42 is connected to an operating piece 41a provided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main link portion 41. By sliding the operating piece 41a against the main link portion 41, (42) can be immersed in the main link portion (41).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5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is formed with a tubular portion 26. Fig. As shown in Fig. 7, the cylindrical portion 26 is formed with a receiving hole 27 for receiving the projecting portion 42 by opening its tip. The protruding portion 42 of the main link element 40 is fitted into the receiving hole 27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5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Relative rotation is regulated.

또,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가 걸어 맞춰지기 위한 구성은, 여기에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조작편(41a)은, 돌출부(42)를 조작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일례에 불과하고, 적당히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핸들(50)의 연결부(52)에, 돌출부(42)를 조작하기 위한 원격 조작 수단을 설치하고, 핸들(50)의 연결부(52) 및 주부(51) 내에, 원격 조작 수단의 동작을 돌출부(42)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 수단(예를 들면, 와이어)이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The configuration for engaging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described herein bu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The operating piece 41a is merely an example of a means for operating the projecting portion 42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For example, a remote operating means for operating the projecting portion 42 is provided on the connecting portion 52 of the handle 50, and the remote operating means is provided in the connecting portion 52 and the main portion 51 of the handle 50, (For example, a wire)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to the protruding portion 42 may be provided.

다음으로, 연결 링크 요소(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및 도 7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우측의 연결 링크 요소(60)는, 우측에 배치된 주 링크 요소(40) 및 후륜 지지 요소(30) 사이를 연장하고, 또한, 주 링크 요소(40)와 후륜 지지 요소(30) 각각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의 연결 링크 요소(60)는, 좌측에 배치된 주 링크 요소(40) 및 후륜 지지 요소(30) 사이를 연장하고, 또한, 주 링크 요소(40)와 후륜 지지 요소(30) 각각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 주 링크 요소(40)는, 연결 링크 요소(60)를 통해 간접적으로, 후륜 지지 요소(30)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연결 링크 요소(60)는, 예를 들면 금속제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will be described. 4 and 7, the right connection link element 60 extends between the main link element 40 and the rear wheel support element 30 disposed on the right side, and also extends from the main link element 40 40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respectively. Likewise, the left connecting link element 60 extends between the main link element 40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also extends between the main link element 40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As shown in Fig.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link element 4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indirectly via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metal plate.

도시된 형태에서는, 도 4 및 도 7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연결 링크 요소(60)는, 우선, 후륜 지지 요소(30) 중, 후륜 지지 요소(30)와 전륜 지지 요소(20)의 상대 회동 중심(RC1)보다 후륜(31)으로부터 이간되는 측이 되는 연장 돌출부(35)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 링크 요소(60)는, 연장 돌출부(35)의 연장 돌출 단부(36)의 후방 부분과, 축 부재(61)를 통해 피벗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측면시에서, 후륜 지지 요소(30)와 연결 링크 요소(60)의 상대 회동 중심(RC3)은, 후륜 지지 요소(30)와 전륜 지지 요소(20)의 상대 회동 중심(RC1)보다 전방인 동시에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4 and 7, each connecting link element 60 is configured such that first of all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and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of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And is rotatably attached to an extending projection 35 which is a side away from the rear wheel 31 relative to the relative rotation center RC1. 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is pivotally attached via the shaft member 61 to the rearward portion of the extended projecting end 36 of the extending projection 35. The relative pivotal center RC3 of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and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in the side view of the baby carriage 10 in a state of being in use is formed by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and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is located above the relative rotation center RC1.

도시된 형태에서는, 도 4 및 도 7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연결 링크 요소(60)는, 사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측면시에서, 주 링크 요소(40)의 주 링크부(41) 중,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의 상대 회동 중심(RC2)보다 하방이 되는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 링크 요소(60)는, 주 링크부(41)의 제 2 접속 부재(43)가 부착된 위치보다 하방이 되는 부분과, 축 부재(62)를 통해 피벗 부착되어 있다. 사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측면시에서, 주 링크 요소(40)와 연결 링크 요소(60)의 상대 회동 중심(RC4)은, 후륜 지지 요소(30)와 연결 링크 요소(60)의 상대 회동 중심(RC3)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4 and 7, each connecting link element 60 is configured such that, at a side view of the stroller 10 in use, the connecting link elements 60 are arranged in the main link portion 40 of the main link element 40 41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relative rotation center RC2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 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is pivotally attached via the shaft member 62 to a portion below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3 of the main link portion 41 is attached. The relative pivotal center RC4 of the main link element 40 and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in the side view of the baby carriage 10 in the use state is set such that the relative rotation center RC4 of the rear link supporting element 30 and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And is located behind the pivot center RC3.

유모차 본체(15)는, 가로 방향(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로서, 한 쌍의 전륜 지지 요소(20)의 전각 부재(23)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전방측 연결 부재(65) 및 제 2 전방측 연결 부재(66)와, 한 쌍의 후륜 지지 요소(30)의 후각부(34)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측 연결 부재(67)를 갖고 있다. 이 중, 제 2 전방측 연결 부재(66)는, 풋레스트(footrest)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부재에 의해, 한 쌍의 전륜 지지 요소(20), 한 쌍의 후륜 지지 요소(30), 한 쌍의 주 링크 요소(40) 및 한 쌍의 연결 링크 요소(60)가, 각각,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 변형될 때, 일정 간격으로 이간된 상태로 유지된다.The baby carriage body 15 is a member that extends in the lateral direction (width direction) and includes a first front side connecting member 65 and a second front side connecting member 65 which connect between the frontal angle members 23 of the pair of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s 20, And a rear side connecting member 67 for connecting the front side connecting member 66 and the rear corner portion 34 of the pair of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s 30. [ Of these, the second front side connecting member 66 functions as a footrest. The pair of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s 20, the pair of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s 30, the pair of main link elements 40, and the pair of connecting link elements 60 , Respectively, when they are deformed between the use state and the folded state.

이상과 같은 전체 구성을 갖는 유모차 본체(15)는, 각 구성 요소를 상대 회동시킴으로써, 사용 상태에서 절첩 상태로 절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조작편(41a)을 조작함으로써, 주 링크 요소(40)의 돌출부(42)와 전륜 지지 요소(20)의 수용 구멍(27)이 걸어 맞춰진 것을 해제한다. 이 조작에 의해,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의 상대 회동이 가능해진다.The baby carriage body 15 hav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folded into a folded state in the use state by relatively rotating each constituent element. Concretely, first, by operating the operating piece 41a, the projecting portion 42 of the main link element 40 is released from engagement with the receiving hole 27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With this operation, relative rotation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becomes possible.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링크 요소(40) 중 전륜 지지 요소(20)와의 상대 회동 중심(RC2)으로부터 사용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 즉 이 상대 회동 중심(RC2)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이 전방측으로 쓰러지게 되는 방향으로, 주 링크 요소(40)를 전륜 지지 요소(20)에 대해서 회동시킨다. 이 회동 조작에 의해, 주 링크 요소(40) 중 전륜 지지 요소(20)와의 상대 회동 중심(RC2)으로부터 사용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던 부분이, 후륜 지지 요소(20)에 접근한다. 바꿔 말하면, 사용 상태에서 전륜(21)으로부터 떨어져 있던 측이 되는 주 링크 요소(40)의 단부(상방측 단부)가, 전륜(21)에 접근한다. 도시된 형태에서는, 유모차(10)의 측면시에서, 핸들(50)의 연결부(52)가, 전방측으로부터, 전륜 지지 요소(20)의 전륜(21)에 접근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7, a portion of the main link element 40 which extends upward from the relative rotation center RC2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in the used state, that is, The main link element 4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portion is collapsed to the front side. The portion of the main link element 40 exten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rotation RC2 relative to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in the in-use state approaches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20 by this turning operation. In other words, the end (upper end) of the main link element 40, which is the side away from the front wheel 21 in use, approaches the front wheel 21. The connecting portion 52 of the handle 50 approaches the front wheel 21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from the front side in the side view of the baby carriage 10. [

이러한 주 링크 요소(40)의 전륜 지지 요소(20)에 대한 동작에 따라, 연결 링크 요소(60)를 통해 주 링크 요소(40)에 접속된 후륜 지지 요소(30)도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해서 동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링크 요소(60)는, 주 링크 요소(40) 중,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의 상대 회동 중심(RC2)보다 유모차(10)의 사용 상태에서 하방이 되는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또한, 후륜 지지 요소(30) 중, 후륜 지지 요소(30)와 전륜 지지 요소(20)의 상대 회동 중심(RC1)보다 후륜(31)으로부터 이간되는 측이 되는 연장 돌출부(35)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주 링크 요소(4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전륜 지지 요소(30)에 대해서 회동해서 전륜 지지 요소(20)에 접근할 때, 도 5 및 도 10에 나타난 측면시에서, 주 링크 요소(40)와 연결 링크 요소(60)의 상대 회동 중심(RC4)이, 상방으로 끌어 올려진다. 이에 따라, 도 5 및 도 10에 나타난 측면시에서, 연결 링크 요소(60)와 후륜 지지 요소(30)의 상대 회동 중심(RC3)도 상방으로 끌어 올려지도록, 후륜 지지 요소(30)가 전륜 지지 요소(20)에 대해서 회동한다. 즉, 후륜 지지 요소(30)는, 연결 링크 요소(60)에 의해, 전후 방향을 따라 후륜(31)이 전륜(21)에 접근하도록, 전륜 지지 요소(20)에 대해서 회동한다.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main link element 40 of the main link element 40, the rear wheel support element 30 connected to the main link element 40 via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is also operated do.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elative rotation center RC2 of the main link element 40 between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And is spaced from the rear wheel 31 from the relative rotation center RC1 of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and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mong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s 30 To the extension projection 35, which is a side of the projection. 5 and 10, when the main link element 40 is pivoted about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30 to approach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20 so as to tilt forward, the main link element 40 And the relative rotation center RC4 of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are pulled upward. 5 and 10 so that the relative pivotal center RC3 of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is also lifted upwardly, (20). That is,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so that the rear wheel 31 approaches the front wheel 21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

이상의 순서에 의해, 주 링크 요소(60), 전륜 지지 요소(20) 및 후륜 지지 요소(40)가 서로 접근하도록, 유모차 본체(15)를 절첩할 수 있다. 이렇게 유모차 본체(15)를 절첩함으로써, 유모차 본체(15)의 치수를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 양쪽에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상태에서 절첩 상태로 절첩할 때에, 전륜 지지 요소(20) 및 후륜 지지 요소(30)가, 전후 방향을 따라 전륜(21) 및 후륜(31)이 서로 접근하도록 상대 회동하기 때문에,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륜(21) 및 후륜(22)을 접지시켜 절첩 상태의 유모차 본체(15)(유모차(10))를 자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모차(10)가 절첩 상태에서 자립 가능한 경우, 보관 스페이스 등의 관점에서 매우 바람직하다.The baby carriage body 15 can be folded so that the main link element 60,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40 come close to each other. By folding the baby carriage body 15 in this manner, the size of the baby carriage body 15 can be reduced in both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Since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are relatively rotated so that the front wheel 21 and the rear wheel 31 approach each other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en folded from the use state to the folded state, The front wheel 21 and the rear wheel 22 can be grounded to make the baby carriage body 15 (baby carriage 10) in a folded state stand by itself as shown in Figs. When the baby carriage 10 can be self-supporting in the folded state, it is very preferable from the standpoint of storage space and the like.

전술한 유모차 본체(15)의 구성에 의하면,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 본체(15)의 측면시에서, 전륜(21) 및 후륜(31)이 접지면에 접지한 상태에서, 전륜 지지 요소(20) 및 후륜 지지 요소(30)의 상대 회동 중심(RC1)이, 접지면을 따른 방향(즉, 전후 방향)에서 전륜(21)의 접지 위치(즉, 전륜(21)의 회전 중심)와 후륜(31)의 접지 위치(즉, 후륜(31)의 회전 중심) 사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절첩 상태의 유모차 본체(15)(유모차(10))를 보다 안정적으로 자립시킬 수 있다.The rear wheel 31 and the front wheel 21 are supported by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wheel 21 and the rear wheel 31 are grounded on the ground surface in the folded state of the baby carriage body 15, The relative rotation center RC1 of the front wheel 21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is set such that the grounding position of the front wheel 21 (i.e.,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ront wheel 21) (That i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rear wheel 31).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baby carriage body 15 (baby carriage 10) in the folded state can be more reliably self-sustained.

또한, 도시된 형태에서는, 좌측이 되는 제 2 접속 부재(43)의 일부분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걸어 맞춤 클로(claw)(걸어 맞춤편)(47)가 형성되어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 맞춤 클로(47)는, 유모차(10)의 사용 상태에서, 제 2 접속 부재(43)의 본체부(44)의 상방에 위치하고, 전륜 지지 요소(20)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한편, 주 링크 요소(40)가 전륜 지지 요소(20)에 대해서 회동한 유모차(10)의 절첩 상태에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 맞춤 클로(47)는, 제 2 접속 부재(43)의 본체부(44)의 하방에 위치하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륜 지지 요소(20)의 전각 부재(23)의 상방 부분과 걸어 맞춰진다. 도 8에 나타난 걸어 맞춤 클로(47)와 전각 부재(23)의 걸어 맞춤에 의해,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의 회동이 규제되어, 유모차(10)가 절첩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Further,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 engaging claw (engaging piece) 47 capable of elastically deforming is formed by a part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3 which is the left side. 1 to 3, the engagement claws 47 are located above the body portion 44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3 in the use state of the baby carriage 10, . 5, the engaging claw 47 is engaged with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3 in the folded state of the baby carriage 10 in which the main link element 4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 And is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full-width member 23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s shown in Fig. The rotation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is restricted by the engagement of the engaging claw 47 and the full angle member 23 shown in Fig. 8, so that the baby carriage 10 is kept in the folded state .

또, 유모차 본체(15)를 절첩 상태에서 사용 상태로 전개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절첩 조작과 반대 순서를 밟으면 된다.In order to expand the baby carriage body 15 from the folded state to the used state, the reverse order of the folding operation described above may be followed.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모차 본체(15)에는, 즉, 어닝(75) 및 시트(70)가 설치되어 있다. 어닝(75)은, 유모차 본체(15)에 부착된 1개 이상의 어닝 파이프(awning pipe; 76)와, 어닝 파이프(76)에 부착된 어닝 클로스(awning cloth; 77)를 갖고 있으며, 차양으로서 기능한다. 도시된 예에서, 어닝 파이프(76)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략 U자의 양단이 핸들(50)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어닝 파이프(76)가 핸들(50)에 대해서 요동함으로써, 어닝(75)이 개폐된다.1, an ankle 75 and a seat 70 are provided in the baby carriage body 15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awnings 75 have one or more awning pipes 76 attached to the stroller body 15 and an awning cloth 77 attached to the awning pipe 76, do.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winning pipe 76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U-shape, and both ends of a substantially U-shape are pivotally attached to the handle 50. As the winning pipe 76 rocks with respect to the handle 50, the opening 75 is opened and closed.

한편, 시트(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후륜 지지 요소(30)의 연장 돌출부(35)에 지지된 앉음부(71)와, 앉음부(7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돌출된 등받이부(72)와, 앉음부(71) 및 등받이부(72)의 측방에 설치된 한 쌍의 측벽부(73)를 갖고 있다. 앉음부(71)는,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의 둔부를 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등받이부(72)는, 유유아의 등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측벽부(73)는,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의 양 측방에 위치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seat 70 includes the sitting portion 71 supported by the extending projection 35 of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and the back portion 72 extended from the sitting portion 71 And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73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itting portion 71 and the backrest portion 72. The sitting portion 71 mainly supports the buttocks of the infant who rides on the stroller 10. On the other hand, the backrest portion 72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baby's back. The sidewall portions 73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baby carriage that rides on the baby carriage 10.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70)의 앉음부(71)의 전단(前端) 부분이, 후륜 지지 요소(30)의 연장 돌출부(35)에 부착되고, 시트(70)의 등받이부(72)의 상단 부분이, 주 링크 요소(40)에 의해 구성되는 핸들(50)의 주부(51)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 상태에서 절첩 상태로 유모차(10)를 변형시킬 때, 주 링크 요소(40) 중 전륜 지지 요소(30)와의 상대 회동 중심(RC2)으로부터 유모차(10)의 사용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이 전방측으로 쓰러지도록 주 링크 요소(40)가 전륜 지지 요소(20)에 대해서 회동한다. 이때, 유유아가 착석 또는 눕는 장소가 되는 시트(70) 중 등받이부(72)가, 주 링크 요소(40)에 지지되어 주 링크 요소(40)와 함께 동작함으로써, 시트 등받이부(72)의 유유아에 대면하는 표면이, 시트의 앉음부(71)의 유유아에 대면하는 표면을 향해 이동한다. 이 결과, 절첩된 유모차(10)에서, 시트(70)의 유유아에 대면하는 표면보다, 시트(70)의 유유아에 대면하지 않는 이면이, 보다 노출되게 된다. 특히 도 10에 나타난 형태에서는, 시트의 앉음부(71)의 표면이 시트 등받이부(72)의 표면과 접근해서 직면할 수 있고, 또한 시트 등받이부(72)의 그 밖의 표면은, 전후 방향에서 절첩 상태의 유모차(10)의 안쪽을 향하며, 또한, 상하 방향에서 약간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된다. 이 때문에 유유아에 대면하는 시트(70)의 표면에 먼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물이 부착되는 것, 또한, 시트(70)의 표면 중 시트(70)의 등받이부(72)와 앉음부(71) 사이에 먼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물이 쌓이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모차(10)를 절첩해서 보관할 때에 시트(70)가 더러워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1,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itting portion 71 of the seat 70 is attached to the extending projection 35 of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and the backrest portion 72 of the seat 70 Is attached to the main portion 51 of the handle 50 constituted by the main link element 40. [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aby carriage 10 is deformed from the use state to the folded state, the use state of the baby carriage 10 from the relative rotation center RC2 of the main link element 40 to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30 The main link element 4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so that the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collapses to the front side. At this time, the backrest portion 72 of the seat 70, which is a place where the infant is seated or lying down, is supported by the main link element 40 and operates together with the main link element 40, Faces toward the surface of the sitting portion 71 of the seat facing the infant. As a result, in the folded baby carriage 10, the back surface of the seat 70 which does not face the baby infant of the seat 70 is exposed more than the surface of the seat 70 facing the baby infant. 10, the surface of the sitting portion 71 of the seat can approach and face the surface of the seat back portion 72,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at back portion 72 can be moved in the front- And is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baby carriage 10 in the folded state and slightly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ackrest 72 of the seat 70 and the seat 70 of the seat 70 are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seat 7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dust from accumulating. As a result, the seat 7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dirty when the baby carriage 10 is folded and stored.

또한, 도시된 형태에서, 시트(70)의 측벽부(73)가, 연장 돌출부(35)와, 주 링크 요소(40) 중 전륜 지지 요소(20)와의 상대 회동 중심(RC2)으로부터 사용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 즉 핸들(50)의 주부(51)에 부착되어 있다. 유모차(10)의 시트(70) 위에 유유아가 승차하면, 후륜(31)이 전륜(21)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후륜 지지 요소(30)를 상대 회동시키는 힘이 유모차(10)에 가해진다. 여기에서 설명한 형태에서는, 이러한 외력을, 연결 링크 요소(60) 뿐만 아니라, 시트(70)의 측벽부(73)에 의해서도 받을 수 있다. 즉, 시트(70)의 측벽부(73)가, 유모차(10)의 사용 상태에서 주 링크 요소(40) 및 전륜 지지 요소(20)에 대한 후륜 지지 요소(30)의 상대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기능하여, 유모차(10)에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트(70)의 측벽부(73)에 의하면, 유모차(10)의 주행 중의 휘어짐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The side wall portion 73 of the seat 70 is extended from the relative rotation center RC2 of the main link element 40 and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in the use state And is attached to the upwardly extending portion, that is, to the main portion 51 of the handle 50. When the baby carriage rides on the seat 70 of the baby carriage 10, a force that causes the rear wheel 31 to relatively rotate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front wheel 2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is applied to the baby carriage 10 All. In the embodiment described here, such an external force can be received not only by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but also by the side wall portion 73 of the seat 70. [ That is to say, the side wall portion 73 of the seat 70 is adapted to maintain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with respect to the main link element 40 and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in the use state of the baby carriage 10 So that the stroller 10 can be improved in rigidity. Therefore, with the side wall portion 73 of the seat 70,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warping or the like during traveling of the baby carriage 10.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부(73)는, 앉음부(71) 및 등받이부(72)로부터 이간하는 측의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벨트 형상 부재(73a)를 갖고 있다. 벨트 형상 부재(73a)는, 측벽부(73)의 그 밖의 부분보다 인장 강도가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잘 나타나 있듯이, 이 벨트 형상 부재(73a)가, 후륜 지지 요소(30)의 연장 돌출부(35) 및 주 링크 요소(40)에 의해 이루어지는 핸들(50)의 주부(51)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유모차(10)의 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1 and 9, the side wall portion 73 includes a belt-like member 73a forming an edge portion on the side apart from the sitting portion 71 and the backrest portion 72 I have. The belt-shaped member 73a is configured to have a higher tensile strength than the other portions of the side wall portion 73. [ 9, the belt-like member 73a is attached to the main portion 51 of the handle 50 made up of the extending projection 35 of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The rigidity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effectively improved.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 상태에서 절첩 상태로 변형시킬 때, 핸들(50)이 전방측으로 쓰러지도록 전륜 지지 요소(20)에 대해서 회동하여, 핸들(50) 및 전륜 지지 요소(20)가 서로 접근하고, 또한, 전륜(21) 및 후륜(31)이 서로 접근하도록 전륜 지지 요소(20) 및 후륜 지지 요소(30)가 상대 회동한다. 따라서, 또한, 주 링크 요소(40), 전각으로서 기능하는 전륜 지지 요소(20) 및 후각으로서 기능하는 후륜 지지 요소(30)가 서로 접근하도록 해서, 유모차(10)를 절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유모차(10)의 절첩 치수를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 양쪽에서 소형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andle 50 is deformed in the folded state from the use state, the handle 5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so as to fall to the front side, And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are relatively rotated such that the front wheel 21 and the rear wheel 31 approach each other.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fold the baby carriage 10 by making the main link element 40,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functioning as the front angle,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functioning as the rear angle approac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folding dimension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reduced in both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유유아가 착석 또는 눕는 시트(70) 중 등받이부(72)가, 주 링크 요소(40)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되어 주 링크 요소(40)와 함께 동작함으로써, 시트 등받이부(72)의 유유아에 대면하는 표면이, 시트 앉음부(71)의 유유아에 대면하는 표면을 향해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절첩 상태의 유모차(10)에서, 시트(70)의 유유아에 대면하는 표면보다, 시트(70)의 유유아에 대면하지 않는 이면이, 보다 노출되게 된다. 또한, 시트 앉음부(71)의 표면이 시트 등받이부(72)의 표면과 접근해서 직면하게 되고, 또한, 시트 등받이부(72)의 그 밖의 표면이, 전후 방향에서 절첩 상태의 유모차(10)의 안쪽을 향한다. 이 때문에 유유아에 대면하는 시트(70)의 표면에 먼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물이 부착되는 것, 또한, 시트(70)의 표면 중 시트(70)의 등받이부(72)와 앉음부(71) 사이에 먼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물이 쌓이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The backrest portion 72 of the seat 70 in which the baby is seated or lying down is directly or indirectly supported by the main link element 40 to operate together with the main link element 40, The surface facing the baby sitter moves toward the surface facing the baby sitter of the seat seat portion 71. [ As a result, in the foldable baby carriage 10, the back surface of the seat 70 that does not face the infants of the seat 70 is exposed more than the surface of the seat 70 facing the infant. The front surface of the seat back portion 71 comes close to the surface of the seat backrest portion 72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at backrest portion 7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troller 10, . The backrest 72 of the seat 70 and the seat 70 of the seat 70 are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seat 7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dust from accumulating.

또한, 전륜(21) 및 후륜(31)이 서로 접근하도록 전륜 지지 요소(20) 및 후륜 지지 요소(30)가 상대 회동하므로, 전륜(21) 및 후륜(31)을 접지시켜서 절첩 상태의 유모차(10)를 안정적으로 자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유모차(10)의 보관 스페이스를 스페이스 절약화할 수 있다.Since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are relatively rotated so that the front wheel 21 and the rear wheel 31 approach each other, the front wheel 21 and the rear wheel 31 are grounded, 10) can be stably self-sustaining. Therefore, the storage space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saved as a space.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여러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변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및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에서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해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It is also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mod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rawing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us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used for parts that can be configured similarly to the above-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핸들(50)이, 한 쌍의 주부(51)와, 한 쌍의 주부(51)를 연결하는 연결부(52)를 갖고,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핸들(50)이, 한 쌍의 주부(51)와, 각 주부(51)의 단부에 부착된 파지부로 이루어지도록 해도 된다.Although the handle 50 has an approximately U-shaped configuration with the pair of main portions 51 and the connecting portion 52 connecting the pair of main portions 51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he handle 50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the main portion 51 and a grip portion attached to the end portion of each main portion 51.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한 쌍의 후륜 지지 요소(30)가, 그 길이 방향을 따른 중간 부분 또는 하방 부분에서, 후방측 연결 부재(67)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후륜 지지 요소(30)가, 그 상방 부분에서, 바꿔 말하면 그 전방 부분에서, 연결부(39)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연결부(39)는, 유모차 본체(15)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시트(70)의 앉음부(71)를 지지하는 부위로서도 기능한다. 이에 따라, 유모차(10)의 주행을 보다 안정시키는 것, 및 승차감을 개선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air of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s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rear side connecting member 67 at an intermediate portion or a downward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However, It does not.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11, the pair of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s 3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connecting portion 39 at an upper portion thereof, in other words, at a front portion thereof. The connecting portion 39 can improve the rigidity of the baby carriage body 15 and also functions as a portion for supporting the sitting portion 71 of the seat 70. [ As a result, the running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more stabilized and the ride quality can be improved.

또, 도 11에 나타난 예에서는, 연결부(39)는, 한 쌍의 후륜 지지 요소(30)의 상방 단부(전방 단부) 사이를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연결부(39)는, 예를 들면 U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의 파이프로부터, 후륜 지지 요소(30)의 후각 부재(3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11, the connecting portion 39 extends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s (front end portions) of the pair of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s 30. In the example shown in Fig. The connecting portion 39 is formed integrally with a smell member 33 of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from a pipe made of metal such as aluminum alloy bent in a U shape.

또한, 도 11에 나타난 예에서는,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기 위한 원격 조작 수단(54)이, 핸들(50)의 연결부(52)에 설치되어 있다. 전륜 지지 요소(20) 및 주 링크 요소(40) 사이에서의 걸어 맞춤을 실현하기 위한 부재, 예를 들면 전술한 돌출부(42)와, 이 원격 조작 수단(54) 사이에, 원격 조작 수단(54)의 동작을 돌출부(42)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 수단(예를 들면, 와이어)이 설치되어, 원격 조작 수단(54)에 의해 돌출부(42)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원격 조작 수단(54)을 사용함으로써, 유모차 본체(15)의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의 변형을 보다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11, a remote operating means 54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is provided in the connecting portion 52 of the handle 50 . The remote operation means 54 is provided between a member for realiz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for example, the above- (For example, a wire)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42 to the protruding portion 42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42 can be operated by the remote operating means 54. [ By using this remote control means 54, deformation between the use state and the folded state of the baby carriage body 15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바깥쪽에 전륜 지지 요소(20) 및 주 링크 요소(40)가 배치됨과 함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안쪽에 후륜 지지 요소(30)가 배치되고, 폭 방향에 있어서의 후륜 지지 요소(30)와 주 링크 요소(40) 사이가 되는 위치에 연결 링크 요소(60)가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바깥쪽에 전륜 지지 요소(20) 및 주 링크 요소(40)가 배치됨과 함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안쪽에 연결 링크 요소(60)가 배치되고, 폭 방향에 있어서의 주 링크 요소(40)와 연결 링크 요소(60) 사이가 되는 위치에 후륜 지지 요소(30)가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are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is disposed at the innermos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is provided at a position between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in the width dire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are arranged at the outermos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at the innermos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 connecting link elements 60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between the main link element 40 and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in the width direction.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나타난 예에서는, 연결 링크 요소(60)는, 주 링크 요소(40)의 하방 부분으로부터 폭 방향을 따라 연장 돌출된 접속 연장 돌출부(60b)와, 접속 연장 돌출부(60b)와 후륜 지지 요소(30)의 연장 돌출부(35)에 접속된 본체부(60a)를 갖고 있다. 본체부(60a)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본체부(60a)와 접속된 후륜 지지 요소(30)의 연장 돌출부(35)는, 연결 링크 요소(60)의 본체부(60a)와, 전륜 지지 요소(20) 및 주 링크 요소(4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접속 연장 돌출부(60b)는, 주 링크 요소(40)로부터, 적어도 후륜 지지 요소(30)의 연장 돌출부(35)의 두께분의 길이만큼, 폭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게 된다. 이 때문에, 연결 링크 요소(60)의 본체부(60a)와 주 링크 요소(40) 사이에 충분한 극간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모차 본체(15)의 변형시에 시트(70)나 의복 등이 가장 말려들어가기 쉬워지는 연결 링크 요소(60)의 본체부(60a)와 주 링크 요소(40) 사이에, 당해 시트(70)나 의복 등이 끼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모차 본체(15)의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의 변형을 보다 안정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More specifically,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1,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includes a connection extending projection 60b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link element 40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a connection extending projection 60b And the main body portion 60a connected to the extending projection 35 of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 The main body portion 60a extend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extending projection 35 of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60a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60a of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The element 20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 The connection extending projection 60b is extended from the main link element 40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at least the extending projection 35 of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 Therefore, a sufficient gap is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portion 60a of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The main body portion 60a of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in which the seat 70 and the clothes or the like are most likely to be curled at the time of deformation of the baby carriage body 15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70 and clothes can be effectively avoided. As a result, deformation between the use state of the baby carriage body 15 and the folded state can be more stably performed.

그런데, 도 11에 나타난 예에서는, 후륜 지지 요소(30)의 후각 부재(33)가, 후각부(34)의 중간부에서 만곡하거나 굴곡되어 있다. 이 결과, 후각부(34) 중 후륜(31)을 유지하는 부위는, 연장 돌출부(35)보다 폭 방향에서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예에 의하면, 유모차(10)의 주행을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11, the olfactory member 33 of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is curved or curved at the middle portion of the rear corner portion 34. In the example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portion of the rear corner portion 34 that holds the rear wheel 31 is positioned outside the extending projection 35 in the width direction. According to this example, the running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more stabilized.

또, 도 11에서는, 유모차 본체(15)에 부착되는 바구니(85)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11, the basket 85 attached to the baby carriage body 15 is indicated by a two-dot chain line.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주 링크 요소(40)가, 핸들(50)의 주부(51)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예와 같이, 주 링크 요소(40)와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핸들(55)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유모차(10)의 유모차 본체(15)는, 전륜 지지 요소(20), 후륜 지지 요소(30), 연결 링크 요소(60), 제 1 전방측 연결 부재(65), 제 2 전방측 연결 부재(66) 및 후방측 연결 부재(67)를 갖는 본체 프레임(16)과, 본체 프레임(16)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핸들(55)을 갖고 있다. 핸들(55)은,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핸들(55)은, 대략 U자의 양단이 되는 부분에서, 본체 프레임(16)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main link element 40 constitutes a part of the main portion 51 of the handle 5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 handle 55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main link element 40, 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baby carriage body 15 of the baby carriage 10 shown in Figs. 12 and 13 includes a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a connecting link element 60, a first front side connecting member 65, A main body frame 16 having a second front side connecting member 66 and a rear side connecting member 67 and a handle 55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frame 16. The handle 55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U-shape. The handle 55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frame 16 at a portion that is substantially at both ends of the U-shape.

핸들(55)은, 본체 프레임(16)에 대해서 요동하고, 도 12 및 도 13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대면 가압 위치(전방 위치)와, 도 12 및 도 13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배면 가압 위치(후방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본체 프레임(16)에는, 핸들(55)과 걸어 맞춰지고, 핸들(55)을 대면 가압 위치에 걸기 위한 수단(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본체 프레임(16)의 주 링크 요소(40)에, 핸들(55)과 걸어 맞춰, 핸들(55)을 배면 가압 위치에 걸기 위한 수단(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핸들(55)을 배면 가압 위치에서 주 링크 요소(40)와 고정함으로써,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핸들(55)을 주 링크 요소(40)와 함께, 전륜 지지 요소(20) 및 후륜 지지 요소(30)에 대해서 회동시킴으로써, 유모차(10)를 사용 상태와 전개 상태 사이에서 변형시킬 수 있다.The handle 55 is pivot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frame 16 and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backward pressing position (front position)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s. 12 and 13 and the back pressing position Position). The body frame 16 is provided with means (not shown) for engaging with the handle 55 and for fastening the handle 55 to the face-to-face pressing position. Further, for example, a means (not shown) for engaging the handle 55 with the handle 55 is provided on the main link element 40 of the main body frame 16 to hook the handle 55 to the back pressing position. The handle 55 is fixed to the main link element 40 at the rear side pressing position so that the handle 55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together with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40, The baby carriage 10 can be deformed between the use state and the unfolded state by rotating the baby carriage 10 relative to the baby carriage 30. [

따라서, 이러한 유모차(10)에 의해서도,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예를 들면, 절첩 상태의 유모차(10)가 보관될 때에 시트(70)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유모차(10)의 절첩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Therefore, even with such a baby carriage 10, the same operation and effect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obtained. For example, when the baby carriage 10 in a folded state is stored, the contamination of the seat 7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the folding dimension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reduced.

또,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예에서는, 핸들(55)은, 그 하방 부분, 특히 그 하단 부분을, 사용 상태의 유모차(10)의 측면시에서, 주 링크 요소(40) 중 전륜 지지 요소(20)와의 상대 회동 중심(RC2)보다 하방이 되는 부분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핸들(55)과 주 링크 요소(40)의 회동 중심은, 주 링크 요소(40)와 연결 링크 요소(60)의 상대 회동 중심(RC4)과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후륜 지지 요소(30)와 연결 링크 요소(60)를 피벗 부착하는 축 부재(62)가, 핸들(55)을 더 관통함으로써, 주 링크 요소(40) 및 연결 링크 요소(60)에 핸들(55)을 피벗 부착할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s. 12 and 13, the handle 55 has a lower portion, particularly a lower end portion thereof, at a side of the baby carriage 10 in a used state, Is pivotally attached to a portion below the relative rotation center (RC2) with respect to the base (20). More specifically, the pivotal center of the handle 55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coincides with the relative pivotal center RC4 of the main link element 40 and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The shaft member 62 pivotally attaching the rear wheel support element 30 and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to the main link element 40 and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by further penetrating the handle 55, The handle 55 can be pivoted.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시트(70)가, 후륜 지지 요소(30)의 연장 돌출부(35) 및 주 링크 요소(40)에 지지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5)에 시트 유지 기구(80)가 설치되고, 시트 유지 기구(80)에 의해, 시트(70)의 등받이부(72)가 지지되도록 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xample in which the seat 70 is supported by the extending projection 35 and the main link element 40 of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is show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2 and 13, a seat holding mechanism 80 is provided in the baby carriage body 15 and the backrest portion 72 of the seat 70 is held by the seat holding mechanism 80 .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예에서, 시트 유지 기구(80)는, 유모차 본체(15)에 접속된 주 지지 프레임(81)과, 주 지지 프레임(81)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상방 지지 프레임(82)과, 주 지지 프레임(81)의 양 측방에 배치된 한 쌍의 측방 지지 프레임(83)을 갖고 있다. 상방 지지 프레임(82)은, 주 지지 프레임(81) 중 유모차 본체(15)에의 접속 개소와는 반대측이 되는 상방측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주 지지 프레임(81)은, 양단이 유모차 본체(15)에 접속된 대략 U자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예에서는, 주 지지 프레임(81)의 유모차 본체(15)에 대한 회동 중심은, 주 링크 요소(40)와 연결 링크 요소(60)의 상대 회동 중심(RC4)과 일치하고 있다.12 and 13, the seat holding mechanism 80 includes a main support frame 81 connected to the baby carriage body 15, and an upper support frame 81 pivotally connected to the main support frame 81 82 and a pair of side support frames 83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support frame 81. [ The upper support frame 82 is swingably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main support frame 81 which is opposite to a connection point to the baby carriage body 15. [ The main support frame 81 has a substantially U-shape in which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baby carriage body 15. [ 12 and 13, the rotation center of the main support frame 81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body 15 coincides with the relative rotation center RC4 of the main link element 40 and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

측방 지지 프레임(83)은, 링크재로서 기능하고, 주 지지 프레임(81)이 후륜 지지 요소(30)의 연장 돌출부(35)에 대해서 쓰러져 있는 경우에 상방 지지 프레임(82)을 주 지지 프레임(81)으로부터 기립시킨다. 한편, 주 지지 프레임(81)이 후륜 지지 요소(30)의 연장 돌출부(35)에 대해서 기립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방 지지 프레임(82)이 주 지지 프레임(81)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면을 대체로 따라 연장되도록, 상방 지지 프레임(82)을 기울인다. 각 측방 지지 프레임(83)은, 유모차 본체(15) 및 상방 지지 프레임(82) 각각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예에서는, 측방 지지 프레임(83)의 유모차 본체(15)에 대한 회동 중심은, 주 링크 요소(40)와 전륜 지지 요소(20)의 상대 회동 중심(RC2)과 일치하고 있다.The side support frame 83 serves as a link member and the upper support frame 82 is supported by the main support frame 30 when the main support frame 81 is collapsed against the extending projection 35 of the rear wheel support element 30. [ 81).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in supporting frame 81 stands up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projection 35 of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the upper supporting frame 82 is divided into a substantially planar surface formed by the main supporting frame 81, The upper support frame 82 is tilted so as to extend along the upper support frame 82. Each side support frame 83 is connected to the baby carriage body 15 and the upper support frame 82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12 and 13,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ide support frame 83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body 15 coincides with the relative rotation center RC2 of the main link element 40 and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20 .

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지지 프레임(81)의 배면측에는, 좌우의 주 링크 요소(40)에 고착된 리클라이닝(reclining) 조절 벨트(84)가 배설(配設)되어 있다(도 12에서는, 리클라이닝 조절 벨트(84)를 생략하고 있음). 그리고, 리클라이닝 조절 벨트(84)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시트(70)의 등받이부(72)를 지지하는 주 지지 프레임(81)의, 시트(50)의 앉음면부(55)를 지지하는 후륜 지지 요소(30)의 연장 돌출부(35)에 대한 각도, 즉, 리클라이닝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13, a reclining adjustment belt 84 secured to the left and right main link elements 40 is disposed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main support frame 81 The reclining adjustment belt 84 is omit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eclining adjustment belt 84, the rear wheel support (not shown) for supporting the seat seating surface 55 of the seat 50 of the main support frame 81, which supports the backrest portion 72 of the seat 70,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extended projection 35 of the element 30, that is, the reclining angle can be adjusted.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예에 의하면, 사용 상태에서 절첩 상태로 유모차(10)를 변형시킬 때에, 시트 유지 기구(80)에 지지된 시트(70)의 등받이부(72)는, 리클라이닝 익스텐션 벨트(84) 등을 통해 시트 유지 기구(80)를 지지하는 주 링크 요소(40)와 함께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예를 들면, 절첩 상태의 유모차(10)가 보관될 때에, 시트(70)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12 and 13, when the baby carriage 10 is deformed in the folded state in the use state, the backrest portion 72 of the seat 70, which is supported by the seat holding mechanism 80, Can be operated together with the main link element 40 which supports the seat holding mechanism 80 through the seat 84 and the like. Therefore, the same operation and effect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obtained, and contamination of the seat 7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or example, when the baby carriage 10 in a folded state is stored.

또한,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시트 유지 기구(80) 대신에, 도 15에 나타난 유모차 본체(15)와 같이,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주 지지 프레임(81) 및 리클라이닝 조절 벨트(84)만이 유모차 본체(15)에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유모차(10)에 의해서도,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예를 들면, 절첩 상태의 유모차(10)가 보관될 때에, 시트(70)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14~도 18은, 동일한 유모차 본체(15)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해의 편의상, 주 지지 프레임(81)은, 도 17 및 도 18에서 생략되고, 리클라이닝 조절 벨트(84)는 도 15에만 나타나 있다.12 and 13, the main supporting frame 81 and the reclining adjusting belt 84 shown in Figs. 12 and 13, like the baby carriage body 15 shown in Fig. 15, May be provided on the baby carriage body 15 only. Even with such a baby carriage 10, the same operational effec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obtained, and contamination of the seat 7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or example, when the baby carriage 10 in a folded state is stored. 14 and 18 show the same baby carriage body 15, but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the main support frame 81 is omitted in Figs. 17 and 18, and the reclining adjustment belt 84 is only shown in Fig. 15 Is shown.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연결 링크 요소(60)가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도 18에 나타내는 예에서,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의 둔부에 대면하는 위치에,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가 설치되고,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가 연결 링크 요소(60)를 형성한다.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유유아의 둔부를 하방에서 면에 의해 지지한다. 단, 경량화나 통기성 확보의 관점에서,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air of connecting link elements 60 is provid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14 to 18, the seat supporting portion 63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buttocks of the infant riding on the baby carriage 10, and the sitting supporting portion 6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 The sitting portion support plate (63)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supports the buttocks of the infant child by a plane from below. However,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sitting portion support plate 63 from the viewpoint of weight reduction and ventilation.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는, 한 쌍의 주 링크 요소(40), 한 쌍의 전륜 지지 요소(20) 및 한 쌍의 후륜 지지 요소(30) 사이를 폭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도 15 및 도 16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의 양측부가, 각각, 연결 링크 요소(60)를 구성하고, 대응하는 측의 주 링크 요소(40)의 주 링크부(41)에 축 부재(62)를 사용해서 피벗 부착되며, 또한, 대응하는 측의 후륜 지지 요소(30)의 후각 부재(33)에 축 부재(61)를 사용해서 피벗 부착되어 있다.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는, 그 후방 부분에서, 주 링크 요소(40)와 접속되어 있다. 한편,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는,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부(63a)와, 유모차 본체(15)의 전개 상태에서 본체부(63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지지부(63b)를 갖고 있다.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는, 이 돌출 지지부(63b)에서, 후륜 지지 요소(30)와 접속되어 있다.The seat support plate 63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pair of main link elements 40, the pair of front wheel support elements 20, and the pair of rear wheel support elements 30. As can be understood from Figs. 15 and 16, both side portions of the seat support portion 63 constitute 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respectively, and the main link portion 40 of the corresponding side main link element 40 And is pivotally attached to the rear wheel supporting member 30 of the corresponding side by using the shaft member 62. The shaft member 61 is pivotally attached to the rear wheel supporting member 30 of the corresponding side. The sitting support plate 63 is connected to the main link element 40 at its rear portion. The sitting portion support plate 63 has a plate-shaped main body portion 63a and a protruding support portion 63b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main body portion 63a in a deployed state of the baby carriage body 15. [ The seat supporting portion 63 is connected to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at the projection supporting portion 63b.

또,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에 의해 이루어지는 연결 링크 요소(60)와 후륜 지지 요소(30)의 상대 회동 중심(RC3), 및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에 의해 이루어지는 연결 링크 요소(60)와 주 링크 요소(40)의 상대 회동 중심(RC4)은,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14~도 18에 나타난 유모차(10)에서도,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와 마찬가지로 절첩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The connecting link element 60 formed by the sitting portion supporting plate 63 and the relative rotation center RC3 of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and the sitting portion supporting plate 63, And the relative rotation center RC4 of the main link element 40 are arranged at the same position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fore, the baby carriage 10 shown in Figs. 14 to 18 can be folded in the same manner as the baby carriag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exhibit the same function and effect as the baby carriag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또, 도 14~도 18에 나타난 유모차(10)에서는, 후륜 지지 요소(30)를 이루는 후각 부재(33)는,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와의 피벗 부착 개소보다 전방으로는 연장 돌출되어 있지 않다. 즉, 도 14~도 18에 나타난 유모차(10)에서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달리, 시트(70)의 앉음부(71)를 지지하는 연장 돌출부(35)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도 14~도 18에 나타난 유모차(10)에서는, 시트(70)의 앉음부(71)는,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의 본체부(63a)의 전방 부분에 의해 지지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70)의 등받이부(72)는, 주 지지 프레임(81)에 지지되어 있다.In the baby carriage 10 shown in Figs. 14 to 18, the olfactory member 33 constituting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30 does not protrude forward beyond the pivot attachment point with the seat seating portion support plate 63 . That is,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baby carriage 10 shown in Figs. 14 to 18 is not provided with the extending projection 35 for supporting the sitting portion 71 of the seat 70. [ 14 to 18, the sitting portion 71 of the seat 70 is supported by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63a of the sitting portion support plate 63, The backrest portion 72 of the seat 70 is supported by the main support frame 81. As shown in Fig.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면, 유모차 본체(15)의 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모차 본체(15)의 구성이 단순화되므로, 유모차 본체(15)의 절첩 동작 및 유모차 본체(15)의 전개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유유아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구조가 안정적이기 때문에, 유유아를 적절한 자세로 안정적으로 유모차(10)에 승차시킬 수 있다. 또한, 폭 방향에 걸친 영역에서, 시트(70)의 앉음부(71)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전개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의 시트(70)의 변형량을 적게 할 수 있다.By using the seat support portion 63, the rigidity of the baby carriage body 15 can be greatly improved. Further,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baby carriage body 15 is simplified,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body 15 and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body 15 can be performed smoothly.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infant under the lower side is stable, the infant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baby carriage 10 in an appropriate posture. In addition, since the sitting portion 71 of the seat 70 can be supported in the reg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seat 70 between the unfolded state and the folded state can be reduced.

또, 도 14~도 18에 나타난 변형예에서는,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의 유유아에 대면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대면해서 유지체(86)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체(86)는, 유연성을 갖는 포재나 메시재 등을 사용해서 형성되어 있다. 유지체(86)와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 사이에, 유모차(10)의 전개 상태에서 적어도 후방으로 개구되는, 수용 스페이스(87)가 형성된다. 수용 스페이스(87)는, 모포나 타월 등의 소품을 수용하는 스페이스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유지체(86)는 신장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14 to 18, the holding body 86 is provided so as to face the face of the sitting portion supporting plate 63 opposite to the side facing the infant. The holding body 86 is formed using a flexible material, a mesh material, or the like. A receiving space 87 is formed between the holding body 86 and the sitting part support plate 63 so as to open at least backward in the deployed state of the baby carriage 10. [ The accommodation space 87 can be used as a space for accommodating small articles such as blanket and towel. From this viewpoint, the retainer 86 may be formed of a stretchable material.

또한, 유지체(86)는, 양측 가장자리와, 유모차(10)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전방 가장자리에서,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 또는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에 장착된 시트(70)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용 스페이스(87)에 수용된 물건이, 수용 스페이스(87)로부터 의도치 않게 낙하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체(86)와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 사이에 형성된 수용 스페이스(87)의 개구(87a)는, 유모차(10)의 절첩 상태에서, 상방을 향해 개방된다. 따라서, 유모차(10)가 절첩 상태로 자립할 수도 있어서, 유모차(10)의 절첩 상태에서도 수용 스페이스(87)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holding member 86 is attached to the seat 70 mounted on the seat supporting portion 63 or the seat supporting portion 63 at both side edges and the front edge in the deployed state of the baby carriage 10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connect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rticl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87 from being inadvertently dropped from the accommodating space 87. 17 and 18, in the folded state of the baby carriage 10, the opening 87a of the accommodation space 87 formed between the holding member 86 and the seat supporting portion 63 Lt; / RTI > Therefore, the baby carriage 10 can be self-sustained in the folded state, so that the receiving space 87 can be utilized even in the folded state of the baby carriage 10. [

또한, 도 14~도 18에 나타난 변형예에서는,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의 후방 부분에 손잡이(8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88)는, 절첩한 유모차(10)를 운반할 때에, 유모차(10)를 드는 손잡이가 된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88)는, 유모차(10)의 절첩 상태에서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 손잡이(88)를 사용해서, 절첩 상태로 자립 가능한 유모차(10)의 취급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modified example shown in Figs. 14 to 18, a handle 88 is provided at a rear portion of the seat supporting portion 63. [0064] The handle 88 serves as a handle for holding the baby carriage 10 when the baby carriage 10 is folded. 17 and 18, the handle 88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seat supporting portion 63 in the folded state of the baby carriage 10.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handleability of the baby carriage 10, which can be freely folded in the folded state, can be further improved by using the handle 88. [

또한, 절첩 상태에서 자립한 유모차(10)의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도 17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의 유유아에 대면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짐 걸이 훅(89)을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baby carriage 10 which is freed in the folded state, as shown by a chain double-dashed line in Fig. 17, the seat side support plate 63 is provid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baby- And the load hook hook 89 may be provided.

또,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몇 가지 변형예를 설명했지만, 당연히, 복수의 변형예를 적당히 조합해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a few modified exampl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apply a plurality of modified examples appropriately in combination.

Claims (21)

사용 상태와 절첩(折疊)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게 한 유모차로서,
전륜(前輪)을 지지한 전륜 지지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며, 또한 후륜(後輪)을 지지하는 후륜 지지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주(主) 링크 요소와,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후륜 지지 요소 사이를 연장하며, 또한,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후륜 지지 요소 각각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한 연결 링크 요소를 구비하는 유모차.
A stroller which is deformable between a use state and a folded state,
A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for supporting a front wheel,
A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connected to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in a relatively rotatable manner and supporting a rear wheel,
A main link element connect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And a connecting link element extending between the main link element and the rear wheel support element and being relatively rotatable relative to each of the main link element and the rear wheel support ele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링크 요소는,
상기 주 링크 요소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보다 상기 사용 상태에서 하방이 되는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또한,
상기 후륜 지지 요소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보다 상기 후륜으로부터 이간하는 측이 되는 연장 돌출부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link element comprises:
Wherein the main link element is rotatably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main link element which is lower than the center of rotation relative to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in the use state,
Wherein the rear wheel support element is rotatably attached to an extending projection that is a side away from the rear wheel relative to a center of relative rotation relative to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핸들을 더 구비하는 유모차.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handle connected to the main link element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main link elemen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링크 요소가 핸들을 구성하는 유모차.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ain link element constitutes a handl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절첩 상태로 변형시킬 때, 상기 주 링크 요소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이 전방측으로 쓰러지도록 상기 주 링크 요소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에 대해서 회동하여, 상기 주 링크 요소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던 부분이 상기 전륜 지지 요소에 접근하는 유모차.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when the main link element is deformed from the use state to the folded state, a portion of the main link element exten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rotation relative to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in the use state collapses to the front side, And a portion of the main link element exten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rotation relative to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approaches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절첩 상태로 변형시킬 때, 상기 전륜 및 상기 후륜이 서로 접근하도록, 상기 전륜 지지 요소 및 상기 후륜 지지 요소가 상대 회동하는 유모차.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are relatively rotated such that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pproach each other when deformed from the use state to the folded state.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링크 요소는, 상기 전륜 지지 요소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의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위치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 및 상기 주 링크 요소의 상대 회동 중심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과 걸어 맞출 수 있고,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의 상기 부분이 걸어 맞춰짐으로써,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의 상대 회동이 규제되는 유모차.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main link element is capable of engaging with a portion of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which is located between a position for supporting the front wheel of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and a relative rotation center of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and the main link element,
Wherein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main link element and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is regulated by engagement of the main link element and the portion of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지지 요소는, 상기 주 링크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과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위치 사이를 적어도 연장하는 전각(前脚) 부재와, 상기 전각 부재에 설치된 접속 부재를 갖고,
상기 후륜 지지 요소는, 상기 접속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주 링크 요소는, 상기 접속 부재에 걸어 맞출 수 있고,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가 걸어 맞춰짐으로써,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의 상대 회동이 규제되는 유모차.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has a front leg member at least extending between a center of rotation relative to the main link element and a position for supporting the front wheel and a connecting member provided to the front wheel member,
Wherein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connecting member,
Wherein the main link element is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main link element and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is regulated by engaging the main link element and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모차에 승차하는 유유아(乳幼兒)의 둔부(臀部)에 대면하게 되는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 링크 요소는,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유모차.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seat supporting plate is provided which faces the buttocks of the infant who rides in the stroller,
Wherein the connecting link element is formed by a seat support pla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의 양 측방(側方)에 상기 주 링크 요소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의 양 측방에 상기 후륜 지지 요소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의 양 측방에 상기 전륜 지지 요소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의 양측부가, 각각, 상기 연결 링크 요소를 구성하며, 대응하는 측의 주 링크 요소 및 대응하는 측의 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각 전륜 지지 요소가, 대응하는 측의 주 링크 요소 및 대응하는 측의 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유모차.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ain link element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at support portion,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s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eat supporting portion support plate,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at supporting portion support plate,
Wherein both side portions of the seat supporting plate constitute the connecting link element and are connect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main link element on the corresponding side and the corresponding rear side wheel supporting element,
Wherein each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s is connected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main link element and the corresponding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의 유유아에 대면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대면해서 유지체가 배치되고,
상기 유지체와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유모차의 전개(展開) 상태에서 적어도 후방으로 개구된, 수용(收容) 스페이스가 형성되는 유모차.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The holding body is arranged to face the face of the seat supporting portion support plate opposite to the side facing the infant seat,
Wherein a receiv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retaining body and the seat supporting portion support plate at least in a rearwardly deployed state of the baby carriage.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 부분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 유모차.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1,
And a handle is provided at a rear portion of the seat supporting portion support plat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유모차의 절첩 상태에서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유모차.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handle protrudes upward from the seat supporting portion support plate in a folded state of the baby carriage.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한 유모차로서,
전륜을 지지한 전륜 지지 요소와,
후륜을 지지하며,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한 후륜 지지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 및 상기 후륜 지지 요소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한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절첩 상태로 변형시킬 때, 상기 핸들이 전방측으로 쓰러지도록 상기 전륜 지지 요소에 대해서 회동하여, 상기 핸들 및 상기 전륜 지지 요소가 서로 접근하고, 또한, 상기 전륜 및 상기 후륜이 서로 접근하도록 상기 전륜 지지 요소 및 상기 후륜 지지 요소가 상대 회동하는 유모차.
As a deformable stroller between the use state and the folded state,
A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for supporting a front wheel,
A rear wheel support element that supports the rear wheel and is relatively rotatable with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And a handle rotatable relative to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and the rear wheel support element,
The handle and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re deformed from the use state to the folded state, Wherein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relatively rotate.
제 1 항 내지 제 8 항 및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앉음부와, 상기 앉음부와 접속된 등받이부를 갖는 시트(seat)를 더 구비하고,
상기 후륜 지지 요소는,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을 넘어, 상기 후륜을 지지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를 갖고,
상기 연장 돌출부에 상기 시트가 지지되어 있는 유모차.
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nd 14,
Further comprising a seat having a seat portion and a back portion connected to the seat portion,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has an extending projection that extends beyond the center of relative rotation with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and that is extended from the side supporting the rear wheel,
And the seat is supported by the extending projection.
제 15 항에 있어서,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시(側面視)에서, 상기 연장 돌출부의 상기 시트를 지지하는 부분이 전후 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각도는, 상기 후륜 지지 요소 중 상기 후륜을 지지하는 위치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전후 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각도보다 작은 유모차.
16. The method of claim 15,
An angle formed by the portion of the extending projection that supports the seat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a distance between a position for supporting the rear wheel of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and a position for supporting the rear wheel, And a portion located between the centers of the relative rotations is smaller than an angle form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돌출부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시에서, 전후 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각도가 전방측에서 작아지도록 구부러져 있는 유모차.
1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or 16,
Wherein the extending projection is bent such that the angle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side view in the use state is reduced at the front side.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앉음부와, 상기 앉음부와 접속된 등받이부와, 상기 앉음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측방에 설치된 측벽부를 갖는 시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후륜 지지 요소는,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을 넘어, 상기 후륜을 지지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를 갖고,
상기 시트의 상기 측벽부는, 상기 연장 돌출부와, 상기 주 링크 요소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유모차.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Further comprising a seat having a sitting portion, a backrest portion connected to the sitting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provided on a side of the sitting portion and the back portion,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has an extending projection that extends beyond the center of relative rotation with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and that is extended from the side supporting the rear wheel,
Wherein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seat is attached to the extending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main link element exten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rotation relative to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in the use state.
제 14 항에 있어서,
앉음부와, 상기 앉음부와 접속된 등받이부와, 상기 앉음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측방에 설치된 측벽부를 갖는 시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후륜 지지 요소는,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을 넘어, 상기 후륜을 지지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를 갖고,
상기 시트의 상기 측벽부는, 상기 연장 돌출부와, 상기 핸들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유모차.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a seat having a sitting portion, a backrest portion connected to the sitting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provided on a side of the sitting portion and the back portion,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has an extending projection that extends beyond the center of relative rotation with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and that is extended from the side supporting the rear wheel,
Wherein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seat is attached to a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extending projection and the front wheel support element of the handle.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 상태의 측면시에서, 상기 전륜 및 상기 후륜이 접지면에 접지한 상태에서, 상기 전륜 지지 요소 및 상기 후륜 지지 요소의 상대 회동 중심은, 상기접지면을 따른 방향에서 상기 전륜의 접지 위치와 상기 후륜의 접지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유모차.
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The relative pivot centers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are set such that the relative pivot center of the front wheel supporting element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element is in a range from the grounding position of the front wheel to the grounding face of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is positioned between the ground positions.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유모차가 자립(自立) 가능한 유모차.
2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0,
Wherein the baby carriage is capable of self-standing in the folded state.
KR1020157007958A 2012-10-15 2013-04-04 Stroller KR10206910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27875 2012-10-15
JP2012227875 2012-10-15
PCT/JP2013/060356 WO2014061296A1 (en) 2012-10-15 2013-04-04 St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118A true KR20150070118A (en) 2015-06-24
KR102069105B1 KR102069105B1 (en) 2020-01-22

Family

ID=50487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958A KR102069105B1 (en) 2012-10-15 2013-04-04 Stroll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44270B2 (en)
KR (1) KR102069105B1 (en)
CN (1) CN104718122B (en)
WO (1) WO201406129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4141B2 (en) * 2011-11-07 2016-07-05 コンビ株式会社 stroller
FR3010682B1 (en) * 2013-09-13 2015-10-23 Babyzen FOLDABLE STROLLER SUITABLE FOR TRANSPORTATION OF NEW-NES
WO2016012848A1 (en) * 2014-07-23 2016-01-28 Endepro Gmbh Pushchair
JP6957045B2 (en) * 2019-05-31 2021-11-02 コンビ株式会社 baby carri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8600A (en) * 1994-08-26 1996-03-05 Tokai Rika Co Ltd Children occupant seat supporting structure
JP2572278B2 (en) * 1989-07-14 1997-01-16 株式会社マンテン baby carriage
JP2001114111A (en) * 1999-10-15 2001-04-24 Satsuki:Kk Handcart
EP1972522A2 (en) 2007-03-21 2008-09-24 Jane S.A. A foldable pushchair for babies and small childre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1774A (en) * 1966-12-05 1969-01-14 Herschal F Garhan Baby strollers
JPH0732977Y2 (en) * 1989-07-22 1995-07-31 株式会社マンテン Joint locking device
JPH08213Y2 (en) * 1990-10-23 1996-01-10 株式会社マンテン Handrail mounting device for baby carriage
JP2524370Y2 (en) * 1993-12-08 1997-01-29 株式会社マンテン Handrail mounting device for baby carriage
JP2537980Y2 (en) * 1993-12-08 1997-06-04 株式会社マンテン baby carriage
JP3602867B2 (en) * 1994-06-22 2004-12-15 株式会社サッポロ巻本舗 Sauce manufacturing method
JPH09193810A (en) * 1996-01-19 1997-07-29 Manten:Kk Baby carriage
CN2428383Y (en) * 2000-01-03 2001-05-02 好孩子集团公司 Bassinet
JP2002019617A (en) * 2000-07-07 2002-01-23 Manten Co Ltd Baby carriage with sunshade
CN200945872Y (en) * 2006-09-21 2007-09-12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Baby go-cart
US8240698B2 (en) * 2009-09-16 2012-08-14 Bumbleride Inc. Collapsible structure for baby stroll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2278B2 (en) * 1989-07-14 1997-01-16 株式会社マンテン baby carriage
JPH0858600A (en) * 1994-08-26 1996-03-05 Tokai Rika Co Ltd Children occupant seat supporting structure
JP2001114111A (en) * 1999-10-15 2001-04-24 Satsuki:Kk Handcart
EP1972522A2 (en) 2007-03-21 2008-09-24 Jane S.A. A foldable pushchair for babies and small child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4061296A1 (en) 2016-09-05
WO2014061296A1 (en) 2014-04-24
CN104718122A (en) 2015-06-17
KR102069105B1 (en) 2020-01-22
CN104718122B (en) 2018-05-29
JP6144270B2 (en)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9752B2 (en) stroller
JP4855035B2 (en) stroller
JP4757594B2 (en) stroller
JP6599158B2 (en) Foldable baby carriage
JP6017184B2 (en) stroller
KR20150070118A (en) Stroller
JP4299016B2 (en) Folding baby carriage
WO2018051807A1 (en) Stroller
JP3981027B2 (en) Child care equipment seat hammock
JP6009221B2 (en) Seat and stroller
CN112009548B (en) Baby carriage
TWI752337B (en) Pushchair
TWI642578B (en) Baby carriage
JP5404243B2 (en) Lumbar support device
JP4159868B2 (en) Hammock stroller
TWI753279B (en) Pushchair
JP6758905B2 (en) baby carriage
JP2020019359A (en) baby carriage
JP2006103410A (en) Stroller with awning
JP6301786B2 (en) wheelchair
JP2020019365A (en) baby carriage
JP2657357B2 (en) Folding stroller
JP6109639B2 (en) baby carriage
JP2020019366A (en) Baby carriage and seat
JP2020019368A (en) Push c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