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480A - 강도가 개선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강도가 개선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480A
KR20150069480A KR1020130155931A KR20130155931A KR20150069480A KR 20150069480 A KR20150069480 A KR 20150069480A KR 1020130155931 A KR1020130155931 A KR 1020130155931A KR 20130155931 A KR20130155931 A KR 20130155931A KR 20150069480 A KR20150069480 A KR 20150069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ellulose
melt
compone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일
임성수
임지영
신동수
김도현
Original Assignee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5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9480A/ko
Publication of KR20150069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4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or protei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6Washing or dry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7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for making fire- or flame-proof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olefin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2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stiff, shape reten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방사 셀롤로오스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복합섬유는 기존의 물성이 취약했던 용융 셀롤로오스 섬유 와 비교할 때, 강도, 신도 등의 기계적 물성 등이 크게 향상되었는 바, 기능성 원단, 의류소재 등 폭 넓게 사용할 있다.

Description

강도가 개선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Melt spinning-composite fiber improved strength and Preparing method there of}
본 발명은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섬유의 강도가 약하여 그 응융 범위가 좁았으나, 이의 강도를 개선시킨 복합섬유 형태의 신규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 합성수지는 기계적 물성, 내화학성, 내구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합성수지의 경우 자연에서 스스로 분해가 되지 않아 소각 처리를 할 경우, 유해 물질이 방출되는 단점을 지녔다.
최근 환경오염 문제가 사회적인 큰 문제로 대두되면서 자연에서 완전 분해가 가능한 생분해성 수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생분해성 수지로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 폴리에틸렌석시네이트, 폴리라틱에시드 등은 생분해성이 우수하지만, 높은 가격으로 경제성이 결여되어 있거나, 용융점이 낮아 1회 용품인 성형 사출물에 한정적일 수밖에 없고, 섬유 제품군과 같은 제품 제조에 있어, 열적 안정성을 유지해야 하는 제품군의 용도 전개는 곤란한 실정이다. 이 중 최근 바이오매스계인 자연에서부터 원료가 공급이 되는 제품으로 폴리락트산(PLA) 또는 전분 등과 같은 제품들이 각광을 받고 있으나, 섬유화하기에는 고온 염색이 불가하고 가수분해에 취약하여 물성이 취약하며, 후가공에서 텐터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경화가 일어나 브리틀(brittle)한 특성을 지니는 등 여러 가지 단점이 있으며, 기존 폴리에스테르를 방사하는 방사기기에서 방속 4000 mpm에서 방사를 진행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셀룰로오스 재료는 펄프에서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경작지 및 용수가 필요하지 않은 지구상에서 가장 대량으로 생산되는 생분해가 가능한 자원순환형 바이오매스 재료이다. 셀룰로오스의 섬유로의 이용은 자연계 중에서 생산되는 면이나 마 등의 단섬유를 그대로 방적하여 사용하는 것이 예로부터 행해져 왔었다. 또한, 단섬유가 아닌 필라멘트재료를 얻기 위해서 셀룰로오스를 특수한 용매에 용해시켜 습식방사법을 행하거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와 같이 셀룰로오스를 유도체화하고, 염화메틸렌이나 아세톤 등의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후, 이 용매를 증발시키면서 방사하는 건식 방사법이 행해져 왔다.
그러나, 이들 습식방사법 또는 건식방사법으로 얻어지는 섬유는 방사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섬유의 제조에 사용되는 이황화탄소, 아세톤, 염화메틸렌 등의 유기용매가 환경 및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염려가 있었다. 따라서 셀룰로오스를 원료로 하는 환경친화형 섬유를 얻기 위해서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용융 방사법에 의한 것이 필요하다. 용융방사가 가능한 열가소성 셀룰로오스 조성물 및 이것으로 이루어진 섬유로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에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수용성 가소제를 대량으로 첨가한 셀룰로오스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진 섬유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존의 셀룰로오스 섬유(대한민국 등록번호 10-0575378호, 대한민국 등록번호 10-0486815호 등)는 고온 방사 중 사절 발생이 많아 방사 공정성이 좋지 않으며, 폴리머 물성 저하로 인한 후 가공성 역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가소화된 셀룰로오스의 경우 일정량의 수분이 존재하여 고온의 열처리를 받게 되면 고분자의 사슬의 분해가 가속화되어 그 가공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최근, 의류 분야에 있어서는 소비자 요구의 다양화, 고급화의 지향으로부터, 셀룰로스 에스테르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등의 타합성 섬유의 특징을 이용해 양자를 우성 복합한 고부가 가치 섬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섬유 자체는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약한 문제가 있고, 기존에 개발된 복합 섬유 또한, 충분한 강도를 갖지 못하여 그 응용 범위가 한계를 갖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융방사를 통해 제조한 셀룰로오스 섬유의 낮은 기계적 물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에 관한 것으로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제1성분 내부;에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함유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제2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는 시스-코어(sheath-core) 형태로서, 제1성분은 시스를 이루고 있으며, 제2성분은 코어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시스와 코어는 상기 복합섬유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체 면적 대비 시스 부분의 면적비는 45 ~ 80 %이고, 코어 부분의 면적비는 55 ~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은 중량평균분자량 1,000이하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글리콜산, 폴리부틸아디페이트, 글리세린, 트리부틸세바케이트, 트리아세틴 및 트리에틸시트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가소제; 페놀기를 포함하는 수불용성 화합물을 함유한 라디칼생성억제제; 말단에 인을 함유한 수불용성 화합물을 함유한 라디칼활성억제제; 방향족 폴리카르보디이미드를 함유한 가수분해 방지제; 및 트리에틸포스페이트(Triethyl phosphate), 트리부틸포스페이트(Tributyl phosphate), 트리부톡시에틸 포스페이트(Tributoxyethyl phosphate), 트리크레질 포스페이트(Tricresyl phosphate),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이소프로필레이티드(Triaryl phosphate isopropylated), 하이드로퀴논 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Hydroquinone bis-(diphenyl phosph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인계 난연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은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소제 20 ~ 45 중량부; 상기 라디칼생성억제제 0.2 ~ 1.5 중량부; 상기 가수분해 방지제 0.2 ~ 1.5 중량부; 상기 가수분해방지제 0.1 ~ 5 중량부; 및 상기 인계 난연제 5 ~ 20 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제2성분은 용융지수 (Melt Index) 5 ~ 15 g/10min 인 폴리에틸렌 수지; 및 용융지수 (Melt Index) 5 ~ 15 g/10min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2 ~ 4 : 8 ~ 6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과 상기 제2성분을 5 ~ 8 : 5 ~ 2 중량비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는 치환도가 2.2 ~ 2.6일 수 있으며,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카프로네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카프릴레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라울레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팔미테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스테아레이트 수지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올레이트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생성억제제는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시나메이트)메테인을 포함하고, 상기 라디칼활성억제제는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방지제는 2,2',6,6'-테트라이소프로필디펜닐 카보디이미드 및 벤젠-2,4-디이소시안아토-1,3,5-트리스(1-메틸에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방향족 폴리카르보디이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앞서 설명한 다양한 형태의 본 발명의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는 ASTM D3217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시, 복합섬유의 강도가 1.5 g/de ~ 2.5 g/de이고, 신도가 50% ~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는 ISO 2060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시, 복합섬유의 섬도가 2 ~ 8 데니어(mono filament)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제1성분; 및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함유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제2성분;을 복합 방사 구금을 통해 3,500 mpm ~ 5,500 mpm의 방속으로 용융 복합 방사하여 앞서 설명한 다양한 형태의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용융 복합 방사는 250℃ ~ 300℃ 하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복합 방사 구금은 시스-코어형 방사구금이며, 상기 제1성분은 시스 성분이고, 상기 제2성분은 코어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용융 복합 방사된 섬유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는 70℃ ~ 90℃에서 20 ~ 24 시간 동안 단일 건조 또는 다단 건조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다단 건조는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온도 하에서 수행하는 1차 건조 및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온도 하에서 수행하는 2차 건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관계식1]
Td1 = a - b×Pplsc
관계식1에서, Td1 : 1차 건조 온도이고, Pplsc = Wplsc/(Wcell + Wplsc)×100 이며, Wcell: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의 중량이고, Wplsc: 가소제의 중량이며, a는 210 ≤ a ≤ 230, b는 4 ≤ b ≤ 4.5 이다.
[관계식2]
Td2 = Td1 + c
관계식2에서, Td2: 2차 건조 온도이고, C는 10 ≤ c ≤ 20 이다.
본 발명의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는 경량이면서도 강도 및 신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매우 우수한 바, 기존의 용융 셀룰로오스 섬유보다 응용분야를 확대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을 통해 고부가가치의 기능성 원단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을 한다.
본 발명의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이하, 복합섬유로 정의함.)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시스-코어형 복합섬유이며, 시스(20)는 제1성분을 포함하고, 코어(21)은 제2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섬유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외부는 제1성분으로 이루어지고, 내부는 제1성분과 다른 제2성분으로 이루어진 복합섬유로서, 상기 제1성분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성분은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함유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성분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 중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는 셀룰로오스의 수산기 일부 또는 전부가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서 치환되어 있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로, 셀룰로오스 수산기의 강한 수소 결합을 약하게 하여 가소제가 그 사이로 잘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가소제를 효과적으로 혼합함에 따라 셀룰로오스 수산기로 인한 강한 수소결합을 방해하여 용융 방사가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카프로네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카프릴레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라울레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팔미테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스테아레이트 수지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올레이트 수지 등의 단독 또는 혼합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는 평균중합도가 30,000 ~ 50,000일 수 있으며, 치환도가 2.2 ~ 2.6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평균중합도가 35,000 ~ 45,000이고 치환도가 2.3 ~ 2.5 일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의 치환도란, 셀룰로오스의 수산기가 에스테르 결합으로 치환된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의 치환도가 2.2 미만일 경우, 유동성이 떨어지고 습윤 시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2.6을 초과할 경우 생분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성분은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외에 가소제, 라디칼생성억제제, 라디칼활성억제제, 가수분해 방지제 및 인계 난연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에 혼합되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화합물에 존재하는 수산기로 인한 강한 수소결합을 방해하고 용융 방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소화가 촉진될 수 있도록 1,000이하의 저분자량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소제는 디메틸프탈레이트, 디에틸프탈레이트, 디헥실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디메톡시에틸프탈레이트, 에틸프탈릴에틸글리콜레이트, 부틸프탈릴부틸글리콜레이트 등의 프탈산에스테르류; 테트라옥틸피로멜리테이트, 트리옥틸트리멜리테이트 등의 방향족 다가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류; 디부틸아디페이트, 디옥틸아디페이트, 디부틸세바케이트, 디옥틸세바케이트, 디에틸아젤레이트, 디부틸아젤레이트, 디옥틸아젤레이트 등의 방향족 다가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류; 글리세린트리아세테이트, 디글리세린테트라아세테이트, 폴리글리콜산 등의 다가 알콜의 저급지방산 에스테르류; 트리에틸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트리크레질포스페이트 등의 인산에스테르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등의 글리콜과 이염기산으로 이루어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류; 폴리글리콜산 등의 옥시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류;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프로피오락톤, 폴라발레로락톤 등의 락톤으로 이루어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류; 폴리비닐피롤리돈와 같은 비닐폴리머류; 트리부틸세바케이트; 트리아세틴; 및 트리에틸시트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량평균분자량 1,000이하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글리콜산, 폴리부틸아디페이트, 글리세린, 트리부틸세바케이트, 트리아세틴 및 트리에틸시트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소제의 사용량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 45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25 ~ 40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4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2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셀룰로오스의 강한 수소결합으로 인해 방사가 불량할 수 있으며, 45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방사 시 발연의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섬유표면으로의 가소제의 블리드 아웃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 성분 중 상기 라디칼생성억제제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를 열가소화시키기나 및/또는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를 방사하는 공정에서 열에 의한 분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사슬이 깨져서 생성되는 라디칼 생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250℃ ~ 300℃의 온도에서도 복합 용융방사가 가능하여, 우수한 색도를 가지는 셀룰로오스 섬유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라디칼생성억제제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및 가소제와 혼합이 용이한 액상, 고상 형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페놀기를 포함하는 수불용성 화합물과 같은 것 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키스메틸렌 (3,5-디-t-부틸-4-하이드록시시나메이트)메탄일 수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Anox 20 (Chemtura Co.), Iganox 1010 (Ciba Specialty Chemicals, Inc.) 및 Songnox1010 (SongwonIndustrial Co., Lt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디칼생성억제제의 사용량은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2 ~ 0.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만약 0.2 중량부 미만일 경우 방사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의 열분해 방지능이 미흡하여 열가소화 또는 방사 과정에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가 열분해될 수 있으며,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팩 압력 상승의 원인으로 방사 조업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 성분으로서, 라디칼생성억제제 뿐만 아니라, 라디칼활성억제제도 같이 사용함으로써, 불량률이 낮으면서도 색도가 우수한 셀룰로오스 섬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라디칼활성억제제는 제조된 셀룰로오스 섬유가 대기 중에서 산화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셀룰로오스 주사슬이 깨져서 생성되는 라디칼 생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라디칼활성억제제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및 가소제와 혼합이 용이한 액상, 고상 형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말단에 원소 인을 함유하는 수불용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를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Alkanox 240 (Chemtura Co.), Igafos 168 (Ciba Specialty Chemicals, Inc.), Songnox 1680 (Songwon Industrial Co., Lt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디칼활성억제제의 사용량은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2 ~ 0.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만약 0.2 중량부 미만일 경우, 용융방사시 열분해 방지능이 미흡하여 열가소화 또는 방사 과정에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가 열분해될 수 있으며,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팩 압력 상승의 원인으로 방사 조업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 성분으로서, 상기 가수분해 방지제는 고온의 열처리 공정에서 가소화된 셀룰로오스에 존재하는 일정량의 수분이 야기하는 가수분해로 인한 고분자의 사슬의 분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셀룰로오스 조성물을 용융방사 공정을 진행하면 가수분해 방지효과에 의해 통상의 건조 수분율 관리 기준보다 높은 수분율 기준을 적용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건조 공정의 시간을 단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수분율 관리기준이 500ppm이하였다면, 본 발명의 경우, 수분율 관리기준이 1,000 ppm ~ 3,000 ppm 일 수 있으며, 건조공정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나아가, 일부 잔류하는 수분율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추가적인 가수분해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점도 저하에 의한 가공성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수분해 방지제는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계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R-N=C=N-R 및/또는 R-N=C=N=R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스-카보디이미드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R과 R'는 C4 ~ C20의 치환 또는 미치환 알킬기, 치환 또는 미치환 아르일기(arylgroups)를 나타내며, 여기서 치환은 할로겐 아톰, 니트로기, 아미노기, 설퍼닐기, 하이드록실기,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alkoxy group) 이며, 그리고 R 및 R'는 동일할 수 있거나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스-카보디이미드의 예를 들면, TABAXOL의 상표명으로 독일의 레인-케임 게엠베하(Rhein-Chemie GmbH)에서 제조된 비스-카보디이미드로서, 2,2',6,6'-테트라이소프로필디펜닐 카보디이미드와, 2,4-디이소시안네이트-1,3,5-트리스(1-메틸에틸)의 2,6-디이소프로필디이소시안네이트와의 공중합체, 벤젠-2,4-디이소시안아토-1,3,5-트리스(1-메틸에틸) 호모폴리머 등의 방향족 폴리카보디이미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2',6,6'-테트라이소프로필디펜닐 카보디이미드 및 벤젠-2,4-디이소시안아토-1,3,5-트리스(1-메틸에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가수분해 방지제의 사용량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5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0.5 ~ 4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0.1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셀룰로오스의 가수분해 방지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인 바,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 성분으로서, 상기 인계 난연제는 다른 성분들과 혼합이 용이한 액상, 고상 형태일 수 있으며, 인산 에스터 난연제로 분류되는 트리에틸포스페이트(Triethyl phosphate), 트리부틸포스페이트(Tributyl phosphate), 트리부톡시에틸 포스페이트(Tributoxyethyl phosphate), 트리크레질 포스페이트(Tricresyl phosphate),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이소프로필레이티드(Triaryl phosphate isopropylated) 또는 하이드로퀴논 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Hydroquinone bis-(diphenyl phosphate)) 등의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계 난연제는 다른 인계 난연제에 비하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의 난연성 확보에 유리하며, 본 발명 가소제와의 조합에 있어서 용융방사 시 고속 방사가 가능하도록 하고, 섬유의 강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인계 난연제의 사용량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20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7 ~ 15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1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난연 성능 발현이 미비할 수 있으며,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용융 점도가 감소하여 방사에 불리할 수 있으며, 섬유 표면에 가소제가 용출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2성분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서 제2성분은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용융 지수가 5 ~ 15 g/10min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이때, 용융 지수가 5 g/10min 미만이면 고분자가 방사 공정 내에서 용융 시 상기 수지의 흐름성이 저하되어 팩압이 상승하여 연속적인 방사 공정 상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5 g/10min을 초과하면 수지의 용융점도가 하락하여 방사 공정 중 사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용융 지수를 갖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용융 지수가 5 ~ 15 g/10min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이때, 용융 지수가 5 g/10min 미만이면 고분자가 방사 공정 내에서 용융 시 상기 수지의 흐름성이 저하되어 팩압이 상승하여 연속적인 방사 공정 상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용융지수가 15 g/10min을 초과하면 수지의 용융점도가 하락하여 방사 공정 중 사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용융 지수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와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2 ~ 4 : 8 ~ 6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2.5 ~ 3.5 : 8.5 ~ 6.5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폴리에틸렌 수지를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2 중량비 미만으로 사용시 상기 제 1성분과의 계면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폴리에틸렌 수지를 4 중량비로 초과 사용하면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혼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의 중량비로 상기 수지들을 혼합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복합섬유는 앞서 설명한 상기 제1성분과 제2성분을 5 ~ 8 : 5 ~ 2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5 ~ 7 : 5 ~ 3 중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6 : 5 ~ 4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 좋은데, 이때, 제2성분이 3 중량비 미만이면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기대수준에 못 미칠 수 있고, 제2 성분이 5 중량비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제1성분이 너무 적어서 제 1성분 본연의 광택과 촉감 구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섬유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시스 형태 일 수 있는데, 코어-시스 형태인 경우, 복합섬유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스(20)의 전체 면적 대비 면적비는 45 ~ 80 %이고, 코어 부분의 면적비는 55 ~ 20 %인 것이 좋다. 이때, 코어의 면적비가 45 % 미만이면 복합섬유의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조할 수 있고, 80 %를 초과하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성분인 시스의 전체양이 상대적으로 너무 적어져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섬유 본연의 광택과 촉감 구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복합섬유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제1성분; 및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혼합수지를 포함하는 제2성분;을 복합 방사 구금을 통해 3,500 ~ 5,500 mpm의 방속으로 용융 복합 방사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성분은 70℃ ~ 90℃에서 20 ~ 24 시간 동안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용융 복합 방사는 3,000 mpm ~ 6,000 mpm의 방사속도(방속)으로, 바람직하게는 3,500 mpm ~ 5,000 mpm의 방속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3,800 mpm ~ 4,500 mpm의 방속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이때, 3,000 mpm 미만의 방속으로 수행 시 섬유에 충분한 장력이 실리지 못하여 원활한 권취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500 mpm 초과의 방속으로 수행 시 섬유에 과도한 장력이 부여되어 사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융 복합 방사는 250℃ ~ 300℃ 하에서, 바람직하게는 260 ~ 290℃ 하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270 ~ 280℃ 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좋은데, 250℃ 미만에서 방사를 수행하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가 충분히 용융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00℃를 초과하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가 탄화하여 공정상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온도 하에서 방사를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용융 복합 방사는 토출량 32 ~ 160 g/min인 것이, 바람직하게는 토출량 48 ~ 96 g/min 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좋으며, 토출량이 32 g/min 미만이면 방사 공정 수행 시 섬유에 과도한 장력이 부여되어 사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토출량이 160 g/min 를 초과하면 과도한 원료 투입으로 인하여 수지가 충분히 용융하지 못하고 팩압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복합 방사 구금은 시스-코어형 방사구금 또는 해도형 방사구금일 수 있으며, 제1성분은 시스 성분 또는 해 성분으로 구금에 투입될 수 있고, 제2성분은 코어 성분 또는 도 성분으로서 구금에 투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는 한번에 수행할 수도 있으며, 온도를 달리하여 1차 건조 및 2차 건조의 다단 건조로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이를 설명하면, 상기 다단 건조는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온도에서 1차 건조 후,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온도에서 2차 건조시키는 다단 건조를 수행할 수 함으로써, 방사 작업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다단 건조를 통해 수분율 100 내지 1,000 ppm을 만족하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즉, 수분율을 최소화함으로써 가수분해를 방지하여 강신도를 향상시키고, 가소제 용출을 억제하는 추가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관계식1]
Td1 = a - b×Pplsc
관계식1에서, Td1 : 1차 건조 온도이고, Pplsc = Wplsc/(Wcell + Wplsc)×100 이며, Wcell: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의 중량이고, Wplsc: 가소제의 중량이며, a는 210 ≤ a ≤ 230, b는 4 ≤ b ≤ 4.5 이다.
[관계식2]
Td2 = Td1 + c
관계식2에서, Td2: 2차 건조 온도이고, C는 10 ≤ c ≤ 20 이다.
상기 1차 건조가 관계식1의 Td1의 온도 미만으로 이루어질 경우 제1성분의 표면 결정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2차 건조 시 방사된 섬유간 융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을 수 있으며, Td1의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1성분과 제2성분이 늘어붙어서 코어-시스 또는 해도상 형태의 모양이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1차 건조는 Td1을 만족하는 온도에서 30분 ~ 120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30분 미만으로 건조할 경우 표면 결정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을 수 있으며, 120분을 초과하여 건조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상기 2차 건조가 관계식2의 Td2의 온도 미만으로 이루어질 경우 제1성분의 수분율 감화율이 낮아 건조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으며, Td2의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과열로 인해 제1성분의 점도가 너무 낮아서 복합방사에 불리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2차 건조는 Td2을 만족하는 온도에서 30 내지 300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30분 미만으로 건조할 경우 수분율 감화율이 낮아 건조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으며, 300분을 초과하여 건조할 경우 비효율적이고, 제1성분의 점도가 너무 낮아서 복합방사에 불리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건조 및 2차 건조는 0.1 내지 200 torr의 진공도에서 진공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진공도가 200 torr를 초과하는 경우 소비 에너지 대비 수분 제거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복합섬유는 ASTM D3217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시, 복합섬유의 강도가 1.5 g/de ~ 2.5 g/de이고, 신도가 50% ~ 150%, 바람직하게는 70% ~ 120%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섬유는 ISO 2060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시, 복합섬유의 섬도가 2 ~ 8 데니어 (mono filament) 일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 실시예 ]
실시예 1
아세틸의 치환도가 2.4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이스트만사) 100 중량부에 가소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PEG) 35 중량부와 라디칼생성억제제인 테트라키스메틸렌 (3,5-디-t-부틸-4-하이드록시시나메이트)메탄 0.2 중량부 및 라디칼활성억제제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0.2 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혼합 및 용융온도 230℃에서 용융시켜서 용융수지(제1성분)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용융수지를 제습 건조기 80℃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또한, 용융지수가 8.5 g/10min 인 폴리에틸렌 수지와 용융지수 10 g/10min 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3 : 7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혼합 및 용융온도 190℃에서 용융시켜서 용융수지(제2성분)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용융수지를 제습 건조기 80℃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상기 제1성분과 제2성분을 5.7 ~ 5.8 : 4.4 ~ 4.2 중량비로 시스-코어형 방사 구금에 각각 투입한 다음, 275℃ 하에서 4,000 mpm 방사속도로 복합 방사하여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형태의 시스-코어형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이때, 도 1과 같은 전체 면적 대비로 시스 부분의 면적비는 57%이고, 코어 부분의 면적비는 43%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스-코어형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를 제조하되, 상기 제1성분과 제2성분을 6.7 ~ 6.8 : 3.3 ~ 3.2 중량비로 시스-코어형 방사 구금에 각각 투입하여, 시스-코어형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를 제조였으며, 시스 부분의 면적비는 67%이고, 코어 부분의 면적비는 33%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스-코어형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를 제조하되, 제2성분으로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2.2 : 7.8 중량비가 되도록 하여 제조한 제2성분을 이용하여 시스-코어형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를 제조하였으며, 시스 부분의 면적비는 56%이고, 코어 부분의 면적비는 44%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스-코어형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를 제조하되, 제2성분으로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4 : 6 중량비가 되도록 하여 제조한 제2성분을 이용하여 시스-코어형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를 제조하였으며, 시스 부분의 면적비는 57%이고, 코어 부분의 면적비는 43%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스-코어형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를 제조하되, 용융지수가 7.0 g/10min 인 폴리에틸렌 수지와 용융지수 12 g/10min 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여 제2성분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시스-코어형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를 제조하였으며, 시스 부분의 면적비는 55%이고, 코어 부분의 면적비는 45%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스-코어형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를 제조하되, 용융지수가 9.5 g/10min 인 폴리에틸렌 수지와 용융지수 7.5 g/10min 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여 제2성분을 제조한 후, 제1성분과 제2성분을 6.2 ~ 6.3 : 3.8 ~ 3.7 중량비로 시스-코어형 방사 구금에 각각 투입하여, 이를 이용하여 시스-코어형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를 제조하였으며, 시스 부분의 면적비는 63%이고, 코어 부분의 면적비는 37%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스-코어형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를 제조하되, 용융방사를 5,300 mpm의 방사속도 하에서 수행하여 시스-코어형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를 제조하였고, 시스 부분의 면적비는 59%이고, 코어 부분의 면적비는 41%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제1성분만으로 단독 방사를 실시하여 용융 셀룰로오스 섬유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스-코어형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를 제조하되, 상기 제1성분과 제2성분을 7.4 ~ 7.5 : 2.4 ~ 2.5 중량비로 시스-코어형 방사 구금에 각각 투입하여, 시스-코어형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를 제조였으며, 시스 부분의 면적비는 74%이고, 코어 부분의 면적비는 26%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스-코어형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를 제조하되, 상기 제1성분과 제2성분을 7.4 ~ 7.5 : 2.4 ~ 2.5 중량비로 시스-코어형 방사 구금에 각각 투입하여, 시스-코어형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를 제조였으며, 시스 부분의 면적비는 55%이고, 코어 부분의 면적비는 45%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스-코어형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를 제조하되, 용융방사를 5,800 mpm의 방사속도 하에서 수행하여 시스-코어형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를 제조하였고, 시스 부분의 면적비는 60%이고, 코어 부분의 면적비는 40%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스-코어형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를 제조하되, 용융지수 15.5 g/10min 인 폴리에틸렌 수지 및 용융지수 17.5 g/10min 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여 제2성분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시스-코어형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를 제조하였으며, 시스 부분의 면적비는 56%이고, 코어 부분의 면적비는 44%였다.
실험예 1 : 물성 측정 실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복합섬유의 물성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섬도의 측정
섬도의 측정은 ISO 2060에 의거하여 타래법에 의한 번수로 측정하였다. 측정한 번수를 복합 섬유 제조 시 사용한 구금의 홀 (hole) 수로 나누어 단일 섬유의 섬도를 계산하였다.
(2) 강도, 신도의 측정
ASTM D3217에 의거하여 섬유의 기계적 물성을 만능 시험 장치(Universal Test Machine, Instron)를 사용하여 인장 강도와 인장 신도를 측정하였다. 강도 및 신도는 섬유에 일정한 힘을 주어 절단될 때까지 연신시켰을 때 걸린 하중을 데니어로 나눈 값(g/de)을 강도, 늘어난 길이에 대한 처음 길이를 백분율로 나타낸 값(%)을 신도로 정의하였다.
(3) 방사 작업성
고속방사 가능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방사 작업성을 다음과 같이 판단하였다. (×: 방사 불가, △: 5분내 사절, ○: 10분 내 사절, ◎ : 매우 양호 )
구분 단일 섬도
(De)
강도
(g/de)
신도
(%)
방사속도
(mpm)
방사
작업성
실시예 1 3.5 2.1 80 4,000
실시예 2 3.5 2.5 118 4,000
실시예 3 3.5 1.7 69 4,000
실시예 4 3.5 2.2 104 4,000
실시예 5 3.5 2.0 97 4,000
실시예 6 3.5 2.4 123 4,000
실시예 7 3.5 1.7 72 5,300
비교예 1 5 0.8 30 2,500
비교예 2 3.5 1.1 46 4,000
비교예 3 3.5 1.3 64 4,000
비교예 4 3.5 1.5 60 5,800
비교예 4 3.5 0.5 21 4,000 ×
상기 표 2의 물성측정결과를 보면, 상기 실시예 1 ~ 실시예 7의 복합섬유의 경우, 1.5 g/de 이상의 강도, 50%의 신도, 바람직하게는 65% 이상의 신도를 갖으면서도 방사작업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와 비교할 때, 비교예 1의 경우, 강도 및 신도가 좋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제2성분을 3 중량비 미만으로 사용한 비교예 2는 비교예 1 보다는 우수하지만,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강도 및 신도가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2성분 제조시, 폴리에틸렌 수지를 2 중량비 미만으로 사용한 비교예 3의 경우, 실시예 1및 실시예 3과 비교할 때, 강도가 다소 떨어지고, 방사작업성이 떨어졌는데, 이는 폴리에틸렌 수지가 적게 들어가서 제2성분과 제1성분과의 계면 접착력이 저하되어서, 제1성분과의 상용성이 저하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5,500 mpm을 초과한 5,800 mpm의 방사속도에서 복합방사를 수행한 비교예 4의 경우, 실시예 6과 비교할 때, 방사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비교예 5의 경우, 방사 공정 중 사절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는 신도, 강도 등의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제조시 고속방사도 가능한바, 우수한 생산성 또는 경제성을 갖는 셀룰로오스 섬유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본 발명을 통해서 새로운 기능성 원단, 아웃도어 소재 및 의류소재 등에 폭 넓게 응용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6)

  1.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제1성분 내부;에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함유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제2성분;을 포함하는 강도가 개선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섬유는 시스-코어 형태로서, 제1성분은 시스를 이루고 있으며, 제2성분은 코어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개선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섬유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체 면적 대비 시스 부분의 면적비는 45 ~ 80 %이고, 코어 부분의 면적비는 55 ~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개선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은
    중량평균분자량 1,000이하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글리콜산, 폴리부틸아디페이트, 글리세린, 트리부틸세바케이트, 트리아세틴 및 트리에틸시트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가소제;
    페놀기를 포함하는 수불용성 화합물을 함유한 라디칼생성억제제;
    말단에 인을 함유한 수불용성 화합물을 함유한 라디칼활성억제제;
    방향족 폴리카르보디이미드를 함유한 가수분해 방지제; 및
    트리에틸포스페이트(Triethyl phosphate), 트리부틸포스페이트(Tributyl phosphate), 트리부톡시에틸 포스페이트(Tributoxyethyl phosphate), 트리크레질 포스페이트(Tricresyl phosphate),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이소프로필레이티드(Triaryl phosphate isopropylated), 하이드로퀴논 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Hydroquinone bis-(diphenyl phosph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인계 난연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개선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성분은 용융지수(Melt Index) 5 ~ 15 g/10min 인 폴리에틸렌 수지; 및 용융지수(Melt Index) 5 ~ 15 g/10min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2 ~ 4 : 8 ~ 6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개선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성분은 용융지수(Melt Index) 5 ~ 15 g/10min 인 폴리에틸렌 수지; 및 용융지수(Melt Index) 5 ~ 15 g/10min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2 ~ 4 : 8 ~ 6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개선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
  7. 제4항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소제 20 ~ 45 중량부; 상기 라디칼생성억제제 0.2 ~ 1.5 중량부; 상기 라디칼활성억제제 0.2 ~ 1.5 중량부; 상기 가수분해방지제 0.1 ~ 5 중량부; 및 상기 인계 난연제 5 ~ 20 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개선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는 치환도가 2.2 ~ 2.6이며,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카프로네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카프릴레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라울레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팔미테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스테아레이트 수지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올레이트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개선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생성억제제는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시나메이트)메테인을 포함하고, 상기 라디칼활성억제제는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개선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방지제는 2,2',6,6'-테트라이소프로필디펜닐 카보디이미드 및 벤젠-2,4-디이소시안아토-1,3,5-트리스(1-메틸에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방향족 폴리카르보디이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개선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STM D3217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시, 복합섬유의 강도가 1.5 g/de ~ 2.5 g/de이고, 신도가 50% ~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개선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SO 2060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시, 복합섬유의 섬도가 2 ~ 8 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개선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
  13.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제1성분; 및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함유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제2성분;을 복합 방사 구금을 통해 3,500 ~ 5,500 mpm의 방속으로 용융 복합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개선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복합 방사는 250℃ ~ 300℃ 하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개선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방사 구금은 시스-코어형 방사구금이며, 상기 제1성분은 시스 성분이고, 상기 제2성분은 코어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개선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용융 복합 방사된 섬유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는 70℃ ~ 90℃에서 20 ~ 24 시간 동안 단일 건조 또는 다단 건조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다단 건조는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온도 하에서 수행하는 1차 건조 및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온도 하에서 수행하는 2차 건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개선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관계식1]
    Td1 = a - b×Pplsc
    관계식1에서, Td1 : 1차 건조 온도이고, Pplsc = Wplsc/(Wcell + Wplsc)×100 이며, Wcell: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의 중량이고, Wplsc: 가소제의 중량이며, a는 210 ≤ a ≤ 230, b는 4 ≤ b ≤ 4.5 이다.
    [관계식2]
    Td2 = Td1 + c
    관계식2에서, Td2: 2차 건조 온도이고, C는 10 ≤ c ≤ 20 이다.
KR1020130155931A 2013-12-13 2013-12-13 강도가 개선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69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931A KR20150069480A (ko) 2013-12-13 2013-12-13 강도가 개선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931A KR20150069480A (ko) 2013-12-13 2013-12-13 강도가 개선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480A true KR20150069480A (ko) 2015-06-23

Family

ID=53516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931A KR20150069480A (ko) 2013-12-13 2013-12-13 강도가 개선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94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2832A (zh) * 2017-08-16 2019-03-01 曾凱熙 增强纤维布、防护板及制备防护板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2832A (zh) * 2017-08-16 2019-03-01 曾凱熙 增强纤维布、防护板及制备防护板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226B1 (ko) 친환경 생분해성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28493A (ko) 용융 셀룰로오스 유도체 조성물 및 용융 셀룰로오스 유도체섬유
KR101992492B1 (ko) 열가소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조성물, 이를 통해 제조된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731319B1 (ko) 담배필터 토우용 섬유다발 조성물, 담배필터용 토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69480A (ko) 강도가 개선된 용융방사 셀룰로오스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76679A (ko) 분자량 감소가 억제된 열가소성 셀룰로오스 조성물, 이를 이용한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4182979A (ja) 熱可塑性セルロースアセテートプロピオネート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繊維
JP2003238669A (ja) 熱可塑性セルロースアセテートおよびそれからなる繊維
KR20140074758A (ko) 열가소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섬유를 포함하는 원단의 후가공 방법 및 이로 후가공된 원단
JP4356501B2 (ja) 難燃性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繊維成形体
KR101824685B1 (ko) 열가소성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
KR101714384B1 (ko) 열가소성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원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1601A (ko) 고강도 및 고신축성 이섬도 혼섬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6542B1 (ko) 용융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이를 이용한 용융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76674A (ko) 보온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셀룰로오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섬유
KR101685596B1 (ko) 용융 셀룰로오스 유도체 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섬유
KR20140074757A (ko) 열가소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조성물, 이를 통해 제조된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792036B1 (ko)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 제조방법
KR20140046580A (ko) 열가소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조성물, 이를 통해 제조된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74762A (ko) 열가소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조성물, 이를 통해 제조된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2179A (ko) 열가소성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원착섬유 조성물, 열가소성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원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76671A (ko) 경시변화가 개선된 열가소성 셀룰로오스 사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01503B1 (ko) 열가소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1600A (ko) 열가소성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단섬유 조성물, 열가소성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단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3699B1 (ko) 열가소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