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769A - 골판지 - Google Patents

골판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769A
KR20150069769A KR1020130156287A KR20130156287A KR20150069769A KR 20150069769 A KR20150069769 A KR 20150069769A KR 1020130156287 A KR1020130156287 A KR 1020130156287A KR 20130156287 A KR20130156287 A KR 20130156287A KR 20150069769 A KR20150069769 A KR 20150069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wall
force
corrugated cardboard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영
Original Assignee
(주) 삼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호테크 filed Critical (주) 삼호테크
Priority to KR1020130156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9769A/ko
Publication of KR20150069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20Corrugating; Corrugating combined with laminating to othe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골판지는 지벽 내부에 합성수지 재질의 내력부재가 배치되어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높고, 상기 내력부재에 절곡을 위한 접힘수단이 형성되어 절곡이 필요한 부분에서 용이하게 절곡이 이루어지며, 차폐수단을 통해 외부에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판지{Corrugated cardboard}
본 발명은 골판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구성이 높고, 용이하게 절곡이 가능하고 외부에서 수분의 침투를 차단시키는 골판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판지는 물품을 운반하거나 보관하는 상품 포장용 박스나 각종 생활용품 등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써, 과거에는 종이 또는 목재 골판지가 주로 이용되었다. 이러한 종이재질의 골판지는 재질이 두께로 인해서 곡면이나 각진 모서를 갖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더불어 종이 골판지는 물기나 습기와 접촉하면, 쉽게 찢어지기 때문에, 사용상의 제약이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목재 골판지는 종이 골판지와 비교하여 중량이라, 운반이 용이하지 않다.
상기 종이 또는 목재 골판지와 같이, 쉽게 손상되고 재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종이 골판지 보다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골판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단프라 시트'라고도 불리우는 플라스틱 골판지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 수지를 압축 성형법으로 일체의 중공 구조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강하고, 경량이며, 내수성, 내유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각종의 내외포장, 운반용 상자, 산업용 자재, 포장용기, 농수산물 운반용기, 전자제품 포장용기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국 공개 특허 10-2004-0071895 한국 공개 특허 10-2013-0049009 한국 공개특허 10-2010-0099796
본 발명은 내구성이 높고, 용이하게 절곡이 가능하고 외부에서 수분의 침투를 차단시키는 골판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골판지에 있어서, 종이 재질로 형성되고,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제 1, 2, 3 지벽; 상기 제 1, 2 지벽 및 제 2, 3 지벽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 1, 2, 3 지벽에 접착 고정되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제 1, 2 내력부재; 상기 제 1, 2 내력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형성되어 절곡 시 상기 내력부재의 절곡을 안내하는 접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접힘수단은 상기 내력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접힘선(62); 상기 내력부재에 형성된 접힘슬릿(64); 상기 접힘슬릿(64) 내측에 위치되는 접힘부(66); 상기 내력수단에 부착되어 상기 접힘슬릿(64)을 차폐시키는 차폐수단(65)을 포함하는 골판지를 제공한다.
상기 내력부재는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단면이 물결무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력부재는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단면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력부재는 상기 지벽과 접착 고정되는 접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면은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수단(65)은 상기 접힘부(66)의 절곡 방향 반대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판지는 지벽 내부에 합성수지 재질의 내력부재가 배치되어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높고, 상기 내력부재에 절곡을 위한 접힘수단이 형성되어 절곡이 필요한 부분에서 용이하게 절곡이 이루어지며, 차폐수단을 통해 외부에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골판지는 내력부재의 접착면이 지벽에 접착 고정되기 때문에, 절곡이 이루어진 후에도 지벽과 내력부재의 접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의 일부 절개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력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가 도시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의 일부 절개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력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적층되게 배치된 제 1, 2, 3 지벽(10)(20)(30)과, 상기 제 1, 2 지벽(10)(20) 및 제 2, 3 지벽(20)(30)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2 내력부재(40)(5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2, 3 지벽(10)(20)(30)은 종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2 내력부재(40)(5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내력부재(40)(50)는 상기 제 1, 2 지벽(10)(20)에 접착 고정되고, 외력을 지지하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전체적인 단면 형상이 물결무늬로 형성된다. 합성수지로 형성된 상기 내력부재(40)(50)는 재질의 특성에 의해 탄성에 대한 복원력이 우수하여 외력이 가해진 후 원상태로 용이하게 복원될 수 있다.
여기서 물결무늬로 형성된 상기 내력부재(40)(50)의 산(52) 또는 골(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절곡이 용이하도록 접힘수단(60)이 형성된다.
상기 접힘수단(60)은 상기 내력부재(50)의 상기 산(52) 또는 골(54)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접힘선(62)과, 상기 산(52) 또는 골(54)에 형성된 접힘슬릿(64)과, 상기 접힘슬릿(64) 내측에 위치되는 접힘부(66)와, 상기 접힘부(66) 및 접힘슬릿(64)을 연결시키는 브리지(68)와, 상기 내력수단(40)(50)에 부착되어 상기 접힘슬릿(64)을 차폐시키는 차폐수단(65)을 포함한다.
상기 접힘선(62)은 골판지가 접힐 때 접히는 절곡부분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내력부재(40)(50)에 형성된 산(52) 또는 골(54)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힌선(62)은 상기 내력부재(40)(50)를 관통하여 파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내력부재(50)에 압력을 가하여 오목하게 형성시킴으로서 절곡시 용이하게 구부러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힘선(62)은 상기 접힘슬릿(64)과 연결된다.
상기 접힘슬릿(64)은 상기 내력부재(5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이를 통해 내측에 접힘부(66)를 형성시킨다.
상기 접힘부(66)는 상기 브리지(68)에 의해 상기 접힘슬릿(64)에 연결시키고, 절곡 시에 상기 접힘슬릿(64)에 절단되어 상기 접힘부(66)를 분리시킨다.
절곡 시 상기 브리지(68)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브리지(68)에는 두께가 더 얇게 형성된 분리홈(69)이 더 형성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를 절곡하는 경우, 상기 접힘선(62)을 따라 절곡되고, 절곡 시 상기 접힘부(66) 및 접힘슬릿(64)이 분리되면서 절곡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절곡 후에도 상기 내력부재(40)(50)가 상기 제 1, 2 지벽(10)(20)(30)을 지지하여 강도가 높아서 외력에 대한 지지력이 높게 형성된다.
또한 절곡 후 상기 접힘부(66)는 제 1 지벽(10), 제 2 지벽(20) 또는 제 3 지벽(30)에 밀착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절곡 부위의 굽힘강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접힘선(62)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 접힘슬릿(64) 및 접힘부(66)를 통해 탄성 및 강도가 높은 내력부재(40)(50)를 간편하게 절곡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포장상자를 보다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접힘수단(60)에는 상기 접힘슬릿(64)을 차폐하는 차폐부재(65)가 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차폐수단(65)을 통해 물이 상기 내력부재(40)(50)를 관통하여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폐수단(65)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력부재(40)(50)에 접착 고정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시트이고, 상기 접힘부(66)의 절곡 방향 반대 면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차폐수단(65)은 도 3과 같이 90도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접힘부(66)가 지벽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상기 접힘부(66)가 회전되어 개방된 접힘슬릿(64)을 차폐수단(65)이 폐쇄시킨다.
특히 2중으로 내력부재(40)(50)가 배치되고, 내측에 배치된 내력부재(40)의 높이가 더 높게 배치되어 접힘슬릿(64)의 높이차가 형성되며, 이로 인해 외측에 배치된 차폐수단(65)이 찢어지더라도 내측에 배치된 내력부재(40)로 인해 물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외부에서 제 3 지벽(30)을 관통하여 습기가 침투되더라도 상기 제 2 내력부재(50)의 외측면에 형성된 상기 산(52) 및 골(54)을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산(52) 및 골(54)에 모두 접힘수단(60)이 형성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일정 간격을 두고 번갈아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접힘수단(60)이 형성된 간격만큼 높이차가 더 형성되기 때문에, 침수되더라도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골판지는 내부에 제 1, 2 내력부재(40)(50)를 배치함으로서,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제 1, 2 내력부재(40)(50)의 산 및 골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시킴으로써, 압축하중에 대한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중으로 내력부재가 배치된 상태에서도 제 1, 2 내력부재(40)(50)에 형성된 접힘수단을 통해 절곡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두께가 두꺼운 골판지의 경우, 절곡 과정에서 찢어짐이 발생하거나 정확한 각도로의 절곡이 이루어지기 어렵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는 절곡부위 부근에 위치한 다수개의 접힘선에서 다단으로 절곡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원하는 각도로 절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내력부재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내력부재(70)는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단면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되, 지벽과의 접착을 위해 평탄한 접착면(7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력부재(70)는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산 및 골이 위치되는 부분에 각각 접착면(71)(73)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면(71)(73)의 양측에 각각 접힘선(62)이 형성된다.
그리고 평단하게 형성된 상기 접착면(71)(73)에 접힘슬릿(64) 및 접힘부(66)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접착면(71)(73) 중 상측에만 접힘수단(60)이 형성되고,
내측에 위치된
그래서 상기 골판지의 절곡 시, 상기 접힘선(62)을 중심으로 내력부재(70)의 절곡이 발생되고, 절곡된 후에도 상기 접착면(71)(73)과 지벽의 접착상태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제 1 지벽 20 : 제 2 지벽
30 : 제 3 지벽 40 : 제 1 내력부재
50 : 제 2 내력부재 60 : 접힘수단

Claims (5)

  1. 골판지에 있어서,
    종이 재질로 형성되고,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제 1, 2, 3 지벽;
    상기 제 1, 2 지벽 및 제 2, 3 지벽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 1, 2, 3 지벽에 접착 고정되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제 1, 2 내력부재;
    상기 제 1, 2 내력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형성되어 절곡 시 상기 내력부재의 절곡을 안내하는 접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접힘수단은
    상기 내력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접힘선(62);
    상기 내력부재에 형성된 접힘슬릿(64);
    상기 접힘슬릿(64) 내측에 위치되는 접힘부(66)
    상기 내력수단에 부착되어 상기 접힘슬릿(64)을 차폐시키는 차폐수단(65)을 포함하는 골판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력부재는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단면이 물결무늬로 형성된 골판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력부재는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단면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골판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력부재는 상기 지벽과 접착 고정되는 접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면은 평탄하게 형성된 골판지.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수단(65)은 상기 접힘부(66)의 절곡 방향 반대 면에 부착된 골판지.
KR1020130156287A 2013-12-16 2013-12-16 골판지 KR20150069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287A KR20150069769A (ko) 2013-12-16 2013-12-16 골판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287A KR20150069769A (ko) 2013-12-16 2013-12-16 골판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769A true KR20150069769A (ko) 2015-06-24

Family

ID=5351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287A KR20150069769A (ko) 2013-12-16 2013-12-16 골판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97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16227T3 (es) Construcción de envasado y métodos para fabricar dicha construcción de envasado
US4286006A (en) Corrugated material
US10513383B2 (en) Corner protector
US7913896B2 (en) Board blank for producing a packaging corner, and packaging corner
US9776374B2 (en) Smoothly bendable board
US20140050897A1 (en) Packaging structure
US10870523B2 (en) Corner protector
TR201816569T4 (tr) Kuvvetlendirilmiş karton.
JP7411213B2 (ja) 補強された箱及びかかる箱の製造方法
US202002157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bending a hollow core sheet using rods
US1097390A (en) Corrugated-fiber-board box.
KR20150069769A (ko) 골판지
US20120087714A1 (en) File folder
KR20150069764A (ko) 절곡이 가능한 골판지
JP6550929B2 (ja) 梱包材
CA2939885C (en) System and method for bending a hollow core sheet using rods
JP5632153B2 (ja) 包装用ケース
JP2016119785A (ja) 保護部材付電線及び保護部材
JP2008542139A5 (ko)
KR20090008102U (ko) 포장재
US7886911B1 (en) Corrugated container with integral dunnage
JP2015229495A (ja) 包材およびこの包材を用いた包装体の製造方法
KR0173852B1 (ko) 완충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의 종이시이트
JP3113632U (ja) 梱包用補助部材
JP4276011B2 (ja) 包装材及び包装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